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68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68B1
KR102439968B1 KR1020180114116A KR20180114116A KR102439968B1 KR 102439968 B1 KR102439968 B1 KR 102439968B1 KR 1020180114116 A KR1020180114116 A KR 1020180114116A KR 20180114116 A KR20180114116 A KR 20180114116A KR 102439968 B1 KR102439968 B1 KR 10243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weight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aromat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381A (ko
Inventor
한세진
강병일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1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액 디엔 고무의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을 특정 비율로 포함하고,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을 특정 함량 범위 내로 포함하여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 등의 물성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종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대비 동일 공정 조건에서 도금 밀착력이 개선되면서도, 외관품질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MOLDING PRODUCT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인 물성, 가공성, 열적 특성 등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종래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대비 동일 공정에서 도금 밀착력 및 외관품질이 개선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적용되는 수지 성형품은 내식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혹은 기계적 강도와 같은 물리적인 특성의 개선에 더하여 제품의 외적인 특성을 높이고자 그 표면을 도금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이하, 'ABS 수지'라고 함) 등을 베이스로 하는 성형품 등이 이에 해당된다.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의 강성 및 내약품성,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가공성, 기계적 강도 및 미려한 외관 특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용품, 전기/전자 제품 및 사무용 기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ABS 수지 소재의 도금은 일반적으로 탈지, 에칭(etching), 중화, 촉매화, 활성화, 화학도금, 전기도금 순의 공정을 포함하여 행해진다.
에칭 공정은 ABS계 수지 내의 고무 부분을 녹여내어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을 통해 고무가 녹아서 생긴 구멍은 도금막과 물리적 결합력을 갖게 하는 앵커링(anchoring) 부위로 작용하게 되어 도금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정이다. 특히 ABS 수지는 극성이 낮아 촉매 흡착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공정을 필수적으로 행해야 하며, 에칭을 통해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극성이 부여되어야 촉매 흡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동일 공정으로 도금이 행해지더라도 ABS 수지의 종류에 따라 에칭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에칭 공정에서 요철 구조가 잘 형성되지 않으면 촉매 흡착률이 떨어져 도금 밀착력이 떨어지고, 부분적으로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는 미도금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때문에 에칭 공정의 시간,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에칭액의 조성을 달리하거나 농도를 변경하여 에칭 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전체적인 공정 시간을 증가시켜 생산 효율의 저하 및 비용 상승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에칭 공정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촉매 흡착률을 높여 도금 밀착력 및 도금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ABS계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17-206752A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동등 수준의 기계적인 물성, 열적 특성, 가공성 등을 유지하면서도 도금 밀착력 및 외관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 대비 도금 밀착력이 향상되어, 도금 공정 시 공정 시간이나 온도를 단축시켜 도금 공정 효율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0.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0.25 내지 3.5 중량부를 배합한 뒤, 이를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 성형되고, 적어도 일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동등 수준의 기계적인 물성, 열적 특성, 가공성 등을 유지하면서도 종래 대비 도금 밀착력이 개선되고 외관품질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220℃, 하중 10kg)가 10 내지 30g/10min으로 성형 및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충격강도가 20 kgfcm/cm2 이상으로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하고, 도금 밀착력이 9 N/m 이상으로 높아 도금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도금이나 부풀음 등이 발생하지 않아 외관품질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의 도금 공정 중 활성화 단계에서 촉매가 소재 표면에 흡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동등 수준의 기계적 물성, 성형성 등을 유지하면서도 도금 밀착력 및 외관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공액 디엔의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고, 이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을 특정 함량 범위 내로 첨가하는 경우, 기계적인 물성 등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도금 밀착력이 개선되고, 도금 후 부풀음이나 미도금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외관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0.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 경우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성형성 등이 높게 유지되면서도 도금 밀착력이 개선되어 플라스틱 도금 공정 효율 및 도금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기재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기재의 조성물은 공액 디엔 고무의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 경우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 기계적인 물성과 가공 및 성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도금 밀착력이 더욱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기재의 조성물은 일례로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 경우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밀착력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2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합 적용하지 않고,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는 경우, 도금 시 소재 표면과 도금층 사이의 물리적인 결합력이 떨어지며, 특히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은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단독 적용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단독 적용하는 경우에는 용융지수가 떨어져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입도 분포 분석기(Nicomp 380)를 사용하여 다이나믹 라이트 스케트링 방식으로 인텐시티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일례로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기재의 베이스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및 성형성이 모두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 2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7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및 성형성 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 30 내지 7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5 내지 6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3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성형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 45 내지 6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5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 0.05㎛ 내지 0.2㎛, 0.05㎛ 내지 0.15㎛ 또는 0.08㎛ 내지 0.1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기재의 베이스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15 내지 30 중량% 또는 15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및 성형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 2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7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및 성형성 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 30 내지 7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5 내지 6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3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성형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 45 내지 6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5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 0.25㎛ 내지 0.5㎛, 0.25㎛ 내지 0.3㎛ 또는 0.3㎛ 내지 0.3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 수 있다.
본 기재의 조성물은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1:1 내지 1:3, 1:1.5 내지 1:3 또는 1:1.5 내지 1:2.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성형성 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고 도금 밀착력이 더욱 개선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공액 디엔 고무는 같거나 상이할 수 있고, 일례로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 고무 또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 고무 일 수 있다.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고, 일례로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오르소-에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비닐시안 화합물은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한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 일 수 있다.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각각은 일례로 유화 중합, 괴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현탁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응 제어에 유리한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본 기재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베이스 수지 총 중량 기준 50 내지 80 중량%, 60 내지 75 중량% 또는 65 내지 7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공정 중 에칭 단계에서 소재 표면에 요철이 충분히 부여되어 도금 밀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55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일 수 있고, 이 경우 조성물의 성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공정에서 소재 표면에 요철이 충분히 부여되어 도금 밀착력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시 에칭 공정에서 표면에 충분한 요철이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65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조성물의 기계적인 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시 에칭 단계에서 소재 표면에 충분한 요철이 부여되어 도금 밀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오르소-에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유화 중합,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괴상 중합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미반응 단량체, 유화제 등의 잔류물이 적어 도금 성형품의 외관 품질이 더욱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 g/mol, 60,000 내지 190,000 g/mol 또는 70,000 내지 180,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 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기재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수지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여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 값이며, 표준물질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다.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본 기재에서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도금 밀착력 및 외관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의 작용을 도 1을 참조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도금할 시, 활성화 단계에서 촉매가 흡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도 1의 (b)는 디에탄올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도금할 시, 활성화 단계에서 촉매가 흡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도금 공정 시 에칭된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표면개질제로 작용하여 촉매 흡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대비 도금 밀착력이 향상되고, 도금층의 부풀음이나 미도금 부분 없이 외관품질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25 내지 3.5 중량부, 0.3 내지 3 중량부 또는 0.3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및 성형성이 높게 유지되면서도 도금 밀착력, 외관품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고, 이의 사용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해당성분이 용출되어 도금 밀착력 및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일례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ABS계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 및 성형성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도금 밀착력, 도금 성형품의 외관품질이 개선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483047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5 내지 25의 사슬형 알킬, 탄소수 5내지 25의 분지형 알킬 또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알케닐 중에서 선택되고, R2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사슬형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R2 및 R2'가 에틸인 디에탄올아민계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디에탄올아민계 화합물은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라우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올레아미드 디에탄올아민, 미리스트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스테아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 팔미트아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리놀레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또는 라우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일 수 있다.
본 기재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는 일례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필러, 활제, 염료, 안료, 착색제, 이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례로 0.01 내지 5 중량부, 0.05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2 중량부 또는 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고유의 기저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첨가제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조성물은 도금 공정 시 에칭된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표면개질제로 작용하여 촉매 흡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도금용 수지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기재의 조성물은 종래 대비 높은 촉매 흡착률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금 공정 시간을 단축하거나 온도를 낮추어도 종래 조성물과 동등 수준의 도금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일례로 본 기재의 조성물은 도금 밀착력이 9 N/cm 이상, 10 N/cm 이상, 9N/cm 내지 12N/cm 또는 10N/cm 내지 11N/cm로 도금 품질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기재의 조성물은 용융지수(220℃, 하중 10kg)가 일례로 10 내지 30g/10min, 15 내지 30g/10min 또는 20 내지 25g/10min으로 우수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기재의 조성물은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충격강도가 20 kgfcm/cm2 이상 또는 20 내지 40 kgfcm/cm2으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모든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바, 위 설명과 중첩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은 일례로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0.25 내지 3.5 중량부를 배합한 뒤, 이를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범위 내에서 최종품의 기계적인 물성, 성형 및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밀착력이 개선되고, 도금 후 외관품질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라우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올레아미드 디에탄올아민, 미리스트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스테아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 팔미트아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리놀레아미드 디에탄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에탄올아민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 및 압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비 및 조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반바리 니더,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부스 니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 및 압출은 일례로 150 내지 280℃ 또는 200 내지 2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용융 혼련 및 압출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은 펠렛타이저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형상이나 크기를 갖는 펠렛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의 성형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성형품은 일례로 상기 조성물로 성형된 기재 및 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금속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기재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은 도금 밀착력이 우수하면서도 금속 도금층의 부풀음, 미도금 부분이 없어 외관품질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설명함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조건이나 장비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A. 그라프트 공중합체
(A1) 평균입경이 0.1㎛인 부타디엔 고무 45 내지 60 중량%에, 스티렌 25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가 그라프트된 ABS 수지로, LG 화학사의 DP229M 제품을 사용하였다.
(A2) 평균입경이 0.3㎛인 부타디엔 고무 50 내지 70 중량%에, 스티렌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가 그라프트된 ABS 수지로, LG 화학사의 DP270M 제품을 사용하였다.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괴상중합으로 제조되고, 스티렌 55 내지 8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SAN 수지로, LG화학사의 95RF 제품을 사용하였다.
C.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코카마이드 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으로 각 성분을 배합하고,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20 내지 250℃에서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뒤, 펠렛타이저를 사용하여 펠렛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펠렛을 사출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도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출을 통해 100mm X 100mm X 3mm 규격의 사각 시편과, 150mm x 80mm x 3mm 규격의 캡(cap) 모양 시편을 각각 제조하고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두께 30㎛ 이상으로 균일한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였다.
먼저, 55℃에서 5분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시편 표면의 유분을 제거하고, 65℃에서 5분간 에칭제인 무수크롬산-황산을 사용하여 시편 표면을 에칭하여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25℃에서 25초간 염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잔류 크롬산을 제거하고, 30℃에서 2분간 팔라듐-주석 촉매를 사용하여 팔라듐의 앵커홀 흡착을 도모하였다. 활성화 단계는 55℃에서 2분간 진행되어 황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주석을 제거하였고, 황산니켈을 이용하여 30℃에서 5분간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였다. 무전해 도금 후 실시된 전기 도금에서는 구리, 니켈 및 크롬을 사용하였으며, 황산구리를 이용한 구리 전기도금은 25℃에서 35분간 3 A/dm2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황산니켈을 사용한 니켈 전기도금은 55℃에서 15분간 3 A/dm2으로 진행하였으며, 무수 크롬산액을 사용한 전기도금은 55℃에서 3분간 15 A/dm2으로 진행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용융지수(Melt Index, g/10min):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kg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 충격강도(Notched Izod Impact Strength, kgfcm/cm2): 두께 6.4mm의 시편의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 도금 밀착력(N/cm): 도금한 사각 시편(규격: 100mm x 100mm x 3mm)의 전면부에 10mm 폭의 흠집을 내고 푸쉬-풀 게이지(Push-pull gage)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80mm를 박리하면서 측정된 값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 도금 품질 평가: 도금한 캡 모양의 시편(규격: 150mm x 80mm x 3mm)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미도금 부위 및 도금층의 부풀음이 없는 경우 ○, 미도금 또는 부풀음이 일부라도 발생한 경우 Χ로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베이스
수지
A1 10 10 10 10 10 10 10
A2 20 20 20 20 20 20 20
B 70 70 70 70 70 70 70
C 0.3 1 2 3 0.1 5 0
용융지수[g/10min] 20 21 24 27 19 33 19
충격강도[kgfcm/cm2] 25 25 24 22 25 17 25
도금 밀착력[N/cm] 10 11 10 9 9 6 8
도금 품질 Χ Χ Χ
(상기 표 1에서 A1, A2, B 각각의 함량 단위는 베이스 수지 총 중량에 대한 중량%이고, C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을 특정 함량 범위 내로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4의 시편은, 이를 미포함한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용융지수 및 충격강도는 동등 수준으로 높게 유지되면서도 도금 밀착력 및 도금 품질이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편은 도금 밀착력이 우수하면서도 미도금 부위나 도금층의 부풀음과 같은 외관 불량을 나타내지 않아 보다 고품질의 도금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을 본 발명의 범위 대비 소량 적용한 비교예 1은 도금 밀착력은 개선되나 미도금 및 부풀음과 같은 외관 불량이 관찰되었고, 반대로 과량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이 성형품 표면으로 용출되어 도금 밀착력이 오히려 저하되고, 미도금/부풀음과 같은 외관 불량 또한 관찰되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0.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전기도금 밀착력이 10 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 2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7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엑 디엔 고무 2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7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2204028854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5 내지 25의 사슬형 알킬, 탄소수 5 내지 25의 분지형 알킬 또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알케닐 중에서 선택되고, R2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중에서 선택된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은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라우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올레아미드 디에탄올아민, 미리스트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스테아르아미드 디에탄올아민, 팔미트아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리놀레아미드 디에탄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에탄올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55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상기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융지수(220℃, 하중 10kg)가 10 내지 3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충격강도가 20 kgfcm/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삭제
  12. 평균입경이 0.03㎛ 내지 0.2㎛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1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평균입경이 0.2㎛ 초과 내지 0.5㎛인 공액 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제 2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디알칸올아민계 화합물 0.25 내지 3.5 중량부를 배합한 뒤, 이를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따른 조성물로 성형되고, 적어도 일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80114116A 2018-09-21 2018-09-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3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116A KR102439968B1 (ko) 2018-09-21 2018-09-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116A KR102439968B1 (ko) 2018-09-21 2018-09-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81A KR20200034381A (ko) 2020-03-31
KR102439968B1 true KR102439968B1 (ko) 2022-09-05

Family

ID=7000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116A KR102439968B1 (ko) 2018-09-21 2018-09-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8812A (zh) 2020-03-20 2022-07-08 株式会社Lg化学 制备锂二次电池用正极活性材料前体的方法、正极活性材料前体以及通过使用所述前体制备的正极活性材料、正极和锂二次电池
CN114479300B (zh) * 2020-11-12 2024-03-26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电镀级abs树脂组合物、电镀级abs树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248A (ja) * 2010-06-11 2013-07-08 フイナ・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向上した熱特性を示す発泡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5681B2 (ja) 2016-05-20 2020-07-01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メッキ部品の製造方法
KR102141567B1 (ko) * 2016-12-28 2020-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248A (ja) * 2010-06-11 2013-07-08 フイナ・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向上した熱特性を示す発泡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81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1042B1 (en) Article comprising a polymer body and a metal plating
KR20060076161A (ko) 환경응력 저항성이 우수한 냉장고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3996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5371393B2 (ja) めっき用樹脂組成物、及び樹脂めっき製品
KR10236059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금속 도금성형품
KR10223525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7209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KR101900270B1 (ko) 친환경적이며 도금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45260B1 (ko) 내화학성 및 전사성과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냉장고용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3238800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831821B2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KR101764903B1 (ko) 도금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415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3007746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4555701A (zh) 用于无电镀中的聚合物组合物、无电镀的方法和通过无电镀制成的聚合物制品
KR1021600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152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349738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222356A (ja) 低光沢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3766134A (en) Abs compositions for electroplating which contain asbestos
KR20210046355A (ko)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JPH11181224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体
EP3926012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product
KR2022004684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금 성형품
KR100705904B1 (ko)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