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754B1 -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754B1
KR100601754B1 KR1019990065658A KR19990065658A KR100601754B1 KR 100601754 B1 KR100601754 B1 KR 100601754B1 KR 1019990065658 A KR1019990065658 A KR 1019990065658A KR 19990065658 A KR19990065658 A KR 19990065658A KR 100601754 B1 KR100601754 B1 KR 10060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lating
polyamide
polyamide resin
bu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8443A (ko
Inventor
박은하
김창규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90065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7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수지 40∼75중량%; 방향족 비닐화합물 40∼80중량%, 비닐시안화합물 15∼35중량% 및 α,β-불포화모노카르복실산에서 선택된 화합물 5∼15중량%가 공중합된 카르복실산 개질 공중합체 10∼20중량%; 무수말레익산 0.5∼10중량%가 그라프트된 부타디엔함유 스타이레닉 고무공중합체 5∼10중량%; 및 탈크 10∼30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는 도금 밀착강도와 표면의 외관이 우수하여 도금 후 표면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변형온도나 충격강도, 신도가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과 전기 및 전자부품 중 도금부품 용도로 적합하다.
폴리아미드 수지,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부타디엔 함유 스티레닉 고무, 탈크, 자동차 휠캡, 도어핸들, 크롬도금

Description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Polyamide resin composition for plating}
본 발명은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카르복실산 개질 공중합체를 얼로이하고,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부타디엔 함유 스티레닉 고무 및 탈크를 첨가하여 구성함으로써 밀착강도와 표면의 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열성 및 성형성 또한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과 전기 및 전자부품의 도금에 적합하도록 개선시킨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금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도금 금속층이 형성된 수지 제품은 이미 금속을 대체하는 소재로서 자동차의 그릴류나 도어핸들류, 휠캡(wheel cap) 등에 상업화 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도금 수지는 외관의 미려, 내부식, 고강성의 장점을 살려 외판재인 휠커버 등의 용도로 용도로 확대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금용 수지조성물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이하, ABS라 함)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ABS 수지와의 얼로이 수지, 폴 리페닐렌에테르 수지나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등이 있다.
이들 수지들과 관련하여, 일본 특허공개 소61-239694호와 특허공고 소54-36290호에는 폴리설폰의 도금용 수지조성물이나 폴리에테르설폰의 도금용 수지조성물, 폴리에테르이미드의 도금용 수지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수지조성물의 경우 고가이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며 가소성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폴리아미드 수지가 갖는 여러 장점, 즉 성형성, 인성, 강성, 리사이클성, 내후성 등을 이용하여 도금용 수지로 사용하고자 하였는 바, 폴리아미드 수지와 관련된 도금 조성물로 일본특허공개 소 61-268754호에서는 무기물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충격강도의 저하로 용도에 있어서 제약이 있었으며, 일본특허공개 소60-96648호에서는 역시 무기물로 울라스토나이트와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도금 밀착성, 내열성, 강성을 개선하였으나 역시 충격강도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60-99163의 경우는 무기물 필러로 울라스토나이트와 실리콘 오일을 사용했으나, 역시 충격강도가 낮아 제품에 적용시 일정 두께 이상으로 두꺼워져야 했으므로 비경제적이었다.
그리고, 일본특허공개 소61-253373호에서는 ABS 수지에 대한 도금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ABS 수지에 대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ABS 수지를 구성하는 주성분에 조성되어 있는 부 가물질에 영향을 주어 오히려 표면조도에 장해가 되고 도금도막의 밀착강도와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도금용 수지 조성물로 미합중국 특허 제3,663,654호와 제3,383,435호에는 ABS 수지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둘다 비결정성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금특성은 우수하나 역시 내열성의 한계를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사용상의 제약이 있다.
이와같이 종래 폴리아미드 수지의 도금 수지의 경우 충격강도의 한계성으로 용도 적용에 있어서 한계가 있고, ABS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이의 얼로이 수지의 경우 내열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다시말해, 폴리아미드 수지 단독의 경우 도금시 도금 밀착강도가 부족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무기물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충격강도를 저하시키고 표면조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폴리아미드 수지에 무기물을 첨가하여 조성된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용성 증진을 위해 카르복실산으로 개질된 공중합체 수지를, 충격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부타디엔함유 스티레닉고무를, 내열성 및 도금성 향상, 도금 후 표면조도를 위해 미세 탈크를 첨가하여 조성된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은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수지 40∼75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80중량%, 비닐시안화합물 15∼35중량% 및 α,β-불포화모노카르복실산 5∼15중량%가 공중합된 카르복실산 개질 공중합체수지 10∼20중량%; 무수말레익산이 0.5∼10중량% 그라프트된 부타디엔 함유 스티레닉 고무수지 5∼10중량%; 및 탈크 1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를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와 얼로이 하여 상용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도금성능 중 화학적 결합력을 유도하고, 이 두 수지간의 상용성을 보다 더 증진시키고 내충격성을 증진시키고자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부타디엔 함유 스티레닉 고무수지를 사용함과 동시에 입자가 미세한 무기충진제를 첨가함으로써 무기물 첨가효과로 도금시에 물리적 흡착력을 유도하여 내열성과 강성이 개선된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서 기본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데,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단독 중합체, 공중합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아미드 단독중합체는 6-아미노헥산산, 7-아미노헵탄산, 12-아미노데칸산, p-아미노사이클로헥실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아미노카르복실산의 중합생 성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미, 파라크실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2,2,4/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등과 같은 디아민류; 아디핀산, 세바식산, 슈베린산, 피멜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디카르복실산류의 중합생성물;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메타크실렌/파라크실렌아디프아미드, 폴리메타크실렌/파라크셴 세바카미드, 폴리메타크실렌/파라크셴 슈베라미드, 폴리메타크실렌/파라크셴 아젤아미드 등이 있다
공중합 폴리아미드로는 상기 폴리아미드 단독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22hd 이상을 아미드 교환반응시킨 공중합체로서, 카프로락탄, 라우릴락탐 등의 락탐류; 6-아미노헥산산, 7-아미노헵탄산, 12-아미노도데칸산, p-아미노사이클로헥실카르복실산 등의 아미노카르복실산; 메타크실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미, 2,2,4/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등과 같은 디아민; 아디핀산, 세바식산, 슈베린산, 피멜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공중합 생성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폴리머로 사용된 폴리아미드 수지 중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단독중합체인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도금성 및 양호한 외관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들 두 종의 수지를 일정 중량비로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폴리아미드 6 및 폴리아미드 66 중의 어느 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을 다른 한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하여 20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 블렌드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블렌드시 아마이드 교환 반응이 미비하게 되어 두 수지의 상분리가 있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폴리아미드 6 수지의 경우 상대점도 2.4∼3.5(20℃ 96% 황산 100㎖ 중 폴리머 1g 용액), 폴리아미드 66 수지는 상대점도 2.5∼3.2(20℃ 96% 황산 100㎖ 중 폴리아미드 66 1g 용액)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폴리아미드 수지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강성의 저하를 초래하며, 반면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유동성의 불량으로 무기물의 표면표출 현상이 발생하거나 성형이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같은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수지는 전체 수지조성물 중 40∼75중량%로 사용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되며 성형시 제품표면이 불량하게 되고 75중량% 초과면 도금시 밀착강도가 불량하게 되어 발람직하지 않다.
(2)카르복실산 개질 공중합체 수지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도금성, 도금 후의 양호한 외관을 위해서 도금성능이 뛰어난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수지와 용융혼련시키는 바, 구체적으로는 방향족비닐 화합물, 비닐시안화합물 및 α,β-불포화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o-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다.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이와같은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전체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수지 중 각각 40∼80중량% 및 15∼35중량% 사용할 수 있는데, 만일 그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금후 밀착강도를 저하시키고, 상기 범위 초과면 강성, 내얼성, 충격강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α,β-불포화모노카르복실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사용성을 위해 5∼15중량%로 함유되는 바,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용성이 떨어지고, 15중량% 초과면 반응성은 좋지만 성형품의 표면상태가 좋지않아 도금 후 표면조도가 저하된다.
이와같은 변성카르복실산 개질공중합체의 제조는 통상의 현탁, 유화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같은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를 최종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중 10∼20중량% 되도록 첨가하는 바,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도금시 밀착강도가 불량해지고, 반면에 20중량% 초과하여 첨가하면 내열성 및 강성이 불량해진다.
(3)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부타디엔함유 스티레닉고무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간의 더욱 우수한 상용성 증진 및 최종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중 충격강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부타디엔 함유 스티레닉 고무를 사용한다.
이는 열가소성 고무탄성체로 칭하기도 하는 데, 이는 통상의 폴리아미드 수지의 내충격성이나 내수성 개질제로 많이 알려진 것으로, 폴리아미드의 매트릭스 관능기, 즉 아마이드기와 반응성이 우수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 α,β-불포화카르본산 또는 α,β-불포화무수물이나 그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수말레익산이 0.5∼10중량% 그라프트되어 있고, 부타디엔 라텍스와 에틸렌을 함유하고 방향족 비닐을 함유하는 공중합물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한다.
무수말레익산의 그라프트율이 0.5중량% 미만이면 폴리아미드와 상용성이 부족하여 충격강도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 초과면 유동성 저하로 표면이 좋지 않아 도금후 표면조도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고무탄성체의 사용량은 최종 조성물 중 5∼15중량%인 바, 만일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 신도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 초과면 내열성, 강성이 저하되고 도금시 도금밀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 무기충전제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 및 강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금 에칭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두어 도금의 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미세한 입자의 무기충전제 를 첨가하여 한층 더 탁월한 도금 밀착강도 및 내열성 및 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충전제로는 섬유상, 입상, 침상, 엽편상, 판산 등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알카리토금속의 탄산염 및 산화물, 규산염, 금속섬유, 세라믹섬유, 산화알루미늄, 운모, 탈크, 황산바륨, 석고, 산화지르코늄, 산화안티놈, 점토,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늄,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유리비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범용화된 무기충전제인 탈크를 사용하는 데, 충전제 중 화학적인 성분이 도금시 밀착강도 및 도금 후 제품 표면조도에 뛰어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와같은 탈크는 3MgO·4SiO2·H2O로서, SiO2와 MgO가 85중량%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며, 그 입자크기는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SiO2와 MgO의 두 화합물이 85중량% 미만이면 도금시 밀착강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 입자크기는 4㎛ 보다 크면 도금후의 표면조도가 불량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탈크를 전체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중 10∼30중량%로 첨가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도금 에칭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적어 물리적 흡착력을 기대하기 어려워 도금시 밀착강도를 저하시키며 최종 조성물에 있어서 강성, 내열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면 30중량% 초과 면 도금 후 표면요철이 심하여 제품표면 조도가 떨어지므로 결국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5) 기타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열안정제, 활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내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으며, 열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아미드기를 갖는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와 N,N'-헥사메틸렌비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이드)의 1:1 혼합물인 IRGANOX B1171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에칭, 도금 및 전기 공정의 3가지 공정을 거쳐 도금을 완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9
다음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조성하되, 폴리아미드 6을 사용할 경우에는 245℃로, 폴리아미드 66을 사용할 경우에는 275℃로 가열된 이축압출기 내에서 용융혼련하여 칩 상태로 만든 후 90℃에서 5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후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을 제작할 때 금형온도에 따라 도금의 밀착강도 및 표면조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금형온도조절기가 부착된 금형을 사용하여 금형온도를 90℃로 조절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편의 표면에 도금하기 위해서, 먼저 시편을 100℃에서 4시간 건조시킨 후 표면에 먼지와 같은 미세이물을 제거하였다.
첫 번째, 에칭단계로 200㎖/ℓ의 염산액 조성에 45℃에서 15분 동안 침지시켰다. 그 다음, 포스트에칭에서는 염산의 액조성을 60㎖/ℓ로 하여 온도 23℃에서 2분 동안 실시하였고, 첫 번째 활성단계에서는 PdCl2(0.3g/ℓ), SnCl2·2H2O(25g/ℓ), 염산(280㎖/ℓ)의 금속착염을 수용액으로 사용하여 30℃ 온도에서 5분 동안 실시한 다음, 두 번째 활성단계에서는 첫 번째 활성단계에서 부여된 촉매층에 화학도금의 석출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Sn 성분을 제거하고, Pd를 활성화시키는 공정으로 98% 황산 30㎖/ℓ액 조성에 45℃의 온도로 3분 동안 가속하고 수세하였다. 이후 세 번째 활성단계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두 번째 활성단계에서 제거되지 않은 Sn을 제거하고 Pd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공정으로 수산화나트륨 15g/ℓ로 하여 23℃에서 1분 동안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표면에 부착된 Pd를 촉매핵으로 해서 금속니켈을 석출시켜 전도성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니켈이온 3g/ℓ를 35℃에서 4분 동안 수행하고, 상온에서 2시간 건조시킨 후 산활성을 위해 10% 황산용액에 30분간 침적시켰다. 이후 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유산동 도금공정을 거치는데 황산구리 220g/ℓ, 황산 55g/ℓ와 약간의 광택제를 25℃에서 45분 동안 실시하였다.
이어, 반광택 니켈도금 공정으로 반광택의 회백색 니켈 도금이 되게 하여 고내식성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NiSO4 280g/ℓ, NiCl2 40g/ℓ, H3BO3 40g/ℓ와 약간의 광택제를 54℃에서 14분 동안 실시하였다. 반광택 니켈 도금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되 시간만 7분으로 하여 한번 더 반복하여 더 우수한 광택을 나타내도록 한 후 다시 2분 동안 광택공정을 거쳤다. 이렇게 한 다음 마지막 공정으로 크롬도금을 행하는데 CrO3 280g/ℓ, 황산 0.5g/ℓ 용액에 온도 40℃에서 2분 동안 수행하여 원하는 크롬 도금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제조된 크롬도금 시편을 23℃, 50% 절대습도 상태에서 일주일 방치한 후 표면조도 및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수지조성물을 다음의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수지의 표면에 따라 도금의 밀착강도나 표면조도가 다르므로 사출원판 시편제조시 표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출성형조건 중 금형온도를 90℃로 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방법>
1)열변형온도: ASTM D648에 의거 6.4mm 두께 시편을 제작하여 66psi(4.6kg/㎠)에서 측정하였다.
2)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3.2mm 두께 시편을 제작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3)도금의 밀착강도(박리강도) 평가: 100mm 원판시편을 이용하여 판 표면에 10mm 간격으로 평행선을 긋고 선이 그어진 판층에 선을 새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2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최소의 힘을 측정하였다.
4)도금의 부풀음 평가: 80℃에서 1시간, 상온에서 30분, -30℃에서 1시간, 다시 상온에서 1시간을 1사이클로하여 총 3사이클 후 부풀음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5)외관 표면조도: 150룩스 이상의 광원하에 60cm 거리에서 100mm 원판 시편의 평활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10∼1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사용된 무기충진제로 탈크 대신에 각각 카올린과 울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위: 중량%)
폴리아미드 수지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1) 스티레닉 고무(2) 탈크(3)
종류 함량
실 시 예 1 PA 6 70 CSAN-1(15) RUB-2(5) T-1(10)
2 PA 66 58 CSAN-2(15) RUB-1(7) T-2(20)
3 PA 6 50 CSAN-2(10) RUB-1(10) T-2(30)
4 PA 66 53 CSAN-1(20) RUB-2(7) T-2(20)
5 PA 6 57 CSAN-3(15) RUB-2(8) T-1(20)
6 PA 66 67 CSAN-2(15) RUB-3(8) T-2(10)
7 PA 6 55 CSAN-3(20) RUB-3(5) T-2(20)
8 PA 66 52 CSAN-1(10) RUB-1(8) T-1(30)
9 PA 6 55 CSAN-1(15) RUB-1(10) T-1(20)
10 PA 66 58 CSAN-2(15) RUB-2(7) T-2(20)
비 교 예 1 PA 6 65 CSAN-2(15) - T-2(20)
2 PA 66 72 - RUB-1(8) T-1(20)
3 PA 6 67 CSAN-3(5) RUB-2(8) T-2(20)
4 PA 66 47 CSAN-2(25) RUB-1(8) T-2(20)
5 PA 6 62 CSAN-2(15) RUB-3(3) T-2(20)
6 PA 66 53 CSAN-1(15) RUB-1(12) T-1(20)
7 PA 6 80 - - T-2(20)
8 PA 6 73 CSAN-1(15) RUB-2(7) T-3(5)
9 PA 66 42 CSAN-2(15) RUB-3(8) T-3(35)
10 PA 6 57 CSAN-2(15) RUB-3(8) 20(4)
11 PA 66 57 CSAN-3(15) RUB-2(8) 20(5)
PA6: 폴리아미드 6 수지, PA66: 폴리아미드 66 수지 (1)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CSAN-1: 메타크릴산 10중량%, 스티렌 60중량%,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 공중합 수지 CSAN-2: 아크릴산 12중량%, 스티렌 70중량%, 아크릴로니트릴 18중량% 공중합 수지 CSAN-3: 메타크릴산 15중량%, 스티렌 65중량%, 아크릴로니트릴 20중량% 공중합 수지 (2) 스타이레닉 고무 RUB-1: 무수말레익산 1.5중량% 그라프팅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고무탄성체 RUB-2: 무수말레익산 5중량% 그라프팅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고무탄성체 RUB-3: 무수말레익산 7.5중량% 그라프팅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고무탄성체 (3)탈크 T-1: 평균입경 2.5㎛, T-2: 평균입경 4㎛, T-3: 평균입경 7㎛ (4)카올린 (5)울라스토나이트
충격강도 (kg·cm/cm ) 열변형온도(℃) 박리강도 (kgf/cm) 표면부풀음 표면조도
실 시 예 1 18.5 158 1.4
2 23 198 1.6
3 27.5 169 1.4
4 22 190 1.8
5 25 150 1.7
6 27.5 191 1.4
7 18 159 1.9
8 21.5 200 1.4
9 25 160 1.9
10 20 198 1.6
비 교 예 1 7 119 1.2
2 17.5 201 0.5 × ×
3 20.5 175 0.8 ×
4 25 140 0.5 ×
5 11.5 123 1.4
6 30.5 151 1.2 ×
7 6.5 155 1.4 × ×
8 17 111 0.6 ×
9 20 197 1.4 ×
10 24.5 154 0.8 ×
11 15 165 1.1 × ×
○: 양호 × : 불량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수지에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를 얼로이함과 동시에 열가소성 탄성체인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부타디엔함유 스티레닉 고무와 무기충진제로서 미세탈크를 사용함으로써 도금시 화학적 결합력과 물리적 흡착을 유도하여 도금후 밀착강도, 표면조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내충격성, 내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므로 종래 폴리아미드 도금 수지조성물보다 한층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상업적으로 자동차 부품과 전기, 전자 부품의 도금용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요 용도로 자동차 휠캡과 도어핸들 제 품, 그릴류 제품과 기타 장식용 부품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복잡한 구조물의 경우 종래 상업화된 도금용 수지, 예를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얼로이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등의 경우 성형시 표면불량, 제품의 강도불량, 내열성 불량 등으로 인해 적용시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어 그 효과가 뛰어나고 종래 폴리아미드 수지 도금 조성물에 비해 내충격성이 현격히 개선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수지 40∼75중량%;
    방향족 비닐화합물 40∼80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15∼35중량% 및 α,β-불포화모노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5∼15중량%가 공중합된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10∼20중량%;
    무수말레익산 0.5∼10중량%가 그라프트된 부타디엔함유 스티레닉 고무공중합체 5∼10중량%; 및
    탈크 10∼30중량%로 이루어진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개질공중합체 성분 중 α,β-불포화모노카르복실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부타디엔 함유 스티레닉 고무공중합체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탈크는 입자크기 0.1 내지 4㎛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5. 제 1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로 제조되며, ASTM D256에 의거한 상온충격강도 18kg·cm/cm 이상이고, ASTM D648(4.6kg/㎠)에 의거한 열변형온도가 155℃ 이상인 자동차용 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휠캡, 휠커버, 도어핸들 및 그릴 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품.
KR1019990065658A 1999-12-30 1999-12-30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10060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58A KR100601754B1 (ko) 1999-12-30 1999-12-30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58A KR100601754B1 (ko) 1999-12-30 1999-12-30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443A KR20010058443A (ko) 2001-07-06
KR100601754B1 true KR100601754B1 (ko) 2006-07-14

Family

ID=1963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658A KR100601754B1 (ko) 1999-12-30 1999-12-30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343B1 (ko) 2016-12-30 2019-01-22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451A (ja) 1986-12-26 1988-07-08 Mitsubishi Monsanto Chem Co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30004289B1 (ko) * 1989-12-28 1993-05-22 주식회사 코오롱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960007935B1 (ko) * 1987-03-24 1996-06-17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0125707B1 (ko) * 1993-12-22 1997-12-26 하기주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451A (ja) 1986-12-26 1988-07-08 Mitsubishi Monsanto Chem Co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60007935B1 (ko) * 1987-03-24 1996-06-17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930004289B1 (ko) * 1989-12-28 1993-05-22 주식회사 코오롱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0125707B1 (ko) * 1993-12-22 1997-12-26 하기주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443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432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20040167264A1 (en) Impact-strength-modified polymer compositions
US20030153677A1 (en) Impact-resistance modified polymer compositions
JP2008508399A (ja) 無機充填ポリアミド組成物のメッキ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た物品
KR20160115919A (ko) 섬유 강화 다층 펠릿, 그것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품, 및 섬유 강화 다층 펠릿의 제조 방법
JP5371393B2 (ja) めっき用樹脂組成物、及び樹脂めっき製品
KR9600112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5506431A (ja) 耐衝撃性改良ポリマー組成物
KR100601754B1 (ko)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10243996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19963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060004B2 (ja) 車両用外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84437A (ja) 高衝撃性に改質された強化されたポリアミド66
JP2001011266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57797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0151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010016710A (ko) 도금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500584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030073773A1 (en) Impact-modified polymer compositions
KR20040039389A (ko) 개질된 내충격성 중합체 조성물
KR10060175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2012001633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2226703A (ja) 車両用外装部品
JPH05132614A (ja) 樹脂組成物
JP2010111841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