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466B1 - 전기 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466B1
KR100602466B1 KR1020017000840A KR20017000840A KR100602466B1 KR 100602466 B1 KR100602466 B1 KR 100602466B1 KR 1020017000840 A KR1020017000840 A KR 1020017000840A KR 20017000840 A KR20017000840 A KR 20017000840A KR 100602466 B1 KR100602466 B1 KR 10060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aver
housing part
removable frame
lock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580A (ko
Inventor
아이히호른라인홀트
하름스미하엘
호텐로트세바스찬
융크피터
오데머마하엘
슈퇴르켈옌스
울프위르겐
Original Assignee
브라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라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5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8Complete cutting head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며, 이 하우징은 하우징 파트(G)와, 수평 방향의 평면(E)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커터 요소(S)를 구비하여 적어도 2개의 잠금 장치(R1, R2; R3, R4)에 의해 상기 하우징 파트(G)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는 착탈식 프레임(WR)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장치(R1, R2; R3, R4)는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에 마련된 안착면(20, 21)에 의해, 그리고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잠금력(FR)을 발휘하는 잠금 요소(18, 19)의 안착면(80, 9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파트(G)에 대한 착탈식 프레임(WR)의 유지 기능 및 무진동 위치 조정 기능은 상기 잠금 장치(R1, R2; R3, R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면도기{ELECTRIC RAZOR}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전기 면도기는 DE 33 02 610 A1 공보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하우징 파트에 배치된 착탈식 프레임은 하우징의 리지(ledge)의 플랜지에 의해 안치되고, 오목부에 맞물리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확동 맞물림 잠금 장치에 의해 하우징과 결합되며, 이 잠금 장치는 가동 커터 요소의 2개의 작동 방향으로 작용한다.
착탈식 프레임의 유지를 위해 마련된 하우징 파트는 전기 면도기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DE 33 02 610 A1 공보 참조), 또한 하우징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즉 하우징의 구성 요소로 될 수 있다(DE 44 10 543 C1 공보의 도 10 참조).
전기 면도기의 하우징 파트와 착탈식 프레임 사이의 확동 결합부(positive couplings)는 착탈식 프레임의 무진동 안착을 보장할 목적으로 연동하는 확동 맞물림 요소의 상대 운동없는 맞물림, 즉 공차없는 확동 맞물림을 필요로 한다. 공차없는 확동 맞물림은 제조 비용의 증가에 의해 획득 가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마찰 또는 연동하는 확동 맞물림 요소의 변형으로 인하여 규정 시간 이상의 마모를 쉽게 겪으며,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커터 요소가 장착된 착탈식 프레임의 진동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고자 하는 소망하는 효과가 배척된다.
DE 196 32 333 C1 공보에 의해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전기 면도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전기 면도기의 경우 하우징 파트에서 착탈식 프레임의 무마모 안착이 신뢰성 있게 보장되지만, 이러한 공지된 전기 면도기의 경우 하우징 파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압력 요소와 같은 추가의 수단이 제공되며, 이 압력 요소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작용되어 하우징 파트에 마련된 정지부에 대해 착탈식 프레임을 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하우징 파트에 대한 착탈식 프레임의 무진동 고정을 전제로 하여 하우징 파트에 대한 착탈식 프레임의 착탈식 고정을 단순화하고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하우징 파트와, 하나 이상의 커터 요소와, 상기 커터 요소를 구비하고 2개 이상의 잠금 장치에 의해 상기 하우징 파트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는 착탈식 프레임을 포함하며,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착탈식 프레임에 마련된 안착면과 상기 하우징 파트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착탈식 프레임에 대해 잠금력을 발휘하는 잠금 요소의 말단부에 형성된 안착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상기 안착면은 각각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착탈식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부의 안쪽을 향하는 주벽면(principal wall surface)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는 상기 커터 요소를 향하고 있으며, 가상면(imaginary surface)이 상기 주벽면의 주요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상기 안착면의 측면 길이 치수는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가상면 상에 투영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벽면을 따라 경사져 있으며, 결합된 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잠금 장치는, 제1 방향으로는 유지력 성분을 가하고, 상기 하우징 파트 상으로 상기 착탈식 프레임을 가압시키는 제2 방향으로는 위치 조정력 성분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장점은 하우징 파트에 대해 착탈식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존의 잠금 장치가 하우징 파트에 대해 착탈식 프레임을 신뢰성 있게 무진동 안착시키기 위해 이용되며, 그 결과 추가의 비용을 발생시키는 구성 요소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요소의 잠금력이 잠금 요소의 안착면 및 착탈식 프레임의 안착면을 공간적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위치 조정력 성분과 유지력 성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다른 태양에서는, 착탈식 프레임의 무진동 위치 조정이 착탈식 프레임의 안착면에 대한 위치 조정력 성분의 작용 하에서 하우징 파트의 정지부와 착탈식 프레임의 맞물림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배열 관계의 현저한 장점은 선행 기술로부터 발생하며(DE 196 32 333 C1 공보 참조), 잠금 요소에 존재하는 안착면 및 착탈식 프레임에 마련된 안착면이 다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필요할 뿐이며, 게다가 전체 안착면의 공간 정렬이 잠금 요소의 잠금력을 유지력 성분 뿐만 아니라 공통의 방향으로 지시하는 위치 조정력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단지 잠금 요소 및 착탈식 프레임에 대한 사출 주형의 개량만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순전히 형상 설계에 관한 문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부는 하우징 파트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하우징 파트의 기존 벽을 무진동 안착을 위한 착탈식 프레임의 지지부 및 안착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다. 잠금 요소의 안착면 및 착탈식 프레임의 안착면에서 뿐만 아니라, 착탈식 프레임 및 정지부의 연동면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마모도 잠금 요소의 잠금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보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정지부는 하우징 파트의 내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이 내면은 하우징 파트의 단부 벽의 구성 요소이다. 이 실시예의 실질적인 장점은 이 구성 요소가 하우징 파트의 단부 벽과 같이 기존의 구성 요소를 추가의 새로운 기능의 수행을 위해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위치 조정력이 가동 커터 요소의 진동 방향 가운데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만 효력을 발생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것은 잠금 요소의 안착면에 대응하는 윤곽에 의해 착탈식 프레임이 어떤 방식으로든지 하우징 파트에 안착 가능하면서도 하우징 파트와 잠금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력 성분은 하우징 파트로부터 착탈식 프레임의 철수 방향과 반대로 효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안착면이 착탈식 프레임의 각각의 길이 방향 측벽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안착면이 공통의 원점에서 출발하여 x축, y축 및 z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정지부와 관련하여 착탈식 프레임의 길이 방향 측벽에 마련된 모든 안착면이 공통의 원점에 대하여 x, y 및 z 좌표축에서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적합하려면,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착면이 잠금 요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안착면이 잠금 요소에 제공된다. 마지막에 언급된 실시예의 태양에 있어서, 이들 안착면은 서로에 대해 쐐기 모양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실질적인 장점은 착탈식 프레임의 어떤 안착 방향을 고려할 필요없이 착탈식 프레임이 하우징 파트에 안착되어 하우징 파트에 마련된 정지부를 무진동 방식으로 계속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 파트와 함께 잠금 요소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요소에 대한 안착면의 정렬은 실질적으로 착탈식 프레임에 대한 안착면의 정렬에 적합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추가의 태양에서, 잠금 요소의 안착면의 형상은 연동하는 안착면의 맞물림이 선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으로 착탈식 프레임의 안착면에 맞춰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잠금 요소의 안착면의 착탈식 프레임의 안착면에 대한 맞물림은 점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파트에 배치된 잠금 요소가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2개의 잠금 요소에 작용하도록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시될 것이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하우징 상에 배치된, 커터 요소를 갖춘 착탈식 프레임 및 하우징 파트를 구비한 면도용 헤드를 가진 전기 면도기의 전면도이며,
도 2는 하우징 파트와 잠금 위치에 있는 착탈식 프레임을 갖춘 면도용 헤드가 상부에 배치된 전기 면도기의 하우징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착탈식 프레임 없이 하우징 파트가 상부에 배치된 전기 면도기의 하우징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잠금 위치에 있고 길이 방향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면을 가진 착탈식 프레임 및 상부에 배치된 하우징 파트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착탈식 프레임에 마련된 안착면 및 잠금 요소의 영역에서 하우징 파트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착탈식 프레임의 단부 벽 및 길이 방향 측벽의 단면도로서, 착탈식 프레임과 잠금 요소의 연동하는 안착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7a, 7b는 안착면의 윤곽을 포함하여, 착탈식 프레임의 길이 방향 측벽 상에 형성된 안착면 및 이 안착면의 윤곽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개략도이며,
도 7d는 안착면이 상부에 형성된 착탈식 프레임의 길이 방향 측벽과, 이 착탈식 프레임의 길이 방향 측벽의 안착면에 작용하는 안착면을 가진 잠금 요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8은 서로에 대해 쐐기 모양으로 연장하는 안착면을 가진 잠금 요소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잠금 요소의 서로에 대해 쐐기 모양으로 연장하는 안착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착탈식 프레임의 바아의 내부의 사시도로서, 안착면 및 단부 벽의 절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하우징(1)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TR)를 보여주며, 그 하우징의 전면 패널에는 작동 스위치(2)와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 트리머 유닛(TS)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1)의 바닥 벽에는 전력 공급선에 접속시키기 위한 소켓(3)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 상에는 면도용 헤드가 제공되며, 이 헤드의 하우징 파트(G)에서는 착탈식 프레임(WR)이 적어도 하나의 커터 요소(S)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면도용 헤드의 하우징 파트(G)는 2개의 지지 요소(4, 5)와 결합된다. 이 지지 요소(4, 5)는 하우징 파트(G)와 함께 화살표(P)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기 위해 하우징(1) 내에 장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요소(4, 5)는 하우징(1) 내에 또는 상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는 하우징(1)의 상부를 보여주며, 이 하우징의 상측면(6)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요소(4, 5) 및 하우징(1) 내에 배치된 전기 구동 기구(A)의 구동 핀(10)의 통과를 위해 다수의 오프닝(7, 8, 9)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핀(10)은 커플링 요소(11)의 홈(12)과 맞물려서 화살표(P)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구동 운동을 커플링 요소(K)를 경유하여 하우징 파트(G)에 진동 가능하게 배치된 커터 요소(S)로 전달한다(도 3 참조). 하우징 파트(G)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단부 벽(13, 14) 및 이들 단부 벽을 지지하는 하우징 중간부(15)으로 구성된다. 이들 2개의 단부 벽(13, 14) 사이에는 착탈식 프레임(WR)이 잠금 장치(R)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착탈식 프레임(WR)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 요소(S) 및/또는 연동하는 2개의 커터 요소로 구성된 커터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 커터 요소(S)의 진동 방향-화살표(P)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잠금 요소(18, 19)에 의해 발휘될 수 있는 잠금력은 수평 방향{(+)x}으로 효력을 발생하는 위치 조정력 성분(FS)이 하우징 파트(G)에 마련된 정지부(AG)에 대하여 착탈식 프레임(WR)을 가압시킬 수 있고, 하우징(1)에 대해 하향으로 수직 방향{(-)y}으로 효력을 발생하는 유지력 성분(FU)은 잠금 요소(18, 19)에 의해 하우징 파트(G)에 착탈식 프레임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착탈식 프레임(WR)에 마련된 안착면(20, 21) 및 잠금 요소(19, 19)에 마련된 안착면(80, 90)의 공간 정렬에 의해 위치 조정력 성분(FS) 및 유지력 성분(FU)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면도용 헤드의 하우징 파트(G)는 피봇 축선(Z-Z)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4, 5)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지지 요소(4, 5)는 단부 벽(13, 14)의 내부로 돌출해서, 피봇 축선(Z-Z)의 영역에서 피봇 베어링(도시 생략)에 의한 면도용 헤드의 진동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면도용 헤드의 하우징 파트(G)는 전기 면도기의 하우징(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의 구성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도시 생략). 지지 요소(4, 5)는 하우징(1)에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화살표(P)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 파트(G)에는 2개의 작동 푸시 버튼(16, 17)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버튼은 잠금 장치(R)에 작용함으로써 착탈식 프레임(WR)이 잠금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 파트(G)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착탈식 프레임(WR)이 분리되어 있는 하우징(1)의 상부를 보여주며, 이에 의해 면도용 헤드의 추가의 구성 요소 및 하우징 파트(G)에서 이의 배열 상태가 확인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중심부(15)에서는, 각각의 잠금 요소(18, 19)가 단부 벽(13, 14)에 인접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내면(36, 37)을 가진 2개의 단부 벽(13, 14) 사이에는 하부 커터(22)로서 형성된 커터 요소(S)가 커플링 요소(K) 상에 배열된다. 커터 요소(S)를 구비한 커플링 요소(K)는 하우징 중심부(15)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구동 핀(10)의 구동 운동을 위해 커플링 요소(11)에 결합된다. 잠금 요소(18, 19) 각각에는 안착면(80) 및 안착면(9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안착면(80, 90)은 서로를 향해 쐐기 모양으로 연장하고, 잠금 요소(18, 19)의 단부에 제공된다.
도 4는 하우징 파트(G)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착탈식 프레임(WR)이 화살표(E) 방향으로 표시된 철수 방향으로 분리되는, 하우징(1)의 상부를 보여준다. 이 착탈식 프레임(WR)은 길이 방향-화살표(P)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바아(32, 33), 이들 바아(32, 33)를 연결하는 단부 벽(34, 35)(도 5 참조), 이들 바아(32, 33) 및 단부 벽(34, 35) 사이에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커터(25)로 구성된다. 단부 벽(13, 14)의 내면(36, 37) 및 단부 벽(34, 35)의 외면(38, 39)은 전기 면도기(TR)의 수직 방향 중심 축선(V)에 대해 쐐기 모양으로 연장하며, 이 경우 하우징 중심부(15)의 영역에서 단부 벽(13, 14)의 상대적 거리가 상부 커터(25)의 높이에서 단부 벽(13, 14)의 상대적 거리 보다 더 작다. 이러한 모양은 착탈식 프레임(WR)이 하우징 파트(G)와 잠금된 상태에서 단부 벽(34, 35)이 단부 벽(13, 14)의 내면(36, 37)에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한다는 결과에 이른다.
작동 푸시 버튼(16, 17)이 작동하면, 착탈식 프레임(WR)의 잠금 해제가 일어난다. 이 위치에서 도시된 착탈식 프레임(WR)의 경우, 잠금 요소(18, 19)는 가령, 도 4에 은선(隱線)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프레임(WR)의 바아(32, 33)에 마련된 안착면(20, 21)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도 5는 하우징 파트(G)에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 요소(18, 19) 및 이들의 관련 안착면(20)의 영역에서 하우징 파트(G) 및 착탈식 프레임(WR)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착탈식 프레임(WR)은 짧은 수염 커터 유닛(KHS) 및 긴 수염 커터 유닛(LHS) 각각의 상부 커터(25)를 수용한다. 착탈식 프레임(WR)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아(32, 33)에는 각각의 잠금 요소(18)와 맞물리는 각각의 경사진 안착면(20)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잠금 요소(18) 사이에는 스프링 요소(52)가 안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하우징 파트(G)의 길이 방향 측벽(53, 54)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잠금 요소(18)가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착탈식 프레임(WR)이 하우징 파트(G)로부터 화살표(E)로 표시된 철수 방향으로 분리된 후에는, 안착면(20, 21)의 경사면은 하우징 파트(G)로부터 돌출한 잠금 요소(18, 19)의 안착면(80, 90)에 소정 압력을 발휘하며, 스프링 요소(52)의 압력을 받는 반대 방향으로 잠금 요소(18, 19)를 하우징 파트(G)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게다가 바아(32, 33)의 안착면(20, 21)이 설치된 모든 잠금 요소(18, 19)를 통과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스프링 요소(52)에 의해 2개의 잠금 요소(18)에 발휘되는 스프링력은 잠금 요소(18)에 마련된 안착면(90)을 경유하여 착탈식 프레임(WR)의 바아(32, 33)에 마련된 경사진 안착면(20)에 잠금력(FR)으로서 작용한다. 잠금력(FR)의 수평 작용 방향에 대해 예정된 각도(β)로 연장하는 안착면(20)에 의해, 잠금력(FR)은 이 안착면에 작용하는 잠금 요소(18)의 안착면(90)을 경유하여 화살표(E)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대응하는 유지력 성분(FU)으로 전환되며(도 2 참조), 이에 의해 착탈식 프레임(WR)은 하우징 파트(G)에서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이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작용되고, 착탈식 프레임에 마련된 안착면(21)에 작용하는 잠금 요소(19)의 잠금 영역에 존재한다.
도 6은 잠금 요소(18)가 스프링 요소(52)에 의해 작용되는, 도 5의 단면선 A-A를 따라 취한 착탈식 프레임의 일부분을 보여준다. 스프링 요소(52)에 의해 2개의 잠금 요소(18)에 발휘되는 스프링력은 잠금 요소(18)에 마련된 안착면(90)을 경유하여 착탈식 프레임(WR)의 바아(32, 33)에 마련된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면(20)에 잠금력(FR)으로서 작용한다. 잠금력(FR)의 수평 작용 방향에 대해 예정된 각도(α)로 연장하는 안착면(20)에 의해, 잠금력(FR)은 이 안착면에 작용하는 잠금 요소(18)의 안착면(90)을 경유하여 대응하는 위치 조정력 성분(FS)으로 전환되며, 이에 의해 착탈식 프레임(WR)은 화살표(P) 방향 가운데 방향(P1)으로 하우징 파트(G)에서 정지부(AG)에 반발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착탈식 프레임(WR)의 외면(38)은 하우징 파트(G)의 단부 벽(14)의 내면(36)에 의해 형성된 정지부(AG)에 안치된다.
도 7, 7a, 7b, 7c 및 7d에는, 예컨대 착탈식 프레임(WR)의 바아(33)가 안착면(20, 21)의 경사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착면(20, 21)이 상대적으로 넓은 상대 간격으로 바아(33)의 내면에 돌출부(110, 111)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며(도 2 참조), 이 경우 안착면(20, 21)은 돌출부(11)를 착탈식 프레임(WR)에 마련된 모든 안착면(20, 21)에 대한 대체물로서 이용하여 좌표계를 참조로 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7a에 도시된 x축은 착탈식 프레임(WR)의 바아(33)의 길이 방향으로, 즉 하부 커터(22)의 진동 방향(P)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도 3 참조). y축은 x축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잠금 요소(19)의 맞접촉에 특징이 있는 접촉선(100)을 가진 안착면(21)은 좌표의 원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예정된 각도(
Figure 112004027799169-pct00001
)로 x축에 대해 경사지게, 그리고 y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며, 이에 의해 위치 조정력 성분(FS)은 (+)x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도 6 참조).
도 7b에는 y축 및 이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z축이 좌표의 원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안착면(21)의 경사 과정을 도시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이 z축은 잠금력(FR)의 작용 방향을 표시한다. 안착면(21)은 예정된 각도(β)로 z축에 대해 경사지게, 그리고 y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며, 이에 의해 유지력 성분(FU)이 (-)y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7c는 평면도로서 안착면(20, 21) 및 접촉선(100)을 가진 돌출부(110, 111), 그리고 바아(33)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돌출부(110, 111)가 상면에 형성되고 이 돌출부에 안착면(20, 21)이 이 마련된 착탈식 프레임(WR)의 바아(3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7d는 도 7 내지 도 7c의 돌출부(110, 111)가 상면에 형성된 바아(33) 뿐만 아니라 안착면(80, 90)에 의해 접촉선(100)과 맞접촉하고 있는 잠금 요소(18, 19)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하우징 중심부(15)에 탄성적으로 배열된 잠금 요소(18, 19)(도 3 및 도 5 참조)는 그 일측 단부에 안착면(80, 90)을 구비할 수 있다. 착탈식 프레임(WR)을 양쪽으로 설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잠금 요소(18, 19) 각각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80) 및 안착면(90)이 마련되어 있다. 안착면(80, 90)은 도 9의 좌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에 대해 예정된 각도(
Figure 112004027799169-pct00002
)로 쐐기 모양으로 연장한다. 안착면(80, 90)이 매우 좁게 구성되어 있어서 돌출부(110, 111)의 안착면(20, 21)과 맞접촉하는 경우, 이들 안착면(20, 21, 80, 90) 사이에는 도시된 접촉선(100)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선접촉이 발생한다..
도 10은 예컨대 착탈식 프레임(WR)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안착면(20, 21)을 가진 돌출부(110, 111)가 상면에 형성된 바아(33) 및 이 바아(33)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 벽(34, 35)을 도시하며, 안착면(20, 21)의 모양을 드러내기 위해 단부 벽의 절반만을 보여준다. 도 5, 6 및 7-7d을 참조로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18, 19)에 의해 발휘되는 잠금력(FR)의 유지력 성분(FU) 및 위치 조정력 성분(FS)으로의 전환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도 10은 안착면(21)과 관련한 좌표계에서 안착면(20, 21, 80, 90)의 공간 정렬에 대응하는 모든 공간 좌표축(x, y, z) 및 각도(β, α)를 보여주며, 이 경우 공간 좌표의 원점은 접촉선(100)의 중간에서 선택된 접촉점에 의해 결정된다. 이 도면과 도 4의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바아(32, 33)의 모든 안착면(20, 21)은 (+)x 방향으로 제공되는 위치 조정력 성분(FS)을 생성하기 위해 x 및 y 좌표축에 대하여 각도(
Figure 112004027799169-pct00003
)로 상승할 필요가 있고, 이 위치 조정력 성분은 착탈식 프레임(WR)을 하우징 파트(G)에 마련된 정지부(AG)에 반발하는 상태로 이동시키며, 이에 의해 정지부(AG)를 무진동으로 유지시킨다.

Claims (18)

  1. 하우징 파트(G)와, 하나 이상의 커터 요소(S)와, 상기 커터 요소(S)를 수용하고 2개 이상의 잠금 장치(R1, R2; R3, R4)에 의해 상기 하우징 파트(G)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는 착탈식 프레임(WR)을 포함하며,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잠금 장치(R1, R2; R3, R4)는, 착탈식 프레임(WR)에 마련된 안착면(20, 21)과, 상기 하우징 파트(G)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에 대해 잠금력(FR)을 발휘하는 잠금 요소(18, 19)의 말단부에 형성된 안착면(80, 90)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상기 안착면은 각각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착탈식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부의 안쪽을 향하는 주벽면(principal wall surface)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는 상기 커터 요소를 향하고 있으며,
    가상면(imaginary surface)이 상기 주벽면의 주요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착탈식 프레임의 상기 안착면의 측면 길이방향 치수는,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가상면 상에 투영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벽면을 따라 경사져 있으며,
    각각의 상기 잠금 장치(R1, R2; R3, R4)는 그 결합된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는 유지력 성분(FU)을 가하고, 상기 하우징 파트 상으로 상기 착탈식 프레임을 가압시키는 제2 방향으로는 위치 조정력 성분(FS)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18, 19)의 잠금력(FR)은 상기 잠금 요소의 안착면(80, 90) 및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의 안착면(20, 21)의 공간상의 정렬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력 성분(FS) 및 상기 유지력 성분(FU)으로 분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이 상기 하우징 파트(G)에 형성된 정지부(AG)에 맞물리도록 상기 위치 조정력 성분(FU)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의 무진동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AG)는 상기 하우징 파트(G)의 내면(36, 3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파트(G)의 내면(36, 37)은 상기 하우징 파트(G)의 단부 벽(13, 1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력 성분(FS)은 상기 커터 요소(S)의 진동 방향(화살표(P) 방향) 중 하나의 방향(P1 또는 P2)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력 성분(FU)은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의 철수 방향(화살표(E)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효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에 마련된 2개의 안착면(20, 21)은 상기 하우징 파트(G)의 길이 방향 측벽(53, 54)에 각각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공통의 원점에서 출발하여 x축에 대해 경사지게, 그리고 y축 및 z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AG)를 기준으로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에 마련된 안착면(20, 21)은 원점에 대하여 x 및 y 좌표축 뿐만 아니라 y 및 z 좌표축에서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18, 19) 상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면(80, 9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18, 19)에는 2개의 안착면(80, 9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80, 90)은 서로에 대해 쐐기 모양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18, 19)에 대한 안착면(80, 90)의 정렬은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에 대한 안착면(20, 21)의 정렬과 조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18, 19)의 안착면(80, 90)과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의 안착면(20, 21)과의 정렬은 접촉선(100)을 따라 선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18, 19)의 안착면(80, 90)과 상기 착탈식 프레임(WR)의 안착면(20, 21)과의 정렬은 점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파트(G)에 배치된 잠금 요소(18, 19)는 스프링 요소(52)에 의해 작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8. 제14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2개의 잠금 요소(18, 19)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KR1020017000840A 1998-07-20 1999-06-26 전기 면도기 KR100602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2473.1 1998-07-20
DE19832473A DE19832473C1 (de) 1998-07-20 1998-07-20 Trockenrasierappar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580A KR20010053580A (ko) 2001-06-25
KR100602466B1 true KR100602466B1 (ko) 2006-07-19

Family

ID=787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840A KR100602466B1 (ko) 1998-07-20 1999-06-26 전기 면도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415513B1 (ko)
EP (1) EP1098739B1 (ko)
JP (1) JP4316142B2 (ko)
KR (1) KR100602466B1 (ko)
CN (1) CN1112985C (ko)
AT (1) ATE217239T1 (ko)
AU (1) AU4778599A (ko)
DE (2) DE19832473C1 (ko)
WO (1) WO2000005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2473C1 (de) * 1998-07-20 2000-03-30 Braun Gmbh Trockenrasierapparat
KR100563481B1 (ko) * 2002-06-17 2006-03-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CN100393487C (zh) * 2003-07-04 2008-06-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带有可绕枢轴转动安装的剃削头的剃削设备
GB0416534D0 (en) * 2004-07-23 2004-08-25 Gillette Man Inc A cutter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GB2417007B (en) * 2004-08-13 2009-03-11 Gillette Co Razors
US20060143924A1 (en) * 2004-12-30 2006-07-06 Rovcal, Inc. Electric shaver
KR200396685Y1 (ko) * 2005-06-21 2005-09-26 오태준 이단걸림 외도대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CL2008001727A1 (es) * 2007-06-12 2010-02-05 Gillette Co Maquina de afeitar que comprende un mango con un extremo proximal y otro distal, un cuello de adaptador unido de manera pivotante al extremo proximal del mango, una bomba unida a un canal alimentador, una horquilla de conexion a un cartucho y un cartucho para maquina de afeitar.
CN101687328B (zh) * 2007-06-12 2013-03-13 吉列公司 可手动致动的液体分配剃刀
US20090320293A1 (en) * 2008-03-19 2009-12-31 Sean Peter Clarke Manually Actuable Liquid Dispensing Razor With Degradable Shaving Aid
EP3300845B1 (en) * 2016-09-28 2019-10-23 Braun GmbH Shaver coupling and electrical shaver with coupling
EP3300861B1 (en) 2016-09-28 2019-07-03 Braun GmbH Electrically driven device
EP3995271A1 (en) * 2020-11-05 2022-05-11 Braun GmbH Head of a personal care device and personal ca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1754A (en) * 1961-01-09 1963-11-26 Sperry Rand Corp Cutter unit attachment and ejectment means for electric dry shaver
DE1963233C3 (de) * 1969-12-17 1974-08-08 Wolf Dipl.-Ing. 7441 Zizishausen Nagel Steuereinrichtung zum Honen von Bohrungen mit einer inneren Begrenzung
US4292737A (en) 1978-12-11 1981-10-06 The Gillette Company Dry shaver with differentially biased inner cutter and base members
DE3302610C2 (de) * 1983-01-27 1986-03-27 Braun Ag, 6000 Frankfurt Scherkopf für Trockenrasierapparate
DE3415122C2 (de) * 1984-04-21 1986-03-06 Braun Ag, 6000 Frankfurt Trockenrasierapparat mit einschiebbarem Hilfsrahmen
DE4128218C1 (ko) 1991-08-26 1992-08-06 Braun Ag, 6000 Frankfurt, De
US5611145A (en) * 1991-12-20 1997-03-18 Wetzel; Matthias Dry-shaving apparatus
DE4410543C1 (de) * 1994-03-26 1994-12-22 Braun Ag Trockenrasierapparat mit Obermesser-Rahmenverriegelung
CN1065808C (zh) * 1995-02-23 2001-05-16 松下电工株式会社 带有皮肤绷紧器的干式剃须刀
DE19727095C2 (de) * 1996-06-25 2000-08-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ktrischer Rasierapparat
DE19632333C1 (de) * 1996-08-10 1997-06-05 Braun Ag Trockenrasierapparat
DE19832473C1 (de) * 1998-07-20 2000-03-30 Braun Gmbh Trockenrasierappa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15513B1 (en) 2002-07-09
JP2002521104A (ja) 2002-07-16
EP1098739B1 (de) 2002-05-08
EP1098739A1 (de) 2001-05-16
CN1112985C (zh) 2003-07-02
US6560875B1 (en) 2003-05-13
CN1308571A (zh) 2001-08-15
KR20010053580A (ko) 2001-06-25
WO2000005040A1 (de) 2000-02-03
DE19832473C1 (de) 2000-03-30
DE59901406D1 (de) 2002-06-13
JP4316142B2 (ja) 2009-08-19
ATE217239T1 (de) 2002-05-15
US20020020066A1 (en) 2002-02-21
AU4778599A (en) 200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66B1 (ko) 전기 면도기
MX2007015651A (es) Dispositivo de la cerradura de herramienta para una llave de chaveta.
US6205666B1 (en) Dry shaving apparatus
US5542179A (en) Dry shaving apparatus with outer cutter frame locking means
KR950031491A (ko) 프레스 브레이크용 상형공구와, 상형 공구 홀더 장치 및 상형 공구를 지지하는 방법
CN1175496A (zh) 剃须系统
EP3085578B1 (en) Headrest
EP0951970B1 (en) Reciprocating type electric shaver
EP1403011A1 (en) An electric shaver
KR20010053579A (ko) 전기 면도기
US5245754A (en) Dry shaving apparatus
EP0481959A2 (en) Adjustable shoulder belt anchor mechanism
JP4706485B2 (ja) Dinレール取付け構造
CN111199839B (zh) 电气开关
JPH0513239Y2 (ko)
JP4378913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S6344395B2 (ko)
JP3113413B2 (ja) 電気かみそり
JP2001001080A (ja) 金型の取付構造
CN113879191A (zh) 一种卡扣及车辆
JPH0363089A (ja) ドライシェーバー
JPH0648702Y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H0420368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563184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0657278B2 (ja)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