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344B1 - 의류용 단추 - Google Patents

의류용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344B1
KR100665344B1 KR1020060017119A KR20060017119A KR100665344B1 KR 100665344 B1 KR100665344 B1 KR 100665344B1 KR 1020060017119 A KR1020060017119 A KR 1020060017119A KR 20060017119 A KR20060017119 A KR 20060017119A KR 100665344 B1 KR100665344 B1 KR 10066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ing
lower unit
uni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예
Original Assignee
송영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예 filed Critical 송영예
Priority to KR102006001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38Clamping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이 강한 의류에 사용될 수 있는 의류용 단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 유닛과 일단이 상기 하부 유닛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에 인입된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으로부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링에 의하여 하부 유닛과 상부 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단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이 강한 의류에 사용될 수 있는 견고한 단추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추, 의류, 스프링, 신축성, 견고

Description

의류용 단추 {Button For Clothes}
도 1은 종래의 의류용 단추가 부착된 의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가 부착된 의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X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의류 본체 200: 부착부
300: 제 1 고리 500: 제 2 고리
600: 단추용 부재 700: 상부 유닛
800: 하부 유닛 900: 링
본 발명은 의류용 단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리하고 견고하게 잠글 수 있기 때문에 신축성이 강한 의류의 단추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의류용 단추에 관한 것이다.
의류용 단추는 많은 종류가 있고, 의류 각각의 형태와 특징에 맞게 적절한 단추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 종래의 뜨개질에 의하여 생산된 옷이나 신축성이 강한 옷은 그 특성상 스냅 단추를 사용하면 단추가 잠긴 상태에서 열기 위하여 당길 경우 신축성 때문에 늘어나기만 하고 열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신축성이 강한 의류 본체(10)의 전면 좌우에 수직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부착부(20, 26)를 형성하고, 상기 의류 본체(10)를 기준으로 할 때 좌측 부착부(20)에는 우측 방향으로 제 1 고리(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리(30)의 선단에는 길이가 긴 원기둥 형상의 단추용 부재(40)의 중앙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부착부(26)에는 좌측 방향으로 제 2 고리(5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고리(50)는 단추용 부재(40)가 쉽게 인입되도록 소정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류용 단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착부(20, 26)는 신축성이 강한 의류 본체(10)에 상기 제 1 고리(30)와 제 2 고리(50)를 직접 부착한 경우보다 접촉부가 넓게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 1 고리(30)와 제 2 고리(50)를 직접 의류 본체(10)에 연결하고 단추를 잠그기 위해서 제 1 고리(30)와 제 2 고리(50)를 잡아당길 경우에 의류 본체(10) 중 상기 제 1 고리(30)와 제 2 고리(50)에 직접 연결된 부분만 집중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의류 본체(10)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리(30)는 단추용 부재(40)와 좌측 부착부(2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단추용 부재(40)가 좌측 부착부(20)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추용 부재(40)가 상기 제 2 고리(50) 내부로 인입되기 쉽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길이가 긴 원기둥 형상의 상기 단추용 부재(40)는 상기 제 2 고리(50)에 인입된 후에 단추용 부재(40)의 형상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류용 단추는 옷을 입고 단추를 잠글 때 상기 단추용 부재(40)의 일단부터 상기 제 2 고리(50)에 인입된다. 인입된 단추용 부재(40)는 그 중앙부와 제 1 고리(30)의 연결부에 제 2 고리(50)의 선단이 걸리게 된 상태로 단추를 잠근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류용 단추는 상기 제 2 고리(50)의 크기가 원기둥 형상의 단추용 부재(40)가 제 2 고리(50)에 인입 또는 인출하는데 필요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옷을 입는 사람이 자신의 체형보다 옷을 크게 입거나 넉넉하게 입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단추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단추용 부재(40)가 빠져서 단추가 풀리는 단점이 있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고리(50)의 크기를 작게 하면 단추용 부재(40)가 제 2 고리(50)로 쉽게 인입 인출되지 않아 단추를 쉽게 잠그고 풀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신축성이 강한 의류의 단추로 사용되기 적합하도록 쉽고 견고하게 잠을 수 있고 잠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의류용 단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유닛과 일단이 상기 하부 유닛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에 인입된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으로부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링에 의하여 하부 유닛과 상부 유닛이 연결되는 의류용 단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 유닛의 타단에 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유닛 내부로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상부 유닛이 상기 링에 인입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유닛의 일단에 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누를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 상단에 받침부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의 작용을 탄성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가 부착된 의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는 도 2와 같이, 의류 본체(100)의 전면 좌우에 수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부(200, 260)가 형성되고, 상기 의류 본체(100)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좌측 부착부(200)에는 제 1 고리(300)가 연결되고, 상기 우측 부착부(260)에는 제 2 고리(500)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리(500)에는 단추용 부재(60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단추용 부재(600)가 제 1 고리(30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단추용 부재(600)가 제 1 고리(3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단추용 부재(60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의류용 단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X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단추용 부재(600)는 하부 유닛(800)과, 일단이 상기 하부 유닛(8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부 유닛(700)과, 상기 하부 유닛(800)에 인입된 링(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유닛(800)의 타단에는 구멍(810)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810)에는 우측 부착부(260)의 제 2 고리(500)가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유닛(800)의 일단에는 상기 상부 유닛(700)의 일단과 하부 유닛(800)의 일단이 연결되는 힌지축(8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닛(800)의 일단 내부로 하우징(850)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850)의 내부에는 작은 원기둥 형상의 받침부(83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830)의 하단에 탄성 부재인 스프링(84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820)에 의하여 상기 하부 유닛(80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상기 상부 유닛(700) 일단의 형상은 중앙으로 단턱지며, 그 단턱진 일단의 끝부분은 누름부(7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유닛(700)의 타단의 형상은 하부 유닛(800)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링(900)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링(900)의 폭(c)의 길이는 하부 유닛(800) 중앙의 두께(a) 및 상부 유닛(700) 타단의 두께(d)보다는 크고 하부 유닛(800) 일단의 두께(b)보다는 작다.
도 7과 같이 하부 유닛(800)의 일단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850)은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누름부(710)는 상부 유닛(700)이 힌지축(820)을 중심으로 하부 유닛(800)의 반대 방향으로 최대한 회동한 상태에서도 상기 받침부(830)가 상기 하우징(850)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830)의 상단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의류용 단추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추를 끼우기 전의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6은 이를 좀더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하부 유닛(800)에 인입된 상기 링(900)에 상부 유닛(700)의 타단이 인입되어 단추용 부재(600)는 잠긴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유닛 (700)의 누름부(710)에 의하여 받침부(830)가 하방으로 내려가 있고 스프링(840)은 압축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링(900)에 인입된 상부 유닛(700)은 소정의 탄성력이 부가되어 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가지고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링(900)은 상기 상부 유닛(700)의 타단과 하부 유닛(800)의 중앙을 팽팽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단추가 잠긴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도 6의 상부 유닛(700)을 눌러 상기 스프링(840)을 더욱 압축시키고, 이에 따라 상부 유닛(700)의 타단과 링(900)과 공간이 생기면 링(900)을 하부 유닛(800)의 구멍(8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유닛(700)을 링(900)으로부터 인출시킨다. 인출된 상부 유닛(700)은 도 5와 같이 하부 유닛(800)으로부터 힌지축(82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며, 스프링(840)은 탄성력에 의해 신장하고 받침부(830)도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850)의 상단에서 상기 누름부(710)에 의하여 멈추게 된다. 이때, 도 5의 좌측 부착부(200)의 제 1 고리(300)에 상기 상부 유닛(700)의 타단을 인입하고, 상부 유닛(700)을 하방으로 회동한 후 링(900)에 의하여 하부 유닛(800)과 상부 유닛(700)의 타단을 연결하면 도 4와 같은 단추를 잠근 상태가 된다.
상기 링(900)의 내부 폭(c)의 길이는 하부 유닛(800) 중앙의 두께(a)보다는 크지만, 하부 유닛(800) 일단의 두께(b)보다 작고, 구멍(810)에 인입된 채로 유지되는 제 2 고리(500)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링(900)은 하부 유닛(800)에서 인출될 수 없고 하부 유닛(800)의 중앙에서만 이동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추를 쉽게 잠그거나 열 수 있고 잠긴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축성이 강한 의류의 단추로서 더욱 편리하고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부 유닛과;
    일단이 상기 하부 유닛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상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에 인입된 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으로부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링에 의하여 하부 유닛과 상부 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단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의 타단에 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단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 내부로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상부 유닛이 상기 링에 인입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단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의 일단에 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단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상단에 받침부가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의 작용을 탄성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단추.
KR1020060017119A 2006-02-22 2006-02-22 의류용 단추 KR10066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19A KR100665344B1 (ko) 2006-02-22 2006-02-22 의류용 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19A KR100665344B1 (ko) 2006-02-22 2006-02-22 의류용 단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344B1 true KR100665344B1 (ko) 2007-01-09

Family

ID=3786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119A KR100665344B1 (ko) 2006-02-22 2006-02-22 의류용 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3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416A (en) 1985-09-30 1987-09-08 Nifco Inc. Hook device for ornamental button on seat cover
JPH0380059A (ja) * 1989-08-22 1991-04-04 Ajinomoto Co Inc ふりかけの製造法
KR920003931Y1 (ko) * 1990-04-12 1992-06-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격납식 코트 걸이
JPH09228114A (ja) * 1996-02-14 1997-09-02 Masami Tanaka ボタンとボタンホールに色彩を施した子供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416A (en) 1985-09-30 1987-09-08 Nifco Inc. Hook device for ornamental button on seat cover
JPH0380059A (ja) * 1989-08-22 1991-04-04 Ajinomoto Co Inc ふりかけの製造法
KR920003931Y1 (ko) * 1990-04-12 1992-06-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격납식 코트 걸이
JPH09228114A (ja) * 1996-02-14 1997-09-02 Masami Tanaka ボタンとボタンホールに色彩を施した子供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27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가변형 케이스
JP3197829U (ja) 接続用ファスナー
JP2018533678A5 (ko)
KR100665344B1 (ko) 의류용 단추
US9226625B1 (en) Washing system
US2418410A (en) Fastening device
US4129998A (en) Earring
CN110710761B (zh) 具有可移除帽的按扣组件
KR20120003696U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CN209769234U (zh) 可穿戴设备及其可穿戴设备连接结构
US2074643A (en) Device for holding ornaments, illumination devices, and so forth
US20100212121A1 (en) Fastening tool
KR200444016Y1 (ko) 실리콘 단추
KR200468401Y1 (ko) 집게장식 귀걸이
KR100875500B1 (ko) 택 단추
KR101027897B1 (ko) 장신구 고정용 옷핀
KR101557827B1 (ko) 탈착식 단추조립체
CN208957518U (zh) 一体式被角固定器
JP2016043109A (ja) 耳用装身具
JP2020180403A (ja) 衣服用ベルト
CN210076747U (zh) 四合扣用旋转型母扣
KR200369510Y1 (ko)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JP3135957U (ja) 装身具
KR200418356Y1 (ko) 티셔츠
JP2019017958A (ja) 装身具用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