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656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656B1
KR102326656B1 KR1020200051041A KR20200051041A KR102326656B1 KR 102326656 B1 KR102326656 B1 KR 102326656B1 KR 1020200051041 A KR1020200051041 A KR 1020200051041A KR 20200051041 A KR20200051041 A KR 20200051041A KR 102326656 B1 KR102326656 B1 KR 10232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orption
adsorption
outdoor air
refrigerant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656B9 (ko
KR20210132529A (ko
Inventor
김영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1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56B1/ko
Publication of KR10232665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5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복수의 흡탈착기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없이 제1 외기의 절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듈, 및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를 제공받아, 상기 외기와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유체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절대습도 증가 없이 상기 외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Air conditioner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습도를 감소시키는 모듈과 온도를 감소시키는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공조)는 온도, 습도, 및 기류, 박테리아, 먼지, 유해 가스 등의 조건을 실내에 있는 사람이나 물품에 대하여 가장 좋은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을 말하며, 기능적으로 주요기능인 냉난방(Cooling & Heating) 외에도 제습(dehumidification)과 가습(humidification), 청정(purification), 환기(ventilation), 방향(aroma) 기능을 하며,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항원 및 항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599298(출원번호: 10-2014-0037099, 특허권자: 주식회사 브레스)에는,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 및 타측에 형성된 급기구, 상기 환기구 및 상기 급기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함체,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환기구와 연통되는 흡기공간과 상기 급기구와 연통되는 급기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흡기공간과 상기 급기공간을 연통하 는 연통구를 가지는 제1 격벽; 상기 급기공간을 제1 및 제2 급기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2 급기공간은 상기 급기구와 연통되는 제2 격벽, 상기 흡기공간에 설치되어 배출구가 상기 연통구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급기공간에 배출하는 흡기팬; 상기 제2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배출구가 상기 급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급기공간 내의 공기를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급기팬, 그리고 상기 함 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급기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구 및 상기 제2 급기공간과 연통되는 외기구 상에 설치되며, 열교환미디어 및 상기 열교환미디어가 실장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미디어를 상기 배기구측 및 상기 외기구측에 교대로 배치하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신재생 공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59929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냉방 효율 및 냉방 성능이 향상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방뿐만 아니라 난방까지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착제를 재사용 효율이 향상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잠열부하 제거와 현열부하 제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복수의 흡탈착기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없이 제1 외기의 절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듈, 및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를 제공받아, 상기 외기와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유체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절대습도 증가 없이 상기 외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흡탈착기는, 흡착제로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시키는 흡착 단계, 상기 흡착제의 증기를 탈착하는 제1 탈착 단계, 및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흡착제의 잔여 증기를 탈착하는 제2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흡탈착기 중 어느 하나의 흡탈착기가 상기 흡탈착 싸이클 중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나머지 흡탈착기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 중 상기 제1 탈착 단계 또는 상기 제2 탈착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탈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듈은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흡탈착기가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흡탈착기는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3 흡탈착기는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 단계는, 상기 흡착제에 제1 냉매를 제공하여, 상기 제1 냉매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가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탈착 단계는, 제2 외기를 상기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가 상기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탈착 단계는, 상기 흡착제에 제2 냉매를 제공하여, 상기 제2 냉매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가 가열되고,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흡착제에 남아있는 증기가 상기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모듈은 적층된 복수의 휜, 및 상기 복수의 휜을 관통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휜 사이에 제1 유로가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 내부에 제2 유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제공받는 상기 제1 외기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고, 상기 제1 유로의 말단에서 상기 제1 외기로부터 분기된 내기가 상기 제2 유로를 흐르고, 상기 제1 유로 내의 상기 제1 외기와 상기 제2 유로를 흐르는 내기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의 내벽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제공되고, 상기 튜브의 내부의 상기 제2 유로를 흐르는 상기 내기로 상기 유체가 증발되고, 상기 유체의 증발에 의해 상기 튜브가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튜브에 의해,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1 외기의 온도가 감소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흡착, 제1 탈착, 또는 제2 탈착 동작이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되되, 동시에(at the same time),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 중 흡착 동작이 수행된 흡탈착기에서 배출된 절대습도가 감소된 제1 외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외기가 흐르는 유로와 다른 유로를 흐르는 유체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절대습도 증가 없이 상기 외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 동작을 수행하는 흡탈착기는, 제1 냉매를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하되, 증기가 흡착된 상기 제1 외기는, 온도의 증가 없이 절대습도가 감소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탈착 동작을 수행하는 흡탈착기는, 제2 외기를 상기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가 상기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탈착 동작을 수행하는 흡탈착기는, 제2 냉매를 상기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탈착 동작 수행 이후 상기 흡착제에 남은 잔여 증기가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복수의 흡탈착기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없이 제1 외기의 절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듈, 및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를 제공받아, 상기 외기와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유체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절대습도 증가 없이 상기 외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열부하 제거 및 현열부하 제거가 독립적으로 발생되므로, 냉방 효율 및 냉방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포함하는 제1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모듈 내에서 제1 외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모듈 내에서 제2 외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모듈이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흡착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탈착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탈착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가 흡탈착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가 흡탈착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포함하는 제2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4는 제2 모듈이 포함하는 휜 및 튜브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모듈 내의 제1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친수성 물질을 따라 튜브 내부로 물이 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모듈 내의 제2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 모듈의 냉방 모드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냉방 모드 중 제1 외기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난방 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2 모듈의 난방 모드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5는 난방 모드 중 제1 외기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간접적으로 접촉된다'라는 용어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임의의 매개체를 통해 접촉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흡착 단계, 제1 탈착 단계, 및 제2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흡탈착 싸이클을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가 개별적으로 수행한다'라는 용어는 '제1 흡탈착기가 흡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제2 흡탈착기는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하고, 제3 흡탈착기는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포함하는 제1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제1 모듈 내에서 제1 외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제2 모듈 내에서 제2 외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제1 모듈이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모듈(100), 제2 모듈(200), 제1 열교환 모듈(300), 냉각탑(400), 제2 열교환 모듈(500), 압축기(600), 및 전자팽창밸브(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된다.
제1 모듈(1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모듈(100)은, 제1 흡탈착기(110), 제2 흡탈착기(120), 및 제3 흡탈착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는 제1 외기(OA1) 또는 제2 외기(OA2)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1 내지 제1-3 외기 유입 밸브(141, 143, 145) 및 제1-1 내지 제1-3 외기 유출 밸브(142, 144, 146)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 외기(OA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기 유입 라인(1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 유입되고, 제1 외기 유출 라인(1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외기(OA2)는, 제2-1 내지 제2-3 외기 유입 밸브(151, 153, 155) 및 제2-1 내지 2-3 외기 유출 밸브(152, 154, 156)의 동작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기 유입 라인(13)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 유입되고, 제2 외기 유출 라인(14)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는 제1 냉매 내지 제3 냉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냉매는 제1 냉매 라인(2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 유입되고, 제2 냉매 라인(2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냉매는 제3 냉매 라인(3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 유입되고, 제4 냉매 라인(3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4 냉매 라인(3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에 유입되고, 상기 제3 냉매 라인(3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매는, 후술되는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공급되되, 흡착 단계에서 제공되는 냉매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냉매는, 후술되는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공급되되, 제2 탈착 단계에서 제공되는 냉매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3 냉매는, 후술되는 난방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공급되는 냉매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각각, 제1 외기 유입구(110a, 120a, 130a), 제1 외기 유출구(110b, 120b, 130b), 제2 외기 유입구(110c, 120c, 130c), 제2 외기 유출구(110d, 120d, 130d),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 및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10a, 120a, 130a)는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으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10a, 120a, 130a)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10a, 120a, 130a) 및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의 연결부에는, 제1-1 외기 유입 밸브(141), 제1-2 외기 유입 밸브(143), 및 제1-3 외기 유입 밸브(14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10a)와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에는 상기 제1-1 외기 유입 밸브(14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20a)와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에는 상기 제1-2 외기 유입 밸브(143)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30a)와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에는 상기 제1-3 외기 유입 밸브(1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외기 유입 밸브(141), 제1-2 외기 유입 밸브(143), 및 제1-3 외기 유입 밸브(145)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되는 상기 제1 외기(OA1)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10b, 120b, 130b)는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10b, 120b, 130b) 및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10b, 120b, 130b) 및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의 연결부에는, 제1-1 외기 유출 밸브(142), 제1-2 외기 유출 밸브(144), 및 제1-3 외기 유출 밸브(14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10b)와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에는 상기 제1-1 외기 유출 밸브(14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20b)와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에는 상기 제1-2 외기 유출 밸브(144)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30b)와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에는 상기 제1-3 외기 유출 밸브(14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외기 유출 밸브(142), 제1-2 외기 유출 밸브(144), 및 제1-3 외기 유출 밸브(146)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제1 외기(OA1)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10c, 120c, 130c)는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으로 제공된 상기 제2 외기(OA2)는,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10c, 120c, 130c)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10c, 120c, 130c) 및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의 연결부에는, 제2-1 외기 유입 밸브(151), 제2-2 외기 유입 밸브(153), 및 제2-3 외기 유입 밸브(15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10c)와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에는 상기 제2-1 외기 유입 밸브(15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20c)와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에는 상기 제2-2 외기 유입 밸브(153)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30c)와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에는 상기 제2-3 외기 유입 밸브(15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2-1 외기 유입 밸브(151), 제2-2 외기 유입 밸브(153), 및 제2-3 외기 유입 밸브(155)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외기(OA2)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10d, 120d, 130d)는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외기(OA2)는,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10d, 120d, 130d) 및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10d, 120d, 130d) 및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2)의 연결부에는, 제2-1 외기 유출 밸브(152), 제2-2 외기 유출 밸브(154), 및 제2-3 외기 유출 밸브(15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10d)와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에는 상기 제2-1 외기 유출 밸브(15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20d)와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에는 상기 제2-2 외기 유출 밸브(154)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30d)와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에는 상기 제2-3 외기 유출 밸브(15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외기 유출 밸브(152), 제2-2 외기 유출 밸브(154), 및 제2-3 외기 유출 밸브(156)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제2 외기(OA2)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는 상기 제1 냉매 라인(21) 및 상기 제3 냉매 라인(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는 상기 제2 냉매 라인(22) 및 상기 제4 냉매 라인(3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제1 냉매 라인(21) 및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된 후,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 및 상기 제2 냉매 라인(2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제3 냉매 라인(31) 및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된 후,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 및 상기 제4 냉매 라인(3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4 냉매 라인(32) 및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된 후,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 및 상기 제3 냉매 라인(3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 및 상기 제1 냉매 라인(21)의 연결부에는, 제1-1 냉매 유입 밸브(161), 제1-2 냉매 유입 밸브(163), 및 제 1-3 냉매 유입 밸브(16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와 상기 제1 냉매 라인(21)에는 상기 제1-1 냉매 유입 밸브(16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20e)와 상기 제1 냉매 라인(21)에는 상기 제1-2 냉매 유입 밸브(163)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30e)와 상기 제1 냉매 라인(21)에는 상기 제1-3 냉매 유입 밸브(1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냉매 유입 밸브(161), 제1-2 냉매 유입 밸브(163), 및 제1-3 냉매 유입 밸브(165)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되는 상기 제1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 및 상기 제2 냉매 라인(22)의 연결부에는, 제1-1 냉매 유출 밸브(162), 제1-2 냉매 유출 밸브(164), 및 제1-3 냉매 유출 밸브(16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와 상기 제2 냉매 라인(22)에는 상기 제1-1 냉매 유출 밸브(16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20f)와 상기 제2 냉매 라인(22)에는 상기 제1-2 냉매 유출 밸브(164)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30f)와 상기 제2 냉매 라인(22)에는 상기 제1-3 냉매 유출 밸브(16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냉매 유출 밸브(162), 제1-2 냉매 유출 밸브(164), 및 제1-3 냉매 유출 밸브(166)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제1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 120e, 130e) 및 상기 제3 냉매 라인(31)의 연결부에는, 제2-1 냉매 유입 밸브(171), 제2-2 냉매 유입 밸브(173), 및 제2-3 냉매 유입 밸브(17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와 상기 제3 냉매 라인(31)에는 상기 제1-1 냉매 유입 밸브(17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20e)와 상기 제3 냉매 라인(31)에는 상기 제1-2 냉매 유입 밸브(173)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30e)와 상기 제3 냉매 라인(31)에는 상기 제1-3 냉매 유입 밸브(17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냉매 유입 밸브(171), 제2-2 냉매 유입 밸브(173), 및 제2-3 냉매 유입 밸브(175)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되는 상기 제2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제3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120f, 130f) 및 상기 제4 냉매 라인(32)의 연결부에는, 제2-1 냉매 유출 밸브(172), 제2-2 냉매 유출 밸브(174), 및 제2-3 냉매 유출 밸브(17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와 상기 제4 냉매 라인(32)에는 상기 제2-1 냉매 유출 밸브(172)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의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20f)와 상기 제4 냉매 라인(32)에는 상기 제2-2 냉매 유출 밸브(174)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의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30f)와 상기 제4 냉매 라인(32)에는 상기 제2-3 냉매 유출 밸브(17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냉매 유출 밸브(172), 제2-2 냉매 유출 밸브(174), 제2-3 냉매 유출 밸브(176)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제2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되는 상기 제3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의 내부에는 냉매 라인(112, 122, 132) 및 흡착제(A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라인(112, 122, 132)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유입된 상기 제1 내지 제3 냉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각각, 흡착 단계, 제1 탈착 단계, 및 제2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흡탈착 싸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의 흡탈착 싸이클이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6은 흡착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 탈착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제2 탈착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가 흡탈착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가 흡탈착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흡탈착기(110)에서 상기 흡착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외기 유입 라인(11) 및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10a)를 통해, 상기 제1 외기(OA1)가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흡착제(AD)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매 라인(21) 및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를 통해, 상기 제1 냉매가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냉매 유로(1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냉매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AD)가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흡착제(AD)는 상기 제1 외기(OA1)의 증기를 흡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증기가 흡착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실질적인 온도의 상승 없이 절대습도가 감소될 수 있다.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외기 유출구(110b) 및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을 통해,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냉매 유로(112)를 흐르는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제2 냉매 입출구(110f) 및 상기 제2 냉매 라인(22)을 통해,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착 단계 이후 상기 제1 흡탈착기(110)는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 및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10c)를 통해, 상기 제2 외기(OA2)가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2 외기(OA2)는 상기 흡착제(AD)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제(AD)에 흡착된 증기가 상기 제2 외기(OA2)로 탈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외기(OA2)는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10d) 및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을 통해,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제1 흡탈착기(110)는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외기 유입 라인(130) 및 상기 제2 외기 유입구(110c)를 통해, 상기 제2 외기(OA2)가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2 외기(OA2)는 상기 흡착제(AD)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냉매 라인(31) 및 상기 제1 냉매 입출구(110e)를 통해, 상기 제2 냉매가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상기 냉매 유로(112)에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제1 냉매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냉매는 가열수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냉매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AD)가 가열되고,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흡착제(AD)에 남아있는 증기가 상기 제2 외기(OA2)로 탈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외기(OA2)는 상기 제2 외기 유출구(110d) 및 상기 제2 외기 유출 라인(14)을 통해, 상기 제1 흡탈착기(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흡탈착 싸이클은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착 단계-제1 탈착 단계-제2 탈착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이후 상기 흡착 단계-제1 탈착 단계-제2 탈착 단계가 다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외기(OA1)의 증기를 흡착한 상기 흡착제(AD)는, 상기 제1 탈착 단계 및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통해 상기 제2 외기(OA2)로 증기를 탈착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탈착 단계 이후 다시 수행되는 상기 흡착 단계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외기(OA2)를 통해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 외기(OA2) 및 상기 제2 냉매를 통해 상기 제2 탈착 단계가 수행되므로,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의 탈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냉매 없이 상기 제2 외기(OA2)를 이용하여 탈착을 한번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외기(OA2) 및 상기 제2 냉매를 통해 탈착을 한번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착제(AD)에 흡착된 증기를 완벽하게 탈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2 외기(OA2) 및 상기 제2 냉매를 통해 복수회 탈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를 탈착하는데 과도한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냉매의 사용없이 상기 제2 외기(OA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탈착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1 탈착 단계가 수행된 직후(directly after), 상기 제2 냉매 및 상기 제2 외기(OA2)를 통해 상기 제2 탈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를 최소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상기 제2 탈착 단계 이후 수행되는 상기 흡착 단계에서, 증기가 탈착된 상기 흡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외기(OA1)의 증기가 상기 흡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흡착되어, 상기 제1 외기(OA1)의 절대습도가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탈착기(120) 및 상기 제3 흡탈착기(130) 또한, 상기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흡탈착기(120) 또한 상기 흡착 단계-제1 탈착 단계-제2 탈착 단계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 수행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 또한 상기 흡착 단계-제1 탈착 단계-제2 탈착 단계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을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동시에(at the same time),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흡탈착기(110)가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흡탈착기(120)는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는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흡탈착기(110)가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흡탈착기(120)는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는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흡탈착기(110)가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흡탈착기(120)는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는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각각 상기 흡착 단계-제1 탈착 단계-제2 탈착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듈(100)은 상기 흡착 단계를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OA1)를, 후술되는 제2 모듈(200)로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듈(100)은 제4 흡탈착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흡탈착기(110, 120, 130, 미도시)는 흡착 단계-제1 탈착 단계-제2 탈착 단계-제3 탈착 단계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착 단계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냉매를 통해 상기 흡착제(AD)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흡착제(AD)가 상기 제1 외기(OA1)의 증기를 흡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착 단계에서는 상기 흡착제(AD)에 상기 제2 외기(OA2)를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를 상기 제2 외기(OA2)로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탈착 단계에서는 상기 흡착제(AD)에 상기 제2 외기(OA2)를 제공하여,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흡착제(AD)에 남아있는 증기를 상기 제2 외기(OA2)로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탈착 단계에서는, 상기 흡착제(AD)에 상기 제2 외기(OA2)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냉매를 통해 상기 흡착제(AD)를 가열시켜, 상기 제2 탈착 단계 이후 상기 흡착제(AD)에 남아있는 증기를 상기 제2 외기(OA2)로 탈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듈(100)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외기(OA2)를 통한 탈착 단계를 한번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의 탈착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열수를 사용하는 탈착 단계의 횟수는 그대로 유지한 채 외기를 통한 탈착 단계가 더 추가됨으로써, 탈착 효율 향상을 위한 비용 증가 문제가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듈(100)은 복수의 흡탈착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100)이 포함하는 흡탈착기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흡탈착기(미도시)는 흡착 단계 및 복수의 탈착 단계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되, 복수의 흡탈착기(미도시) 중 어느 하나의 흡탈착기는 흡착 단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흡탈착기는 상기 제2 외기(OA2) 및 상기 제2 냉매를 통한 탈착 단계를 수행하며, 나머지 흡탈착기들은 상기 제2 외기(OA2)를 통한 탈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모듈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포함하는 제2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14는 제2 모듈이 포함하는 휜 및 튜브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2 모듈 내의 제1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친수성 물질을 따라 튜브 내부로 물이 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2 모듈 내의 제2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모듈(200)은 하우징(205),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 제1 내지 제4 댐퍼(231, 232, 233, 234), 유체 순환 밸브(235), 제1 및 제2 열원 밸브(241, 242), 열교환기(250), 유체 회수기(260), 및 유체 펌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205) 내부에는 공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조 모듈은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는 상기 하우징(205)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휜 및 상기 복수의 튜브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도 14에 도시된 X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은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은 도 14에 도시된 Y축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제1 튜브 휜(211)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제1 측벽(201)과 접촉되고, 상기 제1 튜브 휜(211)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제2 측벽(20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201) 및 상기 제2 측벽(202)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튜브 휜(211)가 상기 제1 측벽(201) 및 상기 제2 측벽(202)과 접촉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는 상기 제1 튜브 휜(211)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튜브 휜(211)의 상부 영역은 유체 영역(WS)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튜브 휜(211)의 하부 영역은 외기 영역(O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영역(OS)에는 제1 외기(OA1) 또는 외부 열원(OH)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의 흡착 단계를 통해, 온도의 상승 없이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OA1)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외부 열원(OH)은 가열된 대기일 수 있다. 상기 유체 영역(WS)에는 유체(W) 또는 상기 제1 외기(OA1)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W)는 물(water)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체(W)는 상기 유체 영역(WS) 내의 상기 제1 튜브 휜(21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OA1) 또는 상기 외부 열원(OH)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외기 영역(OS)에 상기 제1 외기(OA1)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부 열원(OH)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외기 영역(OS)에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외기(OA1)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OA1) 또는 상기 외부 열원(OH)의 선택적 제공은, 후술되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제1 배플(212)는, 상기 외기 영역(OS)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튜브 휜(211)와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플(212)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상기 제1 측벽(201)과 접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배플(212)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상기 제2 측벽(202)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배플(212)의 타단과 상기 제2 측벽(202)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플(213)는, 상기 외기 영역(OS)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배플(212)와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배플(213)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상기 제2 측벽(202)과 접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배플(213)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상기 제1 측벽(201)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배플(213)의 타단과 상기 제1 측벽(201)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 휜(214)는 상기 제2 배플(213)와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튜브 휜(214)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상기 제1 측벽(201)과 접촉되고, 상기 제2 튜브 휜(214)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205)의 상기 제2 측벽(202)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는 상기 제2 튜브 휜(214)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튜브 휜(214)의 상부 영역은 상기 외기 영역(OS)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튜브 휜(214)의 하부 영역은 내기 영역(I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기 영역(IS)에는 후술되는 내기(IA)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튜브 휜(214)는 개구부(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14a)는 상기 내기 영역(IS)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214a)를 통해 상기 외기 영역(OS)과 상기 내기 영역(IS)이 연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205) 내부는 상기 유체 영역(WS), 상기 외기 영역(OS), 및 상기 내기 영역(I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체 영역(WS) 및 상기 외기 영역(OS)은 상기 제1 튜브 휜(21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외기 영역(OS) 및 상기 내기 영역(IS)은 상기 제2 튜브 휜(21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영역(OS)은,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에 의하여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영역(OS)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제1 유로(R1)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R1)에는 상기 제1 외기(OA1) 또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흐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제3 외기 유입구(200a)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른 뒤, 후술되는 제3 외기 유출구(200c)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반면, 후술되는 열원 유입구(200f)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 열원(OH)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른 뒤, 후술되는 열원 유출구(200g)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플(212)와 상기 제2 측벽(202)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플(213)와 상기 제1 측벽(201)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 또는 상기 외부 열원(OH)은,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와의 접촉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플(212) 및 상기 제2 배플(213)가 서로 다른 측벽과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 또는 상기 외부 열원(OH)은,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 또는 상기 외부 열원(OH)은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와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R1)의 말단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가 분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2 튜브 휜(214)의 상기 개구부(214a)에 의하여 분기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된 상기 제1 외기(OA1)는 내기(IA)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기(IA)는, 상기 내기 영역(IS)으로 이동된 후,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는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는 각각, 제3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의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방향은 도 14에 도시된 (Z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튜브 휜(211, 214), 제1 및 제2 배플(212, 213)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튜브 휜(2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상기 상단부의 외벽 상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내벽 상에는 친수성 물질(HM)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튜브 휜(211) 상에 상기 유체(W)가 제공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W)는 상기 친수성 물질(HM)을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상기 상단부의 외벽을 지나, 상기 내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내부는 제2 유로(R2)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에는 상기 내기(IA)가 흐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R1)의 말단에서 상기 제1 외기(OA1)로부터 분기된 상기 내기(IA)는,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로 제공되어,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R2)에는 상기 제1 외기(OA1)가 흐를 수 있다. 후술되는 제4 외기 유입구(200b)를 통해 상기 유체 영역(WS)으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로 유입되어,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상기 내기(IA) 또는 상기 제1 외기(OA1)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유로(R2)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로(R2)에 상기 내기(IA)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외기(OA1)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유로(R2)에 상기 제1 외기(OA1)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내기(IA)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에 상기 내기(IA)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로(R1)에는 상기 제1 외기(OA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내기(IA)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내기(IA)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를 통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내기(IA)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가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내기(IA) 및 상기 외기(OA)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되어, 상기 제1 외기(OA1)의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로(R2)에 상기 내기(IA)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내벽을 따라 흐르는 상기 유체(W)는, 상기 내기(IA)로 증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체(W)가 증발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는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가 냉각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4 튜브(221, 222, 223, 224) 주위에서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냉각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에 의하여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간접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외기(OA1)는 절대습도의 변화 없이, 냉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유로(R2)에 상기 제1 외기(OA1)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유로(R1)에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외부 열원(OH)은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외부 열원(OH)은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10, 220, 230, 240)를 통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와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외기(OA1) 및 상기 외부 열원(OH)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되어, 상기 제1 외기(OA1)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R1)에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부 열원(OH)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로(R1)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들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들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 내부의 상기 유체(W)는, 상기 제2 유로(R2)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로 증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유로(R2)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가열 및 가습 될 수 있다.
다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5)은,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5)은, 제3 외기 유입구(200a), 제4 외기 유입구(200b), 제3 외기 유출구(200c), 제1 유체 유입구(200d), 제2 유체 유입구(200e), 열원 유입구(200f), 열원 유출구(200g), 및 유체 유출구(200h)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는 상기 하우징(205)의 제1 측벽(201)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는 상기 하우징(205)의 상부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3 외기 유출구(200c)는 상기 하우징(205)의 제2 측벽(202)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5)의 제1 측벽(201) 및 제2 측벽(202)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일 수 있다.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 및 상기 외기 유출구(200c)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 및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는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기 유출 라인(12)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1 외기(OA1)가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에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 또는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를 거쳐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출구(200c)는 제3 외기 유출 라인(1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을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외기(OA1)가, 상기 하우징(20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외기 유출구(200c) 및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하우징(205)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은 제1-1 외기 유출 라인(12a) 및 제1-2 외기 유출 라인(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외기 유출 라인(12a)은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와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2 외기 유출 라인(12b)은 상기 제1-1 외기 유출 라인(12a)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서,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 유출 라인(12)에는 제1 댐퍼(231) 및 제2 댐퍼(23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댐퍼(231)는 상기 제1-1 외기 유출 라인(1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댐퍼(232)는 상기 제1-2 외기 유출 라인(12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231) 및 상기 제2 댐퍼(232)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제1 외기(OA1)의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댐퍼(231)가 열리고 상기 제2 댐퍼(232)가 닫히는 경우,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유로(R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댐퍼(231)가 닫히고 상기 제2 댐퍼(232)가 열리는 경우,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유체 영역(WS)을 거쳐 상기 제2 유로(R2)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의 일 측에는 개구부(2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14a)는 상기 제2 튜브 휜(214)가 포함하는 상기 개구부(214a)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으로 배출되는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하우징(205)의 외부로 배출되기 이전, 상기 개구부(214a)를 통해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에는 제3 댐퍼(233) 및 제4 댐퍼(234)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댐퍼(233)는 상기 제3 외기 유출구(200c) 및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의 연결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4 댐퍼(234)는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의 상기 개구부(214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댐퍼(234)에 의하여,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의 상기 개구부(214a)가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댐퍼(234)가 열리는 경우, 상기 개구부(214a)가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제1 외기(OA1)의 일부가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외기는 내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4 댐퍼(234)가 닫히는 경우, 상기 개구부(214a)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외기 유출구(200c)를 통해 배출된 상기 제1 외기(OA1)는, 분기되지 않고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을 따라 상기 하우징(20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는 상기 하우징(205)의 제1 측벽(201)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는 상기 제3 외기 유입구(200a)와 상기 제1 튜브 휜(21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e)는 상기 하우징(205)의 제2 측벽(202)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 및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e)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는 제1 유체 유입 라인(4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에는 상기 유체(W)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에 유입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를 거쳐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W)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영역(WS) 내의 상기 제1 튜브 휜(21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e)는 제2 유체 유입 라인(4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유입 라인(42)에는 상기 유체(W)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체 유입 라인(42)에 유입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e)를 거쳐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W)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영역(WS) 내의 상기 제1 튜브 휜(21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체 유입 라인(42)은, 상기 유체 회수기(26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체 유입 라인(42)의 일 단은, 상기 유체 회수기(26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체 유입 라인(42)의 타 단은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e)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체 회수기(260)는,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증발된 상기 유체(W)를 회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내벽 상에 제공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2 유로(R2)를 따라 흐르는 상기 내기(IA) 또는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외부 열원(OH)에 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4 외기 유입구(200b)를 통해 상기 유체 회수기(26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체 회수기(260)는, 증발된 상기 유체(W)를 상기 유체(W)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전환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2 유체 유입 라인(42)을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회수기(260)를 통해 상기 유체(W)가 순환공급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b) 및 상기 유체 회수기(260) 사이에는 상기 유체 순환 밸브(235)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 순환 밸브(235)에 의하여, 상기 유체 회수기(260)로 제공되는, 상기 증발된 유체(W)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원 유입구(200f)는 상기 하우징(205)의 제2 측벽(202)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원 유입구(200f)는 상기 제2 유체 유입구(200e)와 상기 제1 튜브 휜(21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유체 유출구(200g)는 상기 하우징(205)의 제1 측벽(201)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원 유입구(200f) 및 상기 열원 유출구(200g)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열원 유입구(200f)는 열원 유입 라인(25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원 유입 라인(251)에는 외부 열원(OH)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원 유입 라인(251)에 유입된 상기 외부 열원(OH)은, 상기 열원 유입구(200f)를 거쳐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원 유입 라인(251)에는, 상기 제1 열원 밸브(24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열원 유출구(200g)는 열원 유출 라인(25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원 유출 라인(252)을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 열원(OH)이, 상기 하우징(20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 열원(OH)은, 상기 열원 유출구(200g) 및 상기 열원 유출 라인(252)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하우징(205)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원 유출 라인(252)에는, 상기 제2 열원 밸브(24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체 유출구(200h)는 상기 하우징(205)의 하부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출구(200h)에는 상기 유체(W)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 내에 제공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 내벽을 따라 흘러, 상기 내기 공간(IS)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기 공간으로 제공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유체 유출구(200h)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출구(200h)는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은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의 일단은 상기 유체 유출구(200h)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의 타단은 상기 제1 제1 유체 유입구(200d)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 유출구(200h)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유체(W)는, 상기 제1 유체 유입구(200d)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W)는 순환되며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체 유입 라인(41)에 상기 유체 펌프(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W)의 순환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50)는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상기 외부 열원(OH)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250)는, 상기 하우징(205)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외부 열원(OH)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250)는 회수된 상기 외부 열원(OH)과 내부 열원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회수된 상기 외부 열원(OH)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상기 외부 열원(OH)은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250)기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5) 내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순환공급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열원은 지역난방 폐열 또는 재생에너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500)는, 제1 유출구(250a), 제1 유입구(250b), 제2 유출구(250c), 및 제2 유입구(25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50)의 상기 제1 유출구(250a)는 상기 열원 유입 라인(25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출구(250a)에는, 상기 열교환기(250)를 통해 가열된 상기 외부 열원(OA)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250)를 통해 가열된 상기 외부 열원(OA)은, 상기 제1 유출구(250a)를 통해 상기 열원 유입 라인(251)으로 제공된 후, 상기 열원 유입구(200f)를 통해 상기 하우징(20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50)의 제1 유입구(250b)는 상기 열원 유출 라인(25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05)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외부 열원(OH)이, 상기 제1 유입구(250b)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25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입구(250d)는 내부 열원 유입 라인(25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열원 유입 라인(253)에는, 내부 열원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열원 유입 라인(253) 및 상기 제2 유입구(250d)를 통해, 내부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25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출구(250c)는 내부 열원 유출 라인(25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출구(250c) 및 상기 내부 열원 유출 라인(254)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250) 내의 상기 내부 열원은, 상기 열교환기(2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열교환 모듈(300), 냉각탑(40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열교환 모듈(300)은 상기 제1 냉매 라인(21) 및 상기 제2 냉매 라인(2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제1 열교환 모듈(300)을 거쳐,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냉매 라인 및 상기 제1 열교환 모듈(300) 사이에는 냉매 펌프(3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열교환 모듈(30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교환 모듈(300)은 상기 냉각탑(4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탑(400)은, 상기 제1 열교환 모듈(400)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냉각탑(40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제1 열교환 모듈(300) 및 상기 냉각탑(400)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순환공급 될 수 있다.
제2 열교환 모듈(500), 압축기(600), 전자팽창밸브(70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은 상기 제3 외기 유출 라인(15)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듈(20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냉매 또는 제3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후술되는 냉방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제4 냉매 라인(32)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4 냉매 라인(32)에는 상기 전자팽창밸브(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전자팽창밸브(700)를 거친 후,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팽창밸브(7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냉매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도가 감소된 상기 제2 냉매가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온도가 감소된 상기 제2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열교환된 상기 제2 냉매는 제5 냉매 라인(33)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5 냉매 라인(33)은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 및 상기 압축기(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제5 냉매 라인(33)을 통해 상기 압축기(6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0)는 상기 제2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제2 냉매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0)는 상기 제3 냉매 라인(3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600)로부터 온도가 증가된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제3 냉매 라인(31)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 상기 압축기(600), 및 상기 전자팽창밸브(700)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순환공급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후술되는 난방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3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3 냉매 라인(31)을 통해 상기 압축기(6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0)는 상기 제3 냉매를 압축하여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600)는 상기 제5 냉매 라인(33)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600)로부터 온도가 증가된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5 냉매 라인(33)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온도가 증가된 상기 제3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열교환된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4 냉매 라인(32)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4 냉매 라인(32)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4 냉매 라인(32)에는 상기 전자팽창밸브(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전자팽창밸브(700)를 거친 후,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팽창밸브(700)는,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로부터 유출된 상기 제3 냉매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도가 감소된 상기 제3 냉매가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 모듈(500), 상기 압축기(600), 및 상기 전자팽창밸브(700)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로 순환공급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 18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냉방 모드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2 모듈의 냉방 모드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1은 냉방 모드 중 제1 외기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흡탈착기(110)에서 상기 흡착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2 흡탈착기(120)에서 상기 제1 탈착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3 흡탈착기(130)에서 상기 제2 탈착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가 예를 들어 설명된다.
상기 제1 흡탈착기(110)에는, 상기 제1 외기(OA1) 및 상기 제1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매는 상기 제1 흡탈착기(110) 내부의 상기 흡착제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흡착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외기(OA1)의 증기를 흡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기가 흡착된 상기 제1 외기(OA1)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의 상승 없이 절대습도가 감소(①->②)될 수 있다.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2 모듈(200)의 상기 제1 유로(R1)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R1) 내로 제공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1 유로(R1)의 말단에서 상기 내기(IA)로 분기되고, 상기 내기(IA)는 상기 제2 유로(R2)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R2) 내에 상기 내기(IA)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내벽에 제공된 상기 유체(W)는, 상기 내기(IA)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유체(W)가 증발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는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흡탈착기(110)로부터 상기 제1 외기(OA1)의 절대습도가 감소되었으므로, 상기 유체(W)의 증발 효율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가 냉각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 주위에서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냉각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2, 223, 224)에 의하여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R1)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간접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대습도의 변화 없이 냉각(②->③)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듈(100)을 통해 상기 제1 외기(OA1)가 온도의 상승 없이 절대습도가 감소되고,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OA1)가 상기 제2 모듈(200)을 통해 절대습도의 변화없이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 효율 및 냉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므로, 상기 제1 외기(OA1)로부터 증기를 지속적으로 흡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흡착제의 재사용을 위한 탈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기(OA2)를 통한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제2 외기(OA2) 및 상기 제2 냉매를 통한 상기 제2 탈착 단계가 수행되므로, 탈착 효율이 향상되어, 상기 흡착제의 재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난방 모드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난방 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제2 모듈의 난방 모드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5는 난방 모드 중 제1 외기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110, 120, 130) 중 어느 하나의 흡탈착기는, 상기 제1 외기(OA1) 및 상기 제3 냉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흡탈착기는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흡탈착기(110)에서 상기 제1 외기(OA1) 및 상기 제3 냉매를 제공받는 경우가 예를 들어 설명된다.
상기 제1 흡탈착기(110)에서 상기 제1 외기(OA1) 및 상기 제3 냉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제1 외기(OA1) 및 상기 제3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외기(OA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대습도의 감소 없이 온도가 감소(①->②)될 수 있다.
온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OA1)는 상기 제2 모듈(200)의 상기 제2 유로(R2)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듈(200)의 상기 제1 유로(R1)에는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R1)에 상기 외부 열원(OH)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부 열원(OH)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로(R1)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들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들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튜브(221, 222, 223, 224) 내부의 상기 유체(W)는, 상기 제2 유로(R2)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로 증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유로(R2)를 흐르는 상기 제1 외기(OA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및 가습(②->③)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모듈
110, 120, 130: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
200: 제2 모듈
211, 214: 제1 및 제2 튜브 휜
212, 213: 제1 및 제2 배플
221, 222, 223, 224: 제1 내지 제4 튜브
300: 제1 열교환 모듈
400: 냉각탑
500: 제2 열교환 모듈
600: 압축기
700: 전자팽창밸브

Claims (14)

  1. 복수의 흡탈착기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없이 제1 외기의 절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듈, 및 절대습도가 감소된 상기 제1 외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외기와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유체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절대습도 증가 없이 상기 제1 외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흡탈착기는, 제1 냉매를 통해 냉각된 흡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시키는 흡착 단계, 제2 외기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의 증기를 탈착하는 제1 탈착 단계, 및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제2 냉매를 통해 가열된 흡착제와 상기 제2 외기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의 잔여 증기를 탈착하는 제2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탈착기 중 어느 하나의 흡탈착기가 상기 흡탈착 싸이클 중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나머지 흡탈착기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 중 상기 제1 탈착 단계 또는 상기 제2 탈착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탈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흡탈착기가 상기 제1 탈착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흡탈착기는 상기 제2 탈착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3 흡탈착기는 상기 흡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는, 상기 흡탈착 싸이클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단계는,
    상기 흡착제에 제1 냉매를 제공하여, 상기 제1 냉매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가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착 단계는,
    제2 외기를 상기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가 상기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착 단계는,
    상기 흡착제에 제2 냉매를 제공하여, 상기 제2 냉매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가 가열되고,
    상기 제1 탈착 단계 이후 상기 흡착제에 남아있는 증기가 상기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적층된 복수의 휜, 및 상기 복수의 휜을 관통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휜 사이에 제1 유로가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 내부에 제2 유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제공받는 상기 제1 외기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고,
    상기 제1 유로의 말단에서 상기 제1 외기로부터 분기된 내기가 상기 제2 유로를 흐르고,
    상기 제1 유로 내의 상기 제1 외기와 상기 제2 유로를 흐르는 내기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의 내벽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제공되고,
    상기 튜브의 내부의 상기 제2 유로를 흐르는 상기 내기로 상기 유체가 증발되고,
    상기 유체의 증발에 의해 상기 튜브가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튜브에 의해,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1 외기의 온도가 감소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흡착, 제1 탈착, 또는 제2 탈착 동작이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되되, 동시에(at the same time),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흡탈착기 중 흡착 동작이 수행된 흡탈착기에서 배출된 절대습도가 감소된 제1 외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외기가 흐르는 유로와 다른 유로를 흐르는 유체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절대습도 증가 없이 상기 외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흡착 동작은 제1 냉매를 통해 냉각된 흡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하고, 상기 제1 탈착 동작은 제2 외기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의 증기를 탈착하며, 상기 제2 탈착 동작은 제2 냉매를 통해 가열된 흡착제와 상기 제2 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탈착 동작 후 상기 흡착제에 잔존된 증기를 탈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동작을 수행하는 흡탈착기는, 제1 냉매를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외기의 증기를 흡착하되,
    증기가 흡착된 상기 제1 외기는, 온도의 증가 없이 절대습도가 감소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착 동작을 수행하는 흡탈착기는, 제2 외기를 상기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증기가 상기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착 동작을 수행하는 흡탈착기는, 제2 냉매를 상기 흡착제로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탈착 동작 수행 이후 상기 흡착제에 남은 잔여 증기가 제2 외기로 탈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200051041A 2020-04-27 2020-04-27 공기 조화 장치 KR10232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041A KR102326656B1 (ko) 2020-04-27 2020-04-27 공기 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041A KR102326656B1 (ko) 2020-04-27 2020-04-27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529A KR20210132529A (ko) 2021-11-04
KR102326656B1 true KR102326656B1 (ko) 2021-11-15
KR102326656B9 KR102326656B9 (ko) 2024-02-16

Family

ID=7850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041A KR102326656B1 (ko) 2020-04-27 2020-04-27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6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174A (ja) * 2015-06-19 2017-01-12 大阪瓦斯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149B2 (ja) * 2001-11-09 2005-08-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599298B1 (ko) 2014-03-28 2016-03-03 주식회사 브레스 신재생 공조기
KR101670663B1 (ko) * 2014-09-29 2016-10-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전외기 공조시스템 및 전외기 공조방법
KR101988550B1 (ko) * 2017-11-08 2019-06-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중의 흡착탑을 구비하는 흡착식 냉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174A (ja) * 2015-06-19 2017-01-12 大阪瓦斯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656B9 (ko) 2024-02-16
KR20210132529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8786B2 (ja) 空気調和装置
CN101815906B (zh) 湿度调节装置及换气装置
JP3649236B2 (ja) 空気調和装置
US20230022397A1 (en) Air quality adjustment system
WO1999019675A1 (fr) Conditionneur d'air a assechement
JP2010175188A (ja) ドレンレス空気調和装置
JP2008101796A (ja) 除湿空調装置
KR102326656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9092299A (ja) 調湿装置
JP2005147484A (ja) 空気調和機
JP2000205598A (ja) 除湿空調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の使用方法
JP2010078246A (ja) 空調システム
KR102639703B1 (ko) 공조 장치, 공조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1361099B1 (ko) 공동주택 지역냉방을 위한 환기겸용 제습냉방 시스템
JP4161495B2 (ja) 吸着式空調装置
JP2015039647A (ja) 除湿システム
KR102426975B1 (ko) 공조기 및 그 동작방법
JP2580267B2 (ja) 酸素富化機能付空調システム
CN216976920U (zh) 空气处理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室内机
WO2021117260A1 (ja) ガス除去濃縮装置
JP2007101057A (ja) 加湿ユニット
JP2017009187A (ja) 空調装置
JP4906472B2 (ja) デシカント空調機
WO2018230295A1 (ja) 調湿ユニット
JP2001208374A (ja) 除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