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137B1 -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137B1
KR100527137B1 KR10-2003-0081620A KR20030081620A KR100527137B1 KR 100527137 B1 KR100527137 B1 KR 100527137B1 KR 20030081620 A KR20030081620 A KR 20030081620A KR 100527137 B1 KR100527137 B1 KR 10052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box
cowl
box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20A (ko
Inventor
조선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1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카울박스에 형성된 물 배수부 근처에 와이퍼작동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배수부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배수부를 막아둠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카울박스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비가 올 때는 와이퍼작동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배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울박스 내부에 칸막이되어 있는 카울사이드패널의 하부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서 배수부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기타 야생동물이 카울박스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와이퍼작동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카울사이드패널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카울박스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Drain Hole of Automobile Cowl Box}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카울박스에 형성된 물 배수부 근처에 와이퍼작동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배수부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배수부를 막아둠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카울박스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비가 올 때는 와이퍼작동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배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공조장치는 주위의 각종 변화에 따른 온도와 습도 및 공기의 환경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승차한 사람에게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더운 여름철에 탑승객이 시원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차내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 주는 냉방장치와 겨울철에 차내 온도를 높게 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주는 난방장치로 구분된다.
차량의 냉방은 차내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해 탑승자가 항상 쾌적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그 효과로는 일의 능률향상, 피로감의 경감, 주의력 유지, 쾌적한 운전 등이다.
한편, 공기를 열 매체로서 사용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에서 풍량 특성은 냉난방 설계상 가장 중요한 특성의 하나인데, 일반적으로 실내로 공기를 유입하거나 에어 컨디셔닝을 위해 에어컨을 작동하면 블로어의 작동에 의해 카울박스 상부면에 형성된 외기유입부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에어컨디셔너의 풍량을 결정하는 블로워의 사양이 결정되면 최대 풍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카울박스의 외기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큰 기압 강하없이 최종적으로 실내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카울박스(cowl box)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 하부에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그 카울박스의 구조는 도2에 잘 나타나 있다.
도2는 종래 카울박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을 보인 종래 카울박스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박스(10)는 내부가 소정의 밀폐공간을 갖도록 카울어퍼패널(10a)과 카울로워패널(10b)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카울어퍼패널(10a)과 카울로워패널(10b)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카울박스(10)의 천장면 일측에는 외기가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유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카울박스(10)의 후면 일측에는 상기 외기유입부(11)를 통해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차실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실내공기 유입부(12)가 형성된다.
즉, 외기유입부(11)를 통해 카울박스(10)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유입부(12)를 통해 실내로 들어가 블로워(미도시)를 통해 실내 각부에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울박스(10)의 외기유입부(11)를 통해서는 외기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빗물과 같은 물이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카울박스(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카울박스(10) 바닥면의 일측 끝단에는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카울박스(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13)가 천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부(13)를 카울박스(10)의 전체공간과 별도로 칸막이하지 않으면 상기 외기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대거 배수부(13)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어 버리므로 상기 실내공기 유입부(12)로는 아주 적은 양의 공기만이 유입되어 블로워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카울박스(10)의 천장면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카울사이드패널(14)이 설치되는데,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은 상기 배수부(13)를 외기유입부(11) 및 실내공기 유입부(12)와 칸막이하여 카울박스(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수부(13) 쪽으로 거의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카울박스(10)에 물이 유입된 경우에는 상기 배수부(13) 쪽으로 물이 흘러 배출 가능하도록, 카울박스(10)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위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울박스 배수구조에 의하면 카울박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부가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배수부를 통하여 차 외부에 있는 이물질이나 엔진룸의 소음이 카울박스 내부로 유입되어 카울박스 및 차 실내가 오염되고, 차내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농촌이나 서남아시아 지역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배수부를 통하여 작은 몸집의 야생동물들이 카울박스 내로 들어와 차체 패널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그 안에서 죽어 부패하는 일이 빈번하여 심한 악취가 날 뿐만 아니라 위생상 매우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울박스의 바닥면에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는 배수부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막아서 외부의 이물질이 카울박스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빗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배수부가 개방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 하부에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카울박스가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그 카울박스 천장면의 일측에는 외기가 카울박스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외기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울박스 후면의 일측에는 그 카울박스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차실 내부로 들어가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카울박스 바닥면의 일측끝단에는 카울박스 내부로 유입된 물이 카울박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울박스의 천장면에는 상기 배수부를 외기유입부 및 실내공기 유입부와 칸막이하기 위한 카울사이드패널이 카울박스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 자동차의 카울박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의 일측면에는 카울사이드패널의 하부끝단과 카울박스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한 가동플레이트가 힌지축을 매개로 배수부 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그 힌지축과 동축 일체로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와이퍼작동스위치와 연결되어 와이퍼작동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가 설치된 카울박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 하부에는 내부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카울박스(10)가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그 카울박스(10)의 천장면의 일측에는 차 밖의 외기가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유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카울박스(10) 후면의 일측면에는 그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차실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실내공기 유입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울박스(10) 바닥면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외기유입부(11)를 통하여 외기와 함께 유입된 물이 카울박스(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13)를 상기 외기유입부(11) 및 실내공기 유입부(12)와 칸막이하기 위하여 상기 카울박스(10)의 천장면에는 카울사이드패널(14)이 설치되는데,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은 상기 카울박스(10)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이 카울박스(10)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은 상기 카울박스(10)의 통로가 상기 배수로(13) 쪽으로 통하도록 개방시켜 상기 외기유입구(11)를 통해 카울박스(10) 내부로 들어온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카울박스(10)에서 배수부(13)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그 배수부(13)를 일부 칸막이하기 위한 카울사이드패널(14)도 하부 일측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부(13)를 통해 차 외부의 이물질이나 몸집이 작은 야생동물들이 카울박스(1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하면서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게 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도록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배수부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수부 개폐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일측면 중 상기 배수부(13) 쪽에 해당하는 곳에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 하부의 개방부와 카울박스(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한 가동플레이트(20)가 힌지축(2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동플레이트(20)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 하부의 개방부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배수부(13) 쪽을 향하여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부(13) 반대쪽으로는 회동이 저지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부(13)를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나 기타 야생동물이 상기 가동플레이트(20)를 밀고 실내공기 유입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카울박스(10)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동플레이트(20)가 상기 배수부(13)의 반대쪽으로 개방되지 못하도록 카울박스(10)의 바닥면이나 기타 가동플레이트(20)와 접촉되는 부분에 스톱퍼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도 좋겠으나, 이는 스톱퍼를 별도로 형성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스톱퍼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일측면 중 상기 배수부(13)를 향하는 쪽에 고정플레이트(22)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동플레이트(20)가 배수부(13) 쪽을 향해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21)을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2)와 가동플레이트(20) 및 힌지축(21)은 하나의 단일부품으로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경첩을 생각할 수 있는데, 경첩은 그 일측의 내각이 180도 이내의 범위에서만 힌지작용이 일어나고 180도를 넘게 되면 고정플레이트(22)와 가동플레이트(20)가 서로 간섭되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즉, 고정플레이트(22)와 가동플레이트(20)가 최대한 일직선을 이루는 범위까지만 회동되므로 별도로 스톱퍼를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고정플레이트(22)를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일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힌지축(21)은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가동플레이트(20)가 상기 배수부(13) 쪽을 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플레이트(20)가 평상시에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를 막고 있다가 비가 와서 카울박스(10) 내부에 물이 유입된 경우에만 개방되어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상기 가동플레이트(20)와 일체로 된 힌지축(21)에는 그 힌지축(21)과 동축일체의 축을 갖는 구동모터(2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3)는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되어 있는 와이퍼작동스위치(24)와 배선(w)을 통해 연결되어 비가 오는 날에 사용자가 와이퍼를 작동하기 위하여 와이어작동스위치(24)를 작동시키면, 그 와이퍼작동스위치(24)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3)가 작동되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20)가 도5b와 같이 배수부(13) 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되어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카울박스(10)의 내부에 배수부(13)를 외기유입부(11) 및 실내공기 유입부(12)와 부분 칸막이하기 위하여 카울박스(10)의 천장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 일측(개방부)은 구동모터(23)에 의하여 회동되는 가동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가동플레이트(20)는 평상시에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되어서,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 개방부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플레이트(20)는 카울사이드패널(14)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22)에 의하여 더 이상 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카울박스(10)의 배수부(13)를 통해 야생동물이 들어와 상기 가동플레이트(20)를 밀어도(배수부 쪽에서 들어온 동물이 가동플레이트를 당길 수는 없으므로), 가동플레이트(20)는 열리지 않는다.
한편, 비가 오는 경우에는 상기 카울박스(10)의 천장면에 형성된 외기유입부(11)를 통해 빗물이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되는데, 비가 오면 사용자는 와이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와이퍼작동스위치(24)를 가동하게 된다.
상기 와이퍼작동스위치(24)를 가동하면, 와이퍼가 작동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가동플레이트(20)의 힌지축(21)에 동축 일체로 설치된 구동모터(23)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가동플레이트(20)는 상기 배수부(13) 쪽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가 개방되어 물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에 의하면, 카울박스 내부에 칸막이되어 있는 카울사이드패널의 하부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서 배수부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기타 야생동물이 카울박스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와이퍼작동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카울사이드패널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카울박스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전방 사시도,
도2는 종래 카울박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을 보인 종래 카울박스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가 설치된 카울박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B-B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울박스 10a : 카울어퍼패널
10b: 카울로워패널 11 : 외기유입부
12 : 실내공기 유입부 13 : 배수부
14 : 카울사이드패널 20 : 가동플레이트
21 : 힌지축 22 : 고정플레이트
23 : 구동모터 24 : 와이퍼작동스위치

Claims (2)

  1.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 하부에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카울박스(10)가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그 카울박스(10) 천장면의 일측에는 외기가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외기유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카울박스(10) 후면의 일측에는 그 카울박스(10)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차실 내부로 들어가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카울박스(10) 바닥면의 일측끝단에는 카울박스 내부로 유입된 물이 카울박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카울박스(10)의 천장면에는 상기 배수부(13)를 외기유입부(11) 및 실내공기 유입부(12)와 칸막이하기 위한 카울사이드패널(14)이 카울박스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 자동차의 카울박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3) 쪽에 해당하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일측면에는 카울사이드패널의 하부끝단과 카울박스(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한 가동플레이트(20)가 힌지축(21)을 매개로 배수부(13) 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21)에는 그 힌지축과 동축 일체로 구동모터(23)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3)는 와이퍼작동스위치(24)와 연결되어 와이퍼작동스위치(24)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3) 쪽에 해당하는 상기 카울사이드패널(14)의 일측면에는 고정플레이트(2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동플레이트(20)가 배수부(13) 쪽을 향해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21)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KR10-2003-0081620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KR10052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20A KR100527137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20A KR100527137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20A KR20050047820A (ko) 2005-05-23
KR100527137B1 true KR100527137B1 (ko) 2005-11-09

Family

ID=3724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20A KR100527137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742B1 (ko) 2006-11-14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통한 실내 물 유입 방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742B1 (ko) 2006-11-14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통한 실내 물 유입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20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CN104842750A (zh) 一种汽车空气循环器
KR10052713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CN110475682B (zh) 车辆空调用送风装置
KR101200275B1 (ko) 센터 마운팅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99935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569907B1 (ko) 자동차의 카울부 배수구조
KR10048250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CN204726187U (zh) 一种汽车空气循环器
KR100452441B1 (ko)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
KR10086771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041251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가변형 배수장치
KR19980024056U (ko) 버스의 천정용 환풍기
KR100552714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벤틸레이션 덕트의 구조
KR20080023909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0588872B1 (ko) 자동차 유리 습기 발생 방지 시스템
KR200246734Y1 (ko) 승용차용 환풍구
KR101150934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JP2005335529A (ja) キャビンの空調装置
KR100356211B1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배출장치
KR19980052251U (ko) 자동차 실내환기 구조
JP200615106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