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010B1 -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010B1
KR100597010B1 KR1019990063754A KR19990063754A KR100597010B1 KR 100597010 B1 KR100597010 B1 KR 100597010B1 KR 1019990063754 A KR1019990063754 A KR 1019990063754A KR 19990063754 A KR19990063754 A KR 19990063754A KR 100597010 B1 KR100597010 B1 KR 10059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opening
slide
cov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609A (ko
Inventor
히라노미사오
우에다도시아키
시마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덮개 개폐장치는, 상호 평행한 두 힌지부(43a, 43b)가 있는 슬라이드 힌지(43)가 한 힌지부에서 하드웨어 하우징(21)에 설치된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본체에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두 개의 힌지부(43a, 43b)에 각각 대응하는 스프링 가세부(spring energizing section) 로서의 코일부(46a, 46b)를 갖는 스프링부재(46)가 슬라이드 힌지(43)에 부착되고, 개구(21c)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드웨어 하우징(21) 상에 형성된 힌지 홀더(44)에 삽입물로서 슬라이드힌지(43)가 고정되고, 덮개본체(41)와 슬라이드 힌지(43)는 스프링부재(46)에 의해 하드웨어 하우징(21)의 외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세되어, 하드웨어 하우징(21)에 대하여 덮개본체(41)를 뒤집어서 개방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Closure opening/closing apparatus of electronic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의 종래의 전자기기 덮개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가 닫혀 있는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덮개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덮개 개폐장치의 덮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덮개 개폐장치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서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덮개 개폐장치의 일측부의 닫힌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부분의 개방 시작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과 동일한 부분의 개방중인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과 동일한 부분의 완전 개방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덮개 개폐장치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덮개 개폐장치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덮개 개폐장치가 열리는 도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덮개 개폐장치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디오 스틸 카메라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비디오 스틸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비디오 스틸 카메라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1. 외부 하우징 21b. 저면부
21c. 노치개구 25. 삽입개구
40. 개폐장치 41. 덮개본체
42. 축핀 43. 슬라이드힌지
43a. 제 1힌지부 43b. 제 2힌지부
44. 힌지홀더 45. 누름판
45a,45b. 결합돌기 45d. 돌기
46. 스프링부재 46a,46b. 코일부
46c. 연결암 46d,46e. 암
본 발명은 전자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테이프 레코더, 라디오 등의 전자기기에서, 기록매체, 배터리 등의 삽입물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수납되는 수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덮개 개폐장치가 설치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 및 2는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도시된 전자 스틸 카메라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다. 전자 스틸 카메라(1)의 하우징은 서로 중첩된 정면 패널(2)과 후면 패널(3)을 가지고, 장식 프레임(4)이 이 패널(2, 3)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장식 프레임(4)은 후면 패널(3)에 고정되는 반면, 정면 패널(2)과 후면 패널(3)은 개폐자재로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전력공급용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홀더(5)의 삽입부(6)를 노출시키는 개구(7)는 전자 스틸 카메라(1)의 후면 패널(3)에 설치된다. 이 개구(7)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덮개본체(8)에 의해 개폐자재로 되어 있다. 덮개본체(8)는 그 일단이 배터리홀더(5)의 일측에 설치된 베어링부(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암(9)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암(9)의 앞부분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덮개본체(8)의 탈락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본체(8)의 앞부분에는 록폴(lock pawl)(8a)이 설치되어 있다. 록폴(8a)을 배터리홀더(5)의 타측에 설치된 록홀(lock hole : 5b)에 결합하므로써, 개구(7)는 꼭맞게 밀폐된 상태에서 덮개본체(8)에 의해 닫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기기용 덮개장치의 개폐동작은 다음의 방식으로 행해진다. 먼저, 개구(7)를 폐쇄하는 덮개본체(8)는, 도 2에서 화살표(A)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측면과 평행하게 미끄러진다. 이에 의해, 덮개본체(8)의 록폴(8a)은 배터리홀더(5)의 록홀(5b)로부터 풀려지고, 이것으로 인해 덮개본체(8)를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나서, 도 2에서 화살표(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암(9)은 베어링부(5a)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개구(7)는 열려져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8)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개폐장치,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서 전원용 배터리, 기록매체 등의 삽입물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 개폐장치는 하우징에 대해 90。 ∼ 110。 만큼만 열려질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열려지는 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이 가해지면, 덮개본체, 축 등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덮개본체가 하우징에 대해 서 있는 상태로 열려있기 때문에, 덮개본체가 다른 부분에 의해 잡아당겨짐으로써 손상되거나, 삽입물을 넣거나 꺼낼 때 지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들을 회피하기 위해, 덮개본체나 축을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유연한 재료로 만들었다. 이 경우에, 외관이 하우징과 다르게 되고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이 덮개본체는 스테인레스 등의 판금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덮개본체와 판금이 고정을 위해 나사 결합되므로, 덮개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하우징에의 부착에 지장을 초래하고, 판금과 나사의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가 하우징에 대해 뒤집어진 상태로 열려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는 하드웨어 하우징에 설치된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본체와, 하드웨어 하우징과 덮개 본체 사이에 끼워지고 두개의 힌지부가 필요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서 힌지 홀더는, 슬라이드 힌지가 하드웨어 하우징이나 덮개본체의 일측상의 축에 의해 한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면 다른 힌지부는 그 타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힌지의 슬라이딩으로 인한 두 힌지부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두 단계로 회전되고, 뒤집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외면측에 겹쳐져서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덮개본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 부재는 슬라이드 힌지의 2개의 힌지부 각각에 대응하는 스프링 가세부를 가지고, 이 스프링 가세부는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고, 힌지홀더와 슬라이드 힌지가 클릭상태에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덮개 본체가 하우징에 대해 뒤집어진 상태에서 하드웨어 하우징의 외면측에 겹쳐지도록 개방되는 특징이 있고, 따라서 하드웨어 하우징의 개구가 크게 개방될 수 있고, 덮개본체가 강하게 밀려지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이 없다.
또한, 덮개본체는, 슬라이드 힌지의 2개의 힌지부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의 탄성가세부의 가세력으로 인해, 록을 해제한 후에 자동적으로 열려진다. 또한, 스프링부재는 슬라이드 힌지의 2개의 힌지부에 각각 대응하여, 스프링 가세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따라서 힌지홀더에의 조립이 간단화 된다.
또한, 슬라이드 힌지가 슬라이드 힌지를 클릭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홀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본체의 개폐동작시에 슬라이드 힌지가 슬라이딩 동작할 때 클릭감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작성이 개선되고, 덮개본체의 결합상태가 클릭감에 의해 확인될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16을 참고로 이제 설명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를 전자기기 중 전자스틸 카메라로서 비디오 스틸 카메라를 사용하여, 비디오 스틸 카메라용 기록 매체 로서의 메모리 스틱의 수납부의 덮개에 적용한다.
도 14는 이 실시예의 비디오 스틸 카메라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그 정면도, 도 16은 그 좌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틸 카메라(11)는 촬영부(13)를 카메라본체(12)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록 및 재생장치는 카메라 본체(12)에 내장되어 있고, 기록매체로서의 메모리 스틱(Ms)은 메모리 스틱이 출입자재로 될 수 있는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화상표시부(14)는 후면측의 거의 중앙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촬영부(13)에는, 렌즈 유닛(15)과 스트로보 유닛(16)이 횡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비디오 스틸 카메라(11)의 카메라본체(12)에는, 전면패널(22)과 후면패널(23)을 합체함으로써 외부 하우징(21)이 형성된다. 리세스(recess : 21a)는 외부 하우징(21)의 상부에 형성되고, 화상표시부(14)의 화면 표시창(23b)은 후면패널(23)의 후면측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기록재생장치 및 화상표시부(14)는 이런 식으로 형성된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에 내장되고, 촬영부(13)는 외부 하우징(21)의 리세스(21a)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촬영부(13)는 외부 하우징(31)을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과 동일한 폭으로 하여, 앞측 캐비넷(32)과 뒤측 캐비넷(33)을 합체하므로써 형성된다. 원통형축부는 외부 하우징(31)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외부 하우징(31)의 원통형 축부는 앞측 및 뒤측 케비넷(32, 33)의 각각의 양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반원통형 돌출부를 마주하므로써 형성된다. 외부 하우징(31)은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의 리세스(21a)의 양쪽 내면부에 형성된 베어링부에 삽입하므로써 결합되고,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에 대해 리세스(21a)에 전후방향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촬영부(13)는 촬영부(13)의 외부 하우징(31)내의 홀더를 결합 고정하고 렌즈 유닛(15)과 스트로보 유닛(16)을 부착하므로써 구성된다.
촬영부(13)가 이런 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에는, 내장되어 있는 기록 재생장치에 기록매체로서 메모리 스틱(Ms)을 장착하기 위한 삽입개구(25)가 저면부(21b)측의 한 모서리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 의한 덮개 개폐장치는 삽입개구(25)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에는, 정면패널(22)과 후면패널(23)의 저면부(22a, 23a)에 걸쳐져서 삽입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개구(25)를 개폐하기 위한 일예의 덮개 개폐장치(40)는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측의 좌측 모서리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덮개 개폐장치(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측의 좌측 모서리부에서, 저면측으로부터 그 좌측면측의 하부까지, 저면부와 외부 하우징(21)의 좌측면측에 동일면상에 대응하고, 삽입개구(25)를 폐색하는 덮개본체(41)와, 덮개본체(41)의 저면측부(41a)의 단부의 중앙에 형성된 베어링(41b)내의 축핀(42)에 의해 지지된 제 1힌지부(43)와 제 1힌지부(43a)와 필요 한 간격으로 평행한 제 2힌지부(43b)가 설치된 슬라이드 힌지(43)와,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의 내면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저면부와의 사이에 슬라이드힌지(43)의 힌지홀더(44)를 형성하는 누름판(45)과, 덮개본체(41)를 슬라이드힌지(43)로부터 외부로 회동하도록 가세하고 슬라이드힌지(43)를 힌지홀더(44)로부터 외부로 회동하도록 가세하기 위해 슬라이드힌지(43)의 제 1 및 제 2힌지부(43a, 43b)상에 감겨있는 스프링부재(46)로 구성된다.
이런식으로 구성된 덮개 개폐장치(40)의 덮개본체(41)는, 카메라본체(12)의 외부 하우징(21)의 저면좌측모서리부에서 저면부(21b)측으로부터 좌측면측까지 형성된 노치개구(21c)에 대응하도록, 저면부(41a)와 측면부(41c)에 의해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41a)는 후반부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베어링(41b)은 단 가장자리부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그 양단의 외주에는, 누름판(45)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돌기(41d)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덮개본체(41)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덮개본체(41)의 저면부(41a)의 전반부와 측면부(41b)의 뒤쪽 가장자리부에는, 외부 하우징(21)의 후면측의 모서리부에, 즉 후면패널(23)의 후면부의 하단측 좌모서리부에, 메모리스틱(Ms)의 배출조작버튼(18)을 조작하도록 노치에 형성된 조작부(21c1)에 대응하는 폐색부(4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힌지(43)에는, 제 1힌지부(43a)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힌지부(43a)와 연통하고 덮개본체(41)의 베어링(41b)에 축방향으로 삽입하므로써 함께 결합되는 노치개구(43a1)와 스프링부재(46)의 후술하는 한 코일부가 삽입되어 함께 결합되는 노치리세스(43a2)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힌지부(43b)는 원기둥형이고, 양단축부(43b1, 43b2)는 슬라이드힌지(43)의 평면부(43c)상의 양단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그 중앙부에는, 리세스(43b3)가 코일부의 길이의 두배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스프링부재(16)의 후술하는 타코일부가 삽입되고, 코일부가 삽입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축돌기(43b4)가 하나의 내측부에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평면부(43c)에는, 누름판(45)에 설치된 가이드리브와 걸어 맞추어지는 그루브(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제 1힌지(43a)와 제 2힌지(43b) 사이의 편평간격부인 평면부(43c)는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의 두께와 덮개본체(41)의 두께를 합한 크기와 거의 같거나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누름판(45)과 면하는 평면부(43c)의 내면측에는 대략 제 2힌지(43b)의 중앙에 대응하는 리세스(43c1)가 형성되어 있다(도 6참조).
누름판(45)에는, 또한 슬라이드힌지(43)의 슬라이딩측면의 외단부 양측에 슬라이드힌지(43)의 제 2힌지부(43b)의 양단축(43b1, 43b2)부가 걸어 맞추어지는 결합돌기(45a, 45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단부에는, 슬라이드힌지(43)의 힌지부(43b)가 걸어 맞추어지는 결합돌기에지(45c)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돌기에지(45c)의 전방측에는, 결합돌기에지(45c)와 함께 슬라이드힌지(43)의 제 2힌지부(43b)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45d)가 단면이 볼록원호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가세부로서 2개의 코일부(46a, 46b)를 갖는 비틀림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스프링부재(46)는 제 1힌지부(43a)의 노치리세스(43a2)에 삽입하므로써 제 1코일부(46a)를 슬라이드힌지(43)에 끼워맞추고, 제 2코일부(46b)를 제 2힌지부(43b)의 리세스(43b3)의 축돌기(43b4)에 삽입하여 회동지지하고, 제 1 및 제 2코일부(46a, 46b) 사이의 연결암(46c)은 슬라이드힌지(43)의 평면부(43c)에 맞닿는다. 그리고나서, 스프링부재(46)의 제 1코일부(46a)의 암(46d)은 덮개본체(41)의 내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고, 제 2코일부(46b)의 암(46e)은 슬라이드홀더(44)의 내면인 슬라이드힌지(43)에 대향하는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의 내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덮개 개폐장치(40)의 각 부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덮개 개폐장치(40)는 각 부재로 조립된다. 즉, 덮개본체(41)의 베어링(41b)은 슬라이드힌지(43)의 제 1힌지부(43a)의 노치개구(43a1)에 삽입하여 끼워 맞추어져서 베어링(41c)의 각 축 구멍과 제 1힌지(43a)를 서로 연통하여, 축핀(42)을 통과시킨다. 이 축핀(42)은 제 1힌지부(43a)의 노치리세스(43a)에서 스프링부재(46)의 제 1코일부(46a)에 통과시킴으로써 축에 의해 덮개본체(41)와 슬라이드힌지(43)를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부재(46)의 연결암(46c)은 슬라이드힌지(43)의 평면부(43c)에 탄성적으로 맞닿고, 제 1암(46d)은 덮개본체(41)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맞닿아서, 덮개본체(41)와 슬라이드힌지(43)를 서로 회전가능하게 가세한다.
그리고나서, 슬라이드힌지(43)의 내면은 누름판(45)과 대면하여, 제 2힌지부(43b)는 누름판(45)의 결합돌기(45a, 45b)와 결합돌기에지(45c) 사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누름판(45)을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의 내면단에, 그 외단부를 노치개구(21c)와 마주하여, 고정하므로써 힌지홀더(44)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부재(46)의 제 2암(46e)은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덮개 개폐장치(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41)가 외부 하우징(21)의 노치개구(21c)에 끼워 맞추어져서, 선단부내면측, 즉 측면부(41c)의 선단부 내면측의 결합돌기(41c1)가 외측으로부터 외부 하우징(21)의 결합부(21d)와 걸어맞추어지고, 이에 의해 메모리스틱(Ms)의 삽입부(25)를 폐색한 상태에서, 슬라이드힌지(43)가 힌지홀더(44)의 최내측, 즉 누름판(45)의 내단측에 슬라이드 위치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힌지부(43b)는 제 2힌지부(43b)가 리세스(43c1)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누름판(45)측의 결합돌기(45c)와 돌기(45d) 사이에 끼워맞추어 지는 식으로 지지 되어 있다.
삽입부(25)의 폐색상태는 다음의 방식으로 덮개본체(41)에 의해 해제된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41)가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를 따라 평행하게 밀려나오면, 슬라이드힌지(43)의 제 2힌지부(43b)는 또한 누름판(45)측의 돌기(45d)를 뛰어넘어, 덮개본체(41)와 함께 슬라이드한다. 또한, 덮개본체(41)의 선단부의 내면의 결합돌기(41c1)는 외부 하우징(21)의 결합부(21d)로부터 해제되어 그 결합을 해제하는 반면, 슬라이드힌지(43)의 제 2힌지(43b)의 양단축(43b1, 43b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45)의 외단측의 결합돌기(45a, 45b)와 걸어맞추어진다.
만약 덮개본체(41)상의 가압이 이 상태에서 해제되면, 덮개본체(41)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46)의 제 2코일부(46b)의 비틀림탄성으로 인해, 슬라이드힌지(43)의 제 2힌지부(43b) 주위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힌지(43)와 함께 회동하여, 슬라이드힌지(43)의 평면부(43c)가 외부 하우징(21)의 노치개구(21c)의 저면측 단면에 맞닿고 대략 직각 위치에서 그 단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본체(41)는, 스프링부재(46)의 제 1코일부(46a)의 비틀림탄성으로 인해, 슬라이드힌지(43)의 제 1힌지부(43a)를 중심으로 하여,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어져서 넘어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덮개본체(41)는,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의 외측에서 뒤집어진 상태로 중첩된다. 외부 하우징(21)의 노치개구(21c)는 크게 완전히 열려져서 메모리스틱(Ms)의 삽입부(25)를 노출하여 개방한다.
또한, 그 개방상태로부터 덮개본체(41)를 닫기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덮개본체(41)가 덮개본체(41)를 세우는 방향으로 밀려지면, 슬라이드힌지(43)는 덮개본체(41)와 일체로 제 2힌지부(43b)를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부재(46)의 제 2코일부(46b)의 비틀림탄성에 대항하여 넘어져서 회전되고, 누름판(45)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본체(41)가 더 밀려지면, 덮개본체(41)는 슬라이드힌지(43)의 제 1힌지부(43a)를 중심으로하여, 스프링부재(46)의 제 1코일부(46a)의 비틀림탄성에 대항하여, 외부 하우징(21)의 노치개구(21a)쪽으로 뒤집어져서 넘어진다. 이 덮개본체(41)의 회전동작은, 덮개본체(41)의 후단부의 베어링(41b)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41d)를 누름판(45)의 평면부에 맞닿게하므로써 원활하게 행해진다.
그리고나서, 덮개본체(41)가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와 동일면상에 회동되어 넘어진 상태에서 덮개본체(41)가 평행하게 노치개구(21c)로 삽입되면, 슬라이드힌지(43)는 힌지홀더(44)의 안쪽으로, 즉 누름판(45)의 판면을 따라 뒤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제 2힌지(43b)의 중앙부는 누름판(45)의 돌기(45d)를 넘어서 돌기(45d)와 결합돌기(45c) 사이에 끼워맞추어 지지된다. 동시에, 덮개본체(41)의 선단부의 내면의 결합돌기(41b)는 외부로부터 외부 하우징(21)의 결합돌기(21d)와 걸어맞추어지고, 외부 하우징(21)에 대해 잠겨져서 노치개구(21c)를 닫는다. 따라서,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5)는 폐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개폐장치(40)의 덮개본체(41) 는 상호 평행한 제 1힌지부(43a) 및 제 2힌지부(43b)를 갖는 슬라이드 힌지부(43)로 구성되고, 외부 하우징(21)에 대하여 슬라이드 힌지(43)의 두 힌지부(43a, 43b)에서 개폐작동을 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개방동작은 뒤집어진 상태에서 행해지고, 외부 하우징(21)의 개구(21a)는 크게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프링부재(46)를 제 1힌지부(43a) 및 제 2힌지부(43b)에 부착함으로써, 덮개본체(41)의 개방동작이 스프링부재(46)의 제 1코일부(46a) 및 제 2코일부(46b)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덮개본체(41)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후,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덮개본체(41)는 외부 하우징(21)의 개구(21c)가 개방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힌지(43)의 제 1힌지부(43a) 및 제 2힌지부(43b)의 상술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부재(46)로서의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이 제 1힌지부(43a)에 부착된 제 1코일부(46a) 및 제 2힌지부(43b)에 부착된 제 2코일부(46b)가 한 개의 와이어에 의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소위 안경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구조는 간단하며 또한 슬라이드 힌지(43)의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덮개본체(41)에 있어서, 스프링부재(46)가 덮개 개폐장치(40)의 슬라이드 힌지(43)에 설치되지 않은 구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덮개본체(41)의 개폐동작은 모두 손으로 이루어진다. 즉, 덮개본체(41)의 개방동작에 대해서, 덮개본체(41)를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에 평행하게 밀어낸 상태로 이 덮개본체(41)와 일체로 슬라이드된 슬라이드 힌지(43)에 대해 제 1힌지부(43a)를 중심으로 덮개본체(41)를 세워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뒤쪽 방 향으로 민다. 따라서, 슬라이드 힌지(43)가 제 2힌지부(43b)를 중심으로 세워져서 회동하고, 덮개본체(41)는 외부 하우징(21)의 저면부(21b)의 외부면 상에서 뒤집어져서 중첩되어, 외부 하우징(21)의 개구를 크게 개방한다.
또한, 덮개본체(41)가 개방상태로부터 닫힐 때, 외부 하우징(21)의 노치(notch) 개구(21c)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닫힐 수 있다. 이 경우에, 덮개본체(41)가 슬라이드 힌지(43)에 스프링부재를 설치하지 않아서, 덮개본체(41)를 부드럽게 닫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덮개본체의 형태 등은 폐색될 개구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힌지는 슬라이드 힌지가 각각 평행한 두 힌지부를 갖고 있다면, 임의로 바꿀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호 평행한 제 1 및 제 2힌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힌지가 외부 하우징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덮개본체가 두 힌지부의 하나인 제 1힌지부에 의해 회동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힌지가 덮개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 중 어느 하나가, 즉 제 1 및 제 2힌지부가 외부 하우징측 상에 회동 지지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덮개 본체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 뒤집어져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누름판이 덮개본체의 내측에 부착되어 슬라이드 힌지를 지지하 는 힌지 홀더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배터리케이스의 경우에, 누름판의 내부를 접점 단자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는 비디오 스틸 카메라의 메모리 스틱(stick) 수납부, 배터리 수납부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물품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하드웨어와 수납 박스를 개폐하는 덮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 개폐장치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본체와, 하우징과 덮개본체 사이에 장착되고 필요한 간격으로 상호 평행한 두 힌지부가 있는 슬라이드 힌지로 구성되고, 슬라이드 힌지가 한 힌지부에서 덮개본체 또는 하우징의 일측에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반면에, 타측에서는 슬라이드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덮개본체는 슬라이드 힌지의 슬라이딩에 기인한 두 힌지부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에 대하여 두 단계로 회전하고, 뒤집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외면측 상에 중첩하도록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개구는 거의 완전히 개방되어, 삽입물의 빼고 넣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본체를 개방상태에서 부주의하게 밀어도 덮개본체가 파손될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고강도의 시트판 등으로 덮개본체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구조도 간단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하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힌지의 두 힌지부에 개구방향으로 덮개본체를 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덮개본체의 개방동작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덮 개본체가 완전한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물을 빼고 넣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는 슬라이드 힌지의 두 힌지부 각각에 대응하는 스프링가세부를 갖고, 스프링가세부의 끝을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슬라이드 힌지와 스프링부재의 결합이 간단해져서, 스프링부재의 생산 및 그 제어가 쉬울 뿐만 아니라 작업성도 증가한다.
또한, 힌지 홀더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클릭감(click feeling)이 슬라이드 힌지의 슬라이딩 동작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조작성이 향상되고, 덮개본체의 걸어맞춤 상태가 클릭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세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전자장치의 덮개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하드웨어 하우징에 설치되어 개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덮개본체와,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과 상기 덮개본체 사이에 장착되고, 그들 사이에 형성된 평평한 부를 가지며 상호 평행한 제 1과 제 2의 힌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슬라이드 힌지가 슬라이드되도록 지지되게하기 위해서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진 리바운드 리프(rebound leaf)로 형성된 힌지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덮개본체를 부착하는 축에 의해 상기 제 1의 힌지부에서 상기 덮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힌지부는 상기 힌지 홀더에 의해 슬라이드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된 원주 모양의 단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본체는 상기 힌지 홀더의 상기 슬라이드 힌지에 의한 상기 제 1과 제 2힌지부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에 대하여 두 단계로 회전하여,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의 외면측에 중첩되도록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덮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의 제 1과 제 2의 힌지부에 배치되며 개방 방향으로 상기 덮개본체를 가세하는 스프링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덮개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의 제 1과 제 2의 힌지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스프링 가세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가세부가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덮개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가 상기 힌지 홀더와 클릭 상태로 맞물리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덮개 개폐장치.
  5. 상기 전자장치의 덮개를 개폐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하드웨어 하우징에 설치되어 개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덮개본체와,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과 상기 덮개본체 사이에 장착되고, 그들 사이에 형성된 평평한 부를 가지며 상호 평행한 제 1과 제 2의 힌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슬라이드 힌지가 슬라이드되도록 지지되게하기 위해서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진 리바운드 리프(rebound leaf)로 형성된 힌지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덮개본체를 부착하는 축에 의해 상기 제 1의 힌지부에서 상기 덮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힌지부는 상기 힌지 홀더에 의해 슬라이드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된 원주 모양의 단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본체는 상기 힌지 홀더의 상기 슬라이드 힌지에 의한 상기 제 1과 제 2힌지부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에 대하여 두 단계로 회전하여,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하드웨어 하우징의 외면측에 중첩되도록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의 상기 제 1과 제 2의 힌지부들내에 배치되며 덮개 본체를 개방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의 상기 제 1과 제 2의 힌지부들에 각각대응하는 한 쌍의 스프링 가세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가세부가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가 상기 힌지 홀더와 클릭 상태로 맞물리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19990063754A 1998-12-29 1999-12-28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0597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752598A JP4026260B2 (ja) 1998-12-29 1998-12-29 電子機器用蓋開閉装置
JP98-377525 1998-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609A KR20000052609A (ko) 2000-08-25
KR100597010B1 true KR100597010B1 (ko) 2006-07-04

Family

ID=1850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754A KR100597010B1 (ko) 1998-12-29 1999-12-28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09042B1 (ko)
JP (1) JP4026260B2 (ko)
KR (1) KR100597010B1 (ko)
CN (1) CN11381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7637B2 (en) 2002-08-02 2013-10-29 Fujitsu Component Limited Mobile device and pivotal cover member therefore
US20040020012A1 (en) * 2002-08-02 2004-02-05 Gupte Sheel A. Self-contained hinge for flip-style device
JP3993042B2 (ja) * 2002-08-02 2007-10-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携帯機器
TW581377U (en) * 2003-05-09 200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581378U (en) * 2003-05-16 200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connected with a housing for a communication unit
US6955446B2 (en) * 2003-08-08 2005-10-18 Uke Alan K Flashlight with pivotable battery contact structure
US7079875B2 (en) * 2003-12-19 2006-07-18 Motorola, Inc. Housing assembly with biased and removable door
WO2005074602A2 (en) * 2004-02-02 2005-08-18 Amphenol-T & M Antennas Push-button hinge for handheld devices
CA2559233C (en) * 2004-03-31 2012-01-03 Widex A/S Component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KR20070027576A (ko) 2004-06-08 2007-03-09 암페놀 티 앤드 엠 안테나즈 휴대 장치용 평행 평판 회전 힌지
US20060193469A1 (en) * 2004-06-08 2006-08-31 Tony Kfoury Parallel plane rotation hinge for a portable device
JP4604738B2 (ja) * 2005-01-28 2011-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蓋開閉装置
JP4196952B2 (ja) * 2005-02-09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0446140C (zh) * 2005-02-24 2008-12-24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检测开关的拨动机构
JP4499026B2 (ja) * 2005-12-15 2010-07-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蓋の開閉機構
JP2007258198A (ja) * 2006-03-20 2007-10-04 Sony Corp 蓋部材の支持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8010478A (ja) * 2006-06-27 2008-01-1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の蓋開閉機構及び電子機器
DE102006042109B4 (de) * 2006-09-07 2011-12-29 Staxera Gmbh Gehäuse zum Aufnehmen zumindest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und dessen Verwendung
ATE523031T1 (de) * 2006-12-21 2011-09-15 Sharp Kk Verbundspulenfeder und damit ausgerüstetes mobiles endgerät mit gleitmechanismus
KR100850463B1 (ko) * 2007-01-15 2008-08-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제품의 배터리 커버 개폐 장치
US7867646B2 (en) * 2007-01-25 2011-01-11 Emerson Electric, Co. Thermostat with opening portion for accessing batteries field
CN101908689B (zh) * 2009-06-08 2012-11-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JP5634740B2 (ja) * 2010-04-28 2014-12-03 株式会社マキタ 電気機器システム
DE102010040533A1 (de) * 2010-09-10 2012-03-15 Robert Bosch Gmbh Gerätedeckel für einen tragbaren Mischverstärker
JP2013058708A (ja) * 2011-09-09 2013-03-28 Futaba Corp 電子機器の蓋開閉機構
US8915392B2 (en) 2012-01-10 2014-12-23 Leupold & Stevens, Inc. Hinged lid for battery compartment in a manually rotatable adjustment knob
CN103379403A (zh) * 2012-04-28 2013-10-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耳机收纳结构以及便携式电子装置
US9101086B2 (en) * 2013-01-15 2015-08-04 Blackberry Limited Access panels for electronic devices
US9416988B2 (en) 2013-03-15 2016-08-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lf-aligning back plat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40324227A1 (en) 2013-04-30 2014-10-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having a fixed segment display with an interactive message center
CN105715754B (zh) * 2014-11-12 2017-10-31 力纳克传动系统(深圳)有限公司 线性传动器系统
CN105752876B (zh) 2014-11-12 2017-12-22 力纳克传动系统(深圳)有限公司 线性传动器系统
CN105757205B (zh) 2014-11-12 2017-10-27 力纳克传动系统(深圳)有限公司 线性传动器系统
JP7029606B2 (ja) * 2017-02-24 2022-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278297B1 (en) * 2017-10-11 2019-04-3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Case with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reof
JP2019086721A (ja) * 2017-11-09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ガイド機構及び撮像装置
JP6916728B2 (ja) * 2017-12-25 2021-08-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開閉機構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3477A (en) * 1922-11-27 1927-04-05 Paul P Horni Closure
US3432967A (en) * 1966-08-26 1969-03-18 Eastman Kodak Co Movable cover with locking and detenting means
JP2615122B2 (ja) * 1988-03-03 1997-05-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電池蓋の構造
US5206098A (en) * 1991-12-28 1993-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KR950000159B1 (ko) * 1992-03-31 1995-01-10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장비의 바테리커버 잠금장치
JPH0992243A (ja) * 1995-09-21 1997-04-04 Nippon Chemicon Corp 電子機器等のバッテリカバー
JP3493508B2 (ja) * 1996-06-27 2004-02-03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ヒンジ付き蓋
US5931513A (en) * 1997-10-20 1999-08-03 Motorola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latch mechanism and a selective call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00983A (ja) 2000-07-18
CN1138179C (zh) 2004-02-11
US6409042B1 (en) 2002-06-25
KR20000052609A (ko) 2000-08-25
CN1267839A (zh) 2000-09-27
JP4026260B2 (ja)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010B1 (ko) 전자기기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JPH09130462A (ja) 携帯用電話機のカバー開閉機構
JPH0682504B2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4297038B2 (ja) 電子機器
KR890003476Y1 (ko)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
JP2008089754A (ja) 蓋開閉装置
JP3695220B2 (ja) 蓋開閉装置及び蓋開閉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930008192Y1 (ko) 연출마이크를 부착한 캠코더
JP4434153B2 (ja) 電子機器
JPH0430587Y2 (ko)
JP2581432Y2 (ja) メモリカード着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スチルカメラ
JP2903117B2 (ja) カートリッジ等の挿入口の開閉機構
JP4325285B2 (ja) 電子機器
JP3767761B2 (ja) ビデオ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開閉機構
JP2545826B2 (ja) デイスクカセツト
JP2795291B2 (ja) ビデオ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
JP4087910B2 (ja) 蓋開閉装置
JP2003080799A (ja) 蓋部材の取付構造
JPH048516Y2 (ko)
JPS6343654Y2 (ko)
JP2002059954A (ja) 蓋開閉装置
JP2001332875A (ja) 蓋体の取付け構造
JP2005078679A (ja) 蓋ロック機構
JPH10196636A (ja) ヒンジ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