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004B1 - 화상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004B1
KR100603004B1 KR1020040104731A KR20040104731A KR100603004B1 KR 100603004 B1 KR100603004 B1 KR 100603004B1 KR 1020040104731 A KR1020040104731 A KR 1020040104731A KR 20040104731 A KR20040104731 A KR 20040104731A KR 100603004 B1 KR100603004 B1 KR 10060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recording medium
unreadable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983A (ko
Inventor
사키무라타케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8Deletion of stored data; Preventing such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화상 기록 및 재생장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회로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가 상기 기록 및 재생회로에 의해 판독 불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회로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판정회로가 판정하면,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존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 기록포맷, 메모리 관리, 플래시 메모리, 삭제통지

Description

화상기록장치{IMAGE RECOR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기록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기록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기록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털 카메라 2 : 촬영 광학계
3 : 렌즈 4 : 촬영소자
5 : CDS/AGC 블록 6 : A/D 변환기
7, 10 : 신호처리기 8 : V-드라이브
9 : 타이밍 발생기 11 : 데이터 버스
12 : CPU 버스 16 : 사용자 인터페이스
17 : 디스플레이 제어기 20 : 액정 모니터
21 : 통지부 22 : 삭제 통지부
본 발명은 촬영한 화상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이 필름 상에 기록되는 필름 카메라와 달리,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 편집 및 통신이 용이하여 폭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로 하여금 필름의 현상을 기다리지 않고, 촬영한 화상을 곧바로 보고, 촬영한 장면의 화상을 삭제하거나 그 장면을 다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화상은, 휴대성을 고려하여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컴팩트 플래시)와 같은 착탈식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화상을 갖는 기록매체는 분리되어 운반될 수 있으므로, 촬영된 화상을 다른 정보기기 상에서 브라우저(browse)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11-259506호에 개시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와 같은 착탈식 기록매체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화 상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기기 사이에서 교환될 수도 있는, 텍스트 데이터 및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데이터와 같은 다른 기록포맷을 갖는 데이터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화상 기록포맷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판독될 수 없는 기록포맷 데이터를 갖는 기록매체가 디지털 카메라에 삽입될 수도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텍스트 데이터 및 스프레드시트 데이터와 같은 기록포맷 데이터는 화상으로 판독될 수 없는 기록포맷 데이터의 영역인 것으로 무시된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불편하게 된다. 메모리 카드의 기록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인식될 수 없는 데이터로 점유되어 있으므로, 원래 규정된 기록 용량에 상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분량이 기록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촬영을 위해 2MB의 착탈식 기록매체를 가지고 갈 때, 이 기록매체가 1MB의 화상 이외의 데이터를 이미 저장하고 있으면, 사용자는 1MB 분량의 화상 데이터만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이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이면, 사용자는 이전에 촬영된 화상이 존재함을 알게 되고, 그 화상 데이터를 검사한 후,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여 신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원하는 영역에 할당한다. 그러나, 상기 저장된 데이터가 화상 이외의 데이터이면,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의 형식이나,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2MB를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예기치 못한 작은 데이터 기록용량 즉,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1MB에 불과한 것에 곤란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화상 이외의 데이터가 존재함을 추측하여 알게 된다. 그러나, 다른 원인으로 이와 같이 기록 가능한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작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기록 가능한 화상 데이터의 작은 용량에 대한 원인을 명확하게 판정할 수 없다.
또 다른 문제는, 화상으로서 판독이 불가능한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인식될 수 없으므로,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갖는 기록매체가 초기화되면, 상기 데이터가 우연히 삭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위에서 언급한 문헌은 디지털 카메라의 재생모드 중에 데이터 파괴, 프레임 부정합, 또는 표시 가능한 크기 이외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지만, 카메라로 인식할 수 없는 포맷의 데이터는 전혀 다루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화상 이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존재와,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화상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존재와,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고,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화상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하나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국면에 따르면,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기록 및 재생부에 의해 판독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을 갖는 것으로 상기 판정부가 판정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존재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의 하나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국면에 따르면,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부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기록 및 재생부에 의해 판독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것으로 상기 판정부가 판정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의 촬영,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에서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인식하여,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가 작은 이유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정보기기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화상 이외의 기록포맷으로 된 중요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우연히 삭제하는 것이 방지 된다.
촬영모드에서,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함을 알게 되어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가 0(zero)이면, 사용자는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를 인식하여,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가 화상기록장치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를 초기화할 경우,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매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면,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록매체에서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의 파일명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파일별로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가 선택되고 삭제되게 하여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기록매체에서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량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잔존하는 화상 용량을 인식할 수 있고,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록매체에서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량에 상응하는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추측에 의해 인식할 수 있고,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조정할 수 있다.
화상의 촬영,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에서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될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서의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존재와,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상세한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사용자는 기록매체의 잔존하는 데이터 용량이 작은 이유를 판정할 수 있다. 삭제 통지부는 잔존하는 데이터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판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될 경우,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예상된 용량보다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이 더 작은 이유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정보기기에 의해 기록된 화상 이외의 기록포맷을 사용자가 우연히 사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기록장치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화면과,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선택화면이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부착된 모니터에 표시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는 렌즈(3) 및 전하결합소자(CCD : Charge-Coupled Device) 등의 촬영소자(4)를 갖는 촬영 광학계(2)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는 상관 이중 샘플링(CDS : Correlated Double Sampling)/자동 이득 제어(AGC : Automatic Gain Control) 블록(5),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6), 신호처리기 7, CCD(4)를 구동하는 V-드라이브(8), 타이밍 발생기(TG : Timing Generator)(9), 신호처리기 10, 데이터 버스(11), 중앙처리부(CPU : Central Processing Unit) 버스(12), 판독전용 메모리(ROM)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13) 및, CPU(14)를 더 포함한다. 컴팩트 플래시(CF : Compact Flash)(등록상표)와 같은 메모리 카드(15)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조작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와, 비디오 랜덤 액세스 메모리(VRAM)(18)를 갖는 디스플레이 제어기(17)와,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19)와, 액정 모니터(20)를 포함한다.
이하, 디지털 카메라(1)의 촬영 및 표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동작은, 휘발성 메모리(19)의 프로그램 메모리 상에, 메모리 카드(15) 또는 비휘발성 메모 리(13)로부터 로드한 알고리즘을 갖는 소프트웨어(제어 프로그램)를 CPU(14) 상에서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촬영 광학계(2)의 렌즈(3)에 의해 CCD(4)에 초점이 맞추어진 화상은 CDS/AGC 블록(5)에 공급되어 전기신호의 진폭 및 이득을 조정한다. 그 다음, A/D 변환기(6)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 발생하는 디지털 신호가 신호처리기(7)에 의해 화상의 색 좌표값으로 변환된다. 상기 색 좌표값은 Y-C 좌표값 또는 RGB 좌표값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처리기(7)는 CCD(4)의 촬영된 화소 수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화소 클록에 동기시켜서 출력한다. 도 1에서, 신호처리기(7)는 제어선 상에서 화소 클록을 출력하고, 데이터선 상에서 상기 촬영 광학계(2)로부터 얻어진 실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기(7)는 제어선 상에서 상기 CCD(4)의 촬영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기(7)는 촬영 영역에서 1라인이 시작될 때마다 수평 동기신호 HD를 출력하고, 촬영 영역의 1필드 걸러 한번씩 수직 동기신호 VD를 출력한다.
촬영 광학계(2)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대해 색변환을 수행하여 얻어진 신호는 신호처리기(7)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출력된 다음, 신호처리기(10)에 입력된다. 신호처리기(10)는 휘발성 메모리(19)에서의 데이터 읽기 및 쓰기와, 메모리 카드(15)에서의 데이터 읽기 및 쓰기와, 디스플레이 제어기(17)의 구동과, 액정 모니터(20)의 화상표시 데이터의 VRAM(18)으로의 쓰기와, CPU(14)로부터의 신호의 변환과, 제어신호의 촬영 광학계(2)로의 송신과, 화상 데이터의 디지 털 카메라(1) 외부로의 송신을 제어한다. 신호처리기(10)에 의해 발생된 화상 데이터는 JPEG 화상포맷에 따라 압축되어 기록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그 다음, 이 기록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15)에 써넣어 기록된다.
촬영 도중의 프리뷰(preview)를 위해 또는 재생 동작 도중에 화상을 액정 모니터(20)에 표시하기 위하여, 데이터 버스(11)를 통해 화상 데이터가 VRAM(18)에 써넣어지고, CPU 버스(12)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기(17)가 구동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7)는 VRAM(18)의 데이터가 액정 모니터(20) 상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촬영 또는 재생모드가 설정되고, 액정 모니터(20)는 온(ON) 또는 오프(OFF)되며, 메모리 카드(15)는 삽입 또는 제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을 촬영, 기록 및 재생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1)는 통지부(21)와 삭제 통지부(22)를 더 포함한다. 이하, 모드가 촬영모드로 변경될 때의 통지부(21) 및 삭제 통지부(22)의 동작과,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촬영모드인 디지털 카메라(101)의 배면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모드 표시화면(102), 모드 다이얼(103), 셔터 버튼(104), 광학 파인더(105), 스크롤 버튼(106), 메뉴 버튼(107), 설정 버튼(108) 및, 액정 모니터(109)를 포함한다. 모든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6)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조작부를 이용하여 입력된다. 모드 다이얼(103)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작모드는 예를 들어, 자동, 수동, AV-우선, TV-우 선, 인물, 스포츠, 야경 및 스티치(stitch) 등의 촬영모드와, 재생모드와, 전원 온/오프 모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CF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110)는 디지털 카메라(101)에 삽입된다. 메모리 카드(110)가 디지털 카메라(101)에 삽입되어 디지털 카메라(101)가 전원 온(ON) 상태로 될 때까지 메모리 카드(110)에 기록된 데이터는 액세스할 수 없다. 아래에 설명된 동작은 메모리 카드(110)가 디지털 카메라(101)에 삽입된 것을 전제로 수행된다. 메모리 카드(110)는 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jpg인 JPEG파일 즉, "aaa.jpg", "bbb.jpg", "ccc.jpg" 등의 복수의 화상 기록포맷 파일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110)는 예를 들어, 22KB 실행 파일 "xxx.exe", 18KB 스프레드시트 파일 "yyy.xls", 5KB 텍스트 파일 "zzz.txt" 등의 화상 이외의 다른 파일을 포함한다. 화상 이외의 파일은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다른 정보기기에 메모리 카드(11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 카드(110)에 기록되었다. 화상 이외의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101)에 탑재된 표준 파일 시스템에 의해 인식될 수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101)가 표시를 지원하는 툴, 예를 들어, 스프레드시트 툴이나 편집 툴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재생모드에서 화상 이외의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거나 화상 영역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xxx.exe", "yyy.xls" 및 "zzz.txt" 파일의 존재를 알 수 없고, 디지털 카메라(101) 상에서 "xxx.exe", "yyy.xls" 및 "zzz.txt"의 파일 형식을 인식할 수 없다. 화상을 촬영할 때, 디지털 카메라(101)는 기록매체(110)의 잔존 용량의 양에 의거하여 예측되는 잔존 촬영매수를 산출하고, 상기 예측된 촬영매 수를 모드 표시화면(102)에 표시하지만, 그 촬영매수는 규정된 촬영매수보다 더 작은 화상 이외의 데이터량이다.
사용자가 소정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카드(110)를 삽입하여 그 용량에 상응하는 촬영매수를 촬영하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예측된 촬영매수보다 더 작은 촬영매수만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상외로 적은 촬영매수가 기록 가능한 이유를 명확하게 알지 못한다.
화상 이외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알지 못하는 사용자가 기록매체(110)를 초기화할 경우, 중요한 데이터조차 우연히 삭제될 수 있다.
이 문제는 제1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통지부(21)와 삭제 통지부(22)의 동작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 동작은, 휘발성 메모리(19)의 프로그램 메모리 상에, 메모리 카드(15)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로부터 로드한 알고리즘을 갖는 소프트웨어(제어 프로그램)를 CPU(14) 상에서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3은 제1실시예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01)의 모드가 촬영모드로 변경되면(단계 S201), 디지털 카메라(101)에 탑재된 파일 시스템이 기동된다(단계 S202). 파일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110)를 검색하여(단계 S203), JPEG 이외의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S204). JPEG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101)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재생모드에서 액정 모니터(109) 상에 화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JPEG 이외의 데이터는 표시될 수 없다.
이하,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표준 화상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표준 포맷은 DCF, exif 등을 포함한다.
exif 포맷은 파일 취급에 관한 것이고, 파일이 기록 및 재생되는 착탈식 메모리의 위치를 지정한다. exif 포맷은 여러 카메라 사이의 화상 파일의 교환과, 카메라로부터 프린터로의 화상 파일의 직접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JPEG 및 TIFF 포맷과 같은 화상 표맷의 속성 정보는 화상 정보와 함께 부가된다. 상기 속성 정보는 아래의 태그 정보를 갖는 ID 보조 정보와, 견본 화상을 포함한다.
(1) exif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버전 태그
(2) Y, Cb 및 Cr이나, R, G 및 B와 같은 색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특성 태그
(3) 화소당 압축 비트(예를 들어, 화소 x 치수, 화소 y 치수 등), 보관 모드(압축 또는 비압축), 화소수 등을 나타내는 구성 태그
(4) 매도인 알림글, 사용자 의견 등을 나타내는 사용자 태그
(5) 관련 오디오 파일 등을 나타내는 관련 파일 태그
(6) 화상 데이터 생성 날짜 및 시간, 디지털 데이터 생성 날짜 및 시간 등을 나타내는 날짜 및 시간 태그
(7) 노출 시간, F수, 민감도, 셔터 속도, 개구값, 초점 거리, 플래시와 거리계측계와 광도계와 같은 촬영 조건, 또는 다른 촬영 파라미터 정보를 나타내는 촬영 조건 태그
도 2에서, CF 카드(110)에 기록된 "aaa.jpg", "bbb.jpg", "ccc.jpg" 등의 파일은 JPEG 데이터이므로, 판독 및 표시될 수 있는 반면, "xxx.exe", "yyy.xls" 및 "zzz.txt" 파일은 JPEG 이외의 데이터이므로, 판독 또는 표시될 수 없다. 통지부(21)는 개별적인 JPEG 이외의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를 취득하여, JPEG 이외의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 크기를 산출한다(단계 S205). JPEG 이외의 데이터가 CF 카드(110)에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디지털 카메라(101)는 촬영모드에서 대기하고, EVF(electric viewfinder : 전기 뷰파인더) 표시가 액정 모니터(109) 상에 제공된다(단계 S210).
예를 들어, "xxx.exe", "yyy.xls" 및 "zzz.txt"는 22KB, 18KB 및 5KB를 각각 가지며, 45KB의 전체 데이터 크기가 산출된다(단계 S205). 통지부(21)는 상기 전체 데이터 크기를 액정 모니터(109) 상에 표시한다(단계 S206). 따라서,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110)에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된다.
삭제 통지부(22)가 기동되어 액정 모니터(109) 상에, JPEG 이외의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선택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207). 따라서,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으로 된 중요한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촬영을 계속할 수 있다. 단계 S208에서 사용자가 데이터의 삭제를 선택하면,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삭제된다(단계 S209). 단계 S208에서 사용자가 삭제를 선택하지 않으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촬영모드로 대기하고, 액정 모니터(109) 상에 EVF 표시가 제공된다(단계 S210).
그러므로, 디지털 카메라(101)는 사용자로 하여금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의 존재와,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 크기를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JPEG만이 판독 가능한 화상 기록포맷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예이며, 견본 화상으로 사용하기 위한 TIFF(tagged image file format)와, 다른 화상 기록포맷(예를 들어,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BMP(bitmap), 등)도 판독 가능한 화상 기록포맷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기록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가 디지털 카메라에 삽입되면, 기록매체에서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파일명을 나타내는 화면과,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선택화면이 디지털 카메라에 부착된 모니터 상에 보여진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전원 온(ON) 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2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및 동작은, 통지부(21) 및 삭제 통지부(22)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와 대략 동일하다.
도 4a는 메모리 카드(110)가 삽입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배면도이다. 도 4a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의 차이는 액정 모니터(109)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CF 카드(110)에 저장된 파일은, 파일명과, 이들 파일의 데이터 용량과, 그 생성 날짜 및 시간과 함께 화면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것은 CF 카드(110)에 저장된 파일의 상세한 내용을 사용자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5는 제2실시예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이 온(ON) 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101)에 메모리 카드(110)가 삽입되면(단계 S401), 디지털 카메라(101)에 탑재된 파일 시스템이 기동된다(단계 S402). 파일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110)를 검색하여(단계 S403), JPEG 이외의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S404). JPEG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101)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재생모드에서 액정 모니터(109) 상에 화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JPEG 이외의 데이터는 표시될 수 없다. 도 4a에서, CF 카드(110)에 기록된 "aaa.jpg", "bbb.jpg", "ccc.jpg" 등의 파일은 JPEG 데이터이므로, 판독 및 표시될 수 있는 반면, "xxx.exe", "yyy.xls" 및 "zzz.txt" 파일은 JPEG 이외의 데이터이므로, 판독 및 표시될 수 없다. 우선, 통지부(21)는 액정 모니터(109) 상에, 도 4a에 도시된 방식으로, JPEG 이외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다음으로, 삭제 통지부(22)가 기동되어 JPEG 이외의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 는 선택화면을 액정 모니터(109) 상에 표시한다(단계 S405). 따라서,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110)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JPEG 이외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처리가 종료된다(단계 S410).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으로 된 중요한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촬영을 계속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사용자가 데이터의 삭제를 선택하면, 통지부(21)는 파일명의 리스트와, 관련된 삭제대상 파일명을 검사 및 선택하기 위한 검사박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삭제 통지부(22)는 "확인" 및 "취소"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407). 스크롤(scroll) 버튼(106)을 조작함으로써 파일은 화면 상에서 스크롤되고, 각 파일은 강조 표시된다. 파일을 강조 표시하면서 설정 버튼(108)을 누르면, 이 파일명이 선택된다. 도 4a에서는, "yyy.xls" 파일이 강조 표시되어 선택된다. 스크롤 버튼(106)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마지막 파일로 스크롤되고, 아래쪽으로 더 누르면, "확인" 버튼으로 이동하며, 그 다음에 "취소" 버튼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확인" 또는 "취소" 버튼에 의해 설정 버튼(108)이 설정된다(단계 S408). "확인" 즉, 삭제가 선택되면, 선택된 파일명과 관련된 데이터가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삭제된다(단계 S409). "취소"가 선택되면, 즉, 삭제가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 S406에서 선택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또한, 단계 S406에서 "취소"가 선택되면, 처리가 종료된다(단계 S410).
그러므로, 기록매체가 디지털 카메라(101)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판독 불가 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101) 상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101) 상에서 파일명을 보면서,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여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단순히 예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카메라(101)의 모드가 촬영모드로 변경되거나, 기록매체가 디지털 카메라(101)에 삽입되면,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모드에서 잔존하는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가 0(zero)이거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의 삭제가 선택되거나, 기록매체가 초기화될 때, 상기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통지부(21)가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 크기와 파일명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다른 데이터 속성 정보, 예를 들어, 전체 데이터 크기에 상응하는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가 표시될 수도 있다. 통지부(21)와 삭제 통지부(22)는 결합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인 것으로 현재 간주되는 것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취지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도록 하여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등가의 구성과 기능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의 촬영,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에서는,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를 인식하여,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가 작은 이유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정보기기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화상 이외의 기록포맷으로 된 중요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우연히 삭제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8)

  1.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록 및 재생수단에 의해 판독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을 갖는 것으로 상기 판정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데이터의 존재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기록장치가 촬영모드이면,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잔존하는 양이 0이면,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 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화상기록장치에 삽입되면,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초기화되면,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될 경우,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량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량에 상응하는 추정에 의한 기록 가능한 촬영매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0.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록 및 재생수단에 의해 판독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판정수단이 판정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확인정보를 통지하는 삭제 통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촬영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삭제 통지수단은, 상기 화상기록장치가 촬영모드일 때,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 맷 데이터의 삭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통지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잔존하는 양이 0일 때,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삭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통지수단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화상기록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삭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기록매체가 초기화될 때,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삭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통지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될 때,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에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삭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7.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존재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며, 화상을 촬영,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8.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의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판독 불가능한 기록포맷 데이터의 삭제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며, 화상을 촬영,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 록매체.
KR1020040104731A 2003-12-12 2004-12-13 화상기록장치 KR100603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4061A JP2005175983A (ja) 2003-12-12 2003-12-12 画像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JPJP-P-2003-00414061 2003-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983A KR20050058983A (ko) 2005-06-17
KR100603004B1 true KR100603004B1 (ko) 2006-07-24

Family

ID=3458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731A KR100603004B1 (ko) 2003-12-12 2004-12-13 화상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28320A1 (ko)
EP (1) EP1553767A3 (ko)
JP (1) JP2005175983A (ko)
KR (1) KR100603004B1 (ko)
CN (1) CN10041651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694A (ja) * 2007-04-19 2008-11-06 Hitachi Ltd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8669611B2 (en) 2012-07-11 2014-03-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MOS transistor
US9130060B2 (en) 2012-07-11 2015-09-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 having a vertical power MOS transis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35A (ja) 1996-04-17 1998-01-06 Hitachi Ltd ディジタル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2000324368A (ja) 1999-05-06 2000-11-24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1043B2 (ja) * 1992-02-19 2002-01-2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6549650B1 (en) * 1996-09-11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ing of image obtained by multi-eye camera
JP3658144B2 (ja) * 1997-06-13 2005-06-0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11259506A (ja) * 1998-03-11 1999-09-2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281174B2 (ja) * 1999-09-24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装置、データ記録再生方法、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録再生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プログラム提供媒体
JP3510829B2 (ja) * 1999-12-14 2004-03-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JP4123327B2 (ja) * 2000-11-28 2008-07-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機能付きカメラ
JP3495709B2 (ja) * 2001-01-12 2004-02-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35A (ja) 1996-04-17 1998-01-06 Hitachi Ltd ディジタル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2000324368A (ja) 1999-05-06 2000-11-24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3767A2 (en) 2005-07-13
CN100416514C (zh) 2008-09-03
EP1553767A3 (en) 2008-01-16
JP2005175983A (ja) 2005-06-30
CN1627795A (zh) 2005-06-15
US20050128320A1 (en) 2005-06-16
KR20050058983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15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135109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JP4032780B2 (ja) 撮像記録装置
JP2004032690A (ja) 動画ビデオセグメントを獲得及びアーカイブするシステム
US20090002522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searching method
KR20090003119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4546347B2 (ja) 画像保存装置、画像保存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603004B1 (ko) 화상기록장치
US6825950B1 (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printing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826480B2 (ja) 撮像装置、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6496A (ja) 画像記録表示システム
JP2005175957A (ja) 画像管理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管理方法
JP4860495B2 (ja) 撮像装置
JP4792529B2 (ja) 画像再生装置
KR100987774B1 (ko) 영상 모드 정보를 저장 및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영상모드 정보의 저장 및 재생 방법
JP2010288160A (ja) メタデータ付与方法、メタデータ付与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831472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消去動作制御装置
JP2006146730A (ja) 画像検索装置、及び画像検索方法と画像検索装置
JP5094089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2152557A (ja) 電子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327423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7166140A (ja) 手ぶれ画像管理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および周辺装置
JP2002300511A (ja) 電子カメラ及び電子カメラの記録方法
JP2004229244A (ja) 画像再生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15072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