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898B1 - 차량용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898B1
KR100572898B1 KR1019980040812A KR19980040812A KR100572898B1 KR 100572898 B1 KR100572898 B1 KR 100572898B1 KR 1019980040812 A KR1019980040812 A KR 1019980040812A KR 19980040812 A KR19980040812 A KR 19980040812A KR 100572898 B1 KR100572898 B1 KR 100572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mirror
rigid link
mirror cas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714A (ko
Inventor
로버트 윌리암 길버트
게리 고든 레슬리 피메리
잉그마르 만프레드 비르그덴
Original Assignee
브리탁스 레인스포드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탁스 레인스포드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리탁스 레인스포드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3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부 미러는 미러 케이스 플레이트(20), 중간 부재(38), 차량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18), 및 제 1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할 수 있도록 중간 부재(38)의 일단부를 미러 케이스 플레이트(20)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56,72)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강성 링크(26,42)가 베이스(10)와 중간 부재(38)의 대향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대향 단부들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의 전방에 보다 근접해 있는 제 1 및 제 2강성 링크(26,42)의 한단부에서의 피봇 조인트(28,44)는 제 1 및 제 2링크(26,42)의 다른 단부에서의 피봇 조인트(40,52)보다 서로 더 넓게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미러{A VEHICLE MIRROR}
본 발명은 차량문 또는 차체의 인접한 부분에 장착되는 차량용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에 의해 미러 케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 1단부와, 베이스 피봇 조립체에 의해 차량에 고정될 접촉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 2단부를 구비한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제 3237289호에는 제 1피봇 축선이 베이스와 미러 케이스의 접촉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 2피봇 축선이 그의 후방 에지부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형태의 미러가 개시되어 있다. 미러 케이스가 정면으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미러 케이스는 제 2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미러 케이스의 접촉면의 후방 에지부는 지지대(fulcrum)로서 역할을 한다. 유사하게, 미러 케이스가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미러 케이스는 전방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며, 미러 케이스의 접촉면의 전방 에지부가 지지대로서 역할을 한다.
미러 케이스가 마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로서 미러 케이스의 에지부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미러 케이스가 페인트 마무리처리된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차량의 전체 폭을 줄이기 위해 미러 케이스가 주차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미러 케이스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결국, 후방 이동시 마모 손상의 위험성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제 5009362호에는 상기한 형태의 차량용 외부 미러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베이스, 중간 부재, 및 케이스 사이를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아치형 슬롯의 배열을 포함하여서, 미러 케이스가 베이스와 미러 케이스의 접촉면 전후방으로 각각 가상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러한 미러는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충돌시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간단한 구조의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형태의 차량용 외부 미러에 있어서,
베이스 피봇 조립체는,
제 1단부 및 제 2단부를 구비한 제 1강성 링크와,
제 1단부 및 제 2단부를 구비한 제 2강성 링크와,
제 1강성 링크의 제 1단부를 베이스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1피봇 조인트와,
제 1피봇 조인트가 베이스 부재의 접촉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보다 더 떨어진 거리에서 제 2강성 링크의 제 1단부를 베이스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2피봇 조인트와,
제 1강성 링크의 제 2단부를 중간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3피봇 조인트와, 그리고
제 3피봇 조인트가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로부터 떨어진 거리 보다 적게 떨어진 거리에서 제 2강성 링크의 제 2단부를 중간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4피봇 조인트를 포함하며,
미러 케이스가 정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의 전방에 보다 더 인접해 있는 제 1 및 제 2강성 링크의 단부에서의 피봇 조인트들이 제 1 및 제 2강성 링크의 다른 단부에서의 피봇 조인트들 보다 더 넓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형태의 차량용 외부 미러에 있어서,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는 미러 케이스가 피봇 베어링의 축선 뿐만 아니라 피봇 베어링의 축선에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중간 부재에 대해 각이동할 수 있도록 신장형 슬롯과 결합하는 피봇 베어링과, 피봇 베어링을 신장형 슬롯의 일단부로 편향시키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우측문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이다. 이러한 미러 조립체는 차량문에 접촉되는 접촉면(12)을 갖는 베이스(10)와, 반사 부재(16)를 포함하는 미러 케이스(14)를 포함하고 있다. 미러 케이스(14)에 대한 반사 부재(16)의 배향은 표준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미러 케이스(14)는 힌지 모듈에 의해 베이스(10)에 연결되는데, 힌지 모듈은 베이스(10)내의 프레임 부재(19)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18)와, 미러 케이스(14)내의 프레임 부재(21)에 고정된 케이스 플레이트(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8)는 두 개의 돌출 림(limb)(22,24)을 구비하는데, 이들 돌출 림(22,24)은 요크(26)의 대응하는 림 사이로 연장하며 각각의 피봇 핀(28,30)에 의해 요크(26)와 연결된다. 요크(26)의 중앙 돌출부(32)는 피봇 핀(40)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38) 상의 중앙 돌출부(34,36) 사이에 저널되는데, 도 1에서 이러한 피봇 핀(40)은 베이스(10)의 외면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요크(26)의 아암은 프레임(19) 위 아래로 연장한다.
U형 링크(42)는 베이스 플레이트(18)로부터 피봇 핀(28,30) 보다 더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피봇 핀(44,46)에 의해 돌출 림(22,24)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림을 구비하고 있다. U형 링크(42)의 공통부는 각각의 피봇 핀(52,54)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38)의 외부 돌출부(48,50)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20)는 피봇 축선(56)에서 돌출부(34,48)에 대향하는 중간 플레이트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러한 연결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중간 플레이트(38)는 케이스 플레이트(20) 상의 신장형 돌출부(64,66) 사이로 연장하는 상부 및 하부 돌출부(60,62)를 구비하고 있다. U형 와이어 스프링(70)이 중간 플레이트(38)와 케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하여서 두 플레이트가 서로를 향해 편향되도록 한다. 스프링(70)의 상부 림은 하방으로 회전된 단부(56)(도 1의 피봇 축선(56)과 동일함)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단부는 케이스 플레이트(20)의 돌출부(64)에 형성된 신장형 슬롯(72)을 통과하여 중간 플레이트(38)의 돌출부(60)에 형성된 구멍(74)으로 연장한다. U형 스프링(70)의 중앙부분은 케이스 플레이트(20)의 우측과 결합하여 케이스 플레이트(20)를 중간 플레이트(38)와 접촉하도록 힘을 가하며, 이후 스프링(70)의 단부(56)는 돌출부(64)의 신장형 슬롯(72)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게 되고, 스프링(70)의 단부(76)는 돌출부(66)의 대응하는 신장형 슬롯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만일 도 4에서와 같이 화살표(78)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방력이 미러 케이스에 가해진다면, 예컨대 지나가는 사람이 미러 케이스에 손을 기대는 것과 같은 하방력이 가해진다면, 케이스 플레이트(20)는 도 3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고, 미러 케이스(14)는 도 4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스프링(70)의 단부(56)는 신장형 슬롯(72)의 좌측 단부에 놓이게 된다. 만일 미러 케이스가 상방력을 받는다면, 미러 케이스(14)는 상기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실제로 매우 크지 않고 스프링(70)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갑작스럽게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기에 충분히 강한 여러 요소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러 케이스(14)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을 때(충격 또는 의도적인 이동에 의한 주차 위치로 이동될 때), 초기에 기구는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선회되며, 미러 케이스(14)의 후방 에지부(80)는 베이스(10)로부터 이격되고, 중간 플레이트(38)는 베이스 플레이트(18)에 대해 이동하며, 케이스 플레이트(20)는 중간 플레이트(38)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미러 케이스(14)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되면, 미러 케이스(14)와 베이스(10)는 서로 완전히 이격된다.
미러 케이스(14)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전방 코너부(8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표면(84) 상으로 선회한다.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케이스 플레이트(20)는 스프링 단부(56,76)를 중심으로 중간 플레이트(38)에 대해 선회하며, 중간 플레이트(38)는 베이스 플레이트(18)에 대해 이동한다.
미러 케이스(14)는 예컨대 독일 특허 제 33075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해제가능한 스프링 클립(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한 기구는 미러 케이스(14)가 도 6에 도시된 것 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중앙 돌출부(34,36)가 U형 링크(42)의 공통부에 대해 접촉하기 때문이다. 도 8은 상기한 기구에 제한받지 않는 개조된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중간 플레이트(38)는 도 2의 스프링 단부(56,76)를 수용하는 구멍(88,90)을 갖는 중간 플레이트(86)로 교체된다. 도 2의 요크(26)는 각각의 피봇 핀(96,98)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86)에 연결된 긴 상부 및 하부 링크(92,94)로 교체된다. 도 2의 U형 링크(42)는 각각의 피봇 핀(107,106)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86)에 긴 연결된 상부 및 하부 링크(100)로 교체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부 미러는 미러가 전방 충돌 또는 수직한 하방력을 받을 때,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rear view mirror)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러의 케이스가 베이스에 연결되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구의 일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러를 차량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미러 케이스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미러 케이스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1과 유사하지만 미러 케이스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기구의 일부분을 개조시킨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부재) 14 : 미러 케이스
16 : 반사 부재 18 : 베이스 플레이트
20 : 케이스 플레이트 22,24 : 돌출 림
26 : 요크
28,30,40,44,46,52,54,96,98,104,106 : 피봇 핀
38 : 중간 플레이트 42 : U형 링크
56,76 : 피봇 베어링 70 : 스프링
72 : 신장형 슬롯

Claims (9)

  1.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에 의해 제 1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할 수 있도록, 미러 케이스(14)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단부와, 베이스 피봇 조립체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접촉면(12)을 갖는 베이스 부재(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단부를 구비한 중간 부재(38)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피봇 조립체는,
    제 1단부 및 제 2단부를 구비한 제 1강성 링크(26)와,
    제 1단부 및 제 2단부를 구비한 제 2강성 링크(42)와,
    상기 제 1강성 링크(26)의 제 1단부를 상기 베이스 부재(10)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1피봇 조인트(28)와,
    상기 베이스 부재(10)의 접촉면(12)으로부터 상기 제 1피봇 조인트(28)의 거리 보다 상기 베이스 부재(10)의 접촉면(12)으로부터 더 떨어진 거리에서 상기 제 2강성 링크(42)의 제 1단부를 상기 베이스 부재(10)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2피봇 조인트(44)와,
    상기 제 1강성 링크(26)의 제 2단부를 상기 중간 부재(38)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3피봇 조인트(40), 및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 3피봇 조인트(40)의 거리 보다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로부터 적게 떨어진 거리에서 상기 제 2강성 링크(42)의 제 2단부를 상기 중간 부재(38)에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의 피봇 축선에 평행한 피봇 축선을 갖는, 제 4피봇 조인트(52)를 포함하며,
    상기 미러 케이스(14)가 정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의 전방에 보다 더 인접해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강성 링크(26,42)의 단부에서의 피봇 조인트들이 상기 제 1 및 제 2강성 링크(26,42)의 다른 단부에서의 피봇 조인트들 보다 더 넓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강성 링크(42)가 상기 제 1강성 링크(26)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피봇 조인트(28,44)가 상기 제 3 및 제 4피봇 조인트(40,52)보다 서로로부터 더 넓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강성 링크(26)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1강성 링크(26)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 3강성 링크로서, 제 1단부가 상기 제 1피봇 조인트(28)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2단부가 상기 제 3피봇 조인트(40)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을 할 수 있도록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3강성 링크, 및
    상기 제 2강성 링크(42)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2강성 링크(42)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 4강성 링크로서, 제 1단부가 상기 제 2피봇 조인트(44)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2단부가 상기 제 4피봇 조인트(52)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을 할 수 있도록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4강성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강성 링크가 상기 제 1강성 링크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강성 링크가 상기 제 4강성 링크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38)와 상기 미러 케이스(14) 사이의 피봇식 연결은 상기 미러 케이스(14)가 피봇 베어링(56,76)의 축선 뿐만 아니라 상기 피봇 베어링(56,76)의 축선에 대해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중간 부재(38)에 대해 각이동할 수 있도록, 신장형 슬롯(72)에 결합하는 피봇 베어링(56), 및
    상기 피봇 베어링(56,76)을 상기 신장형 슬롯(72)의 일단부로 편향시키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 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7.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에 의해 제 1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각이동할 수 있도록, 미러 케이스(14)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단부와, 베이스 피봇 조립체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접촉면(12)을 갖는 베이스 부재(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단부를 구비한 중간 부재(38)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 케이스 피봇 조립체는 상기 미러 케이스(14)가 상기 피봇 베어링(56,76)의 축선 뿐만 아니라 상기 피봇 베어링(56,76)의 축선에 대해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중간 부재(38)에 대해 각이동할 수 있도록, 신장형 슬롯(72)에 결합하는 피봇 베어링(56), 및
    상기 피봇 베어링(56,76)을 상기 신장형 슬롯(72)의 일단부로 편향시키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 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슬롯(72)이 상기 미러 케이스(1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와이어 스프링(70)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스프링(70)의 단부들은 서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중간 부재 내의 각각의 구멍(60) 및 상기 미러 케이스 내의 각각의 신장형 슬롯(72)과 결합하여 상기 피봇 베어링(56,76)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KR1019980040812A 1997-10-03 1998-09-30 차량용 미러 KR100572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20912.6A GB9720912D0 (en) 1997-10-03 1997-10-03 Vehicle exterior mirror
GB9720912.6 1997-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14A KR19990036714A (ko) 1999-05-25
KR100572898B1 true KR100572898B1 (ko) 2007-07-09

Family

ID=1081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812A KR100572898B1 (ko) 1997-10-03 1998-09-30 차량용 미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10226A (ko)
EP (1) EP0906852A3 (ko)
JP (1) JPH11157388A (ko)
KR (1) KR100572898B1 (ko)
BR (1) BR9803818A (ko)
GB (1) GB9720912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6869B (en) * 1999-12-27 2002-05-11 Sanyo Electric Co Voltage producing circuit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uch voltage producing circuit
JP5282050B2 (ja) * 2010-01-21 2013-09-04 株式会社日本除雪機製作所 重量物運搬車のサイドミラーステー機構
GB201220764D0 (en) * 2012-11-19 2013-01-02 Agco Int Gmbh Folding vehicle rear view mirr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9139A (ja) * 1984-04-17 1985-11-01 Ichikoh Ind Ltd ドアミラ−
US4840475A (en) * 1986-04-24 1989-06-20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External mirror for vehicles
KR930002168A (ko) * 1991-07-08 1993-02-22 황명진 파워회동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백미러
KR960014038U (ko) * 1994-10-22 1996-05-17 주식회사 대성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7853734V0 (it) * 1978-09-28 1978-09-28 Vitaloni Spa Specchio retrovisore esterno particolarmente per autocaravan veicoli commerciali e simili
JPS606814B2 (ja) * 1979-04-09 1985-02-20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ダイレクトリモコンバツクミラ−
DE3120002C2 (de) * 1981-05-20 1986-07-24 Unitechnic AG, Chur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DE3237289A1 (de) 1982-10-08 1984-04-12 Reitter & Schefenacker Kg, 7300 Esslingen Aussenrueckblickspiegel
DE3307532A1 (de) 1983-03-03 1984-09-06 Reitter & Schefenacker Kg, 7300 Esslingen Halterung fuer einen abklappbaren kraftfahrzeugaussenspiegel
JPS6032147U (ja) * 1983-08-12 1985-03-05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回避機構付ドアミラ−
JPS60215445A (ja) * 1984-04-10 1985-10-28 Ichikoh Ind Ltd ドアミラ−の格納機構
US4685779A (en) * 1986-04-28 1987-08-11 Kasos N.V. Combined forward and rearward viewing mirror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DE3872866D1 (de) * 1987-12-18 1992-08-20 Hohe Kg Klappbarer aussenspiegel fuer ein fahrzeug.
GB8810219D0 (en) * 1988-04-29 1988-06-02 Britax Geco Sa Exterior mirror for motor vehicle
US5009362A (en) 1989-03-23 1991-04-23 Brangle Jr Edward J Quick-assembled folding carton with reinforced bottom that locks in position
DE3926891C2 (de) * 1989-08-16 1998-02-05 Bernhard Mittelhaeuser Auss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DE4004686C1 (en) * 1990-02-15 1991-05-16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Safety mounting for external driving mirror - allows mirror to swing about axes at both front and rear edges, folding back in either direction during cra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9139A (ja) * 1984-04-17 1985-11-01 Ichikoh Ind Ltd ドアミラ−
US4840475A (en) * 1986-04-24 1989-06-20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External mirror for vehicles
KR930002168A (ko) * 1991-07-08 1993-02-22 황명진 파워회동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백미러
KR960014038U (ko) * 1994-10-22 1996-05-17 주식회사 대성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03818A (pt) 1999-11-16
GB9720912D0 (en) 1997-12-03
EP0906852A3 (en) 2000-03-01
US6010226A (en) 2000-01-04
JPH11157388A (ja) 1999-06-15
EP0906852A2 (en) 1999-04-07
KR19990036714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0066A (en) Exterior rear view mirrors for vehicles
JP5226104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を連結する手段を備える自動車用ワイパー
EP0705733B1 (en) Car rearview mirror
EP1584528B1 (en) Wiper apparatus and wiper structure
JPH03208738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取付構造
KR100572898B1 (ko) 차량용 미러
US4629232A (en) Spring mounted molding for a vehicle
JPH0741818B2 (ja) 車両の外部バックミラー
US4836490A (en) Exterior mirror for a vehicle
GB2227216A (en) An external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KR100473169B1 (ko) 자동차 도어 미러
US6422707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EP0770525A2 (en) Improvements in drive arm assembly for wiper blade
CA1262750A (en) Spring mounted molding for a vehicle
KR200311607Y1 (ko) 자동차용 후사경
JPS6328688Y2 (ko)
JPS5851080Y2 (ja) ドアミラ−
JPS58202127A (ja) 車両用ミラ−装置
KR96001064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H0116680Y2 (ko)
US8419199B2 (en) Mirror head for a rearview mirror, preferably an exterior rearview mirror
NL1005801C2 (nl) Montage-element voor een elektrische verbindingsdoos.
JPH0116678Y2 (ko)
JPS6328041Y2 (ko)
JPH0582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