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452B1 -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452B1
KR100594452B1 KR1020040070330A KR20040070330A KR100594452B1 KR 100594452 B1 KR100594452 B1 KR 100594452B1 KR 1020040070330 A KR1020040070330 A KR 1020040070330A KR 20040070330 A KR20040070330 A KR 20040070330A KR 100594452 B1 KR100594452 B1 KR 10059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foam pad
cover sheet
sun viso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554A (ko
Inventor
한성진
Original Assignee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4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29C44/351Means for preventing foam to leak out from the foaming device durin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측 성형부의 테두리에 액유출방지수단을 장착시킨 상/하 성형금형을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액을 발포/성형시키되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의 작용에 의해 가장자리 둘레 중심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발포패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패드를 상/하 융착금형 내에 올려놓되 발포패드의 상/하 표면에 PVC재질의 커버시트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포패드 상에 커버시트를 고주파 융착시키되 상기 발포패드의 요홈과 상기 커버시트의 용융 burr의 간섭으로 접합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은 내열/내구력 및 탄력성이 좋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고무링 또는 고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우레탄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여 발포패드의 외곽 테두리 상에 발포 burr의 발생을 방지되게 하며, 커버시트의 융착량 증대를 통한 융착강도의 향상으로 융착 내구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선바이저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선바이저, 발포패드, 요홈, 성형금형, 액유출방지수단, 커버시트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UNVISOR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선바이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선바이저 제조방법에 의한 선바이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 공정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금형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발포패드의 성형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원리도이되 (a)는 성형금형의 개방상태 도면이고 (b)는 성형금형의 합형상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벙에 의해 성형된 발포패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선바이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a,100b: 성형금형 101,102: 성형부
103: 액유출방지수단 200: 선바이저
210: 발포패드 211: 요홈
220: 커버시트 221: 용융 burr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의 심재가 되는 발포패드의 제작시 상/하부 성형금형 내 투입되는 폴리우레탄액의 성형틀 밖 유출을 방지되게 함으로써 발포패드의 외곽 테두리 상에 발포 burr의 발생을 방지되게 하고 작업시간 및 인건비의 절감을 이루게 하며 커버시트의 고주파 융착시 그 융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선바이저(sunvisor)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시야로 들어오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량용 부품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바이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선바이저 제조방법에 의한 선바이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바이저 제조방법은 일정형상의 성형부(11)(21)를 갖는 대응구조의 상/하 성형금형(10)(20)의 사이에 폴리우레탄액을 투입하고 이를 발포/성형시켜 선바이저의 심재가 되는 발포패드(expanded pad)(31)를 제작한 후 상기 발포패드(31)를 상/하 융착금형(미 도시됨) 사이에 놓되 발포패드(31)의 상/하 표면에 PVC재질의 커버시트(32)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시키면 선바이저(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바이저(30)의 패드(31) 내에는 화장거울이나 조명램프 등 부가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하 성형금형(10)(20)의 합형을 통한 폴리우레탄액의 발포/성형시 성형금형의 사이틈새를 통해 성형부(11)(21)의 외부로 폴리우레탄액의 유출이 발생됨에 의해 발포/성형 완료된 발포패드(3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발포 burr(거친 부위나 작은 흠 등의 불필요부분)가 발생되고 이러한 burr의 제거를 위하여 별도 작업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burr 제거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도 burr 제거가 미흡(사상 불량)하거나 또는 burr 제거를 너무 많이 하여 발포패드(31)의 외형을 축소(과다 사상)시키는 문제점 노출로 선바이저(30)의 품질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즉, burr의 발생 및 이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추가로 작업시간 및 인건비의 과다증대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너무 많은 burr 제거로 인한 발포패드(31)의 외형 축소는 커버시트(32)와의 고주파 융착시 발포패드(31) 상에서 커버시트(32)가 들뜨게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 발포/성형되는 발포패드(31)는 그 가장자리 둘레가 단지 라운드 형성되는 구조로서 외측이 막혀있기 때문에 상/하 융착금형을 통한 커버시트(32)의 고주파 융착시 PVC재질인 커버시트(32)의 용융 발생량을 많이 형성시키지 못할뿐더러 발포패드측(31)에 충분한 융착력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융착에 따른 내구력을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발포패드(31)의 표면에 커버시트(32)가 제대로 용융 접착되지 않아 커버시트(32)가 발포패드(31)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 및 고주파 융착시 커버시트(32)의 용융 burr(32a)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외측방향으로만 많이 돌출 형성되어 작업자나 사용자에게 손 베임 등의 상해(傷害)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하부 성형금형의 합형시 이들 사이의 금형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발포/성형되는 폴리우레탄액의 성형틀 밖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포패드 상에 발포 burr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금형 합형에 따른 완충작용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액의 발포/성형에 따른 발포패드의 제작시 발포패드의 가장둘레에 발생되는 발포 burr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발포패드의 가장자리 둘레에 내측 함몰된 요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발포패드에 커버시트를 고주파 융착 접합시 커버시트의 융착량 증대 및 발포패드의 요홈 내 커버시트의 용융 burr 삽입을 유도하여 융착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완성되는 선바이저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바이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커버하여 금형의 합형시 사이틈새를 막게하는 유연성이 있는 액유출방지수단을 장착시킨 상/하 성형금형을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합형시켜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이 압축되면서 내측 둘레부가 성형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입된 폴리우레탄액을 발포/성형시켜서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의 작용에 의해 가장자리 둘레 중심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발포패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요홈이 형성된 발포패드를 상/하 융착금형 내에 올려놓되 발포패드의 상/하 표면에 PVC재질의 커버시트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포패드 상에 커버시트를 고주파 융착시키되 이 고주파 융착에 의해 발포패드의 요홈측 커버시트 내측이 상기 요홈에 삽입 접합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하 성형금형에 장착되는 액유출방지수단은 고무링 또는 고무판으로 구성되게 하며, 내열/내구력 및 탄력성이 좋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 공정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금형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발포패드의 성형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원리도이되 (a)는 성형금형의 개방상태 도면이고 (b)는 성형금형의 합형상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벙에 의해 성형된 발포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선바이저 제조방법에 의한 선바이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은 성형부(101)(102)의 일측 가장자리 둘레를 커버하여 상/하 금형간의 사이틈새를 막게 한 액유출방지수단(103)을 장착시킨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을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100a)(100b)의 하측 성형부(102) 내에 폴리우레탄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100a)(100b) 내에 주입된 폴리우레탄액을 발포/성형시키되 가장자리 둘레 중심으로 요홈(211)을 형성시킨 발포패드(210)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패드(210)를 상/하 융착금형(미 도시됨) 내에 장착시키되 발포패드(210)의 상/하 표면에 PVC재질의 커버시트(220)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패드(210) 상에 커버시트(220)를 고주파 융착시키되 상기 발포패드(210)의 요홈(211)과 상기 커버시트(220)의 용융 burr(221)의 상호간섭에 의해 융착 접합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선바이저(200)의 기본구조가 형성되며, 선바이저(200)의 발포패드(210) 내에 화장거울이나 조명램프 등의 부가장치를 장착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은 서로 마주보는 면 중앙에 소정형상으로 서로 대응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캐비티 즉, 성형부(101,201)가 각각 형성되어 발포패드(210)가 성형되도록 하며, 상기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의 상측 또는 하측 성형부(101)(102)의 둘레부에 장착되는 액유출방지수단(103)은 일정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성형부(101)(102)의 가장자리 둘레에 장착된다.
즉, 상기 액유출방지수단(103)은 하 성형금형(100b)의 성형부(102) 외곽 둘레부의 하 성형금형(100b) 상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안착되어 성형금형(100a)(100b)의 합형시 금형간의 사이틈새를 방지되게 하며 즉, 기밀을 유지하게 함은 물론 금형합형시 그 압력에 의해 액유출방지수단(103)의 내측 둘레부 전체가 성형부(101,102)내로 돌출되어 발포패드(210)을 성형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패드(210)의 둘레부를 따라 요홈(211)이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완충기능을 갖도록 유연성이 있는 고무링 또는 고무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링으로 된 액유출방지수단(10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되는 발포패드(210)의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액유출방지수단(103)은 중앙부에 상기 성형부(101,1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액유출방지수단(103)은 내열/내구력이 좋으며 탄력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링 또는 고무판 형태의 액유출방지수단(103)을 장착시킨 성형금형 (100a)(100b)을 자동화라인에 조립/설치한다.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측 성형부(102) 내에 폴리우레탄액을 주입하고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을 합형시킨 상태에서 열을 공급하여 폴리우레탄액을 발포시키면서 일정형상의 대응구조를 갖는 성형부(101)(102)의 형상에 따라 성형시키되 액유출방지수단(103)의 연성작용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 중심부에 요홈(211)을 형성되게 한 발포패드(210)를 제작한다.
여기서,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의 합형시 고무링 또는 고무판 형태로 구성되는 액유출방지수단(103)은 완충작용을 하게 되고 금형간의 기밀을 유지되게 함으로써 사이틈새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됨은 물론 성형금형(100a,100b) 합형시 그 압축력에 의해 액유출방지수단(103)이 성형금형(100a,100b)의 합형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어 액유출방지수단(103)의 내측 둘레부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101,102)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액이 발포되어 확장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액유출방지수단(103)에 의해 성형부(101)(102) 외부로 액 유출됨이 방지되어 발포패드(210)의 외곽에 발포 burr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되게 할 뿐만 아니라 액유출을 방지함으로써 발포패드(210)의 몸체에 내부 긴밀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액유출방지수단(103)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성형금형(100a)(100b)의 합형시 액유출방지수단(103)을 가압하여 누르게 되고 이러한 가압 눌림에 의해 탄성 완충력이 있는 액유출방지수단(103)이 원형형태에서 연성작용으로 늘어져 타원형화되면서 그 내측 둘레부 전체가 성형부(101,102) 내측으로 돌출 유입됨에 의해 폴리우레탄액 상에 노출되어 발포/성형시 발포패드(210)의 둘레부를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몰형 요홈(211)이 형성된다.
이어서 둘레부를 따라 요홈(211)을 형성시킨 발포패드(210)를 상/하 융착금형(미 도시됨) 내에 올려놓고 발포패드(210)의 상/하 표면에 PVC재질의 커버시트(22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융착금형을 합형한 후 고주파 융착시켜 발포패드(210)에 커버시트(220)를 접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포패드(210)의 요홈(211)측 커버시트(220)는 상기 발포패드(210)의 요홈(211)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므로, 용융량이 많이 발생되어 즉, 용융에 의해 팽창되면서 팽창되는 용융 burr(221)가 상기 발포패트(210)의 둘레부에 형성된 요홈(211)으로 유도됨과 더불어 요홈(211) 내에 삽입되며, 이러한 용융 burr(221)의 발포패드(210)의 요홈(211) 내측 유도에 의한 간섭으로 커버시트(220)의 발포패널(210)측 융착 내구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용융 burr(221)의 외측방향 유도/형성을 방지되게 하므로 선바이저(200)의 외관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손 베임 등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하부 성형금형의 성형부 내에서 발포/성형되는 폴리우레탄액의 성형부 밖 유출을 액유출방지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작되는 발포패드의 외곽 테두리 상에 발포 burr의 발생을 방지되게 한다. 이에 따라 발포 burr의 제거에 따른 작업을 없앨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인원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바이저의 심재가 되는 발포패드를 제작시 금형 상에 장착시킨 액유출방지수단을 통해 발포패드의 가장자리 둘레에 내측 함몰된 요홈을 형성되게 함으 로써 발포패드에 커버시트를 고주파 융착 접합시 커버시트의 용융량 및 융착량을 증대되게 하고 그에 따른 융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선바이저의 외관 또한 향상되게 하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더불어 융착 내구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여주므로 커버시트의 박리현상을 없앨 수 있다.
나아가, 선바이저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 증대를 가져오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성형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커버하여 금형의 합형시 사이틈새를 막게하는 유연성이 있는 액유출방지수단을 장착시킨 상/하 성형금형을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내에 폴리우레탄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합형시켜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이 압축되면서 내측 둘레부가 성형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입된 폴리우레탄액을 발포/성형시켜서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의 작용에 의해 가장자리 둘레 중심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발포패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요홈이 형성된 발포패드를 상/하 융착금형 내에 올려놓되 발포패드의 상/하 표면에 PVC재질의 커버시트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포패드 상에 커버시트를 고주파 융착시키되 이 고주파 융착에 의해 발포패드의 요홈측 커버시트 내측이 상기 요홈에 삽입 접합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성형금형에 장착되는 액유출방지수단은 일측 성형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장착되며 고무링 또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유출방지수단은 내열/내구력이 좋으며 탄력성이 좋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KR1020040070330A 2004-09-03 2004-09-03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KR10059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30A KR100594452B1 (ko) 2004-09-03 2004-09-03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30A KR100594452B1 (ko) 2004-09-03 2004-09-03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54A KR20060021554A (ko) 2006-03-08
KR100594452B1 true KR100594452B1 (ko) 2006-06-30

Family

ID=3712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330A KR100594452B1 (ko) 2004-09-03 2004-09-03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194B1 (ko) * 2011-12-14 2013-08-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선바이저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3624933B (zh) * 2013-12-13 2016-01-06 宁波润佳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模具镶件
ES2680826T3 (es) * 2014-09-03 2018-09-11 Pimsa Otomotiv Anonim Sirketi Método de producción para un parasol y un paras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595A (ja) 1998-05-11 1999-11-24 Kasai Kogyo Co Ltd ビーズ成形用金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595A (ja) 1998-05-11 1999-11-24 Kasai Kogyo Co Ltd ビーズ成形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54A (ko)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370B1 (ko) 판유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20050248176A1 (en) Trim element, especially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2007512159A (ja) 一体弾性支持体を製造する方法と該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支持体
JP2007512159A5 (ko)
KR100594452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조방법
JPS59199228A (ja) 自動車用オペラウインドウの製造方法
JP3794329B2 (ja) 成形型
JPH054236A (ja) 表皮材の製造方法
JP4423138B2 (ja) 車両用内装材の成形装置
KR20230020686A (ko) 리얼우드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프레스 장치 및 차량용 크래쉬 패드 프레스 방법
JPH0327006B2 (ko)
KR101843886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및 방법
JPH0675878B2 (ja) サポータ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品
JPS629942A (ja) 内装材の製造方法
JPH02145320A (ja) 熱可塑性合成樹脂フィルムによる立体的な装飾片の製造方法とその成形型
JP4842453B2 (ja) 加飾部材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ライニング部品及びそれを一体成形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3406731B2 (ja) 加飾表皮材により部分的に加飾されたシート状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H0247903Y2 (ko)
JPS61132315A (ja) 車両用モ−ルディングの製造方法
KR20230020684A (ko) 리얼우드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프레스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 방법
JP4209169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製造方法
JP3575129B2 (ja) 表皮一体成形品の製造方法
KR20230020685A (ko) 리얼우드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용 프레스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 방법
JP2939266B2 (ja) 一体成形シートの製造方法
JPS62170324A (ja) 積層体の切断処理と高周波溶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