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804B1 - 모노포스포릴 지질 에이를 함유하는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노포스포릴 지질 에이를 함유하는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804B1
KR100586804B1 KR1020007014932A KR20007014932A KR100586804B1 KR 100586804 B1 KR100586804 B1 KR 100586804B1 KR 1020007014932 A KR1020007014932 A KR 1020007014932A KR 20007014932 A KR20007014932 A KR 20007014932A KR 100586804 B1 KR100586804 B1 KR 10058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monophosphoryl lipid
composition
colloidal suspension
anti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637A (ko
Inventor
라포스타빈센트제임스
엘드리쥐존헤이워드
Original Assignee
와이어쓰 홀딩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어쓰 홀딩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와이어쓰 홀딩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7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72Lipopolysaccharides; Lipid A; Monophosphoryl lipid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83Polysacchar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시키고 해동시키거나 동결건조시키고 재구성하면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콜로이드 현탁액을 재형성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의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

Description

모노포스포릴 지질 에이를 함유하는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S CONTAINING MONOPHOSPHORYL LIPID A}
본 발명은 개선된 보조제와 백신 조성물, 개선된 보조제와 백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개선된 조성물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백신이 수년 동안 다양한 전염병으로부터 인간과 동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통상의 백신은 약독화 병원체, 사멸 병원체 또는 병원체의 면역원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1 이상의 항원을 함유한다. 어떤 백신에서는, 항원(들)이 단독으로 방어 면역반응을 도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어떤 백신에서는, 항원(들)이 1 이상의 보조제와 함께 항원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당분야에 공지된 이러한 보조제는 살모넬라 미네소타(Salmonella minnesota) R595의 리포다당류로부터 유도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이다. 또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는 수성 환경에서 그들 자신과 자발적으로 응집하는 지질 물질임이 공지되었다. 또한, 응집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가 덜 자극적이라는 점에서 응집 정도는 면역자극원으로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활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공지되었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는 통상적으로 동결건조된 백색 분말 형태의 트리에틸아민염으로서 수득된다. 매우 소수성이기 때문에, 동결건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는 물로 재구성하면 쉽게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대신 정치시 침강하고 추가로 응집하는 불균질 크기의 가시적 백색 미립자를 지니는 혼탁 혼합물을 생성한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허용되는 수성 제조물을 제조하기 위해, 동결건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트리에틸아민염 1 내지 2 mg/㎖(w/v)를 0.2% 트리에틸아민을 함유하는 물에 현탁시키고, 65-70℃에서 현탁액을 가열한 다음,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생성된, 약간 유백광을 내거나 투명한, 수성 제조물은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다. 트리에틸아민이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용해를 돕고 트리에탄올아민 유사량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제조물을 냉동시킨 다음 해동하면, 모노포스포릴 지질 A가 응집하여 초음파 처리 전의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혼탁 혼합물과 외관이 꽤 유사한 혼탁 혼합물이 생성된다. 유사하게, 전술한 바와 같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제조물을 동결건조시킨 다음 재수화하면, 응집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혼탁 혼합물이 또한 생성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재구성 특징이 개선되고 선행기술의 침강 및 응집 문제점이 회피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당분야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임의로,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제공하고,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하거나 재수화시켜 추가의 초음파 처리 없이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적어도 88%의 광투과율을 가지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존재한다면, 아민계 계면활성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5 중량% 이하, 당 약 70 중량% 이상, 및 임의로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약 0 내지 약 30 w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5 중량% 이하, 당 약 70 내지 약 99.99 wt%, 및 임의로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약 0 내지 약 28 wt%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4 wt% 이하, 당 약 75 내지 약 99.99 wt% 및 임의로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약 0 내지 약 22 wt%를 포함한다.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수성 희석액 ㎖당 동결건조된 조성물 약 210 mg 이하, 바람직하게는 수성 희석액 ㎖당 동결건조된 조성물 약 10 mg 내지 수성 희석액 ㎖당 동결건조된 조성물 약 210 mg의 농도로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하거나 재수화시켜 추가의 초음파 처리 없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방법이고, 여기에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저장하기 위해 냉동한 다음, 선행 기술에 공지된 침강 및 응집 문제 없이 사용하기 위해 해동한다. 이 방법으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수성 희석액 및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 및 또한 임의로 항원(들)과 혼합한다.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임의로 가열 또는 이 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기타 공지된 방법과 함께 초음파 처리로 형성한다. 당 약 10 mg/㎖ 내지 약 200 mg/㎖의 양을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혼합물에 첨가한다. 당은 고체 형태 또는 수용액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냉동한다. 냉동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해동시키면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추가의 초음파 처리 없이 얻을 수 있다. 하기에 정의된 것처럼, 항원(들)을 해동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첨가하여 척추동물에 투여할 수 있는 백신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 냉동 전에 항원을 함유하면, 백신 조성물을 해동시켜 척추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현탁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입자가 용해된 형태가 아니라 매우 미세하게 분할된 형태로 존재하는 특수한 형태의 액체 현탁액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실제로 용액이 아닌 현탁액이고, 통상의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현탁액과 달리 침강 및 응집의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존재는 광 투과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분광광도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 또는 동결건조에 앞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당의 첨가를 제공함으로써, 선행 기술의 침강 및 응집 문제점을 해결한다. 당은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첨가될 수 있지만 현탁액을 냉동하거나 동결건조하기 전에 첨가되어야 한다. 냉동 또는 동결건조에 앞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당의 첨가는 냉동 후에 해동하여 추가의 초음파 처리 없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달성할 수 있거나, 이와 달리 동결건조 후에 적당한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될 수 있고 추가의 초음파 처리 없이 하기에 설명된 것처럼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달성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적당한 당으로는 단당류, 덱스트로스, 만노스, 갈락토스 및 프럭토스와 이당류 수크로스, 락토스, 이소말토스, 말토스 및 트레할로스가 포함된다. 당, 예를 들면 수크로스와 덱스트로스의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당은 모두 무독성이고 약학적으로 허용된다. 수크로스와 덱스트로스가 바람직하다. 당은 고체 형태 또는 수용액 형태일 수 있다. 적당한 수성 희석액으로는 물 또는 식염수가 포함되고 또한 항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또는 추가의 보조제 또는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비히클 또는 담체를 부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아민계 계면활성제로는 트리에틸아민(TFA)과 트리에탄올아민(TEM)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가 일면은 추가의 초음파 처리 단계의 생략에도 불구하고 수성 희석액으로 전술한 동결건조된 조성물의 재구성시 수득되는 재구성 또는 재수화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전에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수득하기 위해 초음파 처리 단계가 필요했다. 그러나, 수성 희석액을 전술한 동결건조된 조성물에 첨가하면, 추가의 초음파 처리없이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수득함이 본 발명에 이르러서야 밝혀졌다. 이렇게 수득되는 재구성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보인다. 이렇게 수득되는 재구성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냉동할 수 있고, 그리고 해동한 후에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보이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으로 다시 재형성할 수 있기에 놀라운것이다. 본 발명의 재구성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수성 희석액 ㎖당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2.5 mg 이하, 수성 희석액 ㎖당 당 약 10 내지 200 mg 및 수성 희석액 ㎖당 아민계 계면활성제 약 0 내지 약 6 mg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재구성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수성 희석액 ㎖당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2.0 mg, 수성 희석액 ㎖당 당 약 20 내지 150 mg 및 희석액 ㎖당 아민계 계면활성제 약 0 내지 약 3 mg을 포함한다. 재구성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당, 아민계 계면활성제 및 수성 희석액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추가 일면은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과 배합된 동결건조된 조성물 및 전술한 재구성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이다. 항원(들) 유효량이 임의로 수성 희석액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백신 조성물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종양 세포 또는 알레르겐으로부터 유도되거나 이에 의해 생산되는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추가로 포함한다. 항원 유효량은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되었을 때 특이적 항체의 생산 또는 세포-매개 대사인자 메카니즘에 의해 측정되는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양으로 정의된다.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약 1 ㎍ 내지 5 mg이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보조제 유효량은 백신에 첨가되었을 때 백신에서 항원(들)에 대한 면역반응의 정도 또는 특징 또는 지속성을 향상시킬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양이다. 보조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유효량 은 약 1 ㎍ 내지 약 1 mg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을 위한 적당한 항원으로는 항원에 노출된 척추동물에서 어떤 물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지향되는 항체 또는 세포-매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된다. 1 이상의 항원이 사용될 수 있다. 항원(들)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마이코플라즈마, 진균류, 원생동물 및 기타 기생충을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추가로, 항원(들)은 미생물을 제외한 공급원, 예를 들면 종양 세포 또는 알레르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항원(들)은 병원성 미생물의 전체 또는 일부, 또는 유기체와 관련된 단백질, 당단백질, 당지질, 다당류 또는 리포다당류의 전체 또는 일부일 수 있거나, 항원(들)은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러한 단백질, 당단백질, 당지질, 다당류 또는 리포다당류의 전체 또는 일부를 모방하는 기타 물질일 수 있다.
항원이 백신용으로 생산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은 예를 들면, Medical Microbiology, Second Edition, (1990) J. C. Sherris(ed.),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New York, and Zinsser Microbiology, 20th Edition (1992), W. K. Joklik et al. (eds.), Appleton & Lange Publishing Division of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에 수록되어 있는 것처럼, 전염병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인간 백신을 위한 해당 유기체의 예로는 클라미디아(Chlamydia), 형별불능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Nontypeable Haemophilus influenzae),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모락셀라 카타랄리스(Moraxella catarrhalis), 나이세리아 고노리아(Neisseria gonorrhoeae), 나이세리아 메닌지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A군(Group A Strep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 B군(Group B Streptococcus),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간 파필로마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홍역,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노르와크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
항원(들)으로는 단백질 담체 분자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면역원성을 증가시키는 다당류 항원(들), 예를 들면 박테리아 협막 다당류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글리코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박테리아 협막 다당류와 단백질 담체 분자의 접합체 제조방법은 당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Dick and Burret, Contrib Microbiol Immunol. 10:48-114(Cruse JM, Lewis RE Jr., eds; Basel Kruger(1989)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폐렴 글리코접합체를 포함한 적당한 접합체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U.S. 4,673,574, U.S. 4,761,283, U.S. 4,902,506, U.S. 5,097,020 및 U.S. 5,360,897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 유효량을 척추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신접종을 통한 척추동물의 면역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a.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5 mg/㎖ 이하의 양과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약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시키고;
b.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며;
c.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당 약 10 내지 200 mg/㎖를 첨가하며;
d.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한 다음;
e.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a. 중간 강도의 무기산내 그람 음성 박테리아 살모넬라 미네소타 R595의 리포다당류를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수득하는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고;
b.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건조시키며;
c.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3 위치에서 염기에 불안정한 지방산 쇄를 제거하는 약 알칼리로 처리하여 3-탈아실화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수득하며;
d. 3-탈아실화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회수하며;
e.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5 mg/㎖ 이하의 양과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약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하고;
f.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며;
g. 당 약 10 내지 200 mg/㎖를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첨가하며;
h.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한 다음;
i.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a.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5 mg/㎖의 양과 임의로,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약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시키고;
b.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며;
c. 당 약 10 내지 200 mg/㎖를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첨가하며;
d.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냉동한 다음;
e.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해동하여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하거나 해동시킬 수 있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제조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U.S. 특허 제4,912,094호에 설명되어 있다. 간략하게, 모노포스포릴 지질 A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 살모넬라 미네소타 R595의 헵토스리스(heptosless) 돌연변이체로부터 수득되는 리포다당류(또는 지질 A)를 중간 강도의 무기산 용액(예를 들면, 0.1 N HCl)에서 대략 30분의 시간 동안 환류시킴으로써 생산된다. 적당한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등이 포함된다. 이렇게 처리하면 환원-말단 글루코사민의 1 위치에서 포스페이트 잔기가 손실된다. 이 처리 중에 비-환원 글루코사민의 6 위치로부터 코어 탄수화물이 제거된다. 생성물은 지질 A의 모노포스포릴 유도체이다. 지질 A의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3 위치에서 염기-불안정 지방산 쇄를 제거하는 매우 약한 알칼리로 처리하여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수득하는데, 이는 환원 말단 글루코사민의 3 위치가 데-O-아실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3-탈아실화 모노포스포릴 지질 A와 4, 5 또는 6 아실화 쇄의 화학적 혼합물이다. 적당한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알콜),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과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물과 1 이상의 이러한 유기 용매의 배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알칼리성 염기는 다양한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및 아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시 염기로는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나트륨 카보네이트, 칼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보네이트, 칼륨 비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무기 염기 및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이 포함되고, 알킬 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가 포함된다.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일염기성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암모늄) 염으로 전환시킨다.
본원에 사용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라는 용어는 일염기성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암모늄) 염으로서의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수성 희석액, 바람직하게는 물에 수성 희석액 ㎖당 모노포스포릴 지질 A 5 mg 이하, 바 람직하게는 2.5 mg/㎖ 이하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2.5 mg/㎖의 양으로 첨가한다. 임의로,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약 0 내지 약 6 mg/㎖,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 mg/㎖의 양이 사용된다.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임의로, 가열 또는 기타 방법과 함께 초음파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열은 임의적이지만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적당한 초음파 처리 장비는 예를 들면, 크기가 처리할 용적을 위해 적당한 탐침과 접합된 탐침 소니케이터(Vibracell VCX600; Sonica) 또는 Laboratory Supplies Co. Inc.,(Hicksville, NY)로부터 제공되는 Model No. G112P1T와 같은 조 소니케이터를 포함한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초음파 처리를 위해 제약 산업에 사용되는 다른 유사한 장비도 또한 적당할 것이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초음파 처리 외의 방법, 예를 들면 마이크로유동화기에서 생성되는 전단력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당은 또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수성 희석액 ㎖당 10 내지 200 mg의 당,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150 mg/㎖의 양으로 첨가된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임의로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및 임의로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상기에 언급된 양으로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임의로, 항원(들)의 아민계 계면활성제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의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달성한다. 당분야 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것처럼, 동결건조는 냉동시킨 후에 진공을 적용함으로써 산물로부터 물을 승화시키는 건조 과정이다. 동결건조 또는 냉동-건조의 세부사항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Chapter 84, page 1565, 18th Edition, A.R. Gennaro, Editor, 1990, Mack Publishing Company에 설명되어 있다.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 형성되었는지의 여부는 광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적어도 88%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조성물은 콜로이드 현탁액의 특성을 보임이 밝혀졌다. 광 투과율은 1 cm의 광로를 가지는 유리, 석영 또는 플라스틱 큐벳내 액체 샘플에 광을 비추는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광은 가시 또는 비가시 스펙트럼일 수 있지만, 이러한 유형의 광 투과율 측정을 위해서는 650 nm의 파장이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샘플을 통과하는(즉, 투과) 광의 양을 물질이 용해되거나 현탁되는 용매 또는 희석액을 함유하는 블랭크 큐벳과 비교한다. 광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지 않는 샘플은 100% 광 투과율을 보일 것이고 반면 광 모두를 흡수하거나 산란시키는 샘플은 0% 광 투과율을 가질 것이다.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 전이나 후에 당을 첨가하게되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냉동 또는 해동시 모노포스포릴 지질 A가 응집되지 않거나, 또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동결건조 및 수성 희석액으로의 재구성 또는 재수화시 모노포스포릴 지질 A가 응집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리한 결과가 달성된다고 여겨진다. 동결건조에 앞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당을 포함시킴으로써,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모노포스포릴 지질 A가 재응집되는 문제 없이 물 또는 식염수와 같은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재구성된 콜로이드 현탁액 또는 백신 조성물을 냉동하면 응집이 재발생하지 않게 된다. 유사하게, 냉동하기에 앞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당을 포함시킴으로써, 추가로 초음파 처리하지 않고서 동결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해동이 달성된다. 당이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응집을 방지하는지의 여부는 확실한 것으로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 물만으로 제조되는지,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물로 제조되는지의 여부와는 상관없는 것이다.
따라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에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당을 첨가하는 것은, 이러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냉동시키고 해동시키거나 동결건조시켜 재구성할 경우에 놀랍고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제공한다.
삭제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1
혼탁 혼합물의 제조 및 광 투과율의 측정
모노포스포릴 지질 A(RIBI ImmunoChem., Hamilton, MT)를 물에 1 mg/㎖(w/v)로 현탁시켜 불균질한 크기의 가시적 백색 미립자를 지니는 혼탁 혼합물을 형성한다. 혼탁 혼합물을 Shimadzu UV-1601, UV-가시적 분광 광도계에 두고 650 nm 파장의 광을 비춘다. 혼탁 혼합물은 입사광의 3.3% 통과를 허용한다(즉, %투과율 = 3.3).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형성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 및 광 투과율의 측정
1 mg/㎖(w/v)로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0.5% 트리에탄올아민(v/v)(5.62 mg/㎖(w/v)) 또는 0.2% 트리에틸아민(v/v)(1.46 mg/㎖(w/v))을 함유하는 물에 현탁한다. 샘플을 56-65℃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고 테이퍼링 마이크로팁을 사용하는 30% 파워로 세팅한 탐침 소니케이터(Vibracell VCX600) 또는 2 내지 3분 동안 풀 파워로 사용되는 조 소니케이터(Model No. G112SP1T, Laboratory Supplies Co. Inc., Hicksville, NY)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한다. 투명한 현탁액을 수득하여 Shimadzu UV-1601, UV-가시적 분광 광도계에 두고 650 nm 파장의 광을 비춘다. 광 투과율(%)이
Figure 112004030391374-pct00001
88%로 측정되고, 이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 및 동결건조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1, 2 또는 5 mg/㎖(w/v)로 물 또는 0.5% 트리에탄올아민 v/v(5.6 mg/㎖ w/v) 또는 0.2% 트리에틸아민 v/v(1.46 mg/㎖ w/v)를 함유하는 물에 현탁시킴으로써 형성한다. 각 모노포스포릴 지질 A 현탁액을 10-15분 동안 56℃ 내지 65℃에서 가열한 다음 총 2-3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가시적 미립자가 없는 투명한 현탁액을 수득한다. 샘플(1 내지 1.5 ㎖)을 테이퍼링 마이크로팁을 사용하여 30% 파워로 세팅한 탐침 소니케이터(Vibracell VCX600) 또는 풀 파워로 사용되는 조 소니케이터(Model No. G112SP1T, Laboratory Supplies Co. Inc., Hicksville, NY)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 리한다. 상기의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 분획을 동량의 물 또는 다양한 농도의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로스 용액으로 희석한다. 생성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표 1에 표현된 것처럼 모노포스포릴 지질 A 0.5, 1.0 또는 2.5 mg/㎖(w/v) 및 수크로스 10, 50, 100 또는 200 mg/㎖(w/v)의 최종 농도 또는 덱스트로스 10, 50, 100 또는 170 mg/㎖(w/v)를 포함한다. 제조물은 트리에탄올아민(TEM) 2.81 또는 5.62 mg/㎖ 또는 트리에틸아민(TEA) 0.73 mg/㎖을 함유하거나 아민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샘플을 Shimadzu UV-1601, UV-가시적 분광 광도계에 두고 650 nm 파장의 광을 비춘다.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 광 투과율은 90.0 내지 99.9% 범위이고, 이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낸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제형물의 조성
% 광 투과율
샘플 MPL mg/㎖ 첨가되는 당 당 mg/㎖ 첨가되는 아민 첨가되는 아민 mg/㎖
1 0.5 수크로스 10 TEM 2.81 97.2
2 0.5 덱스트로스 10 TEM 2.81 97.1
3 0.5 수크로스 10 TEM 2.81 97.2
4 0.5 덱스트로스 10 TEM 2.81 97.3
5 0.5 수크로스 10 TEA 0.73 98.9
6 0.5 수크로스 10 TEA 0.73 98.4
7 0.5 수크로스 50 TEM 5.62 95.9
8 0.5 수크로스 50 TEM 5.62 96.0
9 0.5 수크로스 50 TEM 2.81 97.5
10 0.5 덱스트로스 50 TEM 2.81 97.4
11 0.5 수크로스 50 TEM 2.81 97.5
12 0.5 덱스트로스 50 TEM 2.81 97.4
13 0.5 수크로스 50 TEA 0.73 98.8
14 0.5 수크로스 50 TEA 0.73 99
15 0.5 수크로스 50 - 0 96.1
16 0.5 수크로스 50 - 0 96.0
17 0.5 수크로스 100 TEM 2.81 97.6
18 0.5 덱스트로스 100 TEM 2.81 97.6
19 0.5 수크로스 100 TEM 2.81 97.4
20 0.5 덱스트로스 100 TEM 2.81 97.6
21 0.5 덱스트로스 170 TEM 2.81 98.2
22 0.5 덱스트로스 170 TEM 2.81 98.1
23 0.5 덱스트로스 200 TEM 2.81 98.4
24 0.5 수크로스 200 TEM 2.81 98.4
25 0.5 수크로스 200 TEM 2.81 97.7
26 0.5 수크로스 200 TEM 2.81 97.8
27 0.5 수크로스 200 TEA 0.73 99.4
28 0.5 수크로스 200 TEA 0.73 99.4
29 0.5 수크로스 200 TEA 0.73 98.9
30 0.5 수크로스 200 TEA 0.73 98.9
31 1.0 수크로스 200 TEA 0.73 97.7
32 1.0 수크로스 200 TEA 0.73 97.6
33 1.0 수크로스 200 TEM 2.81 95.7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제형물의 조성
% 광 투과율
샘플 MPL mg/㎖ 첨가되는 당 당 mg/㎖ 첨가되는 아민 첨가되는 아민 mg/㎖
34 1.0 수크로스 200 TEM 2.81 95.6
35 2.5 수크로스 200 TEM 2.81 90.1
36 2.5 수크로스 200 TEM 2.81 90.0
37 2.5 수크로스 200 TEA 0.73 95.4
38 2.5 수크로스 200 TEA 0.73 95.3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보조제 조성물의 동결건조
표 1에 서술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은 우선 드라이 아이스 펠렛상 바이얼 또는 폴리프로필렌 배양관 내 샘플을 적어도 30분 동안 냉동함으로써 동결건조된다. 이어서 이들을 큰 냉동 건조 용기(Labconco)에 전달하여 Virtus Freeze Dryer에 연결한다. 샘플을 18시간 동안 250 millitor의 진공 및 -50℃의 응축기 온도에서 동결건조시킨다. 동결건조된 보조제 조성물의 조성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동결건조된 보조제 조성물의 재구성
표 2에 서술된 동결건조된 샘플을 물 또는 통상의 식염수(0.9% NaCl w/v)로 재구성하고, 이의 용적은 동결건조 전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용적과 동일하다.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한 후에 샘플의 % 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데이타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에 나타난 것처럼, 조성물의 75 중량% 내지 99.4 중량% 범위의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로스를 함유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물 또는 식염수로 재수화시키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한다. 표 2에 서술된 샘플 1-38은 재수화 후에 투과율(%)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내는 88.0% 내지 98.4% 범위이다. 동결건조 후에 당 99 중량%를 함유하는 샘플 15 및 16은 초음파 처리할 때 아민(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되었다. 물 또는 통상의 식염수로 재수화시켰을때, 투과율(%) 값은 96.1 및 93.6%로 측정되고, 이는 각각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타는 초음파 처리에 의해 제조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로스와 같은 당 유효량과 함께 동결건조시키면, 이는 물 또는 통상의 식염수로 재수화되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재수득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물 또는 통상의 식염수로 재수화 후에 동결건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조성물의 광 투과율 특성
동결건조 후 조성 wt% 재수화 후 % 광 투과율
샘플 % MPL % 당 % 첨가되는 아민 재수화를 위한 희석액
1 3.8 75.1 21.1 95.8
2 3.8 75.1 21.1 96.1
3 3.8 75.1 21.1 식염수 95.5
4 3.8 75.1 21.1 식염수 95.4
5 4.5 89.0 6.5 96.5
6 4.5 89.0 6.5 식염수 94.8
7 0.9 89.1 10 95.7
8 0.9 89.1 10 식염수 95.7
9 0.9 93.8 5.3 96.0
10 0.9 93.8 5.3 96.6
11 0.9 93.8 5.3 식염수 95.7
12 0.9 93.8 5.3 식염수 96.3
13 1.0 97.6 1.4 98.4
14 1.0 97.6 1.4 식염수 96.3
15 1.0 99.0 0 96.1
16 1.0 99.0 0 식염수 93.6
17 0.5 96.8 2.7 96.4
18 0.5 96.8 2.7 97.1
19 0.5 96.8 2.7 식염수 95.8
20 0.5 96.8 2.7 식염수 96.8
21 0.3 98.1 1.6 97.4
22 0.3 98.1 1.6 식염수 96.6
23 0.2 98.4 1.4 97.7
24 0.2 98.4 1.4 식염수 96.8
25 0.2 98.4 1.4 97.2
26 0.2 98.4 1.4 식염수 96.9
27 0.2 99.4 0.4 98.4
28 0.2 99.4 0.4 식염수 96.7
29 0.2 99.4 0.4 95.5
30 0.2 99.4 0.4 식염수 96.7
31 0.5 99.1 0.4 97.1
32 0.5 99.1 0.4 식염수 96.1
33 0.5 98.1 1.4 95.0
34 0.5 98.1 1.4 식염수 94.6
35 1.2 97.4 1.4 89.8
36 1.2 97.4 1.4 식염수 88.0
37 1.2 98.4 0.4 94.8
38 1.2 98.4 0.4 식염수 90.8


실시예 4
실시예 3에 서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당 및 아민을 표 3에 서술된 양으로 함유하는 제형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제형물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표 3에 서술된 것처럼, % 광 투과율은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내는 95.4 내지 98.8% 범위이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제형물의 조성
% 광 투과율
샘플 MPL mg/㎖ 첨가되는 당 당 mg/㎖ 첨가되는 아민 첨가되는 아민 mg/㎖
39 0.5 - 0 TEM 5.62 95.8
40 0.5 - 0 TEM 2.81 97.1
41 0.5 - 0 TEA 0.73 98.8
42 0.5 - 0 - 0 95.8
43 0.5 - 0 - 0 95.9
44 0.5 수크로스 0.5 TEM 5.62 95.5
45 0.5 수크로스 1 TEM 5.62 95.4
46 0.5 수크로스 5 TEM 5.62 95.5
47 0.5 수크로스 10 TEM 5.62 95.6

실시예 3에 서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표 3의 제형물을 표 4에 서술된 것처럼 동결건조시키고 물 또는 식염수로 재구성한다.




물 또는 통상의 식염수로 재수화 후 동결건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제형물의 광 투과율 특성
동결건조 후 조성의 wt% 재수화 후% 광 투과율
샘플 % MPL % 당 % 첨가되는 아민 재수화용 희석액
39 8.2 0.0 91.8 58.6
40 15.1 0.0 84.9 58.2
41 40.7 0.0 59.3 22
42 100.0 0.0 0 32.8
43 100.0 0.0 0 식염수 30.2
44 7.6 7.6 84.9 63.1
45 7.0 14.0 78.9 64.7
46 4.5 45.0 50.5 50.6
47 3.1 62.0 34.9 83.5

당 없이 동결건조된 샘플(샘플 39-43)이 물 또는 식염수로 재수화되면 생성되는 제조물은 현탁된 미립자로 인해 혼탁하다. 이러한 샘플은 22.0 내지 58.6 범위의 투과율(%)을 보인다. 당 7.6% 내지 62.0%를 함유하는 샘플 44-47이 물로 재수화되면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 형성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유사한 결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5
수크로스의 존재하에 수성 트리에틸아민에서 초음파 처리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냉동 및 해동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0.2% 트리에틸아민(v/v)을 함유하는 물에서 초음파 처리한 다음 물 또는 첨가된 당을 함유하는 물 등적과 혼합하여 수크로스 없이 또는 수크로스 100 mg/㎖ w/v를 함유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 0.5 mg/㎖(w/v) 및 트리에틸아민 0.1% v/v(0.73 mg/㎖ w/v)의 최종 농도를 함유하는 투명한 현탁액을 수득한다. 샘플(48 및 49)을 Shimadzu UV-1601, UV-가시적 분광 광도계에 두고 650 nm의 광을 비추면 각각은 광의 98.8% 통과를 허용하여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낸다. 콜로이드 현탁액을 냉동시킨 다음 해동시킨다. 해동시, 수크로스 없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제조물(샘플 48)은 입자로 인해 혼탁하고 Shimadzu UV-1601, UV-가시적 분광 광도계에서 650 nm 파장의 광을 비추어 측정하였을때 60.3%의 광 투과율(%)을 가지고, 이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이 형성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샘플 49)는 냉동 및 해동 후에 투명하고 Shimadzu UV-1601, UV-가시적 분광 광도계에서 650 nm 파장의 광을 비추어 측정하였을때 97.8%의 광 투과율(%)을 가지고, 이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형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타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트리에틸아민과 초음파 처리되고 수크로스로 또는 수크로스 없이 희석한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냉동 및 해동 전 후의 광 투과율 특성
MPL 제조물의 조성 % 광 투과율
샘플 MPL(mg/㎖) 수크로스(mg/㎖) 첨가되는 TEA(mg/㎖) 냉동 전 해동 후 해동 후 외관
48 49 0.5 0.5 0 100 0.73 0.73 98.8 98.8 60.3 97.8 혼탁 투명

실시예 6- 백신 조성물의 제조:
a.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 서술된 과정을 사용하여, 수중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0.5 mg/㎖와 아민계 계면활성제 트리에탄올아민 약 2.8 mg/㎖의 혼합물을 가열하고 초음파 처리하여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한다. 초음파 처리 전 또는 이 후에, 그러나 냉동 또는 동결건조에 앞서, 수크로스를 약 10 내지 200 mg/㎖의 최종 농도로 첨가한다. 이렇게 수득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백신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해 냉동시키고 해동시키거나 백신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해 동결건조시키고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b. 냉동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조성물로부터 수성 백신 조성물의 제조
상기 (a)에서 제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수크로스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냉동한다. 이어서 이를 해동하고 항원, 예를 들면 U.S. 특허 5,360,897에 따라 제조되는 폐렴 글리코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희석액과 합하여 ㎖당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400 ㎍ 이하와 ㎖당 폐렴 글리코접합체 약 200 ㎍ 이하를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을 수득한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400 ㎍과 폐렴 글리코접합체 200 ㎍을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해동 콜로이드 현탁액 0.8 ㎖를 물 0.2 ㎖내 폐렴 글리코접합체 200 ㎍과 합할 수 있다. 이어서 이 백신 조성물을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1회 투여량 약 0.1 내지 1.0 ㎖를 사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c. 동결건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조성물로부터 수성 백신 조성물의 제조
상기 (a)에서 제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수크로스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한다. 이어서 이를 항원, 예를 들면 U.S. 특허 5,360,897에 따라 제조된 폐렴 글리코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하 여 ㎖당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400 ㎍ 이하와 ㎖당 폐렴 글리코접합체 약 200 ㎍ 이하를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이 백신 조성물을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1회 투여량 약 0.1 내지 1.0 ㎖를 사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d. 냉동 수성 백신 조성물의 제조
상기 (a)에서 제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수크로스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항원, 예를 들면, U.S. 특허 5,360,897에 따라 제조된 폐렴 글리코접합체를 첨가하여 백신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백신 조성물을 냉동시킨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및 폐렴 글리코접합체의 농도는 냉동 전에 또는 냉동시키고 해동시킨 후에, 수성 희석액의 첨가로 각각 ㎖당 약 400 ㎍ 이하 및 ㎖당 약 200 ㎍ 이하로 조절되고, 단 수크로스는 냉동 전에 약 10 내지 200 mg/㎖의 농도로 유지된다. 이어서 냉동하고 해동한 조성물을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1회 투여량 약 0.1 내지 1.0 ㎖를 사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e. 동결건조된 백신 조성물의 제조
상기 (a)에서 제조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수크로스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에 예를 들면, U.S. 특허 5,360,897에 따라 제조된 폐렴 글리코접합체를 첨가하여 백신 조성물을 수득한다. 항원은 가열 및 초음파 처리 단계 전이나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폐렴 글리코접합체의 양은 동결건조된 백신 조성물의 후속 재구성시, 수성 혼합물이 ㎖당 모노포스포릴 지질 A 약 400 ㎍ 이하 및 ㎖당 폐렴 글리코접합체 약 200 ㎍ 이하를 함유하도록 계산된다. 이어서 백신 조성물을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 후에, 조성물을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한다. 이 어서 이러한 재구성된 수성 백신 조성물을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1회 투여량 약 0.1 내지 1.0 ㎖를 사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Claims (33)

  1.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5 중량% 이하의 양, 당 70 중량% 이상, 및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4 중량% 이하의 양, 당 75 내지 99.99 중량% 및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22 중량%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당이 덱스트로스, 만노스, 갈락토스, 프럭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이소말토스, 말토스 또는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당이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로스인 동결건조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아민계 계면활성제가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동결건조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추가로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
  7.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유효량을 제공하는 제 1 항의 동결건조된 조성물 충분량과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항원(들)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종양 세포 또는 알레르겐으로부터 유도되거나 이에 의해 생산되는 백신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항원이 클라미디아, 형별불능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헬리코박터 필로리,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나이세리아 고노리아, 나이세리아 메닌지티디스, 살모넬라 타이피,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스트렙토코커스 A군, 스트렙토코커스 B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간 파필로마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홍역,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또는 노르와크 바이러스 항원인 백신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이 1 ㎍ 내지 5 mg인 백신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유효량이 1 ㎍ 내지 1 mg인 백신 조성물.
  12. 제 7 항에 있어서, 항원이 단백질과 공유 결합한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접합체인 백신 조성물.
  13. 수성 희석액으로 재구성된 제 1 항의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수성 희석액 ㎖당 동결건조된 조성물 210 mg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고,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 형태의 수성 조성물이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수성 희석액 ㎖당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2.5 mg 이하, 당 10 내지 200 mg, 및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6 mg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수성 희석액 ㎖당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0.5 내지 2.5 mg, 당 20 내지 150 mg, 및 첨가되는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3 mg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16. 제 13 항에 있어서, 당이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로스인 수성 조성물.
  17. 제 13 항에 있어서, 수성 희석액이 물 또는 식염수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18. 제 13 항에 있어서, 수성 희석액이 항원(들),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또는 기타 보조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19. 제 13 항에 있어서, 아민계 계면활성제가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수성 조성물.
  20.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유효량을 제공하는 제 13 항의 수성 조성물 충분량과 항원(들) 면역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항원(들)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종양 세포 또는 알레르겐으로부터 유도되거나 이에 의해 생산되는 백신 조성물.
  22. 제 20 항에 있어서, 항원이 단백질과 공유 결합한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는 접합체인 백신 조성물.
  23. 제 20 항에 있어서, 항원이 클라미디아, 형별불능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헬리코박터 필로리,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나이세리아 고노리아, 나이세리아 메닌지티디스, 살모넬라 타이피,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스트렙토코커스 A군, 스트렙토코커스 B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간 파필 로마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홍역,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또는 노르와크 바이러스 항원인 백신 조성물.
  24. 제 20 항에 있어서, 항원 유효량이 1 ㎍ 내지 5 mg인 백신 조성물.
  25. 제 20 항에 있어서,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유효량이 1 ㎍ 내지 1 mg인 백신 조성물.
  26. 제 20 항에 따른 백신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척추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신접종을 통한 인간을 제외한 척추동물의 면역화 방법.
  27. a.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5 mg/㎖ 이하의 양과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시키는 단계;
    b.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당 10 내지 200 mg/㎖를 첨가하는 단계;
    d.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및
    e.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28. 제 27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
  29. a. 그람 음성 박테리아 살모넬라 미네소타 R595의 리포다당류를 중간 강도의 무기산에서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수득하는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b.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건조하는 단계;
    c. 모노포스포릴 유도체를 3 위치에서 염기에 불안정한 지방산 쇄를 제거하는 약 알칼리로 처리하여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수득하는 단계;
    d.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회수하는 단계;
    e.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5 mg/㎖ 이하의 양과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시키는 단계;
    f.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g.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당 10 내지 200 mg/㎖를 첨가하는 단계;
    h.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i.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30. a.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5 mg/㎖ 이하의 양과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시키는 단계;
    b.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당 10 내지 200 mg/㎖를 첨가하는 단계;
    d.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냉동시키는 단계; 및
    e.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해동하여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시키고 해동시킬 수 있는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해동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항원(들),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보조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부제, 담체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함유하는 수성 희석액과 합하는 방법.
  32. a.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5 mg/㎖ 이하의 양과 아민계 계면활성제 0 내지 6 mg/㎖의 양을 수성 희석액에 현탁시키는 단계;
    b. 분광광도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때, 88%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형성하기 전이나 후에 당 10 내지 200 mg/㎖를 첨가하는 단계;
    d. 당을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e.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재현탁시켜 재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되고 재현탁될 수 있는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함유하는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의 제조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된 수성 콜로이드 현탁액을 항원(들),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보조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부제, 담체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함유하는 수성 희석액과 합하는 방법.
KR1020007014932A 1998-07-14 1999-07-13 모노포스포릴 지질 에이를 함유하는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 KR100586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39298A 1998-07-14 1998-07-14
US09/115,392 1998-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637A KR20010071637A (ko) 2001-07-28
KR100586804B1 true KR100586804B1 (ko) 2006-06-07

Family

ID=2236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932A KR100586804B1 (ko) 1998-07-14 1999-07-13 모노포스포릴 지질 에이를 함유하는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096954B1 (ko)
JP (1) JP2002520373A (ko)
KR (1) KR100586804B1 (ko)
CN (1) CN1247262C (ko)
AT (1) ATE278420T1 (ko)
AU (1) AU763770B2 (ko)
BR (1) BR9912067A (ko)
CA (1) CA2333578C (ko)
DE (1) DE69920915T2 (ko)
DK (1) DK1096954T3 (ko)
ES (1) ES2229745T3 (ko)
IL (1) IL140890A0 (ko)
PT (1) PT1096954E (ko)
WO (1) WO20000037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0539B2 (en) 1998-12-22 2005-05-10 Microscience, Ltd. Genes and proteins, and their use
AP1502A (en) 1998-12-22 2005-12-20 Microscience Ltd Genes and proteins, and their uses.
JP5004261B2 (ja) * 2000-05-19 2012-08-22 コリクサ コーポレイション 単糖類及び二糖類に基づく化合物を用いた感染症及び他の疾患の予防的並びに治療的な処置
FR2814956B1 (fr) * 2000-10-06 2003-01-24 Seppic Sa Nouvelle composition vaccinale, procede pour sa preparation, utilisation comme composition injectale en medecine humaine ou veterinaire et nouveau procede de conservation
BRPI0614254A2 (pt) * 2005-08-02 2011-03-15 Novartis Vaccines & Diagnostic redução de interferência entre adjuvantes contendo óleo e antìgenos contendo tensoativos
JP6109165B2 (ja) * 2011-07-01 2017-04-05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ヘルペスウイルスワクチンおよび使用方法
US9241988B2 (en) 2012-04-12 2016-01-26 Avanti Polar Lipids, Inc. Disaccharide synthetic lipid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20160193326A1 (en) * 2013-09-05 2016-07-07 Immune Design Corp. Vaccine Compositions for Drug Addiction
WO2023212702A2 (en) * 2022-04-28 2023-11-02 Kansas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orralling amphipathic peptide colloi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2496B3 (fr) * 1990-07-18 1993-05-28 Vacsyn France Sa Compositions a base de substances hydrophobes, solubilisables dans un solvant aqueux, leur procede d'obtention, et leurs utilisations notamment dans le domaine pharmaceutique.
EP1175912A1 (en) * 1993-03-23 2002-01-30 SmithKline Beecham Biologics SA Vaccine compositions containing 3-O deacylated monophosphoryl lipid A
US5565204A (en) * 1994-08-24 1996-10-15 American Cyanamid Company Pneumococcal polysaccharide-recombinant pneumolysin conjugate vaccines for immunization against pneumococcal infections
US5762943A (en) * 1996-05-14 1998-06-09 Ribi Immunochem Research, Inc. Methods of treating type I hypersensitivity using monophosphoryl lipid A
GB9612137D0 (en) * 1996-06-10 1996-08-14 Quaker Oats Co Treatment of dried fruit
US6235724B1 (en) * 1996-07-03 2001-05-22 Eisai Co., Ltd. Injections containing lipid a analogu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0915D1 (de) 2004-11-11
CN1307483A (zh) 2001-08-08
JP2002520373A (ja) 2002-07-09
ATE278420T1 (de) 2004-10-15
EP1096954B1 (en) 2004-10-06
DE69920915T2 (de) 2006-02-16
CA2333578C (en) 2010-11-16
AU5101899A (en) 2000-02-07
CA2333578A1 (en) 2000-01-27
BR9912067A (pt) 2001-04-10
WO2000003744A2 (en) 2000-01-27
EP1096954A2 (en) 2001-05-09
KR20010071637A (ko) 2001-07-28
CN1247262C (zh) 2006-03-29
WO2000003744A3 (en) 2000-04-27
ES2229745T3 (es) 2005-04-16
IL140890A0 (en) 2002-02-10
DK1096954T3 (da) 2005-01-31
AU763770B2 (en) 2003-07-31
PT1096954E (pt)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6404B1 (en) 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s containing monophosphoryl lipid A
KR100603884B1 (ko) 모노포스포릴 지질 a의 수성 면역적 아쥬반트 조성물
KR102049826B1 (ko)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피막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의 접합체
US4460575A (en) Vaccinal complex containing a specific antigen and vaccine containing it
EP1194166B1 (en) Aqueous immunologic adjuvant compositions of monophosphoryl lipid a
JP2003502388A5 (ko)
US4285936A (en) Method for producing a vaccine against bacterial infections caused by pseudomonas aeruginosa
PT2148697E (pt) Composição liofilizada de wt-1 contendo cpg
KR100586804B1 (ko) 모노포스포릴 지질 에이를 함유하는 보조제 및 백신 조성물
US6635261B2 (en) 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s containing monophosphoryl lipid A
US20070031447A1 (en) Method of isolating biologically active fraction containing clinically acceptable native S-lipopolysaccharides obtained from bacteria producing endotoxic lipopolysaccharides
PT98119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adjuvantes para vacinas aperfeicoados compreendendo lipopolissacarideos nao toxicos e/ou copolimeros de polioxietileno-polioxipropileno
MXPA00012384A (en) 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s containing monophosphoryl lipid a
Mizushiri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ipopolysaccharides from Proteus strains used in Weil-Felix test
CS223975B2 (en) Method of making the virus vaccines of the spring-summer meningoencephtalitide
Lindenmann The use of viruses as immunological potentiators
CN111542339B (zh) 疫苗
Landay et al. Toxicity of Pasteurella tularensis killed by ionizing radiation
PL203789B1 (pl) Kompozycje wywołujące u ssaka ochronną odpowiedź immunologiczną i ich zastosowanie do wywoływania u kręgowca ochronnej odpowiedzi immunologicznej wobec eukariotycznego pasożyta, wydzielone lipoglikany oraz otrzymane z nich wydzielone oligosacharydy
KR20050021357A (ko) 내독소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생산하는 세균으로 부터얻어지는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천연에스-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프랙션을 분리하는 방법
JP2021531379A (ja) 乾燥多糖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BR102019027191A2 (pt) Processo de obtenção de polissacarídeo capsular de s. agalactiae, polissacarídeo capsular de s. agalactiae assim obtido, composição imunogênica e uso
Martin UN: VERSITY Of UTAH LIBRARIES
CN111542339A (zh) 疫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