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781B1 -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 Google Patents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81B1
KR100594781B1 KR1020040029871A KR20040029871A KR100594781B1 KR 100594781 B1 KR100594781 B1 KR 100594781B1 KR 1020040029871 A KR1020040029871 A KR 1020040029871A KR 20040029871 A KR20040029871 A KR 20040029871A KR 100594781 B1 KR100594781 B1 KR 10059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ealing member
blade
developing roller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543A (ko
Inventor
전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81B1/ko
Priority to US11/048,927 priority patent/US7110697B2/en
Priority to CNB2005100591271A priority patent/CN100395670C/zh
Publication of KR2005010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55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66Meter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층규제장치는 현상롤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는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소정 각도로 벤딩된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브와;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오버랩되도록 설치되어 현상제의 실링효과가 향상된다.
현상제, 현상제층규제장치, 실링부재접촉부, 블레이드, 오목부

Description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A developer-layer device and a developing unit having the developer-layer device}
도 1은 종래의 현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도 4의 Ⅵ-Ⅵ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A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현상유닛 207...교반기
208...공급롤러 210...현상롤러
212...감광드럼 214...대전롤러
220...실링부재 230...현상제층규제장치
232...브라켓 234...블레이드
236...블레이드몸체 238...벤딩부
250...오목부 254...실링부재접촉부
260...접착제 270...대전롤러
280...노광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롤러의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성분 비자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현상롤러에 접촉되어 그 현상롤러에 일정량의 현상제층이 유지되도록 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이 블레이드가 적용된 현상유닛이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감광드럼(112)이 소정 형상의 하우징(104)내에 설치되어 있다. 감광드럼(112)은 대전롤러(114)에 의해 그 표면이 소정전위로 대전된다. 노광유닛(160)에 의해 대전된 감광드럼(112)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노광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110)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104)내의 소정공간에는 현상제가 수용되며, 그 토너수용부(105)에는 교반기(106)가 움직이면서 현상제를 교반시킨다. 그리고, 현상롤러(110)에 접촉 회전되는 현상제 공급롤러(108)는 현상롤러(11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롤러(110)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현상롤러(110) 표면에 달라붙은 현상제층을 규제 하기 위해서 블레이드(124)가 현상롤러(110)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124)는 탄성력을 갖는 소정 두께의 금속판재로서 현상롤러(110)에 일정한 접촉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한 접촉압은 블레이드(124)와 현상롤러(110)사이를 통과하는 현상제를 마찰 대전시켜서 현상제를 일정 극성으로 대전시키는 역활을 한다.
대전된 현상제는 상기 블레이드(124)의 벤딩부(128)에 부딪혀서 일정시간 머물면서 대전되고, 벤딩부(128)에 쌓인 현상제가 상기 블레이드(124)의 탄성력을 이기고, 블레이드(124)와 현상롤러(110)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현상제층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124)는 강성이 큰 브라켓(122)상에 스팟용접에 의해 설치된다. 이 블레이드(124)의 양단부에는 블레이드(124)의 벤딩부(128)에 쌓인 현상제가 측면부의 하우징 내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30)를 블레이드(124)의 양단부와 오버랩하여 설치할 경우, 블레이드(124)의 현상롤러(110)에 가하는 압력이 설계상 예상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링부재(130)는 블레이드(124)의 양단부에 접촉하여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설계상으로만 가능한 것으로 생산과정에서 조립오차등으로 인하여 갭(G)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갭(G)의 발생으로 인하여 규제되지 않은 현상제층(111)이 발생하게 된다. 규제되지 않은 현상제층의 발생으로 인하여 현상제의 손실이 커질 뿐아니라 감광드럼(112, 도 1참조)의 양단 및 전자사진 장치 본체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광드럼(112, 도 1참조)의 양단에 규제되지 않은 현상제에 의해 폐토너저장소(미도시)의 양측에 집중적으로 현상제가 퇴적되므로서 크리닝 성능 저 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현상제 실링특성이 개선된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층규제장치는 현상롤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는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소정 각도로 벤딩된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오버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벤딩부의 양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길이방향(L)의 길이(L1)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접촉되는 실링부재접촉부의 길이(L2)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상기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상기 벤딩부의 자유단까지의 길이(W1)보다 짧은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0.1mm 이내 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벤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실링부재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본체내에 마련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는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소정 각도 벤딩된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오버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벤딩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길이방향(L)의 길이(L1)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접촉되는 실링부재접촉부의 길이(L2)보다 긴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상기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상기 벤딩부의 자유단까지의 길이(W1)보다 짧은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0.1mm 이내 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벤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실링부재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상제층 규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유닛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200)은, 하우징(204) 내에 설치되는 감광매체인 감광드럼(212)과, 감광드럼(212)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210)와, 현상롤러(210)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208)와, 상기 현상롤러(210)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23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04)은 현상에 사용될 현상제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205)와 현상에 사용된 뒤 회수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폐토너 수용부(206)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토너 수용부(205)내에는 교반기(20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감광드럼(212)에는 대전롤러(214)가 회전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이 대전롤러(214)는 감광드럼(212)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그리고, 대전된 표면은 노광유닛(280)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노광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212)상의 폐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블레이드(213)가 감광드럼(212)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10)는 감광드럼(212)과 소정 현상갭을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현상롤러(210)에는 전원공급부(282)로 부터 AC전압과 DC 전압이 중첩되어 인가된다. 따라서, 현상롤러(210) 표면의 현상제는 현상갭을 통과하면서 전위차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212)의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동한다.
상기 공급롤러(208)는 현상롤러(21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수용부(205)내의 현상제를 현상롤러(210)로 공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제층규제장치(230)는 하우징(204,도 3참조)에 고정되는 브라켓(232)과, 브라켓(232)상에 스팟용접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블레이드(234)를 구비한다. 이 블레이드(234)는 일반적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현상롤러(2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금속판재가 사용되나 이외에도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라면 어느 것도 사용가능하며, 고무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34)의 양측단부에는 실링부재접촉부(254)가 형성된다. 이 실링부재접촉부(254)에 현상제가 하우징(204)의 측면부 및 전면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20)가 부착된다. 따라서, 실링부재(220)와 블레이드(234)의 양단부에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현상제가 전면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링부재(220)는 부드럽고 탄성이 많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스폰지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34)는 그 상부가 스팟용접등에 의해 브라켓(232, 도 4참조)에 고정되는 블레이드몸체(236)와, 상기 블레이드몸체(236)로 부터 소정각도 벤딩된 벤딩부(238)를 구비한다. 이러한 벤딩각도는 제한되지 않으나, 약 10~170도 정도인 것이 일반적이다. 블레이드몸체(236)와 벤딩부(238)가 만나는 모서리 지점은 소정의 반경(R)을 가지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현상롤러(210, 도 3참조)와 선접촉하게 된다. 상기 벤딩부(238)의 양측단에는 오목부(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250)는 길이방향(L방향)의 일부에는 실링부재(220, 도 4참조)와 접촉하는 실링부재접촉부(254)가 형성된다. 이러한 실링부재접촉부(254)의 길이(L2)는 길이방향(L)의 커팅길이(L1)보다 작다. 이는 실링부재(220, 도 4참조)와 벤딩부(238)의 커팅되지 않은 부분과 오버랩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팅되지 않은 벤딩부(238)과 실링부재(220, 도 4참조)가 오버랩 될 경우, 실링부 재(220, 도 4참조)가 블레이드(234)를 압축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은 설계상 고려될 수 없어서, 블레이드(234)에 의해 현상롤러(210, 도 4참조)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커팅길이(L1)은 실링부재접촉부(254)의 길이(L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234)에 형성된 벤딩부(238)의 양측단부는 폭방향(W)으로 커팅이 이루어진다. 커팅된 후의 현상롤러접촉부으로 부터 실링부재접촉부(254)까지의 거리(W2)는 0.1mm이하인 것이 좋다. 이는 실링부재(220, 도 4참조)가 설계상 예상되지 않는 압력을 블레이드(234)에 가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현상롤러접촉부(256)으로 부터 벤딩부(238)의 자유단(242)까지의 거리(W1)보다 상기 현상롤러(210)의 접촉선으로 부터 실링부재접촉부(254)까지의 거리(W2)가 작게 된다. 상기의 "커팅"이라는 용어는 편의상 이해를 돕기위해 사용한 것이나 상기 오목부는 주물등의 제조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블레이드(234)와 실링부재(220)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34)는 실링부재(220)와 접착제(260)에 의하여 접착하게 된다. 이러한 접착제(260)는 보통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얇은 실링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실링부재(220)가 블레이드(234)에 압축하여 접촉될 경우, 실링부재(220)에 의한 예상치 못한 압력이 블레이드(234)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벤딩부(238)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부(250, 도 5참조)의 일부인 실링부재접촉부(254, 도 5참조)는 실링부재(220)에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은 실링부재(220)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블레이드(234)에 예상치 못하는 압력을 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실링부재(220)에 벤딩부(238)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실링부재가 부드럽고 탄성이 좋은 재질인 경우 현상롤러접촉부(256)으로 부터 실링부재접촉부(254)까지의 거리(W2)가 매우 짧으므로 실링부재(220)가 블레이드(234)에 가하는 압력이 미약하므로 별다른 삽입홈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현상제가 현상유닛(200)의 전면부 뿐아니라 측면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현상제층 규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유닛에 따르면, 현상제가 현상유닛의 하우징 내부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블레이드의 전면부 뿐아니라 측면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향상된 실링효과로 인하여 현상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감광드럼의 양단의 오염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폐토너 저장소의 양측면에 집중적 토너 퇴적, 이로 인한 크리닝성능 저하, 대전수단 오염 및 화상형성장치본체의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현상롤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몸체, 상기 블레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는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소정 각도로 벤딩된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접촉되어 상기 블레이드몸체의 양단부에 오버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벤딩부의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길이방향(L)의 길이(L1)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접촉되는 실링부재접촉부의 길이(L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상기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상기 벤 딩부의 자유단까지의 길이(W1)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0.1mm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벤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실링부재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층규제장치.
  7. 하우징;
    상기 본체내에 마련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에 현상제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몸체, 상기 블레이드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롤러와 접촉되는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소정 각도로 벤딩된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접촉되어 상기 블레이드몸체의 양단부에 오버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벤딩부의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길이방향(L)의 길이(L1)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접촉되는 실링부재접촉부의 길이(L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상기 현상롤러접촉부로 부터 상기 벤딩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W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W)의 길이(W2)는 0.1mm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벤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실링부재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KR1020040029871A 2004-04-29 2004-04-29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KR10059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871A KR100594781B1 (ko) 2004-04-29 2004-04-29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US11/048,927 US7110697B2 (en) 2004-04-29 2005-02-03 Developer layer thickness regulating device for a developing unit
CNB2005100591271A CN100395670C (zh) 2004-04-29 2005-03-24 显影单元的显影剂层厚度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871A KR100594781B1 (ko) 2004-04-29 2004-04-29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543A KR20050104543A (ko) 2005-11-03
KR100594781B1 true KR100594781B1 (ko) 2006-06-30

Family

ID=3518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871A KR100594781B1 (ko) 2004-04-29 2004-04-29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10697B2 (ko)
KR (1) KR100594781B1 (ko)
CN (1) CN1003956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09B1 (ko) * 2006-11-22 2008-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5271652B2 (ja) * 2008-09-29 2013-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404751B2 (ja) * 2011-01-11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10242A (ja) * 2012-06-28 2014-01-20 Ricoh Co Ltd ブレード構造体、現像剤規制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874316B2 (ja) * 2016-09-30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7009178B2 (ja) * 2017-11-22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7073205B2 (ja) * 2018-06-19 202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製造方法
CN114911144B (zh) * 2022-05-25 2023-05-30 北京辰光融信技术有限公司 显影剂层厚度调节装置及打印机显影单元、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2770A (ja) 1986-02-20 1987-08-24 Fuji Xerox Co Ltd 一成分現像装置
JP3014103B2 (ja) * 1989-07-17 2000-02-28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52322A (ja) 1991-06-25 1993-01-08 Canon Inc 現像装置
JPH06308819A (ja) 1993-04-19 1994-11-04 Canon Inc シール部材及び前記シール部材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01991A (ja) 1994-05-10 1995-11-14 Tec Corp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11327294A (ja) 1998-05-12 1999-11-26 Murata Mach Ltd 画像記録装置
JP2000181223A (ja) 1998-12-15 2000-06-30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
EP1347346B1 (en) * 1999-08-23 2014-04-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74002B2 (ja) * 2000-02-04 2010-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61644B2 (ja) * 2001-12-28 2005-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449723B1 (ko) 2002-05-29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링수단을 갖는 현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44185A1 (en) 2005-11-03
CN100395670C (zh) 2008-06-18
CN1694011A (zh) 2005-11-09
US7110697B2 (en) 2006-09-19
KR20050104543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6393B2 (ja) 現像装置
US7693447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improved sealing structure
US6336014B1 (en) Image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toner leakage
EP0789286A2 (en) Developing apparatus
US813997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597024Y2 (ja) 現像装置
US7110697B2 (en) Developer layer thickness regulating device for a developing unit
KR100520932B1 (ko)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층 규제 블레이드 및 이를 채용한현상유닛
EP2284627B1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JP200707893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1494091A2 (en) Magnetic seal for a developing apparatus
JP4052356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177401A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8529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060041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501018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994587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22179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39972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におけるシール部材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1027845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99065B2 (ja) 現像装置と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ユニット
JP3493977B2 (ja) 現像剤層厚規制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2001005288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81988A (ja) 現像装置
JPH1152722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