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28Y1 -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28Y1
KR200483928Y1 KR2020150005570U KR20150005570U KR200483928Y1 KR 200483928 Y1 KR200483928 Y1 KR 200483928Y1 KR 2020150005570 U KR2020150005570 U KR 2020150005570U KR 20150005570 U KR20150005570 U KR 20150005570U KR 200483928 Y1 KR200483928 Y1 KR 200483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eawater
seawater supply
flexible hos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762U (ko
Inventor
김종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2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Abstract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공급컬럼과 상기 해수공급컬럼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로 이루어진 케이슨 파이프; 상기 케이슨 파이프를 분리시켜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관부;를 마련하여 해수를 끌어 올리는 케이슨 파이프를 공간부 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공간부 내에 케이슨 파이프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보관부에 복수의 해수공급컬럼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해수공급컬럼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수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다량의 해수공급컬럼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적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Offshore Provide Caisson Pipe for Water Inlet Pipe}
본 고안은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의 내부에 수중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를 설치함과 함께 이들을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해양 플랜트나 드릴십에서 뽑아낸 원유를 정제하고 이를 저장해서 기타 이송 장소에 하역을 할 수 있는 특수선박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는 저장기능을 가지는 하부 선체구조(Hull)와 원유를 생산하고 처리기능을 하는 상부설비(Topsides)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장 능력에 따라 100만 배럴 미만의 소형, 100~150만 배럴의 중형, 150~200만 배럴의 대형, 200만 배럴 이상의 초대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주요 석유업체들이 심해저 유전에 눈길을 돌리면서 FPSO는 각광받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의 상부측에는 각종 플랜트나 다양한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설비들을 가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해수공급장치가 구비된다.
해수공급장치는 해수공급펌프(Seawater Lift Pump) 및 상기 해수공급펌프(Seawater Lift Pump)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플렉시블 석션 호스(Flexible Suction Hose)로 이루어진다.
해수공급장치는 탑사이드 공정(Topside Process) 공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System)로서, 특히 부유식 해양구조물(Floating Unit)의 경우 수중모터펌프(Submergible Pump)를 사용한다.
상기 해수공급펌프(Seawater Lift Pump)는 탑사이드의 공정상 냉각이 필요한 장비 또는 설비 등에 차가운 해수(sea water)를 공급하여 냉각 조건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해수를 해수면 밑에서 끌어 올리는 펌프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수중모터펌프와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는 수중에 설치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길이가 길고 탑사이드(Topside)의 냉각 규정(Cooling Duty)에 따라 직경이 상당히 큰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해수공급펌프(SWLP)는 회전되는 장치이고, 플렉시블 석션 호스(Flexible Suction Hose)는 해수 안에 설치되므로 다른 탑사이드의 장비 보다 잦은 유지·보수(Maintenance)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대형 부품(Component)를 조작(Handling) 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탑사이드 배치(Layout)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중에 하나로 고려 되고 있다.
또한 이렇게 대형 사이즈로 인해 선체(Hull) 내부에 배치가 어려우며, 대부분 선체(Hull)의 외벽 바깥(Side) 쪽에 케이슨 파이프(Caisson Pipe)와 같이 설치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유지·보수(Maintenance)를 위하여 작업자가 배 바깥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 및 해상 환경에 따라 작업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케이스 파이프는 해수공급펌프(SWLP) 및 플렉시블 호스가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해수공급펌프 컬럼(SWLP Column)은 수중펌프(Submergible Pump)와 상부의 토출 노즐(Discharge Nozzle)을 연결하는 일종의 Pipe이며, 이들 컬럼의 길이는 통상 6m 단위로 분리가 된다.
또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는 케이슨 파이프(Caisson Pipe)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다 깊은 수심에서 해수(SW: Sea Water)를 끌어 올리게 도와 주는 유연한 파이프이며, 통상 6~10m 단위로 분리가 된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는 해수공급펌프에 의해 해수를 끌어 올릴 때 더 깊은 수심에서 해수를 끌어 올리기 위하여 케이스 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이프로써, 케이슨 서포트의 하중(Load)를 경감하기 위하여 유연한(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는 해수면으로부터 대략 100~150m의 깊이까지 설치되며, 플렉시블 호스의 길이 또한 6~10m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호스 중 해수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항상 해수에 존재하는 미생물 또는 따개비 등으로 인하여 플러깅(plugging)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회전부품인 해수공급펌프와 함께 플렉시블 호스 역시 해양구조물에서 주요 유지·보수의 대상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이들 해수공급펌프 컬럼 및 플렉시블 호스를 이동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모노레일과 트롤리 호이스트가 설치된다.
상기 해수공급장치가 모두 선체의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유지·보수 시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해상 및 외부로 노출된 환경에서 긴급한 수리 작업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해수공급펌프의 일체형 트렁크 구조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해수공급펌프의 일체형 트렁크 구조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는 해수를 펌핑하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상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펌프를 외부로부터 보호 및 차단하는 트렁크; 및 상기 트렁크의 일측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트렁크를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와 연결하는 트렁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렁크는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상기 트렁크 내부에는 1개의 펌프가 설치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는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선체에 마련되며, 내측에 해수가 채워지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문풀과; 상기 문풀의 해수면 상측으로부터 상기 선체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어 해수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심해의 해수를 흡입하여 상기 문풀에 채워지도록 하는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08597호(2015년 1월 23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01496호(2012년 1월 4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해수공급펌프는 선체의 외부에 해수공급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추락 등에 의한 안전산고의 발생 우려가 높고, 해상 및 외부로 노출된 환경에서 긴급한 수리 작업이 제한되며, 길이가 긴 해수공급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를 들어 올리기 위한 크레인 등의 조작이 어렵고, 해수공급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의 교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들 해수공급펌프와 플렉시블 호스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시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공급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를 선체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체 내부에 설치된 해수공급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해수공급펌프 및 플렉시블 호스의 교체 작업 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오버헤드 크레인을 조작하는 최소한의 헤드룸에서 조작이 가능한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은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공급컬럼과 상기 해수공급컬럼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로 이루어진 케이슨 파이프; 상기 케이슨 파이프를 분리시켜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슨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오버헤드 크레인;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에 의해 상기 케이슨 파이프의 이동 및 교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작업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선체의 메인 데크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슨 파이프의 분리 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부는 복수의 상기 해수공급컬럼과 플렉시블 호스를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복수의 데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부는 상기 선체의 메인 데크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데크; 상기 제1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데크; 상기 제2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 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데크에는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안착홈부; 상기 제1 안착홈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안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착홈부는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이동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홈부의 타측은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안착되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착홈부는 상기 제1 안착홈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홈부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안착되도록 일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데크는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 데크의 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데크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2 데크의 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플랫폼은 상기 제1 데크에 설치되는 제1 작업플랫폼; 상기 제2 데크에 설치되는 제2 작업플랫폼; 상기 제3 데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작업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에 의하면, 해수를 끌어 올리는 케이슨 파이프를 공간부 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공간부 내에 케이슨 파이프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보관부에 복수의 해수공급컬럼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해수공급컬럼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수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다량의 해수공급컬럼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적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에 의하면, 공간부 내부에 다층으로 작업플랫폼이 설치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케이슨 파이프의 교체 작업 및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일부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일부 확대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일부 입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은 선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벽체(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0); 상기 공간부(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1)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공급컬럼(21)과 상기 해수공급컬럼(21)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22)로 이루어진 케이슨 파이프(20); 상기 케이슨 파이프(20)를 분리시켜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상기 공간부(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관부(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은 해수를 유입시키는 케이슨 파이프(20)를 선체(1)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작업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함은 물론 상기 케이슨 파이프(20)와 인접한 위치에 케이슨 파이프(20)를 분리 보관함으로써,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선체(1)는 해수 유입이 필요한 부유식원유생산저장설비(FPSO), 드릴십(Drill ship), 해양구조물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케이슨 파이프(20)는 수중펌프(미도시)가 내장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해수공급컬럼(21)과 상기 해수공급컬럼(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다 깊은 수심에서 해수(sea water)를 끌어 올리도록 하는 유연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수공급컬럼(21)은 대략 6m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플렉시블 호스(22)는 6~10m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플렉시블 호스(22)는 수심 100~150m의 깊이까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22)는 수심 100~150m의 깊이까지 연결되어 보다 낮은 온도의 해수를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내부에는 다수의 벽체(11)에 의해 공간부(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부(10)는 선체(1)의 메인 데크(2)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벽체(11)는 공간부(10)를 형성함은 물론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작업 시 분출되는 해수가 공간부(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또한 케이슨 파이프(20)는 유입된 해수가 공급되도록 파이프(3)와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3)가 설치된 벽체(11)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벽(12)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10)에는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케이슨 파이프(2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슨 파이프(20)는 파이프 내부에 수중펌프(미도시)가 내장된 해수공급컬럼(21)과 상기 해수공급컬럼(21)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22)로 이루어진다.
이들 해수공급컬럼(21) 및 플렉시블 호스(22)는 공간부(10)의 일측에 마련된 보관부(30)에 수직으로 보관하게 된다.
상기 보관부(30)는 복수의 해수공급컬럼(21)과 플렉시블 호스(22)를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복수의 데크(31, 34, 36)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30)는 공간부(10)의 내부 일측에 제1 데크(31), 제2 데크(34) 및 제3 데크(3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의 데크(31, 34, 36)는 필요에 따라 2개의 데크 또는 4개 이상의 데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크(31)는 메인 데크(2)의 아래 쪽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제2 데크(34)는 제1 데크(31)의 아래 쪽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3 데크(36)는 제2 데크(34)의 아래 쪽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들 제1 내지 제3 데크(31, 34, 36)로 이루어진 보관부(30)는 공간부(10)의 내부 일 측면에 설치됨과 함께 공간부(10)의 다른 측면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플랫폼(50)이 설치된다.
즉, 공간부(10)에 설치되는 제1 데크(31), 제2 데크(34) 및 제3 데크(36)는 동일 높이에 설치되며, 일 측면에 케이슨 파이프(20)를 보관해 두는 보관부(30)로 이용되고, 다른 측면에 작업플랫폼(50)이 설치되어 작업 공간으로 이용된다.
도 4는 제1 데크(31), 제2 데크(34) 및 제3 데크(36)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제1 데크(31)에는 상기 해수공급컬럼(21)이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안착홈부(32); 상기 제1 안착홈부(3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22)가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안착홈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크(31)에는 내측에 해수공급컬럼(21)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부(32)가 형성되고, 제1 안착홈부(32)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2 안착홈부(33)가 형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안착홈부(32)는 도면상 왼쪽에 위치하게 되고, 일측은 해수공급컬럼(21)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되며, 타측은 해수공급컬럼(21)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제2 안착홈부(33)는 도면상 제1 안착홈부(32)의 오른쪽에 위치하게 되며, 제2 안착홈부(33)는 도면상 제1 안착홈부(32)의 상하 방향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안착홈부(32)에는 상부에 설치되는 해수공급컬럼(21)을 보관하게 되며, 제2 안착홈부(33)에는 해수공급컬럼(21)의 하부에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22)를 보관하게 된다.
상기 제2 데크(34)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22)를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데크(31)의 제2 안착홈부(33)와 동일하게 안착홈부(35)가 형성된다.
길이가 6m인 해수공급컬럼(21)은 제1 안착홈부(32)에 보관하게 되는데, 제2 데크(34)는 해수공급컬럼(21)이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해수공급컬럼(21)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길이가 6~10m인 플렉시블 호스(22)는 제1 데크(31)의 제2 안착홈부(33) 및 제2 데크(34)의 안착홈부(35)에 밀착되며, 제3 데크(36)는 플렉시블 호스(22)가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플렉시블 호스(22)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10)에는 상기 케이슨 파이프(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오버헤드 크레인(40);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40)에 의해 상기 케이슨 파이프(20)의 이동 및 교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10)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작업플랫폼(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40)은 케이슨 파이프(2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오버헤드 크레인(40)은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작업플랫폼(50)은 상기 제1 데크(31)에 설치되는 제1 작업플랫폼(51); 상기 제2 데크(34)에 설치되는 제2 작업플랫폼(52); 상기 제3 데크(3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작업플랫폼(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작업플랫폼(51)은 제1 데크(31)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며, 제2 작업플랫폼(52)은 제2 데크(34)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제3 작업플랫폼(53)은 제3 데크(36)에 비하여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작업플랫폼(51) 및 제2 작업플랫폼(52)은 오버헤드 크레인(40)을 조작하거나 케이슨 파이프(20)의 이동에 따라 보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제3 데크(53)는 케이슨 파이프(20)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3)의 분리 또는 결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에는 선체(1)에 해수를 끌어 올릴 수 있도록 복수의 케이슨 파이프(2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10)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10)는 복수의 벽체(11)에 의해 형성되며, 공간부(10)의 일측에는 차단벽(12)을 설치한다.
상기 케이슨 파이프(20)의 해수공급컬럼(21) 상단은 제3 데크(36)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해수공급컬럼(21)의 상단은 제3 데크(36)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해수공급컬럼(21)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호스(22)가 연결된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22)는 선저면을 관통하여 수심 100~150m의 깊이까지 연결된다.
또 해수공급컬럼(21)의 상단에는 해수를 보내고자 하는 곳으로 이송되도록 파이프(3)를 연결하며, 상기 파이프(3)가 설치된 구역에는 케이슨 파이프(20)의 분리 또는 결합 시 해수가 공간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벽(12)을 설치한다.
상기 공간부(10)의 일측에는 케이슨 파이프(20)를 각각 해수공급컬럼(21)과 플렉시블 호스(22)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부(30)를 형성한다. 보관부(30)는 각각 길이가 다른 해수공급컬럼(21)과 플렉시블 호스(22)를 분리하여 보관한다.
보관부(30)의 제1 데크(31)에는 해수공급컬럼(21)을 보관하도록 제1 안착홈부(32)를 형성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제1 안착홈부(32)의 오른쪽에 제2 안착홈부(33)를 형성한다.
또 제2 데크(34)에는 제2 안착홈부(32)와 동일하게 안착홈부(35)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데크(34)의 상면에는 해수공급컬럼(21)의 저면이 닿게 되고, 제3 데크(36)의 상면에는 플렉시블 호스(22)의 저면이 닿게 된다. 이에 해수공급컬럼(21) 및 플렉시블 호스(22)는 보관부(30)에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해수공급컬럼(21) 및 플렉시블 호스(22)를 제1 데크(31)에 안전하게 세워둘 수 있도록 클램프(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또는 해수공급컬럼(21) 및 플렉시블 호스(22)의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여 걸쇠로 걸어 고정시키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고정시켜 둘 수 있다.
상기 공간부(10)의 상부에는 케이슨 파이프(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오버헤드 크레인(40)을 설치하며, 공간부(1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플랫폼(50)을 설치한다.
상기 제1 작업플랫폼(51)은 제1 데크(31)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며, 제2 작업플랫폼(52)은 제2 데크(34)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제3 작업플랫폼(53)은 제3 데크(3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의 작업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일부 확대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을 보인 입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은 공간부(10)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슨 파이프(20)를 통해 해수를 끌어 올리게 된다.
상기 케이슨 파이프(20)의 해수공급컬럼(21)에는 수중펌프(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수중펌프에 의해 해수를 끌어 올리게 되며, 해수공급컬럼(21)에는 복수의 플렉시블 호스(22)를 서로 연결하여 수중펌프에 의해 해수가 유입된다.
이와 같은 케이슨 파이프(20)는 사용 도중에 정기적인 유지·보수 또는 부정기적인 유지·보수 작업 및 수중펌프의 고장,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작업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케이슨 파이프(20)를 분리하게 되며, 분리된 해수공급컬럼(21)은 공간부(10)의 상부에 설치된 오버헤드 크레인(40)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고, 플렉시블 호스(22) 또한 오버헤드 크레인(40)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해수공급컬럼(21)은 제3 데크(34)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먼저 분리되고, 해수공급컬럼(21)의 하부에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22)를 끌어 올리면서 순차적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해수공급컬럼(21)은 분리된 다음 오버헤드 크레인(40)에 의해 보관부(30)에 수직으로 보관하게 되며, 분리된 플렉시블 호스(22)는 오버헤드 크레인(40)에 의해 보관부(30)에 수직으로 보관하게 된다.
먼저 분리된 해수공급컬럼(21)은 제1 데크(31)의 제1 안착홈부(32)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클램프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안정되게 세워둘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해수공급컬럼(21)의 저면은 제2 데크(34) 상면에 접촉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또 플렉시블 호스(22)는 제1 데크(31)의 제2 안착홈부(33) 및 제2 데크(34)의 안착홈부(35)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클램프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안정되게 세워둘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호스(22)의 저면은 제3 데크(36) 상면에 접촉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와 같이 보관부(30)는 분리된 케이슨 파이프(20)를 해수공급컬럼(21)과 플렉시블 호스(22)로 분리시켜 각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부(30)에는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작업 등을 위하여 해수공급컬럼(21) 및 플렉시블 호스(22)를 미리 보관하여 둘 수 있다. 즉,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작업 전에 필요한 해수공급컬럼(21) 및 플렉시블 호스(22)를 미리 보관하여 둠으로써, 케이슨 파이프(20)의 교체 작업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선체 2: 메인 데크
3: 파이프 10: 공간부
11: 벽체 12: 차단벽
20: 케이슨 파이프 21: 해수공급컬럼
22: 플렉시블 호스 30: 보관부
31: 제1 데크 32: 제1 안착홈부
33: 제2 안착홈부 34: 제2 데크
35: 안착홈부 36: 제3 데크
40: 오버헤드 크레인 50: 작업플랫폼
51: 제1 작업플랫폼 52: 제2 작업플랫폼
53: 제3 작업플랫폼

Claims (11)

  1.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공급컬럼과 상기 해수공급컬럼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로 이루어진 케이슨 파이프;
    상기 케이슨 파이프를 분리시켜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관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슨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오버헤드 크레인; 및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에 의해 상기 케이슨 파이프의 이동 및 교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작업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복수의 상기 해수공급컬럼과 플렉시블 호스를 수직으로 보관하도록 상기 선체의 메인 데크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데크;
    상기 제1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데크; 및
    상기 제2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 데크를 포함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선체의 메인 데크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슨 파이프의 분리 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크에는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안착홈부;
    상기 제1 안착홈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안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부는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이동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홈부의 타측은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안착되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안착홈부는 상기 제1 안착홈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홈부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안착되도록 일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크는 상기 해수공급컬럼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 데크의 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크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2 데크의 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플랫폼은 상기 제1 데크에 설치되는 제1 작업플랫폼;
    상기 제2 데크에 설치되는 제2 작업플랫폼;
    상기 제3 데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작업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KR2020150005570U 2015-08-20 2015-08-20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KR200483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70U KR200483928Y1 (ko) 2015-08-20 2015-08-20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70U KR200483928Y1 (ko) 2015-08-20 2015-08-20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62U KR20170000762U (ko) 2017-03-02
KR200483928Y1 true KR200483928Y1 (ko) 2017-07-11

Family

ID=5841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570U KR200483928Y1 (ko) 2015-08-20 2015-08-20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2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265A (ja) * 1998-12-23 2002-10-08 ファン デル プール,ハンス 作業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910B1 (ko) * 2009-12-02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681708B1 (ko) 2010-06-29 2016-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217902B1 (ko) * 2010-07-09 2013-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라이저 이송장치
KR20150008597A (ko) 2013-07-15 2015-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공급펌프의 일체형 트렁크 구조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046810B1 (ko) * 2013-08-30 2019-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시설 및 해양시설의 케이슨 내 흡입호스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265A (ja) * 1998-12-23 2002-10-08 ファン デル プール,ハンス 作業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62U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654B2 (en) Monohull offshore drilling vessel
KR200483928Y1 (ko)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KR20130117129A (ko)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물 구조
KR20150031955A (ko) 드릴쉽
KR102046810B1 (ko) 해양시설 및 해양시설의 케이슨 내 흡입호스 설치방법
KR102156952B1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39345B1 (ko) 선박
KR101468531B1 (ko) 드릴쉽
KR20130104324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유지보수방법
KR101654195B1 (ko) 해수 취수 파이프
KR20150004082A (ko) 살수용 핸드레일을 구비한 시추선
KR101606698B1 (ko) 드릴쉽의 라이저 홀드 드레인 시스템
KR101506536B1 (ko) 케이슨을 이용한 해수펌프장치
KR101713855B1 (ko) 시추용 파이프가 적재되는 해치 커버가 구비된 시추선
KR101313554B1 (ko) 선박 러더용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102659721B1 (ko) 문풀을 이용한 해수활용시스템
KR20140134805A (ko) 드릴쉽
KR101374172B1 (ko) 해양 구조물의 해수 배출 장치
KR20120132171A (ko) 드릴쉽용 로딩 스테이션
KR20160000496U (ko) 드릴쉽
KR101885077B1 (ko) 가이드 파이프 실링구조물
KR20120002217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작업실 배치구조 및 방법
KR102225570B1 (ko) 라이저 지지장치
KR200478223Y1 (ko)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