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13B1 -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13B1
KR102341613B1 KR1020200091483A KR20200091483A KR102341613B1 KR 102341613 B1 KR102341613 B1 KR 102341613B1 KR 1020200091483 A KR1020200091483 A KR 1020200091483A KR 20200091483 A KR20200091483 A KR 20200091483A KR 102341613 B1 KR102341613 B1 KR 10234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er
boom
telescopic master
pivot bracke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20009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7Mono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로서, 포크리프터와 텔레스코픽 마스터 사이에는 포크리프터를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장착시키는 피봇브라켓이 구비되고, 피봇브라켓의 후면부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피봇브라켓의 전면부에는 포크리프터가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Telescopic master of Working vehicle having fork lifter structur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킬 뿐 아니라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작업 차량의 일종인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해서 농업 또는 건설 분야에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차량이다.
특히, 농업용 트랙터는 작물의 운반 또는 기계화 농업 등에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트랙터는 그 전방에 상하 회동할 수 있는 로더가 설치되는 한편 로더의 선단부에는 베일 집게, 버킷,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트랙터의 후방에는 경운 작업을 하는 로터베이터, 농작물의 운반을 위한 트레일러, 도저 작업을 하는 도저 등의 작업기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트랙터의 후방에는 작업기를 설치할 수 있는 링크장치가 구비되는데, 링크장치는 트랙터 후방의 중앙 상부에 상하 회동되는 상부링크와, 트랙터 후방의 좌우 하부에 상하 회전되는 하부링크로 구비되고, 이와 같은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에 작업기를 설치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트랙터 후방의 링크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855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3375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2에서 제안된 트랙터 후방의 링크장치는, 트랙터 후방의 상부에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상부링크와, 상부링크 하부에서 상하로 회동되게 구비된 3점 링크 구조의 하부링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는 다양한 작업기 즉 어태치먼트가 장착되어, 해당 작업기에 맞는 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재배한 작물을 출하할 시에는 수확한 작물을 경운기의 적재함에 실은 후 경운기를 농로길을 따라 주행시켜 운반 차량 즉 대형트럭이 있는 곳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경운기의 적재함에 실린 작물을 대형트럭의 적재함에 옮겨 실어 출하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출하과정은 작물을 경운기의 적재함에 실었다가 다시 트럭의 적재함으로 옮겨 싣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으로 인해 출하작업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어 출하량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굴곡이 심한 좁은 농로길을 경운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운기에 적재된 작물이 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운기는 느린 속도로 주행할 수밖에 없으며, 더 나아가서는 좁은 농로길을 주행하던 경운기가 일측으로 쏠려 전복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8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33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물의 출하시 수확한 작물을 운반 차량, 특히 트랙터의 지근거리까지 운반하지 않고서도 원거리에서 바로 운반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킬 뿐 아니라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로서, 포크리프터와 텔레스코픽 마스터 사이에는 포크리프터를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장착시키는 피봇브라켓이 구비되고, 피봇브라켓의 후면부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피봇브라켓의 전면부에는 포크리프터가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피봇브라켓과 텔레스코픽 마스터 사이에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서 피봇브라켓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고, 피봇브라켓과 포크리프터 사이에는 피봇브라켓에서 포크리프터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어 포크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게발조합부재를 포함하는 포크리프터 구조로서,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작업 차량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고정붐; 고정붐에 고정되는 한편 그 상단부에는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출입되는 로드가 구비되는 작동실린더; 고정붐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작동실린더의 로드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붐; 슬라이드붐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그 전면에는 지게발조합부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를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에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고정붐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구비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이와 더불어, 슬라이더는 슬라이드붐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붐은 고정붐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실린더는 고정붐의 내부에 내장되게 구비되고, 작동실린더의 로드는 슬라이드붐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는 슬라이드붐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붐이 고정붐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슬라이드붐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붐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고정붐에는 각각의 체인이 연결되고, 일측의 체인은 슬라이드붐의 내측 상단부를 통해 슬라이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타측의 체인은 슬라이드붐의 외측 하단부를 통해 슬라이더의 하부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붐이 고정붐에서 이동될 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붐에서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게발조합부재는 슬라이더에 포크리프터를 연결시키는 피봇브라켓을 포함하되, 피봇브라켓과 슬라이더 사이에는 슬라이더에서 피봇브라켓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고, 피봇브라켓과 포크리프터 사이에는 피봇브라켓에서 포크리프터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실린더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에 따르면, 작업 차량 후방의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에 연결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된 포크리프터가 상하로 승강될 뿐 아니라 상하 및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수확한 작물을 운반 차량의 지근거리까지 운반하지 않고서도 원거리에서 운반 차량의 적재함에 바로 상차할 수 있게 되므로 출하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많은 양의 작물을 신속하게 출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가 상승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마스터와 포크리프터를 정면에서 본 분리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마스터와 포크리프터를 배면에서 본 분리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터의 포크바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터가 텔레스코픽 마스터에서 상하로 회전되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터가 텔레스코픽 마스터에서 좌우로 회전되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터에 장착된 버켓이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 텔레스코픽 마스터와, 포크리프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구비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포크리프터(260)로서, 이러한 포크리프터(260)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작업 차량 즉 트랙터(100)의 상부링크(110)와 하부링크(120)에 연결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포크리프터(2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슬라이더(250)에 피봇브라켓(270)을 매개로 장착되어 구비된다. 즉, 피봇브라켓(270)은 포크리프터(260)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슬라이더(250) 사이에 구비되어 포크리프터(260)를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슬라이더(250)에 구비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피봇브라켓(27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면부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 즉 슬라이더(250)의 전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전면부에는 포크리프터(260)의 후면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피봇브라켓(270)은 그 후면 상단부가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더(250)의 전면 상단부에 힌지축(273)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고, 후면 하단부는 슬라이더(250)의 전면에 구속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특히, 힌지축(273)이 피봇브라켓(270)과 슬라이더(250)의 상단부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피봇브라켓(270)은 슬라이더(250)의 상단부에 결합된 힌지축(273)을 기준으로 그 하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피봇브라켓(270)의 하단부와 슬라이더(250)의 하단부 사이에는 피봇브라켓(270)을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275)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실린더(275)는 그 후단부가 슬라이더(250)의 외측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의 로드는 피봇브라켓(270)의 외측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회전실린더(275)의 인장시는 도 7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피봇브라켓(270)의 하단부가 슬라이더(250)로부터 벌어지면서 상단부의 힌지축(273)을 기준으로 피봇브라켓(27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로 회전실린더(275)의 수축시는 도 7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피봇브라켓(270)이 힌지축(273)을 기준으로 역회전되어 피봇브라켓(270)의 후면이 슬라이더(250)의 전면에 밀착되게 구비된다.
또한, 피봇브라켓(27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피봇플레이트(271)가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피봇플레이트(271)는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피봇플레이트(271)는 그 중앙부가 전방으로 가장 길게 돌출된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피봇플레이트(271)의 중앙부에는 피봇축(274)이 결합되는 피봇공(272)이 수직 방향으로 천공되어 구비된다.
게다가, 피봇브라켓(270)과 포크리프터(260) 사이에는 포크리프터(260)를 피봇브라켓(270)에서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윙실린더(276)가 구비된다. 스윙실린더(276)는 그 후단부가 피봇브라켓(2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의 로드는 포크리프터(26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스윙실린더(276)의 인장시는 도 8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포크리프터(260)가 피봇브라켓(27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되고, 스윙실린더(276)의 수축시는 도 8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포크리프터(260)가 피봇브라켓(27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한편, 피봇브라켓(27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260)는 피봇브라켓(270)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61)과, 지지프레임(261)의 전면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포크바(264)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61)은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어 구비되고, 지지프레임(261)의 후면에는 피봇브라켓(270)의 피봇플레이트(271)에 대응한 형상의 힌지플레이트(262)가 돌출 형성되며, 힌지플레이트(262)의 중앙부에는 피봇플레이트(271)의 피봇공(272)에 대응한 힌지공(263)이 형성된다.
이로써, 포크리프터(260)의 힌지플레이트(262)와 피봇브라켓(270)의 피봇플레이트(271)를 겹친 상태에서 피봇공(272)과 힌지공(263)을 일치시켜 피봇축(274)을 결합함으로써 포크리프터(260)는 피봇축(274)을 기준으로 피봇브라켓(270) 상에서 좌우 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포크바(264)는 지지프레임(261)의 전면 하단부에 장착 고정된 상태로 지지프레임(261)의 전방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6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별도의 보조포크바(264a)를 장착하여 포크바(264)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포크바(264a)는 포크바(264)의 선단부에서부터 끼워 결합하면서 포크바(264)의 후단부에 고정핀 등으로 결합하여 고정되게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포크바(264a)가 결합된 포크바를 포크바(264)로 통칭한다.
이로써, 포크바(264)로 큰 규격의 파렛트를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한번에 많은 양의 적재품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포크바(264)는 지지프레임(261)에서 좌우로 그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양 포크바(264)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포크바(264)에는 별도의 어태치먼트 즉 작업기인 버켓(280)을 장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버켓(280)은 그 하면의 선단부가 포크바(264)의 선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버켓(280)의 후단부는 포크바(264)와의 사이에 유압실린더(미도시)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버켓(280)의 후단부가 도 9에서와 같이 선단부의 힌지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포크리프터(260)가 장착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차량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고정붐(210)과, 고정붐(210)에 고정되는 한편 그 상단부에는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출입되는 로드(221)가 구비되는 작동실린더(220)와, 고정붐(210)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작동실린더(220)의 로드(221)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붐(230)과, 슬라이드붐(230)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그 전면에는 피봇브라켓(270)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250)를 포함한다.
먼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장착되는 작업 차량 즉 트랙터(100)(이하에서는 "트랙터"라 한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방에 포크리프터(260)를 비롯한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는 링크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링크장치는 트랙터(100) 후방의 상부에 유압실린더로 구비되는 상부링크(110)와, 상부링크(110) 하부 양측에 각각 유압실린더(130)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하부링크(1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트랙터의 3점링크인 상부링크(110)와 한쌍의 하부링크(120)에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연결되어 장착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상부링크(110)의 작동에 의해 하부링크(120)를 기준으로 전후로 회동되며, 하부링크(120)의 작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리거나 하방향으로 내려지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부링크(110) 및 하부링크(120)와 포크리프터(260) 사이에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구비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서 포크리프터(2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편 원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를 구성하는 고정붐(210)과 슬라이드붐(230), 슬라이더(2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경이 고정붐(210)<슬라이드붐(230)<슬라이더(250) 순으로 구비된다.
즉, 슬라이더(250)는 슬라이드붐(23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붐(230)은 고정붐(21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더(25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220)는 고정붐(210)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작동실린더(220)의 로드(221)는 슬라이드붐(23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슬라이더(250)에 장착된 포크리프터(260)를 주변 구성과의 간섭없이 최저점인 지면까지 내릴 수 있고, 반대로는 최상점인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탑부까지 올릴 수 있으므로,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더(250)의 행정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슬라이더(250)에 장착된 포크리프터(260)가 제일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붐(210)의 상단부까지만 하강될 수 있고, 슬라이더(250) 및 포크리프터(260)의 상하 행정 역시도 고정붐(210)에서 출입되는 슬라이드붐(230)의 길이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일 작은 외경을 갖는 고정붐(210)은 사각형상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고정붐(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차축(290)에 한쌍의 마운팅브라켓(215)이 구비되며, 차축(290)의 중앙에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붐(210)의 후면에는 연결브라켓(216)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브라켓(216)과 마운팅브라켓(215)에는 트랙터(100)의 상부링크(110)와 하부링크(12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 차축(290) 양단에는 바퀴(291)가 설치되어 이동이 편의성 뿐만아니라 고정붐(210)이 상부링크(110)에 의해 전후로 회동될 때 지면에서 지지하는 아우트리거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바퀴(291)가 지면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 전체를 지지하는 아우트리거로 기능하면서 차축(290)의 힌지회동을 통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회전이 안정되게 가능해진다.
그리고, 고정붐(210)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드붐(230)의 내측면에 접하여 인출되는 슬라이드붐(230)을 지지하는 복조의 지지롤러가 구비될 수 있고, 복조의 지지롤러는 각 조의 지지롤러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드붐(230)의 내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드붐(230)을 가이드할 뿐 아니라 슬라이드붐(230)의 전방으로 작용되는 휨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붐(210)의 내측 상단부와 외측 상부에는 후술될 복수의 체인(240)이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링크(213)(214)가 각각 고정되어 구비된다.
게다가, 고정붐(210)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220)가 내장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실린더(220)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유압이 출입될 수 있는 각각의 유압포트를 갖는다. 그리고, 작동실린더(220)의 상면에는 작동실린더(220)에서 출입되는 로드(221)가 구비되고, 로드(221)의 상단부는 슬라이드붐(230)의 내측 상면(천장면)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실린더(220)에서 로드(221)가 출입됨에 따라 슬라이드붐(230)이 고정붐(210)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슬라이드붐(230)은 고정붐(2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사각형상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의 전후 양측에는 고정붐(210)의 외측면에 접하여 구름되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구비되어 슬라이드붐(230)의 이동을 가이드할 뿐 아니라 슬라이드붐(230)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붐(230)의 전면 상,하단부에는 후술될 복수의 체인(240)이 각각 걸림되는 상,하부 스프로킷휠(232)(233)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슬라이더(250)는 슬라이드붐(23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사각형상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의 전후 양측부와 상단부의 후부에는 슬라이드붐(230)의 외측면에 접하여 구름되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지지롤러는 슬라이드붐(230)의 지지롤러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250)는 후술될 복수의 체인(240)에 의해 슬라이드붐(230)이 고정붐(210)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슬라이드붐(2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붐(23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된다.
즉, 슬라이더(250)의 전면 내측 상단부와 전면 외측 하단부에는 복수의 체인(240)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링크(252)(253)가 각각 구비되고, 일측의 체인(240)은 슬라이드붐(230)의 내측 상단부를 통해 상부 스프로킷휠(232)에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더(250)의 상부 연결링크(252)에 연결되며, 타측의 체인(240)은 슬라이드붐(230)의 외측 하단부를 통해 하부 스프로킷휠(233)에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더(250)의 하부 연결링크(253)에 연결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붐(230)이 고정붐(210)에서 이동될 때, 슬라이더(250)가 슬라이드붐(230)에서 슬라이드붐(2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더(250)의 상부 및 하부 연결링크(252)(253)는 슬라이더(250)에 나사 체결되게 구비되어, 이에 연결된 각 체인(2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픽 마스터 및 포크리프터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포크리프터(260)가 최저점인 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포크리프터(260)를 상승시킬 때, 작동실린더(220)의 하부 포트로 유압이 공급된다.
그러면, 작동실린더(220)의 로드(221)가 상부로 인출되면서 고정붐(210)을 감싸고 있던 슬라이드붐(230)이 로드(221)의 인출과 동시에 로드(221)와 같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고정붐(210)의 상부 및 하부 연결링크(213)(214)와 슬라이드붐(230)의 상부 및 하부 연결링크(252)(253)에 연결된 각각의 체인(240)에 의해 슬라이더(250)는 슬라이드붐(230)의 이동과 동시에 슬라이드붐(230) 상에서 슬라이드붐(2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50)에 장착된 포크리프터(26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250)의 이동은 상승되는 슬라이드붐(230)에 의해 슬라이드붐(230)의 내.외측 체인(240)이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슬라이더(25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슬라이드붐(230)이 고정붐(210)의 상단부에 위치되면, 슬라이더(250) 역시도 슬라이드붐(230)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므로 포크리프터(260)는 슬라이더(250)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붐(23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실린더(220)의 상부 포트로 유압을 공급하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전술한 반대로 작동되어 슬라이더(250) 및 포크리프터(260)가 도 1에서와 같이 다시 하강되어 지면에 맞닿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포크리프터(260)가 최상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연결된 트랙터(100)의 상부링크(110)가 수축되면 도 2를 기준으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 전체가 트랙터(100) 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부링크(110)가 팽창되면 도 2를 기준으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 전체가 전방의 운반 차량 측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운반 차량의 적재함에 수확한 작물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피봇브라켓(270)의 회전실린더(275)가 작동되면, 슬라이더(250)의 전면에서 피봇브라켓(270)을 상단부의 힌지축(273)을 기준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피봇브라켓(270)에 장착된 포크리프터(260) 역시도 피봇브라켓(270)과 같이 상하로 회동된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포크리프터(260)의 포크바(264) 위에 버켓(280)을 구비하면, 버켓(280)을 포크리프터(260)에서 전방으로 회동시켜 버켓(280)에 담아진 작물을 운반 차량의 적재함에 쏟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피봇브라켓(270)의 스윙실린더(276)가 작동되면, 슬라이더(250)의 전면에서 포크리프터(260)를 후면 중앙부의 피봇축(274)을 기준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트랙터(100)가 운반 차량의 측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포크리프터(260)를 좌우로 회전시켜 작물의 적재물을 운반 차량의 적재함에 정위치로 정확히 실어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트랙터 110 : 상부링크
120 : 하부링크 130 : 유압실린더
200 : 텔레스코픽 마스터 210 : 고정붐
213,214 : 연결링크 215 : 마운팅브라켓
216 : 연결브라켓 220 : 작동실린더
221 : 로드 230 : 슬라이드붐
232,233 : 스프로킷휠 240 : 체인
250 : 슬라이더 252,253 : 연결링크
260 : 포크리프터 261 : 지지프레임
262 : 힌지플레이트 263 : 힌지공
264 : 포크바 264a : 보조포크바
270 : 피봇브라켓 271 : 피봇플레이트
272 : 피봇공 273 : 힌지축
274 : 피봇축 275 : 회전실린더
276 : 스윙실린더 280 : 버켓

Claims (8)

  1. 트랙터의 3점링크에 연결된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어 포크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게발조합부재를 포함하는 포크리프터 구조로서,
    트랙터와 텔레스코픽 마스터 사이는 트랙터의 3점링크인 상부링크와 한쌍의 하부링크로 연결됨으로써, 텔레스코픽 마스터 전체가 상부링크를 통해 트랙터의 전후 방향으로 경사가능해지고 한쌍의 하부링크를 통해 승하강 가능해지고,
    포크리프터와 텔레스코픽 마스터 사이에는 포크리프터를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장착시키는 피봇브라켓이 구비됨으로써, 포크리프터가 피봇브라켓의 후면부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피봇브라켓의 전면부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봇브라켓과 텔레스코픽 마스터 사이에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서 피봇브라켓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고,
    피봇브라켓과 포크리프터 사이에는 피봇브라켓에서 포크리프터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실린더가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트랙터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고정붐;
    고정붐에 고정되는 한편 그 상단부에는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출입되는 로드가 구비되는 작동실린더;
    고정붐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작동실린더의 로드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붐;
    슬라이드붐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그 전면에는 지게발조합부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그 하단부에 고정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차축 및 차축의 양단에 설치된 바퀴를 더 구비하고,
    차축에 한쌍의 마운팅브라켓이 구비되어 트랙터의 하부링크가 각각 연결되고,
    차축의 중앙에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붐의 후면에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어 트랙터의 상부링크와 연결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슬라이드붐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붐은 고정붐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실린더는 고정붐의 내부에 내장되게 구비되고, 작동실린더의 로드는 슬라이드붐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슬라이드붐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붐이 고정붐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슬라이드붐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붐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고정붐에는 각각의 체인이 연결되고, 일측의 체인은 슬라이드붐의 내측 상단부를 통해 슬라이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타측의 체인은 슬라이드붐의 외측 하단부를 통해 슬라이더의 하부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붐이 고정붐에서 이동될 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붐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지게발조합부재는 슬라이더에 포크리프터를 연결시키는 피봇브라켓을 포함하되,
    피봇브라켓과 슬라이더 사이에는 슬라이더에서 피봇브라켓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가 구비되고,
    피봇브라켓과 포크리프터 사이에는 피봇브라켓에서 포크리프터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실린더가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KR1020200091483A 2020-07-23 2020-07-23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KR10234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83A KR102341613B1 (ko) 2020-07-23 2020-07-23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83A KR102341613B1 (ko) 2020-07-23 2020-07-23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613B1 true KR102341613B1 (ko) 2021-12-22

Family

ID=7916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483A KR102341613B1 (ko) 2020-07-23 2020-07-23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6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397A (ja) * 1989-04-28 1990-12-03 Nissan Motor Co Ltd リフトトラックの荷役装置
JP2003521429A (ja) * 1999-12-14 2003-07-15 1994 ウェイヤー ファミリ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回転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作業プラットホーム
JP2004035155A (ja) * 2002-07-02 2004-02-05 Tcm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運転席傾斜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US20040101392A1 (en) * 2002-09-06 2004-05-27 Drake Peter Anthony Forklift trucks
KR200357855Y1 (ko) 2004-05-20 2004-07-31 주식회사 월성 트랙터와 농기계 연결용 링크 장치
KR20050018980A (ko) * 2002-12-25 2005-02-28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자주식 작업 기계
KR100693375B1 (ko) 2006-03-03 2007-03-12 김완수 농업용 작업기의 링크 연결장치
KR20120094971A (ko) * 2011-02-18 2012-08-28 엠티산업(주) 카고크레인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397A (ja) * 1989-04-28 1990-12-03 Nissan Motor Co Ltd リフトトラックの荷役装置
JP2003521429A (ja) * 1999-12-14 2003-07-15 1994 ウェイヤー ファミリ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回転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作業プラットホーム
JP2004035155A (ja) * 2002-07-02 2004-02-05 Tcm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運転席傾斜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US20040101392A1 (en) * 2002-09-06 2004-05-27 Drake Peter Anthony Forklift trucks
KR20050018980A (ko) * 2002-12-25 2005-02-28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자주식 작업 기계
KR200357855Y1 (ko) 2004-05-20 2004-07-31 주식회사 월성 트랙터와 농기계 연결용 링크 장치
KR100693375B1 (ko) 2006-03-03 2007-03-12 김완수 농업용 작업기의 링크 연결장치
KR20120094971A (ko) * 2011-02-18 2012-08-28 엠티산업(주) 카고크레인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032B1 (ko) 회전 가능한 포크리프터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 장치
CA1170894A (en) Stack folding outrigger system
US2833105A (en) Transport truck for windrowers
US7100351B2 (en) Foldable hay rake
US6321852B1 (en) Agricultural implement frame having a transport configuration and a working configuration
US3414064A (en) Adjustable rotary hoe
US11317554B2 (en) Implement support apparatus
KR101527437B1 (ko) 농업용 운반차량
WO2014007856A1 (en) Forward rotating transport axle
JP5950753B2 (ja) 均平作業機
KR102341613B1 (ko) 작업 차량의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구비되는 포크리프터 구조
US3362483A (en) Earth working implement
KR101419722B1 (ko) 농업용 집초장치
KR102297035B1 (ko)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포크리프터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 장치
US2877915A (en) Vehicle-mounted loading apparatus
KR102367687B1 (ko)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US7200981B2 (en) Support wheel arrangement for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an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JP7147019B2 (ja) 連結ユニット
KR101461113B1 (ko) 버켓 각도 조절을 위한 로우더 구조
KR102040980B1 (ko)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KR101720956B1 (ko) 트랙터 후방에 장착되는 버켓 장치
US20140151077A1 (en) Agricultural implement mount system
RU2768979C1 (ru) Навесной вилочный погрузчик
RU2322779C2 (ru) По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тракторов
KR101266486B1 (ko) 트랙터용 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