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872B1 -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872B1
KR100588872B1 KR1020030100148A KR20030100148A KR100588872B1 KR 100588872 B1 KR100588872 B1 KR 100588872B1 KR 1020030100148 A KR1020030100148 A KR 1020030100148A KR 20030100148 A KR20030100148 A KR 20030100148A KR 100588872 B1 KR100588872 B1 KR 10058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nozzle
vac
hea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572A (ko
Inventor
최호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8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히터와 증발기 등의 공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H-VAC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카울탑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자연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차 유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히터와 증발기 등의 공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H-VAC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카울탑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자연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차 유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H-VAC 케이스 내부공간을 확대하여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상기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외기를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제습노즐의 전방에 설치되며, 에어컨/히터가 작동되지 않는 자연환기 모드 또는 에어컨/히터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외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H-VAC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동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H-VAC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측의 압력과 상기 제습노즐이 위치한 곳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측으로 가지않고 상기 제습노즐 측의 상기 덕트를 따라 직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glass of vehicle from getting damp}
도 1 은 종래의 차량 엔진측 H-VAC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공조장치의 내부 배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측 H-VAC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배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LC 차량에 있어서, 차량 부위별 압력손실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201 : H-VAC 케이스 103,203 : 히터
삭제
205 : 작동도어 107,207 : 증발기
109,209 : 제습노즐 111,211 : 외기 유입부
213 : 덕트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히터와 증발기 등의 공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H-VAC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자연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차 유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거나 외부 기온이 낮은 상황에서 차량 주행을 할 경우, 유리의 내/외 표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에어콘이나 히터의 작동 또는 좌/우측의 유리를 내려서 유리면의 습기를 제거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 엔진측 H-VAC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공조장치의 내부 배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자연환기 상태에서의 서리발생 억제 능력은 카울 탑커버, 플레늄 쳄버, 블로워 모터, 증발기(107), 히터(103) 코어를 거쳐 제습노즐(109)로 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통상 기본적인 환기 풍량만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외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107)와 히터(103)를 거쳐 상부의 제습노즐(109)측으로 흐르는, H-VAC 케이스(101) 내부에 설치된 공조장치의 대부분을 거쳐 제슬노즐(109)로 이동하므로 그 이동경로가 매우 길었다.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에어 블로워의 작동과 도어 유리의 개방은 생성된 습기를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제습을 위한 에어콘 사용시는 연비가 저하하게 되고, 온도설정의 부정확성에 의한 쾌적성의 저하, 도어 유리 개방에 따른 빗물이 나 바람의 유입에 의해 실내 환경에서의 쾌적성 저하 및 윈드 노이즈 등의 품질 저하 상황들을 유발시키며, 자연환기 상태에서의 환기풍량은 증발기 및 히터를 통과하는 동안 많은 량의 풍량 손실을 가져와 목표로 하는 풍량 확보에 큰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전방 및 측방의 시계 확보가 어려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환기 상태에서 습기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인 유리면 내/외 온도차를 크게 저하시키고, 충분한 외기 유입을 위해 풍량저하의 가장 큰 요소인 증발기 및 히터를 통과하지 않고 짧은 경로로 제습노즐 측으로 직행하여 제습노즐에서 외기 바람을 유리면에 토출되게 함으로써 유리면에서의 습기 발생능력을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습기 미발생에 의한 에어콘 및 히터의 미작동 및 유리 개방 상황을 방지하여 실내 쾌적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히터와 증발기 등의 공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H-VAC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카울탑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자연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차 유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H-VAC 케이스 내부공간을 확대하여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상기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외기를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제습노즐의 전방에 설치되며, 에어컨/히터가 작동되지 않는 자연환기 모드 또는 에어컨/히터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외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H-VAC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동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H-VAC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 측의 압력과 상기 제습노즐이 위치한 곳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측으로 가지않고 상기 제습노즐 측의 상기 덕트를 따라 직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는 상기 H-VAC 케이스 내부의 확장된 공간부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기 유입부에서 상기 작동도어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나오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측 H-VAC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에서는, 유입된 외기가 제습노즐(209)로 직행하도록 덕트(213)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엔진측 H-VAC 케이스(201)의 내부 공간을 확대하였다. 즉, 상기 덕트(213)는 외기 유입구(211)로부터 제습노즐(209)에 이르는 경로를 새로이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기 유입구(211)로부터 상기 제습노즐(209)에 이르는 경로상에서 H-VAC 케이스(201) 내부에 설치된 공조장치의 하우징 최외측 경로를 따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입된 외기는 덕트(213)의 내부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H-VAC 케이스(201)의 내측에 설치된 어떤 공조장치의 위치보다 케이스(201)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 덕트(213)의 위치의 압력이 낮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제습노즐(209) 측으로 유입된 외기를 바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모드 변환용 작동도어(205)를 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화살표)으로 회전하여 (205b)의 위치로 옮기고, 에어컨이나 히터의 작동시에는 원래의 위치인 (205a)의 위치에 있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모드 변환용 작동도어(205)는 저부의 힌지축(205c)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회동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에어콘/히터가 작동될때의 에어컨/히터 작동모드와 에어컨/히터가 작동되지 않는 자연환기 모드로 구분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도어(205)의 자동변환은 힌지축(205c)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를 연결하고, 이 구동모터에 H-AVC 콘트롤러를 연결하여 콘트롤러의 전송신호를 기준으로 구동모터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에어컨/히터가 작동하는 에어컨/히터 작동모드인 경우 상기 모드 변환용 작동도어(205)가 닫혀 있는 (205a)의 위치에 고정되고, 자연환기 모드인 경우, 작동도어(205)가 회전하여 개방된 (205b)의 위치에 오도록 작동된다.
한편, 상기의 구조에서 H-VAC 케이스(20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증발기(207)측의 압력과 제습노즐(209)이 위치한 곳의 압력차에 의해 증발기(207) 측으로 가지 않고 제습노즐(209)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도면에서, 유입된 외기가 유입부(211)에서 제습노즐(209) 측으로 직행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시스템에 있어서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H-VAC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블로워팬(미도시)을 오프시키고, 시스템을 제습모드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습모드는 유입된 외기를 증발기(207)나 히터(203)를 거치지 않고 제습노즐(209) 측으로 직행하여 흘러가게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상기 제습모드 설정상태 하에서는 외기 유입구(211), 즉 카울 탑커버를 통해 들어온 외기의 풍량 모두가 제습노즐(209) 측으로 직행하게 된다.
이때, 증발기(207) 측으로는 상호 압력차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증발기(207) 및 히터(203)에 의한 풍량의 손실없이 제습노즐(209) 측으로 토출되므로 충분한 풍량으로 유리면 내/외기의 온도차를 제거하여 습기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컨/히터가 작동되는 모드에서는 유입된 외기의 통로인 덕트(213)와 제습노즐(209)간의 통로를 작동도어(205)가 폐쇄함으로써 외기에 의한 냉/난방 성능의 방해 요소가 제거되며, 공지의 공조 시스템에 따라 증발기(207)와 히터(203)가 정상 작동된다.
한편, 도 3 은 LC 차량에 있어서, 승객실의 자연환기 성능평가를 위해 실시한 실험에서, 차량 부위별 압력손실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7)와 히터(203)를 통과하는 경우(도3 의 A), 통과에 따른 압력손실이 약 30% 에 이르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30% 의 압력손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풍량이 증대되는 측면에서는 유입된 외기가 H-VAC 유닛 내부를 순환하지 않고 곧바로 제습노즐(209)로 직행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약 50% 이상의 풍량증대를 유도할 수 있으며, 유리 내/외면의 온도차를 동등하게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에서는 자연환기 성능 향상에 의한 서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방시계를 확보함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차량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습을 위한 종래의 에어컨/히터의 작동 및 도어 유리개방 등의 동작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내부에 히터와 증발기 등의 공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H-VAC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카울탑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자연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차 유리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H-VAC 케이스 내부공간을 확대하여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상기 제습노즐로 직행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외기를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제습노즐의 전방에 설치되며, 에어컨/히터가 작동되지 않는 자연환기 모드 또는 에어컨/히터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외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H-VAC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동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H-VAC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증발기 측의 압력과 상기 제습노즐이 위치한 곳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측으로 가지않고 상기 제습노즐 측의 상기 덕트를 따라 직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H-VAC 케이스 내부의 확장된 공간부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기 유입부에서 상기 작동도어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나오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장치.
  3. 삭제
KR1020030100148A 2003-12-30 2003-12-30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KR10058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148A KR100588872B1 (ko) 2003-12-30 2003-12-30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148A KR100588872B1 (ko) 2003-12-30 2003-12-30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72A KR20050068572A (ko) 2005-07-05
KR100588872B1 true KR100588872B1 (ko) 2006-06-14

Family

ID=3725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148A KR100588872B1 (ko) 2003-12-30 2003-12-30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8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72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4687A1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JP513114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193116A (ja) 内外気切替装置
KR100588872B1 (ko)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WO2018180981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20053355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85324A (ko) 버스용 실내 압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7006856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덕트 분지 구조
KR20070049284A (ko) 센터 마운팅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
JP201001305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00153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6007890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H1086636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KR100942529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JP200533552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92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0148661B1 (ko) 필름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기 조절장치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452441B1 (ko)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
KR10052713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KR10086771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JP200615106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40169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