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307B1 -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307B1
KR100593307B1 KR1020030085550A KR20030085550A KR100593307B1 KR 100593307 B1 KR100593307 B1 KR 100593307B1 KR 1020030085550 A KR1020030085550 A KR 1020030085550A KR 20030085550 A KR20030085550 A KR 20030085550A KR 100593307 B1 KR100593307 B1 KR 10059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etector
total reflection
incident
reflection surfa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882A (ko
Inventor
김인규
김경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307B1/ko
Priority to US10/803,885 priority patent/US6992360B2/en
Priority to JP2004087669A priority patent/JP3917140B2/ja
Publication of KR2005005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307B1/ko
Priority to JP2006241952A priority patent/JP474997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2Three-dimension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for coupling an active element with fibres without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fibres with plane ends, fibres with shaped ends, bundles
    • G02B6/4203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내부에 전반사 / 무반사면을 구비하는 식각구조복합체를 형성하여 입사광과의 결합효율 및 광검출소자의 감도를 향상시킨 광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표면 입사형 광검출기나 측면입사형 광검출기가 모두 집적가능하고 패키징의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저비용으로 광검출기의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광결합 장치, 식각구조복합체, 표면입사형 광검출기, 측면입사형 광검출기

Description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OPTICAL DETECTOR INTEGRATABLE LIGHT COUPL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각구조복합체의 형성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표면입사형 광검출기에 식각구조복합체를 집적한 광검출기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입사형 광검출기에 식각구조복합체를 집적한 광검출기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 내부에 전반사/무반사면을 구비하는 식각구조복합체를 형성하여 입사광과의 결합효율 및 광검출소자의 감도(responsivity)를 향상시킨 광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검출기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량의 급속한 증가와 영상처리 시스템의 고해상도화 등에 대한 요구로 인해 수십 기가 헤르츠에서 수백기가 헤르츠에 이르는 초고속 동작 특성 및 고감도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들어 광검출기는 초고속 동작 특성 달성을 위해 소형화 및 얇은 광흡수층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광검출기의 효율 / 감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을 광검출기에 효과적으로 연결시키고, 고속 동작하는 광검출기의 감도를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외부의 광 전달장치와 광검출기의 결합효율을 높이기 위한 결합장치로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경사진 계면에서의 굴절율 효과를 이용한 장치(refracting-facet photodetector), 광도파로를 사용하는 방법(waveguide photodetector), 모드 크기 변환기(spot-size converter)를 집적하는 방법 등이 있고, 전반사면을 이용하여 광흡수층 내에서 광경로를 길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활성층 상하에 고반사 미러를 형성하여 광결합 효율 및 감도를 증진시키는 광공진 구도(resonant-cavity) 광검출기가 있는데, 미러 적층을 위한 에피구조의 복잡성 및 난이도, 비용의 증가 및 좁은 대역의 파장 선택성(wavelength selectivity)에 있어 제약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경사진 계면을 이용한 광결합 효율 개선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Gentner 등의 미국특허 4,893,162 와 2000년의 Norimatsu 등의 미국특허 6,049,638 에 개시된 발명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Gentner 등의 미국특허 4,893,162 의 발명은 주로 광도파로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III-V 화합물 반도체인 하나 혹은 두개의 비흡수 광도파로를 형성하여 감쇄장에 의한 결합(evanescent coupling) 또는 식각면에서의 반사에 의한 광검출기와의 결합을 꾀하고 있다. 이 때 이용된 식각면은 광도파로가 끝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도파로를 따라 진행하던 빛이 반사되어 광검출기 부분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Norimatsu 등의 미국특허 6,049,638는 경계면에서의 굴절율 효과를 이용하여 광결합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서 이 발명은 하나의 식각면에서 굴절되어 들어간 빛이 다른 식각면에서 반사되어 광검출기에 입사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Gentner 등의 발명에서는 광도파로와 외부광과의 결합 방법에, Norimatsu 등의 발명에서는 굴절율 효과를 이용한 입사면이 될 식각면과 외부광과의 결합 방법에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또한, 이들의 발명에서 외부광과 광검출기와의 광결합시에는 측면입사 혹은 배면입사 방식에만 의존하고 있어 패키징을 수행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정렬방법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입사형 광검출기나 표면 입사형 광검출기에 모두 집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각구조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반사/무반사면 조합을 이용하여 광결합 효율 및 감도를 높이는 식각구조복합체를 포함하는 광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방식에 의해 광도파로와 외부광과의 결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피면에 수직한 입사광을 통한 광도파로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배면 입사(bottom-side illumination)가 필요한 구조에서도 상부로부터의 입사를 통한 광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정 영역 상에 광검출기가 장착되는 기판 및 기판 내부에 형성되며 제 1 소정각을 갖도록 전반사 코팅된 전반사면 및 제 2 소정각을 갖도록 무반사 코팅된 무반사면을 구비한 식각구조복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에서 입사된 광은 상기 전반사면에서 반사된 후, 상기 무반사면에 전달되어 이를 통과하여 광검출기로 전달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를 제공한다. 식각구조복합체에는 전반사면 및/또는 무반사면을 추가로 포함하여, 입사된 광의 경로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소정 영역 상에 표면입사형 광검출기가 장착되는 기판과, 기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입사광을 통과시키는 제1 무반사면, 입사된 광이 제1 소정각을 갖고 전반사되어 상기 광검출기 전달될 수 있도록 코팅된 제1 전반사면, 및 광검출기에 흡수되지 않고 전극금속 및 에피층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을 다 시 광검출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전반사면 및 제 3 전반사면을 구비한 식각구조복합체를 포함하되, 외부에서 입사된 광은 상기 제1 무반사면을 통과하고 상기 제1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검출기로 전달되어 흡수되고, 상기 광검출기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된 광은 상기 제2 전반사면을 거쳐 기판에 평행한 제3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2 반사면을 통하여 상기 광검출기에 재차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광결합 장치는 소정 영역에 광검출기가 장착되는 기판(10) 및 기판(10) 내부에 코팅된 전반사면(51) 및 무반사면(52)을 구비한 식각구조복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반사면(51)은 입사광을 반사하고, 무반사면(52)은 전반사면(51)으로부터 반사된 입사광을 전달받아 이를 통과시켜 광검출기(30)로 전달한다. 전반사면(51)은 기판 하부면을 기준으로 제1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가능하고 무반사면(52)은 기판 하부면을 기준으로 제2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반사면(51)은 전반사(total reflection; TR) 특성을 가지는 면으로 코팅하고, 무반사면(52)은 무반사(anti-reflection; AR) 특성을 갖는 면으로 코팅한다. 이들 전반사면(51)과 무반사면(52)의 형성을 위한 식각면들은 적절한 식각 마스크와 식각 방법(건식식각, 습식식각)을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제작가능하다.
한편, 광결합 장치의 전반사면(51)으로 입사광이 들어와 거의 전반사되고, 무반사면(52)을 통해 광검출기(30)에 전달될 때, 무반사면(52)을 통과한 광은 굴절또는 직진하여 거의 반사되지 않고 직, 간접적으로 광검출기(30)의 광흡수층에 전달된다.
광검출기(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고, 예를들면 표면 입사형(surface-illuminated) 광검출기와 측면 입사형(edge-coupled) 광검출기 등이 모두 포함되며, 예로서 평면형/광도파로형 p-i-n 광검출기(planar/waveguide p-i-n photodetector), 광공진 구도형/광도파로형 아발란치 광검출기(resonant cavity/waveguide avalanche photodetector; RC/WG-APD), 분포된 속도정합형 광검출기(velocity matched distributed photodetector; VMDP), 단일 및 주기적 배열형 단일주행운반자 광검출기 (single / periodically-distributed unitravelling carrier photodetector; s / p-UTC-PD) 등과 금속-반도체-금속 광검출기 (metal-semiconductor-metal photodetector; MSM-PD) 등이 있다. 광검출기(30)는 1개 이상 제작하여 기판 상의 소정부분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식각면들, 즉 경사면들의 코팅가능한 재료의 일예들을 살펴보면, 전반사면(51)을 전반사 또는 고반사 가능한 코팅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Au, Ag 등의 금속막, SiOx, SiNx, CeO2, CeF3, SiO2, TiO2, MgF2, ZnS 등의 단일 유전체 박막,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다중막 형태로 증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무반사면(52)을 무반사 가능하도록 제조하기 위해서는 SiOx, SiNx, CeO2, CeF3, SiO2, TiO2, MgF2, ZnS 등의 유전체 박막을 단일막, 이중막 또는 그 이상의 다중막 형태로 증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반사면(51) / 무반사면(52)은 사진묘화법(photolithography)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코팅 두께는 각 물질의 굴절율과 입사광의 파장 및 입사각에 의해 결정되며, 일예로, SiO2/TiO2 을 이용한 무반사막의 경우 1.55 μm 파장 빛의 수직 입사에 대해 코팅 두께는 대략 2000 Å이다.
기판(10) 내부에 식각구조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InP 기판인 경우 HBr 계열 또는 HCl 계열의 식각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식각 마스크의 방향, 건식식각과 습식식각 방식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들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각(식각 각도)(θ1, θ2)은 사용하는 식각액과 식각마스크의 정렬방향 등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일례로 마스크의 방향이
Figure 112003045377744-pat00001
인 경우, InP 기판을 이용하여 HCl 계 식각액을 사용하면 35o 의 경사각을, HBr 계 식각액을 사용하면 54.7o 의 식각각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각을 이용하면 식각구조복합체의 형성 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각구조복합체의 형성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a는 식각구조복합체의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의 크기가 모두 35o 인 경우, 도 2b는 식각구조복합체의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 )의 크기가 모두 54.7o 인 경우, 도 2c는 식각구조복합체의 제1 경사각(θ1)의 크기가 35 o 이고, 제2 경사각(θ2)의 크기가 90o 인 경우, 도 2d는 식각구조복합체의 제1 경사각(θ1)의 크기가 45o 이고, 제2 경사각(θ2)의 크기가 90o 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결합 장치에 다양한 광검출기가 집적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4는 표면입사형 광검출기에 도면 2a 와 2c 의 식각구조복합체를 집적한 광검출기 장치의 단면도들이고, 도 5 및 6은 측면입사형 광검출기에 도면 2b 와 2d 의 식각구조복합체를 집적한 광검출기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표면입사형 광검출기(30)는 반도체 기판(10)위에 컬렉터층 (31), 광흡수층 (32), p-접합층 (33) 등을 성장하여 p-전극 (37) 형성, 메사-식각, n-전극 (36) 형성, 부동태막 형성 및 패드코팅 등의 공지의 과정을 통하여 식각구조체복합체가 형성된 광결합장치의 상부에 제작될 수 있으며, 일예로, p+-InGaAs p-접합층 (33), InGaAs 광흡수층 (32), n-InAlAs 컬렉터층 (31) 및 Ge/Au/Ni/Au n-전극 (36), 그리고 p-접합층 (33)상의 Ti/Pt/Au p-전극 (37) 으로 구성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스페이서층, 하전층, 증배층, 전위장벽층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성장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메사 또는 평면구조로 광검출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광검출기는 p-i-n 광검출기, 아발란치 광검출기, 단일주행운반자 광검출기(UTC-PD) 등의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측면입사형 광검출기(30)는 기판 (10) 위에 하부클래딩 (23), 코어 (22), 상부클래딩 (21), 광검출기층(41)을 차례로 성장시킨 후 광검출기층(41) 위에 IDT (interdigitated) 전극(44)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GaAs MSM 광검출기의 한 예로 Al0.25Ga0.75As 상부 및 하부 클래딩을 형성하고, Al0.21Ga0.79As 코어층을 형성하고 GaAs 광검출기층(41)을 형성하며, Ti/Pt/Au IDT 전극(44)을 형성하여 MSM 광검출기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사진 전반사면(51)과 무반사면(52)으로 구성된 식각구조복합체를 통해 입사한 광은 광도파로(20)의 코어(22)부분에 결합되어 전파되다가 광검출기층(41)에 감쇄장을 통해 결합되어(evanescently coupled) IDT 전극(44) 을 갖는 MSM(metal-semiconductor-metal) 광검출기(40)에 흡수된다. 측면입사형 광검출기로는 MSM 광검출기 외에도 도파로형 p-i-n 광검출기, 도파로형 아발란치 광검출기, 분포된 속도정합형 광검출기(VMDP), 주기적 배열형 단일주행운반자 광검출기(p-UTC-PD) 등의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반사면(52)은 광도파로(20)가 형성된 이후에 전술한 바와 같은 식각방식에 의해 식각되고 무반사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경우 수직으로 입사한 광이 경사진 전반사면(51)을 통해 전반사된 후, 수직으로 형성된 무반사면(52)을 통과하여 광도파로(20)에 결합하여 광검출기에서 감쇄장을 통해 결합되어 검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을 실제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반사면으로 입사하기 전에 무반사면을 통과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광검출기의 흡수층에서 흡수되지 않고 반사된 광을 다시 흡수층으로 입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반사면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광검출기의 흡수층으로 재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도 7에서 예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기(160)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1개의 무반사면(152)과 3개의 전반사면(151,153,154)들로 이루어진 식각구조복합체를 이용하여 표면입사형 광검출기(160)에 광을 입사시키고 광검출기에서 2회 이상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광결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00)과 평행한 제1 무반사면(152)을 통해 입사한 광이 제1 전반사면(153)에서 전반사되어 광검출기(160)에서 흡수되고 광검출기(160)에서 반사된(에피층의 계면과 p-전극 등에서 반사된) 광이 제2 전반사면(154)에서 반사된 후 기판과 평행한 제3 전반사면(151)에서 재반사되고 제2 전반사면(154)으로 다시 돌아와서 광검출기(160)에서 2차 흡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식각구조복합체는 광검출기를 형성하는 동일 에피-구조로 제작함으로써 공정에서 재성장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식각면에 전반사 코팅 혹은 무반사 코팅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식각 구조복합체를 형성한다.
에피면에 수직한 입사광을 통한 광도파로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정렬을 용이하게하고, 배면 입사(bottom-side illumination)가 필요한 구조에서도 상부로부터의 입사를 통한 광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반사/무반사면 및 식각구조복합체의 조합을 이용하여 빛의 경로를 조정(redirecting) 하여 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결합장치에 의하면, 표면 입사형 광검출기나 측면입사형 광검출기가 모두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화를 위해 크기가 작아지는 광검출기를 본 발명에 의한 광결합 장치에 집적하여 활용함으로써 입사광과 광검출기의 광결합 효율 및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식각구조복합체는 광검출기를 형성하는 동일 에피-구조로 제작함으로 써 공정에서 재성장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성장면에 수직한 입사광을 통한 광도파로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광정렬이 용이하게될 뿐만 아니라 배면입사(bottom-side illumination)가 필요한 구조에서도 상부로부터의 입사를 통한 광결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플립-칩 결합 등의 패키징 방법을 피할 수 있어, 패키징의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저비용으로 광검출기의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소정 영역 상에 광검출기가 장착되며 제 1 소정각을 갖는 제 1 경사면 및 제 2 소정각을 갖는 제 2 경사면을 구비한 기판; 및
    상기 제 1 경사면에 전반사 코팅된 막으로 이루어진 전반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에 무반사 코팅된 막으로 이루어진 무반사면을 구비한 식각구조복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에서 입사된 광은 상기 전반사면에서 반사된 후, 상기 무반사면에 전달되어 이를 통과하여 상기 광검출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표면 입사형 광검출기 또는 측면 입사형 광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평면형/광도파로형 p-i-n 광검출기, 광공진 구도형/광도파로형 아발란치 광검출기, 분포된 속도정합형 광검출기, 단일 및 주기적 배열형 단일주행운반자 광검출기 또는 금속-반도체-금속 광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가 측면입사형 광검출기인 경우, 상기 광검출기와 상기 무반사면 사이에 광도파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구조복합체에는 전반사면 및/또는 무반사면을 추가로 포함하여, 입사된 광이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를 통하여 검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6. 소정 영역 상에 표면입사형 광검출기가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입사되는 입사광을 통과시키는 제 1 무반사면, 입사된 광이 제 1 소정각을 갖고 전반사되어 상기 광검출기 전달될 수 있도록 코팅된 제 1 전반사면, 및 상기 광검출기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된 광을 다시 광검출기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전반사면을 구비한 식각구조복합체를 포함하되,
    외부에서 입사된 광은 상기 제 1 무반사면을 통과하고 상기 제 1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검출기로 전달되어 흡수되고,
    상기 광검출기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된 광은 상기 제 2 전반사면을 거쳐서 상기 광검출기에 다시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된 광을 다시 광검출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추가로 하나 이상의 전반사면을 포함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면에는 Au, Ag 등의 금속막, SiOx, SiNx, CeO2, CeF3 , SiO2, TiO2, MgF2, ZnS 등의 단일 유전체 박막,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다중막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반사면에는 SiOx, SiNx, CeO2, CeF3, SiO2, TiO2, MgF2, ZnS 등의 유전체 박막을 단일막, 이중막 또는 그 이상의 다중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InP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구조복합체는 상기 InP 기판을 HBr 계열 또는 HCl 계열의 식각액을 사용하여식각 마스크의 방향, 식각 방식의 조합에 따라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들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구조복합체는 상기 광검출기와 동일 에피-구조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기가 집적가능한 광결합 장치.
KR1020030085550A 2003-11-28 2003-11-28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 KR10059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550A KR100593307B1 (ko) 2003-11-28 2003-11-28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
US10/803,885 US6992360B2 (en) 2003-11-28 2004-03-19 Photodetector integratable light coupling apparatus
JP2004087669A JP3917140B2 (ja) 2003-11-28 2004-03-24 光検出器が集積可能な光結合装置
JP2006241952A JP4749978B2 (ja) 2003-11-28 2006-09-06 光検出器が集積可能な光結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550A KR100593307B1 (ko) 2003-11-28 2003-11-28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882A KR20050051882A (ko) 2005-06-02
KR100593307B1 true KR100593307B1 (ko) 2006-06-26

Family

ID=3461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550A KR100593307B1 (ko) 2003-11-28 2003-11-28 광검출기가 집적 가능한 광결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92360B2 (ko)
JP (2) JP3917140B2 (ko)
KR (1) KR100593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97B1 (ko) * 2006-01-03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모드 크기 변환기 집적 레이저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297907B2 (ja) * 2009-06-18 2013-09-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検出装置
US10115599B2 (en) * 2012-09-28 2018-10-3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pectrally and temporally engineered processing using photoelectrochemistry
WO2015016942A1 (en) * 2013-08-02 2015-02-05 Intel Corporation Low voltage photodetectors
CN103489953B (zh) * 2013-09-09 2015-12-23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一种双步消逝场耦合的雪崩光电探测器
JP2015138145A (ja) * 2014-01-22 2015-07-30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光変調器
US9391700B1 (en) * 2015-06-16 2016-07-12 Sunlight Photonics Inc. Integrated optical receiver skin
JP6829446B2 (ja) * 2016-11-02 2021-02-10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回路及び光学装置
US11195962B2 (en) 2017-02-21 2021-12-07 Newport Corporation High responsivity high bandwidth photo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093168B1 (ko) * 2019-02-22 2020-03-25 이상환 이중 광경로를 가진 광 검출기
US11268849B2 (en) * 2019-04-22 2022-03-08 Applied Materials Israel Ltd. Sensing unit having photon to electron converter and a method
CN114144950A (zh) * 2019-08-06 2022-03-04 三菱电机株式会社 半导体激光装置
WO2021245756A1 (ja) * 2020-06-01 2021-12-09 株式会社京都セミコンダクター 端面入射型半導体受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1505B1 (fr) 1986-07-09 1988-11-10 Labo Electronique Physique Dispositif semiconducteur integre du type dispositif de couplage entre un photodetecteur et un guide d'onde lumineuse
JPH0677518A (ja) * 1992-08-26 1994-03-18 Nec Corp 半導体受光素子
US5391869A (en) 1993-03-29 1995-02-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ingle-side growth reflection-based waveguide-integrated photodetector
JPH1140823A (ja) 1997-05-22 1999-02-12 Fujitsu Ltd 光検出器モジュール
JP2001320081A (ja) * 2000-05-12 2001-11-16 Fujitsu Ltd 半導体受光素子
JP2002107559A (ja) * 2000-09-27 2002-04-10 Kyocera Corp 光集積回路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17140B2 (ja) 2007-05-23
JP2007013202A (ja) 2007-01-18
JP2005165254A (ja) 2005-06-23
US6992360B2 (en) 2006-01-31
US20050116311A1 (en) 2005-06-02
KR20050051882A (ko) 2005-06-02
JP4749978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9978B2 (ja) 光検出器が集積可能な光結合装置
KR100532281B1 (ko) 면굴절 입사형 수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6511933A (ja) 内部リフレクターを備えた半導体光検出器
KR100492980B1 (ko) 수직입사 수광소자를 이용한 광학장치
JP6530871B1 (ja) 端面入射型受光素子
KR100464333B1 (ko) 수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3290606A (ja) 光半導体装置
KR102093168B1 (ko) 이중 광경로를 가진 광 검출기
CN102916071A (zh) 一种光电二极管及其制作方法
CN115036377B (zh) 一种光电探测器、阵列及终端
CN104576806A (zh) 侧入光式pin光电探测器芯片及其制作方法
JP3589878B2 (ja) 裏面入射型受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09860327A (zh) 基于光子晶体宽谱全反射器优化的雪崩光电二极管
KR102176477B1 (ko) 후면 입사형 광 검출기
JPH0629566A (ja) 導波路集積型半導体受光素子
JPH0335555A (ja) 光半導体装置
JP3320058B2 (ja) アングルキャビティ共鳴型光検出器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109244A1 (en) Semiconductor light receiv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832102A (ja) フォトディテクタ
US8796749B2 (en) Reverse conductive nano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30049438A1 (en) End-face incident type semiconductor light receiving device
JP2004158763A (ja) 半導体受光素子
JP2002305319A (ja) 半導体受光素子および光通信用モジュール
CN109980029A (zh) 一种光电转换器及其制作方法
JP2004241681A (ja) 半導体受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