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109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109B1
KR100572109B1 KR1020047006839A KR20047006839A KR100572109B1 KR 100572109 B1 KR100572109 B1 KR 100572109B1 KR 1020047006839 A KR1020047006839 A KR 1020047006839A KR 20047006839 A KR20047006839 A KR 20047006839A KR 100572109 B1 KR100572109 B1 KR 10057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dsorption
cooling
flow pass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019A (ko
Inventor
야부토모히로
키쿠치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2Rotary wheel comprising a non-axial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흡착공기 또는 재생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흡탈착하는 조습측통로(85)와, 조습측통로(85)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여 흡착공기를 냉각시키도록 냉각공기가 흐르는 냉각측통로(86)를 갖는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며, 이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 의해 공기를 가습 또는 감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흡착공기를 냉각측통로(86)의 냉각공기로 냉각시킬 때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흡착소자(81, 82)를 흐르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 조화공기(CA), 또는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한다.
공기조화장치, 흡착소자, 냉각공기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흡착공기의 통과에 의해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재생공기의 통과에 의해 수분을 탈착시키는 조습(調濕)측통로와, 조습측통로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도록 냉각공기가 통과하는 냉각측통로를 갖는 흡착소자를 이용한 데시컨트(desiccant)방식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른바 데시컨트공조를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습도를 조작하여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공조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공기조화장치는 흡착소자나, 가열기 및 냉각기 등의 구성기기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소자는, 흡착공기 또는 재생공기의 통과에 의해 수분을 흡탈착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일특개평 9-318127호 공보에는, 이 흡착소자를 2 개 이용한 공기조화장치가 기재되었다. 이 공기조화장치에는, 한쪽 흡착소자에서 흡착공기의 수분을 흡착하면서 다른 쪽을 재생공기로 재생하는 상태와, 한쪽을 재생공기로 재생하면서 다른 쪽에서 흡착공기의 수분을 흡착하는 상태를 절환하여, 제습공기 또는 가습공기를 실내로 연속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흡착소자에서 흡착공기를 감습시킬 때는 흡착열이 발생한다. 그리 고 흡착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흡착성능이 저하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흡착소자를 냉각공기로 냉각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냉각공기로 냉각시키는 형식의 흡착소자는, 흡착공기 또는 재생공기가 흐르는 조습측통로와, 냉각공기가 흐르는 냉각측통로를 갖는다. 그리고 냉각측통로는, 조습측통로를 흡착공기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흡착열을 냉각공기로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흡착공기를 흡착소자의 조습측통로로 보내 감습하고, 또 냉각기에서 냉각시킨 후,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냉방운전을 행한다. 이 때 냉각공기는, 흡착소자의 냉각측통로를 흐름으로써 흡착공기를 냉각시키고, 그 후에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동작을 소정시간 실행하여 흡착소자의 수분흡착량이 많아지면, 상기 가열기로 가열된 고온의 재생공기를 조습측통로로 보냄으로써 이 소자가 재생된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실외공기가 냉각공기로 이용된다. 때문에 예를 들어 여름의 더운 시기 등에는 낮은 냉각효율밖에 얻을 수 없어, 조습측통로의 흡착열을 충분히 회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장치의 흡착성능이 저하되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습측통로를 흡착공기가 흐를 때의 흡착열로 온도가 상승하는 흡착소자를 냉각공기로 냉각시킬 때의 냉각효율을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흡착소자로 보내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 조화공기(CA), 또는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강구한 해결수단은, 흡착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재생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탈착하는 흡착제가 설치된 조습측통로(85)와, 조습측통로(85)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도록 냉각공기가 통과하는 냉각측통로(86)를 갖는 흡착소자(81, 82, 250)를 구비하며, 이 흡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 공기를 조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제 1 해결수단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는,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 해결수단에서는, 흡착공기가 흡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를 흐름으로써, 이 흡착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흡착소자(81, 82, 250)에 흡착되고, 이 흡착공기가 감습된다. 이 때 이 흡착소자(81, 82, 250)의 냉각측통로(86)에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가 흐르고,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각공기로 회수된다. 즉 흡착열에 의해 흡착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대습도가 저하되면, 흡착공기 중의 수증기가 흡착소자(81, 82, 250)에 흡착되기 어려워지지만, 흡착열을 냉각공기로 흡수시킴으로써 흡착공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상대습도의 저하가 억제되므로, 흡착소자(81, 82, 250)에 흡착되는 수분량이 확보된다. 특히 흡착소자는 입구 쪽보다 출구 쪽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종래는 출구 쪽에서 흡착할 수 있는 수분량이 적어지는데 반해, 상기 해결수단에서는 입구 쪽에서 출구 쪽으로의 온도기울기가 작아지므로 흡착수분량이 확보된다.
또 상기 구성에서, 냉각공기에는 실내공기(RA)가 이용되므로, 실외공기(OA)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조습측통로(85)가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한편 조습측통로(85)의 수분흡착량이 많아지면, 이 조습측통로(85)로 재생공기를 보냄으로써, 이 조습측통로(85)의 수분이 재생공기로 방출되어 흡착소자(81, 82, 250)가 재생된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2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해결수단과 동일한 전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조화공기(CA)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2 해결수단에서는, 냉각공기로서 조화공기(C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공기(RA)보다 더욱 온도가 낮은 공기로 흡착소자(81, 82, 250)를 냉각할 수 있다. 때문에 냉각성능의 보다 나은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3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소자(81, 82)를 복수 구비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또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3 해결수단에서는, 적어도 2 개의 흡착소자(81, 82)가 공기조화장치에 구성되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교대로 실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해 흡착동작과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해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과는 반대로,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해 흡착동작과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해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흡착동작에 의해 감습된 공기, 또는 재생동작에 의해 가습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운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4 해결수단은, 상기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이 절환기구의 동작과 흡착소자(81, 8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4 해결수단에서는 절환기구가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된다. 이 절환기구의 동작에 의해, 공기조화장치의 공기 유통경로가 절환된다. 본 해결수단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절환시킬 때 상기 절환기구가 동작함과 동시에, 흡착소자(81, 82)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이 실행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5 해결수단은, 상기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흡착소자(81, 8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환기구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5 해결수단에서는 절환기구가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된다. 이 절환기구의 동작에 의해, 공기조화장치의 공기 유통경로가 절환된다. 본 해결수단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절환시킬 때 상기 절환기구가 동작한다. 이 때 흡착소자(81, 82)는 고정되어 회전 등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6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소자(250)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또 조습측통로(85)가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냉각측통로(86)가 그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흡착소자(250)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면서, 흡착소자(250)의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도입하여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상기 흡착소자(250)의 다른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재생공기를 도입하여 재생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흡착소자(250)는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해도 되고,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해도 된다.
이 제 6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소자(250)를 회전시키면서 이 흡착소자(250)의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도입하여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상기 흡착소자(250)의 다른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재생공기를 도입하여 재생동작을 행함으로써, 흡착동작과 재생동작이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7 해결수단은, 상기 제 3 해결수단에 있어서, 재생공기가, 냉각공기를 가열시킨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8 해결수단은, 상기 제 6 해결수단에 있어서, 재생공기가, 냉각공기를 가열시킨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7 및 제 8 해결수단에서는, 흡착소자(81, 82, 250)에서 조습측통로(85)의 흡착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냉각공기가, 다시 가열된 상태에서 재생공기로서 이용됨으로써, 이 소자(81, 82, 250)가 재생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9 해결수단은, 상기 제 1 해결수단과 동일한 전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9 해결수단에서는, 흡착공기가 흡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를 흐름으로써, 이 흡착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흡착소자(81, 82, 250)에 흡착되고, 이 흡착공기가 감습된다. 이 때 이 흡착소자(81, 82, 250)의 냉각측통로(86)에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가 흐르며,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각공기로 회수된다. 즉 상기 제 1, 제 2 해결수단과 마찬가지로, 흡착열을 냉각공기로 회수함으로써, 흡착공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상대습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흡착소자(81, 82, 250)에 흡착되는 수분량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0 해결수단은,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소자(81, 82)를 복수 구비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또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1 해결수단은, 상기 제 10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이 절환기구의 동작과 흡착소자(81, 8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2 해결수단은, 상기 제 10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흡착소자(81, 8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환기구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0에서 제 12 해결수단에서는, 적어도 2 개의 흡착소자(81, 82)가 공기조화장치에 구성되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교대로 실행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해 흡착동작과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해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과는 반대로,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해 흡착동작과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해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흡착동작에 의해 감습된 공기, 또는 재생동작에 의해 가습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운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1 및 제 12 해결수단의 구체적인 운전동작은, 상기 제 4 및 제 5 해결수단과 마찬가지이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3 해결수단은,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있어서, 흡착소자(250)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또 조습측통로(85)가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냉각측통로(86)가 그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흡착소자(250)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면서, 흡착소자(250)의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도입하여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상기 흡착소자(250)의 다른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재생공기를 도입하여 재생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3 해결수단에서는, 상기 제 6 해결수단과 마찬가지로 흡착소자(250)를 회전시키면서 이 흡착소자(250)의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도입하여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상기 흡착소자(250)의 다른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재생공기를 도입하여 재생동작을 행함으로써, 흡착동작과 재생동작이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4 해결수단은, 상기 제 9 내지 제 13 해결수단 중 어느 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5 해결수단은, 상기 제 9 내지 제 13 해결수단 중 어느 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4 및 제 15 해결수단에서는,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6 해결수단은, 상기 제 9 내지 제 13 해결수단 중 어느 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6 해결수단에서는, 예를 들어 냉각공기를 가열시켜 재생공기로 할 경우에, 재생 쪽에 높은 습도의 공기를 사용하면 재생능력이 저하되는데 반해, 습도를 조정한 공기로 재생하기가 가능해지므로, 재생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이 강구한 제 17 해결수단은, 상기 제 10 또는 제 13 해결수단에 있어서, 재생공기가, 냉각공기를 가열한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7 해결수단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조습측통로(85)의 흡착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냉각공기가, 다시 가열된 상태에서 재생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로 도입되어 이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효과-
상기 제 1 해결수단에 의하면,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이용하므로, 흡 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를 흡착공기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각공기로 효율적으로 회수되며, 이 냉각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냉각효율이 개선된다. 따라서 흡착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실내공기(RA)가 고온저습이고 실외공기(OA)가 저온다습하다 하면, 실외공기(OA)만을 냉각공기로서 사용하면 냉각효과를 이루어 흡착량이 증대해가겠지만, 이 경우, 재생공기에 냉각공기를 가열한 것을 사용하면 이 공기가 다습하므로 흡착량이 저하돼버린다. 또 극한의 추위일 때 등, 냉각공기로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실외공기(OA)를 사용하면, 재생이 불충분해지거나, 재생온도를 올리지 않으면 않되므로 COP가 저하되거나 하게 된다. 이에 반해 실내공기(RA)를 냉각공기에 이용하면 이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해결수단에 의하면, 냉각공기로서 조화공기(C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공기(RA)보다 더 온도가 낮은 공기로 흡착소자(81, 82, 250)를 냉각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성능을 더욱 높여, 흡착 시에 발생하는 흡착열에 의한 흡착성능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내지 제 8 해결수단에 의하면, 흡착소자(81, 82, 250)를 흐르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 또는 조화공기(CA)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9 해결수단에 의하면,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공기로서 실외공기(OA)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0 내지 제 13 해결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 3 내지 제 6 해결수단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제 14 및 제 15 해결수단에 의하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의 한쪽을 냉각공기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제 17 해결수단과 같이 냉각공기를 가열하여 재생공기로 할 경우는, 냉각공기의 온도가 낮으면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재생가열 때문에 COP가 저하된다. 이에 반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하고 그 혼합비율을 변화시키면, 냉각성능과 재생효율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비율을,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정하는 경우와, 실내급기(SA)와 실내공기(RA)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정하는 경우는, 모두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들 해결수단에 있어서, 실외공기(OA)와 실내급기(SA)는 거의 등가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 16 해결수단에 의하면, 냉각공기를 가열하여 재생공기로 할 경우에, 재생 쪽에 고 습도의 공기를 사용하면 재생능력이 저하되는 데 반해, 습도를 조정한 공기로 재생하기가 가능해지므로, 재생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흡착소자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습운전 중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습운전 중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가습운전 중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가습운전 중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흡착소자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습운전 중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습운전 중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가습운전 중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가습운전 중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외기냉방운전 중의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흡착소자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19는 공기조화장치의 풍량조정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좌""우""전""후""앞쪽""안쪽"은, 모두 참조하는 도면에서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는, 감습하여 냉각된 실외공기(OA)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가열시켜 가습된 실외공기(OA)를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절환시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공기조화장치는, 2 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는, 이른바 일괄(batch)식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약간 편평한 직방체형의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10)에는 4 개의 회전댐퍼(71, 72, 73, 74)와, 2 개의 흡착소자(81, 82)와, 1 개의 냉매회로가 수납된다. 도 1에서는, 상기 회전댐퍼(71~74)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댐퍼(71~74)는, 원판형의 단면부(75)와, 이 단면부(75)의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이어지는 주측(周側)부(76)를 구비한다. 단면부(75)는 그 일부가 중심각 90도의 부채꼴로 절삭된다. 또 주측부(76)에 대해서도 단면부(75)의 절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단면부(75) 및 주측부(76)의 절삭부분은, 회전댐퍼(71~74)의 절삭개구(77)를 구성한다. 이 회전댐퍼(71~74)는, 단면부(75)의 중심을 통하는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댐퍼(71~74)는, 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성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착소자(81, 82)는, 정방형의 평판부재(83)와 골판부재(84)를 교대로 적층시켜 구성된다. 골판부재(84)는, 인접하는 골판부재(84)의 능선방향이 서로 90도 어긋나는 자세로 적층된다. 그리고 흡착소자(81, 82)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각 흡착소자(81, 82)는, 그 단면이 평판부재(83)와 마찬가지 정방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소자(81, 82)에는, 평판부재(83) 및 골판부재(84)의 적층방향에서, 조습측통로(85)와 냉각측통로(86)가 평판부재(83)를 개재하고 번갈아 구획 형성된다. 흡착소자(81, 82)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조습측통로(85)가 개구되며, 이와는 별도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냉각측통로(86)가 개구된다. 또 조습측통로(85)에 면하는 평판부재(83)의 표면이나, 조습측통로(85)에 구성된 골판부재(84)의 표면에는, 수증기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가 도포된다. 이러한 종류의 흡착제 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이온교환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조습측통로(85)는, 흡착공기의 통과에 의해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재생공기의 통과에 의해 수분을 탈착하며, 냉각측통로(86)는 조습측통로(85)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도록 냉각공기가 통과한다.
상기 냉매회로는, 압축기(91)와, 응축기인 재생열교환기(92)와, 팽창기구인 팽창밸브와, 증발기인 제 1 및 제 2 냉각열교환기(93, 94)를 배관 접속시켜 형성된 폐회로이다. 이 중 재생열교환기(92)는, 가열기를 구성한다. 여기서 냉매회로의 전체 구성 및 팽창밸브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 냉매회로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켜, 증기압축식 냉동주기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냉매회로에서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와 제 2 냉각열교환기(94)가 병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냉매회로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만을 증발기로 하여 제 2 냉각열교환기(94)로 냉매를 도입하지 않는 동작과, 제 2 냉각열교환기(94)만을 증발기로 하여 제 1 냉각열교환기(93)로 냉매를 도입하지 않는 동작을 절환시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에서 가장 앞쪽으로는 실외측 패널(11)이 배치되고, 가장 안쪽으로는 실내측 패널(12)이 배치된다. 실외측 패널(11)에는, 그 오른쪽 위 코너부에 급기측입구(13)가 형성되고, 그 하부 왼쪽으로 배기측출구(16)가 형성된다. 한편 실내측 패널(12)에는, 그 오른쪽 아래 코너부에 급기측출구(14)가 형성되고, 그 왼쪽 위 코너부에 배기측입구(15)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에는, 4 장의 구획판(21, 24, 34, 31)이 수납된다. 이들 구획판(21, 24, ...)은,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차례로 세워져 케이싱(10)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한다. 또 이들 구획판(21, 24, ...)에 의해 구획된 케이싱(10) 내부공간은, 각각이 다시 상하로 구획된다.
실외측 패널(11)과 제 1 구획판(21) 사이에는, 위쪽의 제 1 상부유로(流路)(41)와 아래쪽의 제 1 하부유로(42)가 구획 형성된다. 제 1 상부유로(41)는, 급기측입구(13)에 의해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제 1 하부유로(42)는 배기측출구(16)에 의해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이 제 1 하부유로(42)에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가 설치된다. 또 실외측패널(11)과 제 1 구획판(21) 사이에는, 그 왼쪽으로 치우쳐 압축기(91)가 설치된다.
제 1 구획판(21)과 제 2 구획판(24) 사이에는, 2 개의 회전댐퍼(71, 72)가 좌우로 나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른쪽으로 제 1 회전댐퍼(71)가 설치되고, 왼쪽으로 제 2 회전댐퍼(72)가 설치된다. 이들 회전댐퍼(71, 72)는, 단면부(75)가 제 2 구획판(24) 쪽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이들 회전댐퍼(71, 72)는, 제 1 구획판(21)과 제 2 구획판(24) 양쪽으로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제 1 구획판(21)과 제 2 구획판(24) 사이는, 상하로 구획되는 동시에, 상하 각 공간이 제 1 및 제 2 회전댐퍼(71, 72)에 의해 다시 3 개로 구획된다. 제 1 회전댐퍼(71) 오른쪽에는, 위쪽의 제 2 우상부유로(43)와 아래쪽의 제 2 우하부유로(44)가 구획 형성된다. 제 1 회전댐퍼(71)와 제 2 회전댐퍼(72) 사이에는, 위쪽의 제 2 중앙상부유로(45)와 아래쪽의 제 2 중앙하부유로(46)가 구획 형성 된다. 제 2 회전댐퍼(72) 왼쪽으로는, 위쪽의 제 2 좌상부유로(47)와 아래쪽의 제 2 좌하부유로(48)가 구획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획판(21)에는 2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오른쪽에 개구되는 제 1 우측개구(22)는, 원형 개구이며 제 1 회전댐퍼(7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왼쪽에 개구되는 제 1 좌측개구(23)는, 원형 개구이며 제 2 회전댐퍼(7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1 우측개구(22) 및 제 1 좌측개구(23)에는, 각각 개폐셔터가 구성된다. 이 개폐셔터를 조작함으로써, 제 1 우측개구(22) 및 제 1 좌측개구(23)는 그 상부 절반만이 개구되는 상태와, 그 하부 절반만이 개구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 개폐셔터는 절환기구를 구성한다.
제 2 구획판(24)과 제 3 구획판(34) 사이에는, 2 개의 흡착소자(81, 82)가 좌우로 나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른쪽으로 제 1 흡착소자(81)가 설치되고, 왼쪽으로 제 2 흡착소자(82)가 설치된다. 이들 흡착소자(81, 82)는 각각의 긴 쪽 방향이 케이싱(10)의 긴 쪽 방향과 일치하는 자세로, 평행 배치된다. 또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흡착소자(81, 82)는, 그 단면이 정방형을 45도 회전시킨 마름모꼴을 이루는 자세로 설치된다. 즉 각 흡착소자(81, 82)는, 그 단면의 한쪽 대각선이 서로 일직선상에 나열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한 각 흡착소자(81, 82)는, 그 단면 중심을 통과하는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구획판(24)과 제 3 구획판(34) 사이에는, 상하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하의 각 공간이 제 1 및 제 2 흡착소자(81, 82)에 의해 다시 3 개로 구획된다. 즉 제 1 흡착소자(81) 오른쪽에는, 위쪽의 제 3 우상부유로(51)와 아래쪽의 제 3 우하 부유로(52)가 구획 형성된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는, 위쪽의 제 3 중앙상부유로(53)와 아래쪽의 제 3 중앙하부유로(54)가 구획 형성된다. 제 2 흡착소자(82) 왼쪽에는, 위쪽의 제 3 좌상부유로(55)와 아래쪽의 제 3 좌하부유로(56)가 구획 형성된다. 또 제 3 중앙하부유로(54)는, 재생용 공기유로를 구성한다. 냉매회로의 재생열교환기(92)는, 이 제 3 중앙하부유로(54)를 횡단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상기 제 2 구획판(24)에는, 5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오른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우상개구(25)는, 제 2 우상부유로(43)와 제 3 우상부유로(51)를 연통시킨다. 오른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우하개구(26)는, 제 2 우하부유로(44)와 제 3 우하부유로(52)를 연통시킨다. 상부 중앙에 개구되는 제 2 중앙개구(27)는, 제 2 중앙상부유로(45)와 제 3 중앙상부유로(53)를 연통시킨다. 왼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좌상개구(28)는, 제 2 좌상부유로(47)와 제 3 좌상부유로(55)를 연통시킨다. 왼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좌하개구(29)는, 제 2 좌하부유로(48)와 제 3 좌하부유로(56)를 연통시킨다.
제 2 우상개구(25), 제 2 우하개구(26), 제 2 중앙개구(27), 제 2 좌상개구(28), 및 제 2 좌하개구(29)에는, 각각 개폐셔터가 구성된다. 이 개폐셔터를 조작함으로써, 제 2 우상개구(25), 제 2 우하개구(26), 제 2 중앙개구(27), 제 2 좌상개구(28), 및 제 2 좌하개구(29)는 연통상태와 차단상태로 절환된다. 이 개폐셔터는 절환기구를 구성한다.
제 3 구획판(34)과 제 4 구획판(31) 사이에는, 2 개의 회전댐퍼(73, 74)가 좌우로 나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른쪽으로 제 3 회전댐퍼(73)가 설치되고, 왼쪽으로 제 4 회전댐퍼(74)가 설치된다. 이들 회전댐퍼(73, 74)는, 단면부(75)가 제 3 구획판(34) 쪽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이들 회전댐퍼(73, 74)는, 제 3 구획판(34)과 제 4 구획판(31) 양쪽으로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제 3 구획판(34)과 제 4 구획판(31) 사이는, 상하로 구획되는 동시에, 상하 각 공간이 제 3 및 제 4 회전댐퍼(73, 74)에 의해 다시 3 개로 구획된다. 즉 제 3 회전댐퍼(73) 오른쪽에는, 위쪽의 제 4 우상부유로(63)와 아래쪽의 제 4 우하부유로(64)가 구획 형성된다. 제 3 회전댐퍼(73)와 제 4 회전댐퍼(74) 사이에는, 위쪽의 제 4 중앙상부유로(65)와 아래쪽의 제 4 중앙하부유로(66)가 구획 형성된다. 제 4 회전댐퍼(74) 왼쪽으로는, 위쪽의 제 4 좌상부유로(67)와 아래쪽의 제 4 좌하부유로(68)가 구획 형성된다.
상기 제 3 구획판(34)에는 5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오른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우상개구(35)는, 제 3 우상부유로(51)와 제 4 우상부유로(63)를 연통시킨다. 오른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우하개구(36)는, 제 3 우하부유로(52)와 제 4 우하부유로(64)를 연통시킨다. 상부 중앙에 개구되는 제 3 중앙개구(37)는, 제 3 중앙상부유로(53)와 제 4 중앙상부유로(65)를 연통시킨다. 왼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좌상개구(38)는, 제 3 좌상부유로(55)와 제 4 좌상부유로(67)를 연통시킨다. 왼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좌하개구(39)는, 제 3 좌하부유로(56)와 제 4 좌하부유로(68)를 연통시킨다.
제 3 우상개구(35), 제 3 우하개구(36), 제 3 중앙개구(37), 제 3 좌상개구(38), 및 제 3 좌하개구(39)에는, 각각 개폐셔터가 구성된다. 이 개폐셔터를 조작함으로써, 제 3 우상개구(35), 제 3 우하개구(36), 제 3 중앙개구(37), 제 3 좌상개구(38), 및 제 3 좌하개구(39)는 연통상태와 차단상태로 절환된다. 이 개폐셔터는 절환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제 4 구획판(31)에는 2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오른쪽에 개구되는 제 4 우측개구(32)는, 원형 개구이며 제 3 회전댐퍼(7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왼쪽에 개구되는 제 4 좌측개구(33)는, 원형 개구이며 제 4 회전댐퍼(7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4 우측개구(32) 및 제 4 좌측개구(33)에는, 각각 개폐셔터가 구성된다. 이 개폐셔터를 조작함으로써, 제 4 우측개구(32) 및 제 4 좌측개구(33)는 그 상부 절반만이 개구되는 상태와, 그 하부 절반만이 개구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 개폐셔터는 절환기구를 구성한다.
제 4 구획판(31)과 실내측패널(12) 사이에는, 위쪽의 제 5 상부유로(61)와 아래쪽의 제 5 하부유로(62)가 구획 형성된다. 제 5 상부유로(61)는, 배기측입구(15)에 의해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이 제 5 상부유로(61)에는 배기 팬(96)이 설치된다. 한편 제 5 하부유로(62)는, 급기측출구(14)에 의해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이 제 5 하부유로(62)에는 급기 팬(95)과 제 2 냉각열교환기(94)가 설치된다.
-운전동작-
우선 흡착소자(81, 82)의 기본적인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구체적인 운전동작을 설명한다.
도 9에서 흡착소자(81, 82)에는, 조습측통로(85)를 흡착공기가 흐르고, 냉각측통로(86)를 냉각공기가 흐른다. 이 상태에서, 조습측통로(85)에서는 흡착공기의 수분이 흡착제로 흡착되고, 이 흡착공기가 감습된다. 이 때 흡착열이 발생하는데, 이 흡착열은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냉각공기로 회수된다.
여기서 냉각공기로 실외공기(OA)를 이용하면, 실외가 고온일 때는 냉각효과가 저하되므로, 소자(81, 82) 온도가 상승하여 충분한 제습량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특히 흡착공기의 입구 쪽에서 출구 쪽으로의 온도상승이 커지므로, 출구 쪽에서의 제습량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이에 반해 실외공기(OA)보다 저온의 공기를 냉각공기로 이용하면, 흡착 쪽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입구 쪽에서 출구 쪽으로의 온도기울기가 작아져 제습량을 얻기가 가능해진다.
이 냉각공기에는, 예를 들어 실내공기(RA)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냉각공기에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냉각기 등에 의해 냉각된 조화공기(CA)를 이용해도 된다. 조화공기(CA)를 이용하면, 실내공기(RA)보다 저온의 공기로 흡착소자(81, 82)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냉각효과를 더욱 높임으로써 충분한 제습량을 얻을 수 있다.
또 냉각공기에는,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해도 된다. 여기서, 이하에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냉각공기로서 이용할 경우에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구체적인 운전동작에 대해, 도 4~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4는 케이싱(10) 내의 제 2 구획판(24)과 제 3 구획판(34) 사이의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습운전》
제습운전 시에는, 실외공기(OA)를 감습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감습할 때 흡착소자(81, 82)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을,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로 회수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운전 시에, 급기 팬(95)을 구동시키면, 실외공기(OA)가 급기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외공기(OA)는, 흡착공기를 구성하는 제 1 공기로서 제 1 상부유로(41)로 유입된다. 한편 배기 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가 배기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혼합공기(RA+OA)는,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로서 제 5 상부유로(61)로 유입된다.
또 제습운전에 있어서 냉매회로에서는, 재생열교환기(92)를 응축기로 하고,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증발기로 하여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즉 제습운전에 있어서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는 냉매가 유통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제습운전을 실행한다.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공기가 감습됨과 함께 소자(81)가 냉각되며,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여기서 이 제 1 동작 시에 있어서, 제 2 구획판(24)에서는 제 2 우상개구(25), 제 2 중앙개구(27), 및 제 2 좌하개구(29)가 폐쇄된다. 또 제 3 구 획판(34)에서는 제 3 우하개구(36), 제 3 좌상개구(38), 및 제 3 좌하개구(39)가 폐쇄된다.
제 1 우측개구(22)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1 회전댐퍼(71)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하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우하부유로(44)에 개구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우하개구(26)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로(41)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1 우측개구(22), 제 1 회전댐퍼(71) 내부, 제 2 우하부유로(44), 제 2 우하개구(26)를 통과하여 제 3 우하부유로(52)로 유입된다.
제 4 우측개구(32)는 위쪽 절반이 개구된다. 제 3 회전댐퍼(73)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우상부유로(63)에 개구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우상개구(35)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5 상부유로(61)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4 우측개구(32), 제 3 회전댐퍼(73) 내부, 제 4 우상부유로(63), 제 3 우상개구(35)를 통과하여 제 3 우상부유로(51)로 유입된다.
제 1 흡착소자(81)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우하부유로(52) 및 제 3 중앙상부유로(53)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우상부유로(51) 및 제 3 중앙하부유로(54)와 연통된다. 또 제 2 흡착소자(82)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중앙하부유로(54) 및 제 3 좌상부유로(55)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중앙상부유로(53) 및 제 3 좌하부유로(56)와 연통된다.
도 4의 (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 서 제 3 우하부유로(52)로부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조습측통로(85)에서 감습된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공기는, 제 3 우상부유로(51)로부터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54)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한다. 재생열교환기(92)에서 제 2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흡착제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는, 제 2 공기와 함께 제 3 좌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중앙개구(37)는 연통상태이다. 제 4 회전댐퍼(74)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중앙상부유로(65)에 개구된다. 제 4 좌측개구(33)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흡착소자(81)로 감습된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3 중앙상부유로(53), 제 3 중앙개 구(37), 제 4 중앙상부유로(65), 제 4 회전댐퍼(74) 내부, 제 4 좌측개구(33)를 통과하여, 제 5 하부유로(62)로 유입된다.
제 5 하부유로(62)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고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감습되어 냉각된 제 1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좌상개구(28)는 연통상태이다. 제 2 회전댐퍼(72)의 절삭개구(77)는, 왼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좌상부유로(47)에 개구된다. 제 1 좌측개구(23)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흡착소자(82)로부터 유출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3 좌상부유로(55), 제 2 좌상개구(28), 제 2 좌상부유로(47), 제 2 회전댐퍼(72) 내부, 제 1 좌측개구(23)를 통과하여, 제 1 하부유로(42)로 유입된다.
제 1 하부유로(42)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하기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 후, 제 2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 시에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감습됨과 함께 소자(81)가 냉각되며,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제가 재 생된다.
그리고 이 제 2 동작 시에 있어서, 제 2 구획판(24)에서는 제 2 우하개구(26), 제 2 중앙개구(27), 및 제 2 좌상개구(28)가 폐쇄된다. 또 제 3 구획판(34)에서는 제 3 우상개구(35), 제 3 우하개구(36), 및 제 3 좌하개구(39)가 폐쇄된다.
제 1 좌측개구(23)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2 회전댐퍼(72)의 절삭개구(77)는, 왼쪽 하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좌하부유로(48)에 개구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좌하개구(29)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로(41)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1 좌측개구(23), 제 2 회전댐퍼(72) 내부, 제 2 좌하부유로(48), 제 2 좌하개구(29)를 통과하여 제 3 좌하부유로(56)로 유입된다.
제 4 좌측개구(33)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4 회전댐퍼(74)의 절삭개구(77)는, 왼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좌상부유로(67)에 개구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좌상개구(38)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5 상부유로(61)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4 좌측개구(33), 제 4 회전댐퍼(74) 내부, 제 4 좌상부유로(67), 제 3 좌상개구(38)를 통과하여 제 3 좌상유로(55)로 유입된다.
제 1 동작에서 제 2 동작으로 절환할 때는,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가 90도만 회전한다(도 4의 (b) 참조). 그리고 제 2 흡착소자(82)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좌하부유로(56) 및 제 3 중앙상부유로(53)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좌상부유로(55) 및 제 3 중앙하부유로(54)와 연통된다. 또 제 1 흡착소자(81)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중앙하부유로(54) 및 제 3 우상부유로(51)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중앙상부유로(53) 및 제 3 우하부유로(52)와 연통된다.
도 4의 (c)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3 좌하부유로(56)로부터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조습측통로(85)에서 감습된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공기는, 제 3 좌상부유로(55)로부터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54)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한다. 재생열교환기(92)에서 제 2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흡착제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는 제 2 공기와 함께 제 3 우상부유로(51)로 유입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중앙개구(37)는 연통상태이다. 제 3 회전댐퍼(73)의 절삭개구(77)는, 왼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중앙상부유로(65)에 개구된다. 제 4 우측개구(32)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로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감습된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3 중앙상부유로(53), 제 3 중앙개구(37), 제 4 중앙상부유로(65), 제 3 회전댐퍼(73) 내부, 제 4 우측개구(32)를 통과하여 제 5 하부유로(62)로 유입된다.
제 5 하부유로(62)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감습되어 냉각된 제 1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우상개구(25)는 연통상태이다. 제 1 회전댐퍼(71)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우상부유로(43)에 개구된다. 제 1 우측개구(22)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3 우상부유로(51), 제 2 우상개구(25), 제 2 우상부유로(43), 제 1 회전댐퍼(71) 내부, 제 1 우측개구(22)를 통과하여 제 1 하부유로(42)로 유입된다.
제 1 하부유로(42)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 후 제 2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며, 제 2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 각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제 2 공기로 회수된다. 때문에, 흡착소자(81, 82)가 제 2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흡착소자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즉 흡착열에 의해 제 1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대습도가 저하되면, 제 1 공기 중의 수증기가 흡착소자(81, 82)로 흡착되기 어려워지지만, 흡착열을 제 2 공기로 흡수함으로써 제 1 공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상대습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흡착소자(81, 82)에 흡착되는 수분량이 확보된다. 또 냉각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에는 실내공기(RA)가 이용되므로 상기 조습측통로(85)는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한편, 조습측통로(85)의 수분흡착량이 많아지면, 이 조습측통로(85)에 제 2 공기로서 재생공기를 보냄으로써, 이 조습측통로(85)의 수분이 제 2 공기로 방출되어 흡착소자(81, 82)가 재생된다.
이와 같이 냉방운전 중에 흡착소자(81, 82)를 흐르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함으로써, 흡착소자(81, 82)를 효율적으로 냉각시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가습운전》
가습운전 시에는,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가 가습되 어 실내로 공급된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운전 시에 급기 팬(95)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가 급기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혼합공기(RA+OA)는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로서 제 1 상부유로(41)로 유입된다. 한편 배기 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가 배기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내공기(RA)는, 흡착공기를 구성하는 제 1 공기로서 제 5 상부유로(61)로 유입된다.
또 가습운전에서 냉매회로에서는, 재생열교환기(92)를 응축기로 하고,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증발기로 하여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즉 가습운전에 있어서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는 냉매가 유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가습운전을 실행한다.
가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가습되고,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제가 수증기를 흡착한다.
여기서 이 제 1 동작 시에 있어서, 제 2 구획판(24)에서는 제 2 우하개구(26), 제 2 좌상개구(28), 및 제 2 좌하개구(29)가 폐쇄된다. 또 제 3 구획판(34)에서는 제 3 우상개구(35), 제 3 중앙개구(37), 및 제 3 좌하개구(39)가 폐쇄된다.
제 1 우측개구(22)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1 회전댐퍼(71)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우상부유로(43)에 개구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우상개구(25)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로(41)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1 우측개구(22), 제 1 회전댐퍼(71) 내부, 제 2 우상부유로(43), 제 2 우상개구(25)를 통과하여 제 3 우상부유로(51)로 유입된다.
제 4 우측개구(32)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3 회전댐퍼(73)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하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우하부유로(64)에 개구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우하개구(36)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5 상부유로(61)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4 우측개구(32), 제 3 회전댐퍼(73) 내부, 제 4 우하부유로(64), 제 3 우하개구(36)를 통과하여 제 3 우하부유로(52)로 유입된다.
도 4의 (a)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흡착소자(81)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우하부유로(52) 및 제 3 중앙상부유로(53)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우상부유로(51) 및 제 3 중앙하부유로(54)와 연통된다. 또 제 2 흡착소자(82)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중앙하부유로(54) 및 제 3 좌상부유로(55)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중앙상부유로(53) 및 제 3 좌하부유로(56)와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3 우하부유로(52)로부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조습측통로(85)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공기는, 제 3 우상부유로(51)로부터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54)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한다. 재생열교환기(92)에서 제 2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흡착제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가 제 2 공기에 부여되어 제 2 공기가 가습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3 좌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좌상개구(38)는 연통상태이다. 제 4 회전댐퍼(74)의 절삭개구(77)는, 왼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좌상부유로(67)에 개구된다. 제 4 좌측개구(33)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3 좌상부유로(55), 제 3 좌상개구(38), 제 4 좌상부유로(67), 제 4 회전댐퍼(74) 내부, 제 4 좌측개구(33)를 통과하여 제 5 하부유로(62)로 유입된다.
제 5 하부유로(62)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하기만 할 뿐, 가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열되고 가습된 제 2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중앙개구(27)는 연통상태이다. 제 2 회전댐퍼(72)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중앙상부유로(45)에 개구된다. 제 1 좌측개구(23)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흡착소자(81)에서 수증기를 빼앗긴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3 중앙상부유로(53), 제 2 중앙개구(27), 제 2 중앙상부유로(45), 제 2 회전댐퍼(72) 내부, 제 1 좌측개구(23)를 통과하여 제 1 하부유로(42)로 유입된다.
제 1 하부유로(42)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는, 제 1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 하고, 냉매회로의 냉매가 제 1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가습되고,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제가 수증기를 흡착한다.
그리고 이 제 2 동작 시에 있어서, 제 2 구획판(24)에서는 제 2 우상개구(25), 제 2 우하개구(26), 및 제 2 좌하개구(29)가 폐쇄된다. 또 제 3 구획판(34)에서는 제 3 우하개구(36), 제 3 중앙개구(37), 및 제 3 좌상개구(38)가 폐쇄된다.
제 1 좌측개구(23)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2 회전댐퍼(72)의 절삭개구(77)는, 왼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좌상부유로(47)에 개구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좌상개구(28)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로(41)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1 좌측개구(23), 제 2 회전댐퍼(72) 내부, 제 2 좌상부유로(47), 제 2 좌상개구(28)를 통과하여 제 3 좌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제 4 좌측개구(33)는 상부 절반이 개구된다. 제 4 회전댐퍼(74)의 절삭개구(77)는, 왼쪽 하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좌하부유로(68)에 개구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좌하개구(39)는 연통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5 상부유로(61)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4 좌측개구(33), 제 4 회전댐퍼(74) 내부, 제 4 좌하부유로(68), 제 3 좌하개구(39)를 통과하여 제 3 좌하유로(56)로 유입된다.
제 1 동작에서 제 2 동작으로 절환할 때는,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가 90도만 회전한다(도 4의 (b) 참조). 그리고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착소자(82)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좌하부유로(56) 및 제 3 중앙상부유로(53)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좌상부유로(55) 및 제 3 중앙하부유로(54)와 연통 상태이다. 또 제 1 흡착소자(81)는, 그 조습측통로(85) 가 제 3 중앙하부유로(54) 및 제 3 우상부유로(51)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중앙상부유로(53) 및 제 3 우하부유로(52)와 연통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3 좌하부유로(56)로부터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조습측통로(85)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공기는, 제 3 좌상부유로(55)로부터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54)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한다. 재생열교환기(92)에서 제 2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흡착제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가 제 2 공기에 부여되어 제 2 공기가 가습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3 우상부유로(51)로 유입된다.
제 3 구획판(34)의 제 3 우상개구(35)는 연통상태이다. 제 3 회전댐퍼(73) 의 절삭개구(77)는,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4 우상부유로(63)에 개구된다. 제 4 우측개구(32)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로 제 1 흡착소자(8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차례로 제 3 우상부유로(51), 제 3 우상개구(35), 제 4 우상부유로(63), 제 3 회전댐퍼(73) 내부, 제 4 우측개구(32)를 통과하여 제 5 하부유로(62)로 유입된다.
제 5 하부유로(62)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하기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열되어 가습된 제 2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구획판(24)의 제 2 중앙개구(27)는 연통상태이다. 제 1 회전댐퍼(71)의 절삭개구(77)는 왼쪽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제 2 중앙상부유로(45)에 개구된다. 제 1 우측개구(22)는 하부 절반이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흡착소자(82)에서 수증기를 빼앗긴 제 1 공기는, 차례로 제 3 중앙상부유로(53), 제 2 중앙개구(27), 제 2 중앙상부유로(45), 제 1 회전댐퍼(71) 내부, 제 1 우측개구(22)를 통과하여 제 1 하부유로(42)로 유입된다.
제 1 하부유로(42)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는, 제 1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 하여 냉매회로의 냉매가 제 1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며, 제 2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 각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제 2 공기로 회수된다. 때문에, 흡착소자(81, 82)가 제 2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흡착소자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공기를 감습할 때 제 1, 제 2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을, 제 2 공기인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로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습운전 시에 실외의 온도가 높을 경우라도, 실외공기(OA)보다 저온의 공기(RA+OA)를 이용함으로써, 흡착소자(81, 82)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장치와 비교해 흡착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기가 가능해져, 흡착소자(81, 82)에 흡착 가능한 수분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가습운전 시에 있어서, 극한 추위일 때 실외공기(OA)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면 재생열교환기(92)에 의한 가열량이 커지는데 반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도록 하므로, 그 가열량을 억제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전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하는 구체예를 설명했지만, 제습운전 시의 냉각공기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RA)나 조화공기(CA)를 이용해도, 흡착소자(81, 82)의 냉각성능을 높여 흡착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냉각공기로서 조화공기(CA)를 이용할 경우는, 실내공기(RA)보다 더욱 온도가 낮은 공기로 흡착소자(81, 82)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냉각성능을 더욱 높여 흡착 시 발생하는 흡착열에 의한 흡착성능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는, 실내공기(RA)의 온도와 실외공기(O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를 혼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공기(OA)를 냉각공기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냉각공기를 가열하여 재생공기로 할 경우는, 냉각공기의 온도가 낮으면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재생가열 때문에 COP가 저하된다. 이에 반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하고, 그 혼합비율을 변화시키면 냉각성능과 재생효율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또 냉각공기는, 실내공기(RA)의 온도와 실내급기(S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를 혼합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혼합비율을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설정한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는, 실내공기(RA)의 습도와 실외공기(OA)의 습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를 혼합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 이 하면, 냉각공기를 가열하여 재생공기로 할 경우에, 재생 쪽에 높은 습도의 공기를 사용하면 재생능력이 저하되는데 반해, 습도를 조정한 공기로 재생하기가 가능해지므로, 재생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는, 2 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여 일괄식 동작을 실행하며,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절환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에 더불어, 도입된 실외공기(OA)를 그대로 실내로 공급하는 외기냉방운전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는, 흡착소자(81, 82)를 고정시킨 채로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약간 편평한 직방체형의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10)에는 2 개의 흡착소자(81, 82)와, 1 개의 냉매회로가 수납된다. 이들 흡착소자(81, 82)나 냉매회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에서 가장 앞쪽에는 실외측패널(11)이 설치되며, 가장 안쪽에는 실내측패널(12)이 설치된다. 실외측패널(11)에는 그 오른쪽 끝으로 급기측입구(13)가 형성되며, 그 왼쪽 끝에 배기측출구(16)가 형성된다. 한편, 실내측패널(12)에는 그 오른쪽 상부코너에 급기측출구(14)가 형성되며, 그 왼쪽 하부코너에 배기측입구(15)가 형성된다.
케이싱(10) 내부에는,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차례로 제 1 구획부재(100), 제 2 구획부재(120), 제 3 구획부재(130) 및 제 4 구획부재(140)가 구성된다. 케이싱(10) 내부공간은, 이들 제 1 내지 제 4 구획부재(100, ...)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실외측패널(11)과 제 1 구획부재(100) 사이의 공간은, 위쪽의 제 1 상부유로(171)와 아래쪽의 제 1 하부유로(172)로 구획된다. 제 1 상부유로(171)는 배기측출구(16)에 의해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이 제 1 상부유로(171)에는 배기 팬(96)과, 제 1 냉각열교환기(93)가 설치된다. 제 1 하부유로(172)는, 급기측입구(13)에 의해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이 제 1 하부유로(172)에는, 급기 팬(95)이 설치된다.
단 실외측패널(11)과 제 1 구획부재(100) 사이의 공간 중, 왼쪽 끝 부분은, 폐쇄공간의 기계실이 된다. 냉매회로의 압축기(91)는 이 기계실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구획부재(100)는, 제 1 우전(右前)구획판(101), 제 1 좌전구획판(102), 제 1 우측구획판(104), 제 1 좌측구획판(105), 및 제 1 상하구획판(103)으로 구성된다.
제 1 우전구획판(101)과 제 1 좌전구획판(102)은, 긴 변이 케이싱(10) 높이와 거의 같으며 짧은 변이 케이싱(10)의 가로 폭 1/4 정도의 상하로 긴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 1 우전구획판(101)은, 실외측패널(11)과 평행인 자세로 케이싱(10) 오른쪽에 세워진다. 제 1 좌전구획판(102)은, 실외측패널(11)과 평행인 자세로 케이싱(10) 왼쪽에 세워진다.
제 1 우측구획판(104)과 제 1 좌측구획판(105)은, 긴 변이 케이싱(10) 높이와 거의 같은 상하로 긴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 1 우측구획판(104)은, 그 앞쪽 긴 변이 제 1 우전구획판(101)의 왼쪽 긴 변과 일치하며, 또 제 1 우전구획판(101)과 직교하는 자세로 세워진다. 이 제 1 우측구획판(104)에는 그 상부에 제 1 우상개구(111)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제 1 우하개구(112)가 형성된다. 제 1 좌측구획판(105)은, 그 앞쪽 긴 변이 제 1 좌전구획판(101)의 오른쪽 긴 변과 일치하며, 또 제 1 좌전구획판(102)과 직교하는 자세로 세워진다. 이 제 1 좌측구획판(105)에는 그 상부에 제 1 좌상개구(11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제 1 좌하개구(115)가 형성된다.
제 1 상하구획판(103)은, 긴 변이 케이싱(10) 가로 폭과 거의 같으며 짧은 변이 제 1 우측구획판(104)이나 제 1 좌측구획판(105)의 짧은 변과 같은 가로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 제 1 상하구획판(103)은, 제 1 우전(右前)구획판(101), 제 1 좌전구획판(102), 제 1 우측구획판(104), 및 제 1 좌측구획판(105) 각각과 직교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제 1 상하구획판(103)은, 케이싱(10) 높이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상하구획판(103)에는, 제 1 우측구획판(104)보다 오른쪽 부분에 제 1 우상하개구(113)가 형성되며, 제 1 좌측구획판(105)보다 왼쪽 부분에 제 1 좌상하개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획부재(100)에 의해 케이싱(10) 내에는, 제 2 우상부유로(173), 제 2 우하부유로(174), 제 2 중앙상부유로(175), 제 2 중앙하부유로(176), 제 2 좌상부유로(177), 및 제 2 좌하부유로(178)가 구획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우 측구획판(104) 오른쪽에는 제 1 상하구획판(103) 위쪽으로 제 2 우상부유로(173)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으로 제 2 우하부유로(174)가 형성된다. 제 1 우측구획판(104)과 제 1 좌측구획판(105) 사이에는, 제 1 상하구획판(103) 위쪽으로 제 2 중앙상부유로(175)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으로 제 2 중앙하부유로(176)가 형성된다. 제 1 좌측구획판(105) 왼쪽에는, 제 1 상하구획판(103) 위쪽으로 제 2 좌상부유로(177)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으로 제 2 좌하부유로(178)가 형성된다.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2 중앙상부유로(175)는 제 1 우상개구(111)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우하부유로(174)와 제 2 중앙하부유로(176)는 제 1 우하개구(112)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2 우하부유로(174)는 제 1 우상하개구(113)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 개구(111, 112, 113)는 절환기구인 개폐셔터에 의해 각각이 개폐된다.
제 2 좌상부유로(177)와 제 2 중앙상부유로(175)는 제 1 좌상개구(114)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2 중앙하부유로(176)는 제 1 좌하개구(115)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좌상부유로(177)와 제 2 좌하부유로(178)는 제 1 좌상하개구(116)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 개구(114, 115, 116)는 절환기구인 개폐셔터에 의해 각각이 개폐된다.
제 2 중앙상부유로(175)와 제 1 상부유로(171) 사이, 및 제 2 중앙하부유로(176)와 제 1 하부유로(172) 사이는, 모두 제 1 구획부재(100)로 구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중앙상부유로(175)는 제 1 상부유로(171)와 항상 연통상태이며, 제 2 중앙하부유로(176)는 제 1 하부유로(172)와 항상 연통상태이다.
제 2 구획부재(120)와 제 3 구획부재(130) 사이에는, 2 개의 흡착소자(81, 82)가 좌우로 나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른쪽으로 제 1 흡착소자(81)가 배치되고, 왼쪽으로 제 2 흡착소자(82)가 배치된다. 이들 흡착소자(81, 82)는, 각각의 긴 쪽 방향이 케이싱(10)의 긴 쪽 방향과 일치하는 자세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흡착소자(81, 82)는 그 단면이 정방형을 45 도 회전시킨 마름모꼴을 이루는 자세로 설치된다. 즉 각 흡착소자(81, 82)는 그 단면 대각선의 한쪽이 서로 일직선상에서 나열되는 자세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구획부재(120)와 제 3 구획부재(130) 사이에는, 냉매회로의 재생열교환기(92)와, 절환셔터(160)가 설치된다. 재생열교환기(92)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재생열교환기(92)의 전후 길이는 흡착소자(81, 82)의 전후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이다. 이 재생열교환기(92)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거의 수평자세로 설치된다. 또 재생열교환기(92)는, 각 흡착소자(81, 82)의 단면 중심을 서로 연결한 직선상에 배치된다. 이 재생열교환기(92)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관류(貫流)한다.
절환셔터(160)는, 셔터판(162)과 한 쌍의 측판(161)을 구비하며, 절환기구를 구성한다. 각 측판(161)은, 모두 반원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각 측판(161) 직경은, 재생열교환기(92)의 좌우 폭과 거의 같다. 이 측판(161)은, 재생열교환기(92)의 앞쪽과 안쪽의 단면을 따라 1 개씩 설치된다. 한편 셔터판(162)은, 한쪽 측판(161)에서 다른 쪽 측판(161)에 걸쳐 연장되며, 각 측판(161) 둘레를 따라 만곡되는 곡면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 셔터판(162)은, 그 곡면 중심각이 90도이며, 재생열교환기(92)의 좌우방향 절반을 덮는다. 또 셔터판(162)은 측판(161) 둘레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절환셔터(160)는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오른쪽 절반을 덮는 상태(도 11의 (a) 참조)와,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왼쪽 절반을 덮는 상태(도 11의 (b) 참조)로 절환된다.
제 2 구획부재(120)와 제 3 구획부재(130) 사이는, 상하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하 각 공간이 제 1, 제 2 흡착소자(81, 82)나 절환셔터(16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흡착소자(81) 우측에는, 위쪽의 제 3 우상부유로(181)와 아래쪽의 제 3 우하부유로(182)가 구획 형성된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의 위쪽에는, 절환셔터(160) 오른쪽의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와, 절환셔터(160) 왼쪽의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가 구획 형성된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의 아래쪽에는, 제 3 중앙 하부유로(185)가 구획 형성된다. 제 2 흡착소자(82) 왼쪽으로는, 위쪽의 제 3 좌상부유로(186)와 아래쪽의 제 3 좌하부유로(187)가 구획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흡착소자(81, 82)에는, 조습측통로(85) 및 냉각측통로(8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 및 제 3 우하부유로(182)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우상부유로(181) 및 제 3 중앙하부유로(185)와 연통되는 자세로 설치된다. 한편 제 2 흡착소자(82)는, 그 조습측통로(85)가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 및 제 3 좌하부유로(187)와 연통되며, 그 냉각측통로(86)가 제 3 좌상부유로(186) 및 제 3 중앙하부유로(185)와 연통되는 자세로 설치된다.
상기 제 2 구획부재(120)에는 6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그 오른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우상개구(121)는,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3 우상부유로(181)를 연통시킨다. 그 오른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우하개구(122)는, 제 2 우하부유로(174)와 제 3 우하부유로(182)를 연통시킨다. 그 중앙상부 오른쪽으로 개구되는 제 2 중앙 우개구(123)는, 제 2 중앙 상부유로(175)와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를 연통시킨다. 그 중앙 상부의 왼쪽으로 개구되는 제 2 중앙 좌개구(124)는, 제 2 중앙 상부유로(175)와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를 연통시킨다. 그 왼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좌상개구(125)는, 제 2 좌상부유로(177)와 제 3 좌상부유로(186)를 연통시킨다. 그 왼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2 좌하개구(126)는,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3 좌하부유로(187)를 연통시킨다. 이들 개구(121, ...)는 절환기구인 개폐셔터에 의해 각각이 개폐된다.
상기 제 4 구획부재(140)는, 제 4 우후구획판(141), 제 4 좌후구획판(142), 제 4 우측구획판(144), 제 4 좌측구획판(145), 및 제 4 상하구획판(143)으로 구성된다.
제 4 우후구획판(141)과 제 4 좌후구획판(142)은, 긴 변이 케이싱(10) 높이와 거의 같으며 짧은 변이 케이싱(10)의 가로 폭 1/4 정도의 상하로 긴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 4 우후구획판(141)은, 실내측패널(12)과 평행인 자세로 케이싱(10) 왼쪽에 세워진다. 제 4 좌전구획판(142)은, 실내측패널(12)과 평행인 자세로 케이싱(10) 왼쪽에 세워진다.
제 4 우측구획판(144)과 제 4 좌측구획판(145)은, 긴 변이 케이싱(10) 높이와 거의 같은 상하로 긴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 4 우측구획판(144)은, 그 안쪽 긴 변이 제 4 우후구획판(141)의 왼쪽 긴 변과 일치하며, 또 제 4 우후구획판(141)과 직교하는 자세로 세워진다. 이 제 4 우측구획판(144)에는 그 상부에 제 4 우상개구(151)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제 4 우하개구(152)가 형성된다. 제 4 좌측구획판(145)은, 그 안쪽 긴 변이 제 4 좌후구획판(142)의 오른쪽 긴 변과 일치하며, 또 제 4 좌후구획판(142)과 직교하는 자세로 세워진다. 이 제 4 좌측구획판(145)에는 그 상부에 제 4 좌상개구(15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제 4 좌하개구(155)가 형성된다.
제 4 상하구획판(143)은, 긴 변이 케이싱(10) 가로 폭과 거의 같으며 짧은 변이 제 4 우측구획판(144)이나 제 4 좌측구획판(145)의 짧은 변과 같은 가로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 제 4 상하구획판(143)은, 제 4 우후구획판(141), 제 4 좌후구획판(142), 제 4 우측구획판(144), 및 제 4 좌측구획판(145) 각각과 직교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제 4 상하구획판(143)은, 케이싱(10) 높이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4 상하구획판(143)에는, 제 4 우측구획판(144)보다 오른쪽 부분에 제 4 우상하개구(153)가 형성되며, 제 4 좌측구획판(145)보다 왼쪽 부분에 제 4 좌상하개구(156)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구획부재(140)에 의해 케이싱(10) 내에는, 제 4 우상부유로(193), 제 4 우하부유로(194), 제 4 중앙상부유로(195), 제 4 중앙하부유로(196), 제 4 좌상부유로(197), 및 제 4 좌하부유로(198)가 구획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4 우 측구획판(144) 오른쪽에는 제 4 상하구획판(143) 위쪽으로 제 4 우상부유로(193)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으로 제 4 우하부유로(194)가 형성된다. 제 4 우측구획판(144)과 제 4 좌측구획판(145) 사이에는, 제 4 상하구획판(143) 위쪽으로 제 4 중앙상부유로(195)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으로 제 4 중앙하부유로(196)가 형성된다. 제 4 좌측구획판(145) 왼쪽에는, 제 4 상하구획판(143) 위쪽으로 제 4 좌상부유로(197)가 형성되며, 그 아래쪽으로 제 4 좌하부유로(198)가 형성된다.
제 4 우상부유로(193)와 제 4 중앙상부유로(195)는 제 4 우상개구(151)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4 우하부유로(194)와 제 4 중앙하부유로(196)는 제 4 우하개구(152)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4 우상부유로(193)와 제 4 우하부유로(194)는 제 4 우상하개구(153)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 개구(151, 152, 153)는 절환기구인 개폐셔터에 의해 각각이 개폐된다.
제 4 좌상부유로(197)와 제 4 중앙상부유로(195)는 제 4 좌상개구(154)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4 좌하부유로(198)와 제 4 중앙하부유로(196)는 제 4 좌하개구(155)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4 좌상부유로(197)와 제 4 좌하부유로(198)는 제 4 좌상하개구(156)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 개구(154, 155, 156)는 절환기구인 개폐셔터에 의해 각각이 개폐된다.
상기 제 3 구획부재(130)에는 6 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그 오른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우상개구(131)는, 제 3 우상부유로(181)와 제 4 우상부유로(193)를 연통시킨다. 그 오른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우하개구(132)는, 제 3 우하부유로(182)와 제 4 우하부유로(194)를 연통시킨다. 그 중앙상부 오른쪽으로 개구되는 제 3 중앙 우개구(133)는,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와 제 4 중앙 상부유로(195)를 연통시킨다. 그 중앙 상부의 왼쪽으로 개구되는 제 3 중앙 좌개구(134)는,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와 제 4 중앙 상부유로(195)를 연통시킨다. 그 왼쪽 상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좌상개구(135)는, 제 3 좌상부유로(186)와 제 4 좌상부유로(197)를 연통시킨다. 그 왼쪽 하부코너부에 개구되는 제 3 좌하개구(136)는, 제 3 좌하부유로(187)와 제 4 좌하부유로(198)를 연통시킨다. 이들 개구(151, ...)는 절환기구인 개폐셔터에 의해 각각이 개폐된다.
실내측패널(12)과 제 4 구획부재(140) 사이의 공간은, 위쪽의 제 5 상부유로(191)와 아래쪽의 제 5 하부유로(192)로 구획된다. 제 5 상부유로(191)는, 급기측출구(14)에 의해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이 제 5 상부유로(191)에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가 설치된다. 한편 제 5 하부유로(192)는 배기측입구(15)에 의해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운전동작-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운전동작에 대해 도 11~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공기조화장치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과 외기냉방운전을 절환시켜 실행한다. 여기서 외기냉방운전은 중간 계절과 같은, 외기온도 쪽이 내기온도보다 낮아질 경우에 이루어진다.
《제습운전》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습운전 시에는, 실외공기(OA)를 감습시켜 실 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감습할 때 흡착소자(81, 82)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을,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로 회수하도록 한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운전에 있어서, 급기 팬(95)을 구동시키면, 실외공기(OA)가 급기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외공기(OA)는, 흡착공기를 구성하는 제 1 공기로서 제 1 하부유로(172)로 유입된다. 한편 배기 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가 배기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혼합공기(RA+OA)는,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로서 제 5 하부유로(192)로 유입된다.
또 제습운전에 있어서 냉매회로에서는, 재생열교환기(92)를 응축기로 하고,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증발기로 하여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즉 제습운전에 있어서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는 냉매가 유통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제습운전을 실행한다.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공기가 감습됨과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부재(100)에서는, 제 1 우하개구(112)와 제 1 좌상개구(114)와 제 1 좌상하개구(11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11, 113, 11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우하개구(112)에 의해 제 2 중앙하부유로(176)와 제 2 우하부유로(174)가 연통되며, 제 1 좌상개구(114)에 의해 제 2 좌상부유로(177)와 제 2 중앙상부유로(175)가 연통되고, 제 1 좌상하개구(116)에 의해 제 2 좌상부유로(177)와 제 2 좌하부유로(178)가 연통된다.
제 2 구획부재(120)에서는, 제 2 우하개구(122)와 제 2 좌하개구(12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21, 123, 124, 12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우하개구(122)에 의해 제 2 우하부유로(174)와 제 3 우하부유로(182)가 연통되며, 제 2 좌하개구(126)에 의해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3 좌하부유로(187)가 연통된다.
절환셔터(160)에서는,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오른쪽 절반을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와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가 재생열교환기(92)를 통해 연통된다.
제 3 구획부재(130)에서는, 제 3 우상개구(131)와 제 3 중앙우개구(133)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32, 134, 135, 13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우상개구(131)에 의해 제 3 우상부유로(181)와 제 4 우상부유로(193)가 연통되며, 제 3 중앙우개구(133)에 의해 제 3 중앙우상부유로(183)와 제 4 중앙상부유로(195)가 연통된다.
제 4 구획부재(140)에서는, 제 4 우하개구(152)와 제 4 우상개구(153)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51, 154, 155, 15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우하개구(152)에 의해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우하부유로(194)가 연 통되며, 제 4 우상하개구(153)에 의해 제 4 우하부유로(194)와 제 4 우상부유로(193)가 연통된다.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1 공기는, 제 1 하부유로(172), 제 2 중앙하부유로(176)와 제 2 우하부유로(174)를 차례로 흐르며, 제 2 우하개구(122)를 통해 제 3 우하부유로(182)로 유입된다. 한편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5 하부유로(192), 제 4 중앙하부유로(196), 제 4 우하부유로(194), 제 4 우상부유로(193)를 차례로 흐르며, 제 3 우상개구(131)를 통해 제 3 우상부유로(181)로 유입된다.
도 11의 (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우하부유로(182)의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감습된 제 1 공기는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로 유입된다.
한편 제 3 우상부유로(181)의 제 2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185)의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하여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로 유입된다. 이 때 재생열교환기(92)에서는, 제 2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 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는, 제 2 공기와 함께 제 3 좌하부유로(187)로 유입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중앙상부유로(183)로 유입된 감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우개구(133)를 통해 제 4 중앙상부유로(195)로 유입되며, 그 후 제 5 상부유로(191)로 보내진다. 제 5 상부유로(191)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 하여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감습되고 냉각된 제 1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3 좌하부유로(187)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좌하부유로(178), 제 2 좌상부유로(177), 제 2 중앙상부유로(175)를 차례로 흐른 후, 제 1 상부유로(171)로 유입된다. 제 1 상부유로(171)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하기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11,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 시와 반대로, 제 2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감습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부재(100)에서는, 제 1 우상개구(111)와 제 1 우상하개구(113)와 제 1 좌하개구(115)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12, 114, 11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우상개구(111)에 의해 제 2 중앙상부유로(175)와 제 2 우상부유로(173)가 연통되며, 제 1 우상하개구(113)에 의해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2 우하부유로(174)가 연통되고, 제 1 좌하개구(115)에 의해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2 중앙하부유로(176)가 연통된다.
제 2 구획부재(120)에서는, 제 2 우하개구(122)와 제 2 좌하개구(12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21, 123, 124, 12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우하개구(122)에 의해 제 2 우하부유로(174)와 제 3 우하부유로(182)가 연통되며, 제 2 좌하개구(126)에 의해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3 좌하부유로(187)가 연통된다.
절환셔터(160)에서는,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왼쪽 절반을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와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가 재생열교환기(92)를 통해 연통된다.
제 3 구획부재(130)에서는, 제 3 좌상개구(135)와 제 3 중앙좌개구(134)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31, 132, 133, 13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좌상개구(135)에 의해 제 3 좌상부유로(186)와 제 4 좌상부유로(197)가 연통되며, 제 3 중앙좌개구(134)에 의해 제 3 중앙좌상부유로(184)와 제 4 중앙상부유 로(195)가 연통된다.
제 4 구획부재(140)에서는, 제 4 좌하개구(155)와 제 4 좌상하개구(15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51, 152, 153, 154)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좌하개구(155)에 의해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좌하부유로(198)가 연통되며, 제 4 좌상하개구(156)에 의해 제 4 좌하부유로(198)와 제 4 좌상부유로(197)가 연통된다.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1 공기는, 제 1 하부유로(172), 제 2 중앙하부유로(176)와 제 2 좌하부유로(178)를 차례로 흐르며, 제 2 좌하개구(126)를 통해 제 3 좌하부유로(187)로 유입된다. 한편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5 하부유로(192), 제 4 중앙하부유로(196), 제 4 좌하부유로(198), 제 4 좌상부유로(197)를 차례로 흐르며, 제 3 좌상개구(135)를 통해 제 3 좌상부유로(186)로 유입된다.
도 11의 (b)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좌하부유로(187)의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감습된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좌상부유로(184)로 유입된다.
한편 제 3 좌상부유로(186)의 제 2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185)의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하여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로 유입된다. 이 때 재생열교환기(92)에서는, 제 2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는, 제 2 공기와 함께 제 3 우하부유로(182)로 유입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로 유입된 감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3 중앙좌개구(134)를 통해 제 4 중앙상부유로(195)로 유입되며, 그 후 제 5 상부유로(191)로 보내진다. 제 5 상부유로(191)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 하여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감습되고 냉각된 제 1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3 우하부유로(182)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우하부유로(174), 제 2 우상부유로(173), 제 2 중앙상부유로(175)를 차례로 흐른 후, 제 1 상부유로(171)로 유입된다. 제 1 상부유로(171)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 냉매는 유통하 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하기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며, 제 2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 각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제 2 공기로 회수된다. 때문에, 흡착소자가 제 2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흡착소자(81, 82)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가습운전》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운전 시에 급기 팬(95)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가 급기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혼합공기(RA+OA)는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로서 제 1 하부유로(172)로 유입된다. 한편 배기 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가 배기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내공기(RA)는, 흡착공기를 구성하는 제 1 공기로서 제 5 하부유로(192)로 유입된다.
또 가습운전에 있어 냉매회로에서는, 재생열교환기(92)를 응축기로 하고,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증발기로 하여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즉 가습운전에 있어서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는 냉매가 유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 장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가습운전을 실행한다.
가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1,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가습되고,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제가 수증기를 흡착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부재(100)에서는, 제 1 우하개구(112)와 제 1 우상하개구(113)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11, 114, 115, 11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우하개구(112)에 의해 제 2 중앙하부유로(176)와 제 2 우하부유로(174)가 연통되며, 제 1 우상하개구(113)에 의해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2 우하부유로(174)가 연통된다.
제 2 구획부재(120)에서는, 제 2 우상개구(121)와 제 2 중앙우개구(123)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22, 124, 125, 12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우상개구(121)에 의해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3 우상부유로(181)가 연통되며, 제 2 중앙우개구(123)에 의해 제 2 중앙상부유로(175)와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가 연통된다.
절환셔터(160)에서는,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오른쪽 절반을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와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가 재생열교환기(92)를 통해 연통된다.
제 3 구획부재(130)에서는, 제 3 우하개구(132)와 제 3 좌하개구(136)가 연 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31, 133, 134, 13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우하개구(132)에 의해 제 3 우하부유로(182)와 제 4 우하부유로(194)가 연통되며, 제 3 좌하개구(136)에 의해 제 3 좌하부유로(187)와 제 4 좌하부유로(198)가 연통된다.
제 4 구획부재(140)에서는, 제 4 우하개구(152)와 제 4 좌상개구(154)와 제 4 좌상하개구(15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51, 153, 15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우하개구(152)에 의해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우하부유로(194)가 연통되며, 제 4 좌상개구(154)에 의해 제 4 중앙상부유로(195)와 제 4 좌상부유로(197)가 연통되며, 제 4 좌상하개구(156)에 의해 제 4 좌하부유로(198)와 제 4 좌상부유로(197)가 연통된다.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1 공기는, 제 5 하부유로(192),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우하부유로(194)를 차례로 흐르며, 제 3 우하개구(132)를 통해 제 3 우하부유로(182)로 유입된다. 한편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1 하부유로(172), 제 2 중앙하부유로(176), 제 2 우하부유로(174), 제 2 우상부유로(173)를 차례로 흐르며, 제 2 우상개구(121)를 통해 제 3 우상부유로(181)로 유입된다.
도 11의 (a)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우하부유로(182)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로 유입된다.
한편 제 3 우상부유로(181)의 제 2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185)의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하여 제 3 중앙좌상부유로(184)로 유입된다. 이 때 재생열교환기(92)에서는 제 2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가 제 2 공기에 부여되어 제 2 공기가 가습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그 후에 제 3 좌하부유로(187)로 유입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좌하부유로(187)로 유입된 가습 후의 제 2 공기는, 제 4 좌하부유로(198), 제 4 좌상부유로(197), 제 4 중앙상부유로(195)를 차례로 흐른 후, 제 5 상부유로(191)로 유입된다. 제 5 상부유로(191)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하기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열되고 가습된 제 2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수분을 빼앗기고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중앙상부유로(175)를 통해 제 1 상부유로(171)로 유입된다. 제 1 상부유로(171)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 하고,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수분과 열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11,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공기가 가습되고,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제가 수증기를 흡착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부재(100)에서는, 제 1 좌하개구(115)와 제 1 좌상하개구(11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11, 112, 113, 114)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좌하개구(115)에 의해 제 2 중앙하부유로(176)와 제 2 좌하부유로(178)가 연통되며, 제 1 좌상하개구(116)에 의해 제 2 좌상부유로(173)와 제 2 좌하부유로(178)가 연통된다.
제 2 구획부재(120)에서는, 제 2 좌상개구(125)와 제 2 중앙좌개구(124)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21, 122, 123, 12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좌상개구(125)에 의해 제 2 좌상부유로(177)와 제 3 좌상부유로(186)가 연통되며, 제 2 중앙좌개구(124)에 의해 제 2 중앙상부유로(175)와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가 연통된다.
절환셔터(160)에서는,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왼쪽 절반을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와 제 3 중앙 우상부유로(183)가 재생열교환기(92)를 통해 연통된다.
제 3 구획부재(130)에서는, 제 3 우하개구(132)와 제 3 좌하개구(13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31, 133, 134, 13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우하개구(132)에 의해 제 3 우하부유로(182)와 제 4 우하부유로(194)가 연통되며, 제 3 좌하개구(136)에 의해 제 3 좌하부유로(187)와 제 4 좌하부유로(198)가 연통된다.
제 4 구획부재(140)에서는, 제 4 우상개구(151)와 제 4 우상하개구(153)와 제 4 좌하개구(155)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52, 154, 15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우상개구(151)에 의해 제 4 우상부유로(193)와 제 4 중앙상부유로(195)가 연통되며, 제 4 우상하개구(153)에 의해 제 4 우하부유로(194)와 제 4 우상부유로(193)가 연통되며, 제 4 좌하개구(155)에 의해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좌하부유로(198)가 연통된다.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1 공기는, 제 5 하부유로(192),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좌하부유로(198)를 차례로 흐르며, 제 3 좌하개구(136)를 통해 제 3 좌하부유로(187)로 유입된다. 한편 케이싱(10)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1 하부유로(172), 제 2 중앙하부유로(176), 제 2 좌하부유로(178), 제 2 좌상부유로(177)를 차례로 흐르며, 제 2 좌상개구(125)를 통해 제 3 좌상부유로(186)로 유입된다.
도 11의 (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좌하부유로(187)의 제 1 공기는, 흡착공기로서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로 유입된다.
한편 제 3 좌상부유로(186)의 제 2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공기로서 냉각측통로(86)를 흐른다. 흡착열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제 3 중앙하부유로(185)로 유입된다. 제 3 중앙하부유로(185)의 제 2 공기는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하여 제 3 중앙우상부유로(183)로 유입된다. 이 때 재생열교환기(92)에서는 제 2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제 2 흡착소자(81)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한다. 즉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가 제 2 공기에 부여되어 제 2 공기가 가습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그 후에 제 3 우하부유로(182)로 유입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우하부유로(182)로 유입된 가습 후의 제 2 공기는, 제 4 우하부유로(194), 제 4 우상부유로(193), 제 4 중앙상부유로(195) 를 차례로 흐른 후, 제 5 상부유로(191)로 유입된다. 제 5 상부유로(191)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공기는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냉각열교환기(94)에서 냉매는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공기는 단순히 제 2 냉각열교환기(94)를 통과하기만 할 뿐, 흡열도 방열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열되고 가습된 제 2 공기는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수분을 빼앗기고 제 3 중앙 좌상부유로(184)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중앙상부유로(175)를 통해 제 1 상부유로(171)로 유입된다. 제 1 상부유로(171)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공기는 제 1 냉각열교환기(93)를 통과한다. 제 1 냉각열교환기(93)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 하고,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수분과 열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며, 제 2 동작 중은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 각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제 2 공기로 회수된다. 때문에, 흡착소자(81, 82)가 제 2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흡착소자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외기냉방운전》
외기냉방운전 시에는, 케이싱(10) 내로 도입된 실외공기(OA)가 어느 흡착소자(81, 82)도 통과하는 일없이 실내로 공급되는 한편, 케이싱(10) 내로 도입된 실내공기(RA)가 어느 흡착소자(81, 82)도 통과하는 일없이 실외로 배출된다. 또 냉 매회로의 압축기(91)는 정지되어 냉동주기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 외기냉방운전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16에서는 절환셔터(160)의 셔터판(162)이 재생열교환기(92)의 왼쪽 절반을 덮은 상태이지만, 외기냉방운전 시에 절환셔터(160)의 상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 1 구획부재(100)에서는, 제 1 우상개구(111)와 제 1 우상하개구(113)와 제 1 좌하개구(115)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12, 114, 116)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우상개구(111)에 의해 제 2 중앙상부유로(175)와 제 2 우상부유로(173)가 연통되며, 제 1 우상하개구(113)에 의해 제 2 우상부유로(173)와 제 2 우하부유로(174)가 연통되고, 제 1 좌하개구(115)에 의해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2 중앙하부유로(176)가 연통된다.
제 2 구획부재(120)에서는, 제 2 우하개구(122)와 제 2 좌하개구(12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21, 123, 124, 12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우하개구(122)에 의해 제 2 우하부유로(174)와 제 3 우하부유로(182)가 연통되며, 제 2 좌하개구(126)에 의해 제 2 좌하부유로(178)와 제 3 좌하부유로(187)가 연통된다.
제 3 구획부재(130)에서는, 제 3 우하개구(132)와 제 3 좌하개구(13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31, 133, 134, 13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우하개구(132)에 의해 제 3 우하부유로(182)와 제 4 우하부유로(194)가 연통되며, 제 3 좌하개구(136)에 의해 제 3 좌하부유로(187)와 제 4 좌하부유로(198)가 연통된다.
제 4 구획부재(140)에서는, 제 4 우하개구(152)와 제 4 좌상개구(154)와 제 4 좌상하개구(156)가 연통상태이며, 나머지 개구(151, 153, 155)가 차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우하개구(152)에 의해 제 4 중앙하부유로(196)와 제 4 우하부유로(194)가 연통되며, 제 4 좌상개구(154)에 의해 제 4 중앙상부유로(195)와 제 4 좌상부유로(197)가 연통되고, 제 4 좌상하개구(156)에 의해 제 4 좌하부유로(198)와 제 4 좌상부유로(197)가 연통된다.
급기 팬(95)을 구동시키면, 실외공기(OA)가 급기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그 후 실외공기(OA)는 제 1 하부유로(172), 제 2 중앙하부유로(176), 제 2 좌하부유로(178), 제 3 좌하부유로(187), 제 4 좌하부유로(198), 제 4 좌상부유로(197), 제 4 중앙상부유로(195), 제 5 상부유로(191)를 차례로 흘러, 급기측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배기 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가 배기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그 후 실내공기(RA)는, 제 5 하부유로(192), 제 4 중앙하부유로(196), 제 4 우하부유로(194), 제 3 우하부유로(182), 제 2 우하부유로(174), 제 2 우상부유로(173), 제 2 중앙상부유로(175), 제 1 상부유로(171)를 차례로 흘러, 배기측출구(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제 1 공기를 감습할 때 제 1, 제 2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을, 제 2 공기인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로 회수하여 흡착소자(81, 82)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습운전 시에 실외 온도가 높을 경우라도, 실외공기(OA)보다 저온의 공기(RA+OA)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흡착소자(81, 8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장치와 비교해 흡착성능 저하의 억제가 가능해져, 흡착소자(81, 82)에 흡착 가능한 수분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가습운전 시에는 극한의 추위일 때 COP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각공기로서 실내공기(RA)나 조화공기(CA)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상기 혼합공기(RA+OA)를 이용할 경우에는,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의 혼합비율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는, 1 개의 흡착소자(2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공기조화장치는 흡착동작 및 냉각동작과 재생동작을 실행하여, 흡착소자(250)에 의한 공기의 감습과, 흡착소자(250)의 흡착제 재생을 동시에 병행하여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흡착소자(250)는, 도우넛형, 혹은 두꺼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흡착소자(250)에는 그 둘레방향에서, 조습측통로(85)와 냉각측통로(86)가 교대로 구획 형성된다. 조습측통로(85)는, 흡착소자(250)를 그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즉 조습측통로(85)는, 흡착소자(250)의 전면(前面) 및 배면에 개구된다. 또 조습측통로(85) 내벽에는 흡착제가 도포된다. 한편 냉각측통로(86)는, 흡착소자(250)를 그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한다. 즉 냉각측통로(86)는, 흡착소자(25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개구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흡착소자(250)가 흡착존(251)과 재생존(252)에 걸쳐 설치된다. 이 흡착소자(250)는 그 중심을 통하는 축 주변에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회전구동된다.
또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냉매회로를 구비한다. 이 냉매회로는, 압축기(91), 응축기인 재생열교환기(92), 팽창기구인 팽창밸브, 및 증발기인 냉각열교환기(93)를 배관 접속하여 형성된 폐회로이다. 이 중 재생열교환기(92)는 가열기를 구성한다. 냉매회로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켜 증기압축식 냉동주기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도 18에서는, 재생열교환기(92) 및 냉각열교환기(93)만을 도시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흡착존(251)에 위치하는 흡착소자(250)의 부분에는, 당해 부분의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구성하는 제 1 공기로서 실외공기(OA)가 도입되며, 당해 부분의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로서 실내공기(RA)가 도입된다. 이 때 제 2 공기는 흡착소자(250)의 내주면 쪽으로부터 냉각측통로(86)로 보내진다.
흡착존(251)에 있어서, 흡착소자(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1 공기(흡착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흡착제로 흡착된다.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는 흡착열이 발생한다. 이 흡착열은 흡착소자(250)의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제 2 공기(냉각공기)로 흡열된다.
흡착존(251)에서 수분을 빼앗겨 감습된 제 1 공기는, 냉각열교환기(93)를 통 과한다. 냉각열교환기(93)에서 제 1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매에 대해 방열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라면, 감습되고 냉각된 제 1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또 가습운전 중이라면, 수분을 빼앗겨 방열된 제 1 공기를 실외로 배기한다.
한편, 흡착존(251)에서 수분을 탈취한 제 2 공기는, 재생공기로서 재생열교환기(92)를 통과한다. 재생열교환기(92)에서 제 2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매의 응축열을 흡열한다. 흡착존(251) 및 재생열교환기(9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재생존(252)에 위치하는 흡착소자(250)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재생존(252)에는, 흡착소자(250)의 회전이동에 따라 흡착존(251)에 위치했던 흡착소자(250)의 부분이 이동해온다.
재생존(252)에 위치하는 흡착소자(250)의 부분에서, 당해 부분의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된다. 즉 흡착제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제로부터 이탈된 수증기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라면 흡착제로부터 이탈한 수증기와 함께 제 2 공기를 실외로 배기한다. 또 가습운전 중이라면, 가열되고 가습된 제 2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존(251)에서는 흡착소자(250)에 대한 흡착동작이 실행되며, 재생존(252)에서는 흡착소자(250)에 대한 재생동작이 실행된다. 이 때 흡착소자(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행하는 흡착열은,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제 2 공기로 회수된다. 이로써 흡착소자(250)가 제 2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흡착소자(250)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공기를 감습할 때 흡착소자(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을, 제 2 공기인 실내공기(RA)로 회수하여 흡착소자(250)를 냉각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외 온도가 높을 경우에도 실외공기(OA)보다 저온의 실내공기(RA)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흡착소자(25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장치와 비교해 흡착성능 저하의 억제가 가능해져, 흡착소자(250)에 흡착 가능한 수분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도 냉각공기를 구성하는 제 2 공기로서, 조화공기(CA)를 이용하거나,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를 이용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여러 종류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소자의 형상은,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직방체형의 형상이나,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원형 등에 한정됨 없이, 6 각주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실내로의 급기량과 실외로의 배기량은, 동량으로 해도 되며, 반드시 동량이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9의 (a)는,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와 제 2 공기인 혼합공기(RA+OA)의 풍량비율을 같게 하고, 급기(SA)와 배기(EA)의 비율도 같게 한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즉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의 풍량을 100으로 하면, 혼합공 기(RA+OA), 급기(SA), 및 배기(EA) 풍량도 100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혼합공기(RA+OA)에 실외공기(OA)를 포함시키지 않으면, 동량의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가 바뀌는 시스템이 구성되며, 혼합공기(RA+OA)에 실외공기(OA)를 포함시키면, 급기과다인 시스템이 구성된다.
또 도 19의 (b)는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를 100으로 하면, 혼합공기(RA+OA)를 100+α, 급기(SA)를 100, 배기(EA)를 100+α로 한 예이다. 이 경우, 동량의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가 바뀌게 된다.
또한 도 19의 (c)는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를 100으로 하면, 혼합공기(RA+OA)를 50+α, 급기(SA)를 100, 배기(EA)를 50+α로 한 예이다. 이 경우, 급기과다인 시스템이 된다.
또 도 19의 (b) 및 도 19의 (c) 시스템 구성을 변경하여, 도 19의 (d) 및 도 19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공기의 일부를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생 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낸 각 예는, 제습운전에 대한 풍량조정을 나타낸 것이지만, 가습운전에 대해서도 풍량을 조정하기는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데시컨트 방식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17)

  1. 흡착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재생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탈착하는 흡착제가 설치된 조습측통로(85)와, 조습측통로(85)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도록 냉각공기가 통과하는 냉각측통로(86)를 갖는 흡착소자(81, 82, 250)를 구비하며, 이 흡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 공기를 조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흡착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재생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탈착하는 흡착제가 설치된 조습측통로(85)와, 조습측통로(85)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도록 냉각공기가 통과하는 냉각측통로(86)를 갖는 흡착소자(81, 82, 250)를 구비하며, 이 흡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 공기를 조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조화공기(CA)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착소자(81, 82)를 복수 구비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 행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또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환기구의 동작과 흡착소자(81, 8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흡착소자(81, 8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환기구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 화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착소자(250)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또 조습측통로(85)가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냉각측통로(86)가 그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착소자(250)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며,
    상기 흡착소자(250)의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도입하여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또 상기 흡착소자(250)의 다른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재생공기를 도입하여 재생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재생공기가, 냉각공기를 가열시킨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재생공기가, 냉각공기를 가열시킨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흡착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재생공기의 통과로 수분을 탈착하는 흡착제가 설치된 조습측통로(85)와, 조습측통로(85)에서 흡착 시의 흡착열을 흡수하도록 냉각공기가 통과하는 냉각측통로(86)를 갖는 흡착소자(81, 82, 250)를 구비하며, 이 흡착소자(81, 82, 250)의 조습측통로(85)에서 공기를 조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각공기가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의 혼합공기(RA+O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흡착소자(81, 82)를 복수 구비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고, 또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에 흡착공기를 유통시켜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에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에 재생공기를 유통시켜 재생동작을 실행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환기구의 동작과 흡착소자(81, 8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흡착공기, 냉각공기 및 재생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하며,
    흡착소자(81, 8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환기구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절환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흡착소자(250)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또 조습측통로(85)가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냉각측통로(86)가 그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착소자(250)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며,
    상기 흡착소자(250)의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로 흡착공기를 도입하여 흡착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냉각측통로(86)로 냉각공기를 유통시켜 냉각동작을 실행하며, 또 상기 흡착소자(250)의 다른 일부분에 있는 조습측통로(85) 로 재생공기를 도입하여 재생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공기는, 실내공기(RA)의 온도와 실외공기(O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공기는, 실내공기(RA)의 온도와 실내급기(SA)의 온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공기는, 실내공기(RA)의 습도와 실외공기(OA)의 습도에 따른 소정의 혼합비율로 실내공기(RA)와 실외공기(OA)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재생공기가, 냉각공기를 가열시킨 공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장치.
KR1020047006839A 2001-11-09 2002-09-12 공기조화장치 KR100572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4057 2001-11-09
JP2001344057A JP3680149B2 (ja) 2001-11-09 2001-11-09 空気調和装置
PCT/JP2002/009382 WO2003040629A1 (fr) 2001-11-09 2002-09-12 Conditionneur d'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019A KR20040058019A (ko) 2004-07-02
KR100572109B1 true KR100572109B1 (ko) 2006-04-17

Family

ID=1915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839A KR100572109B1 (ko) 2001-11-09 2002-09-12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04077B2 (ko)
EP (2) EP1443281B1 (ko)
JP (1) JP3680149B2 (ko)
KR (1) KR100572109B1 (ko)
CN (1) CN100357668C (ko)
AT (2) ATE447145T1 (ko)
AU (1) AU2002330393B2 (ko)
DE (2) DE60234219D1 (ko)
ES (1) ES2307783T3 (ko)
WO (1) WO2003040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98B1 (ko) * 2001-11-08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3161465A (ja) * 2001-11-26 2003-06-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341358B2 (ja) * 2003-09-30 2009-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707448B1 (ko) * 2005-03-2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NL1028830C2 (nl) * 2005-04-21 2006-10-24 Level Holding Bv Recuperatief klimaatbeheerssysteem.
JP3864982B2 (ja) *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US8820028B2 (en) * 2007-03-30 2014-09-02 Certainteed Corporation Attic and wall insulation with desiccant
JP4585011B2 (ja) * 2008-03-24 2010-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空気搬送ダクトおよび加湿装置並びに空気調和機
JP2010196997A (ja) * 2009-02-26 2010-09-09 Toyota Motor Corp 建物
DE102009017630A1 (de) * 2009-04-16 2010-10-21 Klingenburg Gmbh Wasserabscheider für eine Luftbefeuchtungsvorrichtung
US20120056006A1 (en) * 2010-09-03 2012-03-08 David Bendah Global warming letter
DE102011110862A1 (de) * 2011-08-17 2013-02-21 Klingenburg Gmbh Kühlvorrichtung für zur Erzeugung eines Zuluftstroms verwendete Außenluft und Verfahren zur Kühlung derselben
JP5542777B2 (ja) * 2011-10-27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A2809479A1 (en) 2012-03-30 2013-09-30 Certainteed Corporation Roofing composite including dessicant and method of thermal energy management of a roof by reversible sorption and desorption of moisture
US9140396B2 (en) 2013-03-15 2015-09-22 Water-Gen Ltd. Dehumidification apparatus
CN103335364B (zh) * 2013-05-28 2015-09-16 无锡市天兴净化空调设备有限公司 Ap1000核电专用组合式空调机组
WO2015136393A1 (en) * 2014-03-11 2015-09-17 Water-Gen Ltd. Closed-cycle condenser dryer with heat regeneration
JP6468911B2 (ja) * 2015-03-27 2019-02-13 大阪瓦斯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6570345B2 (ja) * 2015-07-06 2019-09-04 大阪瓦斯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6016514A (zh) * 2016-05-12 2016-10-12 上海交通大学 温湿度弱关联控制单元式空调系统及使用方法
IL255877B (en) * 2017-11-23 2019-12-31 Dulberg Sharon A device for extracting water from the air, and for drying the air using high energy and methods for its production
KR102265397B1 (ko) * 2018-09-18 2021-06-1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환기장치용 열교환 유닛
EP3754263B1 (en) * 2019-04-09 2023-09-06 Tempeff Inc. Energy exchange apparatus for sensible and latent heat
KR102326656B1 (ko) * 2020-04-27 2021-11-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공기 조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6335B2 (ko) 1974-12-28 1977-09-14
JPS5753304Y2 (ko) * 1978-09-06 1982-11-18
JPS5833454B2 (ja) * 1978-09-06 1983-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S56132471U (ko) * 1980-03-07 1981-10-07
JPS6268520A (ja) 1985-09-20 198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乾式除湿機
US4729774A (en) * 1986-03-10 1988-03-08 Gas Research Institute Nonuniform regeneration system for desiccant bed
JPH06147546A (ja) 1992-11-13 1994-05-27 Toshiba Corp オゾン発生装置
US5649428A (en) * 1993-01-08 1997-07-22 Engelhard/Icc Hybri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improved recovery evaporator and subcool condenser coils
JPH08313186A (ja) * 1995-05-24 1996-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JPH09318127A (ja) * 1996-05-24 1997-12-12 Ebara Corp 空調システム
JP3711834B2 (ja) 2000-03-23 2005-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システム
JP2001263764A (ja) 2000-03-24 2001-09-26 Daikin Ind Ltd 調湿システム
JP3709815B2 (ja) * 2001-07-18 2005-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3097825A (ja) * 2001-07-18 2003-04-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3139348A (ja) 2001-10-30 2003-05-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3139349A (ja) 2001-10-31 2003-05-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3281B1 (en) 2008-06-25
CN1585874A (zh) 2005-02-23
EP1443281A4 (en) 2005-05-04
EP1717523A1 (en) 2006-11-02
ATE399294T1 (de) 2008-07-15
KR20040058019A (ko) 2004-07-02
DE60234219D1 (de) 2009-12-10
EP1717523B1 (en) 2009-10-28
EP1443281A1 (en) 2004-08-04
WO2003040629A1 (fr) 2003-05-15
AU2002330393B2 (en) 2006-08-03
DE60227274D1 (de) 2008-08-07
JP2003148768A (ja) 2003-05-21
ES2307783T3 (es) 2008-12-01
ATE447145T1 (de) 2009-11-15
US20040250557A1 (en) 2004-12-16
US7104077B2 (en) 2006-09-12
CN100357668C (zh) 2007-12-26
JP3680149B2 (ja)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109B1 (ko) 공기조화장치
JP3709815B2 (ja) 空気調和装置
JP3668846B2 (ja) 吸着素子及び空気調和装置
US2011023966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H11118192A (ja) 除湿空調装置
KR20050109541A (ko) 조습 장치
US7082781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US7568355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KR100708628B1 (ko) 조습장치
JP2004060954A (ja) 調湿装置
JP4225181B2 (ja) 調湿装置
JP2005140372A (ja) 空気調和装置
JP3649203B2 (ja) 調湿装置
JP2002191971A (ja) 吸着素子構造体及び調湿装置
JP363263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3139348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042481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