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19Y1 -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619Y1
KR860000619Y1 KR2019840009155U KR840009155U KR860000619Y1 KR 860000619 Y1 KR860000619 Y1 KR 860000619Y1 KR 2019840009155 U KR2019840009155 U KR 2019840009155U KR 840009155 U KR840009155 U KR 840009155U KR 860000619 Y1 KR860000619 Y1 KR 860000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usher
fastening
die unit
fastening j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25U (ko
Inventor
히로시 오우라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4669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292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44668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2928U/ja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60Applying end stops upon stringe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료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장치의 상부 유니트에 대한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장치의 체결 조오(jaw) 형성부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상부 유니트의 평면도.
제5도는 제4오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이동 가능한 부분들의 양태를 예시하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
제9a, b 및 9c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압정 G : 덧테쇠(grommet)
11 : 상부 다이유니트 12 : 하부 다이유니트
13 : 지지블록 14 : 원통 보어
15 : 램 19 : 플런저(plunger)
20 : 펀치 22 : 원통 부재
24 : 상부 블록 25 : 하부 블록
26 : 제1요홈부 27, 28 : 체결 조오
29 : 제2요홈부 30 : 푸셔(pusher)
33 : 스프링 35, 36, 37 : 홈(groove)
38, 39 : 융기부(ridge) 30a : 수직 부재
30b : 수평 부재
본 고안은 스냅 파스너, 단추, 리벳 등과 같은 파스너 요소 쌍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러한 부착 장치의 파스너 체결 수단 형성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파스너 요소" 는 의료 혹은 시이트 모양의 물질 위로 그 양측에서 부착되는 1조의 교합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요소들을 의류에 적당히 고정하기 위해서는 두 요소들이 그 의류에 접촉하여 의류를 파지할 때까지 그 자세를 바꾸지 않은 채 정열하여 정확하게 보지되어야 한다.
파스너 부착기로서 제안된 것이 많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통상의 기계들에 생기는 문제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가벼운 파스너 요소들이 부착 도중에 변위되어 의류 직물 위에 잘못 배치되기 쉽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다른 문제점은, 파스너 요소들의 공급 흐름을 시험하거나 혹은 기계 고장으로 막혀 있을 때 요소들을 사이에 보지하고 있는 체결 조오로부터 파스너 요소들을 풀어내어 제거하기가 어렵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루하다는 것이다.
다이 유니트에 연결된 제1조의 체결 조오들은 그 사이에 하나의 요소를 탄성적으로 보지한다. 걸려 있는 요소를 풀어내기 위해 제1도의 조오들을 벌어지게 하는 푸셔(pudher) 수단이 설치된다. 하부 다이유니트에 연결된 제2조의 체결 조오들은 앤빌에 대해 그 사이에 다른 교합 요소를 보지하고, 이어서 의류를 가로질러 상기 한 요소와 커플링 결합할 때 그 요소를 놓아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스너 요소들의 공급 흐름을 시험하거나 장치가 정지해 있는 동안 부품들을 검사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파스너 요소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해 주는 수단을 갖춘 파스너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잇점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고, 여기서 유사번호는 유사 혹은 상응 부품들에 주어진다.
특히 제1도를 보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게 하우징(도시 안됨)에 장착된 1조의 협동하는 상부 및 하부 다이유니트를 (11) 및 (12)로 구성된 파스너 부착 장치(10)이 도시되어 있다.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다이유니트(11)는 원통형 보어(14)와 그 안에 왕복 가능한 램(ram)(15)을 가진 지지블록(13)을 포함한다. 램(15)에는 지지블록(13)의 내주벽(17)과 더불어 환상 간격(18)을 형성하는 축소직경부(16)이 있고, 이 환상 간격(18)은 후술하는 플런저(plunger)(19)를 수용한다. 펀치(20)이 램(15)의 축소부(16)에서 등축으로 연장되고, 또 핀(21)에 의해 그 축소부에 고정된다.
플런저(19)는 원통형 부재(22)가 내주벽(17)과 축소 직경부(16) 사이에서 블록(13)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고, 그 부재는 제9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 펀치(20)를 수용하는 보어(23)을 포함한다. 플런저(19)는 또한, 하나의 교합 파스너 요소들, 가령 도시된 실시예의 압정(T)을 안에 보지하기 위한 1조의 상부 및 하부 정방형 블록들 혹은 호울더들(24) 및 (25)을 포함하고 상부 블록(24)은 원통형 부재(22)와 일체로 되어 있다.
플런저(19)의 여러 부분들을 나타내는 제2도에서, 상부 블록(24)에는 제1요홈부(26)가 바닥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보어(14)를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신장하여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록(24)의 양측으로부터 체결 조오(27, 28)을 수용한다. 상부 블록(24)에는 제2요홈부(29)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부(29)는 제1요홈부(26)와 통하게 거기에 직각으로 신장하여 있어 후술하는 푸셔(30)를 수용한다. 제2요홈부(29)는 와이어 스프링(33)을 수용하는 1조의 정열된 홈(31a, 32a)을 가진 분기된 단부 부분(31, 32)을 제공한다.
1조의 체결 조오(27, 28)는 상부 블록(24)의 양측으로부터 그 제1요홉부(26)에 삽입되고, 와이어 스프링(33)에 의해 서로를 향해 평시에 내측으로 부세되며, 스프링의 단부들(33a, 33b)는 둘 다 U형으로 굽어져 있어 각 체결 조어(27, 28)의 막힌 구멍(27a, 38a)에 고착된다. 편리하게는, 와이어 스프링(33)은 상부 다이유니트(11)의 내부를 보수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체결 조오(27, 28)를 풀어 제거할 수 있다.
하부 블록(25)은 압정(T)이 펀치(20)에 의해 그 교합 덧테쇠(G)와 계합될 때가지 압정(T)를 수용하는 원통형 부재(22)의 보어(23)과 동축으로 정열하여 통하는 중앙 보어(23)을 갖는다.
하부 블록(25)는 다른 홈(35, 36, 37) 및 융기부(38, 39)를 설치하고, 홈(36, 36)과 융기부(38)는 보어(34)에 의해 분기되어 있으나, 보어(34)를 가로질러 정열되어 있다. 하부 블록(35)의 최외측 홈(37)은 상부 블록(24)에서 아래로 신장하는 돌기(31b) 및 (32b)와 계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어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위치들에서 세트 나사(40)로 두 블록들(24, 25)을 함께 결합할 때 한 블록을 다른 블록에 대해 위치 조정한다.
대략 역 L형인 푸셔(30)는 수직판 부재(30a) 및 수평판 부재(30b)로 구성된다. 수직판 부재(30a)에는 지지핀(41)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구멍(30c)이 있고, 그 핀의 탄단부는 최외측 홈(37)에 인접히 하부 블록(25)의 단부벽에 형성된 막힌 구멍(42)에 수용된다. 지지핀(41)은 압축 코일 스프링(43)을 통해 삽입되고 그 타단부는 E링(44)에 의해 구멍(30c)에 보유된다. 수평 부재(30b)의 경사진 단부(30d)는 후술하는 목적을 위해 대향 배치된 체결 조오(27, 28)과 계합할 수 있다.
체결 조오(27, 28)의 아래측을 나타내는 제3도를 보면, 각 체결 조오에는 압정(T)의 외주 플랜지 부분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외주 안내홈(27c)이 형성된 활 모양의 내측단부(27b)와, 하부 블고(25)의 융기부(38)과 미끄럼 계합하는 종방향 요홈부(27d)가 설치되어 있다. 종방향 요홈부(27d)의 양측과 활 모양 단부(27b)의 대향단부에는 하부 블록(25)의 보어(34)를 향해 체결 조어(27)의 운동을 제한하는 데 쓰이는 동일한 하향돌기(27e)가 설치되어 있다.
압정(T)을 상부 다이유니트(11)의 적소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2요홈부(29)와 대향하게 상부 블록(24)에 관통 구멍(45)(제4도 및 제6도)이 설치되고, 구멍(45)는 플런저(19)의 보어(23)를 따라 펀치(20)의 경로 안으로 압정(T)의 플랜지 부분을 안내하여 수용하며, 구멍(45)과 통하고 보어(34)와 이어지는 구멍(46)이 하부 블록(25)에 설치되어 압정(T)의 핀 부분을 자유로이 수용한다. 압정(T)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체결 조오(27, 28)에는 경사진 모서리(27f)가 형성된다.
제9a-9c도를 보면,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C) 위에 체결하여 부착하는 데 있어서 상부 다이유니트(11)와 협동하도록 임의의 통상적인 형태와 구조로 되어 있는 하부 다시유니트(12)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다이유니트(12)는 베이스(47)와 그 안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원통형 정지 앤빌(48)을 포함한다. 앤빌(48)에 대해 이동 가능한 1조의 지지블록(49, 50)들은 베이스(47)에 고정되어 앤빌(48)을 감싸고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5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리이브(52)는 앤빌(48) 위에 활동적으로 장착되고 지지블록(49, 50)에 고정된다.
한 쌍의 체결 조오들(53)은 핀(54)들에 의해 토션 프프링(55)을 경유하여 슬리이브(52)에 추축적으로 연결된다. 체결 조오들(53)은 스프링(55)에 의해 서로를 향해 평상시에 부세되어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빌(48)의 상부 표면에 대해 파스너의 덧테쇠 부분(G)를 보지한다. 하부 다이유니트(12)가 본 고안의 주요부가 아니므로 이 유니트에 대한 더 이상의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제9b도는 장치(10)의 작동 제1순서를 예시하는 것으로, 여기서 하부 블록(25)이 의류 직물(C)을 가로질러 하부 다이유니트의 지지블록(49, 50)의 상부면들과 당접한 채 보유되어 상부 다이유니트(11)의 플런저(19)가 하강한다. 제9c도는 작동의 제2순서를 예시한 것으로, 펀치(20)는 직물(C)을 가로질러 압정(T)을 가격하여 덧테쇠(G)와 체결 계합하게 하고 이 때 플런저(19)는 체결 조오들(53)을 추축적으로 분리운동시켜서 덧테쇠(G)를 놓아주는 데 필요한 거리만큼 하강이 허용된다.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다이유니트(11)의 구조를 다시 살펴 보면, 압정(T)의 제위치에 장착되고 그 플랜지가 체결 조오(27, 28)의 주위 안내홈(27c)에 넉넉히 안착될 때 하부 블록(25)의 융기부(38)는 안내홈(27c)의 지역으로 보통 신장하는 내측 단부벽(38')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것은 체결 조오들(27, 28)이 펀치(20)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응하여 분리 운동함에 따라 압정(T)의 플랜지는 융기부(28)에 의해, 더 자세히는 그 단부벽(38)에 의해 외주적으로 포착되어, 체결 조오들(27, 28)에서 떨어진 결과로 압정(T)이 변위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압정(T)은 교합 덧테쇠(G)를 향해 정확히 맞쳐진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고안 다른 특징은, 장치의 고장시에 상부 다이유니트(11)에 걸려 있는 압덩(G)을 놓아주도록 대향 체결 조오들(27, 28)을 물리어 벌어지게 하기 적합한 푸셔(30)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당 분야에 익숙한 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 사소한 변형이 제안될 수 있으나, 당분야의 기술에 기여하는 범위내에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들어올 그러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실시해 주기를 바란다.

Claims (5)

  1. 수직 왕복하는 원통형 플런저(19)를 포함하는 상부 다이유니트(11), 고정 앤빌(48)를 포함하는 하부다이유니트(12), 상기 상부 다이유니트(11)에 있는 하나의 파스너 요소(T)를 상기 하부 다이유니트(12)에 있는 다른 교합 요소(G)에 대해 압착하기 위해 상기 앤빌(48)에 가까이 혹은 멀리 이동하는 수직 경로를 따라 상기 플런저(19)에 대해 운동 가능하고 그 안에 장착된 펀치(20), 펀치(20)의 상기 수직 경로를 가로질러 신장하는 제1요홈부(26)이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19)와 일체로 된 상부 블록(24), 요소들 중 하나(T)를 사이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상기 제1요홈부(26)에 수용되고 평시에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부세되어 있는 1조의 체결 조오들(27, 28)과, 상기 원통형 플런저(14)와 동축으로 정렬된 보오(34)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블록(24)에 고정된 하부 블록(25)으로 구성되는, 1조의 파스너 요소들(T,G)을 의류 직물(C) 위에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24)은 푸셔(30)을 안에 수용하도록 상기 제1요홈부(26)에 직각으로 신장하고 거기에 통하는 제2요홈부(29)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30)는 상기 1조의 체결 조오들(27, 28)을 물어 벌어지게 하는 데 적합하고 상기 제2요홈부(29)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하부 블록(25)은 1조의 홈(35, 36)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융기부(38)가 있어 상기 1조의 체결 조오들(27, 28)을 안내하여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요솔 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체결 조오(27, 28)에는 상기 파스너 요소들 중 하나(T)를 안내하여 수용하도록 외주 안내홈(27c)이 형성된 활 모양의 내측 단부(27b)와, 상기 하부 블록(25)의 상기 융기부(38)와 활동 계합하는 종방향 요홈부(27d)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38)에는 상기 외주 안내홈(27c)지역 안으로 평시에 신장하는 내측 단부벽(38')이 있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1조의 홈(35, 36)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다른 홈(37)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블록(24)에는 상기 하부 블록(25)의 다른 홈(37)과 계합하도록 하향 신장하는 돌기들(32b)이 설치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30)는 수직판 부재(30a)와 수평판 부재(30b)를 갖는 대략 역 L형이고, 상기 수평부재(30b)는 경사진 단부(30d)가 상기 체결 조오들(27, 28)과 물리게 되어 체결 조오들을 벌어지게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조오들(27, 28)은 손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프링(33)에 의해 외부적으로 정위치 보유되는 상기 장치.
KR2019840009155U 1983-09-19 1984-09-18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KR8600006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466983U JPS6052929U (ja) 1983-09-19 1983-09-19 釦加工装置の部品把持装置
JP14466883U JPS6052928U (ja) 1983-09-19 1983-09-19 釦加工装置の部品把持装置
JP144668 1983-09-19
JP144669 1983-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25U KR850007925U (ko) 1985-10-26
KR860000619Y1 true KR860000619Y1 (ko) 1986-04-18

Family

ID=2647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155U KR860000619Y1 (ko) 1983-09-19 1984-09-18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86641A (ko)
EP (1) EP0135885B1 (ko)
KR (1) KR860000619Y1 (ko)
AU (1) AU547487B2 (ko)
CA (1) CA1254541A (ko)
DE (1) DE3468812D1 (ko)
ES (1) ES536015A0 (ko)
GB (1) GB2147239B (ko)
HK (1) HK88888A (ko)
SG (1) SG1011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524U (ja) * 1983-10-04 1985-05-04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釦加工装置の部品支持装置
JPH0311211Y2 (ko) * 1986-08-05 1991-03-19
JPH0527459Y2 (ko) * 1988-05-09 1993-07-13
US5488767A (en) * 1994-06-10 1996-02-06 Stimpson Co., Inc. Automatic grommeting machine
JP4884312B2 (ja) * 2007-06-20 2012-02-29 Ykk株式会社 スナップ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及び方法、並びにスナップ把持装置
IT1394741B1 (it) 2009-07-14 2012-07-13 Raccosta Procedimento per il fissaggio di placchette su tessuti, pelli e simili,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el detto procedimento e placchetta ottenuta con questa macchina e con questo procedimento.
WO2011132278A1 (ja) * 2010-04-21 2011-10-27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用下方ダ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420A (en) * 1913-05-10 1914-01-06 Patent Button Co Button-attaching machine.
US1183822A (en) * 1915-05-10 1916-05-16 Scovill Manufacturing Co Button-setting machine.
US2373436A (en) * 1943-03-18 1945-04-10 Scovill Manufacturing Co Fastener setting or attaching machine
DE2939262A1 (de) * 1979-09-28 1981-04-09 Schaeffer-Homberg Gmbh, 5600 Wuppertal Maschine zum ansetzen von mit stielen o.dgl. ausgeruesteten knoepfen
JPS5922094Y2 (ja) * 1979-12-13 1984-07-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5885A2 (en) 1985-04-03
ES8600024A1 (es) 1985-10-16
DE3468812D1 (en) 1988-02-25
AU547487B2 (en) 1985-10-24
EP0135885A3 (en) 1986-08-13
US4586641A (en) 1986-05-06
AU3289984A (en) 1985-06-06
KR850007925U (ko) 1985-10-26
GB2147239B (en) 1986-08-13
GB8422913D0 (en) 1984-10-17
GB2147239A (en) 1985-05-09
EP0135885B1 (en) 1988-01-20
SG101187G (en) 1988-06-03
CA1254541A (en) 1989-05-23
ES536015A0 (es) 1985-10-16
HK88888A (en) 198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6238A (en)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 elements onto a garment
KR860000619Y1 (ko) 1조의 파스너 요소들을 의류 직물에 부착하는 장치
US4715636A (en) Gripper including an exchangeable gripping jaw
JPH0324035B2 (ko)
GB2303927A (en) Pluck-resistance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snap members
DE19983008D2 (de) Vorrichtung zum Klettern
JPS5951811B2 (ja) フアスナ−用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ダ−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CN109540653B (zh) 一种检测设备及其自动调节闭合夹子
EP0648443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ttached state of slide fastener stop boxes, and stop boxes attac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US5359755A (en) Garment security clip
US4962875A (en) Parts applying apparatus
KR880012185A (ko) 상지구 자동 부착장치 및 그 방법
FI74394C (fi) Slutskedesmaskin foer dragkedjor.
CN218418704U (zh) 一种夹具分带式拉链穿头机
US2293614A (en) Fastener member and fastener installation
CN217487750U (zh) 适用于砸扣机自动识别四合扣logo方向的定位装置
CA1303558C (en) Punch assembly
JPH02212033A (ja) 固着具位置決め装置
US2934032A (en) Methods for holding buttons for sewing and holding means therefor
CN115530494A (zh) 一种夹具分带式拉链穿头机
EP019214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button parts from a chute
JP3616137B2 (ja) スナップ釦の構造
JPS6241934Y2 (ko)
JP3779396B2 (ja) 刺繍枠の取付構造
KR890005823Y1 (ko) 카세트의 손잡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