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103B1 -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03B1
KR100582103B1 KR1020030095960A KR20030095960A KR100582103B1 KR 100582103 B1 KR100582103 B1 KR 100582103B1 KR 1020030095960 A KR1020030095960 A KR 1020030095960A KR 20030095960 A KR20030095960 A KR 20030095960A KR 100582103 B1 KR100582103 B1 KR 10058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lding mechanism
sample
moving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93A (ko
Inventor
데루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데루아키 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아키 이토 filed Critical 데루아키 이토
Publication of KR2004005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6Individual bottles 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6General conveyor features
    • G01N2035/0465Loading or unloading the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6General conveyor features
    • G01N2035/0467Switching points ("aiguill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 G01N2035/0482Transmission
    • G01N2035/0484Belt or cha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2035/1027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 G01N2035/1048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using the transfer device for another function
    • G01N2035/1051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using the transfer device for another function for transporting containers, e.g. retained by fri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검체 반송 홀더(1, 2 …)를 평행한 가이드 레일(11, 12)에 따라서 반송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와,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10A, 10F)의 특정 위치에 병행 배설된 가이드 레일(11, 12)을 포함하는 대응 개소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양태를 이루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와, 이 에리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장전셋트가능하게 하단부에 상기 제거된 가이드 레일(11, 12)의 대체 기능을 갖는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을 구비한 홀더 유지 기구(20)와, 이 유지 기구를 현수 지지하여 컨베이어(10A, 10F)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에리어로의 착탈 조작을 행하는 이동 기구(30)와, 이 이동 기구를 검체 반송 홀더(1, 2 …)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SPECIMEN CONVEYANCE HOLDER MOV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2-2 선 화살표 표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 검체 반송 시스템 10A, 10B, … : 벨트 컨베이어
11, 12 : 가이드 레일 13, 14 : 지지 프레임
20 : 홀더 유지 기구 23 : 프레임
30 : 이동 기구 31V : 수직 지지 부재
31H : 수평 지지 부재 32 : 이동체
33 : 승강기구 40 : 컨트롤러
50 : 셔터 Ea, Ef :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
본 발명은 검체 반송 홀더를 한쪽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 교체하는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검체 반송 홀더는 혈액이나 뇨 등의 검체를 넣은 튜브형 검체 용기(시험관 등을 포함함)를 수직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 등에 의해 반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검체 반송 홀더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에는 소위 원주형 래크가 있다. 이 원주형 래크는 원주형 베이스의 축심부에 설치한 수용부에 튜브형 검체 용기를 수직으로 수용하여, 외주부에 설치한 환상 홈 또는 링을 벨트 컨베이어의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결합시키고, 튜브형 검체 용기를 한개씩 벨트 컨베이어에서 반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원주형 래크 유형의 검체 반송 홀더를 이용하면, 각 튜브형 검체 용기를 각각 독립해서 소정의 장소로 반송가능하다. 그러나, 그 반송 범위는 동일 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 범위 내로 한정된다. 따라서 해당 컨베이어의 반송 범위이외의 개소로 검체를 반송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적어도 튜브형 검체 용기를 다른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 교체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검체 용기를 한쪽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 교체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24785 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용 로봇 아암을 이용하여 한쪽 벨트 컨베이어에 있는 검체 반송 홀더로부터 검체 용기만을 추출하고, 이것을 다른쪽 벨트 컨베이어에 있는 검체 반송 홀더로 이동 교체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적 수단에서는 검체 용기를 옮겨 바꾸는 경우, 한쪽 검체 반송 홀더에 유지되어 있는 튜브형 검체 용기를 다른쪽 검체 반송 홀더에 한개씩 이동시켜 교체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매우 비능률적이다. 또한, 한쪽 벨트 컨베이어에는 검체 용기를 방출한 후의 검체 반송 홀더만이 남고, 다른쪽 벨트 컨베이어에는 빈 검체 반송 홀더를 미리 대기시켜 놓아야 된다. 따라서 주변의 정비작업을 포함한 이동 교체 작업 전체가 상당히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이점을 갖는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검체 용기를 한쪽의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의 벨트 컨베이어로 능률 좋게 이동적재가능하다.
b. 이동 교체 작업은 용이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하기와 같은 특징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기 이외의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구성에 관하여는 실시 형태에서 밝힌다.
본 발명의 검체 반송 홀더의 이동적재 장치는, 검체 반송 홀더를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에 따라 반송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병행 배설된 특정 영역을 갖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와, 이들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중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대응 개소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양태를 이루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와, 이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전셋트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레일의 교체 기능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부편을 갖춘 홀더 유지 기구와, 이 홀더 유지 기구를 현수 지지하고, 또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대한 착탈 조작을 행하는 이동 기구와, 이 이동 기구를 상기 검체 반송 홀더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병행 배설된 특정 영역을 갖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어느것이나 원주형 래크라고 불리는 검체 반송 홀더(1)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벨트 컨베이어(10A, 10B, …)의 각각은 양측에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11, 12)을 쌍으로 설치한 지지 프레임(13, 14)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3, 14)의 하방 부위에는 모터(15)로 회전 이송되는 반송용 무단 벨트(1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검체 반송 홀더(1)는 원주형 베이스의 축심부에 설치한 수용부에 튜브형 검체 용기(시험관)(T)를 수직으로 수용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원주형 베이스의 외주부에는 2개의 플랜지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플랜지 사이에 존재하는 환형 홈은 검체 반송 홀더(1)가 상기 반송용 무단 벨트(16)상에 적재되었을 때, 상기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11, 12)에 대하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서 반송시에 있어서 진동으로 홀더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검체 반송 홀더(1)를,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10A)의 무단 벨트(16)상에 적재하여, 각 환형 홈을 한쌍의 가이드 레일(11, 12)에 결합시킨 상태로 모터(15)를 회전시키면, 검체 반송 홀더(1)는 무단 벨트(16)의 회전 이송에 따라서 소정 방향으로 안정되게 반송된다.
상기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중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 예를 들어 컨베이어(10A, 10F)에서의 병행 배설된 특정 개소에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는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11, 12)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13, 14)의 대응 개소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양태를 하고 있다.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에 대하여, 홀더 유지 기구(20)가 착탈가능하게 장전셋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홀더 유지 기구(20)는 전체가 세로 길이의 U자형을 이루는 프레임(23)을 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3)의 하단 부에는 상기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레일(11, 12)의 교체 기능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이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의 일단측이 홀더 반입구(V)로 되고, 타단측이 홀더 반출구(W)로 된다.
홀더 유지 기구(20)는 이동 기구(30)에 의해 이동 조작된다. 이 이동 기구(30)는 상기 홀더 유지 기구(20)를 현수 지지하고, 또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10A)와 컨베이어(10F)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에 관한 착탈 조작을 행한다.
즉, 이동 기구(30)는 상기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를 걸치는 형태로 설치된 수직 지지 부재(31V) 및 수평 지지 부재(31H)로 이루어지는 대들보 기구(31)의 수평 지지 부재(31H)에 따라서, 이동체(32)가 화살표(X)로 도시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이동체(32)에는 승강 기구(33)와 한쌍의 가이드 기구(34, 35)가 부착하여 되어 있다. 승강 기구(33)는 하단이 상기 홀더 유지 기구(20)의 프레임(23)의 상측벽 중심에 결합되어 있는 현수 바아(33a)와, 이 현수 바아(33a)를 화살표(Y)로 도시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는 공기식 피스톤/실린더·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구동원(33b)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가이드 기구(34, 35)는 하단이 상기 홀더 유지 기구(20)의 프레임(23)의 상기 중심에서 양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각각 결합하고 있는 가이드 바아(34a, 35a)와, 이들 가이드 바아(34a, 35a)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통(34b, 35b)으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40)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회로로 되고, 상기 이동 기구(30)를 상기 검체 반송 홀더(1)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한다.
셔터(50)는 공기식 피스톤/실린더·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구동원(51)과, 이 구동원(51)에 의해 진퇴 동작하는 셔터판(5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 유지 기구(20)가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또는 Ef)에 장전셋트되었을 때, 해당 홀더 유지 기구(20)의 홀더 반입구(V)에서 반입되는 복수의 검체 반송 홀더(1)를 해당 홀더 유지 기구(20)의 내부에 저류하도록 상기 홀더 반출구(W)를 폐쇄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을 벨트 컨베이어(10A)에 의해서 반송되어 온 검체 반송 홀더(1)를 벨트 컨베이어(10F)에 이동적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컨트롤러(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이동 기구(30)가 시동한다. 그렇게 하면, 이동체(32)는 벨트 컨베이어(10A)의 상방까지 이동하여, 계속해서 승강 기구(33)가 하강 동작한다. 이 때문에, 홀더 유지 기구(20)는 벨트 컨베이어(10A)의 길이 방향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에 장전셋트된다. 동시에 셔터(50)가 작동하여, 셔터판(52)이 상기 장전셋트된 홀더 유지 기구(20)의 반출구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검체 반송 홀더(1)가 벨트 컨베이어(10A)에 의해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까지 반송되면, 이들 검체 반송 홀더(1)는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에 장전셋트되어 있는 홀더 유지 기구(20)의 내부로 반입구(V)에서 반입된다. 이때 각 검체 반송 홀더(1)의 환형 홈은 홀더 유지 기구(20) 의 가이드 레일부편(21, 22)에 대하여 결합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5개분의 검체 반송 홀더(1)가 홀더 유지 기구(20)의 내부에 반입되면, 컨트롤러(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이동 기구(30)가 다시 동작한다. 그렇게 되면, 우선 승강 기구(33)가 상승 동작한다. 이 때문에 홀더 유지 기구(20)는 5개분의 검체 반송 홀더(1)를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의 부분으로 유지한 상태대로 상한까지 인상된다. 계속해서 이동체(32)가 수평이동한다. 이 때문에 홀더 유지 기구(20)는 이동체(32)의 이동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10F)의 상방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승강 기구(33)가 하강 동작한다. 그 때문에, 홀더 유지 기구(20)는 벨트 컨베이어(10F)의 길이 방향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f)에 장전셋트된다. 이때 벨트 컨베이어(10F)의 셔터(50)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유지 기구(20)로 유지되어 있는 5개분의 검체 반송 홀더(1)는 무단 벨트(16)의 이송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반송되어 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5개분의 검체 반송 홀더(1)가 홀더 유지 기구(20)의 외부로 반출되면, 컨트롤러(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기구(30)가 복귀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홀더 유지 기구(20)는 전술의 이동적재와는 역의 경과를 찾아가, 벨트 컨베이어(10A)의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에 재셋트된다. 그리고 다음 이동적재 동작에 관한 대기 상태로 된다. 이동적재 동작이 전부 완료하면, 홀더 유지 기구(20)는 초기 상태에 되돌아간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점]
[1] 실시 형태에 나타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검체 반송 홀더(1, 2, …)를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11, 12)에 따라서 반송가능하게 설치되고, 병행 배설된 특정 영역을 갖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와,
이들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중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10A, 10F)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11, 12)을 포함하는 대응 개소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양태를 하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이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전셋트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레일(11, 12)의 교체 기능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을 구비한 홀더 유지 기구(20)와,
이 홀더 유지 기구(20)를 현수 지지하고, 또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10A, 10F)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에 관한 착탈 조작을 행하는 이동 기구(30)와,
이 이동 기구(30)를 상기 검체 반송 홀더(1, 2, …)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검체 반송 홀더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는, 검체 용기(T)의 행선지 변경 또는 우회를 요하는 경우, 검체 용기(T)를 수용 유지한 복수의 검체 반송 홀더(1, 2, …)를 홀더마다 한쪽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적재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검체 용기(T)를 매우 능률 좋게 다른 컨베이어 이동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빈 검체 반송 홀더를 미리 준비한다고 하는 주변 정비 작업을 일체 필요로 하지 않아서, 이동 교체 작업은 극히 용이하다.
[2] 실시 형태에 나타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검체 반송 홀더(1, 2, …)를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11, 12)에 따라서 반송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병행 배설된 특정 영역을 갖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와,
이들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10A, 10B, …)중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10A, 10F)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11, 12)을 포함하는 대응 개소(60)가 홀더 이동적재시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벨트 컨베이어(10A, 10B, …)중 반송 경로 외부로 퇴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이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전셋트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레일(11, 12)의 대체 기능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을 갖춘 홀더 유지 기구(20)와,
이 홀더 유지 기구(20)를 현수 지지하고, 또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10A, 10F)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Ef)에 대한 착탈 조작을 행하는 이동 기구(30)와,
이 이동 기구(30)를 상기 검체 반송 홀더(1, 2, …)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고, 이동적재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는 보통의 반송 경로로서 회복한다. 따라서 보통의 검체 반송 홀더의 반송 동작에 지장이 발생되지 않는다.
[3] 실시 형태에 나타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지 기구(20)가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Ea 또는 Ef)에 장전셋트되었을 때, 해당 홀더 유지 기구(20)에 반입된 상기 검체 반송 홀더(1, 2, …)가 해당 홀더 유지 기구(20)의 내부에 저류하도록, 해당 홀더 유지 기구(20)의 반출구(W)를 폐쇄하는 셔터(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에 있어서는, 홀더 유지 기구(20)의 내부에 검체 반송 홀더(1, 2, …)를 확실하게 저류하여, 안정되게 이동적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실시 형태에 나타난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는 하기의 변형예를 포함하고 있다.
· 상기 셔터(50)가 홀더 유지 기구(20)에 부착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체 용기의 행선지 변경 또는 우회가 필요한 경우, 검체 용기를 수용 유지한 복수의 검체 반송 홀더를 홀더마다 한쪽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적재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검체 용기를 매우 능 률 좋게 다른 컨베이어로 이동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빈 검체 반송 홀더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 주변 정비 작업을 일체 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교체 작업은 극히 용이하다.

Claims (4)

  1.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에 있어서,
    검체 반송 홀더를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반송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병행 배설된 특정 영역을 갖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중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대응 개소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양태를 이루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와,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전셋트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레일(11, 12)의 교체 기능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부편(21, 22)을 구비한 홀더 유지 기구(20)와,
    상기 홀더 유지 기구(20)를 현수 지지하고, 또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대한 착탈 조작을 행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상기 검체 반송 홀더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2.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에 있어서,
    검체 반송 홀더를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반송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병행 배설된 특정 영역을 갖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중 적어도 2개의 컨베이어에서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대응 개소가 홀더 이동적재시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중 반송 경로 외부로 퇴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와,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전셋트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레일의 대체 기능을 갖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부편을 갖춘 홀더 유지 기구와,
    상기 홀더 유지 기구를 현수 지지하고, 또한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 사이의 이동 조작 및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대한 착탈 조작을 행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이동 기구를 상기 검체 반송 홀더의 반송 제어와 연관시켜서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지 기구가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장전셋트되었을 때, 해당 홀더 유지 기구에 반입된 상기 검체 반송 홀더가 해당 홀더 유지 기구의 내부에 저류하도록, 해당 홀더 유지 기구의 반출구를 폐쇄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지 기구가 상기 홀더 이동적재 에리어에 장전셋트되었을 때, 해당 홀더 유지 기구에 반입된 상기 검체 반송 홀더가 해당 홀더 유지 기구의 내부에 저류하도록, 해당 홀더 유지 기구의 반출구를 폐쇄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KR1020030095960A 2002-12-26 2003-12-24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KR10058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8598A JP3729807B2 (ja) 2002-12-26 2002-12-26 検体搬送ホルダー移載システム
JPJP-P-2002-00378598 200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93A KR20040057993A (ko) 2004-07-02
KR100582103B1 true KR100582103B1 (ko) 2006-05-22

Family

ID=3270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960A KR100582103B1 (ko) 2002-12-26 2003-12-24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136869A1 (ko)
JP (1) JP3729807B2 (ko)
KR (1) KR100582103B1 (ko)
CN (1) CN13124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3499A1 (en) * 2005-12-27 2007-07-04 F.Hoffmann-La Roche Ag Sample tube holder
JP4758307B2 (ja) * 2006-09-07 2011-08-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検体搬送用ラック及び分析システム
ITMI20072254A1 (it) * 2007-11-30 2009-06-01 Dachi S R L "impianto di identificazione, trasporto ed indirizzamento automatico di campioni di materiale biologico"
US8459462B2 (en) 2008-10-10 2013-06-11 Quest Diagnostics Invest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specimen
JP2010139370A (ja) * 2008-12-11 2010-06-24 Beckman Coulter Inc ラックトレイ、ラックおよびラック搬送システム
EP2746777A3 (en) * 2010-07-23 2014-08-27 Beckman Coulter, Inc. System or method of including analytical units
CN101995480B (zh) * 2010-12-10 2012-07-11 安图实验仪器(郑州)有限公司 带有急诊位的样本架传输装置
JP6113725B2 (ja) * 2011-07-22 2017-04-12 ロッシュ 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 ヘマト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試料移送システムおよび移送方法
JP6134503B2 (ja) * 2012-09-21 2017-05-24 あおい精機株式会社 検体処理装置および検体処理方法
WO2014071214A1 (en) * 2012-11-01 2014-05-08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Multiple carrier and sleeve tray
CN102923476B (zh) * 2012-11-13 2015-08-12 东莞市雅康精密机械有限公司 电芯分类堆放装置
CN105164511B (zh) 2013-03-15 2019-03-22 雅培实验室 诊断分析器系统的自动试剂管理器
WO2014144870A2 (en) 2013-03-15 2014-09-18 Abbott Laboratories Light-blocking system for a diagnostic analyzer
WO2014144759A1 (en) 2013-03-15 2014-09-18 Abbott Laboratories Linear track diagnostic analyzer
CN111060377B (zh) * 2014-04-28 2023-01-03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样本篮传送系统及方法
CN108303557A (zh) * 2018-03-28 2018-07-20 苏州鼎实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组合式流水线的上样机构
JP2019194578A (ja) * 2018-04-25 2019-11-07 あおい精機株式会社 ホルダ搬送装置
EP3872499A1 (en) 2018-04-25 2021-09-01 Aoi Seiki Co., Ltd. Holder transport apparatus
CN110618285B (zh) * 2019-09-06 2020-08-04 中国石油大学(北京) 用于岩石热解仪的自动进样装置
JP7267886B2 (ja) * 2019-09-24 2023-05-02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放射線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5455A (ja) * 1988-01-20 1989-07-25 Nec Home Electron Ltd 機能検査システム
CA2113785A1 (en) * 1993-01-29 1994-07-30 Teruaki Itoh Sample sorting apparatus
CN1153254A (zh) * 1995-09-28 1997-07-02 开拓贸易株式会社 内燃机等燃烧用流体改质方法及其装置
FR2739935B1 (fr) * 1995-10-12 1997-12-19 Genomic Sa Dispositif pour le transfert d'echantillons de micro-quantites de liquides
JP3560706B2 (ja) * 1995-11-06 2004-09-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US5714388A (en) * 1996-08-14 1998-02-03 Bay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hemiluminescent light
US6836960B2 (en) * 2000-05-15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oard transfer apparatus, board transfer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9807B2 (ja) 2005-12-21
KR20040057993A (ko) 2004-07-02
US20040136869A1 (en) 2004-07-15
CN1312481C (zh) 2007-04-25
CN1512184A (zh) 2004-07-14
JP2004212064A (ja)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103B1 (ko) 검체 반송 홀더 이동적재 장치
CN107264879B (zh) 一种吨袋自动供袋装置及吨袋自动包装系统
KR100641909B1 (ko) 검체 반송 시스템
CN108861583B (zh) 移栽装置
JP2016043979A (ja) 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KR20080026521A (ko) 가공 라인
CN108844608A (zh) 一种提升式自动称重机
JP3506000B2 (ja) 自動分注装置
CN108572829B (zh) 烧录装置、管装芯片烧录机及其控制方法
US20050242489A1 (en) Image recording material supply apparatus and method
JPH04169419A (ja) 板状ワークの搬送装置
JPH02112423A (ja) フライヤ装置においてボビンを自動的に交換する方法及び装置
CN211253964U (zh) 一种双组托盘自动上下料装置
KR101844314B1 (ko) 다수 소재의 다수 가공 기기에 대한 자동 이송 장치
CN218202124U (zh) 一种容器开盖机构
CN115420751B (zh) 一种口服溶液剂异物自动检查装置及生产工艺
JPH0436962B2 (ko)
US20020172580A1 (en) Workpiece-carrier changeover arrangement and the method for changing over workpiece carriers
CN220097771U (zh) 饼状料的中转下料装置
CN219409729U (zh) 一种核酸检测生产线
JPH11104757A (ja) 金型交換装置
CN216188594U (zh) 一种自动传料装置
KR100343514B1 (ko) 중량물 이송용 행거
CN115215074B (zh) 料盘排空装置及料盘排空方法
SU1311908A1 (ru) Сборочный цен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