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795B1 -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795B1
KR100600795B1 KR1020060005237A KR20060005237A KR100600795B1 KR 100600795 B1 KR100600795 B1 KR 100600795B1 KR 1020060005237 A KR1020060005237 A KR 1020060005237A KR 20060005237 A KR20060005237 A KR 20060005237A KR 100600795 B1 KR100600795 B1 KR 10060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black ginseng
concentrate
ginsenoside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래
Original Assignee
(주) 흑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흑삼코리아 filed Critical (주) 흑삼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00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흑삼은, 9회 증숙시키고 10회 건조시켜 제조된 흑삼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5.0 ~ 20.0 ㎎/g, Rb1이 1.0 ~ 5.0 ㎎/g, Rb2가 1.0 ~ 5.0 ㎎/g, Rc가 1.0 ~ 5.0 ㎎/g, Rd가 1.0 ~ 7.0 ㎎/g, Re가 0.1 ~ 1.5 ㎎/g, Rf가 0.5 ~ 1.5 ㎎/g, Rg 가 0.1 ~ 0.7 ㎎/g, Rh1이 1.0 ~ 1.5 ㎎/g, Compound K가 0.05 ~ 0.5 ㎎/g인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일반 흑삼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진 흑삼과 이를 이용한 흑삼농축액이 제공된다.
인삼, 흑삼, 증숙, 추출, 농축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A BLACK GINSENG HAVING EXCEL CONTENT OF GINSENOSIDE RG3 INGREDIENT AND THE CONCENTRATE OF BLACK GINSENG}
도 1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의 제조공정도 1
도 3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의 제조공정도 2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이미 오래전부터 그 효능 및 유효성이 잘 알려져 온 한약재이다.
인삼은 수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었다면, 최근에는 증숙과정을 거친 홍삼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많은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홍삼과 같이 인삼을 증숙하게 되면 인삼의 약리작용이 변화하여 수삼에는 없던 활성성분이 생기거나, 기존에 존재하던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욱 증가한다는 사 실도 많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삼의 활성성분 함량을 더욱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흑삼이 바로 그러한 노력의 산물이다.
흑삼은 여러번 증숙하고 여러번 건조시켜 인삼이 검은 색으로 변한 삼을 지칭하며, 여러번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활성성분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보다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 상승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96418(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에는, 인삼부의 미근부를 1 ~ 3 회 정제수로 세척하고, 세척한 세미삼을 60 ~ 70 ℃로 1.5 ~ 2 시간 동안 1차 증숙한 후, 수분함량이 28 %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한 다음, 상기 공정을 다시 4 회에 걸쳐 반복한 후, 고압증숙기에서 135 ℃의 온도로 약 2 ~ 3 시간 동안 고압 증숙하고, 열풍회전건조기에서 60 ~ 70 ℃에서 수분 25 % 까지 건조시킨 다음, 상기 공정을 다시 4 회에 걸쳐 반복하고, 이 흑미삼을 벌크건조기에서 최종 수분함량 14 % 로 건조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 흑미삼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05089(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에는, 인삼을 세척한 후, 몸체와 미삼으로 분리하고, 인삼의 몸체와 미삼의 수분함량이 14 %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이 과정을 7 회 이상 반복하여 인삼이 홍삼으로 홍삼이 검게 변하면서 사포닌 속에 함유하고 있는 주요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흑삼 또는 흑미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은 인삼에 함유되어 있 는 여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종래의 인삼 또는 홍삼에 비해서 일부 성분에 있어서 함량이 약간 증가하거나, 비슷한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인삼이나 홍삼에 비해 활성성분의 함량이 나아진것은 사실이므로, 흑삼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흑삼의 유효성이 점점 입증되어 지고 있는 시점에서 종래의 흑삼보다 그 효과가 월등히 높은 새로운 흑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고 미공개 상태인 등록특허 제0543862호(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의 개량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흑삼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진 흑삼 및 흑삼농축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은, 수삼을 세척하여 음지에서 건조시켜 1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1차 건조공정, 가마솥에 1차 건조물을 넣고 내부온도를 70 ~ 100 ℃로 하여 8 ~ 10 시간동안 증숙하여 1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1차 증숙공정, 1차 증숙물을 황토건조실에서 인삼의 수분함량이 40 ~ 50 %가 될때까지 60 ~ 70 ℃로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2차 건조공정, 2차 건조물을 1차 증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 ~ 6 시간 동안 증숙하여 2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2차 증숙공정, 2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의 함량이 25 ~ 30 %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시켜 3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3차 건조공정, 3차 건조물을 2차 건조공정 및 2차 증숙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6 회 더 반복하여 인삼의 수분함량이 15 ~ 20 %가 되도록 하여 9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9차 건조공정, 9차 건조물을 1차 증숙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증숙하되, 내부온도를 60 ~ 80 ℃가 되도록 하여 6 ~ 8 시간 동안 증숙하여 9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9차 증숙공정, 9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함량을 10 % 이내로 건조시켜 10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10차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5.0 ~ 20.0 ㎎/g, Rb1이 1.0 ~ 5.0 ㎎/g, Rb2가 1.0 ~ 5.0 ㎎/g, Rc가 1.0 ~ 5.0 ㎎/g, Rd가 1.0 ~ 7.0 ㎎/g, Re가 0.1 ~ 1.5 ㎎/g, Rf가 0.5 ~ 1.5 ㎎/g, Rg 가 0.1 ~ 0.7 ㎎/g, Rh1이 1.0 ~ 1.5 ㎎/g, Compound K가 0.05 ~ 0.5 ㎎/g인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은, 본 발명의 흑삼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 10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80 ~ 100 ℃로 하여 48 ~ 60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3공정,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전분을 제거하여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고형분 50 ~ 70 중량 %가 되도록 1차 농축하여 1차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5공정, 1차 농축물을 10 ~ 30 ℃에서 72 ~ 8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6공정,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7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 농축액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10 ~ 50 ㎎/g, 진세노사이드 Rg2가 5 ~ 15 ㎎/g, Rb1이 0.001 ~ 0.05 ㎎/g, Rd가 1.0 ~ 4.0 ㎎/g, Rf가 5.0 ~ 10.0 ㎎/g, Rh1이 5.0 ~ 10.0 ㎎/g, Rh2가 0.01 ~ 0.10 ㎎/g인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공정의 1차 추출물 제조 후 남은 잔여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을 2 회 반복하여 2차 및 3차 농축액을 제조하고, 1차 내지 3차 농축물을 혼합한 다음, 숙성하고 살균 및 포장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흑삼은 여러번 증숙하고 여러번 건조시켜 인삼이 검은 색으로 변한 삼을 지칭한다.
여러번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활성성분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보다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 상승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져 있는 흑삼은 그 활성성분의 함량이 일반 인삼 및 홍삼보다는 다소 높아지긴 하나, 기대만큼 그 함량이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흑삼에 비해보다 월등하게 활성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흑삼의 제조방법 및 흑삼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흑삼은, 수삼을 세척하여 음지에서 건조시켜 1차 건조물을 제 조하는 1차 건조공정, 가마솥에 1차 건조물을 넣고 내부온도를 70 ~ 100 ℃로 하여 8 ~ 10 시간동안 증숙하여 1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1차 증숙공정, 1차 증숙물을 황토건조실에서 인삼의 수분함량이 40 ~ 50 %가 될때까지 60 ~ 70 ℃로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2차 건조공정, 2차 건조물을 1차 증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 ~ 6 시간 동안 증숙하여 2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2차 증숙공정, 2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의 함량이 25 ~ 30 %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시켜 3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3차 건조공정, 3차 건조물을 2차 건조공정 및 2차 증숙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6 회 더 반복하여 인삼의 수분함량이 15 ~ 20 %가 되도록 하여 9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9차 건조공정, 9차 건조물을 1차 증숙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증숙하되, 내부온도를 60 ~ 80 ℃가 되도록 하여 6 ~ 8 시간 동안 증숙하여 9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9차 증숙공정, 9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함량을 10 % 이내로 건조시켜 10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10차 건조공정을 거쳐 흑삼을 제조하면, 그 활성성분의 함량이 종래의 흑삼에 비해 월등히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종래에도 구증구포, 십증십포 등 증숙과 건조과정을 여러차례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였으나, 그렇게 제조한 종래의 흑삼은 활성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 Rg3가 0.4 ~ 1.3 ㎎/g, Rb1이 0.6 ~ 1.9 ㎎/g, Rb2가 0.4 ~ 1.0 ㎎/g, Rc가 0.4 ~ 1.2 ㎎/g, Rd가 0.1 ~ 1.0 ㎎/g, Re가 0.4 ~ 0.9 ㎎/g, Rf가 0.3 ~ 0.5 ㎎/g, Rg 가 0.3 ~ 0.5 ㎎/g, Rh1은 확인만 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흑삼은, 진세노사이드 Rg3가 5.0 ~ 20.0 ㎎/g, Rb1이 1.0 ~ 5.0 ㎎/g, Rb2가 1.0 ~ 5.0 ㎎/g, Rc가 1.0 ~ 5.0 ㎎/g, Rd가 1.0 ~ 7.0 ㎎/g, Re가 0.1 ~ 1.5 ㎎/g, Rf가 0.5 ~ 1.5 ㎎/g, Rg 가 0.1 ~ 0.7 ㎎/g, Rh1이 1.0 ~ 1.5 ㎎/g, Compound K가 0.05 ~ 0.5 ㎎/g이 함유되어 있어, 종래의 흑삼에 비하여 그 수치가 월등히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흑삼농축액은, 본 발명의 흑삼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 10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80 ~ 100 ℃로 하여 48 ~ 60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3공정,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전분을 제거하여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고형분 50 ~ 70 %가 되도록 1차 농축하여 1차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5공정, 1차 농축물을 10 ~ 30 ℃에서 72 ~ 8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6공정,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7공정을 거쳐 흑삼 농축액을 제조하면, 진세노사이드 Rg3가 10 ~ 50 ㎎/g, 진세노사이드 Rg2가 5 ~ 15 ㎎/g, Rb1이 0.001 ~ 0.05 ㎎/g, Rd가 1.0 ~ 4.0 ㎎/g, Rf가 5.0 ~ 10.0 ㎎/g, Rh1이 5.0 ~ 10.0 ㎎/g, Rh2가 0.01 ~ 0.10 ㎎/g 함유되어 있어, 이 또한 활성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사포닌을 가리키는 말로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기능 조절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는 활성성분이다.
그 중,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의 증가율이 가장 큰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전이억제, 간보호 작용, 항암제 내성억제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혈전생성을 억제해 동맥경과, 뇌졸증, 치매 등 여러가지 순환기계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신경 억제, 해열진통, 간기능 보호효과가 있으며, Rb2는 항당뇨, 항동맥경화, 간세포 증식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진세노사이드 Rc는 진통작용,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진세노사이드 Rd는 항산화 활성,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이 있고, 진세노사이드 Re는 간보호 작용, 골수세포 합성촉진 작용, 진세노사이드 Rf는 뇌신경세포 진통작용, 지질과산화 억제작용,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 응집억제, 기억력 감퇴 개선작용, 진세노사이드 Rh1은 간보호, 항종양 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삼에는 Compound K라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Compound K는 20-O-β-D-glucopylracyl-20(S)-protopanaxadiol 이라는 물질로서, 분자식은 C36H63O8 이고,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 면역증강작용을 하고, 종양혈관신생 억제작용을 하고, 암세포전이 억제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의 제조공정>
1. 1차 건조공정 : 1차 건조물 제조
시중에서 4년근 이상의 수삼을 구입하여 깨끗하게 세척한다.
세척한 수삼을 음지에서 수분함량이 90 % 정도가 되도록 1차 건조하여 1차 건조물을 제조한다.
2. 1차 증숙공정 : 1차 증숙물 제조
가마솥에 받침대를 놓고, 물을 넣은 다음, 대나무 바구니를 올려놓고, 바구니 위에 상기의 1차 건조물을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내부온도를 70 ~ 100 ℃로 하여 8 ~ 10 시간동안 1차 증숙하여 1차 증숙물을 제조한다.
3. 2차 건조공정 : 2차 건조물 제조
상기의 1차 증숙물을 황토건조실에서 인삼의 수분함량이 40 ~ 50 %가 될때까지 60 ~ 70 ℃ 에서 2차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제조한다.
4. 2차 증숙공정 : 2차 증숙물 제조
상기의 2차 건조물을 1차 증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 ~ 6 시간 동안 2차 증숙하여 2차 증숙물을 제조한다.
5. 3차 건조공정 : 3차 건조물 제조
상기의 2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의 함량이 25 ~ 30 %에 도달할 때까지 3차 건조시켜 3차 건조물을 제조한다.
6. 9차 건조공정 : 3 ~ 8차 증숙물, 4 ~ 9차 건조물 제조
상기의 3차 건조물을 2차 건조과정 및 2차 증숙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6 회 더 반복하여 인삼수분함량이 15 ~ 20 %가 되도록 증숙하고, 건조하여 9차 건조물을 제조한다.
7. 9차 증숙공정 : 9차 증숙물 제조
9차 건조물을 1차 증숙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증숙하되, 내부온도를 60 ~ 80 ℃가 되도록 하여 6 ~ 8 시간 동안 증숙하여 9차 증숙물을 제조한다.
8. 10차 건조공정 : 10차 건조물 제조
상기의 9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함량을 10 % 이내로 10차 건조시켜 10차 건조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을 제조한다.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의 제조공정 1>
1. 제1공정 : 재료준비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구증십포 흑삼을 준비한다.
2. 제2공정 : 추출액 제조
준비한 본 발명의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 10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80 ~ 100 ℃로 하여 48 ~ 60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한다.
3. 제3공정 : 여과물 제조
상기의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여과물을 제조한다.
4. 제4공정 : 전분제거 여과물 제조
상기의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20 ~ 40 ℃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다음, 응고된 전분을 제거하여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한다.
5. 제5공정 : 농축물 제조
상기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내부온도를 50 ~ 70 ℃로 유지하여 고형분이 50 ~ 70 중량 %가 되도록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한다.
6. 제6공정 : 숙성물 제조
상기의 농축물을 10 ~ 30 ℃에서 72 ~ 8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한다.
7. 제7공정 : 흑삼농축액 제조
상기의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을 제조한다.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의 제조공정 2>
1. 제1공정 : 재료준비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구증십포 흑삼을 준비한다.
2. 제2공정 : 1차 추출액 제조
준비한 구증십포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 10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80 ~ 100 ℃로 하여 48 ~ 60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한 다.
3. 제3공정 : 여과물 제조
상기의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여과물을 제조한다.
4. 제4공정 : 전분제거 여과물 제조
상기의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20 ~ 40 ℃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다음, 응고된 전분을 제거하여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한다.
5. 제5공정 : 1차 농축액 제조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내부온도를 50 ~ 70 ℃로 유지하여 고형분이 50 ~ 70 중량 %가 되도록 1차 농축하여 1차 농축액을 제조한다.
6. 제6공정 : 2차 추출액 및 2차 농축액 제조
제2공정의 1차 추출액 제조 후 남은 잔여물에 물을 흑삼중량의 4 ~ 5 배로 넣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액을 제조하고, 2차 농축액을 제조한다.
7. 제7공정 : 3차 추출액 및 3차 농축액 제조
제6공정의 2차 추출액 제조 후 남은 잔여물에 물을 흑삼중량의 2 ~ 3 배로 넣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추출액을 제조하고, 3차 농축액을 제조한다.
8. 제8공정 : 혼합물 제조
상기의 1 ~ 3차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9. 제9공정 : 숙성물 제조
상기의 혼합물을 10 ~ 30 ℃에서 72 ~ 8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한다.
10. 제10공정 : 흑삼농축액 제조
상기의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의 제조1
시중에서 4년근 수삼을 구입하여 깨끗하게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세척하여 준비한 수삼을 음지에서 수분함량이 90 % 정도가 되도록 1차 건조시켜 1차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가마솥에 받침대를 놓고, 물 20 ℓ를 넣은 다음, 대나무 바구니를 올려놓고, 바구니 위에 상기의 1차 건조물 30 ㎏을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내부온도를 90 ℃로 하여 9 시간동안 1차 증숙하여 1차 증숙물을 제조하였다.
1차 증숙물을 황토건조실에서 인삼의 수분함량이 45 %가 될때까지 60 ℃로 2차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2차 건조물을 꺼내어 1차 증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 시간 동안 2차 증숙하여 2차 증숙물을 제조하였다.
이 2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의 함량이 30 %에 도달할때까지 3차 건조하여 3차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3차 건조물을 2차 건조과정 및 2차 증숙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6 회 더 반복하여 인삼수분함량이 20 %가 되도록 증숙하고, 건조하여 9차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9차 건조물을 1차 증숙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증숙하되, 내부온도를 70 ℃가 되도록 하여 7 시간 동안 9차 증숙하여 9차 증숙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9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함량을 10 % 로 10차 건조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의 제조2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흑삼을 제조하되, 삼의 근(몸통 및 굵은 다리) 부분만 분리하여 흑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의 제조3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흑삼을 제조하되, 미삼(잔뿌리) 부분만 분리하여 흑삼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 제조1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흑삼을 준비하였다.
추출기에 준비한 흑삼 5 ㎏과 물 30 ㎏을 넣은 후, 내부온도를 90 ℃로 하여 60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여과물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40 ℃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다음, 침전탱크 아래로 떨어진 응고된 전분을 빼내어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하였다.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내부온도를 70 ℃로 유지하여 고형분이 50 %가 되도록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농축물을 20 ℃에서 8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 제조 2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흑삼을 준비하였다.
추출기에 준비한 흑삼 10 ㎏과 물 60 ㎏을 넣은 후, 내부온도를 90 ℃로 하여 60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여과물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30 ℃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다음, 침전탱크 아래로 떨어진 응고된 전분을 빼내어 전분이 제거된 1차 여과물을 제조하였다.
전분이 제조된 1차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내부온도를 60 ℃로 유지하여 고형분이 70 %가 되도록 1차 농축하여 1차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1차 농축액 제조 후 남은 잔여물을 준비하였다.
이 잔여물에 물 20 ㎏을 넣고 내부온도를 95 ℃로 하여 48 시간 동안 2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2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30 ℃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다음, 침전탱크 아래로 떨어진 응고된 전분을 빼내어 전분이 제거된 2차 여과물을 제조하였다.
전분이 제거된 2차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내부온도를 70 ℃로 유지하여 고형분이 50 %가 되도록 2차 농축하여 2차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2차 농축액 제조 후 남은 잔여물을 준비하였다.
이 잔여물에 물 15 ㎏을 넣고 내부온도를 90 ℃로 하여 48 시간 동안 3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3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30 ℃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다음, 침전탱크 아래로 떨어진 응고된 전분을 빼내어 전분이 제거된 3차 여과물을 제조하였다.
전분이 분리된 3차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내부온도를 70 ℃로 유지하여 고형분이 50 %가 되도록 3차 농축하여 3차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1 ~ 3차 농축액을 혼합하고, 20 ℃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켰다.
이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흑삼에 대한 성분분석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흑근과 흑삼미을 준비하였다.
종래의 흑삼(흑근, 흑삼미)과 홍삼(홍삼근, 홍삼미)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흑삼은 2005년 5월 18일자에 중부대학교 생명과학분석센터(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생검사지정기관)에 분석을 의뢰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종래의 흑삼 및 홍삼은 한국인삼연초연구원에서 2002년 1월 25일자 의뢰하여 분석한 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표 1> 흑삼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항목 실시예 2 (흑삼근) 실시예 3 (흑삼미) 종래의 흑삼근 종래의 흑삼미 종래의 홍삼근 종래의 홍삼미
수분(%) 6.82 4.02 9.14 15.82 13.88 10.08
진세노사이드 Rg3(mg/g) 15.18 20.23 0.41 1.24 0.18 0.10
진세노사이드 Rb1(mg/g) 2.78 5.25 0.67 1.91 0.69 1.37
진세노사이드 Rb2(mg/g) 2.51 4.05 0.43 0.98 0.19 0.71
진세노사이드 Rc(mg/g) 2.32 3.93 0.43 1.19 0.25 0.12
진세노사이드 Rd(mg/g) 2.14 6.68 0.18 1.02 0.26 0.10
진세노사이드 Re(mg/g) 0.20 1.40 0.40 0.92 0.40 0.99
진세노사이드 Rf(mg/g) 0.68 1.00 0.30 0.50 0.22 0.31
진세노사이드 Rg(mg/g) 0.28 0.54 0.37 0.50 0.18 0.22
진세노사이드 Rh1(mg/g) 1.06 1.17 확인 확인 확인 확인
Compound K(mg/g) 0.07 0.10 - - - -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흑삼 및 홍삼에 비해 본 발명의 흑삼이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흑삼에서 활성성분의 함량변화가 가장 큰 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3이며, 이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전이억제, 간보호 작용, 항암제 내성억 제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혈전생성을 억제해 동맥경과, 뇌졸증, 치매 등 여러가지 순환기계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삼에서 활성성분 함량이 크게 증진된 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신경 억제, 해열진통, 간기능 보호효과가 있으며, Rb2는 항당뇨, 항동맥경화, 간세포 증식효과가 있고, 진세노사이드 Rc는 진통작용,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작용, 진세노사이드 Rd는 항산화 활성,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성분이다.
또한, 종래의 홍삼 및 흑삼에는 발견이 되지 않던 물질로서 Copound K가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물질은 면역증강작용, 종양혈관 신생억제작용, 암세포 전이억제 작용 등을 한다고 알려진 성분이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흑삼농축액의 잔류농약 분석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농축액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흑삼농축액을 2005년 5월 18일자에 중부대학교 생명과학분석센터(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생검사지정기관)에 잔류농약 분석을 의뢰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본 발명의 흑삼농축액에 대한 잔류농약 분석실험 결과
검사항목 기준 결과 검사항목 기준 결과
- 불검출 Diethofencarb 1.00 ppm이하 불검출
비소 - 불검출 Cypermethrin 0.20 ppm이하 불검출
DDT 0.20 ppm이하 불검출 Azoxystrobin 1.00 ppm이하 불검출
BHC 0.40 ppm이하 불검출 Tolylfluanid 0.60 ppm이하 불검출
Aldrin & Dieldrin 0.02 ppm이하 불검출 Tolclofos-methyl 2.00 ppm이하 불검출
Endosulfan 0.40 ppm이하 불검출 Difenoconazole 0.40 ppm이하 불검출
Endrin 0.02 ppm이하 불검출 Kresoxim-methyl 0.60 ppm이하 불검출
Quintozene 2.00 ppm이하 불검출 Iminoctadine 0.20 ppm이하 불검출
Carbendazim 1.00 ppm이하 불검출 Fenhexamid 1.00 ppm이하 불검출
Captan 4.00 ppm이하 불검출 Metam-sodium 0.10 ppm이하 불검출
Diazinon 0.20 ppm이하 불검출 Pyrimethanil 0.60 ppm이하 불검출
Metalaxyl 2.00 ppm이하 불검출 Cyprodinil 6.00 ppm이하 불검출
Parathion 0.20 ppm이하 불검출 Cyazofamid 0.60 ppm이하 불검출
Deltamethrin 0.04 ppm이하 불검출 Dazomet 0.20 ppm이하 불검출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흑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흑삼농축액은 모든 항목에 있어 잔류농약이 불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흑삼농축액에 대한 성분분석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농축액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흑삼농축액을 2005년 7월 19일자에 중부대학교 생명과학분석센터(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생검사지정기관)에 분석을 의뢰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흑삼농축액 성분분석결과
검사항목 실시예 4 실시예 5
진세노사이드 Rg3(mg/g) 45.23 48.49
진세노사이드 Rg2(mg/g) 9.853 11.823
진세노사이드 Rb1(mg/g) 0.029 0.003
진세노사이드 Rd(mg/g) 3.003 2.105
진세노사이드 Rf(mg/g) 6.84 5.196
진세노사이드 Rh1(mg/g) 7.309 8.154
진세노사이드 Rh2(mg/g) 0.029 0.087
상기의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흑삼농축액은 그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뛰어났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이 크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전이억제, 간보호 작용, 항암제 내성억제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혈전생성을 억제해 동맥경과, 뇌졸증, 치매 등 여러가지 순환기계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g2,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크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 응집억제, 기억력 감퇴 개선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진세노사이드 Rd는 항산화 활성,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 작용을 하고, 진세노사이드 Rf는 뇌신경세포 진통작용, 지질과산화 억제작용을 하고, 진세노사이드 Rh1은 간보호, 항종양 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일반 흑삼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진 흑삼과 이를 이용한 흑삼농축액이 제공된다.

Claims (3)

  1. 흑삼에 있어서,
    수삼을 세척하여 음지에서 건조시켜 1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1차 건조공정, 가마솥에 1차 건조물을 넣고 내부온도를 70 ~ 100 ℃로 하여 8 ~ 10 시간동안 증숙하여 1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1차 증숙공정, 1차 증숙물을 황토건조실에서 인삼의 수분함량이 40 ~ 50 %가 될때까지 60 ~ 70 ℃로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2차 건조공정, 2차 건조물을 1차 증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 ~ 6 시간 동안 증숙하여 2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2차 증숙공정, 2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의 함량이 25 ~ 30 %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시켜 3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3차 건조공정, 3차 건조물을 2차 건조공정 및 2차 증숙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6 회 더 반복하여 인삼의 수분함량이 15 ~ 20 %가 되도록 하여 9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9차 건조공정, 9차 건조물을 1차 증숙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증숙하되, 내부온도를 60 ~ 80 ℃가 되도록 하여 6 ~ 8 시간 동안 증숙하여 9차 증숙물을 제조하는 9차 증숙공정, 9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함량을 10 % 이내로 건조시켜 10차 건조물을 제조하는 10차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5.0 ~ 20.0 ㎎/g, Rb1이 1.0 ~ 5.0 ㎎/g, Rb2가 1.0 ~ 5.0 ㎎/g, Rc가 1.0 ~ 5.0 ㎎/g, Rd가 1.0 ~ 7.0 ㎎/g, Re가 0.1 ~ 1.5 ㎎/g, Rf가 0.5 ~ 1.5 ㎎/g, Rg 가 0.1 ~ 0.7 ㎎/g, Rh1이 1.0 ~ 1.5 ㎎/g, Compound K가 0.05 ~ 0.5 ㎎/g인,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2. 흑삼농축액에 있어서,
    제1항의 흑삼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 10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80 ~ 100 ℃로 하여 48 ~ 60 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이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3공정,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20 ~ 40 ℃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후, 응고된 전분을 제거하여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고형분 50 ~ 70 중량 %가 되도록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5공정, 이 농축물을 10 ~ 30 ℃에서 72 ~ 84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6공정, 이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7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 농축액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10 ~ 50 ㎎/g, 진세노사이드 Rg2가 5 ~ 15 ㎎/g, Rb1이 0.001 ~ 0.05 ㎎/g, Rd가 1.0 ~ 4.0 ㎎/g, Rf가 5.0 ~ 10.0 ㎎/g, Rh1이 5.0 ~ 10.0 ㎎/g, Rh2가 0.01 ~ 0.10 ㎎/g인,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
  3. 흑삼농축액에 있어서,
    제1항의 흑삼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 10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80 ~ 100 ℃로 하여 48 ~ 60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3공정,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20 ~ 40℃로 급냉하여 전분을 응고시킨 후, 응고된 전분을 제거하여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고형분 50 ~ 70 중량 %가 되도록 1차 농축하여 1차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5공정, 제2공정의 1차 추출물 제조 후 남은 잔여물에 물을 흑삼중량의 4 ~ 5 배로 넣고, 상기의 공정과 동일하게 2차 추출액을 제조하고, 2차 농축액을 제조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의 2차 추출액 제조 후 남은 잔여물에 물을 흑삼중량의 2 ~ 3 배로 넣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3차 추출액을 제조하고, 3차 농축액을 제조하는 제7공정, 1차 내지 3차 농축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8공정, 이 혼합물을 10 ~ 30 ℃에서 72 ~ 84 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9공정, 이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10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 농축액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10 ~ 50 ㎎/g, 진세노사이드 Rg2가 5 ~ 15 ㎎/g, Rb1이 0.001 ~ 0.05 ㎎/g, Rd가 1.0 ~ 4.0 ㎎/g, Rf가 5.0 ~ 10.0 ㎎/g, Rh1이 5.0 ~ 10.0 ㎎/g, Rh2가 0.01 ~ 0.10 ㎎/g인,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
KR1020060005237A 2006-01-18 2006-01-18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KR10060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37A KR100600795B1 (ko) 2006-01-18 2006-01-18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37A KR100600795B1 (ko) 2006-01-18 2006-01-18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795B1 true KR100600795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37A KR100600795B1 (ko) 2006-01-18 2006-01-18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795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52B1 (ko) 2006-12-21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인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홍삼의 제조방법
KR100844990B1 (ko) 2006-07-20 2008-07-08 박용진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920661B1 (ko) 2007-10-23 2009-10-08 한국한방식품공사주식회사 사포닌 함량이 높은 흑삼 및 그 제조방법.
WO2011043564A2 (ko) * 2009-10-07 2011-04-14 Kim Hang Jong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59265A2 (en) * 2009-11-13 2011-05-19 Cj Cheiljedang Corp.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g3 from ginseng radix
KR101067957B1 (ko) 2009-08-17 2011-09-26 박희춘 건식에 의한 홍삼의 제조방법
KR101205200B1 (ko) 2009-02-16 2012-11-27 (주)대덕바이오 탄산나트륨을 이용한 활성성분 함량이 우수한 흑삼의 제조방법
WO2013009137A2 (ko) * 2011-07-14 2013-01-17 Ko Sang Wha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KR101224574B1 (ko) 2010-03-18 2013-01-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234605B1 (ko) 2005-11-24 2013-02-22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흑진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진삼
KR101274755B1 (ko) 2013-02-18 2013-06-17 정황진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275497B1 (ko) 2013-02-18 2013-06-20 정황진 사포닌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279935B1 (ko) * 2011-04-22 2013-07-05 김우식 흑인삼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295846B1 (ko) 2013-02-18 2013-08-12 정황진 사포닌 함량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주 및 상기 홍삼주의 제조방법
KR101295549B1 (ko) 2013-04-16 2013-08-12 유한회사 가피식품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분말의 제조방법
KR101358755B1 (ko) 2012-08-20 2014-02-07 곽병렬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농축액
KR101363074B1 (ko) 2013-11-20 2014-02-14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21종의 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기능성 홍삼 또는 홍삼가루 및 상기 기능성 사포닌 함량 증강 홍삼 또는 홍삼가루의 제조
KR20150030012A (ko) 2013-09-11 2015-03-19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진세노사이드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645337B1 (ko) * 2015-06-02 2016-08-04 한국식품연구원 숙성 삼채를 이용한 식이 소재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741171B1 (ko) 2015-11-19 2017-05-29 좋은영농조합법인 삼채 추출물과 홍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액상젤리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10401A (zh) * 2018-09-11 2018-12-18 吉林人参研究院(吉林省长白山天然药物研究院) 一种以生晒参为原料加工黑参的方法
KR20190059536A (ko) * 2017-11-23 2019-05-31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3699A (ko) 2018-12-28 2020-07-09 윤청광 홍삼농축액을 이용한 가용성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05B1 (ko) 2005-11-24 2013-02-22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흑진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진삼
KR100844990B1 (ko) 2006-07-20 2008-07-08 박용진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805852B1 (ko) 2006-12-21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인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홍삼의 제조방법
KR100920661B1 (ko) 2007-10-23 2009-10-08 한국한방식품공사주식회사 사포닌 함량이 높은 흑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200B1 (ko) 2009-02-16 2012-11-27 (주)대덕바이오 탄산나트륨을 이용한 활성성분 함량이 우수한 흑삼의 제조방법
KR101067957B1 (ko) 2009-08-17 2011-09-26 박희춘 건식에 의한 홍삼의 제조방법
CN102711779A (zh) * 2009-10-07 2012-10-03 金恒钟 用于预防或治疗肝癌的包含乌参提取物的组合物
WO2011043564A3 (ko) * 2009-10-07 2011-09-01 Kim Hang Jong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43564A2 (ko) * 2009-10-07 2011-04-14 Kim Hang Jong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59265A3 (en) * 2009-11-13 2011-11-10 Cj Cheiljedang Corp.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g3 from ginseng radix
WO2011059265A2 (en) * 2009-11-13 2011-05-19 Cj Cheiljedang Corp.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g3 from ginseng radix
KR101224574B1 (ko) 2010-03-18 2013-01-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279935B1 (ko) * 2011-04-22 2013-07-05 김우식 흑인삼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325832B1 (ko) 2011-07-14 2013-11-05 고완석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WO2013009137A2 (ko) * 2011-07-14 2013-01-17 Ko Sang Wha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WO2013009137A3 (ko) * 2011-07-14 2013-06-13 Ko Sang Wha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US9289458B2 (en) 2011-07-14 2016-03-22 Sang Wha Ko Method for producing black ginseng having increased ginsenoside RH2 component content, and black ginseng product produced by means of the production method
CN103717092A (zh) * 2011-07-14 2014-04-09 高相和 能使人参皂苷Rh2成分的含量增加的黑参制造方法以及通过该制造方法制造的黑参产品
KR101358755B1 (ko) 2012-08-20 2014-02-07 곽병렬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농축액
KR101274755B1 (ko) 2013-02-18 2013-06-17 정황진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295846B1 (ko) 2013-02-18 2013-08-12 정황진 사포닌 함량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주 및 상기 홍삼주의 제조방법
KR101275497B1 (ko) 2013-02-18 2013-06-20 정황진 사포닌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295549B1 (ko) 2013-04-16 2013-08-12 유한회사 가피식품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분말의 제조방법
KR20150030012A (ko) 2013-09-11 2015-03-19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진세노사이드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363074B1 (ko) 2013-11-20 2014-02-14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21종의 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기능성 홍삼 또는 홍삼가루 및 상기 기능성 사포닌 함량 증강 홍삼 또는 홍삼가루의 제조
KR101645337B1 (ko) * 2015-06-02 2016-08-04 한국식품연구원 숙성 삼채를 이용한 식이 소재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741171B1 (ko) 2015-11-19 2017-05-29 좋은영농조합법인 삼채 추출물과 홍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액상젤리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9536A (ko) * 2017-11-23 2019-05-31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576B1 (ko) 2017-11-23 2019-08-0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010401A (zh) * 2018-09-11 2018-12-18 吉林人参研究院(吉林省长白山天然药物研究院) 一种以生晒参为原料加工黑参的方法
KR20200083699A (ko) 2018-12-28 2020-07-09 윤청광 홍삼농축액을 이용한 가용성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795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KR100543862B1 (ko)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KR100913243B1 (ko)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AU2020280860B2 (en) Anti-influenza virus composition, composition f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and anti-aging composition, comprising dark ginseng extract
KR101691334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KR100864471B1 (ko) 생약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가공 인삼 및 그제조방법
CN101073433A (zh) 一种刺梨果汁固体制品及其制备方法
CN101073370A (zh) 一种刺梨糖果制品及其制备方法
KR20060132212A (ko)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98208A (ko) Rg3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2273966B1 (ko)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WO2004080995A1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高含有物の製造方法
KR101908338B1 (ko) 유효성분 손실 저감화 홍삼의 제조방법
RU2533040C2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итоджема (варианты)
CN108497246A (zh) 一种植物减肥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43723A (ko) 원적외선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KR100388080B1 (ko) 고지혈증, 간기능 조절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932438B1 (ko)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KR101921507B1 (ko)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KR101102185B1 (ko) 홍삼으로부터 지용성 및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활용을 최대화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101958442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654633B1 (ko) 삼채 뿌리를 이용한 홍삼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삼채 뿌리를 이용한 홍삼채
KR101347807B1 (ko) 폐질환 또는 비만의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