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573B1 - 시트 분리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분리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573B1
KR100586573B1 KR1020040068542A KR20040068542A KR100586573B1 KR 100586573 B1 KR100586573 B1 KR 100586573B1 KR 1020040068542 A KR1020040068542 A KR 1020040068542A KR 20040068542 A KR20040068542 A KR 20040068542A KR 100586573 B1 KR100586573 B1 KR 10058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er
conveying
separat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185A (ko
Inventor
아사리유키오
히라미츠나루아키
나루오카요시히코
이토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2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2Defective operating conditions
    • B65H2511/524Multiple articles, e.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65H2513/11Speed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20Acceleration or de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시트 분리반송 장치는 집적된 상태의 시트를 반송로 상에 취출하는 픽업롤러를 갖는다. 반송로 상에 취출된 상기 시트는 제 1 롤러를 통과할 때 체크되어 검출기에 의해 복수의 시트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이 검출되며 제 2 롤러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Description

시트 분리반송 장치{SHEETS SEPARATION/CONVE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분리반송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 내에 편입된 롤러 쌍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롤러 쌍을 화살표 (Ⅳ)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롤러 쌍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5는 본 작동예에서의 시트의 경시적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16은 본 작동예에서의 손실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제 1 롤러 6 : 제 2 롤러
26, 27, 28 : 센서 29 : 검출기
31 : 픽업롤러 33 : 백업플레이트
50 : 제어부 101 : 반송로
본 발명은 집적된 상태에 있는 시트(sheet)를 분리하여 반송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 분리반송 장치로서, 집적되어 투입되는 다수의 시트를 반송로(conveying path, 搬送路) 상에 취출하고 그 시트들을 한 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장치는 일본특허공개특개공보 제 2002-249261호에 개시됨으로써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집적 방향의 한 끝에서 시트와 접하여 회전하는 픽업롤러(pick-up roller), 픽업롤러에 의해 겹쳐진 상태로 반송로 상에 취출된 시트를 검출하는 검 출부, 그리고 한 매씩 반송로 상에 취출된 정상 시트를 다음 단계의 처리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갖는다.
겹쳐진 상태로 반송로 상에 취출된 시트 즉,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으로 검출된 시트는 다음 단계의 처리부로 반송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거부(reject)되어 하나의 과제가 완료된 후에 장치로 다시 투입된다.
따라서 종래의 시트 분리반송 장치에는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으로 검출된 복수의 시트는 일단 거부되어 다시 장치로 투입되므로 장치의 작업 처리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시트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될 때 시트를 거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적 방향의 끝에서 시트와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반송로 상에 시트를 취출하는 취출부, 반송로 상에 취출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부, 반송로 상에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를 검출하는 중복시트 검출부, 중복시트 검출부로부터 반송방향에서 하류측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겹쳐진 상태로 반송된 복수의 시트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시트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으로 검출되었을 때 취출부에서의 시트 취출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포함된 본 발명의 시트 분리반송 장치(100)(이하 간단히 장치(100)라 칭함)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장치(100)는 처리 대상인 복수의 시트(S)를 집적된 상태로 투입하는 투입부 및 집적 방향의 한 끝에서 시트가 면접촉하는 백업 플레이트(back-up plate)(33)를 갖는다. 백업 플레이트(33)는 이동기구(34)(도 2 참조)에 의해 시트(S)의 집적방향(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결국, 시트의 취출에 따라 백업 플레이트(33)를 적절히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집적방향의 다른 끝에서 시트(S)는 항상 지정된 취출위치에 배치된다.
투입되는 복수의 시트 중 집적방향의 다른 끝에 있는 시트(S)와 접하는 위치에는 픽업롤러(31)(취출부)가 설치된다. 픽업롤러(31)는 끝의 시트(S)와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돌면서 접하며 모터(32)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취출위치에 배치된 시트(S)는 픽업롤러(31)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1) 상에 하나씩 취출된다.
픽업롤러(31)의 하류 측까지 연결된 반송로(101) 상에는 복수의 롤러 쌍이 반송로(10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반송로(101) 상의 복수의 롤러 쌍은 기본적으로 시트(S)를 잡아주는 상태로 회전하면서 반송로(101)를 따라 화살표(T) 방향으로 시트(S)를 반송하는 본 발명의 반송부로서 기능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반송로(101)를 따라 화살표(T) 방향으로 시트(S)를 반송하는 롤러 들의 회전방향은 순방향(forward)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1의 반송로(101)의 상부 측 즉, 픽업롤러(31)와 같은 측에서 롤러(1, 3, 5, 7, 9, 11, 13, 15)는 서로 떨어져 순서대로 설치된다. 도 1의 반송로(101) 위쪽에 설치된 8개의 롤러는 장치(100)의 프레임(도시 안됨)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이 롤러들의 외주면은 반송로(101)를 따라 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반송방향으로 세 번째에 설치된 롤러(5)는 본 발명의 제 1 롤러로서 기능을 하며 일곱 번째 롤러(13)는 본 발명의 구동롤러로서 기능을 한다.
도 1의 반송로(101) 아래쪽 위치에는 상기 롤러(1, 3, 5, 7, 9, 11, 13, 15)와 접하여 롤러(2, 4, 6, 8, 10, 12, 14, 16)가 설치된다. 이 8개의 롤러 중에서 5개의 롤러(2, 6, 10, 14, 16)는 스프링(37)에 의해 위쪽으로 눌려지고 반송로(101)를 끼고 대응하는 롤러(1, 5, 9, 13, 15)에 접하도록 가압되며 상기 롤러를 따라 구동되어 회전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 8, 12)는 요동아암(swing arm)(41)을 통해 스프링(42)에 의해 위쪽으로 눌려지고 반송로(101)를 통해 대응하는 롤러(3, 7, 11)에 접하도록 가압되며 대응 롤러(3, 7, 11)에 접함으로써 구동된다. 또한 도 1 및 도 7 ~ 도 14 에서 요동아암(41)은 도시되지 않고 스프링(42)만 도시된다.
또한 반송방향으로 세 번째 롤러(6)는 본 발명의 제 2 롤러로서 기능을 하고 일곱 번째 롤러(14)는 본 발명의 종동롤러로서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31)의 회전을 위한 모터(32)와 백업 플레이트(33)의 이동을 위한 이동기구(34)는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50)에 연결된다. 또한 첫 번째 롤러의 회전을 위한 모터(17), 두 번째에서 네 번째 롤러(3, 5, 7)의 동기 회전을 위한 모터(18), 다섯 번째 롤러(9)의 회전을 위한 모터(20), 여섯 번째 롤러(11)의 회전을 위한 모터(21), 일곱 번째 롤러(13)의 회전을 위한 모터(22) 및 여덟 번째 롤러(15)의 회전을 위한 모터(24)가 제어부(50)에 연결된다. 또한 반송로(101)의 다른 쪽(도 1에서 아래쪽)의 롤러(6)에 반송방향(T)과 역방향인 분리 토크를 부여는 모터(19) 및 롤러(14)에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부여는 모터(23)도 제어부(50)에 연결된다.
모터(19, 23)에 의해 가해진 분리 토크를 갖는 롤러(6, 14)는 대응 롤러(5, 13)사이의 반송로(101) 상에 시트(S)가 없는 경우 및 하나의 시트(S)만 있는 경우, 각각의 대응 롤러(5, 13)의 회전을 따라 순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면에 상기 롤러들 사이에 겹쳐진 상태로 복수의 시트(S)(이중 시트)가 있는 경우(이하 이중 시트 반송이라 칭함), 역방향의 분리 토크가 가해지는 롤러(6, 14)는 롤러(5, 13)에 접하는 시트(S)를 분리하기 위해 감속되어 정지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반송로(101) 상에서 반송되는 시트(S)의 통과를 검지하는 세 개의 센서(26, 27, 28), 롤러(6)에 분리 토크를 부여는 모터(19)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29),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5) 및 제어시점(control timing)을 얻기 위한 타이머(36)가 제어부(50)에 연결된다.
상기 세 개의 센서(26, 27, 28)는 같은 구조이고 각각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light-emitter) 및 수광부(light-receiver)를 갖는다. 여기에서 발광부 및 수광부를 연결하는 광축(optical axis)은 반송로(101)를 소정 위치에서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센서(26)는 광축이 롤러(9, 11) 사이의 반송로(101)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센서(27)는 광축이 롤러(11, 13) 사이의 반송로(101)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 3 센서(28)는 광축이 롤러(13, 15) 사이의 반송로(101)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검출기(29)는 모터(19)의 회전속도를 검출함으로써 롤러(6)의 속도변화를 검출하고 중복 상태로 반송하는 시트 즉, 이중 시트 반송을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시트 반송 검출부로서 기능을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6)는 시트(S)가 반송되지 않은 상태 및 하나의 시트가 반송되는 상태에서는 롤러(5)와 같은 속도로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롤러(5, 6) 사이에서 겹쳐진 상태의 시트(S)가 반송되는 경우, 겹쳐진 시트(S)는 롤러가 감속되어 회전이 정지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분리된다. 따라서 겹쳐진 상태의 이중 시트의 반송은 롤러(6)의 회전속도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도 3a는 이중 시트 반송을 검출하는 롤러(6)의 바로 앞에 배치된 롤러 쌍(3, 4)의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롤러 쌍(3,4)의 정면을 부분적으로 확대 하였다. 롤러 쌍(9, 10 및 11, 12)도 같은 구조이다.
도면에서 반송로(101)의 위쪽에 배치된 롤러(3)는 회전축(3a)을 따라 서로 분리된 두 개의 롤러부(3b, 3c)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3)의 회전축(3a)은 회전가능하고 또한 고정되도록 프레임(도시 안됨)에 장착되고 복수의 풀리 및 타이밍 벨트(도시 안됨)를 통해 모터(18)에 연결된다. 또한 롤러부(3b, 3c)는 미끄러운 고무로 만들어진다.
한편 도면에서 반송로(101)의 아래쪽에 배치된 종동측의 롤러(4)도 회전축(4a)을 따라 서로 분리된 두 개의 롤러부(4b, 4c)를 갖는다. 롤러(4)의 회전축(4a)의 양단은 요동아암(41)의 끝에 요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도 3b에서는 한 끝만 도시됨). 요동아암(41)은 회전축(41a)을 통해 장치(100)의 프레임(도시 안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요동아암(41)의 기저부 근처의 한 지점에 스프링(42)의 한 끝이 부착되고 스프링(42)의 다른 한 끝은 장치(100)의 프레임(102)에 부착된다. 스프링(42)은 롤러(4)를 롤러(3)쪽으로 미는 방향으로 요동암(41)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인장력을 발생시킨다. 스토퍼(stopper)(43)는 요동을 통제하기 위해 도시된 위치에서 요동아암(41)의 기저부에 접촉된다. 스토퍼(43)는 장치(100)의 프레임과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롤러부(4b, 4c)는 비교적 미끄러운 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롤러(3, 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진 상태의 롤러부(3b, 3c, 4b, 4c)를 가지며 각 롤러부는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도 3b). 그러므로 스프링(42)에 의해 눌려지는 롤러(4)를 스토퍼(43)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즉, 스토퍼(43)는 롤러(4)의 롤러부(4b, 4c)가 반송로(101)를 조금 넘어가는 위치에서 롤러(4)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측 롤러(3)의 롤러부(3b, 3c)는 수지로 만들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롤러(3, 4)의 롤러부(3b, 3c, 4b, 4c)는 서로 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포개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S)의 분리 동작 이 허용된다. 결국 상기 두 개의 롤러(3, 4)는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S)를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롤러(5, 6)의 상류에 배치되므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S)는 롤러(3, 4) 사이에 있을 수도 있다.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S)가 롤러(3, 4) 사이에 있는 경우, 포개진 상태의 롤러부(3b, 3c, 4b, 4c)의 작용으로 적당한 반송력은 유지되고 분리측 롤러(3)의 롤러부(3b, 3c)가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되어야 할 시트(S)의 반송력이 약해진다. 즉, 상기 롤러부(3b, 3c, 4b, 4c)의 협지력(clamping force)은 롤러(5, 6)의 협지력보다 약하게 설정된다. 또한 롤러(3, 4)의 구조가 대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롤러(5, 6)의 하류 측에 설치된 롤러(7, 8)도 같은 구조이다.
다음으로 장치(100)에 의한 처리 동작의 예가 도 5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장치(100)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또한 도 15에는 상기 동작예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시트(S)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타이밍차트가 도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타이밍차트에서는, 시트의 반송위치(횡축)의 제로기준(zero-base)을 롤러(1, 2) 사이의 닙(nip)으로 하고 제어시작으로부터 경과시간의 제로기준을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했다.
먼저 처리 대상물인 복수의 시트(S)가 투입부를 통해 장치(100)안으로 투입되고 픽업롤러(31)의 모터(32)를 제외한 모든 모터(17 ~ 24)가 구동된다(도 5; 단계1). 이 때 모터(17, 18, 20, 21, 22, 24)는 롤러(1, 3, 5, 7, 9, 11, 13, 15)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19, 23)는 롤러(6, 14)에 역방향의 분리 토크를 가한다. 이런 상태(반송되는 시트가 없는 상태)에서는, 분리 토크가 가해지는 롤러(6, 14)는 롤러(5, 13)의 회전을 따라 순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이 때 이동 기구(34)가 구동되어 백업 플레이트(33)가 이동하고, 투입부내로 투입되는 시트(S) 중 집적방향의 다른 한 끝에 있는 시트(S)가 소정의 취출위치에 배치되고 소정의 누르는 힘으로 픽업롤러(31)와 접촉된다.
이후에, 모터(32)가 구동되어 픽업롤러(31)는 순방향으로 회전되고 시트(S)의 취출이 시작된다(단계 2). 따라서 투입부로부터 취출된 시트(S)는 반송로(101)를 따라 반송되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작동예에 도시된 것 처럼 다음 단계의 처리부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작동예에서, 투입부에서 반송로(101) 상으로 취출된 세 번째 시트(S3)와 네 번째 시트(S4)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을 가정한다(이중 시트 반송).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씩 취출된 첫 번째 시트(S1)와 두 번째 시트(S2)는 겹쳐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지 않으므로 롤러(1, 3, 5, 7, 9, 11, 13, 15)의 회전속도에 따른 정상 반송속도를 갖고 화살표 방향(T)으로 다음 단계의 처리부로 반송된다(단계 3; 아니오, 단계 4). 이때 시트(S1)와 시트(S2) 사이의 간격은 픽업롤러(31)에 의한 시트의 취출 타이밍에 의존하며 정상적으로 취출되는 시트(S) 사이의 간격은 이상적으로는 일정하게 된다.
반면에 겹쳐진 상태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시트(S3, S4)의 반송방향 선단이 도 7에 도시된 것 처럼 롤러(5, 6) 사이의 닙에 도달하면(도 15; Ⅶ) 시트(3, 4)의 이중 시트 반송이 검출기(29)에 의해 검출된다(단계 3; 예). 결국 중복 시트(S3, S4)의 선단이 롤러(5, 6) 사이의 닙에 도달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토 크가 가해지는 롤러(6)의 작용에 의해 시트(S3, S4)는 서로 미끄러진다(도 15; Ⅷ). 이 때 롤러(6)는 감속되어 정지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검출기(29)를 통해 이 때의 속도변화가 검출되어 겹쳐진 상태의 시트(S3, S4)의 반송이 검출된다.
중복 시트(S3, S4)의 반송이 단계 3에서 검출되면 타이머(36)가 셋팅되고 중복 시트 반송의 검출로부터 분리된 세 번째 시트(S3)의 반송방향 선단이 센서(27)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T)(즉 롤러(5, 6)사이의 닙에서 센서(27)까지의 반송시간)이 카운트된다. 시간(T)이 경과한 시점(단계 5; 예)에서, 시트(S3)가 센서(27)에 도달했는지가 판단된다(단계 6).
도 9 및 도 15의 'Ⅸ'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S3)의 선단이 센서(27)에 도달하면(단계 6; 예), 모터(32)가 정지되어 픽업롤러(31)가 정지되며 시트의 취출 동작이 정지된다(단계 7). 상기 실시예에서 세 번째 시트(S3)의 선단이 센서(27)에 도달하는 시점에 여섯 매의 시트(S1 ~ S6)가 이미 반송로(101) 위로 취출되었기 때문에 일곱 번째 및 후속 시트(S7 ~ SN)의 취출은 단계 7에서의 작동으로 정지된다. 또한 네 번째 시트(S4)는 세 번째 시트(S3)가 센서(27)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시트(S3)가 센서(27)에 도달하면 모터(17, 18)는 동시에 정지되어(단계 8, 9) 롤러(1, 3, 5, 7)도 정지되며, 모터(20, 21, 22)는 감속되어(단계 10, 11, 12) 롤러(9, 11, 13)도 감속된다. 또한 모터(24)는 정지되거나 감속되지 않아 롤러(15)는 정상 회전속도를 유지한다.
단계 (8, 9)에서 롤러(1, 3, 5, 7)가 정지되면 도 15의 'Ⅹ'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섯 번째 및 후속 시트(S5, S6)(본 실시예에서 두 매의 시트)는 정지된다. 또한 단계 (10, 11, 12)에서 롤러(9, 11, 13)이 감속되면 두 매의 겹쳐진 시트(S3, S4)의 반송속도도 감속되어 분리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네 번째 시트(S4)는 분리토크가 가해지는 롤러(14)의 작용으로 세 번째 시트(S3)로부터 분리되며 세 번째 시트(S3)의 반송방향 선단이 롤러(15, 16) 사이의 닙에 도달하면 도 11 및 도 15의 'ⅩⅠ'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S3)는 정상속도로 회전하는 롤러(15, 16)에 의해서 인발된다. 즉 세 번째 시트(S3)는 네 번째 시트(S4)와 분리된다.
상술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째 시트(S3)의 선단이 롤러(15, 16) 사이의 닙에 협지되어(clamped) 구속된 상태로 인발되고 네 번째 시트(S4)의 선단은 역회전 롤러(14)에 의해 그 자리에 정지되거나 유지되므로 양 시트는 분리된다. 그리고 도 12(및 도 15; Ⅹ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3)의 후단이 롤러(13, 14) 사이의 닙을 통과한 후, 롤러(13)의 반송력은 롤러(14)로 전달되고 네 번째 시트(S4)는 롤러(13, 14)에 의해 협지되어 구속되고 반송이 다시 시작된다.
이 때, 선행 세 번째 시트(S3)는 정상속도로 회전하는 롤러(15, 16)에 협지되어 구속됨으로써 반송되고 후행 네 번째 시트(S4)는 감속되는 롤러(11 ~ 14)에 협지되어 구속됨으로써 반송된다. 따라서 도 13(도 15; ⅩⅢ)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차이가 양 시트 사이에 발생하여 그들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된다.
그 후, 도 13(도 15; ⅩⅢ)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번째 시트(S4)의 반송방향 후단이 센서(26)를 통과하여 센서 출력이 암(dark)에서 명(clear)으로 변하는 것을 트리거링(triggering)함으로써(도 6; 단계 13; 예) 시트(S3, S4) 분리 완료가 판단되며 모터(20)의 회전속도는 정상속도로 복귀하여 롤러(9)도 정상 속도로 회전된다(단계 14).
동시에, 단계 9에서 정지된 모터(18)가 다시 구동되고(단계 15), 단계 8에서 정지된 모터(17)가 다시 구동되어(단계 16), 롤러(1, 3, 5, 7)는 회전되며 정지되었던 후행 시트(S5, S6)의 반송이 다시 시작된다. 또한 단계 7에서 정지된 모터(32)가 다시 구동되어 픽업롤러(31)는 다시 회전을 시작하여 시트의 취출이 다시 시작된다(단계 17).
또한 도 14(도 15; ⅩⅣ)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4)의 반송방향 후단이 센서(27)를 통과하여 센서출력이 암에서 명으로 변화하면(단계 18; 예), 모터(21)가 정상 회전속도로 복귀하여 롤러(11)는 정상 회전속도로 회전된다(단계 19). 또한 그 이후에, 네 번째 시트(S4)의 반송방향 후단이 센서(28)를 통과하여 센서출력이 암에서 명으로 변화하면(단계 20; 예), 모터(22)가 정상 회전속도로 복귀되어 롤러(13)는 정상 회전속도로 회전한다(단계 21). 상기 상태에서 모든 롤러는 정상 회전속도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작동예에 따르면, 이중 시트(S)의 반송이 검출되면, 겹쳐진 상태로 반송된 시트는 종래의 것처럼 거부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어 장치(100)의 작업 처리량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S)가 시트(S)의 투입부로부터 연장하는 하나의 반송로(101) 위에서 반송되고 있을 때, 취출된 모든 시트는 확실하게 분리되어 반송될 수 있고 거부되는 시트나 복귀하는 시트 를 위한 또 다른 반송로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치는 콤팩트한 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예에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된 세 번째 시트(S3)와 네 번째 시트(S4)가 분리되는 경우, 그 전에 반송되는 두 번째 시트(S2)와 후에 반송되는 다섯 번째 시트(S5)는 시트 반송의 정체없이 연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세 번째 시트(S3)와 네 번째 시트(S4)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예에서 첫 번째에서 여섯 번째 시트(S1 ~ S6)가 처리되는 경우, 중복 반송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반송(이상적인 상태)과 비교하면, 처리시간 손실(도 16의 d)을 1매의 시트의 반송방향 길이 미만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4000 시트/시간의 처리 능력을 갖는 장치(100)를 가정하는 경우(시트 반송 속도는 3.6[m/s]), 상기 시간 손실(d)은 거리로 227[mm]이고 시간으로 환산하면 약 63[ms]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롤러(3, 4)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즉, 판 스프링형 가이드판(guide plate)(60)이 롤러(3')에 대하여 시트(S)를 누르는 압력부재로 기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판(60)은 수지제의 판상 부재를 구부려 만들고 시트(S)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단부는 프레임(도시 안됨)에 부착된다. 시트(S)는 롤러(3')의 순방향 회전과 가이드판(60)의 미끄러운 표면에 의해 반송된다. 롤러 쌍(5, 6)의 롤러(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분리력(FR)은 가이드판(60)에 대향하는 롤러(3')의 반송력(FF)보다 커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S3, S4)에서 시트(S4)는 남겨지고 시트(S3)는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단계에서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장치의 구성요소를 변형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복수의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발명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전체 구성요소에서 구성요소의 일부를 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예에서는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복수의 시트의 검출기로서 롤러(6)의 회전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기(29)를 수용하는 경우가 설명되지만 다음과 같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반송되고 있는 시트(S)의 두께를 검출함으로써 이중 시트 반송을 검출하는 타입의 검출기도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반송로 상의 복수의 롤러의 위치 및 수는 처리되는 대상물인 시트의 길이 및 두께에 따라 적절히 반송방향을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로 상에 취출된 시트가 검출부를 통과할 때 검출기에 의해 시트의 겹쳐진 상태가 검출되며, 분리부에서 서로 분리되어 반송되므로 작업 처리량 및 처리시간 손실 없이 반송될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집적 방향의 끝에서 시트와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반송로 상에 시트를 취출하는 취출부,
    반송로 상에 취출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부,
    반송로 상에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를 검출하는 중복 시트 검출부,
    중복 시트 검출부로부터 반송 방향에서 하류 측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겹쳐진 상태로 반송된 복수의 시트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시트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취출부에서의 시트 취출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복 시트 검출부가 반송로를 따라 시트를 반송하는 순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롤러에 접하여 제 1 롤러의 회전에 종동회전하고, 제 1 롤러와 제 2 롤러 사이에서 반송되는 시트에 반송 방향의 역방향으로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제 2 롤러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제 2 롤러의 회전속도에 기초해서 중복 시트의 반송이 변경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반송부가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상류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협지력보다 약한 협지력으로 시트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반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반송부가 반송방향을 따라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상류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롤러 쌍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 쌍은 각각 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롤러를 가지며, 상기 롤러들은 반송로 상에서 포개진 상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반송부는 제 1 및 제 2 롤러의 상류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 및 상기 롤러에 대하여 시트를 누르는 압력부재를 포함하며, 제 2 롤러에 가해진 분리 토크에 의한 분리력이 압력부재와 접해 있는 반송롤러의 반송력보다 크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압력부재는 수지제의 판상 부재를 구부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9. 집적 방향의 끝에서 시트와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반송로 상에 시트를 취출하는 취출부,
    반송로 상에 취출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부,
    반송로 상에서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시트를 검출하는 중복 시트 검출부,
    중복 시트 검출부로부터 반송 방향에서 하류 측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겹쳐진 상태로 반송된 복수의 시트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시트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취출부에서의 시트 취출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해 순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반송로를 통하여 구동롤러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중복 시트가 없는 경우에는 구동롤러에 종동하여 회전하고, 구동롤러의 사이에서 반송되는 시트에 반송방향의 역방향에서 분리 토크를 부여하는 분리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반송부는 반송방향을 따라 분리부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제 1 롤러 쌍을 포함하고,
    상기 중복된 시트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중복 시트가 제 1 롤러 쌍 및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분리롤러 사이에 끼어있는 경우, 제어부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가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롤러 쌍 및 구동 롤러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반송부는 반송방향을 따라 분리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제 1 롤러 쌍 및 구동롤러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제 2 롤러 쌍을 포함하고,
    중복 시트가 제 1 롤러 쌍 및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분리롤러 사이에 끼어있는 경우, 제어부는 제 2 롤러 쌍으로부터 제 1 시트를 당겨서 반송하고 상기 분리롤러의 분리 토크에 의해 제 2 시트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시트가 구동롤러와 분리롤러 사이에 끼어있는 상태에서 해제된 경우, 제어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분리롤러가 구동롤러와 분리롤러 사이에 끼어있었던 제 2 시트의 반송을 다시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 2 롤러 쌍이 제 1 시트를 끼워 반송하고, 구동롤러와 분리롤러가 제 2 롤러 쌍보다 늦은 속도로 제 2 시트를 끼워 반송하여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와의 반송속도 차가 양자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분리반송 장치.
KR1020040068542A 2003-09-01 2004-08-30 시트 분리반송 장치 KR100586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9246A JP4342249B2 (ja) 2003-09-01 2003-09-01 紙葉類分離搬送装置
JPJP-P-2003-00309246 2003-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185A KR20050024185A (ko) 2005-03-10
KR100586573B1 true KR100586573B1 (ko) 2006-06-07

Family

ID=3410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542A KR100586573B1 (ko) 2003-09-01 2004-08-30 시트 분리반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93769B2 (ko)
EP (1) EP1510483B1 (ko)
JP (1) JP4342249B2 (ko)
KR (1) KR100586573B1 (ko)
DE (1) DE60200401537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254A (ja) * 2001-11-30 2003-06-10 Fuji Xerox Co Ltd 画像記録装置
DE102004037422B3 (de) * 2004-07-30 2006-03-09 Siemens Ag Vereinzelungsstrecke für überlappte flache Sendungen in stehender Position
US20070001389A1 (en) * 2005-06-17 2007-01-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inter medium or currency thickness / double sheet detection method
TWI280222B (en) * 2005-10-28 2007-05-01 Lite On Technology Corp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8087916A (ja) * 2006-10-02 2008-04-17 Sharp Corp シート搬送装置
US7559549B2 (en) * 2006-12-21 2009-07-14 Xerox Corporation Media feeder feed rate
JP4306732B2 (ja) * 2007-01-26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それを備えてなる自動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731188B2 (en) * 2007-07-18 2010-06-08 Xerox Corporation Sheet registration system with auxiliary nips
US7611143B2 (en) * 2007-08-21 2009-11-03 Xerox Corporation Sheet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08014676A1 (de) * 2008-02-28 2009-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Gegenständen
EP2096056B1 (de) * 2008-02-28 2017-08-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Gegenständen
US8047528B2 (en) * 2008-06-16 2011-11-0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7537B2 (en) * 2009-07-21 2011-11-01 Xerox Company Extended registration control of a sheet in a media handling assembly
DE102009039062A1 (de) * 2009-08-27 2011-03-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einzeln von flachen Gegenständen mittels zweier Vereinzeler und einem Längendetektor
KR102114930B1 (ko) 2014-02-28 2020-05-25 (주)테크윙 시트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WO2016056138A1 (ja) 2014-10-10 2016-04-14 株式会社Pfu 媒体供給装置
JP6609883B2 (ja) * 2015-10-16 2019-11-27 ケイディケイ株式会社 枚葉シートを使用した情報通信体の製造方法における重送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338A (ja) * 1982-03-24 1983-10-03 Nec Corp 紙葉類の2通送り検知装置
JPS5912029A (ja) * 1982-07-09 1984-01-21 Canon Inc 用紙の重送検出及び防止装置
US4627607A (en) * 1982-10-15 1986-12-09 Ricoh Company, Ltd. Sheet feeding system
JPS60144256A (ja) * 1983-12-31 1985-07-30 Ricoh Co Ltd 自動原稿送り装置
JPS62157151A (ja) * 1985-12-28 1987-07-13 Canon Inc シ−ト給送装置
JP2651602B2 (ja) * 1988-07-29 1997-09-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H03158342A (ja) 1989-11-13 1991-07-0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
DE69110274T2 (de) * 1991-04-30 1995-10-19 Hirakawa Kogyosha Kk Walzeneinrichtung zum Fördern von blattförmigen Werkstoffen.
JPH06219600A (ja) * 1992-11-26 1994-08-09 Toshiba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
US6005687A (en) * 1996-04-12 1999-12-21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motors for separating and reading documents
US6394446B1 (en) * 1999-03-08 2002-05-28 Ricoh Company, Ltd Reverse feeding device
US6263186B1 (en) * 1999-03-31 2001-07-17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veyance control method thereof
US6540222B2 (en) * 1999-12-28 2003-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heet material feeding mechanism
JP2001301998A (ja) * 2000-02-15 2001-10-31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SE515516C2 (sv) * 2000-08-03 2001-08-20 Emba Machinery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mata ett ark i sänder från en arkstapel
JP2002249261A (ja) 2001-02-22 2002-09-03 Hitachi Ltd 紙葉類の重送検知装置
US6651980B2 (en) * 2001-06-13 2003-11-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with correction device to compensate for sheet interval variation
JP3760437B2 (ja) * 2001-10-16 2006-03-29 旭精工株式会社 紙葉類の重ね出し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42249B2 (ja) 2009-10-14
JP2005075584A (ja) 2005-03-24
US20050046102A1 (en) 2005-03-03
KR20050024185A (ko) 2005-03-10
EP1510483A1 (en) 2005-03-02
EP1510483B1 (en) 2008-07-30
US7293769B2 (en) 2007-11-13
DE602004015378D1 (de)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573B1 (ko) 시트 분리반송 장치
KR100632570B1 (ko) 시트 취출장치 및 취출방법
JP4077245B2 (ja) 紙葉類取出装置
US7815184B2 (en) Paper sheet separating and take-out device
EP1512649A2 (en) Paper sheet separation and transfer apparatus
EP2301869B1 (en) Paper sheet pick up device
US5267826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EP1934953B1 (en) Banknote validator with banknote stack receiver
KR100564975B1 (ko)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
JP2006232514A (ja) 紙葉類分離搬送装置
JP2573280B2 (ja) 紙葉類の重送検出器
JPS6357442A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
JP2783645B2 (ja) 媒体処理装置
JP2003292176A (ja) 紙葉類取出搬送装置
JP2001216537A (ja) 自動改札機
JPH02276738A (ja) 紙葉類連続繰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