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346B1 -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끼움부재 - Google Patents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끼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346B1
KR100580346B1 KR1020030086810A KR20030086810A KR100580346B1 KR 100580346 B1 KR100580346 B1 KR 100580346B1 KR 1020030086810 A KR1020030086810 A KR 1020030086810A KR 20030086810 A KR20030086810 A KR 20030086810A KR 100580346 B1 KR100580346 B1 KR 10058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heet
tray
lead
cultured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711A (ko
Inventor
마스까즈이노이에
요시히데니나가와
유끼오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4005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2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78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retained or enclosed in a folded-over or doubled car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containing, or adapted to contain, solid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과제) 배양세포 시트가 운반시에 어긋나거나 결손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에서는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와 트레이 오목부 (22) 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네트 (45)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대략 선접촉하는 동시에 트레이 오목부 (22) 의 저면 표면측에도 대략 선접촉하고, 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와 리드 오목부 (32) 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네트 (46)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대략 선접촉하는 동시에 리드 오목부 (32) 의 저면 이면측에도 대략 선접촉함으로써, 밀폐공간 (S) 에 공기를 거의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충전된 배지 내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운반시에 흔들렸다 하더라도 배지가 출렁거리지 않아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내포되어 있는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어긋날 우려가 없다. 또, 공기에 의한 열화의 우려도 없다.

Description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끼움부재{CULTURED CELL SHEET PACKING MEMBER AND SHEET INSERTING MEMBER}
도 1 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의 제작플로우이다.
도 2 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 은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단면도 (좌측 반) 이다.
도 4 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 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단면도 (좌측 반) 이다.
도 6 은 네트의 끼워맞춤부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양상피세포 시트
12: 배양플라스크
14: 제 1 캐리어
16: 제 2 캐리어
18: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20: 포장용기
21: 트레이
22: 트레이 오목부
23: 트레이 제방부
24: 트레이 홈부
25: 트레이 칼라부
26: 환형상 단차
27: 삼각형상 단차
31: 리드
32: 리드 오목부
33: 리드 칼라부
33: 리드 제방부
34: 리드 홈부
35: 리드 칼라부
41: 시일
45,46: 네트
50: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본 발명은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 끼움 (挾持)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포나 조직을 인비트로 (생체 밖) 에서 배양하여 다시 생체에 적용함으로써 치료를 실시하는 조직공학이나 재생의료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환자 본인이나 도너의 피부 또는 구강점막 등의 일부를 채취하여 시트형상으로 배양한 후 생체에 적용하는 기술에 관해서는 실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예컨대, 피부의 경우, 모반, 궤양, 열상, 문신 등의 치료나, 이식용 피부를 채취한 피부채취부에 배양상피 (표피) 세포 시트의 이식이 시도되고 있다. 또, 구강점막의 경우, 치주병이나 악성 종양 등의 구강내 질환에 의한 잇몸 및 점막조직의 창상 (創傷)ㆍ결손에 대한 치료로서 구강점막 상피세포를 사용한 배양세포 시트의 이식이 시도되고 있다. 이들 배양세포 시트는 조직공학의 수법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피 (표피) 세포가 5 ∼ 10 층으로 중층화된 얇은 시트형상의 구조가 되도록 배양플라스크 내에서 배양한 후, 배양플라스크로부터 박리하여 이식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양세포 시트의 제작은 배양조작이 번잡하여 보통의 의료기관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로 인해, 충분한 배양설비가 갖추어지고 숙련된 배양기술을 가진 대학병원 등의 전문설비에서만 이 배양세포의 이식치료가 실시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 배양플라스크에 의한 수송의 경우, 배양세포 시트의 박리작업을 의료기관에서 실시하게 되므로 수술전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해져 시술자의 부담이 된다.
이 점에서, 전문시설에서 제작된 배양세포 시트가 적절하게 포장되어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면 일반적인 수술설비가 있는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많은 환자가 배양세포의 이식치료를 향수할 수 있다. 이 종류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제273380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질 시트에 클립고정시킨 배양상피세포 시트를 트레이 오목부의 저면 상에 탑재시키고, 이 트레이 오목부에 배양배지를 넣은 후 시트형상의 리드에 의해 트레이를 밀봉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보 제2733800호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는 포장시에 내부에 공기가 남아 있을 우려가 있다. 내부에 공기가 잔존해 있으면 운반시의 흔들림 등에 의해 배양배지가 출렁거리거나 배양배지중을 기포가 이동하여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어긋나거나 결손될 우려가 있고,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공기와 접촉하여 열화될 우려가 있다. 또, 기판 시트에 클립고정된 배양상피세포 시트와 리드 사이에 간극이 비어 있기 때문에, 운반시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가 흔들리면 배양상피세포 시트와 리드가 충돌하여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배양세포 시트가 운반시에 어긋나거나 결손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는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택하였다.
즉,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는,
기밀하면서 액밀한 재질로 구성된 트레이와,
기밀하면서 액밀한 재질로 구성된 리드와,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드로 둘러싸인 밀폐공간에 공기를 거의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충전된 액체배지와,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상기 액체배지에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를 구비한 것이다.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는 밀폐공간에 충전된 액체배지는 공기가 거의 완전히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배지에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는 공기에 의해 열화될 우려는 없다. 또, 운반시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가 흔들렸다 하더라도 액체배지가 출렁거리거나 액체배지중을 기포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어긋나거나 결손될 우려도 없다. 또한, 「공기를 거의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충전된 액체배지」에서 「공기를 거의 완전히 제거」란, 이들 효과를 나타낼 정도로 공기를 제거해 둔다는 의미로, 완전히 공기를 제거하는 경우 외에 공기가 소기포로서 약간 잔존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는,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서 상기 트레이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 1 개재부재와,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리드 사이에서 상기 리드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 2 개재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는 배양세포 시트는 제 1 개재부재와 제 2 개재부재에 의해 액체배지 내에서 지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운반시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가 흔들렸다 하더라도 배양세포 시트는 쉽게 이동하지 않아 배양세포 시트가 리드나 트레이와 충돌하여 손상된다는 우려가 없다. 또, 배양세포 시트 와 제 1 및 제 2 개재부재는 전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배양세포 시트가 제 1 및 제 2 개재부재에 의해 데미지를 입는 일도 거의 없다. 따라서,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 의하면 트레이나 리드와 배양세포 시트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배양세포 시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양세포 시트」란, [종래 기술] 란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세포만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복수층 (중층화) 의 배양상피 (표피) 세포 시트뿐만 아니라, 상피 (표피) 세포가 콜라겐 겔이나 피브린 겔 등으로 구성되는 시트형상의 스캐폴드 (Scaffold) 상에서 배양된 것도 포함한다. 또, 콜라겐 스폰지나 히알루론산 스폰지 등의 다공질체를 스캐폴드로서 선유아세포를 파종ㆍ배양한 배양진피나, 이 배양진피 상에 상피 (표피) 세포층을 형성한 복합형 배양피부 등 시트형상의 세포삽입형 이식물을 포함한다.
「트레이」, 「리드」, 「제 1 개재부재」, 「제 2 개재부재」의 재질은 액체배지나 배양세포 시트에 대해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테플론 (등록상표) 등의 합성수지,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세라믹스, 알루미나 세라믹스, 유리 등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제 1 개재부재」나 「제 2 개재부재」에 대해서는 배양세포 시트에 데미지를 입히지 않는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앞에 기술한 합성수지 외에 실리콘고무 등의 탄성재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는 평면형상의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 및 상기 제 2 개재부재에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배양세포 시트는 평면형상의 지지체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배양세포 시트가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지 않아도 취급시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다 펼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해진다. 여기에서, 배양세포 시트를 평면형상의 지지체에 지지함에 있어서는 하나의 지지체 편면과 배양세포 시트를 중첩하여 지지해도 되고, 하나의 지지체를 배양세포 시트로 포장해도 되고, 하나의 지지체를 접어서 그 사이에 배양세포 시트를 포장해도 되고, 2 개의 지지체 사이에 배양세포 시트를 끼워 넣어도 되고, 그 외에 어떤 방법을 채택해도 된다.
이와 같이 지지체에 지지된 배양세포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는 창상 피복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창상 피복재로 형성된 지지체는 배양세포 시트를 지지하는 데에 적합하고, 또한 배양세포 시트를 사용할 때 지지체의 지지를 해제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하다. 여기에서, 창상 피복재로는, 예컨대 멸균거즈, 베스키친 (등록상표) 등의 생체성분 피복재, 소브산 (등록상표) 등의 아르기닌산염 피복재, 듀오액티브 (등록상표) 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바이오클루시브 (등록상표) 등의 폴리우레탄필름 드레싱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창상 피복재를 배양세포 시트 편면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했을 때에는 이식 부위에 적용한 후, 그대로 창상 피복재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배양세포 시트에 데미지를 입히지 않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 (예컨대, 실리콘고무) 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콜라겐 겔, 피브린 겔, 젤라틴, 한천배지 등을 시트형상으로 한 것이나, 멸균종이, 멸균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와 같이 지지체에 지지된 배양세포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는 제 1 지지시트와 제 2 지지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지지시트는 그 편면이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중첩되어 일체가 되고, 상기 제 2 지지시트는 상기 제 1 지지시트와 일체화된 상기 배양세포 시트를 포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배양세포 시트는 제 1 지지체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배양세포 시트가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지 않아도 취급시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데다 펼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이식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면, 배양세포 시트의 이식 적용면 (이식 부위와 접촉하는 면) 의 반대측을 제 1 지지시트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양세포 시트의 이식 적용면은 제 1 지지시트에 의해서는 피복되지 않지만 제 2 지지시트에 의해 포장되어 피복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보호된다. 특히, 배양상피 (표피) 세포 시트의 경우, 이식 적용면의 세포증식능력을 갖는 기저층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시트의 개봉부를 리드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지지시트를 트레이 내에 남긴 채 제 1 시트에 지지된 배양세포 시트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가 상기 배양세포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제 2 개재부재가 상기 배양세포 시트에 접촉하는 위 치는 서로 대향하지 않고 어긋나 있어도 된다. 양 위치가 대향하고 있으면 트레이 또는 리드가 변형되었을 때 배양세포 시트가 그 위치에서 끼여 과대한 압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는 것에 반해, 양 위치가 대향하지 않고 어긋나 있으면 트레이 또는 리드가 변형되었다 하더라도 배양세포 시트가 끼지 않아 과대한 압력이 가해질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는 상기 트레이와는 별체로 성형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며,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상기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제 1 개재부재나 제 2 개재부재가 트레이나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 개재부재를 개별적으로 다룰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포장시나 포장 해제시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한편, 제 1 개재부재나 제 2 개재부재가 트레이나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트레이와 리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 제 1 개재부재가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제 2 개재부재가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② 제 1 개재부재가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제 2 개재부재가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③ 제 1 개재부재가 트레이와는 별체로 성형되고, 제 2 개재부재가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④ 제 1 개재부재가 트레이와는 별체로 성형되고, 제 2 개재부재가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는 격자형상의 선 부재이거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재이며,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격자형상의 선부재이거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재이어도 된다. 선부재를 채택했을 때에는 배양세포 시트와의 접촉이 대략 선접촉이 되고, 돌기부재를 채택했을 때에는 배양세포 시트와의 접촉이 대략 점접촉이 되기 때문에 어느쪽이든 배양세포 시트에 부담이 잘 가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① 제 1 개재부재 및 제 2 개재부재 모두 격자형상의 선부재이어도 되고, ② 제 1 개재부재 및 제 2 개재부재 모두 복수의 돌기부재이어도 되고, ③ 제 1 개재부재가 격자형상의 선부재이며, 제 2 개재부재가 복수의 돌기부재이어도 되고, ④ 제 1 개재부재가 복수의 돌기부재이며, 제 2 개재부재가 격자형상의 선부재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는 상기 트레이와는 별체의 네트이거나 또는 상기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복수의 돌기부재이며,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상기 리드와는 별체의 네트이거나 또는 상기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복수의 돌기부재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 및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양 부재에 의해 상기 배양세포 시트가 손상을 받지 않는 가압력으로써 상기 배양세포 시트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 포장된 배양세포 시트가 양 개재부재에 의해 데미지를 입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밀폐공간의 높이에서 제 1 개재부재의 높이와 제 2 개재부재의 높이의 합을 뺀 값이 배양세포 시트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지지체도 포함) 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배양세포 시트의 두께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는 용도로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의 운반시에 사용되어도 된다. 배양세포 시트는 전문시설에서 제작된 후 의료기간으로 운반될 때 배양세포 시트를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 의하면 의료현장에서 취급하기 용이한 박리된 상태의 배양세포 시트를 수송하는 경우라도 그 요망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는, 상기 트레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트레이 오목부와, 상기 리드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리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드로 둘러싸인 상기 밀폐공간은 상기 트레이 오목부와 상기 리드 오목부 사이에 놓인 공간이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드 개봉시에 밀폐공간에 충전된 액체배지가 트레이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는 밀폐공간 내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포장시에 밀폐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해지는데, 트레이 및 리드가 모두 오목부를 가짐으로써 액체배지를 밀폐공간에 충전하는 양보다 많이 트레이에 주입하고, 리드로 밀봉할 때 약간의 액체배지와 함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밀폐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 오목부는 배양세포 시트보다 넓은 저면적 (제 1 지지체를 사용했을 때에는 제 1 지지체보다 넓은 면적, 제 2 지지체를 사용했을 때에는 제 2 지지체보다 넓은 면적) 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레이 오목부 및 리드 오목부를 구비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는 상기 트레이 중 상기 트레이 오목부의 외주에 형성된 트레이 제방부와, 상기 트레이 중 상기 트레이 제방부의 외주에 형성된 트레이 홈부와, 상기 리드 중 상기 리드 오목부의 외주에 형성된 리드 제방부와, 상기 리드 중 상기 리드 제방부의 외주에 형성된 리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드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했을 때 상기 트레이 제방부와 상기 리드 제방부가 밀착하고 상기 트레이 홈부와 상기 리드 홈부가 밀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리드 개봉시에 밀폐공간에 충전된 액체배지가 트레이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넘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한층 용이하게 밀폐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레이 홈부 및 상기 리드 홈부 중 적어도 일방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밀봉시에 밀폐공간으로부터 제거된 소량의 액체배지와 공기가 트레이 제방부와 리드 제방부의 간극을 통과한 후, 트레이 홈부 또는 리드 홈부에 형성된 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다 한층 용이하게 밀폐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제방부나 리드 제방부에도 동일한 기능을 갖는 홀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서, 상기 트레이 및 상기 리드는 각각 트레이 칼라부 및 리드 칼라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 및 상기 리드와는 다른 재질의 시일재를 양 칼라부에 걸치도록 점착하여 상기 트레이 및 상기 리드를 밀봉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시일재를 떼어낼 때 시일재는 트레이와 리드와는 다른 재질이기 때문에 때어내기 쉽다.
본 발명의 시트끼움부재는 트레이와 리드로 둘러싸인 밀폐공간에 거의 완전 히 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충전된 액체배지에 배양세포 시트가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 사용되는 시트끼움부재로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트레이와는 별체로 성형된 제 1 끼움부재와,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리드 사이에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된 제 2 끼움부재와, 상기 제 1 끼움부재와 제 2 끼움부재를 실질적으로 일체적으로 걸어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양시트 포장체를 개봉한 후, 제 1 및 제 2 끼움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된 배양세포 시트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지지체로 포장되어 있지 않는 배양세포 시트를 제 1 및 제 2 끼움부재사이에 끼우는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배양세포 시트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한편, 걸어맞춤수단은 제 1 끼움부재와 제 2 끼움부재를 걸어맞춘 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걸어맞춤수단으로서 볼록부와 오목부를 각각의 끼움부재에 형성하여 배양세포 시트를 끼울 때에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걸어맞추고, 배양세포 시트를 꺼낼 때에는 걸어맞춰져 있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분리하도록 해도 된다. 또,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걸어맞춰졌을 때의 제 1 끼움부재와 제 2 끼움부재의 간극이, 끼울 배양세포 시트의 두께 또는 배양세포 시트와 지지체의 두께와 동등 또는 약간 커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끼움부재의 일변과 제 2 끼움부재의 일변이 공통된 변이 되도록 양 부재를 일렬로 나열하여 형성하고, 이 공통된 변을 접는 금으로 하여 접어서 배양세포 시트 (또는 배양세포 시트와 지지체) 를 끼워 넣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1. 배양상피세포 시트의 제작
인폼드 컨센트를 행한 환자로부터 약 1㎠ 의 피부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피부조직은 상피박리용 배지에서 처리함으로써 진피층과 상피층으로 분리되고, 이 상피층을 트립신처리함으로써 상피세포 현탁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배양플라스크의 저면에 피더세포를 부설한 후, 상피세포 현탁액을 파종하였다. 피더세포로는 마이토마이신C 에 의해 증식능력을 억제한 마우스 선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세포파종 후, 5v/v% FBS (소태아 혈청)-DMEM (둘베코변법 이글배지) 을 배양용 배지로 하여 주입하여 피더세포의 존재하에서 상피세포를 배양하였다. 상피세포의 콜로니형성이 확인된 후, 계속적으로 배양함으로써 콘플루언트상태를 거쳐 중층화 (시트화) 하여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형성되었다. 또,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형성될 쯤에는 피더세포의 대부분은 배양계로부터 제거되었다.
2.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의 제작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의 제작방법에 대해 도 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배양되고 있는 배양플라스크 (12) 에 박리용 배지 (400PU/mL 디스파아제 배지) 를 첨가하여 CO2 인큐베이터 (37℃, 10% CO2) 에서 30 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그 후, 배양플라스크 (12) 가 필ㆍ오프ㆍ플라스크의 경우에는 상면의 시일부재를 박리하고, 통상적인 배양플라스크의 경우에는 상면 부분을 핫나이프로 절단하였다. 계속해서, 핀셋을 사용하여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주위의 일부가 배양플라스크 (12) 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확인한 후, 배지를 뽑아버리고 PBS (인산 완충액) 로 2 회 세정하였다. 세정 후, 핀셋을 사용하여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주위를 긁어 떼어낸 후, PBS 를 소량 남기고 뽑아버렸다 (도 1(a) 참조). 한편,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의 전체 면적보다 약간 작은 면적을 갖는 멸균부직포를 제 1 캐리어 (제 1 지지체) (14) 로서 준비하고, 이 제 1 캐리어 (14) 를 배양플라스크 (12) 내의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상에 중첩하고 (도 1(b) 참조),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중 제 1 캐리어 (14) 주위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을 제 1 캐리어 (14) 로 되접어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와 제 1 캐리어 (14) 를 일체화시켰다 (도 1(c) 참조). 배양플라스크 (12) 내에서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는 이식 적용면인 기저층이 아래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캐리어 (14) 는 이식 적용면과는 반대측 면을 피복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멸균트레이에 소량의 액체배지 (수송용 배지) 를 넣고, 제 1 캐리어 (14) 의 약 2.5 배의 면적을 갖는 멸균부직포를 제 2 캐리어 (제 2 지지체) (16) 로서 준비하여 이 제 2 캐리어 (16) 를 멸균트레이 내에 깔았다. 그리고, 제 1 캐리어 (14) 와 일체화시킨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매달아 이식 적용면이 위를 향하도록 멸균트레이 내의 제 2 캐리어 (16) 상에 탑재시키고, 제 2 캐리어 (16) 로 포장하여 (도 1(d) 참조)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로 하였다 (도 1(e) 참조). 즉,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제 1 캐리어 (14) 및 제 2 캐리어 (16) 로 포장한 것이다. 또한, 이 때의 제 2 캐리어 (16) 의 개봉부는 상방에 형성하였다.
3.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제작 - 1
도 2 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포장용기 (20) 는 트레이 (21), 리드 (31) 및 시일 (41) 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21) 는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액체배지를 저장할 수 있는 트레이 오목부 (22) 와, 이 트레이 오목부 (22) 주위에 형성된 트레이 제방부 (23) 와, 이 트레이 제방부 (23)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트레이 홈부 (24) 와, 이 트레이 홈부 (24)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트레이 칼라부 (25) 를 구비하고 있다. 또, 트레이 칼라부 (25) 의 내주측에는 환형상 단차 (26) 가 형성되고, 트레이 칼라부 (25) 의 4 귀퉁이 중 한쪽 귀퉁이에는 삼각형상 단차 (27)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드 (31) 는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으로, 트레이 오목부 (22) 의 깊이보다 얕은 리드 오목부 (32) 와, 이 리드 오목부 (32) 주위에 형성된 리드 제방부 (33) 와, 이 리드 제방부 (33)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리드 홈부 (34) 와, 이 리드 홈부 (34)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리드 칼라부 (35)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 오목부 (22) 에 리드 오목부 (32) 를 끼워 넣어 트레이 제방부 (23) 와 리드 제방부 (33)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홈부 (24) 와 리드 홈부 (34)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칼라부 (25) 에 리드 칼라부 (35) 를 중첩하면, 리드 칼라부 (35) 는 트레이 칼라부 (25) 의 환형상 단자 (26) 와 일치한 상태가 되고, 여기에 시일 (41) 을 씌워 트레이 칼라부 (25) 와 리드 칼라부 (35) 와 시일 (41) 을 열용착시키면, 트레이 오목부 (22) 와 리드 오목부 (32) 로 둘러싸인 밀폐공간 (S) 이 형성된다. 단, 시일 (41) 을 떼어낼 때 삼각형상 단차 (27) 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시일 (41) 과 삼각형상 단차 (27) 는 열용착되지 않는다. 또한, 시일 (41) 의 재질은 트레이 (21) 및 리드 (31) 와는 다른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봉시에 시일 (41) 을 트레이 (21) 및 리드 (31) 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트레이 (21) 의 트레이 오목부 (22) 에 수송용 배지 (항생물질 함유 DMEM) 를 넣고, 상기 2. 에서 제작한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상하에서 네트 (45,46) 로 느슨하게 끼워 넣고, 그것을 수송용 배지에 침지시켰다. 네트 (45,46) 로는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이며, 굵기 2㎜ 의 선부재가 소정 간격 (예컨대 1㎝) 으로 종횡으로 둘러쳐진 것을 사용하였다. 이 선부재는 배양세포 시트의 크기 등에 따라 굵기나 소정 간격이 결정되는데,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접촉면적이 되도록 굵기나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그 후, 트레이 오목부 (22) 에 리드 오목부 (32) 를 끼워 넣고, 밀폐공간 (S) 에 공기가 잔류하지 않도록 트레이 제방부 (23) 와 리드 제방부 (33)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홈부 (24) 와 리드 홈부 (34)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칼라부 (25) 에 리드 칼라부 (35) 를 중첩하면, 리드 칼라부 (35) 는 트레이 칼라부 (25) 의 환형상 단자 (26) 와 일치한 상태가 되고, 여기에 시일 (41) 을 씌워 트레이 칼라부 (25) 와 리드 칼라부 (35) 와 시일 (41) 을 열용착하였다. 이 결과, 트레이 오목부 (22) 와 리드 오목부 (32) 로 둘러싸인 밀폐공간 (S) 은 수송용 배지로 채워지고, 그 수송용 배지 내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가 네트 (45,46) 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가 완성되었다.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의 단면도 (좌측 반) 를 도 3 에 나타낸다. 또한, 이상의 조작은 무균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또, 포장용기 (20) 및 네트 (45,46) 는 미리 멸균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에서는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와 트레이 오목부 (22) 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네트 (45)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대략 선접촉하는 동시에 트레이 오목부 (22) 의 저면 표면측에도 대략 선접촉하고, 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와 리드 오목부 (32) 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네트 (46)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대략 선접촉하는 동시에 리드 오목부 (32) 의 저면 이면측에도 대략 선접촉함으로써 수송용 배지 내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지지하고 있다. 또, 트레이 오목부 (22) 의 저면 표면측으로부터 리드 오목부 (32) 의 저면 이면측까지의 거리 (즉 밀폐공간 (S) 의 높이) 에서 네트 (45) 의 두께와 네트 (46) 의 두께를 뺀 값이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네트 (45,46)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가압하는 힘은 미약하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에 의하면 밀폐공간 (S) 에 충전된 액체배지는 공기가 거의 완전히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배지에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는 공기에 의해 열화될 우려가 없다. 또, 운반시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가 흔들렸다 하더라도 액체배지가 출렁거리거나 액체배지중을 기포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어긋나거나 결손될 우려가 없고,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는 쉽게 이동하거나 해제되지 않아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내포되어 있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트레이 (21) 나 리드 (31) 와 충돌하여 손상된다는 우려도 없다. 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와 네트 (45,46) 는 전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략 선접촉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게다가 네트 (45,46)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가압하는 힘은 미약하기 때문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내포되어 있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네트 (45,46) 에 의해 데미지를 입는 일도 거의 없다. 따라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특히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의 생착ㆍ치유에 중요한 기저층) 를 손상시키지 않고 운반할 수 있다.
또, 사용시에는 트레이 (21) 및 리드 (31) 의 각 오목부 (22,32) 로 밀폐공간 (S) 을 구성함으로써 리드 (31) 의 개봉시에 밀폐공간 (S) 에 충전된 액체배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구성하는 제 2 캐리어 (16) 의 개봉부를 리드측으로 함으로써 리드 (31) 를 열고 네트 (46) 를 제거한 후, 제 2 캐리어 (16) 를 개봉함으로써 제 1 캐리어 (14) 에 매달린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노출되어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네트 (45,46) 는 트레이 (21) 나 리드 (31) 와는 별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트레이 (21) 나 리드 (31) 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밀폐공간 (S) 의 높이에서 네트 (45,46) 의 두께의 합을 뺀 값이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네트 (45,46) 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손상을 받지 않는 가압력으로써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작은 접촉면적으로 접촉하고 있게 되어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확실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에 포장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네트 (45,46) 에 의해 데미지를 입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는 창상 피복재로 형성된 제 1 캐리어 (14) 에 의해 보강되고 있기 때문에, 배양세포 시트 (10) 가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지 않아도 취급시에 파손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데다 펼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해지고, 게다가 제 1 캐리어 (14) 에 지지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제 2 캐리어 (16) 로 포장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세포증식능력을 갖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의 기저층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제 1 캐리어 (14) 는 창상 피복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사용할 때 제 1 캐리어 (14) 의 지지를 해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서는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끼어넣는 네트 (45) 와 네트 (46) 는 격자가 일치하도록 배치하였지만, 격자가 일치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해도 된다. 또, 트레이 (21) 나 리드 (31) 는 별체의 네트 (45,46) 를 사용하는 대신에, 트레이 오목부 (22) 의 저면 표면측에 네트 (45) 와 유사한 격자형상의 선부재를 일체적으로 성형에 의해 형성하거나, 리드 오목부 (32) 의 저면 이면측에 네트 (46) 와 유사한 격자형상의 선부재를 일체적으로 성형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4.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제작 - 2
도 4 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포장용기 (60) 는 트레이 (61), 리드 (71) 및 환형상 시일 (81) 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61) 는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액체배지를 저장할 수 있는 트레이 오목부 (62) 와, 이 트레이 오목부 (62) 주위에 형성된 트레이 제방부 (63) 와, 이 트레이 제방부 (63)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트레이 홈부 (64) 와, 이 트레이 홈부 (64)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트레이 칼라부 (65) 와, 트레이 오목부 (62) 의 저면 표면측에 소정 간격 (예컨대 1㎝) 으로 종횡으로 세워 설치된 복수의 삼각추형상의 돌기 (68)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 (68) 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의 크기 등에 따라 개수, 소정 간격이나 돌기형상이 결정되는데,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접촉면적이 되도록 개수, 간격, 돌기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 정점은 뾰족하게 되어 있어도 되지만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 트레이 칼라부 (65) 의 내주측에는 환형상 단차 (66) 가 형성되고, 트레이 칼라부 (65) 의 4 귀퉁이 중 한쪽 귀퉁이에는 삼각형상 단차 (67)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드 (71) 는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으로, 트레이 오목부 (62) 의 깊이보다 얕은 리드 오목부 (72) 와, 이 리드 오목부 (72) 주위에 형성된 리드 제방부 (73) 와, 이 리드 제방부 (73)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리드 홈부 (74) 와, 이 리드 홈부 (74)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리드 칼라부 (75) 와, 리드 오목부 (72) 의 저면 이면측에 소정 간격 (예컨대 1㎝) 으로 종횡으로 세워 설치된 복수의 삼각추형상의 돌 기 (78)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트레이 오목부 (62) 에 리드 오목부 (72) 를 끼워 넣어 트레이 제방부 (63) 와 리드 제방부 (73)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홈부 (64) 와 리드 홈부 (74)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칼라부 (65) 에 리드 칼라부 (75) 를 중첩하면, 리드 칼라부 (75) 는 트레이 칼라부 (65) 의 환형상 단차 (66) 와 일치한 상태가 되고, 여기에 환형상 시일 (81) 을 씌워 트레이 칼라부 (65) 와 리드 칼라부 (75) 와 환형상 시일 (81) 을 열용착시키면, 트레이 오목부 (62) 와 리드 오목부 (72) 로 둘러싸인 밀폐공간 (S) 이 형성된다. 단, 환형상 시일 (81) 을 떼어낼 때 삼각형상 단차 (67) 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환형상 시일 (81) 과 삼각형상 단차 (67) 는 열용착되지 않는다.
또한, 트레이 (61) 의 트레이 오목부 (62) 에 수송용 배지 (항생물질 함유 DMEM) 를 넣고, 상기 2. 에서 제작한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트레이 오목부 (62) 의 저면 표면측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돌기 (68) 상에 탑재시켰다. 그 후, 트레이 오목부 (62) 에 리드 오목부 (72) 를 끼워 넣어, 밀폐공간 (S) 에 공기가 잔류하지 않도록 트레이 제방부 (63) 와 리드 제방부 (73)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홈부 (64) 와 리드 홈부 (74) 를 일치시키고, 트레이 칼라부 (65) 에 리드 칼라부 (75) 를 중첩하면, 리드 칼라부 (75) 는 트레이 칼라부 (65) 의 환형상 단차 (66) 와 일치한 상태가 되고, 여기에 환형상 시일 (81) 을 씌워 트레이 칼라부 (65) 와 리드 칼라부 (75) 와 환형상 시일 (81) 을 열용착시켰다. 이 결과, 트레이 오목부 (62) 와 리드 오목부 (72) 로 둘러싸인 밀폐공간 (S) 은 수송용 배지로 채워지고, 그 수송용 배지 내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가 돌기 (68,78) 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가 완성되었다.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의 단면도 (좌측 반) 를 도 5 에 나타낸다. 또한, 이상의 조작은 무균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또, 포장용기 (60) 는 미리 멸균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에서는 트레이 오목부 (62) 의 저면 표면측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기 (68)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대략 점접촉하고, 또 리드 오목부 (72) 의 저면 이면측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기 (78)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대략 점접촉함으로써 수송용 배지 내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지지하고 있다. 또, 돌기 (68) 의 선단으로부터 돌기 (78) 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돌기 (68,78)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가압하는 힘은 미약하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에 의하면 밀폐공간 (S) 에 충전된 액체배지는 공기가 거의 완전히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배지에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는 공기에 의해 열화될 우려가 없다. 또, 운반시에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가 흔들렸다 하더라도 액체배지가 출렁거리거나 액체배지중을 기포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어긋나거나 결손될 우려가 없고,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는 쉽게 이동하거나 해제되지 않아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내포되어 있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트레이 (61) 나 리드 (71) 와 충돌하여 손상된다는 우려가 없다. 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와 돌기 (68,78) 는 전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략 선접촉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게다가 돌기 (68,78)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가압하는 힘은 미약하기 때문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내포되어 있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돌기 (68,78) 에 의해 데미지를 입는 일도 거의 없다. 따라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특히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의 생착ㆍ치유에 중요한 기저층) 를 손상시키지 않고 운반할 수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 (68)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접촉하는 위치와 돌기 (78) 가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접촉하는 위치는 서로 대향하지 않고 어긋나 있기 때문에, 성형오차나 수송시에 변형이 생겼다 하더라도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과대한 압력이 가해질 우려가 없다. 또한, 돌기 (68,78) 는 트레이 (61) 나 리드 (71) 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별체의 경우에 비해 포장시나 포장해제시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밀폐공간 (S) 의 높이에서 돌기 (68,78) 의 높이의 합을 뺀 값이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의 두께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확실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돌기 (68,78) 는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손상을 받지 않는 압력으로써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에 작은 접촉면적으로 접촉하고 있게 되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에 포장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가 돌기 (68,78) 에 의해 데미지를 입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 (14) 및 제 2 캐리어 (16) 에 의한 효과는 상기 3. 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0) 와 동일하다.
또한, 환형상 시일 (81) 에 의해 트레이 칼라부 (65) 와 리드 칼라부 (75) 를 열용착시키고 있으므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를 안정적으로 겹쳐 쌓을 수 있어 복수의 배양세포 시트를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 제방부 (33) 를 교가 (橋架) 하는 크기의 판재를 리드 제방부 (33) 상에 부설한 후, 다른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를 탑재시키도록 하면 배양세포 시트 (10) 가 지지되는 밀폐공간 (S) 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복수의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를 안정적으로 겹쳐 쌓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판재를 미리 트레이 오목부 (22) 의 하부에 부착시켜 일체화시켜도 된다. 또, 밀폐공간 (S) 을 구성하는 벽면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환형상 시일 (81) 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리드 (71) 를 투명부재로 형성하면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0) 를 개봉하지 않고 밀폐공간 (S) 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어, 수송에 의한 캐리어의 해제나 배양세포 시트의 파손 등의 문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시일 (41) 과 리드 (31) 를 모두 투명부재로 했을 때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트레이 (61) 나 리드 (71) 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기 (68,78) 를 사용하는 대신에 트레이 (61) 나 리드 (71) 와는 별체의 평면판에 동일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3. 의 네트 (45,46) 와 동일하게 하여 이들 평면판 사이에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를 끼워 넣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3. 또는 4. 에서는 제 1 캐리어 (14) 및 제 2 캐리어 (16) 를 사용하여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지지하였지만, 제 2 캐리어 (16) 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캐리어 (14) 만 사용해도 되고, 제 1 캐리어 (14) 를 사용하지 않고 제 2 캐리어 (16) 만 사용해도 되고, 양 캐리어 (14,16) 를 사용하지 않고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직접 네트 (45,46) (또는 돌기 (68,78)) 로 끼워 넣어도 된다. 또, 상기 3. 에서 트레이 (21) 는 트레이 제방부 (23) 나 트레이 홈부 (24) 를 갖지 않고 트레이 오목부 (22) 의 외주에 직접 트레이 칼라부 (25)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리드 (31) 도 리드 제방부 (33) 나 리드 홈부 (34) 를 갖지 않고 리드 오목부 (32) 의 외주에 직접 리드 칼라부 (35)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4. 에 대해서도 동일). 또한, 상기 기술한 일본 특허공보 제2733800호에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오목부 (22) 의 외주에 직접 트레이 칼라부 (25) 가 형성되어 있고 리드로서 시일 (41) 이 직접 열용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리드 홈부 (34,74) 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밀봉시에 밀폐공간 (S) 으로부터 제거된 소량의 액체배지와 공기가 트레이 제방부 (23,63) 와 리드 제방부 (33,73) 의 간극을 통과한 후, 홀로부터 리드 홈부 (34,74) 의 상방으로 배출되고, 리드 칼라부 (35,75) 와 트레이 칼라부 (25,65) 의 내주측 환형상 단차 (26,66) 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시일 (41,81) 을 열용착시킬 수 있고, 밀폐공간 (S) 으로부터 공기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여 액체배지를 충전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트레이 칼라부 (25) 와 리드 칼라부 (35) 와 시일 (41) 을 열용착시키거나, 트레이 칼라부 (65) 와 리드 칼라부 (75) 와 환형상 시일 (81) 을 열용착시켰지만, 열용착 대신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해도 된다.
또한, 네트 (45,46) 의 4 귀퉁이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목부와 볼록부 (걸어맞춤수단) 를 형성하여 양자를 끼워맞춰도 되고, 이 경우에는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 (18) 는 네트 (45,46) 사이에서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네트 (45,46) 와 트레이 (21) 또는 리드 (31)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겼다 하더라도 캐리어 (16) 의 해제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 (45,46) 의 4 귀퉁이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제 2 캐리어 (16) (또는 제 1 및 제 2 캐리어 (14,16) 의 양방) 를 사용하지 않고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네트 (45,46) 로 끼워 넣어 오목부와 볼록부를 걸어맞춤으로써, 트레이 (21) 로부터 네트 (45,46) 와 함께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꺼낸 후에도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확실하게 네트 (45,46) 사이에서 지지할 수 있고, 네트 (45,46) 사이에 지지된 상태로 배양상피세포 시트 (10) 를 세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 의해 운반시에 흔들렸다 하더라도 배지가 출렁거리지 않아 세포 시트내포 캐리어에 내포되어 있는 배양상피세포 시트가 어긋날 우려가 없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공기에 의한 열화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Claims (16)

  1. 기밀하면서 액밀한 재질로 구성된 트레이와,
    기밀하면서 액밀한 재질로 구성된 리드와,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드로 둘러싸인 밀폐공간에 공기를 거의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충전된 액체배지와,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상기 액체배지에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서 상기 트레이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 1 개재부재와,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리드 사이에서 상기 리드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 2 개재부재를 구비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는 평면형상의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개재부재 및 상기 제 2 개재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시트형상의 창상 (創傷) 피복재로 형성되 어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제 1 지지시트와 제 2 지지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지지시트는 그 편면이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중첩되어 일체가 되고, 상기 제 2 지지시트는 상기 제 1 지지시트와 일체화된 상기 배양세포 시트를 포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재부재가 상기 배양세포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제 2 개재부재가 상기 배양세포 시트에 접촉하는 위치는 서로 대향하지 않고 어긋나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재부재는 상기 트레이와는 별체로 성형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며,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상기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인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8.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재부재는 격자형상의 선부재이거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재이며,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격자형상의 선부재이거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재인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재부재는 상기 트레이와는 별체의 네트이거나 또는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복수의 돌기부재이며,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상기 리드와는 별체의 네트이거나 또는 상기 리드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복수의 돌기부재인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0.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재부재 및 상기 제 2 개재부재는 양 부재에 의해 상기 배양세포 시트가 손상을 받지 않는 가압력으로써 상기 배양세포 시트에 접촉하고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1.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의 운반시에 사용되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2.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중앙에 형성된 트레이 오목부와,
    상기 리드의 중앙에 형성된 리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드로 둘러싸인 상기 밀폐공간은 상기 트레이 오목부와 상기 리드 오목부 사이에 놓인 공간인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중 상기 트레이 오목부의 외주에 형성된 트레이 제방부와,
    상기 트레이 중 상기 트레이 제방부의 외주에 형성된 트레이 홈부와,
    상기 리드 중 상기 리드 오목부의 외주에 형성된 리드 제방부와,
    상기 리드 중 상기 리드 제방부의 외주에 형성된 리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와 상기 리드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했을 때 상기 트레이 제방부와 상기 리드 제방부가 밀착하고 상기 트레이 홈부와 상기 리드 홈부가 밀착하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홈부 및 상기 리드 홈부 중 적어도 일방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및 상기 리드는 각각 트레이 칼라부 및 리드 칼라부를 갖고, 상기 트레이 및 상기 리드와는 다른 재질의 시일재를 양 칼라부에 걸치도록 점착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및 상기 리드를 밀봉하고 있는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16. 트레이와 리드로 둘러싸인 밀폐공간에 거의 완전히 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충전된 액체배지에 배양세포 시트가 침지된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에 사용되는 시트끼움부재로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트레이와는 별체로 성형된 제 1 끼움부재와,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상기 리드 사이에서 상기 배양세포 시트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리드와는 별체로 성형된 제 2 끼움부재와,
    상기 제 1 끼움부재와 제 2 끼움부재를 실질적으로 일체적으로 걸어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시트끼움부재.
KR1020030086810A 2002-12-09 2003-12-02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끼움부재 KR100580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6402A JP2004187518A (ja) 2002-12-09 2002-12-09 培養細胞シート包装体及びシート挟持部材
JPJP-P-2002-00356402 2002-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711A KR20040050711A (ko) 2004-06-16
KR100580346B1 true KR100580346B1 (ko) 2006-05-16

Family

ID=327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810A KR100580346B1 (ko) 2002-12-09 2003-12-02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끼움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187518A (ko)
KR (1) KR100580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200602094B (en) * 2006-01-16 2007-11-28 Reliance Life Sciences Pvt Ltd Device for culturing and transporting cells
KR20080037883A (ko) * 2006-10-27 2008-05-02 세원셀론텍(주) 메디컬 키트 및 이의 사용방법
KR100863769B1 (ko) * 2007-06-19 2008-10-16 소창호 배양효율을 개선한 배양기와, 대량의 급속생산이 가능한감자줄기 배양방법
JP6952973B2 (ja) * 2017-01-31 2021-10-27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シート状生体組織の輸送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輸送方法
JP6951893B2 (ja) * 2017-07-20 2021-10-20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機構を具備する脆弱物保持デバイス
JP6983562B2 (ja) * 2017-07-20 2021-12-17 テルモ株式会社 液体保持空間を具備する脆弱物保持デバイス
JP7064247B2 (ja) * 2017-10-24 2022-05-10 株式会社サンプラテック 細胞収容容器
JP7219560B2 (ja) * 2018-07-10 2023-02-08 テルモ株式会社 検体回収機構を具備する移植片収容デバイス
KR102115806B1 (ko) * 2019-06-07 2020-05-28 (주)푸르고바이오로직스 홀이 형성된 골 이식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1786B2 (ja) * 2001-05-16 2010-02-24 株式会社 ジャパン・ティッシュ・エンジニアリング 培養細胞シート包装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2335950A (ja) * 2001-05-17 2002-11-26 Menicon Co Ltd 膜組織のための保存/輸送容器並びに保存/輸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711A (ko) 2004-06-16
JP2004187518A (ja) 200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2258B2 (ja) 培養細胞シート包装体
JP4896494B2 (ja) 培養組織のための包装体及び培養組織包装体
JP4749155B2 (ja) 培養細胞シート包装体
US56817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age and transporation of bioartificial organs
JP2733800B2 (ja) 皮膚創傷包帯の包装体
KR100580346B1 (ko) 배양세포 시트 포장체 및 시트끼움부재
JP2002335950A (ja) 膜組織のための保存/輸送容器並びに保存/輸送方法
KR20080087029A (ko) 세포 배양 및 수송 장치
JP2007175028A (ja) 閉鎖系細胞培養容器、閉鎖系細胞培養用キット、及び閉鎖系細胞培養容器の製造方法
JP2013128457A (ja) 包装容器
JPWO2014208525A1 (ja) 貼付型人工皮膚製剤
JP7319976B2 (ja) 検体回収機構を具備する移植片収容デバイス
AU732565B2 (en) Cell-culture system
JP4459579B2 (ja) 培養装置
JP2003070460A (ja) 膜組織用裏打ち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膜組織の保存/輸送方法
JP6952973B2 (ja) シート状生体組織の輸送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輸送方法
JPWO2020013174A5 (ko)
JP4421786B2 (ja) 培養細胞シート包装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7588932B2 (en) Insert device for culturing cells
JP7219560B2 (ja) 検体回収機構を具備する移植片収容デバイス
JP2002000699A (ja) 医療用具のための包装材料
JP2013215168A (ja) シート状移植片保持容器
JP7224122B2 (ja) 検体回収機構を具備する移植片収容デバイス
JP2024519818A (ja) 組織容器システム
JP2020179183A (ja) 埋め込み可能な封入デバイスと共に使用するツールおよび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