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551B1 - 작업선 - Google Patents

작업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551B1
KR100597551B1 KR1020017008053A KR20017008053A KR100597551B1 KR 100597551 B1 KR100597551 B1 KR 100597551B1 KR 1020017008053 A KR1020017008053 A KR 1020017008053A KR 20017008053 A KR20017008053 A KR 20017008053A KR 100597551 B1 KR100597551 B1 KR 10059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working
deck
lin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366A (ko
Inventor
풀 한스 반데
Original Assignee
풀 한스 반데
브이텐디직 홀딩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 한스 반데, 브이텐디직 홀딩 비.브이. filed Critical 풀 한스 반데
Publication of KR2002000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Jib Cran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선(1)은 추진 수단 및 갑판(3)을 구비한 선체(2)를 포함한다. 이 선체(2)는 일시적으로 잠수 가능하다. 이 갑판(3)은 연결 수단(8)에 의하여 선체와 조정가능한 중간 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선(1)이, 갑판(3)이 선체에 근접하여 위치된 부유 위치와 선체는 수면 하측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며 갑판(3)은 선체로부터 떨어져 수면 상측에 위치된 반-잠수 위치 사이로 조정가능하다.
작업선, 시추, 시추선, 석유, 천연자원

Description

작업선 {WORKING SHIP}
본 발명은 해상 작업, 특히 석유 및 가스와 같은 천연 자원의 추출 현장을 조사 및/또는 탐사하는 작업선에 관한 것이다.
천연 자원을 해상 탐사하는 동안, 육지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지고 또는 비교적 깊이 위치된 추출 현장을 탐사해야 할 필요성이 점점 증대해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석유의 약 65%는 해저의 깊이가 적어도 2000m에 위치된, 육지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현장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추출 현장을 조사 및 탐사할 때, 이 조사 및 탐사 작업은 추출 현장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석유 추출 현장을 조사 및 탐사할 때, 이들 작업 단계는, 특히, 밸브를 해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승관 구조체(riser pipe construction)를 밸브와 수면 사이에 제공하는 단계, 땅 속의 석유에 시추관을 천공하여 시추 준비를 하는 단계, 땅으로부터 석유를 추출하는 단계, 석유를 선택적으로 저장 및/또는 처리하는 단계, 및 추출된 석유를 하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육지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지고 해저가 비교적 깊기 때문에, 이러한 추출 현장을 경제적으로 조사 및 탐사하는 것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추출 현장이 육지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해 있을 때, 예를 들면 장비 및 인력이 항공 교통에 의해서만 매우 제한된 범위로 수송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장비 및 인력이 바다를 건너 작업 현장까지 비교적 신속하게 수송되어야 하고, 작업 현장에는 저장 능력이 충분해야 한다. 작업 현장이 비교적 깊은 곳에 위치되어 있을 때, 해저에 지지된 작업 플랫폼을 작업 현장 상에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추출 현장을 조사 및 탐사하는 작업이 이른 바 "반-잠수선(semi-submersible)"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방법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반-잠수선은 레그가 있는 직사각형 갑판을 포함한다. 이 레그는 수면 하측에 위치된 부유체(float)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반-잠수선은, 부유체의 부유력(floating power)을 갑판이 수면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된 부유 위치(floating position)와 갑판이 수면에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된 반-잠수 위치(semi-submerged position) 사이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하다. 반-잠수선은 부유 위치에서 추출 현장으로 이동하여 반-잠수 위치에서 작업 플랫폼으로 후속하여 기능한다. 이러한 반-잠수선은 작업 현장으로 멀리 독자적으로 항해할 수 없고 예인선(tugboat)에 의하여 추출 현장으로 예인되어야 하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이 반-잠수선의 항해 속도가 한정되어 있어 이렇게 멀리 떨어진 추출 현장까지의 이동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 반-잠수선의 무게 중심이 비교적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소량의 장비가 갑판 상에 적재된 경우에도 전복될 위험이 있다. 부유 위치로부터 반-잠수 위치로 조정하는 동안에도 전복될 위험이 증대된다.
US 3 837 309에는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진 반-잠수 구조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구조체는 자체 동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블록 형상의 직사각형 선체를 갖는다.
FR 1 366 164에는, 이송 중에, 선체로서 사용되는 블록 형상의 저장 탱크를 가진 반-잠수선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깊은 곳에 위치된 추출 현장을 추진 수단(driving means)이 제공된 종래의 선체로 구비된 작업선을 이용하여 조사 및 탐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긴 선체를 가진 이러한 선박은 GB 2 150 516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은 추출 현장에 계속 머물러 있을 때 수면의 파도를 따라 지나치게 흔들리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갑판의 안정성이 조사 또는 탐사 작업을 실행하는데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로써 생산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갖지 않은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선은 추진 수단 및 갑판을 구비한 선체를 포함하고, 이 선체는 일시적으로 잠수 가능하며 이 갑판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선체와 조정가능한 중간 거리를 두고 연결됨으로써 작업선이, 갑판이 선체에 근접하여 위치된 부유 위치와 선체는 수면 하측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며 갑판은 선체로부터 떨어져 수면 상측에 위치된 반-잠수 위치 사이로 조정가능하다.
선체의 형상은 길고, 길이 대 폭의 비율이 3:1 이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체의 길이 대 폭의 비율이 대략 4:1 내지 5:1의 범위로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긴 형상의 선체로 인하여 비교적 저 엔진 출력 및 연료를 적게 소모하고도 항해 속도는 빨라진다. 이 긴 선체로 인하여 부유 위치 및 작업 위치 어느 위치에서도 충분한 안정성이 제공되는 것으로 판명된 점이 놀라운 일이다. 선체의 형상이 길기 때문에, 종방향 선체의 그 종축이 파도와 실질적으로 횡방향 및/또는 바람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길이 대 폭의 비율이 대략 1:1인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선체를 가진 작업선과 비교하여 반-잠수 또는 부유 위치에서 작업 조건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부유 위치로부터 반-잠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이러한 위치 설정으로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렇게 달성된 효과는, 부유 위치에서는 작업선이 전복될 위험없이 추출 현장으로 독자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항해할 수 있고 충분한 저장소가 제공되는 한편, 반-잠수 위치에서는 추출 현장 상에서 안정성이 충분하다는 점이다. 반-잠수 위치에서는, 수면에 근접하여 위치된 작업선의 표면이 비교적 적은 반면, 작업선의 총 중량 중 대부분은 수면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갑판은 바람이 많이 불거나 파도가 높은 경우에도 안정성이 충분하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반-잠수 상태에서, 선체는 작업선 총 중량의 50%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6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적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잠수 상태에서 작업선의 무게 중심은 수면에 근접하거나 또는 하측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선체는 한 척의 선체, 즉 하나의 부유체를 형성하는 선체이다. 또한 작업선은 추출 현장이 아닌 현장, 예를 들면 해저에 파이프 라인을 배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작업선의 작업 현장에 관하여 설명한다.
작업선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선의 부유 위치에서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선의 반-잠수 위치에서의 개략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작업선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작업선의 Ⅳ-Ⅳ선에 따른 개략 평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선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유사거나 대응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한다.
도 1은 부유 위치에서의 작업선을 도시하고 있다. 부유 위치(floating position) 또는 "이동 위치(transport position)"에서 작업선(1)은 선체(2)와 갑판(3)을 포함한다. 선체(2)는 단일 부유체를 형성하고 일시적으로 잠수 가능하다. 선체(2)는 추진 수단(4)을 구비하고, 작업지와의 거리에 따라 선박이 이동 위치에서 충분히 빨리, 예를 들면 적어도 15노트의 속도로 항해할 수 있도록 종래의 원양선에 적어도 일부분이 대응하는 유선형 선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갑판(3)은 조정 가능한 중간 거리를 두고 연결수단(5)을 사용하여 선체(2)와 연결되어 있다. 작업선(1)은 갑판(3)이 선체(2) 근처에 위치한 도 1의 부유 위치와 도 2의 반-잠수 위치의 사이로 조정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갑판(3)은 선체(2)에서 좀 떨어져서 위치하고, 선체(2)는 실질적으로 수면(6) 아래에 위치한다. 작업선(1)이 작업 현장에 도착하면, 작업선은 이동 위치에서 반-잠수 위치 또는 "작업" 위치로 조정된다. 상기 조정은 선체(2)의 부유력을 감소함을 통하여 구현된다. 이는 선체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7)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된 밸러스트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리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갑판(3)과 선체(2) 사이의 중간 거리는 갑판(3)이 선체(2)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수면(6)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연결 수단(5)을 사용하여 더 큰 값으로 조정된다.
연결 수단(5)은 선체(2)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레그(legs)(8)로 구성되며, 갑판(3)은 레그(8)를 따라 선체(2)에 관한 갑판의 거리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호이스팅(hoisting) 또는 리프팅(lifting)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선체(2)와 레그(8) 사이의 연결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방수로 만들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근해 산업에서, 예를 들면 시추 플랫폼의 작업 갑판을 레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호이스팅 또는 리프팅 수단을 통하여 선체(2)와 갑판(3) 사이의 중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레그(8)가 사용되며, 레그(8)는 랙을 구비하고, 갑판(3)은 레그(8) 근처에 피니언을 구비한다. 또한 레그(8)를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갑판(3)에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선체(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레그(8)와 같이, 연결 수단을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물론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작업선(1)은 동적 위치 결정 장치, 예를 들면 서로에 대하여 십자형으로 배치된 4개 또는 8개의 독립된 추진 스크류를 사용하여 작업지까지 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덜 깊은 수면이라면 작업선(1)은 닻을 이용하여 작업지에 물론 고정될 수 있다. 작업선(1)이 수행해야 할 작업 내용에 따라 갑판(3)은 다른 타입의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갑판(3)은 해저에 파이프 마디(10)들로 건조되는 파이프 라인(11)을 설비하기 위한 배관 장치(9)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선(1)은 파이프 라인(10)의 설치 동안 작업 위치에서 천천히 이동할 것이다. 그때 많은 파이프부(10)가 이하에서 설명될 방식으로 선체(2) 내에 보유될 수 있다.
또한, 작업선(1)은 크레인 선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 경우, 다른 타입의 크레인(12) 또는 리프팅 장치가 호이스팅 또는 리프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갑판(3)위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리프팅 장치는 레그(8)와 관련하여 갑판(3)을 들어올리거나 갑판(3)을 운반하거나 바다에서 파일 박기 동작(pile driving operations)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작업선(1)은 석유 추출 현장에 대한 준비 및 탐사를 위한 근해 작업선으로 사용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작업선(1)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위치의 상태에서 항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석유 추출 현장으로 독자적으로 항해하며, 이 때 추출 현장은 탐사 준비가 된 후에 탐사되어야 한다.
항해를 위하여 작업선의 갑판(3)에 선교(船橋, 13)를 구비한다. 선교(13)의 지붕은 헬리콥터 착륙장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갑판(3)은 작업 공간 및 개인용 주거 아파트, 예를 들면 탈의실(15), 침실(16), 오락실(17), 건조 및 냉방되는 비품 저장실(18), 욕실(19), 펌프실(20), 발전실(21), 실험실(22)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레벨로 이루어진다. 이동시에 밸러스트 탱크(7)에 저장된 밸러스트의 양은 비교적 적으므로, 선체(2)는 수면(6) 위에 적어도 일부가 떠 있을 정도의 큰 부력을 지닌다.
선체(2)는 식수, 연료, 예비 부품 및 기타 예비 제품 등의 비품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40,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레그(8)를 중공으로 만듦으로써, 선체(2) 내부에 적재하기 위하여 선체(2)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도 4에서 레그(8)가 이중벽으로 둘러싸인 방수 구역(collision zone, 8A)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선체(2)는 상승관 마디(24) 및/또는 시추관 마디(25) 등의 관부를 수직으로 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공간(2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체에 이러한 관부를 보관함으로써, 침수 위험이 저감되도록 작업선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선은 특히 이동 위치에 있을 때가 반 잠수 위치에 있을 때보다 훨씬 안정적이다. 상승관 마디 또는 시추관 마디(24, 25)를 수직하게 보관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부들을 손쉽게 선체(2) 내부로 들여오고 다시 꺼낼 수 있다. 이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선(1)의 너비를 31.5m 미만으로 하고, 밸러스트 탱크(7)의 밸러스트의 양을 제어 수단으로 조정함으로써, 선체(2)는 일시적으로 수면에서 비교적 높이 떠있게 되며, 작업선은 원한다면 작업 현장까지의 여정을 줄이기 위해서 파나마 운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도 1에 수선(water line, 6A)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현장에 도착하면 밸러스트 탱크(7)를 밸러스트, 예를 들면 물로 채우므로 선체(2)는 수면(6) 아래로 가라앉는다.
또한, 갑판(3)은 도시하지 않은 리프팅(lifting) 수단을 사용하여 레그(8)를 따라 이동하므로 선체(2)에서 거리를 두고 수면(6)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작업시 에 갑판(3)은 그 위에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다.
제품 추출 현장 준비를 위하여, 크레인(12)을 사용하여 갑판(3)으로부터 해저로 밸브 블록을 내려놓는다. 이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체(2)는 갑판(3)상의 개구부(27)와 선체(2)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은 채널(channel)(26)을 포함한다. 따라서 갑판(3)으로부터 개구부(27) 및 채널(26)을 경유하여 수면에 접근할 수 있다. 개구부(27) 및 채널(26)을 경유하여 로봇 등의 다른 물체도 바다에 내릴 수 있다. 또한, 개구부(27) 및 채널(26)을 통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밸브를 해저에 고정하기 위한 파일 박기 작업을 예로 들 수 있다. 가능한 한 선체(2)의 유선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체(2)의 바닥 근처에 폐쇄형 채널(26)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위치에서는, 예를 들면 안전 목적으로 채널(26) 및/또는 개구부(27)를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선(1)은 상승관 또는 시추관 구조물 또는 기타 근해 시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놓인 작업 기둥(28)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내측에 채널(26)을 지닌 중앙 작업 기둥(28)이 제공되고 있다. 도 5에서 작업 기둥(28)은 갑판(3)에서 개구부(27)를 통하여 또한 뻗어져 있다. 작업 기둥(28)은 상승관 또는 시추관 구조물을 떠 있게 하기 위한 현가 장치(30)를 포함한다. 작업선(1)이 반-잠수 상태에 있을 때 중공 레그(8) 및 작업 기둥(28)을 경유하여 선체(2)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통합된 채널(26)을 구비한 작업 기둥(28)을 제공함으로써 선체와 바다에 모두 접근할 수 있는 보호 구역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보호 구역을 제공함으로써 바다에서 물건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안 바람 및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밸브가 해저에 놓인 후에 작업 기둥(28)을 통하여 상승관 마디(24)를 선체(2)로부터 갑판(3)으로 운송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선(1)은 레그(8) 및 작업 기둥(28)의 내부를 경유하여 수직으로 상승관 마디(24)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송 수단(31)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선체(2)에 놓인 것은 차례로 상승관 마디(24)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송 수단(32)이다. 상승관 구조물을 짓는 경우, 상승관 마디(24)를 수평 이송 수단(32)을 사용하여 우선 저장 공간(23)으로부터 작업 기둥(28)측으로 이송한 후, 수직 이송 수단(31)을 사용하여 갑판(3)의 높이로 수직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승관 마디(24)를 예를 들면 크레인(12) 또는 추가의 수평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채널(26) 위에 놓고, 현가 장치(30)에 부착시킨다. 통합 채널을 갖춘 작업 기둥에서 상승관은 단지 본질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필요가 있을 뿐이며 재배향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나서, 다음의 상승관 마디(24)를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하고, 선행하는 상승관 마디(24)에 결합시킨다. 상승관 마디(24)를 결합시킬 때마다 현가 장치(30)를 떼어 내고, 결합된 상승관 마디(24)로 형성된 상승관(34)을 호이스트(hoist) 수단(35)을 사용하여 내리고, 현가 장치(30)를 사용하여 다시 잡는다. 상승관(34)은 해저에 도달하자마자 밸브와 결합된다. 동작중에 채널(26)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격 수단, 예를 들면 유압 텔레스코픽 실린더(hydraulic telescopic cylinder, 36)를 사용함으로써 상승관(34)에 대해 가능한 작업선(1)의 이동을 보정한다.
유정 시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시추관 마디(25)가 상승관 마디(24)와 같은 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생산을 위해 추출 현장을 추가로 준비하는 것에 관해서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므로 더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프로세스와 역순으로 실행함으로써, 상승관 및 시추관 마디(24, 25)를 선체(2) 내로 되돌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정이 생산 준비되는 즉시, 석유는 상승관(34)을 거쳐 공급되고, 추가적으로 첫번째 처리 단계 이후, 파이프 라인(11)을 거쳐 해안이나 저장선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2)는 작업선을 이용하여 추출한 석유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탱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저장 탱크에는 추출한 석유와 같은 천연 자원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탱크가 충분히 커지면, 작업선은 이른바 FPSO 또는 저장선의 역할도 할 수도 있다. 물론, 저장 탱크를 채우는 동안, 밸러스트 탱크(7)에 저장된 밸러스트의 양은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제어되어 선체(2)의 정확한 부양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작업 기둥(28)은 선상에 편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조 작업 기둥(29)이 제공된다. 이러한 보조 작업 기둥(29)에서, 상승관이나 시추관 구조물의 일부는 앞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동시에 건조될 수 있으며, 작업 기둥(28)을 거쳐 또는 보조 작업 기둥에 배치된 채널(26)을 거쳐 바다 속으로 내릴 수 있다. 이로써, 상승관이나 시추관 구조물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천후 동안 상승관 구조물이 작업선(1)과 결합되어 있어야 할 때 정상적으로 계속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보조 작업 기둥은 구조물을 분해할 때도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레그나 작업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는 닻의 권양 로프를 통과하기 위한 수단 및 닻줄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에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큰 길이의 권양 로프 및 닻줄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작업선의 구조적 부분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므로, 더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긴 형상의 선체로 인하여 비교적 저 엔진 출력 및 연료를 적게 소모하고도 항해 속도는 빨라진다. 선체의 형상이 길기 때문에, 종방향 선체의 그 종축이 파도와 실질적으로 횡방향 및/또는 바람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바람 및 파도의 영향을 정사각형 선체를 가진 작업선에 비해 덜 받게 되므로 반-잠수 또는 부유 위치에서 작업 조건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부유 위치로부터 반-잠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이러한 위치 설정으로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유 위치 및 반-잠수위치 사이로 조정이 가능하므로, 부유 위치에서는 작업선이 전복될 위험없이 추출 현장으로 독자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항해할 수 있고 충분한 저장소가 제공되는 한편, 반-잠수 위치에서는 추출 현장 상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추진 수단(4) 및 갑판(3)을 구비하고 있는 선체(2)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2)는 일시적으로 잠수 가능하며,
    상기 갑판은 연결 수단(5)에 의하여 선체(2)와 조정가능한 중간 거리를 두고 연결됨으로써, 작업선(1)이, 갑판(3)이 선체(2)에 근접하여 위치된 부유 위치와 선체(3)는 수면 하측에 위치되며 갑판(3)은 선체(2)로부터 떨어져 수면 상측에 위치되는 반-잠수 위치 사이로 조정가능하며,
    상기 선체(2)는 긴 형상을 가지고 길이 대 폭의 비율이 3:1 이상인
    작업선(1).
  2. 제1항에서,
    상기 선체는 길이 대 폭의 비율이 4:1 내지 5:1인 작업선(1).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결 수단(5)은 상기 선체(2)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레그(8)를 포함하고,
    상기 갑판(3)의 상기 선체(2)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상기 레그(8)를 따라서 조정 가능하게 하는 호이스트 또는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선(1).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반-잠수 상태에서 상기 선체(2)는 상기 작업선 전체 무게의 50% 이상을 이루는 작업선(1).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반-잠수 상태에서 상기 작업선(1)의 무게 중심은 수면 근방 또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작업선(1).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체(2)는 적어도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7)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7)에 저장되는 밸러스트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선(1).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체(2)는 상기 작업선(1)을 이용하여 추출한 천연 자원을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탱크는 추출한 천연 자원을 상기 저장 탱크에 각각 실거나 하역할 수 있는 적재 및 하역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작업선(1).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체(2)는 상승관 마디(24) 및/또는 시추관 마디(25)를 수직하게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공간(23)을 포함하는 작업선(1).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승관 또는 시추관 구조물 또는 기타 근해 시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직하게 배치된 작업 기둥(28)을 추가로 포함하는 작업선(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채널(26) 및/또는 상기 작업 기둥(28)은 상승관 또는 시추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현가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선(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체(2)는 상기 갑판(3)상의 개구부(27)와 상기 선체(2)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뻗어있는 채널(26)을 포함하고,
    상기 갑판(3)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7) 및 상기 채널(26)을 통과하여 바다에 접근 가능한 작업선.
  12. 제11항에서,
    상기 채널(26)은 적어도 상기 선체(2)의 바닥에 근접되어 있는 작업선(1).
  13. 제11항에서,
    상기 채널(26)은 작업 기둥(28) 내로 뻗어 있는 작업선(1).
  1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적어도 작업선(1)의 반-잠수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수단(5)의 내부 및/또는 상기 작업 기둥(28)을 통하여 상기 선체(2)의 내부로 접근 가능한 작업선.
  15. 제14항에서,
    상기 연결 수단(5)의 내부 및/또는 작업 기둥(28)을 통하여 상승관 마디(24) 및/또는 시추관 마디(25)를 수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수직 이송 수단(31)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선체(2)는 상기 상승관 마디(24) 및/또는 시추관 마디(25)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선(1).
  1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수단(5) 및/또는 작업 기둥(28)의 내부에 권양 로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수단 및/또는 닻줄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선(1).
  1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호이스트 및/또는 파일 박기 수단(35)을 추가로 포함하는 작업선(1).
  1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배관 장치(9)를 추가로 포함하는 작업선(1).
KR1020017008053A 1998-12-23 1999-12-23 작업선 KR100597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0884 1998-12-23
NL1010884A NL1010884C2 (nl) 1998-12-23 1998-12-23 Werksc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366A KR20020002366A (ko) 2002-01-09
KR100597551B1 true KR100597551B1 (ko) 2006-07-06

Family

ID=1976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053A KR100597551B1 (ko) 1998-12-23 1999-12-23 작업선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539888B1 (ko)
EP (1) EP1150881B1 (ko)
JP (1) JP4559633B2 (ko)
KR (1) KR100597551B1 (ko)
CN (1) CN1139516C (ko)
AT (1) ATE248099T1 (ko)
AU (1) AU2006600A (ko)
BR (1) BR9916588B1 (ko)
CA (1) CA2356528C (ko)
DE (1) DE69910840T2 (ko)
DK (1) DK1150881T3 (ko)
ES (1) ES2211212T3 (ko)
NL (1) NL1010884C2 (ko)
NO (1) NO322347B1 (ko)
PT (1) PT1150881E (ko)
WO (1) WO20000389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57B1 (ko) * 2008-10-10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
KR101296802B1 (ko) * 2008-02-19 2013-08-14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작업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3906B (zh) * 2008-02-15 2014-03-26 伊特雷科公司 海上钻探船
WO2009139615A1 (en) * 2008-05-14 2009-11-19 Kingtime International Limited A mobile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US8256520B2 (en) * 2009-01-14 2012-09-04 National Oilwell Varco L.P. Drill ship
CN101643110B (zh) * 2009-08-27 2012-05-30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单侧悬臂式水上勘探平台系统
US8662000B2 (en) 2009-11-08 2014-03-04 Ssp Technologies, Inc. Stable offshore floating depot
IT1401967B1 (it) 2010-09-24 2013-08-28 Saipem Spa Natante cargo per rifornire tubi a un natante di posa di tubazioni subacquee, metodo e kit di trasbordo di tubi da un natante cargo a un natante di posa di tubazioni subacquee.
CN102092465B (zh) * 2011-01-28 2013-04-2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双月池浮式生产钻井储油船
NO336206B1 (no) * 2011-02-01 2015-06-15 Sevan Marine Asa Produksjonsenhet med slakt hengende stigerør og med tilpasset skrog og moonpool
CN102267545B (zh) * 2011-04-28 2013-12-0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半潜式起重铺管船的船型
WO2013062736A1 (en) 2011-10-05 2013-05-02 Seahorse Equipmen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multiple subsea wells from an offshore platform at a single site
CN102561741A (zh) * 2012-02-21 2012-07-11 张洪达 半潜式游乐平台
WO2014031124A1 (en) * 2012-08-24 2014-02-27 Tsc Group Holdings Limited 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CN102839666B (zh) * 2012-09-05 2015-05-13 三一集团有限公司 坐底式水上打桩平台
CN102923261A (zh) * 2012-10-29 2013-02-13 广东明阳风电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坐底式海上风机安装驳船
CN103010412A (zh) * 2012-12-06 2013-04-03 广东明阳风电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可坐底桁架式海上风机安装驳船
WO2014168471A1 (en) * 2013-04-12 2014-10-16 Itrec B.V.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NL2010627C2 (en) * 2013-04-12 2014-10-14 Itrec Bv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CN103863524A (zh) * 2014-03-13 2014-06-18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半潜式海上风力发电机组整体运输安装一体船及运输安装方法
CN104443289A (zh) * 2014-11-13 2015-03-25 广州打捞局 一种打桩船
KR200483928Y1 (ko) * 2015-08-20 2017-07-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KR101864145B1 (ko) * 2016-03-15 2018-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101864149B1 (ko) * 2016-03-15 2018-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설치장비
KR101954842B1 (ko) * 2017-02-03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상층 데크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
CN106956752A (zh) * 2017-02-22 2017-07-1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灵便型深海采矿船型
CN107215429B (zh) * 2017-05-23 2019-04-16 大连理工大学 一种新型小水线面单体无人半潜艇
CN111550357B (zh) * 2020-05-13 2022-05-20 杭州巨浪能源科技有限公司 波浪能发电设备
CN113006745B (zh) * 2021-04-30 2023-01-10 刘刚 一种半潜式开采设备
CN113818856B (zh) * 2021-09-22 2023-02-17 烟台杰瑞石油装备技术有限公司 压裂作业船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1370A (en) * 1954-09-23 1961-09-26 John B Templeton Marine drilling methods and apparatus
US2946566A (en) * 1956-08-31 1960-07-26 Charles T Samuelson Subaqueous drilling apparatus
FR1366164A (fr) * 1963-05-29 1964-07-10 Nouvelles plate-formes marines de forage et de production
FR1384832A (fr) * 1963-11-29 1965-01-08 Cie Generale D Equipements Pou Dispositif flottant pour les forages en eau profonde
GB1169262A (en) * 1965-08-10 1969-11-05 Vickers Ltd Improved floatable vessel
US3433024A (en) * 1966-03-31 1969-03-18 Mobil Oil Corp Versatile marine structure
US3385069A (en) * 1966-10-07 1968-05-28 Bethlchem Steel Corp Mobile marine platform apparatus
US3590765A (en) * 1968-03-13 1971-07-06 Tecnico Inc Modular hull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US3685305A (en) * 1970-08-17 1972-08-22 Santa Fe Int Corp Column stabilized stinger
US3837309A (en) * 1971-06-17 1974-09-24 Offshore Technology Corp Stably buoyed floating offshore device
GB1430986A (en) * 1973-05-15 1976-04-07 Vickers Ltd Floatable vessel
US4266887A (en) * 1977-06-10 1981-05-12 Brown & Root, Inc. Self-elevating fixed platform
SE439913B (sv) * 1980-10-23 1985-07-08 Goetaverken Arendal Ab Semisubmersibel farkost
GB8332145D0 (en) * 1983-12-01 1984-01-11 Univ Strathclyde Marine vessels
US4692081A (en) * 1985-02-25 1987-09-08 William Bennett Riser pipe elevator
US5190410A (en) * 1990-10-31 1993-03-02 Nunley Dwight S Conversion of mat jack-up drilling platforms to floating drilling platforms
FR2737179B1 (fr) * 1995-07-26 1997-10-17 Technip Geoproduction Plate-forme d'exploitation petroliere en mer
NL1006287C2 (nl) * 1997-06-11 1998-12-14 Workships Contractors Bv Semi-afzinkbaar, mobiel boorvaartui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02B1 (ko) * 2008-02-19 2013-08-14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작업선
KR100943457B1 (ko) * 2008-10-10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56528C (en) 2007-12-18
CA2356528A1 (en) 2000-07-06
DK1150881T3 (da) 2003-12-22
BR9916588B1 (pt) 2014-01-07
BR9916588A (pt) 2001-09-25
JP4559633B2 (ja) 2010-10-13
CN1350499A (zh) 2002-05-22
NL1010884C2 (nl) 2000-06-26
NO20013132L (no) 2001-08-22
WO2000038977A1 (en) 2000-07-06
PT1150881E (pt) 2004-01-30
ATE248099T1 (de) 2003-09-15
CN1139516C (zh) 2004-02-25
ES2211212T3 (es) 2004-07-01
DE69910840D1 (de) 2003-10-02
EP1150881A1 (en) 2001-11-07
US6539888B1 (en) 2003-04-01
EP1150881B1 (en) 2003-08-27
DE69910840T2 (de) 2004-05-27
NO322347B1 (no) 2006-09-18
KR20020002366A (ko) 2002-01-09
AU2006600A (en) 2000-07-31
NO20013132D0 (no) 2001-06-22
JP2002533265A (ja) 200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551B1 (ko) 작업선
US5609442A (en) Offshore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operations
US2248051A (en) Offshore drilling rig
US3191388A (en) Slender column support for offshore platforms
US4995762A (en) Semisubmersible vessel with captured constant tension buoy
US3209544A (en) Marine structure
US5707178A (en) Tension base for tension leg platform
US8387550B2 (en) Offshore floating platform with motion damper columns
JP4545319B2 (ja) 浮遊式海洋構造物
US6942427B1 (en) Column-stabilized floating structure with telescopic keel tank for offshore applications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S61500958A (ja) 半潜水船
JPH09508186A (ja) 高張力脚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その架設方法
AU2011201823B2 (en) Spar hull centerwell arrangement
AU2006338668B2 (en) Semi-submersible vessel, method for operating a semi-submersibl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submersible vessel
US656528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assembling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GB1580667A (en) Underwater structures
CA2762157C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KR20170039613A (ko) 석유 시추용 해상 구조물
US3616773A (en) Twin hull variable draft drilling vessel
USRE29478E (en) Single column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CN1286665A (zh) 海洋生产和贮存设备及其安装方法
US20120114421A1 (en)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JPS5828157B2 (ja) 単一点浮き繋留装置
US20070204785A1 (en) Ballast extension-submersion truss stable platform
CN110155263B (zh) 一种圆筒形半潜式钻井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