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294B1 - Am 수신 회로 - Google Patents

Am 수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294B1
KR100572294B1 KR1020040067908A KR20040067908A KR100572294B1 KR 100572294 B1 KR100572294 B1 KR 100572294B1 KR 1020040067908 A KR1020040067908 A KR 1020040067908A KR 20040067908 A KR20040067908 A KR 20040067908A KR 100572294 B1 KR100572294 B1 KR 10057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sound quality
strength
intermediat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903A (ko
Inventor
사이또야스지
다이라마사아끼
히라꼬소유따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46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 H04B1/1661Reduction of noise by manipulation of the baseband composite stereophonic signal or the decoded left and right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에도 적절한 음질 보정을 행하는 AM 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F부(16)는 원하는 방송파의 반송 주파수를 소정의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증폭기에 의해 증폭하여 출력한다. IF-AGC 회로(18)는 중간 주파 신호 출력의 일부를 추출하여, IF부(16)의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한다. IF 신호부(16)의 출력 신호는 AM 검파부(20)에 입력되고,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원래의 변조 신호인 음성 신호를 얻는다. AM 검파부(2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는 음질 보정부(22)에 입력되며, 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켜, 음질을 보정한다. IF 강도 검출부(30)는 IF부(16)로부터 출력된 IF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성분을 BPF(34)로 추출하여, 그 IF 신호 반송파의 강도를 적분기(36)로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음질 보정부(22)는 수신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 IF 신호 반송파 강도 신호에 기초하여 음질의 보정을 행한다.
IF 신호부, IF 강도 검출부, 반송파, 수신 방송파, BPF

Description

AM 수신 회로 {AM RECEPTION CIRCUIT}
도 1은 종래의 AM 수신 회로의 일 실시예인 AM 수신 회로(100)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수신 전계 강도에 대한, IF 신호부의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 강도(실선)와 증폭기의 증폭도(파선)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수신 전계 강도에 대한, 증폭기의 증폭도(파선)와 S 미터 신호 출력(실선)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AM 수신 회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대한, IF 신호 반송파 강도 및 시그널 미터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AM 수신 회로
12, 112 : 안테나
14, 114 : FE(프론트엔드)부
16, 116 : IF 신호부
18, 118 : IF-AGC 회로
20, 120 : 검파부
22, 122 : 음질 보정부
34 : BPF
36 : 적분기
본 발명은 AM 수신 회로, 특히 수신 방송파의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에, 그 전계 강도에 따른 음질 보정을 행하는 AM 수신 회로에 관한 것이다.
AM(진폭 변조) 방식은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변조 신호)를 방송국으로부터 방사 가능한 주파수(반송파)의 진폭에 실어 전송하는 방법으로, 주로 중파 라디오 방송(526.5∼1606.5㎑)에 이용되고 있다. 중파 방송용 주파수대의 전파는 지표파에 의한 전파 외에, 특히 야간에는 지상 100㎞ 부근의 전리층(E층)에 의해 반사되는 공간파에 의한 전파도 더해져서, 넓은 서비스 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등의 이동체에 대하여도 안정된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A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수퍼 헤테로다인 검파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수퍼 헤테로다인 검파 방식이란, 방송국에서의 신호와 수신 장치에 내장된 발진(국부 발진) 회로에 의한 신호를 합성하고, 이것의 비트를 검파하여 중간 주파로 치환하여 증폭하고, 복조하는 방식을 말하며, 높은 증폭 이득을 얻기 쉬워, 혼신을 방지하기 쉽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A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에는 희망하는 방송파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가 필요하게 되지만, 필터의 대역 특성을 바꾸지 않고 중심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국부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켜, 일정한 주파수로 변환된 중간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A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따라, 출력하는 음성 신호인 검파 신호 레벨이 변동되거나, 혼신이 발생되기 쉬워지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 수신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AGC(오토 게인 컨트롤) 회로의 감도를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의해 변경함으로써, 혼신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A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방송파의 전계 강도가 변동한 경우라도,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RF 신호 증폭기 내지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증폭률을 조정하기 위한 AGC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방송파의 전계 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AM 수신기의 스피커 출력 등에는 음성 신호에 대하여 증폭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가 증가한다.
따라서, 약전계(弱電界) 입력 시의 SN비(Signal to Noise ratio; 신호 대 잡음비)의 저하에 따른 청감(聽感) 상의 귀의 거슬림을 억제하기 위해, 검파부 이후의 음성 신호 회로에서, 그 음질을 보정하기 위한 음질 보정 회로가 설치되어 있 다.
예를 들면, FM 수신 장치에서,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기초하여, 톤 컨트롤 회로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의 음질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7-2297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0-13340호 공보
A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수신 방송파 신호의 전계 강도 정보로서, AGC 회로의 AGC 제어 전압(이하 S 미터 신호 출력이라 함)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AM 수신 회로에서의 음질 보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AM 수신 회로의 일 실시예인 AM 수신 회로(100)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송파는 안테나(112)에서 받아, FE(프론트엔드)부(114)로 입력된다. FE부(114)는 RF 증폭기를 구비하며, 방송파 신호를 동기 선택하고 증폭하여 출력한다. IF(Intermediate Frequency: 중간 주파수) 신호부(116)는 반송파 주파수의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수신 방송파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통상 450㎑)가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국부 발신기와, 상기 방송파 신호와 국부 발신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를 구비하며, 수신한 방송파 중 원하는 방송파의 반송파 를 소정의 중간 주파수(통상 450㎑)로 변환한다. 또한, 그 중간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BPF)에 의해 원하는 신호만 추출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IF 신호)로서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AM 수신 회로(100)에는 IF 신호부(116)의 IF 출력 신호 강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IF-AGC 회로(118)를 구비하고 있다. IF-AGC 회로(118)는 IF 신호부(116)의 출력의 일부를 수취하여, AGC 제어 전압(시그널 미터 신호)을 발생시키고, IF 신호부(116)의 입력에 피드백시킴으로써 IF 신호부(116)의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IF 신호부(116)의 출력 신호는 AM 검파부(120)에 입력된다. AM 검파부(120)는 IF 신호로부터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원래의 변조 신호인 음성 신호를 얻는다. 음질 보정부(122)는 IF-AGC 회로(118)가 발생시킨 시그널 미터(S 미터) 신호를 수신 방송 전계 강도 정보를 반영하는 것으로 하여 이용하고, 그에 따라 음질 보정을 행하고 있다.
도 2는 안테나(112)에서 받은 수신 전계 강도에 대한, IF 신호부(116)의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 강도(실선)와 그 증폭기의 증폭도(파선)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칙적으로 수신 전계 강도가 커짐에 따라,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 강도는 커지며, 증폭기의 증폭도는 AGC 회로(118)의 동작에 따라 작아진다. 그러나, 수신 전계 강도 E1 이하에서는 IF 신호부(116)의 증폭기의 증폭도(회로의 증폭률)는 유한하기 때문에, 증폭기의 증폭도는 수신 전계 강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으로 된다.
한편, 도 3에 안테나(112)에서 받은 수신 전계 강도에 대한, IF 신호부(116) 의 증폭기의 증폭도(파선)와 S 미터 신호 출력(실선)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수신 전계 강도가 E1 이상에서는, 증폭기의 증폭도는 AGC 회로(118)에 의해 출력 신호 강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AGC 회로(118)는 수신 방송파 신호의 전계 강도에 따른 S 미터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수신 전계 강도가 E1 이하에서는, 검파 출력인 S 미터 신호는 그 검출 감도가 낮기 때문에 출력되지 않아, AGC 회로(118)가 기능하지 않고, IF부 증폭기의 증폭도는 일정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S 미터 신호 출력을 수신 방송파의 전계 강도 정보로서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수신 방송파 신호의 전계 강도가 E1보다 큰 경우에는, 그 전계 강도에 따른 음질 보정이 가능하지만, 수신 방송파 신호의 전계 강도가 E1보다 작은 약전계 강도 환경 하에서는, 전계 강도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청감상의 귀의 거슬림을 억제하기 위해, 그 음질을 적정히 보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약전계 강도 환경에서, 그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그 전계 강도에 따른 음질 보정을 행하는 AM 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AM 수신 회로는 수신 방송파로부터 생성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부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AM 변조 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하는 AM 검파부와, 상기 AM 검파부의 출력 신호의 음질을 보정하는 음질 보정부를 구비한 AM 수신 회로로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반송파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 로부터의 출력을 적분하고,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반송파의 강도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분기를 가지며, 상기 직류 전압에 따라 상기 음질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에도,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를 검출할 수 있어서, 귀의 거슬림을 억제하는 음질 보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M 수신 회로는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수신 방송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수신 방송파 신호 출력으로부터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부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AM 변조 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하는 AM 검파부와, 상기 AM 검파부의 출력 신호의 음질을 보정하는 음질 보정부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반송파 성분을 추출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을 적분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반송파의 강도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분기를 구비한 AM 수신 회로로서, 상기 프론트엔드부,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부 중 적어도 한쪽에, 각각 상기 수신 방송파 신호 출력 강도,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 강도를 제어하는 AGC 회로가 접속되며, 상기 음질 보정부는 상기 AGC 회로가 출력하는 시그널 미터 신호의 강도에 따라 음질의 보정을 행하여, 상기 시그널 미터 신호가 소정의 강도보다 작을 때, 상기 적분기가 출력하는 상기 직류 전압에 따라 음질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그널 미터 신호가 소정의 강도보다 작은 경우에도, 수 신 방송파 전계 강도를 검출할 수 있어서, 귀의 거슬림을 억제하는 음질 보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AM 수신 회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송파는 안테나(12)에서 받아서, FE(프론트엔드)부(14)에 입력된다. FE부(14)는 방송파(RF) 신호를 동기 선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FE부(14)는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RF 증폭기를 구비하여도 된다.
IF(Intermediate Frequency: 중간 주파수)부(16)는 반송파 주파수의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원하는 방송파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통상 450㎑)가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국부 발신기와, 상기 방송파 신호와 국부 발신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를 구비하며, 수신한 방송파 중 원하는 방송파의 반송파를 소정의 중간 주파수(통상 450㎑)로 변환한다. 또한, 그 중간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BPF)에 의해 추출하여, 방송파와 동일한 정보의 진폭 변조 신호인 IF 신호로 하고, 증폭기에 의해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IF부(16)는 450㎑를 반송파로 하는 IF 신호를 생성하는 1단 구성으로 하였지만, 일단 10.7㎒로 업 컨버트하는 제1 IF단과 그 제1 IF 신호를 450㎑로 다운 컨버트하는 제2 IF단의 2단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10.7㎒의 IF 신호는 FM 수신 회로에서 이용되는 주파수이며, 이 구성에 따르면, AM 방송파와 FM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 IF부 이후 의 회로를 공유할 수 있다.
IF부(16)로의 입력 신호 강도는 안테나(12)에 입력되는 방송파 신호 강도, 즉, 방송파 전계 강도에 비례하여, 수신 장소나 수신국에 따라 그 전계 강도가 변화된 경우에, 그 출력 신호 레벨도 변동되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레벨도 변동된다. 따라서, IF부(16)의 출력 신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IF-AGC(Automatic Gain Control; 자동 이득 제어) 회로(18)를 구비한다. IF-AGC 회로(18)는 중간 주파 신호 출력의 일부를 추출하여, 다이오드로 진폭에 비례한 직류 전압(AGC 전압 시그널 미터 신호)을 만들고, 그 시그널 미터 신호에 기초하여, IF부(16)의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한다. 즉, IF-AGC 회로(18)는 입력되는 수신 전계 강도가 약할 때에 IF부(16)의 증폭기의 이득을 높이고, 수신 전계 강도가 강할 때에 IF부(16)의 증폭기의 이득을 낮추어, 입력되는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음성 출력에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시그널 미터 신호는 2단 구성을 이루는 IF부에서는, 제1 IF단의 출력으로부터 만들어도 되며, 제2 IF단의 출력으로부터 만들어도 된다. 또한, IF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여 복조하는 DSP(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구성의 수신 회로에서는, 디지털 IF 신호로부터 연산에 의해 만들어도 된다.
IF 신호부(16)의 출력 신호는 AM 검파부(20)로 입력된다. AM 검파부(20)는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고, 원래의 변조 신호인 음성 신호를 얻는다.
AM 검파부(2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는 음질 보정부(22)로 입력된다. 음질 보정부(22)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켜 음질을 보정한다. 이러한 음질 보정은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충분히 큰 경우, 음질 보정은 필요하게 되지 않지만,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작을 때, IF-AGC 회로(18)에 의해 IF부(16)가 갖는 증폭 회로의 증폭률이 커지기 때문에, 증폭 회로에서 발생하는 넓은 대역이 미치는 노이즈의 비율이 음성 신호에 대하여 커진다. 이러한 경우, 음성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떨어진 대역을 감쇠시키고, 음성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비율을 감소시켜, 청감상의 귀의 거슬림을 억제하거나, 전체적인 출력 레벨을 높여, 음성 신호를 듣기 쉽게 하거나, 또한 이들을 조합하기도 한다. 이들 보정은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따라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며,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비례하여 보정의 정도를 변경해도 된다. 음질 보정부(22)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해도 되고, 디지털 신호로 처리를 행하는 DSP(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로 구성해도 된다.
음질 보정부(22)의 출력은 증폭 회로로 전송되어 증폭된 후, 스피커 등으로부터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은,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의 검출을 IF 신호의 반송파 강도에 기초하여 행하고, 음질 보정부(22)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 그 IF 신호 반송파 강도에 따라 음질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IF 신호 반송파 강도는 IF부(16)로부터 출력된 IF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성분을 BPF(34)에 의해 추출하고, 그 IF 신호의 반송파를 적분기(36)에 의해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한 신호로서 얻어진다. 따라서, 이 방법에 따르면, IF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성분의 강도를 검출하기 때문에, 수신 전계 강도가 작은 경우라도, 수신 전계 강도를 반영한 수신 전계 강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BPF(34)는 반송파 주파수 성분만을 예리하게 선택할수록, 다른 주파수의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IF 신호 강도 검출부(30)에서는 IF 반송파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면 되기 때문에, 음성 신호용 IF 신호 세라믹 필터보다 협대역의 BPF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F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한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협대역의 BPF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대한, IF 신호 반송파 강도 신호 및 시그널 미터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E1 이하에서는, 증폭기의 증폭률의 한계에 의해 AGC 회로가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시그널 미터 신호는 출력되지 않지만,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따라 IF 신호 반송파 강도 신호는 출력된다.
따라서,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E1 이하에서는, IF 신호 반송파 강도가 수신 방송 전계 강도를 반영하는 정보로 된다. 여기서, 시그널 미터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하는 전계 강도(E1)는 수신 회로의 FE부, IF부의 회로 구성 등에 의해서도 상이하지만 20㎶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그널 미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 같은 약전계 강도(약 20㎶ 이하)에서도, IF 신호 반송파 강도에 기초하여, 정확한 방송파 전계 강도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그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음질의 보정을 최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방송파 전계 강도 정보의 검출 구성은 FM 수신 회로에 비해, AM 수신 회 로에서 특히 유용하다. FM 수신 회로에서는, IF 신호 주파수인 450㎑의 반송파 강도는 전계 강도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해지는 데 대하여, AM 수신 회로에서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 IF 신호파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를 반영한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음질 보정부(22)는 도 5에서의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E1 이상인 경우, 시그널 미터 신호에 기초하여 음질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E1 이상인 경우, IF-AGC 회로(18)에 의해 IF부(16)로부터 출력되는 IF 신호의 반송파 강도는 일정해져서, IF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성분의 강도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의 정보로는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시그널 미터 신호가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를 반영하는 정보로 되고, 음질 보정부(22)는 시그널 미터 신호에 기초하여 음질 보정을 행함으로써,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에 따라, 적절한 음질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음질 보정부(22)에서, 그 음질 보정을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에 IF 신호 반송파 강도에 기초하여 행하고,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강한 경우에 시그널 미터 신호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은, 양자의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E1 이하)에서는, 시그널 미터 신호는 출력되지 않고,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강한 경우(E1 이상)에서는, IF 신호 반송파 강도가 일정해지기 때문에, 양자의 가산 신호는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E1 이하)이거나, 강한 경우(E1 이상)에도,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를 반영한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산하지 않 고, 양자를 IF 신호 반송파 강도가 소정의 강도로 되는 경우, 혹은 시그널 미터 신호 강도가 소정의 강도로 되는 경우에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AM 수신 회로(10)에서, RF-AGC 회로를 구비하여, FE부(14)의 출력 신호 강도에 따라 FE부(14)에 구비된 RF 증폭기의 증폭률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RF-AGC 회로는 RF-AGC 제어 전압(RF-시그널 미터 신호)을 출력하고, 이것을 상기 설명한 IF-AGC 회로(18)가 출력하는 시그널 미터 신호에 대신하여도 되며, 양자를 선택, 가산, 조합 등을 행한 신호를 시그널 미터 신호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반송파 주파수 성분을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추출하여, 상기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을 적분하고,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성분의 강도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직류 전압에 따라 상기 음질의 보정을 행한다. 따라서, 수신 방송파 전계 강도가 약한 경우에도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할 수 있어서, 귀의 거슬림을 억제하는 음질 보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수신 방송파로부터 생성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부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AM 변조 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하는 AM 검파부와,
    상기 AM 검파부의 출력 신호의 음질을 보정하는 음질 보정부
    를 구비한 AM 수신 회로로서,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반송파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을 적분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반송파의 강도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분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분기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에 따라 상기 음질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 수신 회로.
  2.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수신 방송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수신 방송파 신호 출력으로부터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부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AM 변조 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하는 AM 검파부와,
    상기 AM 검파부의 출력 신호의 음질을 보정하는 음질 보정부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으로부터 반송파 성분을 추출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을 적분하여,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반송파의 강도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분기
    를 구비한 AM 수신 회로로서,
    상기 프론트엔드부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부 중 적어도 한쪽에, 각각 상기 수신 방송파 신호 출력 강도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 강도를 제어하는 AGC 회로가 접속되며,
    상기 음질 보정부는, 상기 AGC 회로가 출력하는 시그널 미터 신호의 강도에 따라 음질의 보정을 행하여, 상기 시그널 미터 신호가 소정의 강도보다 작을 때, 상기 적분기가 출력하는 상기 적분기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에 따라 음질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 수신 회로.
KR1020040067908A 2003-08-29 2004-08-27 Am 수신 회로 KR100572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7426A JP4349865B2 (ja) 2003-08-29 2003-08-29 Am受信回路
JPJP-P-2003-00307426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903A KR20050021903A (ko) 2005-03-07
KR100572294B1 true KR100572294B1 (ko) 2006-04-24

Family

ID=3426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908A KR100572294B1 (ko) 2003-08-29 2004-08-27 Am 수신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71180B2 (ko)
JP (1) JP4349865B2 (ko)
KR (1) KR100572294B1 (ko)
CN (1) CN100539447C (ko)
TW (1) TWI2435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2524B2 (ja) * 2004-03-30 2009-06-24 三洋電機株式会社 Am受信回路
WO2006059550A1 (ja) * 2004-11-30 2006-06-08 Pioneer Corporation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15023366A (ja) * 2013-07-18 2015-02-02 日本無線株式会社 電力推定装置および品質評価装置
JP6393061B2 (ja) * 2014-04-04 2018-09-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ラジオ放送受信装置、放送周波数検出方法、放送周波数サーチ方法及び放送周波数スキャン方法
CN108155913B (zh) * 2018-01-12 2019-11-15 福建飞通通讯科技股份有限公司 调频信号静噪方法、装置及系统
JP7000945B2 (ja) * 2018-03-23 2022-01-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無線通信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686B2 (ja) 1993-06-29 2001-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Amラジオ受信機
US5784466A (en) * 1997-01-16 1998-07-21 Ford Motor Company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
JP2000013340A (ja) 1998-06-23 2000-01-14 Toshiba Ave Co Ltd Fm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59374A1 (en) 2005-03-17
US7171180B2 (en) 2007-01-30
CN100539447C (zh) 2009-09-09
JP4349865B2 (ja) 2009-10-21
JP2005079870A (ja) 2005-03-24
TWI243547B (en) 2005-11-11
CN1592123A (zh) 2005-03-09
TW200509558A (en) 2005-03-01
KR20050021903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075B2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amplifier gain in a radio receiver
KR100982707B1 (ko) 경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신 장치
KR101110686B1 (ko) Am수신회로
WO2011114726A1 (ja) 車載用ラジオ受信装置およびノイズキャンセル方法
KR20060107267A (ko) 아날로그/디지털 공용 프론트 엔드 모듈
US20080090538A1 (en) Automatic gain control apparatus
KR100572294B1 (ko) Am 수신 회로
JP2002094346A (ja) 可変利得増幅器を備えた受信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51493B1 (ko) 수신기에서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4683558B2 (ja) ミュート回路
JP323749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170081B2 (ja) 干渉波検出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20000008001A (ko) 통신 시스템 수신기의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장치
JP2008205757A (ja) テレビ受信回路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539867B1 (ko) 무선단말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자동 조정장치
KR100357531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수신 이득 제어 방법
KR100466070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튜너
KR19990085914A (ko)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 수신기
JPH05175865A (ja) スケルチ回路
JP3002240B2 (ja) ラジオ受信機
JP2004328698A (ja) 無線受信装置
KR20020089860A (ko) 약전계 수신감도를 개선한 디지탈 위성수신기
JPH0151217B2 (ko)
JP2009272689A (ja) 受信機
KR20000044512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주파수 합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