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988B1 - 싱싱카 승용완구 - Google Patents

싱싱카 승용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988B1
KR100603988B1 KR1020060029573A KR20060029573A KR100603988B1 KR 100603988 B1 KR100603988 B1 KR 100603988B1 KR 1020060029573 A KR1020060029573 A KR 1020060029573A KR 20060029573 A KR20060029573 A KR 20060029573A KR 100603988 B1 KR100603988 B1 KR 10060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tube
connecting frame
shaft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772A (ko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햇님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햇님토이 filed Critical (주)햇님토이
Priority to KR102006002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9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05F11/16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shifting the wing by pivotally-connected members (mov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싱카 승용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앞바퀴가 설치되는 수평축관에 수직으로 상향 설치되는 핸들축을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설치하고, 핸들축에는 발판이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을 설치하며, 연결프레임의 후방에는 럭비공 형태의 뒷바퀴를 설치함으로서, 핸들을 포함한 발판과 뒷바퀴가 탑승자가 목적하는 바대로 좌우로 회동하여 승용완구에 탑승한 사용자가 좌우로 몸을 기울이면서 스릴있게 승용완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에 앞바퀴(6)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수평축관(9)의 중앙 상부에는 힌지축관(10)이 수평축관(9)과 교차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관(10)에는 좌우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면에 힌지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 힌지브라켓트(11)가 힌지축관(10)의 전후면과 상부를 커버토록 외삽되게 설치되고, 힌지브라켓트(11)의 전후방과 힌지축관(10)에는 힌지축(1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힌지브라켓트(11)의 상부에는 상부에 핸들(5)이 수평 설치된 핸들축(7)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힌지브라켓트(11) 상측의 핸들축(7) 외측에는 후방에 연결프레임(3)을 설치한 핸들축관(1)이 회전 자유롭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의 상부에는 발판(2)이 설치되며, 연결프레임(3)의 후방단부에는 "U"자형 뒷바퀴지지대(13)가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뒷바퀴지지대(13)의 개구된 후방에는 럭비공 형태의 뒷바퀴(4)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싱싱카, 승용완구, 회동, 힌지, 럭비공, 힌지브라켓트, 힌지축관

Description

싱싱카 승용완구{Kick board for a child}
도 1은 종래의 싱싱카 승용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싱카 승용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축관 2 : 발판 3 : 연결프레임
4 : 뒷바퀴 5 : 핸들 6 : 앞바퀴
7 : 핸들축 8 : 싱싱카 승용완구 9 : 수평축관
10 : 힌지축관 11 : 힌지브라켓트 12 : 힌지축
13 : 뒷바퀴지지대
본 발명은 싱싱카 승용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앞바퀴가 설치되는 수평축관에 수직으로 상향 설치되는 핸들축을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설치하고, 핸들축에는 발판이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을 설치하며, 연결프레임의 후방에는 럭비공 형태의 뒷바퀴를 설치함으로서, 핸들을 포함한 발판과 뒷바퀴가 탑승자가 목적하는 바대로 좌우로 회동하여 승용완구에 탑승한 사용자가 좌우로 몸을 기울이면서 스릴있게 승용완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싱싱카 승용완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에 핸들축관(1)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후방 상면에 발판(2)이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의 후방에는 뒷바퀴(4)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축관(1)에는 상측에 핸들(5)이 수평 설치되고 하방에 앞바퀴(6)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핸들축(7)이 좌우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싱싱카 승용완구는 사용자가 핸들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한 쪽 발은 발판(2)을 딛으며 타측 발로서 지면를 밀어서 싱싱카 승용완구(8)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싱싱카 승용완구(8)가 주행하게 되면 타측발을 지면에서 떼어 싱싱카 승용완구(8)가 자유로운 주행이 되도록 하며, 주행 중에 핸들(5)을 돌려서 목적하는 방향으로 주행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싱싱카 승용완구(8)는 앞뒤바퀴(6,4)가 지면과 수직하게 접촉하고 핸들축(7)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발판(2)은 항상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싱싱카 승용완구(8) 자체는 좌우로 기울여질 수 없는 구조로 되어서 탑승자는 항상 지면과 수직한 자세로 싱싱카 승용완구(8)를 즐겨야 했으며, 주행중 싱싱카 승용완구(8)를 포함한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과도하게 외측으로 기울여지게 되면 넘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싱싱카 승용완구(8)의 탑승자는 항상 지면과 수직한 자세로 싱싱카 승용완구(8)를 즐겨야 하므로 싱싱카 승용완구(8)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앞뒤바퀴는 모두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탑승하는 발판과 핸들 및 핸들축이 좌우로 기울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싱싱카 승용완구의 탑승자가 넘어지지 않으면서도 몸을 좌우로 기울이면서 싱싱카 승용완구를 탈 수 있어서 스릴있게 싱싱카 승용완구를 탈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앞바퀴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수평축관의 중앙 상부에는 힌지축관이 수평축관과 교차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관에는 좌우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면에 힌지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 힌지브라켓트가 힌지축관의 전후면과 상부를 커버토록 외삽되게 설치되고, 힌지브라켓트의 전후방과 힌지축관에는 힌지축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힌지브라켓트의 상부에는 상부에 핸들이 수평 설치된 핸들축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힌지브라켓트 상측의 핸들축 외측에는 후방에 연결프레임을 설치한 핸들축관이 회전 자유롭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는 발판이 설치되며, 연결프레임의 후방단부에는 "U"자형 뒷바퀴지지대가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뒷바퀴지지대의 개구된 후방에는 럭비공 형태의 뒷바퀴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싱싱카 승용완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싱싱카 승용완구는, 양측에 앞바퀴(6)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수평축관(9)의 중앙 상부에는 힌지축관(10)이 수평축관(9)과 교차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관(10)에는 좌우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면에 힌지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 힌지브라켓트(11)가 힌지축관(10)의 전후면과 상부를 커버토록 외삽되게 설치되고, 힌지브라켓트(11)의 전후방과 힌지축관(10)에는 힌지축(12)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좌우측과 하부가 개방된 힌지브라켓트(11)가 힌지축관(10)의 외측에 힌지축(12)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힌지브라켓트(11)가 도 3 및 도 5와 같이 좌우로 각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트(11)의 상부에는 상부에 핸들(5)이 수평 설치된 핸들축(7)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힌지브라켓트(11) 상측의 핸들축(7) 외측에는 후방에 연결프레임(3)을 설치한 핸들축관(1)이 회전 자유롭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의 상부에는 발판(2)이 설치되며, 연결프레임(3)의 후방단부에는 "U"자형 뒷바퀴지지대(13)가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뒷바퀴지지대(13)의 개구된 후방에는 럭비공 형태의 뒷바퀴(4)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14"는 힌지축관(10)을 수평축관(9)에 용접 설치한 용접결합부이고, "15"는 앞바퀴(6)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앞바퀴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싱싱카 승용완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측 핸들(5)을 두 손으로 잡고 한쪽 발은 발판(2)을 딛고 올라 선 상태에서 타측 발로 지면을 밀게 되면, 타측 발로 미는 힘에 의해 3개의 앞뒤바퀴(6,4)가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 싱싱카 승용완구(8)가 전방측으로 밀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발구름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싱싱카 승용완구(8)의 주행을 계속되게 되며, 이때 싱싱카 승용완구(8)를 기울이면서 타고 싶을 경우에는 기울이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5)을 기울이면, 핸들축(7)의 하단부가 수평축관(9)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힌지브라켓트(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힌지브라켓트(11)는 힌지축관(10)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축(7)을 포함한 핸들축관(1)이 기울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축(7)을 포함한 핸들축관(1)이 기울여지게 되면, 핸들축관(1)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연결프레임(3)과, 연결프레임(3)에 설치된 발판(2)과 뒷바퀴지지대(13)와, 뒷바퀴지지대(13)에 설치된 뒷바퀴(4)까지 핸들축(7) 및 핸들축관(1)이 힌지식으로 경사지게 기울여지는 것과 동일하게 기울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앞바퀴(6)가 설치된 수평축관(9)만 수평상태에 있으면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는 기울여진 상태로 주행을 할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에 설치된 2개의 앞바퀴(6)와 후방에 설치된 1개의 뒷바퀴(4)가 모두 지면에 접촉하고 있음에 따라 넘어지지 않으면서 싱싱카 승용완구(8)를 탈 수 있으며, 상기 뒷바퀴 (4)가 기울여지면서도 뒷바퀴(4)가 안정적으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은 뒷바퀴(4)가 럭비공과 같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싱싱카 승용완구(8)가 주향할 때 핸들(5)을 좌우로 기울이는 대로 수평축관(9)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기울여지고 그 상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몸도 싱싱카 승용완구(8)가 기울여지는 방향으로 함께 기울여짐에 따라 스릴있게 싱싱카 승용완구(8)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좌우로 기울여지는 기능이 있는 상태에서 주행방향을 선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5)을 선회하려는 방향으로 돌리면, 핸들축(7)의 하단부에 설치된 힌지브라켓트(11)가 핸들(5)을 돌리는 방향과 동일하게 같이 돌아감에 따라 수평축관(9)도 함께 돌게 되어 싱싱카 승용완구(8)의 주행방향을 선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싱싱카 승용완구(8)은 직선방향으로의 주행 및 곡선방향으로의 주행이 모두 가능하고, 위와 같이 직선주행과 곡선주행시 모두 싱싱카 승용완구(8)을 기울이면서 탈 수 있어 탑승자에게 흥미로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싱싱카 승용완구는, 앞뒤바퀴는 모두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탑승하는 발판과 핸들 및 핸들축이 좌우로 기울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싱싱카 승용완구의 탑승자가 넘어지지 않으면서도 몸을 좌우로 기울이면서 싱싱카 승용완구를 탈 수 있어서 스릴있게 싱싱카 승용완구를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측에 앞바퀴(6)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수평축관(9)의 중앙 상부에는 힌지축관(10)이 수평축관(9)과 교차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관(10)에는 좌우측과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면에 힌지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 힌지브라켓트(11)가 힌지축관(10)의 전후면과 상부를 커버토록 외삽되게 설치되고, 힌지브라켓트(11)의 전후방과 힌지축관(10)에는 힌지축(1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힌지브라켓트(11)의 상부에는 상부에 핸들(5)이 수평 설치된 핸들축(7)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힌지브라켓트(11) 상측의 핸들축(7) 외측에는 후방에 연결프레임(3)을 설치한 핸들축관(1)이 회전 자유롭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의 상부에는 발판(2)이 설치되며, 연결프레임(3)의 후방단부에는 "U"자형 뒷바퀴지지대(13)가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뒷바퀴지지대(13)의 개구된 후방에는 럭비공 형태의 뒷바퀴(4)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싱카 승용완구.
KR1020060029573A 2006-03-31 2006-03-31 싱싱카 승용완구 KR10060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573A KR100603988B1 (ko) 2006-03-31 2006-03-31 싱싱카 승용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573A KR100603988B1 (ko) 2006-03-31 2006-03-31 싱싱카 승용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772A KR20060033772A (ko) 2006-04-19
KR100603988B1 true KR100603988B1 (ko) 2006-07-25

Family

ID=3714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573A KR100603988B1 (ko) 2006-03-31 2006-03-31 싱싱카 승용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9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037U (ko) * 1989-11-20 1991-07-23
JPH0374559U (ko) * 1989-11-22 1991-07-26
US6286843B1 (en) 2000-09-05 2001-09-11 Su-Yu Lin Steering mechanism of handle-controlled skate board
US6299186B1 (en) 2000-04-28 2001-10-09 Chuan-Fu Kao Antishock structure of scooter
US6382646B1 (en) 2001-01-24 2002-05-07 Athony Shaw Kick scooter steering control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037U (ko) * 1989-11-20 1991-07-23
JPH0374559U (ko) * 1989-11-22 1991-07-26
US6299186B1 (en) 2000-04-28 2001-10-09 Chuan-Fu Kao Antishock structure of scooter
US6286843B1 (en) 2000-09-05 2001-09-11 Su-Yu Lin Steering mechanism of handle-controlled skate board
US6382646B1 (en) 2001-01-24 2002-05-07 Athony Shaw Kick scooter steering control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772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399U (ja) 立ち乗り電動車
US7416197B2 (en) Personal recreational vehicle with rotatable seat
KR20020042572A (ko)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JP2002325878A (ja) 三輪スケータ
KR100603988B1 (ko) 싱싱카 승용완구
JP5323839B2 (ja) 拡張足置き台を有する側方移動推進スクーター装置
AU755973B2 (en) Ride-on vehicle with a free-floating wheel
TWI731621B (zh) 助行器
KR100832068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JP3103657U (ja) キックボード
JP3141911U (ja) 子供用乗物の荷台の取付け構造
KR100823934B1 (ko)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JP3136074U (ja) 乗用遊戯具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KR100987701B1 (ko) 자전거형 시소 보드
KR20120013809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KR200365734Y1 (ko) 방향표시기가 구비된 유아용 킥보드
KR200398740Y1 (ko) 스윙케스터 트라이커
KR200328318Y1 (ko) 삼륜 이송보드
JP3102457U (ja) キックボード
KR200192214Y1 (ko) 근거리 이동용 기구
KR200192210Y1 (ko) 제동수단을 갖는 롤러보드
KR101530769B1 (ko) 트라이크
CN113184093A (zh) 具有侧倾机构的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