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025B1 - 자주식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자주식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025B1
KR100583025B1 KR1020057000468A KR20057000468A KR100583025B1 KR 100583025 B1 KR100583025 B1 KR 100583025B1 KR 1020057000468 A KR1020057000468 A KR 1020057000468A KR 20057000468 A KR20057000468 A KR 20057000468A KR 100583025 B1 KR100583025 B1 KR 10058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ylinder
vehicle body
end sid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980A (ko
Inventor
고키타오사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283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single arm pivoted directly on the chassis
    • E02F3/28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single arm pivoted directly on the chassis telescopic or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하역기구(21)의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하역기구(21)의 배면 측으로부터 차체(2) 측으로 돌출되는 보호돌기(26D)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차체(2)가 후진 주행할 때에, 차체(2)의 하면(2A)이 지면상의 장애물(A)을 통과했다고 해도, 보호돌기(26D)는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보다도 먼저 장애물(A)에 충돌한다. 이로 인하여, 보호돌기(26D)는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에 직접적으로 장애물(A)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로드(27C)를 보호할 수 있다.
하역기구, 보호돌기, 붐, 실린더, 차체, 포크실린더, 장애물

Description

자주식 작업 기계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리프트 트럭(lift truck) 등의 자주(自走) 가능한 차체를 구비한 자주식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의 하물의 운반 작업(하역 작업) 등에 이용되는 자주식 작업 기계로서 리프트 트럭이 알려져 있다. 이 리프트 트럭은 좌우의 전륜과 좌우의 후륜이 설치된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boom)과, 상기 붐의 선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역기구 등의 작업기구와, 상기 하역기구와 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붐에 대하여 하역기구를 회전시키는 작업기구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559831호 공보 및 국제공개 WO89/00972호).
그리고, 이 리프트 트럭은 예를 들면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하역기구의 포크 상에 하물을 적재한 후, 붐을 기립시킴으로써, 적재한 하물을 들어 올려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이 경우, 붐과 작업기구 사이에 설치한 작업기구 실린더가 붐의 상하 선회각도에 따라서 하역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역기구의 포크가 대략 수평인 자세를 유지하여 하물을 안정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리프트 트럭에 이용되는 작업기구 실린더는 통상, 저부(底部) 측이 붐에 장착된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 피스톤과, 기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고 선단 측이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하역기구에 장착된 로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작업기구 실린더의 로드의 선단 측이 차체의 하면으로부터 지면(地面) 측으로 하향 돌출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암석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지면상에서 차체를 후진 주행시킨 경우에는 상기 차체의 하면이 지면상의 장애물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장애물 위를 통과했다고 해도, 차체의 하면으로부터 지면 측으로 내뻗은 작업기구 실린더의 로드가 장애물에 직접 충돌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어, 작업기구 실린더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자주식 작업 기계로서, 토사 등의 굴착 작업을 행하는 버킷(bucket)과, 상기 버킷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유압실린더의 튜브로부터 돌출된 로드를 원통형(관형)의 커버에 의해서 덮는 구성으로 된 유압셔블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82414호 공보).
그리고, 이 종래 기술에 의한 커버는 유압실린더의 튜브보다도 대경인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튜브로부터 돌출된 로드의 선단 측에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드의 외주 측을 커버에 의해서 항상 덮을 수 있어, 상기 로드에 토사 등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래 기술에 이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커버는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로드의 선단 측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토사 등이 커버에 충돌했을 때에는 이 때의 충격이 커버를 통하여 로드에 전달되는 것에 의해, 상기 로드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전술한 커버는 튜브 및 로드를 외주 측으로부터 덮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와 로드 사이에 토사 등이 퇴적하기 쉽고, 이 토사 등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원활한 작동이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기구 실린더를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를 장기간에 걸쳐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주식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의 전륜과 좌우의 후륜이 설치된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기구와, 상기 작업기구와 붐 사이에 위치하여 축 방향의 일단 측이 붐에 장착되는 동시에 타단 측이 작업기구에 장착되어 붐에 대하여 작업기구를 회전시키는 작업기구 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작업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작업기구 중에서 차체 측에 위치하는 배면 측에는,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붐 장착 부재와,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부를 가지는 실린더 장착 부재를 설치하고, 실린더 장착 부재에는, 작업기구의 배면 측으로부터 차체 측으로 돌출되어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주행할 때에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을 지면상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돌기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암석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지면상에서 차체를 후진 주행시킨 경우에는 상기 차체의 하면이 지면상의 장애물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장애물 위를 통과했다고 해도, 이 장애물은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에 충돌하기 전에, 작업기구의 실린더 장착 부재에 설치한 보호돌기에 충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이 직접적으로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돌기는 작업기구의 실린더 장착 부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돌기에 장애물이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작업기구에 의해 받을 수 있어, 이 충격에 의해서 작업기구 실린더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돌기는,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높이 치수를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하면까지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이다. 이 경우,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차체가 후진 주행할 때에, 작업기구 실린더에 충돌할 우려가 있는 장애물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차체의 하면까지의 높이 치수보다도 낮아진다. 따라서, 보호돌기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를 지면으로부터 차체의 하면까지 높이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함으로써, 보호돌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하는 일없이 상기 보호돌기에 의해서 지면상의 장애물로부터 작업기구 실린더 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돌기는, 실린더 장착 부재의 실린더 연결부로부터 작업기구를 향해서 경사 상향으로 굴곡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작업기구를 붐 장착 부재의 붐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보호돌기가 작업기구 실린더와 간섭하는 일이 없고, 작업기구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돌기는, 작업기구를 구성하는 붐 장착 부재의 붐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작업기구 실린더 측으로 원호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원호형 돌기로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작업기구 실린더를 축소시키고, 작업기구를 붐 장착 부재의 붐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보호돌기는 작업기구 실린더를 향해서 원호를 그리도록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돌기가 작업기구 실린더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돌기는, 실린더 장착 부재가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애물이 충돌하여 보호돌기가 파손된 경우에도, 이 파손된 보호돌기 대신 새로운 보호돌기를 실린더 장착 부재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기구 실린더의 로드를 장기간에 걸쳐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돌기는, 작업기구 실린더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샌드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판형체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작업기 구 실린더의 타단 측을 한 쌍의 판형체로 이루어지는 보호돌기에 의해 샌드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보호돌기와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 사이에 토사 등이 퇴적하는 일이 없고, 작업기구 실린더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기구 실린더는, 축 방향의 일단 측이 붐에 연결된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과, 축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고 타단 측이 튜브로부터 돌출하여 실린더 장착 부재의 실린더 연결부에 연결된 로드에 의해 구성되고, 보호돌기는 로드의 타단 측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암석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지면상에서 차체를 후진 주행시킨 경우에, 작업기구 실린더의 로드가 지면상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의 로드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붐은 기단 측이 차체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통형의 외측 붐과, 상기 외측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되고 선단 측에 실린더 장착부가 설치된 내측 붐에 의해 구성되고, 외측 붐의 외부에는 기단 측이 상기 외측 붐에 장착되는 동시에 선단 측이 내측 붐의 실린더 장착부에 장착된 붐 실린더를 설치하고, 외측 붐의 선단 측에는 내측 붐을 축소시켰을 때에 실린더 장착부를 외측 붐의 선단위치보다도 인입된 위치에 격납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외측 붐 내에 내측 붐을 축소시켰을 때에, 내측 붐의 선단 측에 설치된 실린더 장착부는 외측 붐의 선단 측에 설치된 개구부 내 에 격납되고, 외측 붐의 선단위치보다도 상기 외측 붐의 기단 측으로 인입되게 된다. 따라서, 보호돌기에 의해서 작업기구 실린더를 보호하는 것에 외에, 외측 붐의 선단부와 내측 붐의 선단부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그 만큼, 내측 붐의 축소시의 붐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붐은 내측 붐을 수용하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선단 측에 고정된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 내측 붐의 실린더 장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외측 붐의 통체 내에 내측 붐을 축소시켰을 때에, 내측 붐의 실린더 장착부를 프레임의 개구부 내에 격납할 수 있어, 내측 붐의 축소시의 붐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리프트 트럭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에서 붐, 하역기구, 포크실린더, 보호돌기 등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붐, 하역기구, 포크실린더 등을 도 2의 화살표 III-III 방향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를 단일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붐 헤드, 하역기구, 포크실린더, 보호돌기 등을 포크실린더의 로드가 신장된 상태로 도시한 도 3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붐 헤드, 하역기구, 포크실린더, 보호돌기 등을 포크실린더의 로드가 축소된 상태로 도시한 도 5와 동일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 보호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업장치를 붐이 축소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업장치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단 붐의 선단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업장치를 붐이 신장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의한 붐 헤드, 하역기구, 포크실린더, 보호돌기 등을 도시한 도 5와 동일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보호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와 동일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주식 작업 기계의 실시예를 리프트 트럭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리프트 트럭으로, 상기 리프트 트럭(1)은 자주 가능한 휠식의 차체(2)와, 후술하는 작업장치(11)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트 트럭(1)은 차체(2)를 주행시키면서 작업장치(11)를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하물을 운반하는 하역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차체(2)는 두꺼운 강판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에 탑재된 엔진, 유압펌프, 유압모터 등의 구동원(모두 도시하지 않음)과, 후술하는 캡(6) 등에 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3)의 전방부 측에는 좌우의 전륜(4)(좌측만 도시)이 설치되고, 프레임(3)의 후방부 측에는 좌우의 후륜(5)(좌측만 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전륜(4)과 좌우의 후륜(5)은 주행용 유압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차체(2)는 4륜 구동의 상태로 화살표 F 방향으로의 전진 주행, 또는 화살표 R 방향으로의 후진 주행을 행한다. 또, 지면으로부터 차체(2)의 하면(2A)(프레임(3)의 하면(3A))까지의 높이는 높이 치수(H)로 설정되어 있고, 차체(2)는 높이 치수(H)보다도 낮은 암석 등의 장애물(A) 위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참조부호 6은 좌측의 전륜(4)과 후륜(5)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3)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캡으로, 상기 캡(6)은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캡(6)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 전륜(4) 및 후륜(5)을 조타하는 스티어링 장치, 후술하는 작업장치(11)를 조작하는 조작레버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3)의 전단 측에는 전륜(4)보다도 앞쪽에 위치하여 좌우의 아웃트리거(outrigger)(7)(좌측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웃트리거(7)는 차체(2)의 주행 시에는 접지판(7A)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작업장치(11)를 이용한 하 역 작업 시에는 접지판(7A)을 지면에 접지시킴으로써, 하역 작업 시에 있어서의 차체(2)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11은 차체(2)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하역 작업용 작업장치로, 상기 작업장치(11)는 후술하는 붐(12), 붐 선회 실린더(18), 제1단 붐 실린더(19), 하역기구(21), 포크실린더(27)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하역기구(21)에 적재한 하물을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운반하는 하역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12는 작업장치(11)를 구성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의 붐으로, 상기 붐(12)은 각통형을 이루는 제1단 붐(13)과, 상기 제1단 붐(13)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각통형을 이루는 제2단 붐(14)과, 상기 제2단 붐(14) 내에 신축 가능하게 삽입된 각통형을 이루는 제3단 붐(15)과, 상기 제3단 붐(15)의 선단 측에 고정하여 설치된 붐 헤드(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단 붐(13)의 기단 측은 차체(2)를 구성하는 프레임(3)의 후단 측에 핀(17)을 이용하여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붐 헤드(16)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6A), 후면판(16B), 좌우의 측면판(16C, 16C)에 의해서 둘러싸인 중공인 상자 구조를 이루고, 제3단 붐(15)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붐 헤드(16)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하역기구(21)의 붐 장착판(24)을 장착하기 위한 통형의 보스부(16D)가 설치되고, 붐 헤드(16) 내에는 후술하는 포크실린더(27)의 튜브(27A)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6E)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붐 헤드(16)의 후면판(16B)에는 후술하는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 등을 붐 헤드(16)의 외부에 돌출 시키기 위한 개구부(16F)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8은 제1단 붐(13)과 차체(2)의 프레임(3) 사이에 설치된 붐 선회 실린더로, 상기 붐 선회 실린더(18)는 저부 측이 프레임(3)에 핀 결합된 튜브(18A)와, 상기 튜브(18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기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고 선단 측이 제1단 붐(13)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핀 결합된 로드(1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붐 선회 실린더(18)는 튜브(18A)에 대하여 로드(18B)를 신축시킴으로써, 붐(12)을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하강위치(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지면으로부터 기립시킨 기립위치(도 1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선회시키는 것이다.
참조부호 19는 제1단 붐(13)과 제2단 붐(14) 사이에 설치된 제1단 붐 실린더로서, 상기 제1단 붐 실린더(19)는 저부 측이 제1단 붐(13)의 후단부에 핀 결합된 튜브(19A)와, 상기 튜브(19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기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고 선단 측이 제2단 붐(14)의 선단부에 핀 결합된 로드(1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단 붐 실린더(19)는 튜브(19A)에 대하여 로드(19B)를 신축시킴으로써, 제1단 붐(13)에 대하여 제2단 붐(14)을 신축시키는 것이다.
또, 제2단 붐(14)과 제3단 붐(15) 사이에는 제2단 붐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단 붐 실린더는 전술한 제1단 붐 실린더(19)가 제1단 붐(13)에 대하여 제2단 붐(14)을 신축시킬 때에, 이것과 동기하여 제2단 붐(14)에 대 하여 제3단 붐(15)을 신축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제2단 붐 실린더는 제1단 붐 실린더(19)와 동시에 압유의 급배가 행하여진다.
참조부호 21은 통상 어태치먼트(attachment)라고 불리는 작업기구인 하역기구로서, 상기 하역기구(21)는 붐(12)의 선단(붐 헤드(16))에 후술하는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역기구(2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프레임(22), 포크(23), 붐 장착판(24), 실린더 장착 브래킷(26)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2는 하역기구(21)의 베이스를 이루는 장방형의 프레임으로, 상기 프레임(22)은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는 좌우의 측판(22A, 22A)과, 좌우의 측판(22A) 사이를 연결하는 단면 장방형의 상측 빔(22B)과, 상기 상측 빔(22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의 측판(22A) 사이를 연결하는 단면 사다리꼴의 하측 빔(22C)과, 이들 상하의 빔(22B, 22C) 사이에 위치하여 좌우의 측판(22A) 사이를 연결하는 봉형의 중간 빔(22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3은 프레임(22)의 전면 측에 설치된 좌우의 포크로서, 상기 각 포크(23)는 예를 들면 두꺼운 강판재 등을 L자형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포크(23)는 상단 측이 프레임(22)의 중간 빔(22D)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 측이 프레임(22)의 하측 빔(22C)에 접촉 또는 고정되어 있다. 또, 각 포크(23)의 하단 측은 프레임(22)의 하측 빔(22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하물 수용면부(23A)가 되고, 상기 하물 수용면부(23A) 상에 하물을 적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24는 좌우의 붐 장착 부재인 붐 장착판으로서, 이들 각 붐 장착판(24)은 프레임(22) 중 차체(2) 측에 위치하는 배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붐 장착판(24)은 예를 들면 두꺼운 강판재 등을 사용하여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측이 프레임(22)의 상측 빔(22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 측이 하측 빔(22C)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붐 장착판(24)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는 차체(2) 측으로 내뻗은 돌출부(24A)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24A)에는 후술하는 핀(25)을 통하여 붐 헤드(16)의 선단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붐 연결부로서의 핀 삽입공(2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붐 헤드(16)에 하역기구(21)를 장착할 때에는 좌우의 붐 장착판(24)의 돌출부(24A) 사이에 붐 헤드(16)의 보스부(16D)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보스부(16D)와 각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에 핀(25)을 관통시킨다. 이에 따라, 하역기구(21)는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붐(12)의 선단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핀(25)은 하역기구(21)를 구성하는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과 붐 헤드(16)의 보스부(16D)의 연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참조부호 26은 좌우의 실린더 장착 부재인 실린더 장착 브래킷으로서, 상기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은 좌우의 붐 장착판(24)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22)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은 예를 들면 두꺼운 강판재 등을 이용하여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측이 프레임(22)의 상측 빔(22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 측이 하측 빔(22C)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종판부(縱板部)(26A)와, 상술한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보다도 하 측에 위치하고, 종판부(26A)의 하단 측으로부터 차체(2) 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내뻗은 돌출부(26B)와, 상기 돌출부(26B)에 설치된 실린더 연결부로서의 핀 삽입공(26C)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핀 삽입공(26C)은 돌출부(26B) 중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핀 삽입공(24B)보다도 차체(2) 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삽입공(26C)에는 후술하는 핀(29)을 통하여 작업기구 실린더(27)의 타단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6B) 중 핀 삽입공(26C)보다도 선단 측에는 후술하는 보호돌기(26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7은 하역기구(21)의 프레임(22)과 붐(12)의 붐 헤드(16) 사이에 설치된 작업기구 실린더인 포크실린더로서, 상기 포크실린더(27)는 붐(12)에 대하여 하역기구(21)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포크실린더(2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 헤드(16) 내에 배치된 튜브(27A)와, 상기 튜브(27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27B)과, 축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27B)에 장착되고 타단 측이 튜브(27A)로부터 돌출된 로드(2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크실린더(27)의 축 방향의 일단 측이 되는 튜브(27A)의 저부 측은 붐 헤드(16)의 브래킷(16E)에 핀(28)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포크실린더(27)의 축 방향의 타단 측이 되는 로드(27C)는 개구부(16F)를 통하여 붐 헤드(16)의 외부에 돌출되고, 그 선단부에는 장착 보스부(27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보스부(27D)는 좌우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의 돌출부(26B) 사이에 끼어 있는 상태에서 핀 삽입공(26C) 핀(29)을 이용하여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는 핀(29)을 중심으로 하여 하역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핀(29)은 하역기구(21)를 구성하는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의 핀 삽입공(26C)과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와의 연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신축시킴으로써, 하역기구(2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12)(붐 헤드(16))에 대하여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붐(12)을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강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기립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이 붐(12)의 상하 선회각도에 따라서 하역기구(21)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포크(23)의 하물 수용면부(23A)를 항상 거의 수평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하물 수용면부(23A) 상에 적재한 하물을 안정된 상태로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운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26D는 좌우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각각 설치된 보호돌기를 나타내고, 각 보호돌기(26D)는 실린더 장착 브래킷(26) 중,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6B)의 선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보호돌기(26D)는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 선단 측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샌드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판형체로서 구성되고, 돌출부(26B)의 핀 삽입공(26C)으로부터 포크실린더(27)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굴곡되면서, 차체(2)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호돌기(26D)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차체(2)가 화살표(R) 방향으로의 후진 주행을 행하고, 이 차체(2)의 하면(2A)이 지면상의 장애물(A) 위를 통과한 경우에,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보다도 먼저 장애물(A)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로드(27C)를 장애물(A)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돌기(26D)는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H)가 지면으로부터 차체(2)의 하면(2A)까지의 높이 치수(H)보다도 △h만큼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차체(2)가 후진 주행할 때에,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에 충돌할 우려가 있는 장애물(A)은 지면으로부터 차체(2)의 하면(2A)까지의 높이 치수(H)보다도 낮은 것이라고 고려된다. 따라서, 보호돌기(26D)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H)를 지면으로부터 차체(2)의 하면(2A)까지의 높이 치수(H)보다도 낮게 설정함으로써, 보호돌기(26D)가 필요 이상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돌기(26D)는 하역기구(21)를 구성하는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에 관통된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 측으로 원호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원호형 돌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튜브(27A) 내로 축소시키고, 하역기구(21)를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보호돌기(26D)는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로드(27C) 측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회전하게 되어, 상기 보호돌기(26D)가 포크실린더(27)의 튜브(27A)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리프트 트럭(1)은 전술한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하,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장치(11)를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행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하역기구(21)에 설치한 각 포크(23)의 하물 수용면부(23A) 상에 하물(도시하지 않음)을 적재한다. 그리고, 차체(2)를 작업현장까지 자주시킨 후, 아웃트리거(7)의 접지판(7A)을 지면에 접지시킴으로써 차체(2)를 안정시킨다.
다음에, 캡(6) 내의 오퍼레이터가 작업장치(11)용 조작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붐 선회 실린더(18), 제1단 붐 실린더(19), 제2단 붐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등에 유압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압유를 급배한다. 이에 따라, 붐(12)이 붐 선회 실린더(18)에 의해서 하강위치(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기립위치(도 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 제1단 붐 실린더(19), 제2단 붐 실린더에 의해 붐(12)의 제1단 붐(13)으로부터 제2단 붐(14), 제3단 붐(15)이 신장한다.
이 때, 붐 선회 실린더(18)에 연동하여 포크실린더(27)가 작동하고, 포크실린더(27)는 붐(12)의 상하 선회각도에 따라서 하역기구(21)를 붐 헤드(16)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붐(12)의 상하 선회각도에 따라서 각 포크(23)의 하물 수용면부(23A)를 항상 거의 수평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하물 수용면부(23A) 상에 적재한 하물을 안정된 상태로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 선단 측은 차체(2)의 하면(2A)보다도 지면 측으로 하향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차체(2)가 후진 주행을 행하고, 차체(2)의 하면(2A)이 지면상의 장애물(A) 위를 통과한 경우에는 장애물(A)이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리프트 트럭(1)에 의하면, 하역기구(21)의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는 보호돌기(26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호돌기(26D)는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6B)의 선단 측에 위치하여, 핀 삽입공(26C)보다도 차체(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차체(2)의 후진 주행 시, 상기 차체(2)의 하면(2A)이 지면상의 장애물(A)을 통과했다고 해도, 보호돌기(26D)는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보다도 먼저 장애물(A)에 직접적으로 장애물(A)이 충돌하는 것을 보호돌기(26D)에 의해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로드(27)를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돌기(26D)는 하역기구(21)의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돌기(26D)에 장애물(A)이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하역기구(21) 전체에 의해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종래 기술과 같이 실린더의 로드에 비하여, 보호돌기(26D)에 장애물(A)이 충돌했을 때의 충격이 포크실린더(27)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고, 이 충격에 의해서 포크실린더(2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포크실린더(27)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한 쌍의 보호돌기(26D)는 로드(27C)의 선단 측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샌드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종래 기술과 같이 로드의 외주 측을 덮는 원통형의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각 보호돌기(26D)와 로드(27C) 사이에 토사 등이 퇴적하는 일이 없고, 포크실린더(27)를 장기간에 걸쳐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에 충돌할 우려가 있는 장애물(A)은 지면으로부터 차체(2)의 하면(2A)까지의 높이 치수(H)보다도 낮은 것이라고 고려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돌기(26D)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H)를 전술한 높이 치수(H)보다도 △h만큼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호돌기(26D)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하고, 그 만큼, 보호돌기(2)의 주변 구조를 설계할 때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보호돌기(26D)를 하역기구(21)를 구성하는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과 붐 헤드(16)의 보스부(16D)와의 연결 수단이 되는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포크실린더(277)의 로드(27C) 측으로 원호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원호형 돌기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12)이 기립위치로 이동하는 사이에, 붐(12)의 선회각도에 따라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가 튜브(27A) 내로 축소되고, 하역기구(21)가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했다고 해도, 각 보호돌기(26D)는 포크실린더(27)의 튜브(27A)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돌기(26D)를 설치한 경우에도, 하역기구(21)를 붐 헤드 (16)에 대하여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고, 하역기구(21)에 설치한 각 포크(23)의 하물 수용면부(23A)를 붐(12)의 상하 선회각도에 따라서 항상 수평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붐(12)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도 2의 상태)에서,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신장시켜 하역기구(21)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보호돌기(26D)의 선단부는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돌기(26D)의 선단부가 지면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보호돌기를 포크의 실린더 장착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21) 대신 본 실시예에 적용한 작업기구인 하역기구로서, 상기 하역기구(31)는 붐(12)의 선단(붐 헤드(16))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하역기구(31)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로, 프레임(22), 포크(23), 붐 장착판(24), 후술하는 실린더 장착 브래킷(32), 보호판(33)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31)는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의 형상과, 보호판(33)이 실린더 장착 브래킷(32)과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점 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21)와는 상이한 것이다.
참조부호 32는 좌우의 붐 장착판(24)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22)의 배면 측에 설치된 좌우의 실린더 장착 부재인 실린더 장착 브래킷으로서, 상기 각각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은 제1 실시예에 의한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 대신 본 실시예에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은 예를 들면 두꺼운 강판재 등을 이용하여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측이 프레임(22)의 상측 빔(22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 측이 하측 빔(22C)에 고정된 종판부(32A)와,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종판부(32A)의 하단 측으로부터 차체(2)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내뻗은 돌출부(32B)와, 상기 돌출부(32)에 설치된 실린더 연결부로서의 핀 삽입공(32C)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핀 삽입공(32C)은 돌출부(32) 중 붐 장착판(24)의 핀 삽입공(24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핀 삽입공(24B)보다도 차체(2) 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이 핀 삽입공(32C)에는 핀(29)을 통하여 작업기구 실린더(27)의 타단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핀 삽입공(32C)보다도 선단 측에는 후술하는 볼트(34)를 나사삽입하기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암나사 구멍(32D, 32D)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33은 실린더 장착 브래킷(32)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된 보호돌기인 보호판으로서, 상기 각 보호판(33)은 기단 측이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을 구성하는 돌출부(32B)의 선단 측에 겹쳐지고, 선단 측이 돌출부(32B)로부터 차체(2)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 호판(33)의 기단 측에는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의 각 암나사 구멍(32D)과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볼트삽입공(33A)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호판(33)은 볼트삽입공(33A)에 관통된 볼트(34)를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의 암나사 구멍(32D)에 나사삽입함으로써,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의 돌출부(32B)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실린더 장착 브래킷(32)과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장착 보스부(27D))가 핀(29)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볼트(34)를 이용하여 보호판(33)만을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리프트 트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역기구(31)를 가지는 것으로, 그 기본적 작동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것과 특별한 차이는 없다.
그런데,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각 보호판(33)을 하역기구(31)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32)과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볼트(34)를 이용하여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에 착탈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장애물(A)이 충돌함으로써, 보호판(33)이 파손된 경우에는 이 파손된 보호판(33) 대신, 새로운 보호판(33)을 용이하게 실린더 장착 브래킷(3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장기간에 걸쳐 보호할 수 있어, 상기 포크실린더(27)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작업기구를 구성하는 실린더 장착 부재에 보호돌기를 설치하는 것 외에, 붐을 구성하는 외측 붐의 선단 측에, 내측 붐의 선단 측에 설치한 실린더 장착부를 격납하는 개구부를 설치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4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작업장치(11) 대신 본 실시예에 적용한 작업장치로서, 상기 작업장치(41)는 후술하는 붐(42), 붐 선회 실린더(18), 제1단 붐 실린더(19), 제2단 붐 실린더(52), 하역기구(21), 포크실린더(27)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42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의 붐으로서, 상기 붐(42)은 후술하는 제1단 붐(43), 제2단 붐(49), 제3단 붐(57), 붐 헤드(16)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43은 외측 붐인 제1단 붐으로서, 상기 제1단 붐(4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의 각통형을 이루고, 내부에 제2단 붐(49) 등을 수용하는 각통체(44)와, 상기 각통체(44)의 선단 측에 고정된 프레임(4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통체(44)의 기단 측(후단 측) 상면에는 차체 장착부(44A)와, 실린더 장착부(44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장착부(44A)는 핀(17)을 통하여 차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 장착부(44B)는 제1단 붐(43)에 대하여 제2단 붐(49)을 신축시키는 제1단 붐 실린더(19)의 저부 측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4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통체(44)의 선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의 플랜지판(45A)과, 상기 플랜지판(45A)에 고정되어 각통체(44)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하면판(45B)과, 상기 하면판(45B)과 플랜지판(45A)에 고정되어 하면판(45B)을 샌드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면한 좌우의 측면판(45C, 4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측면판(45C) 사이의 상면 측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 좌우의 측면판(45C)의 상단 측은 플랜지판(45A)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절결된 노치부(45D)가 되고, 상기 각 노치부(45D) 사이에는 후술하는 개구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46은 제1단 붐(43)의 선단 측에 설치된 개구부로서, 상기 개구부(46)는 프레임(45)을 구성하는 좌우의 측면판(45C, 45C)에 형성된 노치부(45D, 45D) 사이에, 상면 측이 개방된 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46)는 후술하는 제2단 붐(49)의 실린더 장착부(5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단 붐(49)을 제1단 붐(43) 내로 축소시켰을 때에는, 개구부(46)는 제2단 붐(49)의 실린더 장착부(50A)를 제1단 붐(43)(프레임(45))의 선단위치보다도 기단 측(각통체(44) 측)에 인입한 위치에 격납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47은 프레임(45)의 하면판(45B)에 장착된 하측 슬라이드 패드로서, 상기 하측 슬라이드 패드(47)는 제1단 붐(43) 내에 수용된 제2단 붐(49)의 하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48은 프레임(45)의 각 측면판(45C)에 각각 장착된 횡측 슬라이드 패드로서, 상기 횡측 슬라이드 패드(48)는 제2단 붐(49)의 좌우 측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49는 제1단 붐(43)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 내측 붐인 제2단 붐으로서, 상기 제2단 붐(49)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의 각통형을 이루고, 내부에 제3단 붐(57) 등을 수용하는 각통체(5)와, 상기 각통체(5)의 선단 측에 고정된 프레임(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통체(5)의 선단부 상면에는 실린더 장착부(50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장착부(50A)는 제1단 붐 실린더(19)의 로드 측이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린더 장착부(50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단 붐(49)을 제1단 붐(43) 내로 축소시켰을 때에, 제1단 붐(43)의 프레임(45)에 형성된 개구부(46) 내에 격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통체(5) 내의 기단 측에는 실린더 장착부(50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장착부(50B)에는 제2단 붐(49)에 대하여 제3단 붐(57)을 신축시키는 제2단 붐 실린더(52)의 저부 측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51)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통체(5)의 선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의 플랜지판(51A)과, 상기 플랜지판(51A)에 고정되어 각통체(5)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하면판(51B)과, 상기 하면판(51B)과 플랜지판(51A)에 고정되어 하면판(51B)을 샌드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대면한 좌우 측면판(51C)(우측만 도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통체(5)의 기단부 하면에는 하측 슬라이드 패드(53)가 장착되 고, 각통체(5)의 기단부 상면에는 상측 슬라이드 패드(5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하측 슬라이드 패드(53)와 상측 슬라이드 패드(54)는 제1단 붐(43)을 구성하는 각통체(44)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다.
또, 프레임(51)의 하면판(51B) 상에는 하측 슬라이드 패드(55)가 장착되고, 상기 하측 슬라이드 패드(55)는 제2단 붐(49) 내에 수용된 제3단 붐(57)의 하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51)의 각 측면판(51C)에는 횡측 슬라이드 패드(56)가 장착되고, 상기 횡측 슬라이드 패드(56)는 제3단 붐(57)의 좌우 측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57은 제2단 붐(49)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 제3단 붐으로서, 상기 제3단 붐(5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단면사각형상의 각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제2단 붐 실린더(52)의 로드 측이 장착되는 실린더 장착부(57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단 붐(57)의 선단부에는 붐 헤드(16)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붐 헤드(16)의 선단부에는 하역기구(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3단 붐(57)의 기단부 하면에는 하측 슬라이드 패드(58)가 장착되고, 제3단 붐(57)의 기단부 상면에는 상측 슬라이드 패드(5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하측 슬라이드 패드(58)와 상측 슬라이드 패드(59)는 제2단 붐(49)을 구성하는 각통체(5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다.
제3 실시예에 의한 리프트 트럭은 전술한 같은 작업장치(41)를 구비한 것으로, 하역기구(21)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보호돌기(26D)를 설치하고, 이 보호 돌기(26D)에 의해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지면상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한다고 하는 점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작업장치(11)와 특별한 차이는 없다.
그런데, 제3 실시예에 의한 작업장치(41)는 제1단 붐(43)의 선단 측을 구성하는 프레임(45) 중, 제2단 붐(49)의 선단 측에 설치한 실린더 장착부(5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면 측이 개방된 개구부(4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단 붐(49)을 제1단 붐(43) 내로 완전히 축소시켰을 때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장착부(50A)를 프레임(45)의 개구부(46) 내, 즉, 제1단 붐(43)의 선단 위치보다도 기단 측(각통체(44) 측)으로 인입한 위치에 격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단 붐(43)의 선단 부위와 제2단 붐(49)의 선단 부위 사이의 간격(L)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제2단 붐(49)을 완전히 축소했을 때의 붐(42)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프트 트럭이 주행할 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단 붐(43)을 구성하는 프레임(45)의 하면판(45B)에, 제2단 붐(49)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하측 슬라이드 패드(4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단 붐(49)을 제1단 붐(43)으로부터 완전히 신장시켰을 때에, 제2단 붐(49)의 기단부 상면에 설치한 상측 슬라이드 패드(54)와 하측 슬라이드 패드(47) 사이에 커다란 간격(S)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작업기구의 배면 측에 붐 장착 부재와 실린더 장착 부재를 일체화한 장착 부재를 설치하고, 이 장착 부재에 보호돌기를 설치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6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역기구(21) 대신 본 실시예에 적용한 작업기구인 하역기구로서, 상기 하역기구(61)는 붐(12)의 선단(붐 헤드(16))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역기구(61)는 후술하는 프레임(62), 포크(63), 장착판(64)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62는 하역기구(61)의 베이스를 이루는 장방형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62)은 좌우의 측판(62A, 62A)과, 상측 빔(62B)과, 하측 빔(62C)과, 중간 빔(62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63은 프레임(62)의 전면 측에 설치된 좌우의 L자형 포크로서, 상기 각 포크(63)의 상단 측은 프레임(62)의 중간 빔(62D)에 고정되고, 하단 측은 하측 빔(62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하물 수용면부(63A)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64는 프레임(62)의 배면 측에 설치된 좌우의 장착판으로서, 이들 각각의 장착판(64)은 붐 장착 부재와 실린더 장착 부재를 일체화한 것으로, 양자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장착판(64)은 예를 들면 두꺼운 강판재 등을 이용하여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측이 상측 빔(62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 측이 하측 빔(62C)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종판부(64A)와, 종판부(64A)의 하단 측으로부터 차체 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내뻗은 돌출부(64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64B)의 기단 측(종판부(64A) 측)에는 붐 연결부로서의 핀 삽입공(64C)이 형성되고, 돌출부(64B) 중 핀 삽입공(64C)보다도 선단 측(차체 측)에는 실린더 연결부로서의 핀 삽입공(64D)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64B) 중 핀 삽입공(64D)보다도 선단 측에는 후술하는 보호돌기(64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핀 삽입공(64C)과 핀 삽입공(64D)은, 각각의 구멍중심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포크(63)의 하물 수용면부(63A)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핀 삽입공(64C)의 구멍중심까지의 높이와, 지면으로부터 핀 삽입공(64D)의 구멍중심까지의 높이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장착판(64)의 돌출부(64B) 사이에 붐 헤드(16)의 보스부(16D)를 샌드위치하고, 상기 보스부(16D)와 각 장착판(64)의 핀 삽입공(64C)에 핀(25)을 관통시킴으로써, 하역기구(61)가 붐 헤드(16)의 선단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각 장착판(64)의 핀 삽입공(64D)과 포크실린더(27)의 장착 보스부(27D)에 핀(29)을 관통시킴으로써,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가 핀(29)을 중심으로 하여 하역기구(6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64E는 좌우의 장착판(64)에 각각 설치된 보호돌기로서, 각 보호돌기(64E)는 장착판(64)이 돌출부(64B) 중 핀 삽입공(64D)보다도 선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보호돌기(64E)는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 선단 측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샌드위치한 상태에서 포크실린더(27)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굴곡되면서 차체 측으로 돌출되고,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지면상 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제4 실시예에 의한 리프트 트럭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하역기구(61)를 가지는 것으로, 그 기본적 작동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것과 특별한 차이는 없다.
그런데, 제4 실시예에 의하면 하역기구(61)를 구성하는 프레임(62)의 배면 측에 , 붐 장착 부재를 각 프레임(62)의 배면 측에, 붐 장착 부재와 실린더 장착 부재를 일체화한 좌우의 장착판(64)을 설치했기 때문에, 서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붐 장착 부재를 각각 프레임(62)의 배면 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하역기구(6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역기구(21)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설치한 보호돌기(26D)를 붐 헤드(16)와 하역기구(21)의 붐 장착판(24) 사이를 연결하는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포크실린더(27) 측으로 원호형으로 굴곡되는 원호형 돌기로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의 핀 삽입공(26C)으로부터 포크실린더(27)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보호돌기(26D)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역기구(21)와 붐(12) 사이에 하나의 포크실린더(27)를 설치하고, 상기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하역기구(21)의 각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설치한 보호돌기(26D)에 의해서 보호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하역기구(21) 와 붐(12) 사이에 복수 개의 포크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각 포크실린더의 로드를 각각 보호돌기에 의해서 보호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것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포크실린더(27)의 튜브(27A)의 저부 측을 붐 헤드(16)의 브래킷(16E)에 장착하고,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장착 보스부(27D))를 하역기구(21)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장착하고, 상기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설치한 보호돌기(26D)에 의해서 로드(27C)를 보호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크실린더(27)의 로드(27C)를 붐 헤드(16)의 브래킷(16E)에 장착하고, 튜브(27A)의 저부 측을 하역기구(21)의 실린더 장착 브래킷(26)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브래킷(26)의 보호돌기(26D)에 의해서 튜브(27A)를 보호하여, 상기 튜브(27A)가 장애물에 충돌하여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붐(12)을 제1단 붐(13), 제2단 붐(14), 및 제3단 붐(15)으로 이루어지는 3단식 붐으로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단식 붐, 2단식 붐, 또는 4단 이상의 다단식 붐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작업기구로서 하역 작업용 하역기구(21)(31)를 구비한 리프트 트럭을 예로 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기구로서 로더 버킷(loader bucket)을 구비한 휠로더(wheel loader) 등의 다른 자주식 작업 기계에도 넓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좌우의 전륜과 좌우의 후륜이 설치된 자주(自走)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boom)과, 상기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기구와, 상기 작업기구와 상기 붐 사이에 위치하고 축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붐에 장착되며 타단 측이 상기 작업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붐에 대하여 작업기구를 회전시키는 작업기구 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구 중 상기 차체 측에 위치하는 배면 측에는, 상기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붐 연결부를 가지는 붐 장착 부재와,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부를 가지는 실린더 장착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에는, 상기 작업기구의 배면 측으로부터 상기 차체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붐을 지면(地面)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주행할 때에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을 지면상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돌기는, 상기 붐을 지면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의 지면으로부터 의 높이 치수가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하면까지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돌기는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의 실린더 연결부로부터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돌기는 상기 작업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붐 장착 부재의 붐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 측에 원호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원호형 돌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돌기는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돌기는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의 타단 측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샌드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구 실린더는 축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붐에 연결된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과, 축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장착되고 타단 측이 상기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 장착 부재의 실린더 연결부에 연결된 로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보호돌기는 상기 로드의 타단 측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기단 측이 상기 차체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통형의 외측 붐과, 상기 외측 붐 내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되고 선단 측에 실린더 장착부가 설치된 내측 붐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붐의 외부에는, 기단 측이 상기 외측 붐에 장착되며 선단 측이 상기 내측 붐의 실린더 장착부에 장착된 붐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붐의 선단 측에는, 상기 내측 붐을 축소시켰을 때에 상기 실린더 장착부를 상기 외측 붐의 선단 위치보다도 인입된 위치에 격납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붐은 상기 내측 붐을 수용하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선단 측에 고정된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 상기 내측 붐의 실린더 장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
KR1020057000468A 2002-12-25 2003-12-18 자주식 작업 기계 KR100583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4838A JP2004203553A (ja) 2002-12-25 2002-12-25 自走式作業機械
JPJP-P-2002-00374838 2002-12-25
JP2003011355A JP2004224458A (ja) 2002-12-25 2003-01-20 自走式作業機械
JPJP-P-2003-00011355 2003-01-20
PCT/JP2003/016269 WO2004058625A1 (ja) 2002-12-25 2003-12-18 自走式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980A KR20050018980A (ko) 2005-02-28
KR100583025B1 true KR100583025B1 (ko) 2006-05-23

Family

ID=3268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468A KR100583025B1 (ko) 2002-12-25 2003-12-18 자주식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2032B2 (ko)
EP (1) EP1577256A4 (ko)
JP (2) JP2004203553A (ko)
KR (1) KR100583025B1 (ko)
CN (1) CN1692069A (ko)
WO (1) WO2004058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0213B2 (en) * 2008-06-06 2011-12-06 Caterpillar Inc. Machine having trim piece assembly with reduced discordance and method
IT1399521B1 (it) * 2010-03-30 2013-04-19 C M C S R L Societa Unipersonale Attacco rapido di sicurezza per il fissaggio di un utensile ad una macchina operatrice
KR101347865B1 (ko) * 2013-04-02 2014-01-07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고소 리프팅 작업차
DE102013021607A1 (de) * 2013-09-27 2015-04-02 Liebherr-Components Biberach Gmbh Selbstfahrende Arbeitsmaschine sowie Verfahren zum Abbremsen einer solchen Arbeitsmaschine
CN103726518B (zh) * 2014-01-10 2015-11-04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道路机械分公司 一种多功能全地形步履式液压挖掘机
CN105805265B (zh) * 2014-12-30 2019-09-17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级精密传动伸缩机构
USD778022S1 (en) * 2015-02-12 2017-01-31 Haulotte Group Aerial lift
USD785273S1 (en) * 2015-08-05 2017-04-25 Haulotte Group Aerial lift cover
USD783924S1 (en) * 2015-08-05 2017-04-11 Haulotte Group Aerial lift cover
CA170432S (fr) * 2016-04-06 2017-11-23 Manitou Bf Chariot élévateur
CN106986285B (zh) * 2017-04-30 2022-07-26 安徽好运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伸缩臂越野车的倾翻机构
KR101893134B1 (ko) * 2017-05-23 2018-08-30 유오성 데릭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통한 붐의 단부에 장착되는 보조장치의 수평 자동레벨링 시스템
CN108751043B (zh) * 2018-05-09 2020-04-28 王历鑫 装货机升降装置及装货机
US10662046B1 (en) * 2018-12-21 2020-05-26 Altec Industries, Inc. Boom-mountable material handler
KR102174518B1 (ko) * 2019-11-29 2020-11-04 고재필 구난 소방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중량 감지 구조
KR102341613B1 (ko) * 2020-07-23 2021-12-22 대호 (주)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CN112177067A (zh) * 2020-10-20 2021-01-05 广州基俊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道路抢修的救援机械手设备
EP4015440A1 (en) * 2020-12-21 2022-06-22 Manitou Italia S.r.l. Attachment device for a telehandl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5720A (en) * 1984-05-17 1985-10-08 J. I. Case Company Quick coupler assembly
US4759452A (en) * 1987-02-20 1988-07-26 Faint Richard C Articulated load bearing wear pad assembly
IT212207Z2 (it) 1987-07-27 1989-07-04 Merlo Ind Metalmecc Carrello elevatore a braccio telescopico
IT1224381B (it) * 1988-06-10 1990-10-04 Manitou Costruz Ind Srl Elevatore, in particolare per carichi palettizzati
JP3377951B2 (ja) 1998-10-29 2003-02-17 ティー・シー・エム株式会社 扱物反転装置
JP2001082414A (ja) 1999-09-13 2001-03-27 Susumu Nakazono 油圧ショベルの油圧シリンダーロッド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24458A (ja) 2004-08-12
EP1577256A4 (en) 2007-01-17
JP2004203553A (ja) 2004-07-22
WO2004058625A1 (ja) 2004-07-15
CN1692069A (zh) 2005-11-02
US20050254931A1 (en) 2005-11-17
US7112032B2 (en) 2006-09-26
EP1577256A1 (en) 2005-09-21
KR20050018980A (ko)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025B1 (ko) 자주식 작업 기계
US6171050B1 (en) Load arm assembly for a skid steer loader
EP3536863B1 (en) Work vehicle cab, work vehicle, and wheel loader
AU2006277083B2 (en) Boom uplock arrangement
EP2682530B1 (en) Wheel loader
US7001135B2 (en) Construction machine
EP1457361B1 (en) Four-wheeled lift truck with oscillating axle
JP5786582B2 (ja) 建設機械の足場構造
JP4908141B2 (ja) 建設機械
JP474664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464896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US20230366170A1 (en) Construction machine attachment mounting and demount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US20180319639A1 (en) A truck mounted forklift
WO2023127494A1 (ja) 作業車両
US20220315392A1 (en) Work machine
JP7096149B2 (ja) 作業車両
JP2004238122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KR20240074880A (ko) 작업 기계
JP4562513B2 (ja) 荷役車両用バケット
KR20240103485A (ko) 오토 레더를 갖는 차량
JP2002046657A (ja) クローラ式不整地運搬車の転倒時保護構造の補強構造
JP2004314844A (ja) 作業機械および該作業機械の燃料タンク
JP2005194844A (ja) ローダ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