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734Y1 - 승용차용 환풍구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환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734Y1
KR200246734Y1 KR2019990009391U KR19990009391U KR200246734Y1 KR 200246734 Y1 KR200246734 Y1 KR 200246734Y1 KR 2019990009391 U KR2019990009391 U KR 2019990009391U KR 19990009391 U KR19990009391 U KR 19990009391U KR 200246734 Y1 KR200246734 Y1 KR 200246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enger car
vent
vehicl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36U (ko
Inventor
신순균
Original Assignee
신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순균 filed Critical 신순균
Priority to KR2019990009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7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734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자연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승용차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에는 에어컨과 환풍기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컨이나 환풍기로부터 승용차 안으로 들어오는 공기는 차량의 본네트 밑으로, 즉 차량 엔진을 통하여 들어오기 때문에 기관내의 탁하고 가온된 공기가 승용차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외부의 자연바람과 같이 신선하지 못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승용차의 앞 유리창의 하부에 작은 면적의 통풍구를 개설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속을 통하지 않은 대자연의 신선한 공기를 직접 마실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승용차 앞유리창(4) 밑에 좁고 긴 환풍구를 개설하고 여기에 에어콘의 방향 전환 원리를 이용한 좌우 상하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공기의 방향전환을 자유자제로 하며, 그 위에는 환풍구 덮게(2)를 착설하여 도심지의 탁한 공기가 있는 곳에서나 악천후에는 환풍구(1)의 환풍구 덮게(2)를 덮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고 필요시 열 수도 있다. 이 때 윈도우 부러쉬(3)는 현재위치보다 환풍구의 폭 만큼 위로하여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승용차용 환풍구{A ventilation opening for fresh air in front window of car}
본 고안은 승용차용 환풍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자연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승용차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류는 각종 공해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더 신선한 공기를 마시려는 것이 소망이다. 요즈음 승용차에는 에어컨과 환풍기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컨이나 환풍기로부터 승용차 안으로 들어오는 공기는 차량의 본네트 밑으로, 즉 차량 엔진을 통하여 들어오기 때문에 기관내의 탁하고 가온된 공기가 승용차 안으로 들어오므로 외부 자연바람과 같이 신선하지 못하다. 또한 이러한 에어컨의 공기가 싫어서 운전사들은 차량의 양쪽문의 창(Door window)을 내려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려하고 하나 이 경우는 차량이 달리는 정면으로부터 직접 공기를 받는 것이 아니고 측면으로부터 공기가 들어오는 것이므로 차량이 고속으로 달리지 않으면 외부 공기가 충분히 차내로 들어오기 어려우며 또한 공기가 스쳐가는 것이므로 이를 충분히 받기 위하여 창을 많이 열어야 될 뿐 아니라 양쪽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승용차내의 소음이 커서 차내에서의 대화도 어렵고, 라디오나 카세트 테이프 청취에도 지장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승용차의 앞유리창의 밑에 적은 면적의 통풍구를 마련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속을 통하지 않은 대자연의 신선한 공기를 직접 마실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환풍구가 승용차 앞유리창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풍구
2 : 환풍구 덮게
3 : 윈도우 부러쉬
4 : 승용차 앞유리창
승용차 앞유리창(4) 밑에 좁고 긴 환풍구(1)를 개설하고 여기에 에어콘의 방향 전환 원리를 이용한 좌우 상하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공기의 방향전환을 자유자제로 하며, 그 위에는 환풍구 덮게(2)를 착설하여 도심지의 탁한 공기가 있는 곳에서나 악천후에는 환풍구(1)의 환풍구 덮게(2)를 덮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고 필요시 열 수도 있다. 이 때 윈도우 부러쉬(3)은 현재 위치보다 환풍구(1)의 폭 만큼 만 위로하여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승용차의 앞유리창 하부에 소형 환풍구를 개설함으로써 차량과 맞부디치는 바람을 직접 받을 수 있어, 작은 환풍구를 통하여 대자연의 신선한 공기를 충분히 얻어 마실 수 있고, 환풍구가 작기때문에 종래와 같이 차량 양쪽의 창을 통하여 스쳐가는 외부공기를 얻으려고 양쪽 창문을 많이 열어야 하는 불편과 이 때 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효과적인 환풍으로 인하여 유리창에 성애가 붙는 것을 방지하여 백밀어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Claims (1)

  1. 승용차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흡입공기의 방향전환장치가 갖추어진 소형 환풍구(1)와 환풍구 덮게(2)를 승용차 앞유리창(4) 밑에 좁고 길게 개설하고 바로 그 위에는 윈도우 부러쉬(3)가 있어 차량이 달릴 때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들어오게 하는 승용차용 환풍구
KR2019990009391U 1999-05-29 1999-05-29 승용차용 환풍구 KR200246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91U KR200246734Y1 (ko) 1999-05-29 1999-05-29 승용차용 환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91U KR200246734Y1 (ko) 1999-05-29 1999-05-29 승용차용 환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36U KR20000021536U (ko) 2000-12-26
KR200246734Y1 true KR200246734Y1 (ko) 2001-09-26

Family

ID=5476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391U KR200246734Y1 (ko) 1999-05-29 1999-05-29 승용차용 환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7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36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6344A1 (en) Acoustic body exhauster
JP200301164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KR200246734Y1 (ko) 승용차용 환풍구
JPS6123457Y2 (ko)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CN214267312U (zh) 一种带净化功能的安全顶风窗
JPS6313044Y2 (ko)
JPH0133386Y2 (ko)
KR100452441B1 (ko)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
KR100527137B1 (ko) 자동차용 카울박스의 배수부 개폐장치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JP2822491B2 (ja) 産業車両の換気装置
KR800000990Y1 (ko) 승용차의 환풍 보조기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20040095432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0117469Y2 (ko)
KR100402859B1 (ko) 자동차의 에어 유입구조
KR200246862Y1 (ko) 차량용 썬바이져
JPS5821799Y2 (ja) 車両の側方視界低下防止装置
KR200282652Y1 (ko) 통풍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
KR19980052791U (ko) 윈드실드개폐가 가능한 자동차
KR20050026250A (ko) 차량용 환기장치
KR19980066700U (ko) 승합차용 환기장치
KR100272221B1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구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