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854B1 -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854B1
KR100586854B1 KR1020030045229A KR20030045229A KR100586854B1 KR 100586854 B1 KR100586854 B1 KR 100586854B1 KR 1020030045229 A KR1020030045229 A KR 1020030045229A KR 20030045229 A KR20030045229 A KR 20030045229A KR 100586854 B1 KR100586854 B1 KR 10058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late
main body
deformation
pane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741A (ko
Inventor
이와사와겐이치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3004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8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본체가 변형하더라도, 해당 변형에 따른 패널의 전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패널 구조를 제공한다.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과, 해당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을 지지하는 코어(24)를 구비하여 벽 패널(12)이 구성되어 있다. 코어(24, core)는,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각 외주측과의 사이에 간극(S)을 형성한 상태로, 해당 각 외주측에 걸어맞춰지는 내측 가압 부재(35)와 외측 가압 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패널 구조{PANE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의 방음실의 개략 평면도,
도 2는 제1 패널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화살표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화살표시 확대 단면도,
도 5는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3의 확대도,
도 6은 코어의 개략 정면도,
도 7은 가압 부재를 생략한 코어의 개략 정면도,
도 8은 가압 부재를 생략한 코어의 개략 배면도,
도 9는 제2 패널의 개략 정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제2 보강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패널 구조를 나타낸 도 4와 동일한 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패널 구조를 나타낸 도 4와 동일한 단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패널 구조를 나타낸 도 4와 동일한 단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패널 구조를 나타낸 도 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내면 판(패널본체) 22… 외면 판(패널 본체)
24 … 코어(지지 부재) 130 … 탄성체(변형 흡수부)
131 … 쿠션재 S … 간극(변형 흡수부)
본 발명은 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본체가 변형했을 때라도, 해당 변형의 영향이 다른 부재에 미치기 힘들게 하는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수의 판을 연결함으로써 방음실 등의 벽면을 형성 가능한 패널이 알려져 있다. 이 패널은, 예를 들면, 판 형상을 이루는 내외 1쌍의 패널 본체와, 이들 패널 본체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동시에, 각 패널 본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는 코어(core)를 구비하고 있다. 패널 본체로서는, 천연목, 합판,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또는 MDF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패널의 경량화나 사람에 대한 치유 효과 등을 고려한 경우에는, 천연목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패널 본체를 천연목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다른 재료에 비해 건조 수축(dryness compression)이나 습윤 팽창(humidity expansion)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변형이 발생하면, 각 패널 본체와 코어가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본체의 변형에 추종하여 코어도 변형하고, 나아가서는 패널이 전체적으로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결과, 패널 본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병설된 각 패널의 맞댐 부분에 간극이 발생하여, 이들 균열이나 간극의 발생에 의해, 패널로 둘러싸인 실내 공간의 차음 성능(sound insulation capability)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 일반적으로는, 패널 본체의 외주측이 코어에 고정되므로, 해당 고정에 기인하여 패널 본체의 외주측으로부터의 굴곡파(curved wave)가 발생하기 쉬워져, 해당 굴곡파의 영향에 의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차음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없다고 하는 또 다른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패널 본체가 변형하더라도, 해당 변형에 따른 패널의 전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곡파의 영향에 의한 차음 성능의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널 본체와, 이 패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와 상기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변형 흡수부가 설치되고, 이 변형 흡수부는, 상기 패널 본체의 변형을 허용하여 지지 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패널 본체의 변형을 허용하여 지지 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변형 흡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패널 본체가 변형했을 때, 해당 변형의 영향이 지지 부재측으로 미치기 힘들게 되어, 패널 본체의 변형에 따른 패널의 전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흡수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패널 본체의 면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간극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당 간극이 패널 본체의 변형시 변형을 받는 부분이 되어, 패널 본체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또, 패널 본체의 외주측을 구속하지 않고 해당 패널 본체를 지지 부재에 지지시킬 수 있어, 패널 본체의 외주측의 구속에 기인하는 굴곡파의 발생을 억제하여, 해당 굴곡파의 영향에 의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차음 성능의 저하를 개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체를 개재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패널 본체의 면방향에서의 이동에 일정한 저항이 부가되어, 해당 패널 본체의 준비되지 않은 이동이 규제되면서도, 패널 본체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는, 쿠션재를 통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실시예의 패널 구조가 적용된 방음실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방음실(10)은, 평면에서 보면 대략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장의 벽 패널(12)과, 이들 벽 패널(12)로 둘러싸이는 실내 공간을 상하 양단측으로부터 폐색하는 천정 패널(13) 및 바닥 패널(1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벽 패널(12)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내 면」이란 방음실(10)의 실내측의 면을 의미하며,「외면」이란 방음실(10)의 실외측의 면을 의미한다. 또,「상하」,「좌우」는, 설치 상태의 벽 패널(12)을 정면으로 하여 내면측에서 본 경우의「상하」,「좌우」를 의미한다.
상기 벽 패널(12)은, 좌우 폭이 대소의 관계에 있는 제1 및 제2 패널(16, 17)과, 제1 패널(16)과 대략 동일한 좌우 폭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도어 부재(D)가 설치된 제3 패널(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패널(16)은,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를 구성하는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과, 이들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코어(24)와, 이들 내면 판(21), 외면 판(22) 및 코어(24)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개재 설치된 흡음재(25)를 구비하여 구성된 플러시 구조(flush structure)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목에 의해 평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들의 각 외주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얇아지는 걸어맞춤부(27)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각 외주 가장자리 부분에 도 5중 코어(24)측으로 패인 단부(段部)(28)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패널(16) 1장에 대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이 동일 평면 내에서 2장씩 병설되어 있고, 도 5중 좌측의 내면 판(21)이 동일 도면중 우측의 내면 판(21)보다도 짧은 치수가 되는 좌우 폭으로 설정되고, 또한 동일 도면중 우측의 내면 판(21)과 각 외면 판(22)이 대략 동일해지는 좌우 폭 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코어(24)는, 도 4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외주를 형성하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부 프레임(32)과, 이 외부 프레임(32)의 내측에 배치되어 해당 외부 프레임(32)을 보강하는 보강재(33)와, 이들 외부 프레임(32) 및 보강재(33)의 내면측 및 외면측에 배치되는 내측 가압 부재(35) 및 외측 가압 부재(3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3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각재를 짜맞춤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1쌍의 세로대(38, 38, vertical ledge)와, 이들 세로대(38, 38)의 상하 양단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하 1쌍의 가로대(39, 39, horizontal ledg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3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로대(39, 39)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보강대(42)와, 이 제1 보강대(42)의 좌우 양측에서 해당 제1 보강대(42)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보강대(43, 43)와, 세로대(38, 38) 및 제1 보강대(42)의 각 상하 방향 대략 중앙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보강대(44, 44)와, 각 세로대(38, 38) 및 제1 보강대(42)의 상하 양단측과 가로대(39, 39)와의 사이에서 각각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코너 블록(46, corner block)과, 도 7중 좌측의 세로대(38)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세로대(38)의 내면 및 외면과 대략 한 면이 되도록 배치된 조인트(47, joint)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보강대(43)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중 하측의 내면 판(21)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동 도면중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재로 이루어지는 내측재(49)와, 이 내측재(49)의 도 4중 상면측에서 해당 내측재(49)를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내측재(49)보다도 좌우 폭이 큰 각재로 이루어지는 외측재(50)와, 이들 내측재(49)와 외측재(50)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 상태로 그들을 접합하는 면 패스너(fastener)(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재(49) 및 외측재(50)는, 면 패스너(52)에 의해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접합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벽 패널(12)의 고체 진동이 억제되어, 방음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재(49)가 내면 판(21)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는 한편, 외측재(50)가 외면 판(22)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내측재(49)와 외측재(50)의 도 4중 상하 위치를 반대로 하여, 내측재(49)를 외면 판(22)에 고정하는 한편, 외측재(50)를 내면 판(21)에 고정해도 된다. 또, 면 패스너(52) 대신에 고무 등의 탄성체를 개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면 패스너(52)를 설치하지 않고, 내측재(49)와 외측재(50)를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하여, 해당 내측재(49) 및 외측재(50) 중 어느 한쪽을, 상대하는 내면 판(21), 외면 판(22)에 접착 등으로 고정해도 된다. 즉, 내면 판(21)과 외면 판(22)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2 보강대(43)가 배치되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고정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상기 면 패스너(52)나 탄성체를 사용하는 편이 패널의 방음 성능상 바람직해진다.
상기 내측 가압 부재(35)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의 내면 판(21, 21)이 각각 수용되는 좌우의 프레임체(W1, W2)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이 다. 즉, 내측 가압 부재(35)는, 좌우 양측의 세로대(38, 38)의 겉쪽에 덮이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외측 세로부(55, 56)와, 이들 외측 세로부(55, 56)의 상하 양단 사이에 각각 연속되어 있는 동시에, 각 가로대(39, 39)의 겉쪽에 덮이도록 배치된 가로부(58, 58)와, 이들 가로부(58, 58)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 사이에 연속되어 있는 동시에, 제1 보강대(42)의 겉쪽에 덮이도록 배치된 중앙 세로부(60)로 이루어지고, 이 중앙 세로부(60)의 중앙에 형성된 홈(60A)을 경계로 하여 좌우 양측에 프레임체(W1, W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외측 세로부(55)에는, 각각 상하 방향 3개소에, 제1 및 제2 패임부(62, 66, carved section)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1 및 제2 패임부(62, 66)에는, 벽 패널(12)끼리의 연결에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연결구(connecting piece)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체(W1, W2)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움푹 패여 내면 판(21)의 걸어맞춤부(27)가 수용되는 수용부(69)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부(27)를 수용부(69)에 수용함으로써, 내면 판(21)과 내측 가압 부재(35)가, 그들의 도 4중 상면끼리를 대략 한 면으로 한 상태로 서로 걸어맞춰진다. 이 때, 내면 판(21)은, 코어(24)의 일부 즉 외부 프레임(32)이나 보강재(33)의 내면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내측 가압 부재(35)와의 맞댐 부분에 간극(S)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 내면 판(21)은, 내측재(49)를 제외한 코어(24)측에 고정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간극(S)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내측재(49)를 제외한 코어(24)에 대한 내면 판(21)의 면방향의 이동이 허용되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의 간극(S)은, 건조 수축이나 습윤 팽 창 등에 기인하는 내면 판(21)의 변형을 허용하여 코어(24)의 변형을 규제하는 변형 흡수부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수용부(69)의 도 4중 상하 폭을 걸어맞춤부(27)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걸어맞춤부(27)와 수용부(69)를 도 4중 상하 방향으로 이간시켜, 해당 이간 부분에도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2 보강대(43)를 고체적으로 접합하더라도, 내면 판(21)이나 외면 판(22)의 신축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게다가 주변 구속(local restraint)이 완화되어 진동 억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새롭게 형성된 간극의 도 4중 상하 폭은, 패널의 품질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2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걸어맞춤부(27)의 선단측을 수용부(69)에 접촉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외측 가압 부재(36)는, 도 5나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가압 부재(35)에 대해, 각 패임부(62, 6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및 제1 및 제2 외측 세로부(55, 56)가 대략 동일한 좌우 폭으로 설정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내측 가압 부재(35)에 대해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 패널(17)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제1 패널(16)에 대해, 도 2중 좌측의 제1 패임부(62)를 형성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개방하는 제2 패임부(66)를 좌우 양측에 대략 대칭으로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패널(16)과 대략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3 패널(18)은, 제1 패널(16)에 대해, 외부 프레임(32)의 내측에 도어 부재(D)가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벽 패널(12)의 차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행했다. 이 실험은, 소정 음원(ONO SOKKI, SR5300)이 설치된 음원실(용적 50.49㎥)과, 음향 투과 손실이 측정되는 수음실(용적 50.49㎥)과의 사이의 칸막이 벽으로서, 상기 실시예의 벽 패널(12)과 종래예의 벽 패널을 각각 좌우 방향으로 2장 나열하여 형성하고, 실시예 및 종래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음향 투과 손실을 각각 측정한 것이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잔향 실내 조건(reverberation chamber condition)을 27℃, 67%로 하고, 칸막이 벽의 투과부 면적을 1780mm×1992mm(3552㎡)로 했다.
실시예의 벽 패널(12)로서는, 상하 치수 약 1970mm, 좌우 치수 약 883mm, 두께 약 48mm, 면밀도 10.1kg/㎡로 설정된 것을 사용했다.
한편, 비교예의 벽 패널로서는,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외주 부분이 완전히 코어(24)에 고정된 플러시 구조의 패널을 사용하여, 상기 벽 패널(12)과 대략 동일한 사이즈로 했다.
도 10에 나타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의 벽 패널(12)은, 비교예의 벽 패널에 비해 차음 성능의 향상이 보이고, 특히 1000Hz ∼ 4000Hz의 고음역대에서의 차음 성능의 떨어짐 현상(코인시던스(coincidence) 효과)가, 종래예의 벽 패널보다도 개선되어 있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프레임(32)의 내측에 보강재(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더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이 코어(24)에 대해 각각 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을 건조 수축이나 습윤 팽창 등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천연목제로 했을 때라도,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에 의한 벽 패널(12) 전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외주 부분이 코어(24)에 구속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구속에 기인하는 굴곡파의 영향에 의한 고음역대에서의 차음 성능의 떨어짐을 종래보다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도 11에 나타낸 것은, 상기 제2 보강대(43)로서, 내측재(49)와 외측재(50)를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패킹(P1)을 통해 볼트(B) 및 너트(N)로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내측재(49)와 외측재(50)의 약간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들의 준비되지 않은 접합 해제를 확실히 방지 가능해진다.
즉, 여기서의 내측재(49)에는, 그 내면(도 11중 하면)측에 형성되어 너트(N)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115)와, 이 제1 수용부(115)로부터 외측재(50)를 향해 연장되어 볼트(B)의 축 부분이 삽입 통과되는 제1 축 삽입통과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부(115)는, 너트(N)의 직경보다도 큰 내경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너트(N)의 높이보다도 깊게 설정되어 있고, 너트(N)가 패킹(P2)을 통해 제1 수용부(115)에 수용되었을 때, 해당 제1 수용부(115) 내에 간극(S)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외측재(50)에는, 그 외면(도 11중 상면)측에 형성되어 볼트(B)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117)와, 이 제2 수용부(117)와 제1 축 삽입통과부(116)와의 사이에서 연통하는 제2 축 삽입통과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용부(117)는, 볼트(B)의 머리부를 대략 간극 없이 수용 가능해지는 크기의 내경 치수로 설정되는 동시에, 볼트(B)의 머리부의 높이보다도 약간 깊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패킹(P1)의 대략 중앙부에는, 볼트(B)의 축부분을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부(H)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제2 보강대(43)에 있어서는, 내측재(49)가 내면 판(21)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는 한편, 외측재(50)가 외면 판(22)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또, 내측재(49)와 외측재(50)와의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패킹(P1)은, 접착제 등으로 내측재(49)에 고정되어 있으나, 외측재(50)측에는 고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은, 제1 수용부(115) 내의 간극(S), 또는 각 축 삽입통과부(116, 118)와 볼트(B)의 축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S)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제2 수용부(117)의 좌우 폭을 더욱 크게 해도 되고, 또 볼트(B)의 머리부를 제1 수용부(115)에 수용시키는 한편, 너트(N)를 제2 수용부(117)측에 수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을 코어(24)에 지지하는 구조로서, 도 12 ∼ 도 15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2의 구조는, 제2 보강대(43)를 각재로 구성하는 동시에, 세로대(38) 및 제1 보강대(42) 사이에 가로질러지는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을 각각 2분할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즉, 여기서의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은, 도 12중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판재(122)와, 동일 도면중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판재(123)로 이루어진다. 이들 제1 및 제2 판재(122, 123)는, 제2 보강대(43)의 내면측 및 외면측에서 서로 반턱 쪽매 이음(shiplap) 형상으로 접합되어 있고, 해당 접합 부위에서는, 제1 및 제2 판재(122, 123)의 단부 사이에 변형 흡수부로서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판재(122)의 외측(도 12중 좌단측)과 각 가압 부재(35, 36)와의 걸어맞춤 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외측(도 4중 좌단측)과 각 가압 부재(35, 36)와의 걸어맞춤 구조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판재(123)의 내측(도 12중 우단측)과 각 가압 부재(35, 36)와의 걸어맞춤 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내측(도 4중 우단측)과 각 가압 부재(35, 36)와의 걸어맞춤 구조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외주 부분과 각 가압 부재(35, 36)와의 사이에 변형 흡수부로서의 간극(S)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1 판재(122)는, 접착제 등으로 제2 보강대(43)에 고정되어 있으나, 패널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부 프레임(32)이나 보강재(33)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판재(123)는, 도 12중 우단측의 제1 보강대(42)에 고정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되나, 제2 보강대(43)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도, 각 간극(S)의 존재에 의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을 허용하여 해당 변형에 따른 코어(24)의 변형을 규제 가능하게 된다.
도 13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대해, 각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형상 및 지지 구조를 바꾼 것에 특징을 갖는다. 즉, 여기서의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은, 그들의 단면(21A, 22A)이 대략 연직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단면(21A, 22A)에 제1 맞춤못 구멍(125, dowel hole)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가압 부재(35, 36)의 내측 단면(35A, 36A)도 대략 연직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해당 내측 단면(35A, 36A)에는, 상기 제1 맞춤못 구멍(125)에 대응하는 제2 맞춤못 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맞춤못 구멍(125, 126) 사이에 맞춤못(128)를 수용시킴으로써,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이, 코어(24)의 내면 및 외면으로 구성되는 착좌면(127, sitting face)에 착좌한 상태로, 코어(24)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 상태에 있어서는, 각 맞춤못 구멍(125, 126)의 내부와 맞춤못(28)와의 사이에 변형 흡수부로서의 간극(S)이 형성되는 동시에, 각 단면(21A(22A), 35A(36A)) 사이에도 변형 흡수부로서의 간극(S)이 형성된다. 또,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은, 각 착좌면(127)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이 경우도, 상기 각 간극(S)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을 허용하여 해당 변형에 따른 코어(24)의 변형을 규제 가능하게 된다.
도 14의 구조는, 도 13의 구조에 대해, 각 맞춤못 구멍(125, 126) 및 맞춤못(128)를 설치하지 않고,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단면(21A, 22A)과 각 가압 부재(35, 36)의 내측 단면(35A, 36A)과의 사이에 변형 흡수부로서의 탄성체(130)를 개재 설치하여, 이 탄성체(130)를 상기 각 단면(21A, 22A, 35A, 36A)에 각각 고정한 구조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 경우는, 탄성체(130)의 신축에 의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이 흡수되게 된다. 또한, 탄성체(130)로서는, 고무상, 스폰지상, 스프링상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신축에 의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재료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탄성체(130)는, 단면(21A(22A))과 내측 단면(35A(36A))과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개재 설치해도 된다.
도 15의 구조는, 고무제의 쿠션재(131)를 통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을 코어(24)에 지지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즉, 이 경우는, 쿠션재(131)가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과 상기 각 착좌면(127)과의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동시에,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단면(21A, 22A)과 각 가압 부재(35, 36)의 내측 단면(35A, 36A)과의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쿠션재(131)의 신축 및 간극(S)의 존재에 의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이 허용되게 된다. 또한, 쿠션재(131)로서는, 신축에 의해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스폰지상, 스프링상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코어(24)로서는, 외부 프레임(32)이나 보강재(33)와 각 가압 부재(35, 36)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한편, 서로 다른 재질의 외부 프레임(32) 등과 각 가압 부재(35, 36)로 이루어지는 별체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금속, 플라스틱, 엘라스토머(elastoma)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 가압 부 재(35, 36)를 목제의 외부 프레임(32) 등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코어(24)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어(24)의 구성은, 상술한 각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내면 판(21) 및 외면 판(22)의 변형을 허용하여 코어(24)의 변형을 규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2 보강대(43)를 생략하는 등,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본체와 해당 패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패널 본체의 변형을 허용하여 지지 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변형 흡수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패널 본체가 변형했을 때, 해당 변형의 영향이 지지 부재측으로 미치기 힘들게 되어, 패널 본체의 변형에 따른 패널의 전체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변형 흡수부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패널 본체의 면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간극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패널 본체의 외주측의 구속에 기인한 굴곡파의 발생을 억제하여, 해당 굴곡파의 영향에 의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차음 성능의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체를 개재 설치했기 때문에, 패널 본체의 준비되지 않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Claims (7)

  1. 내면판과 외면판으로 구성된 패널 본체와, 이 패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면판과 상기 외면판의 사이에 보강대가 배치되고, 상기 내면판과 상기 외면판은 상기 보강대를 끼고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패널 본체와 상기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변형 흡수부가 설치되고, 이 변형 흡수부는, 상기 패널 본체의 변형을 허용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변형을 규제하고,
    상기 변형 흡수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패널 본체의 면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간극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체가 개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쿠션재를 통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구조.
  5. 내면판과 외면판으로 구성된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패널의 외주를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에 연결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널 본체의 표면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패널 본체를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 지지하는 패널 본체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면판과 상기 외면판의 사이에 보강대가 배치되고, 상기 내면판과 상기 외면판은 상기 보강대를 끼고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패널 본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확정하고,
    상기 패널 본체는,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확정된 패널 본체 수용 공간보다도 작게 형성하여, 상기 패널 본체의 단면과 상기 패널 본체 가압 부재의 상기 패널 본체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의 단면과 상기 패널 본체 가압 부재의 패널 본체측 단면과의 사이에 형성한 공간을 탄성체로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쿠션재를 통해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구조.
KR1020030045229A 2003-07-04 2003-07-04 패널 구조 KR100586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29A KR100586854B1 (ko) 2003-07-04 2003-07-04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29A KR100586854B1 (ko) 2003-07-04 2003-07-04 패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41A KR20050003741A (ko) 2005-01-12
KR100586854B1 true KR100586854B1 (ko) 2006-06-07

Family

ID=3721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229A KR100586854B1 (ko) 2003-07-04 2003-07-04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34B1 (ko) * 2005-09-16 2007-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 조립세트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41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9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구조체
KR100586854B1 (ko) 패널 구조
JP2007327232A (ja) コンテナの構造
JP4709941B2 (ja) 建物躯体に外装板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金物
KR101844645B1 (ko) 횡하중 흡수형 건축용 패널 조립체
JP4945428B2 (ja) 補強構造
JP3750614B2 (ja) パネル構造
KR102110470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JP4021154B2 (ja) 耐震補強体とその製作方法
KR100896099B1 (ko) 마루-천장 구조
KR200452954Y1 (ko) 방음판용 프레임
JP2007017759A (ja) 防音パネル
JP3502347B2 (ja) エラストマー据付け具
JP7324328B1 (ja) フラッシュ面材用基材及びフラッシュ面材
JP7059489B2 (ja) 建物
KR102240355B1 (ko)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GB2259131A (en) Sound deadening in panels and like building structural parts
JP7302058B1 (ja) フラッシュ面材用基材及びフラッシュ面材
JP6453384B2 (ja) 遮音床構造
JPH06161463A (ja) 遮音構造体
JP4290999B2 (ja) 二重床の床パネル構造
JP7424453B2 (ja) 床構造
JP5674358B2 (ja) 板壁、及び耐震改修方法
JP7269702B2 (ja) 床構造
JP3255019B2 (ja) ド 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