KR100604050B1 - 부착장치의 외력 측정장치 및 협지장치 - Google Patents
부착장치의 외력 측정장치 및 협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4050B1 KR100604050B1 KR1020050034966A KR20050034966A KR100604050B1 KR 100604050 B1 KR100604050 B1 KR 100604050B1 KR 1020050034966 A KR1020050034966 A KR 1020050034966A KR 20050034966 A KR20050034966 A KR 20050034966A KR 100604050 B1 KR100604050 B1 KR 100604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th
- die
- elastic
- viscoelastic
- external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3—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lling for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5—Spr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2—Two dimensional, e.g. tapes, webs, sheets, strips, disks or membra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88—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 Y10T24/45906—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having component of means permanently deformed during mounting opera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스냅부재(921)의 주위의 옷감(953)을 협지하여 가압하는 협지수단(300)과, 스냅 부재(921)를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옷감(95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구속수단을 잡아당기는 동시에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 측정수단을 포함한다. 협지수단(300)은 옷감(953)이 적재되는 다이부(420)와, 상기 다이부(420)에 적재된 옷감(953)을 다이부(420)로 협지하는 옷감 가압수단(500)을 포함한다. 다이부(420)는 옷감 가압수단(500)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납부(434)를 갖는 지지프레임부(430)와, 수납부(434)내에 배치된 점탄성부(440)와, 수납부(434)내에서 점탄성부(440)에 적층되어 옷감 가압수단(500)의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점탄성부(440) 보다 경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부(450)를 포함한다.
다이부, 수납부, 지지프레임부, 탄성부, 가압부재, 볼록부, 오목부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외력 측정장치에 관한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3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협지수단의 사시도.
도4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협지수단의 정면도
도5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다이부의 분해사시도.
도6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스냅부재를 사이에 둔 양측에서 두께가 상이한 옷감을 협지수단으로 협지한 상태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탄성 링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경탄성부만 일층으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부착부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의복의 앞길을 정지시키는 스냅 파스너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스냅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종래의 외력 측정장치의 측면도.
도13은 종래의 외력 측정장치를 정면으로부터 투시하였을 때의 부분확대도.
도14는 옷감의 단부에 두께를 갖는 옷감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옷감을 종래의 협지수단으로 협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력 측정장치 200: 베이스부
300: 협지수단 400: 스테이지부
500: 가압수단 600: 구속수단
700: 인장력 측정부 800: 외력 측정장치
900: 의복
본 발명은 부착부재의 외력 측정장치 및 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의복에 부착된 스냅 부재의 외력을 측정하는 외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900)의 앞길(910)을 정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스냅 파스너(920)가 사용된다. 스냅 파스너(92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부재라 칭하는 암형 스냅부재(930)와, 스타트 부재로 칭하는 수형 스냅부재(940)와[이들을 총칭하여 스냅부재(921)로 칭한다], 이러한 스냅부재(921)를 옷감 에 부착하는 프롱부재(931, 941)를 포함한다.
수형 스냅부재(940)와 암형 스냅부재(930)는 탄성적으로 착탈가능한 구조이며, 의복(900)의 앞길(910)의 한쪽 옷감(951)과 다른쪽 옷감(952)에 각각 대향하여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스냅부재(930) 및 수형 스냅부재(940)는 각각의 옷감(952, 951)의 대향하는 면에 대해, 이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프롱부재(931, 941)에 의해 부착된다.
의복(900)의 옷감(953)에 부착된 스냅부재(921)가 옷감(953)으로부터 간단히 벗겨져버리면, 유아가 스냅부재(921)(930, 940) 또는 프롱부재(931, 941)를 먹을 수도 있다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스냅부재(921)의 외력은 일정이상의 값으로 보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봉제공장 등에서는 스냅부재(921)의 외력에 대해 검사가 실행되며, 스냅부재(921)의 외력이 일정이상의 값이 되도록 관리하고 있다.
즉, 각각의 봉제회사에서는 유럽규격 『BS EN71-1 : 장난감의 안전성/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이 준용되고, 스냅부재(921)의 외력은 『90N10초』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종래 스냅부재(921)의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로서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 : 특허 제3328473호 공보 참조).
도12는 스냅부재의 외력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13은 스냅부재의 외력 측정장치를 정면으로부터 투시하였을 때의 부분확대도이다.
외력 측정장치(800)는 옷감(953)에 부착된 스냅부재(921)를 적재시키는 스테이지(400)와, 상기 스테이지(400)에 적재된 스냅부재(921)의 주위에서 옷감(953)을 가압하는 옷감 가압수단(500)과, 스냅부재(21)의 측면을 구속하는 구속수단(600)과, 스냅부재(921)를 구속한 구속수단(600)을 옷감 가압수단(5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인장하는 동시에 이러한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 측정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400)는 복수매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부(415)를 거쳐 지지블럭(413)에 지지된 다이(420)를 포함한다.
옷감 가압수단(500)은 지지부재(520)의 상단에서 대략 중간부가 요동지지되며, 스냅부재(921)의 주위의 옷감(953)을 가압하는 링부(512)를 선단에 갖는 옷감 가압아암(10)을 포함한다.
구속수단(600)은 선단에 스냅부재(921)의 측면에 결합가능한 선단 결합부(611)를 갖는 동시에, 선단 결합부(611)가 스냅부재(92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배치된 죠오(610)와, 상기 죠오(610)의 선단 결합부(611)끼리가 서로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죠오(610)의 중간부를 요동지지하는 죠오 지지부재(620)와, 상기 죠오(610)의 선단 결합부(61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죠오(610)를 가압하는 스프링(630)과, 각각의 죠오(610)의 기단부(612)에 당접하여 각각의 죠오(610)의 선단 결합부(61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죠오(610)를 회전시키는 아암부(640)를 포함한다.
인장력 측정부(700)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지만, 구속수단(600)의 죠오 지지부재(6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설치된 볼트(641)를 끌어올리므로써, 스냅부재(921)를 구속한 상태의 구속수단(600)을 끌어올리면서, 이때의 인장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스냅부재(921)의 외력을 우선 옷감(953)에 부착된 스냅부재(921)를 다이(420)에 적재한다. 스냅부재(921)가 옷감 가압아암(510)의 링부(512)의 내측에 들어있는 상태에서, 옷감 가압아암(510)의 링부(512)와 다이(40)로 옷감(953)을 협지한다. 각각의 죠오(610)의 선단 결합부(611)가 서로 근접하도록, 볼트(64)에 나선결합된 캠부(640)를 회전시켜 아암부(640)를 내려누르고, 캠부(640)에서 죠오(610)의 기단(612)을 가압개방하고, 죠오(610)의 선단 결합부(611)에서 스냅부재(921)의 측면을 죠오(610)로 구속한다. 이 상태에서, 죠오(610)에서 구속한 스냅부재(921)를 천천히 끌어올리면, 옷감(953)이 옷감 가압아암(510)과 다이(420)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곳, 즉 스냅부재(921)가 옷감(953)으로부터 잡아당겨 벗겨지도록 들어올려진다. 이때의 끌어올리는 힘이 인장력 측정부(700)에서 측정되고, 상기 끌어올리는 힘이 소정값을 초과하여도 스냅부재(921)가 옷감(953)에 부착되어 있으면, 소정의 외력이 보증되고, 또한 스냅부재(921)가 옷감(953)으로부터 벗겨질 때까지 끌어올리면, 스냅부재(921)의 외력이 측정된다.
여기서, 의복의 단(도10의 부호 960)은 옷감(953)의 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옷감(953)을 내측으로 감아넣은 상태로 봉제된다. 이에 따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아넣은 부분은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된다. 그리고, 단부(960) 부근의 옷감(953)의 얇은 곳에 스냅 파스너(920)를 설치하고, 스냅부재(921)의 외력 측정에 있어서 옷감(953)의 두꺼운 곳과 옷감(953)의 얇은 곳을 동시에 옷감 가압아암(510)과 다이(420)로 협지하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감(953)의 두꺼운 곳은 강하게 협지되지만, 옷감(953)의 얇은 부분에서는 옷감 가압아암(510)과 옷감 (953) 사이에 갭(d)이 형성된다.
옷감(953)이 충분히 가압되어 있지 않으면, 스냅부재(921)를 끌어올릴 때 옷감(953)도 함께 올라가 버리기 때문에, 스냅부재(921)가 옷감(953)으로부터 벗겨지지 어렵게 되고, 외력의 정확한 측정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의복(900)의 앞길(910)의 개방을 극력 작게 하기 위하여, 스냅부재(921)는 가능한한 의복(900)의 단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스냅부재(921)의 외력 측정에 있어서 두께가 상이한 단차 부근에 부착된 스냅부재(921)의 외력 측정은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부착부재의 외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부착부재의 외력 측정장치 및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옷감을 적절히 협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착부재의 외력 측정장치는 옷감에 부착된 부착부재의 외력을 측정하는 외력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의 주위의 상기 옷감을 협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협지수단과, 상기 부착부재를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부착부재를 구속한 구속수단과 상기 협지수단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속수단 및 상기 협지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잡아당기는 동시에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 측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협지수단은 부착부재가 부착된 옷감이 적재되는 다이부와, 상기 다이부에 적재된 옷감을 다이부를 향해 가압부착하여 옷감을 다이부로 협지하는 옷감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부는 옷감 가압수단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 측에 수납부를 갖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수납부내에 배치되는 점탄성부와, 상기 수납부내에서 점탄성부에 적층되어 옷감 가압수단의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점탄성부 보다 경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부착부재의 외력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먼저, 협지수단에 의해 옷감을 협지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구속수단에 의해 부착부재를 구속한다. 그리고, 옷감이 협지수단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인장력 측정수단에 의해 구속수단을 옷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인장력을 측정한다. 이렇게 하면, 부착부재의 외력이 측정된다.
여기서, 부착부재의 외력이 정확하게 측정되기 위해서는, 부착부재가 인장되어도 옷감이 움직이지 않도록, 협지수단으로 옷감을 협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좌우 두께가 상이한 옷감을 협지수단으로 협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다이부와 옷감 가압수단으로 옷감이 두꺼운 부분을 강하게 협지할 수 있어도 옷감이 얇은 부분에서는 옷감 가압수단과 옷감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위험이 있어서, 두께의 차이에 대응하여 점탄성부가 변형되기 때문에,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다이부와 옷감 가압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옷감에 당접하는 면은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지 않으면 옷감을 강하게 협지하여 고정할 수 없는 한편, 어느 정도의 변형이 허용되지 않으면 옷감 두께의 차이에 대응한 변형을 하여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옷감을 적절히 협지할 수가 없다.
옷감에 당접하는 면이 경질의 탄성부이기 때문에, 옷감을 강하게 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점탄성부는 탄성적 성질과 점성적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점성 유체적인 동작에 의해 옷감 두께의 상이에 대응한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옷감이어도 협지수단에 의해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적절히 협지하여 옷감을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옷감이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부분의 외력이 정확하게 측정된다.
또한, 부착부재로서는 옷감에 부착되는 스냅부재나 버튼 부재, 또한 스냅부재나 버튼부재를 옷감에 부착하는 프롱부재, 리벳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점탄성부는 점탄성부재로 형성되어도 좋고, 또는 밀봉된 시일이나 유체이어서 점탄성적인 작용을 할 수 있어도 좋다.
경질의 탄성부는 점탄성부 보다 경질이며, 예를 들어 경질의 고무, 플라스틱,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이어도 좋다.
또한, 점탄성부의 경도는 shore00scale로 쇼어30-쇼어70 으로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점탄성부의 손실계수(tanδ)는 상온(20℃)에서 대략 0.5 내지 1.5로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협지수단은 상기 부착부재의 주위에서 옷감의 어느 장소에도 거의 동일한 협지력으로 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구속수단으로 부착부재를 구속하면서 인장력 측정수단으로 부착부재를 끌어올릴 때, 협지력이 약한 부분의 옷감이 부착부재와 함께 들어올려져 버린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부착부재를 끌어올렸을 때 부착부재가 옷감으로부터 균등하게 벗겨지게 되고, 그 결과 부착부재의 외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옷감 가압수단에서 옷감에 당접하는 면에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 가압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옷감에 당접한 면이 탄성부재로 되기 때문에, 탄성 가압부재와 다이부(탄성부)로 옷감을 협지하였을 때의 마찰력이 커지고, 옷감을 보다 강고히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옷감 가압수단과 상기 탄성부의 각각의 대향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옷감 가압수단과 다이부로 옷감을 협지하였을 때, 볼록부와 오목부로 옷감이 맞물리게 되어, 훨씬 강고히 옷감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협지장치는 옷감을 협지하는 협지장치에 있어서, 부착부재가 부착된 옷감이 적재되는 다이부와, 상기 다이부에 적재된 옷감을 다이부의 반대측으로부터 다이부를 향해 가압부착하여 상기 옷감을 다이부로 협지하는 옷감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부는 옷감 가압수단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납부를 갖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수납부내에 배치된 점탄성부와, 상기 수납부내에서 점탄성부에 적층되어 상기 옷감 가압수단의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점찬성부 보다 경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발명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옷감 두께의 상이에 대응하여 점탄성부가 변형되므로써,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다이부와 옷감 가압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옷감에 당접하는 면이 경질의 탄성부이기 때문에, 옷감을 강하게 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점탄성부의 점성유체적 동작에 의해 옷감 두께의 상이에 대응한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옷감에 대해서도 협지수단에 의해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적절히 협지하여 옷감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동시에, 도면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여된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부착부재의 외력 측정장치에 관한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외력 측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2는 외력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외력 측정장치(100)는 베이스부(200)와, 상기 베이스부(200)에 직립설치되는 동시에 스냅부재(부착부재)(921)가 부착된 옷감(953)을 협지하는 협지수단(협지장치)(300)과, 스냅부재(921)를 그 측면으로부터 협지하여 구속하는 구속수단(600)과, 스냅부재(921)를 구속한 상태의 구속수단(600)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끌어올릴 때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 측정부(인장력 측정수단)(700)를 포함한다.
도3은 협지수단(300)의 사시도이고, 도4는 협지수단(300)의 단면도이며, 도5는 다이부(420)의 분해사시도이다.
협지수단(300)은 옷감(953)이 적재되는 적재 다이인 스테이지부(400)와, 상기 스테이지부(400)에 적재된 옷감(953)을 스테이지부(400)의 반대측으로부터 스테이지부(400)에 가압부착하여 옷감(953)을 스테이지부(400)에 대해 협지하는 옷감 가압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부(400)는 베이스부(20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411)와, 상기 지지대(411)에 지지볼트(412)를 거쳐 지지된 지지블럭(413)과, 상기 지지블럭(413)상에 고정된 대좌(414)와, 상기 대좌(414)상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적층된 판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스프링부(415)를 포함한다.
다이부(420)는 예를 들어 일면인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납부(434)를 갖는 대략적으로 바닥을 갖는 통형 지지프레임부(430)와, 중앙부에 중앙구멍(441, 451)을 갖는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내에 순차적층된 점탄성부(440) 및 경탄성부[탄성부(450)]와, 점탄성부(440) 및 경탄성부(450)의 중앙구멍(44, 451)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된 적재 다이부(46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부(430)는 대략 중앙부에 중앙구멍(432)을 갖는 원형의 저판부(431)와, 상기 저판부(431)의 주연으로부터 일체로 연속적으로 직립설치되어 저판부(431)와는 반대인 면이 개방되는 수납부(434)를 포위하는 주벽부(433)와, 상기 저판부(431)의 중앙구멍(432)에 연속하는 구멍을 가지며 주벽부(433)가 직립설치되는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저판부(431)로부터 연장설치되는 기축부(435)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부(430)는 대략 통형으로서 수납부(434)의 내측의 직경(R)은 스냅부재(921)의 직경(r)의 약 2배정도이다(도6 참조). 지지프레임부(430)는 스프링부(415)를 거쳐 대좌(414)에 지지되기 때문에, 기축부(435)가 스프링부(415)를 관통하여 대좌(414)에 삽입되어 있다(도1, 도2 참조).
점탄성부(440)는 중앙부에 중앙구멍(441)을 갖는 너트형으로서, 지지프레임 부(430)의 수납부(434)에 삽입되고, 점탄성부(440)는 점탄성부(440)의 상부로부터 수납부(434)에 삽입되는 경탄성부(450)와 저판부(431)로 협지되어 있다.
점탄성부(440)는 점성과 탄성을 겸비한 성질을 가지며, 응력이 가해졌을 때 그 응력의 근본의 비틀림이 평형값으로 서서히 근접하는(크리이프) 것으로서, 응력을 완화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점탄성부(440)는 예를 들어 점탄성 폴리우레탄(일본 특허공개 소62-26330호, 특허공개 평6-92478호) 또는 점탄성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또한 사루보(등록상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점탄성부(440)의 경도는 shore00scale로 쇼어30-쇼어70 으로 되고, 점탄성부의 손실계수(tanδ)는 상온(20℃)에서 대략 0.5 내지 1.5로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경탄성부(450)는 중앙부에 중앙구멍(451)을 갖는 도너츠형으로서, 점탄성부(440)의 상부로부터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에 삽입되어 있다.
경탄성부(450)는 점탄성부(440)에 비해 경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힘이 가해졌을 때의 탄성변형이 점탄성부(440)에 비해 작다. 이러한 경탄성부(450)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경탄성부(450)는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경탄성부(450)의 상면이 주위벽(433)의 개구 단연(433A) 보다 미세하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경탄성부(450)의 상면에서 거의 외측연 근처에는 중앙 구멍(451)과 동심의 환형 홈부(오목부)(4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점탄성부(440)와 경탄성부(450)는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내 에서 대략 간격없이 강제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
적재 다이부(460)는 대략 원주형으로서, 경탄성부(450) 및 점탄성부(440)의 중앙구멍(451, 4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재 다이부(460)의 상면이 경탄성부(450)의 상면과 거의 면일치되어 있다.
적재 다이부(460)의 상면에서 외연부가 미세하게 직립되므로써, 오목부가 형성되고, 스냅부재(921) 및 프롱부재(931)(941)가 적재되는 적재 오목부(461)로 되어 있다.
적재 다이부(460)의 하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속적으로 축상의 삽입축부(462)가 연장설치되고, 이러한 삽입축부가 지지프레임부(430)의 기축부(435)에 고정적으로 삽입되므로써, 적재 다이부(460)가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내에서 고정되어 있다.
옷감 가압수단(500)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선단의 링부(512)에서 옷감(953)을 가압하는 옷감 가압아암(510)과, 지지블럭(413)으로부터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상단에서 옷감 가압아암(510)을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520)와, 옷감 지지아암(510)의 요동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수단(530)을 포함한다.
옷감 가압아암(510)은 대략 L형의 부재로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작용축부(510A)와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작축부(510B)가 절곡점(510C)에서 대략 L형을 형성하도록 일체로 연속되어 있다.
옷감 가압아암(510)의 절곡점(510C)이 지지부재(520)의 상단에서 지지축(511)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작용축부(510A)가 대략 수평상태를 기준상 태로 하여 돌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옷감 가압아암(510)의 요동에 의해, 작용축부(510A)의 선단이 다이부(420)의 상면에 대해 접속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작용축부(510A)의 선단에는 구멍(516)이 천공되므로써, 환형의 링부(512)가 형성된다. 링부(512)의 구멍(516)은 상방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513)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부(512)의 하면에는 구멍(516)을 포위하는 환형 탄성 링부재(탄성 가압부재)(514)가 설치되며, 탄성 링부재(514)는 구멍(516)을 포위하는 링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볼록부(515)를 포함한다. 탄성 링부(514)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볼록부(515)는 경탄성부(450)의 상면에 설치된 홈 돌기(4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링부(512)가 다이부(420)의 상면에 당접할 때는 볼록부(515)가 홈 돌기(452)에 삽입된다.
링부(512)의 구멍(516)의 직경은 적재 다이부(460)의 직경 보다 미세하게 크고, 적재 다이부(460)의 적재 오목부(461)에 스냅부재(821)가 적재된 상태에서 옷감 가압아암(510)의 요동에 의해 작용축부(510A)의 선단이 다이부(420)를 향해 이동하면, 링부(512)의 구멍(516)의 내측에 스냅부재(921)가 위치되는 동시에, 링부(512)(의 하면)와 경탄성부(450)(의 상면)로 옷감(953)이 협지된다.
지지부재(520)는 지지부(410)와 대략 평행하게 지지블럭(413)으로부터 직립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520)의 상단에서 지지축(511)에 의해 옷감 가압아암 (510)이 요동지지되며, 또한 지지부재(520)와 작용축부(510A) 사이에는 작용축부(510A)를 상방으로 향해[작용축부(510A)가 다이부(4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52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수단(530)은 회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레버(533)와, 상기 조작레버(453)의 회전과 동시에 베어링(517)을 거쳐 조작축부(510B)의 단부를 가압조작하는 캠(532)을 포함한다.
조작레버(533)를 회전시켜 쓰러뜨리므로써 캠(532)이 베어링(517)을 거쳐 조작축부(510B)의 단부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옷감 가압아암(510)이 지지축(511)을 지점으로 하는「데코(てこ)」의 원리로 요동되고, 작용축부(510A)의 선단이 다이부(4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부(512)가 다이부(420)의 상면을 하방을 향해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구속수단(600)의 구성은 배경기술로 설명한 구성과 거의 동일하며, 3개의 죠오(610)와, 죠오 지지부재(620)과, 스프링(630)과, 캠부(640)를 포함하며; 다이부(420)의 바로 위에서 수직하강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인장력 측정부(700)는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부(200)에 직립설치되고, 구속수단(600)의 죠오 지지부재(6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설치된 볼트(641)를 끌어올리므로써, 스냅부재(921)를 구속한 상태의 구속수단(600)을 끌어올리면서, 이때의 인장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외력 측정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의복(900)의 앞길(910)의 단부(960)에 스냅 파스너(920)[스냅부재 (921), 프롱부재(931, 941)]가 설치되어 있고, 스냅 파스너(920)를 사이로 하여 양측의 옷감(953)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옷감(953)에 부착된 스냅 파스너(920)[스냅부재(921), 및 블럭부재(931, 941)]를 적재 다이부(460)의 적재 오목부(461)에 적재한다. 조작 레버(533)를 회전조작하여 옷감 가압아암(510)을 쓰러뜨린다. 따라서, 캠(532)에 의해 조작축부(510B)가 가압되어 옷감 가압아암(510)이 요동된다. 그러면, 작용축부(510A)가 다이부(420)를 향해 쓰러지고, 작용축부(510A)의 선단에 의해 옷감(953)이 다이부(420)의 상면에 가압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링부(514)와 다이부(420)의 상면과 옷감(953)이 협지된다.
도6은 스냅부재(921)를 사이에 둔 양측에서 두께가 상이한 옷감(953)을 협지수단(300)[다이부(420), 옷감 가압수단(500)]으로 협지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6에서, 옷감(953)의 좌측은 4매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있으며, 옷감(953)의 우측은 얇다.
이와 같이, 양측의 두께가 상이한 옷감(953)을 탄성 링부(514)에 의해 다이부(420)의 상면[경탄성부(450)의 상면]에 가압부착하면, 양측의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여 경탄성부(450) 및 점탄성부(440)가 변형되어, 양측 각각의 옷감(953)이 탄성 링부(514)와 다이부(420)의 상면으로 적절히 협지된다.
여기서, 두께가 있는 옷감(953)이 탄성 링부(514)에 의해 다이부(420)의 상면에 가압부착되면, 경탄성부(450)는 그 두께가 거의 변형되지 않고 두께운 옷감(953)의 바로 아래부분만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도록 탄성변형(주로 굴곡변형)되고, 그리고 경탄성부(450)의 하측의 점탄성부(440)가 경탄성부(450)에 가압되어 변형된다.
이때, 점탄성부(440)의 점성적(유동적) 성질에 의해, 응력의 근본의 왜곡이 평형값으로 서서히 근접하고(크리이프), 결과적으로 응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어 가고(응력완화), 일정시간후(예를 들어 수초후)에는 점탄성부(440)로부터 경탄성부(450)에 작용하는 반발력(탄성복원력)은 모두 동일하게 된다. 이에 의해, 옷감(953)의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탄성 링부(514)와 경탄성부(450)의 상면에 의해 거의 동일한 힘으로 협지된다.
또한, 탄성 링부(514)의 볼록돌기(515)와 경탄성부(450)의 홈 돌기(452)가 서로 삽입되어, 그 사이에서 옷감(953)이 맞물려 고정된다.
이어서, 구속수단(600)에 의해 스냅부재(921)의 측면을 구속한다. 즉, 캠부(640)로 죠오(610)의 기단(612)을 가압개방하여 죠오(610)의 선단 결합부(611)에서 스냅부재(921)의 측면을 죠오(610)로 구속한다.
그리고, 스냅부재(921)를 구속한 상태의 구속수단(600)을 인장력 측정부재(700)에 의해 끌어올린다. 그러면, 옷감(953)은 탄성 링부(514)와 다이부(420)에 의해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냅부재(921)만 들어올려진다. 이때의 인장력이 인장력 측정부재(700)에 의해 측정된다. 프롱부재(931, 941)로부터 스냅부재(921)가 벗겨지고, 옷감(953)으로부터 스냅부재(921)가 벗겨졌을 때, 스냅부재(921)의 외력이 측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두께가 상이한 부분을 갖는 옷감(953)에서도 협지수단(300)으로 확실하게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냅부재(921)의 외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2)두께가 상이한 부분을 갖는 옷감(953)을 협지수단(300)으로 협지하는 경우, 다이부(420)와 옷감 가압수단(500)으로 옷감(953)의 두꺼운 부분을 강하게 협지할 수 있어도, 옷감(953)이 얇은 부분에서는 옷감 가압아암(510)과 옷감(953)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위험이 있으므로, 두께의 상이에 대응하여 점탄성부(440)가 변형되므로써,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다이부(420)와 옷감 가압아암(510)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3)옷감(953)에 당접하는 면이 경질의 경탄성부(450)이기 때문에, 옷감(953)을 강하게 협지할 수 있는 한편, 점탄성부(440)가 옷감(953)의 두께의 상이에 대응한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옷감(953)인 경우에도 협지수단(300)[옷감 가압수단(500), 다이부(420)]에 의해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적절히 협지하여 옷감(953)을 고정할 수 있다.
(4)옷감(953)의 두꺼운 부분도 얇은 부분도 탄성 링부(514)와 경탄성부(450)의 상면에 의해 거의 동일한 힘으로 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부재(921)의 외력이 크면, 스냅부재(921)를 끌어올릴 때 협지수단(300)[옷감 가압아암(510)과 다이부(420)] 사이로부터 어긋나서 옷감(953)도 스냅부재(921)과 함께 옷감 가압아암(510)의 구멍(516)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위험이 있지만, 옷감(953)을 협지하는 힘이 스냅부재(921)의 주위에서 균등하기 때문에, 스냅부재(921)와 함께 들어올려진 옷감(953)의 양은 스냅부재(921)의 주위에서 대략 균등하게 된다. 그 결과, 스냅부재(921)에 삽입되어 있는 프롱부재(931, 941)가 균동하게 벗겨지기 때문에, 스냅부재(921)의 외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5)링부(512)의 하면에는 탄성 링부(514)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링부(514)와 경탄성부(450)로 옷감(953)을 협지하였을 때의 마찰력이 커지고, 옷감(953)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6)탄성 링부(514)에는 볼록돌기(515)가 설치되고, 경탄성부(450)에는 홈 돌기(422)가 설치되기 때문에, 탄성 링부(514)와 경탄성부(450)로 옷감(953)을 협지하였을 때, 볼록돌기(515)와 홈 돌기(452)로 옷감(953)을 맞물어, 더욱 강고하게 옷감(953)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협지수단(300)이 스냅부재(921)(부착부재)의 주위의 옷감을 전체에 걸쳐 협지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스냅부재(921)의 전체 주위에서 옷감(953)을 협지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스냅부재(921)의 주위의 복수점에서 옷감(953)을 협지해도 좋다. 예를 들어, 스냅부재(921)를 사이로 하여 스냅부재(921)의 주위에서 대향하는 2점으로 옷감(953)을 협지해도 좋으며, 또는 스냅부재(921)의 주위에서 60°간격의 3점, 90°간격의 4점 등으로 옷감(953)을 협지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링부(512)의 하면에 탄성 링부(514)가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부(514)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탄성 링부(514)는 경탄성부(45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옷감 가압아암(510)과 경탄성부(450)와의 대향면에 각각 볼록돌기(515)와 홈 돌기(452)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볼록 돌기(515) 및 홈 돌기(452)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점탄성부(440) 및 경탄성부(450)는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내에 대략 간극없이 강제로 밀어넣고 있지만, 어느 정도의 간극을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간격을 확보하므로써, 점탄성부(440) 및 경탄성부(450)의 변형이 용이하게 허용된다.
점탄성부(440) 및 경탄성부(450)는 도너츠형의 일련의 링이었지만,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부(430)의 수납부(434)에 점탄성부(440)와 경탄성부(450)가 적층되었지만,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탄성부(450)만 일층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부재로서 스냅부재(92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부착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9A 내지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970) 이어도 좋으며, 또는 스냅부재(921) 또는 버튼부(970)를 옷감(953)에 부착하는 캡부재(990), 리벳(980) 또는 프롱부재(931, 941) 이어도 좋다.
스프링부(415)는 복수의 판스프링 이외에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 이어도 좋다.
인장력 측정수단은 구속수단을 인장하는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인장력 측정수단은 협지수단을 인장해도 좋으며, 또한 구속수단과 협지수단의 양자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을 향해 각각 인장해도 좋다.
Claims (4)
- 옷감(953)에 부착된 부착부재의 외력을 측정하는 외력 측정장치(100)에 있어서,상기 부착부재의 주위의 상기 옷감(953)을 협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협지수단(300)과,상기 부착부재를 구속하는 구속수단(600)과,상기 부착부재를 구속한 구속수단(600)과 상기 협지수단(300)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속수단(600) 및 상기 협지수단(300)의 적어도 한쪽을 잡아당기는 동시에 인장력을 측정하는 인장력 측정수단(700)을 포함하며,상기 협지수단(300)은 부착부재가 부착된 옷감(953)이 적재되는 다이부(420)와, 상기 다이부(420)에 적재된 옷감(953)을 다이부(420)를 향해 가압부착하여 옷감(953)을 다이부(420)로 협지하는 옷감 가압수단(500)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부(420)는 옷감 가압수단(500)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납부(434)를 갖는 지지프레임부(430)와, 상기 수납부(434)내에 배치되는 점탄성부(440)와, 상기 수납부(434)내에서 점탄성부(440)에 적층되어 옷감 가압수단(500)의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점탄성부(440) 보다 경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감 가압수단(500)에서 옷감(953)에 당접하는 면에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 가압부재(51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측정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옷감 가압수단(500)과 탄성부(450)의 각각의 대향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515) 및 오목부(452)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측정장치.
- 옷감(953)을 협지하는 협지장치(300)에 있어서,부착부재가 부착된 옷감(953)이 적재되는 다이부(420)와,상기 다이부(420)에 적재된 옷감(953)을 다이부(420)의 반대측으로부터 다이부(420)를 향해 가압부착하여 상기 옷감(953)을 다이부(420)로 협지하는 옷감 가압수단(500)을 포함하며,상기 다이부(420)는 옷감 가압수단(500)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납부(434)를 갖는 지지프레임부(430)와, 상기 수납부(434)내에 배치된 점탄성부(440)와, 상기 수납부(434)내에서 점탄성부(440)에 적층되어 상기 옷감 가압수단(500)의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점찬성부(440) 보다 경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탄성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135909 | 2004-04-30 | ||
JP2004135909A JP4366237B2 (ja) | 2004-04-30 | 2004-04-30 | 取着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7508A KR20060047508A (ko) | 2006-05-18 |
KR100604050B1 true KR100604050B1 (ko) | 2006-07-24 |
Family
ID=3518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4966A KR100604050B1 (ko) | 2004-04-30 | 2005-04-27 | 부착장치의 외력 측정장치 및 협지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7204159B2 (ko) |
JP (1) | JP4366237B2 (ko) |
KR (1) | KR100604050B1 (ko) |
CN (1) | CN100472198C (ko) |
DE (1) | DE102005020040B4 (ko) |
HK (1) | HK1079282A1 (ko) |
IT (1) | ITTO20050283A1 (ko) |
MY (1) | MY141088A (ko) |
TW (1) | TWI25085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3438A (ko) | 2020-05-20 | 2021-11-29 | (주)고고싱 | 옷감 신축성 측정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84312B2 (ja) * | 2007-06-20 | 2012-02-29 | Ykk株式会社 | スナップ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及び方法、並びにスナップ把持装置 |
GB2478257B (en) | 2009-01-12 | 2014-05-14 | H3 Percussive Concepts Llc | Cymbal mounting assembly |
DE102012223157A1 (de) * | 2012-12-14 | 2014-07-03 | Hilti Aktiengesellschaft | Auszugstester für ein Setzgerät |
CN104568745B (zh) * | 2015-02-04 | 2017-05-17 | 天津出入境检验检疫局工业产品安全技术中心 | 安全便携的儿童服装粘接件牢固度检测设备 |
WO2018107642A1 (zh) * | 2016-12-15 | 2018-06-21 | 东莞达基钮扣制品有限公司 | 一种滑块式导槽扣 |
KR102664083B1 (ko) * | 2024-02-21 | 2024-05-08 | 티피 주식회사 | 펀칭 및 조립 구조를 갖는 스냅 조립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5536A (ja) * | 1991-10-23 | 1993-11-19 | Emerson Electric Co | 締結器上の引張り荷重を測定し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JPH0937811A (ja) * | 1995-08-03 | 1997-02-10 | Sukoobill Japan Kk | スナップ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 |
JP2002360312A (ja) | 2001-04-06 | 2002-12-17 | Ykk Newmax Co Ltd | ファスナー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及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20962A (en) * | 1938-09-26 | 1940-11-12 | Metal Textile Corp | Pervious resilient material |
GB672728A (ko) * | 1948-08-18 | 1900-01-01 | ||
DE3210825A1 (de) * | 1981-08-05 | 1983-02-24 |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3400 Göttingen | Zugpruef- und reckvorrichtung fuer einen von einer flaeche vorspringenden bolzen |
US4596349A (en) * | 1985-05-02 | 1986-06-24 | William Prym-Werke Kg | Machine for applying articles of hardware to textile materials and the like |
US5819381A (en) * | 1991-12-05 | 1998-10-13 | Robert C. Bosack | Apparatus for gripping thin flexible materials, such as cloth |
CN2220068Y (zh) * | 1994-04-28 | 1996-02-14 | 山西省晋中地区电业局线路工区 | 多功能拉力测试装置 |
GB2330915B (en) * | 1995-08-03 | 1999-07-14 | Scovill Japan | Pluck-resistance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snap members |
US6012215A (en) * | 1998-10-13 | 2000-01-11 | Begneaud Manufacturing,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ple self clinching fasteners |
-
2004
- 2004-04-30 JP JP2004135909A patent/JP436623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4-27 KR KR1020050034966A patent/KR1006040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4-27 IT IT000283A patent/ITTO20050283A1/it unknown
- 2005-04-27 TW TW094113536A patent/TWI25085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4-27 US US11/115,456 patent/US7204159B2/en active Active
- 2005-04-29 DE DE102005020040A patent/DE102005020040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4-29 CN CNB2005100670926A patent/CN10047219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4-29 MY MYPI20051941A patent/MY141088A/en unknown
- 2005-12-12 HK HK05111363.1A patent/HK1079282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5536A (ja) * | 1991-10-23 | 1993-11-19 | Emerson Electric Co | 締結器上の引張り荷重を測定し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JPH0937811A (ja) * | 1995-08-03 | 1997-02-10 | Sukoobill Japan Kk | スナップ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 |
JP2002360312A (ja) | 2001-04-06 | 2002-12-17 | Ykk Newmax Co Ltd | ファスナー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及び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3438A (ko) | 2020-05-20 | 2021-11-29 | (주)고고싱 | 옷감 신축성 측정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538063A (en) | 2005-12-01 |
US7204159B2 (en) | 2007-04-17 |
ITTO20050283A1 (it) | 2005-11-01 |
HK1079282A1 (en) | 2006-03-31 |
JP4366237B2 (ja) | 2009-11-18 |
JP2005314851A (ja) | 2005-11-10 |
CN1693873A (zh) | 2005-11-09 |
TWI250855B (en) | 2006-03-11 |
DE102005020040B4 (de) | 2009-08-20 |
KR20060047508A (ko) | 2006-05-18 |
US20050241125A1 (en) | 2005-11-03 |
CN100472198C (zh) | 2009-03-25 |
DE102005020040A1 (de) | 2006-02-16 |
MY141088A (en) | 2010-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4050B1 (ko) | 부착장치의 외력 측정장치 및 협지장치 | |
WO2011077571A1 (ja) | ボタン取付用上金型 | |
TW201420900A (zh) | 連結具 | |
CN207544487U (zh) | 皮带扣以及皮带 | |
CN104068549A (zh) | 鸡眼扣安装装置 | |
CN110897675B (zh) | 带锁扣结构的止血带的弹性带与锁舌的连接结构 | |
WO2011132278A1 (ja) | ボタン取付用下方ダイ | |
JP4268127B2 (ja) | 拘束装置およびスナップ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 | |
US20080143122A1 (en) | Latch structure | |
JP4032590B2 (ja) | シート状試料用強度試験治具 | |
EP1595468B1 (en) | Press form mounting method in badge production device | |
CN109967587B (zh) | 一种夹料装置及拉伸成形机 | |
KR860000619Y1 (ko) |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 |
TW201733480A (zh) | 押扣及雄體形成方法 | |
WO2014097483A1 (ja) | ボタン類取付装置及びボタン類取付方法 | |
CN213088663U (zh) | 张紧机构及具有其的同步带装置 | |
KR20110124691A (ko) |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 |
JP3010311U (ja) | 潰し駒 | |
CN114587055B (zh) | 可穿戴设备 | |
JPH11151391A (ja) | ミシンの布張装置 | |
KR200251612Y1 (ko) | Lcd 모니터용 스탠드 | |
CN101406329A (zh) | 一种夹布钳 | |
JPH10332497A (ja) |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挾み込み荷重測定用治具 | |
KR100665344B1 (ko) | 의류용 단추 | |
CN205809109U (zh) | 一种测试夹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