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969B1 -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969B1
KR100571969B1 KR1020040103973A KR20040103973A KR100571969B1 KR 100571969 B1 KR100571969 B1 KR 100571969B1 KR 1020040103973 A KR1020040103973 A KR 1020040103973A KR 20040103973 A KR20040103973 A KR 20040103973A KR 100571969 B1 KR100571969 B1 KR 10057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ttachment
slider
suppor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95A (ko
Inventor
이와세유이치
게야키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8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spring-actuated lock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68Protrusion on pull tab directly engaging interlock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7Biased by distinct spr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더(10)는 슬라이더 동체(20)의 전후방 부착기둥(25, 26)과, 후방 부착기둥(26)을 향해 개방되고, 손잡이(60)의 축부(51)를 수용하는 오목부(32)를 갖는 돌기체(30)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방 부착기둥(26)을 슬라이더 동체(20)상의 삽입안내홈(27)에 전후로 접동가능하게 배치하므로써, 돌기체(30)의 오목부(32)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하는 간극부(60)가 형성되며, 슬라이더 동체(20)상을 덮는 손잡이 지지체(40)와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이 계착상태로 있을 때, 간극부(60)를 거쳐 손잡이(60)의 축부(51)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고, 슬라이더 동체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손잡이의 부착구조가 간단해지며, 안정되고 양호한 자동 정지기능을 확보하면서, 손잡이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자동 정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더를 제공한다.
손잡이, 동체, 부착기동, 지지체, 간극부, 위치결정, 안내홈

Description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STOPPER}
도1은 본 발명의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부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제1실시예).
도2는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1실시예).
도3은 도2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1실시예).
도4는 슬라이더의 후방 부착체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제1실시예).
도5는 도3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1실시예).
도6은 도5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1실시예).
도7은 도6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1실시예).
도8은 도7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1실시예).
도9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제1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부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제2실시예).
도11은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2실시예).
도12는 도11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2실시예).
도13은 도12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2실시예).
도14는 도13의 다음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2실시예).
도15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제2실시예).
도16은 슬라이더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제3실시예).
도17은 종래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
도18은 종래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요부 종단면도.
도19는 종래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요부 종단면도.
도20은 종래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슬라이더 동체 21, 22: 날개편
25, 26: 부착기둥 27: 삽입안내홈
30: 돌기체 31: 돌기부
32: 오목부 40: 손잡이 지지체
41, 42, 45: 벽부 50: 손잡이
60: 간극부
본 발명은 자동 정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더 동체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더 동체에 대해 손잡이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列)을 치합 및 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에 대해 손잡이를 조작하므로써, 정지돌기체의 걸어맞춤 돌기를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일부에 결합시켜 슬라이더 동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자동 정지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공평 제4-32974호).
이러한 실공평 제4-32974호 공보에 개시된 슬라이더(100)는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101)에 상부 날개편의 견구측으로부터 후구측을 향해 하향하는 오목형의 손잡이 지지체(102)를 이동불가능하게 고착하고, 상기 손잡이 지지체(102)내의 견구측 근처에 정지돌기체(13)의 기단부를 상하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상기 정지돌기체(103)의 선단부에는 슬라이더 동체(101)의 상부날개편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104)으로부터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위치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기(105)와, 상기 상부 날개편의 후구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수용하는 작동오목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돌기체(103)의 걸어맞춤 돌기(105)를 걸어맞춤 구멍(104)으로부터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위치로 돌출시키도록, 정지돌기체(103)의 기단부 하면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에 형성된 작은 구멍내에 개재된 압축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가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102)의 후구측의 단부와 슬라이더 동체(101)의 상부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108)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6)의 부착축부의 삽입간극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부(108)에는 상기 삽입간극을 폐쇄하는 폐쇄부재(109)가 후구측 근처의 간극 폐쇄위치와 견구측 근처의 간극 개방위치 사이를 접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폐쇄부재(109)는 간극 폐쇄위치 방향을 향하여 항상 가압되어 있다.
상기 폐쇄부재(109)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대략 U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2갈래 형상의 아암부에는 폐쇄부재(109)의 간극 폐쇄위치에서 상기 간극부(108)를 손잡이(106)의 부착축부가 통과되지 않도록 폐쇄하는 제1폐쇄부(110)와; 손잡이 지지체(102)의 좌우 벽부의 후구측 근처에 형성된 퇴출공간(111)과 견구측 근처에 형성된 수납공간 사이에 연속한 연속연부(113)를, 손잡이(106)의 부착축부가 통과할 수 없도록 폐쇄하는 제2폐쇄부(114)가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더(100)는 도18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6)를 제외하고 슬라이더 동체(101)에 정지돌기체(103), 폐쇄부재(109), 손잡이 지지체(102) 등의 구성부품이 조립되어 슬라이더 조립품으로 되고; 상기 슬라이더 조립품에 손잡이(106)가 부착된다.
슬라이더 동체(101)에 손잡이(106)를 부착하기 위하여, 먼저 제1공정으로서,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슬라이더 동체(101)의 간극부(108)내에 밀어 넣는다. 손잡이(106)의 부착축부에 의해,상기 폐쇄부재 (109)의 제1폐쇄부(110)의 외단을 가압하면, 그 제1폐쇄부(110)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통과시키도록 넓게 개방된다. 이어서, 그 부착축부를 간극부(108)로부터 손잡이 지지체(102)의 퇴출공간(111)내로 이동시키면, 상기 폐쇄부재(109)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도20에 도시된 본래의 간극 폐쇄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제2공정으로서,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손잡이 지지체(102)의 퇴출공간(111)으로부터 폐쇄부재(109)의 제1 및 제2폐쇄부(110, 114)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3공정으로서, 다시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상기 간극부(108)내에 밀어넣으면, 제2폐쇄부(114)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지지체(102)의 연속연부(113)의 위치로부터 이탈된다.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는 상기 오목부내에 체결된 상태에서 연속연부(113)의 하단을 통과하여, 손잡이 지지체(102)의 수납공간(112)의 하단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돌기체(103)의 작동오목홈(108)내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4공정으로서, 손잡이(10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손잡이 지지체(102)의 수납공간(112)내로 이동시키면, 상기 부착축부와 폐쇄부재(109)의 제2폐쇄부(114)와의 간섭이 없어지기 때문에, 폐쇄부재(109)는 스프링력으로 상기 간극 폐쇄위치로 복귀되어, 손잡이(106)의 부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폐쇄부재(109)가 상기 간극 폐쇄위치로 복귀되므로써 손잡이(10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인수 부착후에 있어서, 손잡이(106)를 슬라이더 동체(101)로부터 외부로 떼어낸 경우에는 상기 폐쇄부재(109)를 탄력에 저항하여 간극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폐쇄부재(109)를 간극 개방위치로 지지한 상태에서 손잡이(106)를 상기 조작과 반대인 조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손잡이(106)를 슬라이더 동체(101)로부터 외부로 떼어낼 수 있으며, 기존의 손잡이(106) 대신에 새로운 손잡이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된 손잡이(106)에 의한 조작은 손잡이(106)를 경사 상방향 또는 슬라이더 접동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손잡이(106)의 부착축부에 의해 정지돌기체(103)의 걸어맞춤 돌기(105)가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사이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 동체(101)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을 치합시킨다. 손잡이(106)를 손에서 놓으면, 정지돌기체(103)는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돌기(105)가 상부 날개편의 걸어맞춤 구멍(104)으로부터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사이로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일본 실공평 제4-32974호 공보에 개시된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기술은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것이다.
그런데, 예를 들어 의류품이나 가방 등의 제조자측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기호에 응답하여 색이나 형태가 상이한 각종 형태의 손잡이를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동체와 각종 손잡이를 미리 별도로 준비해둘 필요가 있다.
이것은 고객의 요구나 기호에 응답한 슬라이더의 주문을 받은 후, 예를 들어 가방, 스포츠웨어 기타 다른 종류의 의류의 파스너 등의 물림쇠를 제조판매하는 부품 제조자에 대해 고객의 요구나 기호에 부응한 슬라이더의 개발이나 제조를 다시 의뢰할 필요가 없어지고, 의류품이나 가방 등의 제조자측에서 고객의 요구나 기호에 즉시 응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일본 실공평 제4-32974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조립품에 대해 손잡이(106)를 탈착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슬라이더(100)에서 슬라이더 동체(101)에 정지돌기체(103)와 손잡이 지지체(102)를 부착함에 있어서 슬라이더 동체(101)상의 견구측에 직립설치된 좌우 한쌍의 부착편에 축구멍을 형성하고, 각각의 축구멍에 삽입한 핀을 거쳐 각각의 부착편 사이에 정지돌기체(103)의 기단부를 상하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야만 한다. 그리고, 손잡이 지지체(102)의 좌우 측벽부에 형성된 축구멍에 상기 핀의 양측의 노출 단부를 삽입하고, 손잡이 지ㅣ체(102)의 좌우 측벽부에 대해 상기 핀의 각각의 노출 단부를 코오킹하므로써 손잡이 지지체(102)를 각각의 부착편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 구조상 슬라이더 동체(101)에 대한 정지돌기체(103)와 손잡이 지지체(102)의 부착구조가 복잡해진다. 자동조립기를 사용하므로써 슬라이더 동체(101)에 대해 정지돌기체(103)와 손잡이 지지체(102)의 조립을 실행하는 경우는, 그 자동조립 작업에 수반되는 다양한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그 설비비가 높아지게 하며, 설비비의 증대에 따라 관리비 등도 높아지는 원인으로도 연결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 동체(101)에 대한 정지돌기체(103)와 손잡이 지지체(102)의 부착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제작비가 높아지는 동시에, 저비용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 일본 실공평 제4-32974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부재(109)를 슬라이더 동체(101)의 간극 개방위치에 밀어넣으면, 손잡이 지지체(102)의 후구측의 단부와 슬라이더 동체(101)의 상부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108)가 개방되고, 이러한 간극부(108)의 개방부로부터 손잡이(106)의 부착축부를 손잡이 지지체(102)의 이면에 삽입하고, 정지돌기체(103)의 작동오목홈(107)에 삽입하므로써 손잡이(106)의 부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손잡이(106)와 정지돌기체(103)의 작동오목홈(107)을 결합할 때 그 구조상 손잡이(106)에 의해 폐쇄부재(109)를 탄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면서 손잡이(106)를 폐쇄부재(109)의 제1 및 제2폐쇄부(110, 114)의 각각의 접동면 상단에 올라타는만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손잡이 지지체(102)가 크게 설정된 경우는 필연적으로 폐쇄부재(109)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그 폐쇄부재(109)에 대해 과도한 압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크고 강한 압입력은 폐쇄부재(109)의 제1 및 제2폐쇄부(110, 114)나 정지돌기체(103)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폐쇄부재(109), 정지돌기체(103) 또는 손잡이(106)에 비틀림이나 파손, 변형 등이 발생되기 쉽고, 손잡이(106)와 슬라이더 동체(101)와의 조립성이 악화된다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슬라이더 조립품에 대해 기존의 손잡이(106)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106)와 정지돌기체(103)의 작동오목홈(107)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폐쇄부재(109)를 탄력에 저항하여 간극 개방위치로 이동시켜야만 한다. 상기 폐쇄 부재(109)를 탄력에 저항하여 간극 개방위치로 지지한 상태에서 손잡이(106)를 정지돌기체(103)의 작동오목홈(107)에 결합하는 조작과 반대인 조작을 실행하므로써, 손잡이(106)를 폐쇄부재(109)의 제1 및 제2폐쇄부(110, 114)의 각각의 접동면 상단에 올라타는만큼 이동시키면서 인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손잡이(106)를 정지돌기체(103)의 작동오목홈(107)에 결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손잡이(106)의 부착작업이 번잡해진다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의 일본 실공평 제4-312974호 공보에 개시된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조립품에 대해 손잡이(106)를 이탈시키므로써, 색이나 형태가 상이한 새로운 손잡이로 교환할 수 있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구조가 복잡해지고, 슬라이더 조립품에 손잡이를 양호한 정밀도로 부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손잡이 부착작업의 용이화가 강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려면, 슬라이더 동체에 대해 손잡이를 합리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더 동체의 구조를 간략화하는 동시에,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손잡이의 부착구조가 간단하고 안정된 양호한 자동 정지기능을 확보하면서, 손잡이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자동 정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은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을 치합ㆍ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와;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설치된 부착기둥과;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 동체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일부에 치합ㆍ해제되는 돌기체와; 상기 돌기체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기둥을 향해 개방되고, 손잡이의 축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부착기둥에 대해 계착되는 손잡이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기둥에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에 걸어맞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개방단부와 상기 부착기둥의 사이에, 손잡이의 축부를 삽입하는 간극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기둥 또는 손잡이 지지체에, 간극부의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손잡이가 오목부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을 갖는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이다
상기 부착기둥과 손잡이 지지체는 슬라이더 동체에 대한 손잡이 지지체의 좌우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좌우이동 저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은 부착기둥의 좌우 연부에 직립설치된 지지벽과, 상기 좌우의 지지벽 사이에 삽입지지되는 손잡이 지지체의 벽부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기둥은 슬라이더 동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방 부착기둥과 후방에 설치된 후방 부착기둥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는 상벽부와 이러한 상벽부의 전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전후단의 벽부를 가지며, 상기 전후단의 벽부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색수단이 손잡이 지지체의 상벽부의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벽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기둥과 손잡이 지지체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 좌우의 벽부가 상기 간극부를 덮어 폐쇄하고 있다.
상기 좌우의 벽부에 손잡이의 축부를 안내하는 손잡이 안내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색수단이 부착기둥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부착기둥이 오목부의 개방단부를 향해 삽입되어 접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방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간극부를 부착기둥으로 폐쇄하고, 상기 부착기둥을 상기 근접한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가 슬라이더 동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부착기둥을 삽입안내하는 삽입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안내홈에 삽입되는 피삽입부가 상기 부착기둥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동체에서 전후방 부착기둥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 지지체에 상기 부착기둥의 걸어맞춤부와 계착되는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제1의 주요한 특징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동체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일부에 결합 및 해제되는 돌기체를 슬라이더 동체상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부착한 후에, 상기 돌기체의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더 동체상에 손잡이 지지체를 계착하기 전의 조립공정의 통과중에, 상기 부착기둥과 상기 돌기체의 오목부 사이에 손잡이의 축부를 삽입하는 간극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제2의 주요한 특징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더는 상기 간극부를 통해 손잡이의 축부를 돌기체의 오목부에 삽입한 후에, 상기 부착기둥 또는 손잡이 지지체에 적어도 간극부의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손잡이가 돌기체의 오목부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제3의 주요한 특징부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주요한 구성에 대한 발명 및 본 발명에 있어서, "간극부의 일부를 폐쇄"라 함은 간극의 간격을 좁고 짧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 동체에서 부착기둥에 대해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부동상태로 강고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상기 돌기체를 부착하고, 상기 간극부를 통해 돌기체의 오목부내에 손잡이의 축부를 이동가능하게 장착한 후,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돌기체 및 손잡이의 상방으로부터 부착기둥에 계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축부가 돌기체의 오목부의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간극부를 거쳐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상기 간극부를 돌기체의 오목부의 개방단부와 부착기둥 사이에 형성할 수 있고, 그 간극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손잡이 지지체에 의해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내에서 상기 손잡이의 축부 및 돌기체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돌기체의 파손, 불량변형,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본 실공평 제4-3297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격별의 폐쇄부재나 이에 수반하는 복잡한 구조를 슬라이더 동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더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손잡이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돌기체, 손잡이, 손잡이 지지체를 순차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이나 신뢰성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취급성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체가 부착된 슬라이더 동체에 대해, 손잡이와 손잡이 지지체를 적절히 조합하여 슬라이더 완성품으로서 조립할 수 있다. 그 조립시에는 자동조립기에 의한 조립은 물론 사람손에 의해서도 용이하고 확실한 조립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손잡이를 장착함에 있어서, 특별한 각종 부대설비 및 주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한 가공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처리 비용도 저렴해지고, 생산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더의 제작비 등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기둥에 손잡이 지지체를 계착하고,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강고히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 지지체는 간단한 형태를 갖는 사각형 판부재에 가까운 구조로 좋고, 복잡한 구조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슬라이더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기둥의 걸어맞춤부의 설치부위도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전방 부착기둥의 전방면 및 후방 부착기둥의 후방면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착기둥의 걸어맞춤부로서, 예를 들어 결합오목부나 절결, 구멍부, 돌출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결합부로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결합되는 탄성편, 돌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 자체가 탄성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결합부를 강성이 있는 간단한 돌출부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착기둥과 손잡이 지지체를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지 않도록, 각각 좌우이동 저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좌우이동 저지수단의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은 부착기둥의 좌우 단연에 직립설치된 지지벽과,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벽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상벽부나 전후단의 벽부를 상기 부착기둥의 좌우의 지지벽 사이에 삽입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에 의해, 각각의 부착기둥과 손잡이 지지체를 부동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기초하여 부착기둥의 걸어맞춤부와 손잡이 지지체의 결합부와의 계착을 벗어나려는 강한 힘이 작용해도,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전후방향, 좌우방향 또는 경사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굴곡시키지 않고, 손잡이 지지체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으로서는 부착기둥의 상면 및 손잡이 지지체의 부착기둥에 대한 대향면에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삽입되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상기 부착기둥의 상면 및 손잡이 지지체의 부착기둥에 대한 대향면의 한쪽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부착기둥의 상면 및 손잡이 지지체의 부착기둥에 대한 대향면의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 및 손잡이 지지체의 외부에 격별의 고착구조를 노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더 동체 및 손잡이 지지체의 고착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견인력이 작용하기 쉬운 부위에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인 돌출부 및 오목부를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손잡이 지지체의 지지력을 강고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간극부 및 폐색수단을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부착기둥의 걸어맞춤부와 손잡이 지지체의 결합부가 계착상태에 있을 때, 이와 동시에 상기 부착기둥의 지지벽이 손잡이 지지체의 벽부를 삽입하여, 손잡이 지지체를 강고히 확실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이 손잡이 지지체의 벽부를 삽입고정하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삽입고정시에는 양자가 이탈불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조립성이나 신뢰성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지지체는 간단한 횡C형을 이루는 사각형 판에 가까운 구조로 바람직하며, 복잡한 구조로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실현되고, 그 취급성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착기둥의 좌우 지지벽의 대향면 사이에 적어도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벽부가 삽입지지되고,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부착기둥의 상면과 면일치로 배치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슬라이더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외관 의장성이 우수해지고, 상품가치가 높은 슬라이더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색수단의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상벽부의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벽부를 폐색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착기둥과 손잡이 지지체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손잡이 지지체의 좌우의 벽부가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분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좌우의 벽부에 의해 상기 돌기체의 오목부의 개방단부와 부착기둥 사이의 간극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손잡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손잡이의 축부가 상기 좌우의 벽부와 당접하여, 손잡이의 축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가 상기 돌기체의 오목부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체의 과도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돌기체의 돌기부가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일부에 결합 및 해제되는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의 벽부는 손잡이의 축부를 안내하는 손잡이 안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기둥과 손잡이 지지체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상기 손잡이의 축부를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돌기체의 요동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돌기체의 과도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돌기체를 본래의 상태로 원활하고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으며, 돌기체의 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쇄수단의 다른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폐색수단을 부착기둥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기둥은 손잡이의 축부를 통과하는 간극부를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간극부를 형성할 수 있는 위치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을 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손잡이를 장착함에 있어서, 간극부를 소요의 간극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부착기둥을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접동시킨 후 부착기둥 이 상기 오목부의 개방단부와의 사이에 특정의 간격으로 접근한 위치에서는 상기 간극부를 부착기둥에 의해 폐쇄할 수 있고, 위치결정부에 의해 부착기둥을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축부를 돌기체의 오목부내에 확실하고 안정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고정밀도로 안정된 양호한 조립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축부를 돌기체의 오목부내에 장착한 후, 상기 접근한 위치에서 손잡이 지지체와 부착기둥을 계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대해 부착기둥을 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에, 부착기둥을 삽입안내하는 삽입안내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안내홈에 삽입되는 피삽입부를 상기 부착기둥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삽입안내홈은 돌기체의 오목부의 개방단부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기둥을 돌기체를 향해 정확하고 안정스럽게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간단하고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 및 부착기둥의 외부에 격별한 부착구조를 노출시키지 않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 및 부착기둥의 부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기둥이 접동되기 쉬운 부위에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를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상기 슬라이더 동체에 대한 부착기둥의 지지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삽입안내홈과 부착기둥의 피삽입부는 서로 삽입되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 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안내홈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삽입안내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 내지 도8은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하는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9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의 견구측(도1의 좌측)을 전방부로 하고, 슬라이더의 후구측(도1의 우측)을 후방부로 한다.
실시예1
도1에 있어서,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는 슬라이더 동체(20)와, 전방 부착기둥(26)과, 돌기체(30)와, 손잡이 지지체(커버체)(40) 및 손잡이(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체(30) 및 손잡이 지지체(40)는 스텐레스나 동합금 등의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 동체(20)와,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 및 손잡이(50)는 알루미늄합금, 아연합금 등의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다이캐스팅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재는 금속재료 대신에 각각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프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내마모성 강화재가 첨가된 열가소성 수지재료 등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21)과, 하부 날개편(22)과, 상기 상하부 날개편(21, 22)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기둥(23)을 포함한다. 상하부 날개편(21, 22)은 그 후단으로부터 거의 중앙위치에 걸쳐, 각각 좌우의 상하 플랜지(21a, 22a)를 갖고 있다. 상기 상하부 날개편(21, 22)의 사이에 Y형의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부 날개편(21)의 전방부 상면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형적인 구조예를 도시하는 전방 부착기둥(25)이 일체로 형성되어 기립되어 있다. 상기 전방 부착기둥(25)은 손잡이 지지체(40)의 외형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좌우 한쌍의 전방 지지벽(25a)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전방 지지벽(25a)의 대향면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모서리부에 돌기부(25b)를 남기고 상부 단연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한 단차를 갖는 단차부(25c)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5c)의 단차면은 손잡이 지지체(40)가 전방 지지벽(25a) 사이에 삽입될 때, 더 이상의 삽입을 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40)의 당접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25b)의 정점면은 손잡이 지지체 삽입시에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전방 지지벽(25a)의 전방부 대향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의 걸어맞춤부(25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어맞춤부(25d)는 좌우의 단부(25c)의 단차면을 따라 매끄럽게 하방경사진 안내경사면과,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와 착탈되는 연부 결합면을 갖는 계단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전방 지지벽(25a)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부 날개편(21)의 상면 중앙부에 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긴 돌기체 수용오목부(21b)가 돌기체(30)의 안착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의 저면의 전단 중앙부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구멍(21c)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21c)내에는 돌기체(30)의 장착후에 돌기체(30)의 돌기부(31)를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24)내에 돌출시키도록 항상 가압되는 압축 코일스프링(11)이 수용된다.
상기 전방 지지벽(25a)의 후방부 대향면 사이에서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는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의 양측연부에 인접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돌기체 부착부(21d)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체 부착부(21d)의 상면은 전후로 2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상기 돌기체 부착부(21d) 사이는 돌기체(30)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핀(12)의 핀지지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핀(12)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체(30)의 장착후에 돌기체 부착부(21d)의 2갈래 부분을 코오킹 고정하므로써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고착된다.
상기 돌기체(30)의 전후 단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척의 기판편과 장척의 판편이 평판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편과 장척판편 사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체 부착부(21d)에 지지고정되는 핀(12)을 거쳐 돌기체(30)를 지지하는 지지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오목부(33)는 핀(12)에 돌기체(30)를 지지할 수 있는 소요의 깊이 및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 돌기체(30)의 기단 하면은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상에 안착되는 안착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돌기체(30)의 선단에는 상기 후방 부착기둥(26) 을 향하여 개방되고, 손잡이(50)의 축부(51)를 수용하는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체(30)의 선단하면에는 도시않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치합 엘레멘트에 대해 결합되고, 슬라이더 동체(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돌기부(31)가 하방을 향해 굴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한쌍의 부착기둥(25, 26)에 각각 걸어맞춤부(25d, 26d)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에 걸어맞춤부(25d, 26d)와 계착되는 결합부(41a, 42a)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1의 주요한 특징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주요한 특징부로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1)의 상면에 돌기체(30)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한 후, 손잡이 지지체(40)를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계착하기 전의 조립공정의 통과중에 후방 부착기둥(26)과 돌기체(30)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하기 위한 간극부(60)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주요한 특징부로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상기 간극부(60)(도3)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50)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여기서, "간극부(60)의 일부를 폐쇄"라 함은 간극부(60)에서 간극의 간격을 좁고 짧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부 날개편(21)의 후방부 상면에 삽입된 후방 부착기둥 (26)을 접동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본 발명의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구조예를 도시하는 후방 부착기둥(26)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착기둥(25)과 동일한 폭 칫수로 설정된 좌우 한쌍의 후방 지지벽(26a)을 갖고 있다. 각각의 후방 지지벽(26a)의 대향면에는 전단 모서리부에 돌기부(26b)를 남기고 상부 단연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한 단차부를 갖는 단차부(2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26c)의 단차면은 손잡이 지지체(40)의 당접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방 부착기둥(26)의 전방면에는 돌기체(30)의 작동공간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지지벽(26a)의 후방부 근처 대향면에는 좌우 양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의 걸어맞춤부(26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6d)는 좌우의 단차부(26c)의 단차면을 따라 매끄럽게 하방경사진 안내경사면과,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와 착탈되는 연부 결합면을 갖는 계단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후방 부착기둥(26)의 구성은 상부 날개편(21)에 대해 접동가능하게 구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의 전방 부착기둥(25)과 실질적으로 상이한 점은 없다.
상기 상부 날개편(21)의 후방부 상면에는 후방 부착기둥(26)의 하단부를 끼워붙이는 삽입안내홈(2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안내홈(27)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단면을 대략 コ 형상의 오목홈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부 날개편(21)의 후단연으로부터 대략 중앙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후방 부착기둥(26)의 각각의 지지벽(26a)의 일부에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삽입안내홈(27)에 삽입되는 피삽입부(26e)인 직방형상의 돌기가 돌출되어 있다[이 하, 각각의 피삽입부(26e)를 돌기(26e)라 칭한다]. 상기 상부 날개편(21)의 삽입안내홈(27)과 후방 부착기둥(26)의 돌기(26e)는 서로 삽입되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이면 좋고, 예를 들어 삽입안내면(27)내에 형성된 돌출부와 후방 부착기둥(26)에 형성된 오목부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삽입안내홈(27)에서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와 교차되는 좌우의 전단면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착기둥(26)이 삽입안내홈(27)에 삽입되었을 때, 더 이상의 삽입을 저지하는 후방 부착기둥(26)의 위치결정부(21g)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21g)로서는 손잡이(50)의 축부(51)를 돌기체(30)의 오목부(32)에 장착한 후, 각각의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를 계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간극부(60)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후방 부착기둥(26)을 위치결정할 수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상기 위치결정부(21g)를 삽입안내홈(27)의 내부나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의 소정부위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삽입안내홈(27)의 좌우의 후단부 근처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 삽입안내홈(27)의 상부 지지편의 단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오목형상의 단차로 오목형상의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형상의 절결부를 거쳐 인출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안내홈(27)에 후방 부착기둥(26)의 돌기(26e)를 삽입한 후,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대해 상기 인출부(27a)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코오킹하여 소성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 부착기둥(26)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27a)는 삽입안내홈 (27)내에 형성되지 않고, 상부 날개편(21)에 대한 상면의 소정부위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안내홈(27)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21)에 돌기체(30)를 장착한 형태에서 상부 날개편(21)의 후단연으로부터 돌기체(30)의 오목부(32)를 향해 연장된다. 이에 의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돌기체(30)를 장착한 후, 후방 부착기둥(26)을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를 향하여 정확하고 안정하게 유도안내할 수 있으며, 고정밀도로 안정된 양호한 조립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안내홈(27)과 돌기(26e)의 존재에 의해, 슬라이더 동체(20) 및 후방 부착기둥(26)의 외부에 격별의 고착구조를 노출시키지 않고, 슬라이더 동체(20) 및 후방 부착기둥(26)의 고착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후방 부착기둥(26)이 접동되기 쉬운 부위에 삽입안내홈(27) 및 돌기(26e)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슬라이더 동체(20)에 대한 후방 부착기둥(26)의 지지력을 강고히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부착기둥(26)을 상부 날개편(21)의 후방부 상면에 장착할 때에는 후방 부착기둥(26)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착기둥(26)과 돌기체(30)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부(60)를 폐쇄하는 위치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부(60)를 형성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부착기둥(26)의 후단부가 상기 인출부(27a)에 당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간극부(60)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는 최대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극부(6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손잡이 지지체 (40)와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을 계착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부착기둥(26)을 상부 날개편(21)의 후방부 상면에 장착할 때에는 자동기의 사용도 가능해지며, 슬라이더(10)의 조립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 사이는 필요한 간격이 형성되고, 돌기체(30) 및 손잡이(50)의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손잡이 지지체(4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날개편(21)의 거의 중앙부에서 삽입안내홈(27)과 돌기체 수용오목부(21b)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거의 삼각형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된 좌우 한쌍의 판형 손잡이 안내편(21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손잡이 안내편(21e)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21)에 돌기체(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돌기체(30)의 오목부(32)를 횡절단하는 상부 날개편(21)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체(30)의 돌기부(31)를 이탈하는 사각형 돌기구멍부(21f)가, 상기 손잡이 안내편(21e)의 후방부 기단에 인접하여 상기 삽입안내홈(27)내에서 상부 날개편(21)의 상하로 관통하여 천공되어 있다. 상기 돌기구멍부(21f)는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24)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날개편(21)의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에 장착된 돌기체(30)의 오목부(3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손잡이 안내편(21e) 사이에 걸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항상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 안내편(21e)은 후방 부착기둥(26)에 의해 간격부(60)를 폐쇄하는 조작 이전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돌기체(30)의 오목부(32)에 장착한 상태에서 돌기체(30)에 하방으로의 가압력에 부응하여, 손잡이(50)의 축부(51)를 돌기체(30)의 오목부(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안내편(21e)의 후단면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착기둥(26)에 의해 간극부(60)를 폐쇄하는 조작에 있어서, 손잡이(50)의 축부(51)를 돌기체(30)의 오목부(32)에 장착할 때, 전방을 향해 점차 상향경사지는 테이퍼면을 따라 손잡이(50)의 축부(51)를 상기 오목부(32)의 개방단부를 향해 안내하는 손잡이 안내면(21e-2)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안내편(21e)의 전단면에서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0)의 축부(51)를 돌기체(30)의 오목부(32)에 장착할 때, 후방을 향해 점차 상향경사지는 테이퍼면을 따라 손잡이(50)의 축부(51)를 상기 오목부(32)내를 향하여 안내하는 손잡이 안내면(21e-1)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안내편(21e)의 전단면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0)의 조립후 손잡이(50)의 작동시, 손잡이 안내편(21e)의 전방부 기단으로부터 돌기체(30)의 이동 한계위치를 향해 손잡이(50)를 유도안내하는 손잡이 안내면(21e-1)으로서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를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지 않도록, 각각 좌우이동 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의 좌우 단연에 직립설치된 지지벽(25a, 26a)과,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벽부(45)와, 전후단의 벽부(41, 42)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벽부(41, 42)를 각각의 지지벽(25a, 26a) 사이에 삽입지지하므로써,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대해 손잡 이 지지체(40)를 부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장척판재로 구성된다. 손잡이 지지체(40)는 편평한 상벽부(45)의 전후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동일 곡률로 매끄럽게 만곡되어 형성된 전후 벽부(41, 42)를 갖는 대략 횡C형의 커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벽부(41, 42)의 선단부 내면에는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의 걸어맞춤부(25d, 26d)의 연부 결합면과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결합편(41a, 42a)이 돌출되어 있다.
인수 지지체(40)의 상벽부의 좌우에는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 사이의 공간부의 일부를 덮어 차폐하는 광폭의 좌우 벽부(43)가 돌출되어 있다[이하, 각각의 측벽(43)을 익편(43)이라 칭한다]. 상기 좌우 익편(43)의 상면이 동일곡률의 볼록면으로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좌우 익편(43)과 상벽부의 능선부[각부(角部)]에는 전방 부착기둥(25) 및 후방 부착기둥(26)의 한쌍의 돌기부(25b, 26b)에 삽입되어 계착되는 결락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락부(44)는 좌우 익편(43)의 직선형의 양측 단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한 오목형상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익편(43)은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 사이의 칫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동시에, 전후 벽부(41, 42)의 상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좌우 익편(43)의 하단면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있고, 상기 손잡이(50)의 축부(51)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 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이면과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 포위된 공간은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손잡이(50)의 축부(51) 및 돌기체(30)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로 된다. 이러한 조작공간부내에서 손잡이(50)의 축부(51) 및 돌기체(30)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체(30)의 파손, 불량변형,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지지벽(25a, 26a)의 대향면 사이에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벽부(45)와 전후단의 벽부(41, 42)가 삽입지지되고, 그 상벽부(45)의 상면과 전후단의 벽부(41, 42)의 상면을 상기 지지벽(25a, 26a)의 상면과 면일치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지지체(40)를 필요최소한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더(10)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외관 의장성이 우수해지고, 상품가치가 높은 슬라이더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지지체(40)의 결합편(41a, 42a)이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걸어맞춤부(25d, 26d)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한쌍의 지지벽(25a, 26a) 사이에 손잡이 지지체(40)를 수용하고, 손잡이 지지체(40)의 결락부(44)를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의 한쌍의 돌기부(25b, 26b)에 삽입하여 계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의 지지벽(25a, 26a)의 대향면 사이와 손잡이 지지체(40)와의 삽입에 부응하여, 손잡이 지지체(40)의 결락부(44)와 각각의 부 착기둥(25, 26)의 돌기부(25b, 26b)와의 계착에 의해, 전후 및 폭방향의 힘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강고하고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상기 돌기체(30)를 부착하고, 상기 간극부(60)를 통해 돌기체(30)의 오목부(32)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이동가능하게 장착한 후, 손잡이 지지체(40)를 돌기체(30) 및 손잡이(50)의 상방으로부터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계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50)의 축부(51)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간극부(60)를 거쳐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게 되고, 돌기체(30)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지지하여 슬라이더(10)의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이동 저지수단으로서는, 상기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의 상면 및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대한 대향면에 각각 형성할 수 있고, 서로 삽입되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손잡이(50)의 견인력이 작용하기 쉬운 부위에 도시않은 돌출부 및 오목부를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지지력이 강고해지고, 상기 간극부(60) 및 폐색수단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예를 들어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의 상면 및 손잡이 지지체(40)의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대한 대향면의 한쪽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부착기둥(25, 26)의 상면 및 손잡이 지지체(40)의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대한 대향면의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각의 부착기둥(25, 26)의 걸어맞춤부(25d, 26d) 로서, 예를 들어 결합 오목부나 절결, 구멍부, 돌출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결합편(41a, 42a)인 결합부로서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결합되는 탄성편, 돌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 자체가 탄성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을 강성을 갖는 간단한 돌출부 등과 같은 구조,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예에 따른 손잡이 지지체(40)는 얇은 장착판재로 이루어진 커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벽부, 전후벽부, 및 중앙부에 절결이 형성된 좌우의 벽부를 갖는 사각형 상자체 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걸어맞춤부(25d, 26d)의 설치부위도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손잡이 지지체(40)를 사각형 상자체로 구성한 경우는 전후방 부착기둥의 좌우측면에 상기 결합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책(短冊) 형태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50)의 일단측에 환형의 파지부를 갖는 동시에, 그 타단측에 부착기둥(26)이 끼워질 수 있는 대략 사각형의 구멍부를 갖는 환형 지지부(52)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 지지부(52)의 선단부는 원형 단면을 갖는 축부(51)로서 가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51)의 길이는 후방 부착기둥(26)의 폭 칫수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손잡이 장착시에 후방 부착기둥(26)을 거쳐 상부 날개편(21)의 손잡이 안내편(21e)에 안내되어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2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10)를 조립하는 순서의 일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더(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 날개편(21)의 스프링 수용구멍(21c)내에 압축 코일스프링(11)을 수용한다. 이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체(30)의 기단부에 의해 압축 코일스프링(11)을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돌기체(30)를 상부 날개편(21)의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상에 거의 수직자세로 안착시킨다. 이어서, 핀(12)을 상부 날개편(21)에서 각각의 돌기체 부착부(21d)의 핀 지지구멍 및 돌기체(30)의 지지오목부(33)를 거쳐 삽입하고, 핀(12)에 대해 돌기체 부착부(21d)의 2갈래 부분을 코오킹고정한다.
이때, 돌기체(30)의 돌기부(31)는 상부 날개편(21)의 돌기구멍부(21f)에 삽입되고, 돌기체(30)의 전체가 돌기구멍부(21f)로부터 전방 부착기둥(25)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상태에서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배치된다. 돌기체(30)의 기단부는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에 항상 가압된 상태에서 전방 부착기둥(25)의 지지벽(25a)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돌기체(30)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한 후, 상부 날개편(21)의 삽입안내홈(27)에 후방 부착기둥(26)의 돌기(26e)를 삽입한다. 이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착기둥(26)과 돌기체(30)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삽입안내홈(27)의 인출부(27a)를 소성변형시키므로써, 후방 부착기둥(26)을 상부 날개편(21)의 후단으로부터 탈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 부착기둥(26)의 후단부가 상기 인출부(27a)에 당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간극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부착기둥(26)과 돌기체(30)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는 최대의 간격칫수를 갖는다. 따라서, 후방 부착기둥(26)을 상기 삽입안내홈(27)을 따라 접동시키면서, 간극부(60)를 폐쇄하는 위치와 간극부(60)를 개방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간극부(60)를 후방 부착기둥(26)에 의해 폐쇄할 수 있다.
이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0)의 축부(51)를 상기 간극부(60)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0)의 축부(51)를, 손잡이 안내편(21e)에서 후방 부착기둥(26)측의 손잡이 안내면(21e-2)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 접동시키면, 돌기체(30)의 오목부(32)를 밀어올린다. 이때, 돌기체(30)의 기단부는 돌기체 부착부(21d)의 핀(12)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압축 코일스프링(11)을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의 탄력에 저항하여 돌기체(30)의 오목부(32)가 상방으로 요동한다. 손잡이(50)의 축부(51)가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의 탄력에 저항하여 손잡이 안내편(21e)의 상단을 올라타면, 이와 동시에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 삽입된다.
이제, 손잡이의 축부(51)를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내에 삽입하면, 손잡이(50)의 축부(51)가 손잡이 안내편(21e)에서 전방 부착기둥(25)측의 손잡이 안내면(21e-1)을 따라 하방으로 접동된다. 손잡이(50)의 접동시에, 돌기체(30)의 기단부가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의 탄력에 의해 핀(12)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체(30)의 오목부(312)가 핀(12)을 요동중심으 로 하여 하방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손잡이(50)의 축부(51)가 손잡이 안내편(21e)의 전방부 기단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핀(12)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압축 코일스프링(11)을 본래의 상태로 탄성복귀시킨다. 이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21)의 돌기구멍부(21f)에 돌기체(30)의 돌기부(31)가 자동적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돌기체(30)의 오목부(32)내에 손잡이(50)의 축부(51)가 수용된다. 이렇게 하여 손잡이 안내편(21e)이 돌기체(30)에서 오목부(32)의 개방단부가 아닌 슬라이더의 전방측에 존재하므로써, 후방 부착기둥(26)이 간극부(60)를 폐쇄하기 전에도 손잡이(50)의 축부(51)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후방 부착기둥(26)을 상부 날개편(21)의 삽입안내홈(27)을 따라 전방 부착기둥(25)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위치결정부(21g)에 당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50)의 환형 지지부(52)를 후방 부착기둥(26)에 걸쳐 삽입하고, 손잡이(50) 전체를 거의 수평자세로 안착시킨다. 후방 부착기둥(26)을 상기 위치결정부(21g)에 당접시키므로써, 상기 간극부(60)의 일부를 간격을 좁게 폐쇄한다. 상기 간극 폐쇄위치에서, 손잡이(50)의 축부(51)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수 지지체(40)를 돌기체(30) 및 손잡이(50)의 상방으로부터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제, 손잡이 지지체(40)를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내부에 삽입하면, 손잡이 지지체(40)의 삽입에 따라,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걸어맞춤부(25d, 26d)의 안내경사면에 손 잡이 지지체(40)의 결합편(41a, 42a)이 확대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접동하고, 그 결합편(41a, 42a)이 상기 안내경사면의 선단 경사면을 통과한다. 이와 동시에, 결합편(41a, 42a)을 축소방향으로 탄성복귀시켜, 상기 걸어맞춤부(25d, 26d)의 연부 결합면에 결합편(41a, 42a)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삽입 한계위치에서,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각각의 돌기부(25a, 26b)의 손잡이 지지체(40)의 결락부(44)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어 계착된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벽부가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상단면과 면일치하게 삽입되고,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 익편(43)의 하단면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손잡이(50)의 일부 및 돌기체(30)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의 일부를 차폐하여 폐쇄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결합편(41a, 42a)과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걸어맞춤부(25d, 26d)가 삽입고정되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결합상태로 있을 때, 간극부(60)의 일부를 간격을 좁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0)의 축부(51)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인수 지지체(40)의 삽입고정시에는 돌기체(30) 및 손잡이(50)가 이탈불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조립성이나 신뢰성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취급성도 용이하다.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손잡이(50)를 장착할 때는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돌기체(30)를 장착한 후, 손잡이(50), 손잡이 지지체(40)를 순차적 으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체(30)를 장착한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대해, 손잡이(50)를 각종 형상이나 색채 등을 조합하여 조립할 수 있고, 이러한 조립을 사람손으로 또는 자동기에 의해 용이하고 안정스럽게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격별한 구성부재나 이에 수반되는 복잡한 구조를 슬라이더 동체(20)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더(10)를 제작할 수 있고, 슬라이더(10)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체(30)를 장착한 슬라이더 동체(20)와, 그 슬라이더 동체(20)에 합치되는 색이나 형태가 상이한 각종 형태의 손잡이(50)나 손잡이 지지체(40)를 미리 별도로 준비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고객의 요구나 기호에 대응한 슬라이더의 주문을 수용한 후, 돌기체(30)를 장착한 슬라이더 동체(20)상에 각종 형태의 손잡이(50)를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의 구성부품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범용성이 풍부한 슬라이더(10)를 얻을 수 있으며, 슬라이더(10)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돌기체(30)의 돌기부(31)와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20)에 평행하게 조립된 손잡이(50)를 손으로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와 같이 하면, 손잡이(50)의 축부(51)가 손잡이 안내편(21e)에서 전방 부착기둥(25)측의 손잡이 안내면(21e-1)을 따라 상승한다. 손잡이(50)가 상승함에 따라 돌기체(30)가 손잡이(50)의 축부(51)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요동된다. 돌기체(30)의 요동시에 돌기체(30)의 기단부가 돌기부(31)를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압축코일 스 프링(11)을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손잡이(50)의 축부(51)가 돌기체(30)의 이동 한계위치까지 이동하면, 돌기부(31)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21)의 돌기구멍부(21f)를 거쳐 치합 엘레멘트로부터 이격되어,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해제시에, 슬라이더(10)는 슬라이더 견구측 또는 후구측으로 자유롭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므로써, 도시않은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을 치합시키거나 좌우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소망의 조작후에, 손잡이(50)를 손에서 놓으면, 돌기체(30)가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1)의 탄력에 의해 후방으로 요동한다. 돌기체(30)의 요동시에, 손잡이(50)의 축부(51)가 손잡이 안내편(21e-1)을 따라 하강하므로써 본래의 상태로 탄성복귀된다. 이때, 돌기체(30)의 돌기부(31)가 상부 날개편(21)의 돌기구멍부(21f)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사이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돌기체(30)의 돌기부(31)와 치합 엘레멘트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상태에서, 더 이상의 슬라이더(10)의 이동이 저지되므로써, 슬라이더(10)를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2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돌기체(30)가 장착된 슬라이더(10)의 다른 구조예를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은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부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1 내지 도14는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15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크게 상이한 점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부 날개편(21)의 후방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립된 후방 부착기둥(26)과 상부 날개편의 전방부 상면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돌기체(30)와의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하기 위한 간극부(60)를 형성하였다는 점과; 전부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상기 간극부(60)의 일부를 좁게 폐쇄하고, 또한 손잡이(50)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을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의 벽부(익편)(43)에 구성한 점에 있다.
도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동체(20)의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전방 부착기둥(25), 돌기체(30), 손잡이(50), 압축 코일스프링(11) 등의 구성부품은 상기 실시예1과 상이한 점은 없으며,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부 날개편(21)과, 편측의 후방 부착기둥(26)과, 손잡이 지지체(40)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5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재명과 부호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 날개편(21)의 전후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좁은 횡C형의 커버체로서 손잡이 지지체(40)를 부착하기 위한 전후 한쌍의 부착기둥(25, 26)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립되어 있다. 상기 후방 부착기둥(26)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방 지지벽(26a), 돌기부(26b), 단차부(26c) 및 걸어맞춤부(26d)를 갖는다.
제1실시예에 따른 후방 부착기둥(26)과 상이한 점은 상부 날개편(21)의 후방 부 상면에 후방 부착기둥(26)을 부동으로 고착일체화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후방 부착기둥(26)과 상이한 점은 슬라이더 동체(20)의 전후방향의 길이칫수를 필요이상 길게 설정하지 않고, 후방 부착기둥(26)의 전면벽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편평면으로 형성하므로써,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체(30)의 장착시 후방 부착기둥(26)의 전면과 돌기체(30) 사이의 공극을 확대시킨 구성을 채택한 점이다. 따라서, 손잡이(50)의 축부(51)의 삽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부 날개편(21)이나 후방 부착기둥(26)의 구조가 상기 제1실시예 보다 간단하고, 그 재료비, 제작비나 조립비 등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부 날개편(21)의 상면 중앙부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안내편(21e)을 배제하고, 전방 부착기둥(25)의 후방부 기단으로부터 후방 부착기둥(26)에 걸쳐 연장되는 돌기체 수용오목부(21b)가 돌기체(30)의 안착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의 저면의 전단 중앙부에는 압축 코일스프링(11)의 스프링 수용구멍(21c)이 천공되어 있다. 돌기체(30)의 장착후에 돌기체(30)의 돌기부(31)를 삽입탈착하는 사각형 돌기구멍부(21f)가, 후방 부착기둥(26)의 전방부 기단에 인접하여 상하로 관통되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구멍부(21f)는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24)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기둥(25, 26)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주어지고, 손잡이(50)의 축부(51)의 일부와 돌기체(3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체(30)를 상부 날개편 (21)의 수용오목부(21b)내에 수용한 후에, 손잡이 지지체(40)를 각각의 부착기둥(25, 26)에 계착하기 전의 조립공정의 과정후에, 후방 부착기둥(26)의 전방면과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하는 간극부(60)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는 도10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 사이의 공간부의 일부를 덮어 차폐하는 좌우 익편(43)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 익편(43)은 도10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측벽(43a)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측벽(43a)의 전단면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원호면에 의해 손잡이(50)의 축부(51)를 안내하기 위한 손잡이 안내면(43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안내면(43b)의 존재에 의해, 손잡이(50)의 작동시에 손잡이 안내면(43b)의 전방부 기단으로부터 돌기체(30)의 이동 한계위치를 향해 손잡이(50)를 유도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처럼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돌출된 손잡이 안내편(21e)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날개편(21)의 손잡이 안내편(21e)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구조의 간략화, 소형화 및 박형화 등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익편(43)의 좌우측벽(43a)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부(60)를 덮어 폐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좌우 익편(43)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 부착기둥(26) 사이의 칫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 익편(43)의 전단부를 상기 벽부(41, 42)의 상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에 있을 때, 그 좌우 익편(43)의 하단면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있고, 상기 손잡이(50)의 축부(51)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이면과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의해 포위된 공간을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손잡이(50)의 축부(51) 및 돌기체(30)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로 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므로써, 손잡이 지지체(40)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기둥(25, 26)과 계착상태로 있을 때 상기 간극부(60)를 덮어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0)가 돌기체(30)의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을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 익편(43)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더(10)를 조립함에 있어서, 도11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스프링(11)과, 돌기체(30)와, 손잡이 지지체(40)의 조립에 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점은 없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10)의 구성에 의하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돌기체(30)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한 후,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기둥(26)과 돌기체(30)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60)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돌기체(30)를 상부 날개편(21)의 돌기체 수용오목부(21b)상에 거의 수직자세로 안착시킨 상태를 유지한 그대로, 손잡이(50)의 축부(51)를 돌기체(30) 의 오목부(32)내에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손잡이(50)의 환형 지지부(52)를 전방 부착기둥(25)을 거쳐 삽입하고, 손잡이(50) 전체를 거의 수평자세로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간극부(60)와 돌기체(30)의 오목부(32)는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부재와 간섭하지 않고, 손잡이(50)의 축부(51)에서 삽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코일스프링(11)의 탄력에 저항하여 돌기체(30)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동조립기에 의한 조립은 물론이거니와 사람손에 의해서도 용이하고 확실한 조립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 등이 절감된다.
이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벽부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부착기둥(25, 26)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삽입되고,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 익편(43)의 하단면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손잡이(50)의 일부 및 돌기체(30)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의 일부를 차폐한다. 그리고, 좌우 익편(43)의 좌우 측벽(43a)은 간극부(60)를 덮어 폐쇄한다. 이렇게 하여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슬라이더(10)의 이동 및 정지조작에 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3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의 부재명 및 부호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6에 있어서, 도면부호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돌기체의 가압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는 스프링 수용구멍과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내에 수납된 압축 코일스프링을 배제하고, 전방 부착기둥(25)의 전방면 상부에 판스프링(13)의 일단부를 한쪽만 지지하는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판스프링(13)의 하단에서 돌기체(30)의 상면을 탄성압축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돌기체(30)의 돌기부를 상부 날개편(21)의 돌기구멍부를 통해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에 돌출되도록 항상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를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지만, 슬라이더 구조의 간략화, 소형화 및 박형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체(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12)을 상부 날개편(21)의 돌기체 부착부(21d)에 형성된 핀 지지구멍에 장착하고, 돌기체 부착부(21d)를 코오킹고정하므로써,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고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종래 주지의 적절한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착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전방 부착기둥(26)의 축구멍에 핀이 삽입되고, 돌기체(30)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전방 부착기둥(26)에 대해 핀의 노출단부를 코오킹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나 변형예를 예시하였지만, 상술의 후방 부 착기둥(26) 및/또는 손잡이 지지체(40)에 상기 간극부(60)와 상기 폐색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따라서, 다른 구성부품의 형태, 크기 등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서 상기 후방 부착기둥(26) 또는 손잡이 지지체(40)의 형태, 크기 등을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각각의 실시예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음이 당연하며,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각각의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을 치합ㆍ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20)와;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설치된 부착기둥(25, 26)과;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 동체(20)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연결소자 열의 일부에 치합ㆍ해제되는 돌기체(30)와; 상기 돌기체(30)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기둥(26)을 향해 개방되고, 손잡이(50)의 축부(51)를 수용하는 오목부(32)와, 상기 부착기둥(25, 26)에 대해 계착되는 손잡이 지지체(40)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기둥(25, 26)에 걸어맞춤부(25d, 26d)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에 걸어맞춤부(25d, 26d)와 결합되는 결합부(41a, 42a)를 갖는,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2)의 개방단부와 상기 부착기둥(26)의 사이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삽입하는 간극부(6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기둥(25, 26) 또는 손잡이 지지체(40)에, 간극부(60)의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손잡이(50)가 오목부(32)의 개방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폐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는 슬라이더 동체(20)에 대한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좌우이동저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좌우이동 저지수단은 부착기둥(25, 26)의 좌우 연부에 직 립설치된 지지벽(25a, 26a)과, 상기 좌우의 지지벽(25a, 26a) 사이에 삽입지지되는 손잡이 지지체(40)의 벽부(41, 42, 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둥(25, 26)은 슬라이더 동체(20)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방 부착기둥(25)과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부착기둥(26)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40)는 상벽부(45)의 전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전후단의 벽부(41, 42)를 가지며, 상기 전후단의 벽부(41, 42)에 결합부(41a, 4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은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벽부(43)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부착기둥(25, 26)과 손잡이 지지체(40)가 계착상태로 있을 때, 상기 좌우의 벽부(43)는 간극부(60)를 덮어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벽부(43)에 손잡이(50)의 축부(51)를 안내하는 손잡이 안내면(43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수단은 부착기둥(26)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부착기둥(26)은 오목부(32)의 개방단부를 향해 접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32)의 개방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간극부(60)를 부착 기둥(26)에 의해 폐쇄하고, 상기 부착기둥(26)을 상기 인접한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21g)는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면에, 부착기둥(26)을 삽입안내하는 삽입안내홈(2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안내홈(27)에 삽입되는 피삽입부(26e)가 상기 부착기둥(2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KR1020040103973A 2003-12-10 2004-12-10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571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2422A JP4149369B2 (ja) 2003-12-10 2003-12-10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JP-P-2003-00412422 2003-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95A KR20050056895A (ko) 2005-06-16
KR100571969B1 true KR100571969B1 (ko) 2006-04-18

Family

ID=3451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73A KR100571969B1 (ko) 2003-12-10 2004-12-10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207092B2 (ko)
EP (1) EP1541051B1 (ko)
JP (1) JP4149369B2 (ko)
KR (1) KR100571969B1 (ko)
CN (1) CN100475075C (ko)
AT (1) ATE385182T1 (ko)
DE (1) DE602004011591T2 (ko)
ES (1) ES2299804T3 (ko)
HK (1) HK1073593A1 (ko)
PL (1) PL1541051T3 (ko)
TW (1) TWI251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922B2 (ja) * 2003-05-21 2007-06-1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プリング体及び同スプリング体が装着されたスライダー
WO2008086659A1 (fr) * 2007-01-16 2008-07-24 Chin-Chang Lee Construction de curseur de fermeture à glissière
JP2008173344A (ja) * 2007-01-19 2008-07-31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726820B2 (ja) 2007-02-20 2011-07-2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799452B2 (ja) * 2007-03-16 2011-10-2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S2356862T3 (es) * 2008-03-13 2011-04-13 Riri S.A. Cierre deslizante y tope superior para cierre deslizante.
CN102076239B (zh) * 2008-11-20 2012-12-19 Ykk株式会社 拉攀能够装拆的滑动拉链用拉头
AU2009351749B2 (en) * 2009-08-27 2014-04-03 Ykk Corporation Slider for hidden slide fastener
US8453301B1 (en) * 2010-07-22 2013-06-04 Patty McCoy Zipper pull tab retention device
JP5542213B2 (ja) * 2010-09-24 2014-07-09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5718931B2 (ja) 2010-09-29 2015-05-1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20140123445A1 (en) * 2011-06-21 2014-05-08 Ji Ong Jung Automatic locking slider for slide fastener
WO2013011591A1 (ja) * 2011-07-21 2013-01-24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2737817A4 (en) * 2011-07-28 2015-03-11 Ykk Corp SLIDING ELEMENT FOR A ZIPPER
CN103156338B (zh) * 2011-12-14 2015-03-11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拉链滑块及使用该滑块的拉链头和双开口拉链
TWI489955B (zh) 2012-05-29 2015-07-01 Chung Chwan Entpr Co Ltd 可換拉片的拉頭結構及其拉片更換方法
CN103478993B (zh) * 2012-06-08 2015-10-14 中传企业股份有限公司 可换拉片的拉头结构及其更换拉片方法
CN103564996B (zh) * 2012-07-24 2017-09-05 Ykk株式会社 一种拉链拉头、使用该拉链拉头的拉链及使用该拉链的物品
CN103564995B (zh) * 2012-07-24 2017-04-26 Ykk株式会社 一种拉链拉头、使用该拉链拉头的拉链及使用该拉链的物品
WO2014073111A1 (ja) * 2012-11-12 2014-05-15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引手後付けスライダー
CN104812264B (zh) * 2012-11-26 2017-06-20 Ykk株式会社 拉链用拉头
EP2985573B1 (de) * 2014-08-13 2017-10-11 Sick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kgerät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Elektronikgeräts
CN207561458U (zh) * 2017-06-16 2018-07-03 Ykk株式会社 拉链用拉头
TWI679948B (zh) * 2017-08-07 2019-12-2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彈性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272A (ko) * 2000-06-30 2002-01-09 요시다 다다히로 록킹장치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974Y2 (ko) * 1986-12-19 1992-08-07
JPS63192402A (ja) * 1987-02-03 1988-08-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錠装置
US5456280A (en) * 1988-04-07 1995-10-10 Palmer; David W. Process-chamber flow control system
JPH0721123Y2 (ja) * 1988-10-22 1995-05-1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H0755161B2 (ja) * 1989-03-31 1995-06-1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仮引手
JPH0432974A (ja) 1990-05-23 1992-02-04 Fujitsu Ltd ディスクリート・ワイヤの配線長決定方式
CN2376777Y (zh) * 1999-06-22 2000-05-10 郑荣元 拉链的滑件结构
US6647599B2 (en) * 2002-04-02 2003-11-18 Yu-Pau Lin Positioning mechanism of a zipper slide
US6654988B1 (en) * 2002-11-26 2003-12-02 Roger C. Y. Chung Stoppable zipper slider capable of being reassembled with pull ta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272A (ko) * 2000-06-30 2002-01-09 요시다 다다히로 록킹장치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1591D1 (de) 2008-03-20
JP4149369B2 (ja) 2008-09-10
US20050125966A1 (en) 2005-06-16
PL1541051T3 (pl) 2008-06-30
TW200526140A (en) 2005-08-16
DE602004011591T2 (de) 2009-01-29
HK1073593A1 (en) 2005-10-14
ES2299804T3 (es) 2008-06-01
US7207092B2 (en) 2007-04-24
ATE385182T1 (de) 2008-02-15
EP1541051B1 (en) 2008-01-30
KR20050056895A (ko) 2005-06-16
JP2005168759A (ja) 2005-06-30
CN100475075C (zh) 2009-04-08
TWI251476B (en) 2006-03-21
EP1541051A1 (en) 2005-06-15
CN1625994A (zh)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969B1 (ko)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1987730B1 (en) Slide fastener slider
KR101245498B1 (ko) 자동 정지 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N104379017B (zh) 拉头及拉链的修理方法
CN1951250B (zh) 具有自动锁紧装置的滑动拉链拉头
KR10059248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역전분리 장치
KR20040100985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56320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KR101255929B1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
TWI528913B (zh) Zipper with slider
EP2737817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JP5828960B2 (ja) スライダ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修理方法
EP4162834A1 (en) Slider
CN107404980B (zh) 拉头及拉链
WO2023248395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WO2022118404A1 (ja) スライ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