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680B1 -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680B1
KR100600680B1 KR1020040063448A KR20040063448A KR100600680B1 KR 100600680 B1 KR100600680 B1 KR 100600680B1 KR 1020040063448 A KR1020040063448 A KR 1020040063448A KR 20040063448 A KR20040063448 A KR 20040063448A KR 100600680 B1 KR100600680 B1 KR 10060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mode
power
circuit bloc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053A (ko
Inventor
아라끼가쯔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1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는 제1 회로 블록(300)과 제2 회로 블록(107, 109, 100~ 112, 128)을 포함한다. 제1 회로 블록은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제2 회로 블록은 네트워크 루팅과 연관된 처리를 실행한다. 컨트롤러(116)는 적어도 제1 회로 블록과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적어도 제2 회로 블록에는 전력을 공급하지만 적어도 제1 회로 블록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네트워크 루팅, 동작 모드, 스트림 데이터, 주 전원 스위치, 회로 블록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에서 uCOM(4)의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uCOM에 의해 선택되는 각종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표.
도 4는 각종의 동작 모드(혹은 스테이트)가 각종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천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종의 이벤트의 정의를 나타내는 표.
도 6은 실행 모드(Run mode)에 포함되는 각종의 스테이트들을 설명하는 표.
도 7은 실행 모드에 포함되는 각종의 스테이트가 각종의 이벤트들(커맨드들)에 대응하여 천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각종의 이벤트들(커맨드들)의 정의를 나타내는 표.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흐름도.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흐름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 흐름도.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흐름도.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흐름도.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 흐름도.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4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메모리
107: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
110: 무선 LAN 컨트롤러
116: uCOM
119: 형광 표시부
121: 전원 회로
300: 스트림 컨트롤러부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이 다른 다수의 동작 모드들 중에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AV(Audio Visual) 디바이스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들의 각종 전자 디바이스끼리 조합하거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특히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축적시키거나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는, 네트워크 루팅을 행하는 라우터 기능이나 파일 서버 기능, 방송용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 등을 실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성능의 프로세서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가령 아이들(Idle) 시에도 소비 전력이 커진다. 또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항상 통전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 설계 및 쿨링팬의 소음도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것부터,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의 제시가 기대되고 있다.
또, 다양한 절전 기술들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평11-327706호 공보에는 디바이스 내의 전자 회로를 다수의 회로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종 시스템 모드에서의 동작에 필요한 회로 블록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전 기술은,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의 전자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루팅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이나, AV(Audio Visual) 데이터 처리 즉,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에서의 전력 소비에 주목하여 미세한 전원 제어를 행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큰 회로 블록들에 의한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1 회로 블록과, 네트워크 루팅에 관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2 회로 블록과, 적어도 상기 제1 회로 블록 및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적어도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적어도 상기 제1 회로 블록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1 회로 블록과, 네트워크 루팅에 관하는 처리를 행하는 제2 회로 블록을 포함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전원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상황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되는 상황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1 회로 블록 및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적어도 상기 제2 회로 블 록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적어도 상기 제1 회로 블록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1에 도시되는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추는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AV(Audio Visual) 디바이스 등을 네트워크 등을 개재하여 접속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이다.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은 네트워크 루팅에 관하는 처리(및 파일 서버 기능에 의한 파일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이나, AV 데이터 처리(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포함한다)를 행하는 회로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이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은 메인 CPU(100), 시스템 메모리(101), 노스브리지(north bridge)(102), 부트 로더(boot loader)(103), 사우스브리지(south bridge)(104),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105),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06),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107), IEEE 1394 포트(108), IEEE 1394 컨트롤러(109), 무선 LAN 컨트롤러(110), LAN 컨트롤러(WAN 측)(111), LAN 컨트롤러(LAN측)(112), 무선 LAN용 안테나(113), WAN(Wide Area Network) 포트(114), LAN(Local Area Network) 포트(115), uCOM(l16), 리모콘 수광부(117), 패널 스위치부(118), 형광 표시부(119), LED(Light Emitting Diode)(120), 전원 회로(121), 프론트 엔드부(front end)(122), 스트림 프로세서(123), 오디오 입출력 포트(124), 비디오 입출력 포트(125), 프레임 버퍼용 메모리(126), HDD(Hard Disk Drive)/광 드라이브(127), 모뎀(128), 및 USB-Bluetooth 모듈(130)을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프로세서(123), 오디오 입출력 포트(124), 비디오 입출력 포트(125), 프레임 버퍼용 메모리(126), 및 HDD/광 드라이브(l27)에 의해, 스트림 컨트롤부(AV 데이터 처리 실행부)(300)가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CPU(100)는, 이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CPU(10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시스템 메모리(101)는, 메인 CPU(100)의 작업 에리어로서 사용되는 RAM (Random Access Memory)이다. 0S(0perating System)나 각종 프로그램, 각종 드라이버 등이 시스템 메모리(101) 내에 상주한다.
노스브리지(102)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VGA 컨트롤러 등의 각종 컨트롤러와 CPU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노스브리지(102)는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메인 CPU(1OO)와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을 접속하는 브리지로서 기능한다.
부트 로더(103)는 예를들어, 하드웨어의 설정을 위한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Basic Input/0utput System))를 갖는 BIOS-ROM 등에 상당한다.
사우스브리지(104)는, I/0 컨트롤러나 RTC(Real Time C1ock)를 갖고, 디바이 스들(예를 들면 USB 포트(105)와 PCI 버스)를 접속하는 브리지로서 기능한다. 또한, 사우스브리지(104)는, 내부 집적 회로(I2 C) 버스를 개재하여 uCOM(116)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 관리(Power Management)에 관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우스브리지(104)로부터 Wake-on 신호를 uCOM(l16)로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USB 포트(105)는, USB에 준거하는 USB 디바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06)는, 컴팩트 플래시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107)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06)에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제어하는 것이고, PCI 버스에 접속되는 PCI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이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l07)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06)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로부터 소정의 요구(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요구/그 서비스 종료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상기하는 이벤트(예를 들면, Router_Wakeup/Router_OFF)를 uCOM(ll6)에 대하여 발행한다.
IEEEl394 포트(1O8)는, IEEE1394에 준거하는 IEEE1394 디바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IEEE1394 컨트롤러(109)는, IEEE1394 포트(108)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Link/PHY 층에 관하여) 제어하는 것이고, PCI 버스에 접속되는 PCI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이 IEEE1394 컨트롤러(1O9)는, IEEE1394 포트(1O8)를 통하여 IEEE1394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요구(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요구/그 종료요구)를 받았을 때에는, 상기하는 이벤트(예를 들면, Router_Wakeup/Router_OFF)를 uC0M(116)에 대하여 발행한다.
무선 LAN 컨트롤러(110)는, 무선 LAN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이고, PCI 버스에 접속되는 PCI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이 무선 LAN 컨트롤러(110)는, 무선 LAN 용 안테나(113)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요구(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요구/그 종료요구)를 받았을 때에는, 상기하는 이벤트(예를 들면, Router_Wakeup/Router_OFF)를 uCOM(l16)에 대하여 발행한다.
LAN 컨트롤러(WAN측)(111)는, WAN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이고, PCI 버스에 접속되는 PCI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이 LAN 컨트롤러(111)는, WAN 포트(114)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요구(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요구/그 서비스 종료요구)를 받았을 때에는, 상기하는 이벤트(예를 들면, Router_Wakeup/Router_OFF)를 uC0M(l16)에 대하여 발행한다.
LAN 컨트롤러(LAN측)(112)는, LAN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이고, PCI 버스에 접속되는 PCI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이 LAN 컨트롤러(112)는, LAN 포트(115)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요구(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요구/그 서비스 종료요구)를 받았을 때에는, 상기하는 이벤트(예를 들면, Router_Wakeup/Router_OFF)를 uC0M(l16)에 대하여 발행한다.
무선 LAN 용 안테나(113)는, 무선 LAN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WAN 포트(114)는, WAN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LAN 포트(115)는, LAN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uCOM(l16)는, 전원 관리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전원 관리, IR (적외선) 컨트롤, 스위치 인터페이스, LED 컨트롤, 표시 컨트롤, Wakeup 요인 관리, 쿨링팬 제어 등을 행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 진술한다.
리모콘 수광부(117)는, 본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에 부속의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고 부른다)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그것에 도시되는 지시 내용을 uCOM(l16)에 통지한다.
패널 스위치부(118)는 각종 스위치들을 갖는다. 이 스위치들은 본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 본체의 패널 상에 포함된다. 이 스위치들은 본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 본체의 주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한 주 전원 스위치(또는 버튼)와, 네트워크 루팅에 관하는 처리(및 파일 서버 기능에 의한 파일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한 라우터 전원 스위치(또는 버튼) 등이 포함된다. 또한, 패널 스위치부(118)는 AV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한 AV 처리 전원 스위치(또는 버튼)를 갖고, 또한, 사전에 설정된 동작 모드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루팅 모드 시프트 스위치(예를 들면, 주 전원 스위치의 온 시간이나 셧 다운 시에 루팅 모드로 천이하는지 여부를 선택적으로 판정하기 위한) 루팅 모드 시프트 스위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스위치군은 리모콘 측에도 설치되어 있다.
형광 표시부(119)는, uCOM(l16)으로부터 보내여져 오는 각종의 정보 아이템들을 형광 표시하는 것이다. LED(120)는, uCOM(l16)으로부터 보내여져 오는 각종의 상태 데이터를 발광에 의해서 도시하는 인디케이터이다. 전원 회로(121)는, uCOM(l16)의 제어를 기초로, 본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 내의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프론트 엔드부(122)는, 튜너, 비디오 디코더, MPEG 인코더, 사운드 회로 등을 포함한다. 프론트 엔드부(122)는 각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고, 채널을 선택하고, 화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 다음, 스트림 프로세서(123)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트림 프로세서(123)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 혹은 AV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고성능 프로세서이다. 예를 들면 프론트 엔드부(122)로부터 출력된 스트림 데이터를 HDD/광 드라이브(127)에 기록하거나, 기록한 스트림 데이터를 오디오 입출력 포트(124), 비디오 입출력 포트(125) 등을 개재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스트림 프로세서(123)는, MPU(MicroProcessor Unit)(200),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메모리 콘트롤러(202), 호스트 인터페이스(203), IDE(Integrated Device Electronics) 컨트롤러(204), 오디오 프로세서(205), 및 비디오 프로세서(206)를 포함한다.
MPU(200)는 스트림 프로세서(l23) 전체의 동작을 담당하는 것이다. 스트림 인터페이스(201)는 프론트 엔드부(12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스트림 데이터 또는 노스브리지(10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 이 스트림 인터페이스(201)에 MPEG 디코더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메모리 컨트롤러(202)는, 메모리(126)를 제어하는 것이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03)는, PCI 버스를 개재하여 호스트와의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IDE 컨트롤러(204)는, IDE와 호환가능한 HDD/광 드라이브(127)를 제어하는 것이다. 오디오 프로세서(205)는, 오디오 입출력 포트(124)를 개재하여 송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비디오 프로세서(206)는, 비디오 입출력 포트(125)를 개재하여 송수신되는 비디오 신호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 파일 서버 기능은, 주로 IDE 컨트롤러(204) 및 HDD/광 드라이브(127)에 의해 실현된다. 이 파일 서버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파일 처리를 행하는 데 전원을 필요로 하는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호스트 인터페이스(203), IDE 컨트롤러(204) 및 HDD/광 드라이브(127) 각각에 대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이 때,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오디오 프로세서(205) 및 비디오 프로세서(206)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력을 공급할 필요는 없다.
오디오 입출력 포트(l24)는, Line IN/0UT, SPDIF 등에 상당하고, 다른 AV 디바이스로/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비디오 입출력 포트(125)는, 콤포지트, S 커넥터, 디지털 비디오 포트 등에 상당하고, 다른 AV 디바이스로/로부터 비디오 신호들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메모리(126)는 스트림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HDD/광 드라이브(127)는, 하드 디스크를 구동하는 HDD나, CD, DVD-ROM, DVD-RAM 등을 구동하는 광 드라이브에 상당하여, 스트림 데이터, 인터넷 콘텐츠,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것이다.
모뎀(128)은, 외부의 아날로그 회선과의 사이에서 변복조 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PCI 버스에 접속되어 있다. USB-Bluetooth 모듈(l30)은, USB 포트(105)에 접속되어, Bluetooth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USB-BluetooLh 모듈(l30)은, USB에 기초하는 데이터와 Bluetooth에 기초하는 데이터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에 있어서, 네트워크 루팅과 연관된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은,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1O7), IEEE 1394 컨트롤러(1O9), 무선 LAN 컨트롤러(110), LAN 컨트롤러(WAN 측)(ll1), LAN 컨트롤러(LAN 측)(112), 모뎀(128)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AV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회로 블록은, 스트림 컨트롤부(300)에 상당한다.
도 2는, uCOM(116)의 기능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uCOM(l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관리, IR (적외선) 컨트롤, 스위치 인터페이스, LED 컨트롤, 표시 컨트롤, Wakeup 요인 관리, 쿨링팬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한 uCOM(l16)은, 상황에 따라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전원 관리에 있어서 다수의 동작 모드(후술)의 사이에서 전환 제어(switch)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서, uCOM(l16)는, 상황 감시부(301), 기억부(302), 판정부(303), 및 처리 실행부(304)를 포함하고 있다.
상황 감시부(301)는, 도 1에 도시한 리모콘 수광부(117), 패널 스위치(118),각종 컨트롤러(107, 109, 110∼112), 모뎀(128) 등으로부터 발행되는 각종 이벤트나 커맨드를 검출하고 상황(즉, 메인 CPU(100)을 통하지 않고서, I/0 컨트롤러들을 통하여 물리층에 관한 신호를 모니터함으로써 Wakeup 이벤트 등을 취득한다)을 감시한다. 기억부(302)는, 레지스터군 등을 포함하고, 현재의 상황을 나타내는 각종의 정보 아이템(이벤트 정보, 동작 모드, 스테이트 등)을 기억한다. 판정부(303)는, 각종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각종 이벤트나 커맨드에 대응하여, 다음으로 시프트되어야하는 동작 모드나 처리하여야 할 아이템을 결정하기도 한다. 처리부(304)는, 판정부(303)에 의해 판정된 콘텐츠에 기초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 uC0M에서 실현하는 각종 기능들은 일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 이용하지 않고서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uCOM(l16)에 의해 선택될 동작 모드들을 설명한다.
전원 관리에 관해서는 적어도 다음의 4 종류의 동작 모드들이 있다.
동작 정지 모드(Mechanical off mode), 대기 모드(Stanby mode),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Network/file server mode), 실행 모드(Run mode).
동작 정지 모드(Mechanical_off mode)는, 본체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상 태(스테이트 G3)에 상당한다. 이 상태에서는, 시스템은 동작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사우스브리지(104) 내의 RTC 타이머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또, 본체의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 모드(Stanbymode)는, 시스템 대기 상태인 스테이트(G2)에 상당한다. 이 상태에서는, 본체의 표시 패널 및 LED 둘다 액티브하다. 또한, 전원 관리 마이크로 컴퓨터인 uCOM(l16)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하드웨어로 전원 공급이 행해진다. 스위치(118), 리모콘 수광부(117), WOL(Wake 0n LAN), W0R(Wake 0n Ring) 및, RTC 타이머 등의 모듈로부터의 Wake_Up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 모드에서는, 시스템의 전원은 오프되고 따라서 소비 전력은 매우 작다.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는, 라우터 기능(및, 파일 서버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루팅 처리(및 파일 처리)의 서비스를 행할 수 있는 동작 상태(스테이트 Gl)에 상당한다. 이 모드에서는 또한, 네트워크용의 서브 시스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에의 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한편, 메인 CPU(100)가 네트워크 기능을 실현한다면, 메인 시스템 및 네트워크부(무선 컨트롤러(110), LAN 컨트롤러(111), LAN 컨트롤러(112) 등)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이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서, uCOM(116)는,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부를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예를 들면, 파일 서버로서의 기능을 서포트하기 위해서는, HDD(127) 및 HDD 컨트롤러(204)로의 전원 공급도 행해진다. 또한,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 메인 CPU(100) 또는 그 밖의 디바이스들이 태스크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 각 디바이스는 Halt 상태, Sleep 상태, 또는 클럭 정지 상태로 시프트된다.
실행 모드(Run mode)는, 모든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를 행할 수 있는 동작 상태(스테이트 G0)에 상당한다. 이 모드에서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림 컨트롤부(300) 및 I/O 처리 실행부(USB 포트(105),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06), IEEE 1394 포트(108) 등)로의 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또한,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 메인 CPU(100) 및 그 밖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태스크를 처리하지 않는 경우, 각 디바이스는 Halt 상태 또는 클럭 정지 상태로 시프트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각종의 동작 모드와 각종의 이벤트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각종의 동작 모드(혹은 스테이트)가 각종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천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벤트들을 정의하는 표이다.
도 4에 도시된 동작 정지 모드(Mechanical-off mode)(스테이트 G3)에 있어서는, 본체의 주 전원이 온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본체에 삽입된 경우(즉, 이벤트 Power_ON을 수취한 경우), 원칙으로서 대기 모드(Stanby mode)(스테이트 G2)로 시프트된다. 그러나, 이 때에 본체의 루팅 동작 모드 시프트 스위치가 온으로 되거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한 설정 정보가 유효를 나타내고 있으면(즉, Router_EN이 "1"을 나타내고 있으면), 동작 정지 모드는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1)로 시프트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대기 모드(Stanby mode)(스테이트 G2)는, 본체에 설치된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시를 요구하는 이벤트 Router_Wakeup를 받은 경우,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1)로 시프트한다. 또한, 본체에 설치된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전원 온을 요구하는 이벤트 P0N_EVT을 수취한 경우, 대기 모드는 실행 모드(스테이트 G0)로 시프트한다. 또한, 본체의 주 전원의 스위치가 오프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된 경우(즉, 이벤트 Power_OFF를 수취한 경우), 또는 그 밖에 전원 이상을 도시하는 이벤트 Power_Fai1를 수취한 경우에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l)는, 본체에 설치된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료를 요구하는 이벤트 Router_OFF를 받은 경우,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시프트한다. 또한,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는 본체에 설치된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전원 온을 요구하는 이벤트 P0N_EVT를 수취한 경우, 실행 모드(스테이트 G0)로 시프트한다. 또한, 본체의 주 전원의 스위치가 오프되던가, 전원 플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된 경우(즉, 이벤트 Power_OFF를 수취한 경우), 그 밖에 전원 이상을 도시하는 이벤트 Power_Fai1를 수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도 4에 도시되는 실행 모드(스테이트 G0)에 있어서는, 본체에 설치된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전원 오프를 요구하는 이벤트 Shutdown EVT을 수취한 경우,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시프트한다. 그러나, 본체의 루팅 모드 시프트 스위치가 온으로 되던가,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한 설정 정보가 "유효"를 나타낸다면(즉, Router_EN이 "1"을 나타낸다면), 동작 모드는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l)로 시프트한다. 또한, 전원 이상을 도시하는 이벤트 Power_Fai1를 수취한 경우에는, 동작 모드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OM이 검출하는 이벤트로서, Power_ON, Power_OFF, Router_EN, Router_Wakeup, Router_OFF, PON_EVT, Shutdown_EVT, 및 Power_Fai1가 있다.
Power_ON은, 본체의 주 전원의 스위치가 온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본체에 삽입된 경우에 발행된다.
Power_OFF는, 본체의 주 전원의 스위치가 오프로 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된 경우에 발행된다.
Router_EN 은, 본체의 루팅 모드 시프트 스위치가 전환되거나, 혹은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한 설정 정보로서 도시되는 것이다. Router_EN의 값이 O(무효)인 경우는, 스테이트를 G3로부터 G2로 시프트시키고 스테이트를 G0로부터 G2 혹은 G1으로 시프트시켜야 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Router_EN의 값이 1(유효)인 경우는, 스테이트를 G3로부터 G1로 시프트시키고, 스테이트를 G0로부터 G1로 시프트시켜야 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
Router_Wakeup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시를 요구하는 이벤트이다. Router_OFF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료를 요구하는 이벤트이다. PON_EVT는 전원 온을 요구하는 이벤트이다. Shutdown_EVT는, 전원 오프를 요구하는 이벤트이다. 이들의 이벤트는, 본체에 설치된 각종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발행된다. 예를들어, 이 이벤트들은 패널 스위치부(118)의 라우터 전원 버튼, 리모콘 상의 라우터 전원 버튼, RTC 타이머, LAN 상의 디바이스, 무선 LAN 상의 디바이스, WAN 상의 디바이스, USB 대응 디바이스(키보드 등), Bluetooth 대응 디바이스, IEEE1394 대응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Power_Fai1은, 전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이다.
그런데, 상술한 실행 모드(스테이트 G0)는, 또한 다수의 스테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행 모드에서, uCOM(116)는 상황에 따라 전력 소비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AV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스트림 컨트롤부(300)를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들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정지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실행 모드에 포함되는 각종의 스테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행 모드에 포함되는 스테이트에는, 적어도 아이들(Idle) 상태(스테이트 ST2), 스토리지(Storage) 사용 상태(스테이트 STl), 실행(Run) 상태(스테이트 ST0)의 3개 상태들이 있다.
아이들(Idle) 상태(스테이트 ST2)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오디오 프로세서(205) 및 비디오 프로세서(206)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지 않고, 오프 상태로 된다. 한편,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03)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이 행하여져, 런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된다.
스토리지 사용 상태(스테이트 STl)는, 파일 기능으로서의 파일 처리나 미디어의 교환 처리 등을 행할 때에 설정된다. 상기 스테이트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비디오 프로세서(206) 및 오디오 프로세서(205)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지 않고, 오프 상태로 되지만, IDE 컨트롤러(204)에 대하여 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실행(Run) 상태(스테이트 ST0)는 4 종류의 스테이트 AV0, AV1, AV2, Audio로 분류된다.
스테이트 AV0는, 예를 들면, 생방송의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처리나, 타임 시프트 비디오 녹화 등을 행할 때 설정된다. 이 스테이트 AV0에 있어서는,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호스트 인터페이스(203),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오디오 프로세서(205) 및 비디오 프로세서(206)의 모두에 대하여 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이 때,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03)는 런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이다.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비디오 프로세서(206) 및 오디오 프로세서(205)는 런 상태이다.
스테이트 AV1는, 예를 들면, 비디오 재생, 네트워크 콘텐츠의 재생, 이미지 뷰어의 사용, 메일러/ 브라우저의 사용, 비디오 편집 등을 행할 때에 설정된다. 이 스테이트 AV1에 있어서는,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03)는 런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되고, 프론트 엔드부(122) 및 스트림 인터페이스(201)는 오프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되며, 비디오 프로세서(206) 및 오디오 프로세서(205)는 런 상태로 된다.
스테이트 AV2는, 예를 들면, 비디오 녹화나 오디오 기록 등을 행할 때에 설정된다. 이 스테이트 AV2에 있어서는,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03)는 런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되고, 프론트 엔드부(122) 및 스트림 인터페이스(201)는 런 상태로 되며, 비디오 프로세서(206) 및 오디오 프로세서(205)는 오프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된다.
스테이트 Audio는, 오디오 재생 등을 행할 때에 설정된다. 이 스테이트 Audio 에서는,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03)는 런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에 되고,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및 비디오 프로세서(206)는 오프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되며, 오디오 프로세서(205)는 런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행 모드에 포함되는 스테이트들과 이벤트들(커맨드들)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행 모드에 포함되는 각종의 스테이트가 각종의 이벤트들(커맨드들)에 대응하여 천이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각종의 이벤트들(커맨드들)의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이벤트들(커맨드들)은, 패널 스위치부(118), 리모콘,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들로부터 발행되는 각종의 커맨드들에 상당한다.
도 7에 도시되는 아이들(Idle) 상태(스테이트 ST2)에 있어서, 파일 서버로서의 파일 처리나 미디어의 교환 처리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이벤트 AV_cmd_0에 상기)를 수취한 경우, 스토리지(Storage) 사용 상태(스테이트 STl)로 시프트한다. 한편, AV 데이터의 기록/ 재생 처리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이벤트 AV_cmd_1 (즉, 이벤트 AV_cmd_1_0, 이벤트 AV_cmd_1_1, 이벤트 AV_cmd_1_2, 및 이벤트 AV_cmd_1_a 각각에 상기)을 수취한 경우에도, 아이들 상태는 실행 상태(스테이트 ST0)로 시프트한다.
도 7에 도시되는 스토리지(Storage) 사용 상태(스테이트 STl)는, AV 데이터의 기록/ 재생 처리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이벤트 AV cmd_1에 상기)을 수취한 경우, 실행 상태(스테이트 ST0)로 시프트한다. 발행한 커맨드의 정지를 요구하는 커맨드(이벤트 AV_cmd_2에 상기)을 수취한 경우에도, 스토리지 사용 상태는 아이들 상태(스테이트 ST2)로 시프트한다.
도 7에 도시되는 실행 상태(스테이트 ST0)는, 파일 서버 기능로서의 파일 처리나 미디어의 교환 처리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이벤트 AV_cmd_0에 상기)를 수취한 경우, 스토리지(Storage) 사용 상태(스테이트 ST1)로 시프트한다. 한편, 발행한 커맨드의 정지를 요구하는 커맨드(이벤트 AV_cmd_2에 상기)을 수취한 경우, 아이들 상태(스테이트 ST2)로 시프트한다.
또한, 4 종류의 스테이트 AV0, AV1, AV2, Audio의 사이에서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AV_cmd_1_0, AV_cmd_l_1, AV_cmd_1_2, AV_cmd_1_a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하는 상태 천이가 행하여진다.
상기 이벤트는, AV_cmd_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서버 기능으로서의 파일 처리나 미디어의 교환 처리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에 상기한다. AV_cmd_1_O는, 생방송의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처리나, 타임 시프트 비디오 녹화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에 상기한다. 이벤트 AV_cmd_l_1은, 비디오 재생, 네트워크 콘텐츠의 재생, 이미지 뷰어의 사용, 메일러/ 브라우저의 사용, 비디오 편집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에 상기한다. AV_cmd_1_2는, 비디오 녹화나 오디오 기록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에 상기한다. AV_cmd_1_a는, 오디오 재생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에 상기한다. AV_cmd_2는, 발행한 커맨드의 정지를 요구하는 커맨드에 상기한다.
또, 두개의 처리 기능들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에는, 양 처리들에서 사용되는 각 회로 블록들(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호스트 인터페이스(203),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오디오 프로세서(205) 및 비디오 프로세서(206))의 동작 모드끼리 비교하여 (도 6 참조), 양 기능들의 요건을 만족하는 스테이트로 시프트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재생(Video playback) 및 비디오 녹화(Video record)가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 적어도 MPU(200), 메모리 컨트롤러(202)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03)를 런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하고, 프론트 엔드부(122), 스트림 인터페이스(201), 비디오 프로세서(206) 및 오디오 프로세서(205)를 런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스테이트는 상태 AV0로 천이한다.
다음에, 도 9∼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주로, 본체의 패널 스위치나 리모콘으로부터의 이벤트에 따른 동작 모드 천이에 관해 주로 설명한다.
일단,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어 있거나 혹은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의 상태(초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동작 모드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 로 되어 있다(단계 S11).
여기서,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거나, 혹은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온 될 때(단계 S12의 '예'), uCOM(l16)가 기동된다(단계 S13).
uCOM(l16)은, 라우터 전원 스위치의 설정 상태 혹은,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사전에 설정된 설정 정보(Router_EN의 값)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스테이트 G1)로 시프트시킬지 여부를 판정한다. 동작 모드가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로 시프트되면, 도 10에 도시된 단계 S21의 처리로 진행한다. 그렇지않다면, 동작 모드는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된다.
대기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 되거나(즉, 이벤트 Router_OFF가 검출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는(즉, 이벤트 Power_Fail이 검출되는) 경우(단계 S16의 '예'), 단계 Sll의 처리로 되돌아가, 동작 정지 모드로 시프트한다.
또한, 대기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 상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키)가 눌러진다면(즉, Router_Wakeup이 검출됨)(단계 S17의 '예'),도 10에 도시된 단계 S21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대기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 상의 주 전원 스위치(키)가 눌러진 경우나, AV 커맨드(Play 키, Eject 키 등)이 눌러진 (즉, PON_EVT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18의 '예'), 도 11의 단계 S31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6에서 S18로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5로 되돌아 가, 대기 모드(스테이트 G2)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도 10에 있어서, uCOM(116)는, 네트워크 루팅 처리가 가능하여 지도록, 시스템 전원 회로에 대하여 전원 인에이블(EN) 신호를 발행하여 (단계 S21), 주 전원을 온 상태로 하여 (단계 S22), 시스템을 기동하여, 라우터로서의 네트워크 루팅 서비스를 개시한다(단계 S23). 즉, 동작 모드는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l)로 시프트한다. 또한, 이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서는, 각 기능의 부하나 사용/미 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CPU, HDD, HDD 컨트롤러 등의 모듈마다 사전에 설정된 절전 모드로 시프트하거나 (단계 S24), 통상의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로 되돌아가기도 한다.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 있어서,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 되거나(즉, 이벤트 PowerSW_OFF가 검출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는(즉, 이벤트 Power_Fail이 검출되는) 경우에는(단계 S25의 '예'), 도 9의 단계 S11의 처리로 복귀한다. 동작 모드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만약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 상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키)가 눌러진다면(즉, Router_OFF가 검출된다면) (스텝 S26의 '예'), 또한 그 외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S27의 '아니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15의 처리로 복귀한다. 동작 모드는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시프트한다.
또한,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 상의 주 전원 스위치(키)가 눌러진 경우나, AV계의 커맨드 키(Play 키, Eject 키 등)이 눌러진(즉, PON_EVT이 검출된) 경우에는(단계 S28의 '예'), 도 11에 도시된 단계 S31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25에서 S28로의 변화가 없다면, 단계 S23의 처리로 복귀하고 상기 시스템은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2)로 있다.
도 11에 있어서, uCOM(l16)은, AV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지도록, AV 전원 회로에 대하여 전원 인에이블(EN) 신호를 발행하고(또한, 스테이트 G2로부터의 천이인 경우에는 메인 시스템도 동시에 기동하고)(단계 S31), AV 전원을 온 상태로 하며(단계 S32), AV계 시스템(회로)을 기동하여 AV 및 네트워크 루팅 서비스를 포함하는 풀 동작 상태로 한다(단계 S33). 즉, 동작 모드를 실행 모드(스테이트 G0)로 시프트한다. 또한, 이 실행 모드에서는, 각 기능의 부하나 사용/미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CPU, HDD, HDD 컨트롤러, 및, AV 디바이스, I/0 포트 등의 모듈마다, 사전설정된 절전 모드로 시프트하거나(단계 S34), 통상의 실행 모드로 되돌아가기도 한다.
AV 동작 모드에 있어서,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거나(즉, 이벤트 Power_0FF가 검출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는(즉, 이벤트 Power_Fai1가 검출되는) 경우에는(단계 S35의 '예'), 도 9의 단계 S1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동작 모드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또한, AV 동작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 상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키)가 눌러진다면(즉, Router_OFF가 검출됨) (단계 S36의 '예'), 또한, 그 외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AV 서비스를 행하 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37의 '예'), 다음의 단계 S3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36에서 '아니오'이거나 단계 S37에서 '예'이면, 단계 S33의 처리로 되돌아가, 시스템은 AV 동작 모드의 상태로 된다.
본체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 상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 키가 눌러졌을 때에, 그 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AV 서비스를 행한다면 그리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있거나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가 인에이블에 되어 있다면(단계 S38의 '예'), 도 10의 단계 23의 처리로 되돌아가,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로 시프트한다. 한편, 상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38의 '아니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15의 처리로 되돌아가,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로 시프트한다.
도 12 내지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한다. 이 제2 예는, 주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이벤트에 따른 동작 모드 천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최초에는,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어 있거나, 혹은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의 상태(초기 상태)로 되고 있다. 시스템은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설정된다(단계 S41).
여기서,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거나, 혹은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온 될 때(단계 S42의 '예'), uCOM(116)가 기동한다(단계 S43).
uCOM(l16)는, 라우터 전원 스위치의 설정 상태, 혹은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사전에 설정된 사전 설정 정보(Router_EN의 값)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l)로 시프트시켜야 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동작 모드가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로 시프트된 경우에는, 도 13의 단계 S51의 처리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다면, uCOM(l16)은 미리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Wakeup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또는 Wakeup이 인에이블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45).
Wakeup이 허가되어 있다면, LAN 컨트롤러 등의 필요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을 기동하여(단계 S46), 동작 모드는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을 감시하는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시프트한다(단계 S47). 만약 그렇지 않다면, 동작 모드는 바로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시프트한다(스텝 S47).
대기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 되거나(즉, 이벤트 Router_OFF가 검출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는(즉, 이벤트 Power_Fail이 검출되는) 경우에는(단계 S48의 '예'), 단계 S41의 처리로 되돌아가, 동작 모드가 동작 정지 모드로 시프트한다.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는, 서버로서 기능하는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에 대하여, 필요하다면 Wakeup packet(MAC 어드레스 및 Wakeup 커맨드)를 발행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서버가 기동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Req 패킷을 발행한다.
대기 모드에 있어서, 네트워크상으로부터 Wakeup 패킷(MAC 어드레스 및 Wakeup 커맨드)를 검지한 경우에는(스텝 S49의 '예'), LAN 컨트롤러가 uC0M(l16)에 Wakeup 이벤트를 발행한다(스텝 S50). 흐름은 도 13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51의 처리로 진행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uCOM(l16)은 시스템계 전원 회로에 대하여 전원 인에이블(EN) 신호를 발행하고(단계 S51), 주 전원을 온 상태로 하고(단계 S52), 시스템을 기동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개시한다(단계 S53). 즉, 동작 모드를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스테이트 Gl)로 시프트한다.
Wakeup 패킷을 수신한 후 일정 기간 내에 네트워크 상의 어떠한 디바이스로부터도 요구가 발행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54의 '예'), 시스템은 타임 아웃 처리로서 셧 다운된다(단계 S55). 흐름은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47의 처리로 되돌아가 대기 모드로 시프트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 Req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56에서 '예'), 그 디바이스가 인증된다(단계 S57).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단계 S58의 '예'),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61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인증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OM(116)는, 라우터(서버)로서의 네트워크 루팅 서비스를 개시한다(단계 S61). 이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서는, 각 기능의 부하나 사용/미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CPU, HDD, HDD 컨트롤러 등의 모듈마다 사전에 설정된 절전 모드로 시프트하거나(단계 S62), 통상의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로 되돌아가기도 한다.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 있어서,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거나(즉, 이벤트 PowerSW_0FF가 검출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는(즉, 이벤트 Power_F ai1가 검출되는) 경우에는(단계 S63에서 '예'),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41의 처리로 되돌아가,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 있어서, 본체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나 리모콘의 라우터 전원 스위치(키)가 눌러진다면(즉, Router_OFF가 검출된다면)(단계 S64에서 '예'), 또한, 그 외의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65의 '아니오'),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스템 S4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동작 모드는 대기 모드(스테이트 G2)로 시프트한다.
또한,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인증 완료된)가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커맨드를 발행하면(즉, PON_EVT이 검출되면)(단계 S66에서 '예'), 흐름은 도 15에 도시된 단계 S71의 처리로 진행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M(116)는, AV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지도록, AV 전원 회로에 대하여 전원 인에이블(EN) 신호를 발행하고(또한, 스테이트 G2로부터의 천이인 경우에는 메인 시스템도 동시에 기동함)(단계 S71), AV(시스템) 전원을 온 상태로 하여(단계 S72), AV 시스템(회로)을 기동하여, AV 및 네트워크 루팅 서비스를 포함하는 풀 동작 상태로 둔다(단계 S73). 즉, 동작 모드를 실행 모드(스테이트 G0)로 시프트한다. 또한, 이 실행 모드에서는, 각 기능의 부하나 사용/미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CPU, HDD, HDD 컨트롤러, 및, AV 디바이스, I/0 포트 등의 모듈마다, 사전설정된 절전 모드로 시프트하거나(단계 S74), 통상의 실행 모드로 되돌아가기도 한다.
동작 모드에 있어서, 주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 되거나(즉, 이벤트 Power 0 FF가 검출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제거되는(즉, 이벤트 Power_Fai1이 검출되는) 경우에는(단계 S75에서 '예'),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4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동작 모드는 동작 정지 모드(스테이트 G3)로 시프트한다.
만약, 실행 모드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인증 완료된)가 셧 다운 커맨드를 발행하면(즉, Shutdown_EVT이 검출되면)(단계 S76에서 '예'), 또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그 외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AV 서비스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7에서 '아니오'), 다음의 단계 S7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76에서 '아니오'이거나 단계 S77에서 '예'이면, 단계 S73의 처리로 되돌아가 실행 모드 상태로 된다.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가 셧 다운 커맨드를 발행했을 때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AV 서비스가 행해지고 또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이 있다면 또는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가 인에이블에 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78에서 '예'),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61의 처리로 되돌아가, 동작 모드는 루팅 동작 모드로 시프트한다. 한편, 그렇지않다면(단계 S78에서 '아니오'),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단계 S47의 처리로 되돌아가, 대기 모드로 시프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원 관리에 관한 동작 모드를, 상황에 따라, 동작 정지 모드(Mechanical_off mode), 대기 모드(Stanby mode), 네트워크/파일 서버 모드(Network /file server mode), 및 실행 모드(run mode) 중에서 전환하여 처리를 행 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소비 전력이 큰 회로 블록들에 의한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부가적인 장점들 및 변형들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넓은 양태에서 본원 발명은 특정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9)

  1.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1 회로 블록;
    네트워크 루팅(routing)과 연관된 처리를 행하는 제2 회로 블록; 및
    다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회로 블록과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동작 모드, 상기 제2 회로 블록으로는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회로 블록으로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2 동작 모드,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회로 블록과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3 동작 모드, 및 시스템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제1 회로 블록과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4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transition)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상기 전환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가 온(on)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4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되거나 상기 전원 플러그가 제거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와 전원 이상(abnormality)이 발생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3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3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을 온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블록은, 시청각(audiovisual) 데이터를 처리하는 회로 블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블록은, 스트림 데이터(stream data)를 수신하는 회로 블록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회로 블록을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들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 및 중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시프트시켜야 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주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에 따라,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와 상기 제3 동작 모드 중 하나로 시프트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시프트시켜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주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와 상기 제3 동작 모드 중 하나로 시프트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시프트시키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요구도 발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동작 모드로 시프트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온/오프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와 상기 제3 동작 모드 중 하나로 시프트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1 동작 모드, 상기 제2 동작 모드, 및 상기 제3 동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네트워크 상의 상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요구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들 각각으로부터 발행되는 이벤트의 종류를 검출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인증을 행한 후, 상기 네트워크 상의 상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요구에 응답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황에 따라 상기 제2 회로 블록을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들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 및 중단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1 회로 블록과, 네트워크 루팅과 연관된 처리를 행하는 제2 회로 블록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전원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스테이터스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된 스테이터스에 따라 다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회로 블록과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동작 모드, 상기 제2 회로 블록으로는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회로 블록으로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2 동작 모드,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회로 블록과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3 동작 모드, 및 시스템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제1 회로 블록과 상기 제2 회로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4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상기 전환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가 온되거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4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거나 상기 전원 플러그가 제거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와 전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발행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3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3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을 온하기 위한 이벤트에 따라 실행되는 전원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회로 블록을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들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 및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시프트시키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요구도 발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3 동작 모드로 시프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1 동작 모드, 상기 제2 동작 모드, 및 상기 제3 동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상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요구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들 각각으로부터 발행된 이벤트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인증을 행한 후, 상기 네트워크 상의 상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요구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황에 따라 상기 제2 회로 블록을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들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 및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KR1020040063448A 2003-08-14 2004-08-12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 KR100600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7571A JP2005062955A (ja) 2003-08-14 2003-08-14 電子機器及び電源制御方法
JPJP-P-2003-00207571 2003-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053A KR20050019053A (ko) 2005-02-28
KR100600680B1 true KR100600680B1 (ko) 2006-07-13

Family

ID=3356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448A KR100600680B1 (ko) 2003-08-14 2004-08-12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0729B2 (ko)
EP (1) EP1507190A3 (ko)
JP (1) JP2005062955A (ko)
KR (1) KR100600680B1 (ko)
CN (1) CN1287256C (ko)
TW (1) TWI2661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0178B (en) * 2004-09-22 2009-05-21 Teac Corp Data recording regeneration system
JP2006236057A (ja) * 2005-02-25 2006-09-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274764A1 (en) * 2005-06-02 2006-12-07 Mah Donald T Power saving methods in gateway
US7574505B2 (en) * 2005-12-07 2009-08-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ome server capable of implementing energy-saving and service converge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I324865B (en) * 2006-03-31 2010-05-11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device
US7669069B2 (en) 2006-06-28 2010-02-23 Intel Corporation Control of link supply power based on link port mode
JP4827643B2 (ja) * 2006-07-26 2011-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Av機器、av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方法
JP4978142B2 (ja) * 2006-10-10 2012-07-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の電源制御方法
KR101111906B1 (ko) * 2006-11-15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7941682B2 (en) * 2007-05-09 2011-05-10 Gainspan, Inc. Optimum power management of system on chip based on tiered states of operation
KR101075421B1 (ko) 2007-12-10 2011-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의 소비전력 절감형 홈게이트웨이및 그 제어 방법
JP2009199283A (ja) 2008-02-21 2009-09-0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4886823B2 (ja) * 2009-07-23 2012-02-29 株式会社東芝 記録再生装置、ビデオサーバ及び記録再生装置の電源制御方法
WO2011071471A1 (en) 2009-12-09 2011-06-16 Thomson Licensing Network based remote power management
TW201203954A (en) * 2010-07-09 2012-01-16 Netklass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with routing function and the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TWI427469B (zh) * 2010-07-09 2014-02-21 Ennoconn Corp 主機板電源控制電路
CN102340440A (zh) * 2010-07-16 2012-02-01 弘真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路由功能的网络装置及其电源管理方法
JP5341852B2 (ja) * 2010-09-29 2013-11-13 株式会社東芝 通信機器管理装置及び通信機器管理方法
US8966292B2 (en) * 2011-01-03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improvements in a wireless client terminal using assistance from a proxy device
US8904197B2 (en) * 2011-03-07 2014-12-02 Ricoh Co., Ltd. Power management based on combined user interface and sensor inputs
TWI454936B (zh) * 2011-06-08 2014-10-01 Inventec Corp 開機方法
US9317098B2 (en) * 2011-06-22 2016-04-19 Nec Corporation Server,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5856453B2 (ja) * 2011-11-30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389789A (zh) * 2012-05-08 2013-11-13 联想(北京)有限公司 生成控制指令、状态转换方法及电子设备
CN103529918A (zh) * 2012-07-05 2014-01-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服务器扩展电路及服务器系统
JP5980035B2 (ja) * 2012-07-3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001414B1 (ko) * 2012-09-27 2019-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트랜잭션에 따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시스템-온-칩 및 그 동작방법
JP2014078946A (ja) * 2013-10-21 2014-05-01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コンテンツ出力装置
JP6299200B2 (ja) * 2013-12-16 2018-03-28 株式会社リコー 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57551B (zh) * 2014-11-12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喚醒方法
CN105677379A (zh) * 2014-11-21 2016-06-15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唤醒方法
JP6696265B2 (ja) * 2016-03-29 2020-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モート端末装置とその制御方法と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364B2 (ja) * 1992-10-13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5515511A (en) * 1994-06-06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digital/analog multimedia hub with dynamically allocated/released channels for video processing and distribution
US5638541A (en) * 1995-08-25 1997-06-1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on desktop systems
JP2974950B2 (ja) 1995-10-26 1999-11-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524055B1 (ko) * 1998-03-05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지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원격 웨이크 업 방법
JP3328832B2 (ja) 1999-03-12 2002-09-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KR100393574B1 (ko) 2000-12-28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대기전력 절감장치
US6922788B2 (en) * 2001-09-19 2005-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power access to a computing unit from an external source
US7139017B2 (en) * 2002-01-29 2006-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the best picture quality in a scarce-power device
JP2004064209A (ja) * 2002-07-25 2004-02-26 Toshiba Corp 録画再生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US7073077B1 (en) * 2003-05-09 2006-07-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for cutting power to processing circuitry in a network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62955A (ja) 2005-03-10
CN1287256C (zh) 2006-11-29
US20050060588A1 (en) 2005-03-17
TWI266194B (en) 2006-11-11
EP1507190A3 (en) 2008-11-26
KR20050019053A (ko) 2005-02-28
US7260729B2 (en) 2007-08-21
CN1581022A (zh) 2005-02-16
EP1507190A2 (en) 2005-02-16
TW200515156A (en) 200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680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
CN101160631B (zh) 映像声音处理装置及电源控制方法
US8447999B2 (en) Electrical power saving system
US8027559B2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20030668A (ko)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tv신호 저장방법
US7779283B2 (en) Computer and method for realizing household appliance applica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6237106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in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30011114A1 (en)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US201302581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utput Control Method
TW200906081A (en) Multi-protocol infrared receiver
JP4404843B2 (ja) インスタントキースタンバイ状態からのマルチメディア再生インスタントプレイの方法
US20030221135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080263184A1 (en) Tv-Pc Architecture
US85105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establishes communication and outputs a black-screen signal during a predicted power-on period
CN102256074B (zh) 系统模块化设计的电脑电视一体机
JP2006236077A (ja) 機能追加装置及び機能追加方法
JPWO2009028312A1 (ja) 映像再生装置、映像記録再生装置、映像再生システム、並びに、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記録再生装置の電力供給方法
JP2005135269A (ja) 電子機器
US8539219B2 (en) Information access apparatus, program storage medium and method
JP2007174042A (ja) リモコン装置及び操作キー制御方法
US20060235913A1 (en) Software product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s of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s
JP2009081757A (ja) 電子機器
KR100589628B1 (ko) 소비 전력 절감형 콤보 시스템
KR100627899B1 (ko) 콤보 시스템 소비전력 절감방법
CN202127465U (zh) 系统模块化设计的电脑电视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