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713B1 -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 Google Patents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713B1
KR100583713B1 KR1020040002727A KR20040002727A KR100583713B1 KR 100583713 B1 KR100583713 B1 KR 100583713B1 KR 1020040002727 A KR1020040002727 A KR 1020040002727A KR 20040002727 A KR20040002727 A KR 20040002727A KR 100583713 B1 KR100583713 B1 KR 10058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optical fiber
oligomer
acrylate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904A (ko
Inventor
나루세케이스케
히구치다카히로
타무라코이치
Original Assignee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4Coating to obtain optical fibres
    • C03C25/106Single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395Glass optical fibre with a protective coating, e.g. two layer polymer coating deposited directly on a silica cladding surface during fibre manufa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A) 1분자 안에 실질적으로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基)를 가지고, 그 경화물의 유리 전이온도 200∼35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B) 하기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리고머 : (B-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b)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B-c)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개시제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경화물은, 고탄성이며, 열안정성이 뛰어나, 결과, 광전송 특성의 열안정성과 가요성이 균형있게 뛰어난 피복 광파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광파이버

Description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COVERING COMPOSITION FOR OPTICAL FIBER AND COVERED OPTICAL FIBER }
본 발명은, 탄성율과 열안정성이 뛰어난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피복 광파이버에 관한다.
고도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유리섬유를 전달정보 수단으로 하는 광통신 시스템은, 유리섬유가 그 광전송 손실이 적어 가요성이 뛰어나고, 더구나 경량인 등의 뛰어난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에서 급격히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광전송용 유리섬유로서는, 그 표면에, 프라이머리층과 세컨더리층으로 구성되는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피복 광파이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의 피복재료로서는, 광경화형 피복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근년, 광파이버의 시설 확대에 따라, 고밀도 실장(實裝)이나 코스트다운을 행하기 위해 피복층의 박막화가 추진되고 있다. 그것에 따라 피복재에는, 박막이라고 해도 충분한 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탄성율이 필요해졌다.
특공평6-74307호 공보에는, 상온하에서의 특정의 영율을 가지면서 영율의 온 도 의존성이 낮은 경화물을 부여하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a) 특정구조의 분자 사슬을 가지는 디올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첨가해서, 얻은 반응생성물에 수산기를 가진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는 폴리머, (b) 1분자안에 2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2이상의 지방족환을 가지는 가교지환식 탄화수소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노머, (c) 중합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특허공보 제2525177호에는, 영율의 온도 의존성이 낮고, 파단신장 특성이 뛰어나고, 또 광파이버의 전송 손실을 작게하는 경화물을 부여하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A) 수평균분자량이 1000∼15000의 우레탄 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B) 수평균분자량 800이하의 우레탄 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피복재료에서 형성된 피막은, 온도 변화에 따르는 피막 변형이 커서, 그 때문에 광파이버의 광전송 특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피복 재료의 배합 비율을 많이 사용한 피막을 마련한 섬유는 가요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열안정성과 가요성의 균형을 잘 잡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면서 광전송 특성의 열안정성이 뛰어난 피복 광파이버, 및 이러한 피복 광파이버를 제공 가능한, 탄성율과 열안정성이 뛰어난 피복용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올리고머를 사용함에 따라, 탄성율과 열안정성이 뛰어난 피복 재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A) 1분자안에 실질적으로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고, 그 경화물의 유리 전이온도가 200∼35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B) 하기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리고머,
(B-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b)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B-c)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개시제
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에 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안에 실리콘 첨가제 (D)를 함유하는 상기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에 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안에 광중합성 불포화화합물 (E)를 함유하는 상기의 광파이버용 피복 조성물에 관한다.
본 발명은, 광파이버의 외주(外周)에, 상기 어느 것인가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의 경화물에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가지는 피복 광파이버에 관한다.
본 발명은, 광파이버의 외주에,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피복 광파이버이고,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의 어느 1층이, 상기의 어느 것인가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의 경화물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에 관한다.
< 발명의 실시 형태 >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은,
(A) 1분자안에 실질적으로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고, 그 경화물의 유리 전이온도가 200∼35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이하, 적의 「올리고머(A)」로 약칭한다.)
(B) 하기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리고머 (이하, 적의 「올리고머(B)」로 약칭한다.) :
(B-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하, 적의 「올리고머(B-a)」로 약칭한다.)
(B-b)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하, 적의 「올리고머(B-b)」로 약칭한다.) 및
(B-c)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이하, 적의 「올리고머(B-c)」로 약칭한다.), 및
(C) 광중합개시제
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올리고머(A)]
올리고머(A)는, 1분자안에 실질적으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6개의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그 경화물의 유리 전이온도는 100∼350℃의 범위에 있고, 200∼3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200∼300℃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온도가 100℃ 미만이 되면 피막의 고온 내성이나 온수 내성이 저하하고, 한편, 유리 전이온도가 350℃를 넘으면 피막의 물성이 과잉으로 강직해져서, 가요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온도는, 올리고머(A)에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한 것을 광경화로 도막 형성하고,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에 의해 구해지는 tanδ의 최대치로부터 측정하고 있다.
또한, 올리고머(A)는, 수평균분자량이 500∼3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2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2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평균분자량이 너무 저하하면 가교밀도가 과잉이 되어 피막의 가요성이 저하하고, 한편, 수평균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가교밀도가 저하하여 피막의 고온내성이 저하한다.
올리고머(A)로서는, 상기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래부터 공지의 것을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올와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을 함유한다)와의 반응물 ;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본산과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물 ;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을 함유한다) 및/또는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물 ;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본산과 에폭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반응물로서는, 특히 하기 일반식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 1》
Figure 112004001552203-pat00001
A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진 기, X는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가(多價)알코올 성분유래의 단위, Y는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염기산 성분유래의 단위를 나타낸다. n은 1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A는 복수종의 것이라도 되고, Y가 3개 이상의 산기를 가지는 경우는 그 Y에 결합해도 된다. X는 복수종의 것이라도 되고, 모든 X에 A가 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Y는 복수종의 것이라도 되고, Y가 3개 이상의 산기를 가진 경우는 그 Y에 폴리에스테르 분기 사슬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A가 결합해 있어도 된다. 또한, 말단의 Y에 직접 A가 결합해서 올리고머 사슬의 말 단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3-메틸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A, 수소첨가 비스페놀A,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성분 ; 당해 다가 알코올 성분과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 당해 다가 알코올 성분 또는 당해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에 카프롤락톤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카프롤락톤 변성 폴리오르 ; 당해 다가 알코올 성분 또는 당해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카프롤락톤 및 하기 다염기산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오르 등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박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드데칸디카르본산, 무수말레인산, 프말산, 1、3- 시클로펜탄디카르본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본산, 2、5- 나프탈렌디카르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나프탈산, 비페닐디카르본산, 1、2-비스(페녹시)에탄-p,p’-디카르본산, 트리메리트산, 혹은 그들의 각종 디카르본산의 무수물류 또는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류의 다염기산 성분을 탈수축합반응 혹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 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디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 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 성분을 다염기산성분보다도 배합 비율을 많게 배합하고(수산기가 산기보다 많아지도록 배합하고), 그리고 종래부터 공지의 반응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본산은,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 성분을 다염기산 성분보다도 배합비율을 적게 배합하고 (산기가 수산기보다 많아지도록 배합하고), 그리고 종래부터 공지의 반응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성분과 다염기산 성분의 반응을, 양자의 관능기가 남도록, 종래부터 공지의 반응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는,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올리고머(A) 성분이 상기의 범위의 유리 전이온도에 들어가도록, 그리고 수평균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반응을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 (B)]
올리고머 (B)는, 1분자안에 실질적으로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것이다. 그 수평균분자량은 300∼2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500∼2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0∼15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평균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피막의 가요성이 저하하고, 한편, 수평균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피막이 연화해서 고온내성이 저하한다.
[올리고머 (B-a)]
올리고머 (B-a)로서는, 1분자안에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화합물 혹은 에폭시수지와 그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를 반응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양성분을 반응시키기 위한 배합비율 (에폭시 화합물 혹은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관능기)는 0.8∼1.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9∼1.1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화합물 혹은 에폭시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향족 에폭시화합물, 지환식 에폭시화합물, 지방족 에폭시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화합물의 예로서는,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단관능 에폭시화합물 ; 적어도 1개의 방향족환을 가지는 다가 페놀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예를 들면, 비스페놀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비스페놀F, 비스페놀S 등의 비스페놀 화합물 또는 비스페놀 화합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등) 부가체와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글리시딜에테르류) ; 노볼락형 에 폭시수지류 (예를 들면, 페놀·노볼락형 에폭시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수지, 취소화 페놀·노볼락형 에폭시수지 등) ; 트리스페놀메탄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에폭시화합물로서는, 4-비닐시클로헥센모노에폭사이드, 노르보르넨모노에폭사이드, 리모넨모노에폭사이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2-(3、4-에폭시시클로헥실-5、 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사논-메타디옥산,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2、2-비스〔4-(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헥사플루오로프로판, BHPE-3150(다이셀화학공업(주)제, 지환식 에폭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에폭시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모노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솔비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아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화합물의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 노머로서는, 상기의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를 들 수 있다.
올리고머(B-a)는,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올리고머(B-a)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반응을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B-b)]
올리고머(B-b)로서는, 1분자안에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과 그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레이트모노머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를 반응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양성분을 반응시키기 위한 배합비율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메타) 아크릴레이트모노머의 관능기)는 0.8∼1.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9∼1.1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폴리올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데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솔비톨 등의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개시제로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스틸렌옥사이드, 에피크롤히드린, 테트라히드로프란 또는 시클로헥실렌옥사이드와 같은 환상 에테르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부가중합해서 얻어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는,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중합물, 즉 수산기를 2개이 상 가지고, [-R-O-] 단위(R은 알킬렌기 또는 그 유도체)의 반복에 의해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화합물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R은, 예를 들면 탄소수 2∼6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1분자안에 다른 종류의 [-R-O-] 단위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서는, 상기의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 를 들 수 있다.
올리고머(B-b)는,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올리고머(B-b)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반응을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B-c)]
올리고머(B-c)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수산기 함유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의 중간체를, 이들의 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와 반응시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간체가 수산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트릴레이트모노머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와, 이 중간체가 이소이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반응시킴에 따라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는, 상기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또한, 폴 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는, 상기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중간체를 제조하기 위한 각 성분의 배합비율(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수산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1.1이상이 바람직하고, 1.2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중간체를 제조하기 위한 각 성분의 배합비율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수산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사네이트기)는, 0.9이하가 바람직하고, 0.8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 4、4′-메틸렌비스 (시크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키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하 폴리메릭 MDI)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수소첨가물 ;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체나 뷰레트체 등의 유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 를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올리고머(B-c)는,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올리고머 (B-c)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반응을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 (C)]
광중합개시제 (C)로서는, 종래부터 공지의 광중합개시제를 적의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1) 아세트페논계 화합물 :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크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er-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er-부틸-트리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페녹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등.
(2) 티옥산톤계 화합물 : 예를 들면,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등.
(3)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아실포스핀옥사이드 등.
(4) 벤조인계 화합물 :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등.
기타 : 예를 들면, 디메틸벤질케탈,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 페닐] 프로판 등.
이들중에서도 특히,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크로헥실페닐-케톤, 2、4-디에틸티옥산톤이, 경화성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루시린 TPO (BASF사제, 상품명), 이르가큐어1700, 이르가큐어149, 이르가큐어1800, 이르가큐어1850, 이르가큐어819, 이르가큐어184, 이르가큐어907, (이상,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 상품명), 카야큐어DETX-S(일본화약사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성분 (A)∼(C)이외에 실리콘 첨가제 (D)를 배합할 수 있다. 이 성분(D)을 배합함으로서, 피복층의 도면에 평활성이나 미끄럼성이 부여되고, 또한 광파이버의 매트릭스 피복층으로부터 광파이버의 묶음을 뽑아내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리콘 첨가제 (D)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이나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과 같은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비관능성 유기 폴리실록산류, 비닐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가지는 관능성 유기 실록산류를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1) 디메틸 실록산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프란등의 환상 에테르와의 교호 공중합체 또는 랜덤 다원 공중합체, (2)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과의 블록 공중합체, (3) 디메틸폴리실록산에 폴리에테르폴리올기를 측쇄로서 도입한 팬던트형 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빅케미재팬사제의 상품명 「BYK-UV3510 」, 다우코닝사제의 상품명 「DC-57」, 「DC-190」, 일본유니카사제의 상품명 「 L-7001」, 「L-7002」, 「L-7500」, 「 L-720」, 「L-77」, 「L-722」, 「L-7602 」, 토레·다우코닝·실리콘사제의 상품명 「SH-28PA」, 「ST-86PA」, 「SF-8416 」, 「SF-8419」, 신에츠화학사제의 상품명 「KP-322」, 「KP-323」, 「KP-341」등을 들 수 있다.
비닐기 함유 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함유 실란 화합물과 가수분해성 실란 화합물과의 반응물을 들 수 있다.
비닐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
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 (메톡시 에톡시) 실란, Γ-메타클리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스틸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성 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트리메틸실란, 메톡시트리
에틸실란, 메톡시메틸디에틸실란, 에톡시트리메틸실란, 에톡시트리에틸실란, 에톡시트리페닐실란, 프로폭시트리메틸실란, 프로폭시트리프로필실란, 부톡시트리부틸실란, 페녹시트리페닐실란 등의 모노알콕시실란 ; 디메톡시디메틸실란, 디메톡시디에틸실란, 디메톡시디페닐실란, 디에톡시디메틸실란, 디에톡시디에틸실란, 디에톡시디페닐실란, 디프로폭시디메틸실란, 디프로폭시디에틸실란, 디프로폭시디프로필실란, 디프로폭시디페닐실란, 디부톡시디메틸실란, 디부톡시디에틸실란, 디부톡시디부틸실란, 디부톡시디페닐실란 등의 디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기 함유 폴리실록산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츠화학공업사제 의 상품명 「X-22-164B」, 「X-22-164C」, 「X-22-2404」, 토오레·다우코닝·실리콘제의 상품명 「SZ6075」, 「SZ630O」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에, 비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BYK-371, 상품명, 빅케미재팬사제)이나 폴리에테르 변성 아크릴로일기 함유 디메틸실록산(BYK-UV3500, BYK-UV353O, 이상, 상품명, 빅케미재팬사제)등의 비닐기 함유의 변성 실리콘도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기 함유 실란 화합물과 상기 가수분해성 실란 화합물과의 반응물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Γ-N-(2-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p-(N,N-디메틸아미노) 페닐트리에톡시시실란, N-(2-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N,N-비스(2-히드록시에틸)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 Γ-N,N- 디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N-디메틸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츠화학공업사제의 상품명 「X-22-161A」, 「KF-860」, 「KF-858」, 토오레·다우코닝·실리콘사제의 상품명 「BY-16-209」, 「BY16-853C」등을 들 수 있다.
메르캅토기 함유 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화합물과 상기 가수분해성 실란 화합물과의 반응물을 들 수 있다.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 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츠 화학공업제의 상품명 「X-22-167B」, 「KF-2O01」, 「KBM8O3」, 「KP358」, 토오레·다우코닝·실리콘사제의 상품명 「SH6062」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개소 59-88344 호 공보에 기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성분 이외에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E)을 배합할 수 있다.
이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E)로서는, 단관능 모노머 혹은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성분 (E)의 단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1) (메타)아크릴산의 탄소 원자수 1~24 개의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 에스테르 ;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데실 등.
(2) 염기성 비닐 단량체 ; 예를 들면, N- 비닐-2- 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포린, (메타)아크릴아미드, N -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 -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 -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등.
(3) 글리시딜기 함유 비닐 단량체 ;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아미드, 아릴글리시딜에테르 등.
(4) 방향족 비닐 단량체 ; 예를 들면,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
(5) 지환족 비닐 단량체 ; 예를 들면,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등.
(6) 그 밖의 단관능 모노머 ; 예를 들면, 프로피온산 비닐, α-메틸스티렌, 초산비닐,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비닐피바레이트, 베오바모노머(쉘화학제) 등.
성분 (E)의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올리고머 성분(A) 및 올리고머 성분(B) 이외의 올리고머 성분을, 성분 (E)로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올리고머 성분의 배합 비율은, 성분 (A), (B) 및 (E)의 중합성 성분의 합계중에 4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올리고머 (A), 올리고머 (B) 및 불포화 화합물 (E)의 각각의 배합 비율은, 이들 중합성 성분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의 배합 비율은 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한편, 4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B)의 배합 비율은 2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한편, 7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O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포화 화합물 (E)는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성분이며, 이것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 비율은, 올리고머 (A) 및 (B)에 의한 특성을 충분히 얻는 점에서,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O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한편, 소망하는 특성을 얻는 점에서, 1O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가 너무 적으면 가교 밀도가 저하해서 온도 변화에 대한 피복 변형이 커지고, 한편, 너무 많으면 가교 밀도가 너무 높아서 강직하게 되어 피막의 가요성이 저하한다. 올리고머 (B)가 너무 적으면 가교 밀도가 높아져서 피막이 강직해 지거나, 충분한 탄성을 얻을 수 없게 되거나 하기 때문에, 피복 광파이버의 가요성이 저하하고, 한편, 너무 많으면 가교밀도가 저하해서 온도 변화에 대한 피막의 변형이 커지게 된다.
광중합 개시제 (C)의 배합 비율은, 광반응성을 충분히 높여 도막을 충분히 경화시키는 점에서, 올리고머 (A), 올리고머 (B) 및 불포화 화합물 (E)의 종합계 중량 100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광중합개시제의 과잉 광흡수량을 억제하여 충분히 도막 심부의 경화를 행하는 점에서, 상기 총합계중량 1OO 부에 대해서 2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2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 첨가제 (D)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 비율은, 충분한 첨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올리고머 (A), 올리고머 (B) 및 불포화 화합물 (E)의 총합계 중량 100 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상기 총합계 중량 100 부에 대해서 15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O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성분 (A)~(E)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안료, 유기용제, 충전제, 유동성 조정제, 광중합 반응촉진제 등의 종래부터 공지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피복 광파이버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복 광파이버는, 코어 (광파이버 심선)의 외주에,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종래부터 공지의 피복 광파이버에서,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의 어느 1층이, 상기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코어로서는, 석영 등의 광학 유리 재료를 방사해서 제작되는 종래 공지의 광전송용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가요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지름이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직경 10㎛∼20O㎛ 의 유리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 피복층은, 프라이머리층의 표면에 세컨더리층이 피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 피복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00㎛의 범위이다. 프라이머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O~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의 범위이다. 또한, 세컨더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O~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의 범위이다.
프라이머리층은, 코어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나고, 또한 세컨더리층과의 부착성이 뛰어난 것이 사용된다. 이 프라이머리층에는, 가공성, 광굴곡성이 중요시 되어, 일반적으로는 연질의 피복 재료가 사용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을 프라이머 피복층에 이용하는 경우는, 이 프라이머리층보다도 세컨더리층에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세컨더리층은, 프라이머리층과 잉크 피복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이며, 프라이머리층 및 잉크 피복층의 양자와의 부착성이 뛰어나고, 또한 비교적 경질의 피복 재료가 통상 사용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은, 이 세컨더리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은, 예를 들면, 하기 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의 조성물은 특히 세컨더리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매우 적합하다.
(A) 성분으로서는, 상기의 일반식에서 나타나는 3 관능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이며,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성분으로서 알킬렌옥사이드 성분, 카프로락톤 성분 등의 연질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는, 하기 성분 (B-a), (B-b), (B-c)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이 바람직하다.
(B-a)성분으로서는 비스페놀 A 글리시딜 화합물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B-b)성분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 직하다. (B-c)성분으로서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알킬렌 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C) 성분으로서는, 티옥산톤계 화합물, 아세트페논계 화합물,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D) 성분으로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아크릴로일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메르캅토기 함유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E) 성분으로서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포린이 바람직하다.
잉크 피복층은, 프라이머 피복층 (세컨더리층)과 매트릭스 피복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이며, 하기의 특성이 요구된다.
(1) 프라이머 피복층 (세컨더리층)과의 부착성이 뛰어날 것,
(2) 매트릭스 피복층으로부터의 광파이버의 분리가 가능할 정도로 매트릭스 피복층과의 적당한 부착성을 가질 것,
(3) 내수성이 뛰어날 것,
(4) 안료가 배합되어도 경화가 빠를 것.
잉크 피복층을 형성하는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세컨더리층을 형성하는 재료에 종래부터 공지의 안료를 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 피복층은, 예를 들면, 다중 채널 전송을 목적으로 하여, 복수의 피 복 광파이버 (광파이버의 외주에,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이 순차 적층되어이루어지는 광파이버)의 집합체를 매트릭스 재료로 함께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매트릭스 재료에 의해 결합된 광파이버 집합체는, 통상 리본 집합
체로 불리워져, 이 리본 집합체에는, 리본 집합체끼리를 직선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리본 집합체의 각 말단에 대해 중간적인 위치에서 파이버를 분기(分岐)시키는 접합부를 마련하거나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매트릭스 피복층을 잉크 피복층으로부터 벗겨내는 작업 (분리)이 행해진다. 이 작업에 있어서, 파이버로부터 잉크 피복층이 벗겨지지 않도록, 충분한 부착력으로 잉크층을 마련하고, 또한 이 잉크 피복층상에 적당한 부착력으로 매트릭스 피복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현장에서 배선 작업중에 리본 집합체가 꺾여진 때에 파이버로부터 잉크 피복층이 벗겨지지 않을 정도로 부착해 있을 것을 바란다.
또한, 매트릭스 피복층에는, 현장 작업에 있어서의 내찰상 등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진 경우에 간단히 상처가 나지 않을 정도의 강인성이 요구된다. 또, 광파이버가 사용되는 환경 온도 변화에 의해 매트릭스 피복층의 기계적 변화가 적고 광전송 손실이 적을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소망하는 특성을 가지는 매트릭스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매트릭스 피복층의 두께는, 통상 5~350㎛의 범위로 적의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30~50㎛의 범위에 설정된다.
매트릭스 피복층을 형성하는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세컨더리층을 형성하는 재료 혹은 당해 재료로부터 성분 (D)를 배합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매트릭스 피복층은 가교 밀도가 100~10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600~80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로 사용하는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성분 :
(1)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 에틸렌글리콜 /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화합물)과 아크릴산과의 반응물 (분자량 800, 유리 전이온도 250℃),
(2)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 에틸렌글리콜 / 테레프탈산 / 트리메리트산의 에스테르화합물)과 아크릴산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물 (분자량 1200, 유리 전이온도 30O℃).
(B)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성분 :
(B-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성분 :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 아크릴산의 반응물 (분자량 480, 1 분자중
의 아크릴로일기 : 평균 2개 ),
(B-b)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성분 :
(1)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분자량 580),
(2)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분자량300),
(B-c)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또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성분 :
(1)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 수첨 키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반응물 (분자량 1030, 1 분자안의 아크릴로일기 : 평균 2개 ),
(2)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 토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에틸렌글리콜 / 아디핀산 / 테레프탈산)의 반응물 (분자량 170O, 1분자 안의 아크릴로일기 : 평균 2개 ).
(C) 광중합개시제 성분 :
(1) 1-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 2,4,6- 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3) 2 -메틸-1[4-(메틸 티오)페닐 ]-2 모르포리노프로판 -1-온.
(D) 실리콘 첨가제 성분 :
(1) 폴리 에테르 변성 아크릴로일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2) 3-메르캅토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E) 그 밖의 광중합성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성분 :
(1)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2)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3) 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4) N-비닐 2-피롤리돈,
(5) 아크릴로일모르포린,
(6)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7)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표 1 에 기재한 배합 비율로 실시예 1~5, 비교예 1~4의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을 제조했다. 또한, 표 1 안의 수치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올리고머 (A) (1) 20
(2) 10 10 10 10
올리고머 (B) (B-a) 5 5 5
(B-b) (1) 5
(2) 5 5
(B-c) (1) 55 55 50 50 55 45 50
(2) 50 55 20
광중합 개시제 (C) (1) 3 3 2 3 3 3
(2) 3 3
(3) 1 1 1 3
실리콘 첨가제 (D) (1) 3 3 3 3 3 3 3
(2) 0.5 0.5 0.5 0.5 0.5 0.5 0.5
모노머(E) (1) 5 5 10 10
(2) 10 15 10
(3) 15 15 10 15 15 10 15 15 10
(4) 5 5 5 5
(5) 20 20 10 20 20
(6) 15
(7) 15
경화물의 조제 및, 평가
상기에서 얻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 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도막 물성의 측정을 행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표 2》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영율 (Mpa) -40℃ 2100 2100 2200 2100 2100 2300 3000 1600 800
23℃ 1010 920 1100 1000 1000 1070 1420 550 260
60℃ 340 320 360 330 330 390 550 230 80
영율의 온도의존성 -40℃/23℃ 2.1 2.3 2.0 2.1 2.1 2.1 2.1 2.9 3.1
23℃/60℃ 3.0 2.9 3.1 3.0 3.0 2.7 2.6 2.4 3.3
-40℃/60℃ 6.2 6.6 6.1 6.3 6.3 5.9 5.5 7.0 10.0
파단 신장율(%) 53 35 28 52 51 17 13 53 49
가교간 분자량 710 740 780 720 720 510 260 700 840
도막 (경화물)의 조제 및 평가는 다음과 같다.
(1) 영율, 파단신장율
유리판에 막두께 100㎛가 되도록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량 5000J/m2 의 자외선(광원: 메탈할라이드램프)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조사(照射)하여 경화막을 얻은 후, 유리판에서 박리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을 2호 덤벨로 뚫어, 인장시험기에서 다음의 조건으로 측정한다.
시험편 지지 간격 : 25mm
인장속도 : 영율은 1mm/분, 파단 신장율은 50mm/분,
영율은, 시험편 지지 간격의 2.5% 늘어난 때의 응력을 10O% 신장으로 환산한 것으로 한다.
(2) 유리 전이온도, 가교간 분자량
상기 영율의 측정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경화막의 시험편을, 바이브론 동적점탄성 장치: DAYNAMIC VISCOELASTOMETER MODELVIBRON DDV-EA형 (TOYO BACDWIN C0.Ltd)를 이용해 측정했다. 얻어진 동적점탄성 스펙트럼으로부터, 유리 전이온도는 손실 정접(正接) tanδ의 피크 온도로 하고, 가교간 분자량은 고온 탄성률과 그 도달온도를 이용해서 산출한다.
표 2 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5 는, -40℃~60℃의 실용 범위에서 충분한 영율을 나타내고, 그 온도 의존성도 작으며, 더욱이 파단 신장율에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 속도가 빠르고, 그 경화물이 고탄성이며, 열안정성이 뛰어난 피복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결과, 광전송 특성의 열안정성과 가요성이 균형있게 뛰어난 피복 광파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A) 1 분자안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고, 그 경화물의 유리 전이온도가 200~350℃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B) 하기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리고머 :
    (B-a)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b)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B-c)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폴리에스테르폴리올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개시제
    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광파이버용 피복 조성물.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안에 실리콘 첨가제 (D)를 함유하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안에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E)을 함유 하는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4. 광파이버의 외주에, 청구항 1 에 기재한 광파이버용 조성물의 경화물에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가지는 피복 광파이버.
  5. 광파이버의 외주에,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피복 광파이버이고, 프라이머 피복층, 잉크 피복층 및 매트릭스 피복층의 어느 1층이 청구항 1 에 기재한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의 경화물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광파이버.
  6. 청구항 l,2 또는 3 에 있어서, 올리고머 (A)의 함유량이, 중합성 성분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해서 5wt % 이상 40wt % 이하,
    올리고머 (B)의 함유량이, 중합성 성분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해서 20wt % 이상 70wt % 이하,
    광중합 개시제 (C)의 함유량이, 중합성 성분의 합계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광섬유용 피복 조성물.
KR1020040002727A 2003-01-22 2004-01-14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KR100583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3467 2003-01-22
JP2003013467 2003-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904A KR20040067904A (ko) 2004-07-30
KR100583713B1 true KR100583713B1 (ko) 2006-05-25

Family

ID=3276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727A KR100583713B1 (ko) 2003-01-22 2004-01-14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93231B2 (ko)
KR (1) KR100583713B1 (ko)
CN (1) CN12448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2009A1 (en) * 1999-12-16 2004-04-15 Segal Vladimir M. Copper sputtering targets and methods of forming copper sputtering targets
CN1989161B (zh) * 2004-07-29 2010-05-05 大日本油墨化学工业株式会社 成形用活性能量射线固化型树脂组合物、成形用片以及成形物
DE102005032619B4 (de) * 2005-07-13 2015-07-30 Abdul Amir Shubbar Hochtemperaturbeständige Kabelummantelung
US20070043135A1 (en) * 2005-08-19 2007-02-22 Seymour Preis Radiation curable coating formulations comprising polyesters
JP5316300B2 (ja) * 2009-08-07 2013-10-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耐摩耗性シリコー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並びに被覆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35494B (zh) * 2010-08-18 2013-11-13 梁鹏飞 一种紫外光固化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9670372B2 (en) * 2012-11-02 2017-06-06 Domino Printing Sciences Plc Inkjet ink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286A (ko) * 1998-12-21 2000-07-25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광경화성 수지조성물 및 광학부품
KR20010074642A (ko) * 1998-07-07 2001-08-04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액체 경화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307B2 (ja) 1986-04-25 1994-09-21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2525177B2 (ja) 1987-04-30 1996-08-14 ディーエスエム・エヌヴィ 光フアイバ−被覆用組成物
US6023547A (en) * 1997-06-09 2000-02-08 Dsm N.V.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urethane oligomer having a polyester backbone
US6760086B2 (en) * 1998-03-26 2004-07-06 Tomoegawa Paper Co., Ltd. Attachment film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
AU2001269505A1 (en) * 2000-07-19 2002-01-30 Showa Denko K K Fumarate derivativ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514619B2 (en) * 2000-08-30 2003-02-04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Aqueous resin composition and coated metal material having cured coating of the same
JP4869517B2 (ja) * 2001-08-21 2012-02-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接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642A (ko) * 1998-07-07 2001-08-04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액체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00048286A (ko) * 1998-12-21 2000-07-25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광경화성 수지조성물 및 광학부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48286 *
10200100746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93231B2 (en) 2006-01-31
CN1517722A (zh) 2004-08-04
US20040151457A1 (en) 2004-08-05
KR20040067904A (ko) 2004-07-30
CN1244826C (zh)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8335B1 (en)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an urethane oligomer having a polyester backbone
CN101535197B (zh) 光纤用d1381上部涂层
JP3784068B2 (ja) 放射線硬化性光学繊維被覆組成物
EP1489148B1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s
JPH09509642A (ja) ガラスの強度保持のための塗料システム
JP2006502425A (ja) 硬化高分子被覆を有する光ファイバー
JP2004244618A (ja) 光ファイバー用被覆組成物および被覆光ファイバー
KR20060134844A (ko) 코팅 조성물과 다층 코팅막 형성방법 및 그 코팅 조성물을사용한 코팅 물품
JP5089889B2 (ja) ハードコート剤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0583713B1 (ko)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KR910008558B1 (ko) 광경화수지 조성물
JPH08301952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の成形硬化物
JP201302358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3055196B2 (ja) 耐熱性光ファイバ被覆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WO2010008201A2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 resistance and optical fiber using the same
JP200909158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樹脂シート
JPH01190712A (ja) 光ファイバー被覆用樹脂組成物
KR19990061688A (ko) 광섬유 외부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TW202212507A (zh) 樹脂組合物、光纖及光纖之製造方法
JPS62216946A (ja) 光フアイバ−用被覆組成物
CN109312047A (zh) 氨基甲酸酯(甲基)丙烯酸酯树脂和层叠薄膜
JPH04310545A (ja) 高密度光ファイバ被覆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H04310546A (ja) 高密度光ファイバ被覆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2005139017A (ja) 光ファイバー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線、ユニット
JP2004027197A (ja) 光ファイバー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素線、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