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200B1 -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200B1
KR100563200B1 KR1020040036035A KR20040036035A KR100563200B1 KR 100563200 B1 KR100563200 B1 KR 100563200B1 KR 1020040036035 A KR1020040036035 A KR 1020040036035A KR 20040036035 A KR20040036035 A KR 20040036035A KR 100563200 B1 KR100563200 B1 KR 10056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pring
handle
spring bod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028A (ko
Inventor
이와세유이치
게야키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6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locking spr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7Biased by distinct sp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와 이러한 스프링체가 장착된 슬라이더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체(50)는 돌출부(55)와 반대측에 개구창부(51)를 갖는 전체가 횡C형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스프링편(52)은 개구창부(51)의 본체측 단부로부터 판재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빼내 소요높이로 다단으로 기립시킨 형태를 취하며, 스프링편(52)은 손잡이 지지체(40)의 이면과 손잡이(30)와의 사이에 탄성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55)가 손잡이(30)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더 동체(20)의 내부를 통해 치합 엘레멘트열의 일부에 치합ㆍ해제된다. 그 결과, 재료비나 제조비가 절감될 수 있고, 안정되고 양호한 생산성이 실현될 수 있는 스프링체(50)와, 상기 스프링체(50)가 장착된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며,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게 실행되는 자동정지기능 부착 슬러이더를 얻을 수 있다.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안내기둥, 스프링편, 스프링체, 손잡이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SPRING BODY FOR SLIDE FASTENER AND SLIDER HAVING THE SPRING BODY MOUNTED THEREON}
도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1실시예인 자동정지장치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부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슬라이더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프링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스프링체의 평면도.
도4는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하는 요부 종단면도.
도5는 슬라이더의 조립후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
도6은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7은 슬라이더의 스프링체의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스프링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스프링체의 평면도.
도10은 도8의 스프링체가 장착된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
도11은 슬라이더의 조립후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
도12는 슬라이더의 스프링체의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슬라이더 20: 슬라이더 동체
21, 22: 날개편 23: 안내기둥
30: 손잡이 40: 손잡이 지지체
50: 스프링체 52: 스프링편
55: 돌출부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러한 스프링체가 장착된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비를 절감시키고 외관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자동정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ㆍ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에 대해 손잡이를 조작하여 장척의 미소한 탄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스프링체의 돌출부를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의 일부에 계합시켜 슬라이더 동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자동정지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슬라이더의 구조예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일본 특허공개 평10-1273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에 개시된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동체상의 전후에 전방 부착기둥 및 후방 부착기둥을 직립으로 설치하여, 전방 부착기둥의 정점면에 돌편 부를 돌출시키고, 후방 부착기둥의 전방에 돌출구멍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구멍부에 인접하여 전방을 향해 점차로 하방경사지는 손잡이 안내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안내면에는 후방 부착기둥을 거쳐 손잡이의 추축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추축상에는 스프링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체는 상기 탄성 금속재료의 일단에 장편(長片)으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굴곡하는 동시에, 타단에 단편(短片)으로 이루어진 봉지부를 상기 돌출부와 동일 방향으로 굴설하고, 중앙에 스프링편을 절단기립하여 절발구멍(切拔孔)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체의 상기 봉지부가 스프링체의 상기 절발구멍을 통해 전방 부착기둥의 돌편부에 유동삽입하여 봉지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체의 돌출부가 슬라이더 동체의 돌출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기어 사이에 계합된다. 그리고, 손잡이를 지지하는 커버체가 스프링체의 스프링편의 탄력에 저항하여 상기 전방 부착기둥 및 후방 부착기둥에 지지고정된다.
이렇게 조립된 슬라이더에 의한 조작은 손으로 손잡이를 전방으로 들어올리면, 스프링체가 스프링편의 탄력에 저항하여 들어올려지고, 스프링체의 돌출부가 파스너체인의 기어 사이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 동체를 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시킨다. 그리고,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체의 스프링편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파스너체인의 기어 사이에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손잡이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추축이 슬라이더 동체의 손잡이 안내면을 따라 상승하므로써, 스프링체가 스프링편의 탄력에 저항하여 들어올려지고, 상기 스프링체의 돌출부가 파스 너체인의 기어 사이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 동체를 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좌우로 이탈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스프링편을 형성함에 있어서, 스프링편의 기부를 상기 탄성 금속재료의 길이방향 중간부로부터 직접 경사방향으로 기립시키고, コ형 절발구멍을 형성하면, 상기 스프링편의 요동범위가 좁아서 유연성이 결여된다. 따라서, 스프링체 전체를 요동시켰을 때, 그 스프링편이 절발구멍내에 삽입되어, 절발구멍에 걸리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슬라이더의 자동정지기능을 상실시킨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일본 실용공개 소46-35376호에는 자동정지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슬라이더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스프링체의 일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스프링체는 장척의 미소한 탄성 금속판재의 전후로 경사하방으로 굴곡되는 전후 한쌍의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수직하게 굴곡되는 전후 한쌍의 다리부와, 그 전단 다리부의 양측부에 돌출설치된 좌우 한쌍의 계합돌기와, 그 후단 다리부에 돌출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탄성 금속판재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판재의 일부를 상방으로 기립시킨 좌우 측면이 끝이 가느다란 다이형상의 스프링편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편은 그 기부를 상기 절발구멍의 스프링편의 직립측 능선부의 상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선단측을 향해 일단(一段) 이상 하방으로 굴곡시켜, 전체를 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경사하여 연장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직립측 능선부와 평면방향으로의 소요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체는 스프링편의 기부를 일단 상방으로 굴곡기립시켜, 스프링편의 선단부를 상기 절발구멍의 스프링편의 직립측 능선부와 소요의 간격으로 상방경사시켜 연장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체의 요동시에도 스프링편의 좌우측면과 상기 절발구멍 사이에 간격이 있기 때문에, 스프링편이 절발구멍내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프링편의 선단부의 좌우측면이 끝이 가느다란 다이형상의 외곽형태를 갖고 있고, 골곡가공후에 상기 절발구멍의 스프링편의 직립측 능선부와 스프링편 사이에 평면방향의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스프링체의 요동시에 상기 직립측 능선부와 스프링편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의 일부에 계합ㆍ해제되는 돌출부를 갖는 스프링체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일본 실용공개 소61-27449호 및 실용공개 소62-490호가 있다. 이러한 공보에 개시된 스프링체는 한장의 탄성 금속재료로부터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장척의 스프링편을 천공가공에 의해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공개 평10-127313호 및 실용공개 소46-353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체는 탄성이 강한 구리합금이나 스텐레스강 등의 금속재료로 소정의 단면형상을 갖는 장척의 형재로서, 스프링편은 금속재료의 절발구멍의 폭이나 길이와 합치된 크기로 제조된다. 그러나, 스프링체는 수mm 정도의 작은 부재이기 때문에, 상기 형태의 외주 단연을 따라 타발(打拔)되는 폭이나 길이 칫수는 더욱 작아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탄성이 강하게 가공된 상기 금속재료로 형성하였을 때, 스프링편과 같이 매우 작은 부품에 타발가공이나 굴곡가공 등을 여러번 필요로 하는 경우는 가공중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타발 펀치의 날이 조기에 마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즉, 그 스프링편의 선단부에 과도한 힘이 걸리면 손상되거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편 선단부의 가공정밀도를 높여 형태안정성을 기대할 수 없고, 제품을 높은 정밀도로 대량생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실용공개 소61-27449호 및 실용공개 소62-490호에 개시된 천공가공에 의한 스프링편이 구비된 스프링체를 얻기 위해서는 스프링편의 주위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타발구멍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그 타발에 필요한 한장의 탄성 금속재료의 폭은 적어도 스프링편의 폭에 타발구멍의 폭을 더한 칫수 보다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천공가공에서는 천공에 의한 절단편이나 절단가루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스프링체를 형성하기가 매우 불가능하며, 성형시 천공에 의한 절단가루 등의 스크랩이 대량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그 구조상 재료의 낭비가 많고, 경제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체 전체의 소형화나 축소화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술의 스프링을 처리하기에는 이에 수반되는 다양한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비를 높이게 되고, 설비비의 증대에 따라 관리비 등도 높아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량의 가느다란 절단가루 등이 공기중에 비산되면, 건강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체의 폭이 커지면,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외곽 칫수도 스프링체의 크기 이상으로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슬라이더 전체의 대형화가 뒤따른다. 또한, 스프링체의 대형화와 함께, 필연적으로 상기 손잡이 지 지체나 슬라이더 동체가 커지기 때문에, 제작경비가 높아지는 동시에, 재료 사용량 등이 많아지고, 이에 따른 재료비가 높아지고, 저렴한 생산경비가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지체나 슬라이더 동체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슬라이더의 외관이 나빠져서, 그 상품가치를 저하시킨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의 특허공개 평10-127313호 및 실용공개 소46-35376호에 개시된 기술은 스프링체의 크기에 의해 스프링편을 양호한 정밀도로 양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상기 실용공개 소61-27449호 및 실용공개 소62-490호에 개시된 기술은 손잡이 지지체나 슬라이더 동체의 크기가 스프링체의 크기에 의해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그 스프링체의 성형의 용이성, 소형화 및 축소화 등이 강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면, 스프링체의 조립에 있어서도 종래와 동일한 칫수를 갖는 손잡이 지지체나 슬라이더 동체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료비나 제작경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안정된 양호한 생산성을 실현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하고; 제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며, 안정된 양호한 자동정지기능을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실현가능하며, 또한 양호한 외관 의장성을 얻을 수 있는 스프링체가 장착된 자동정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ㆍ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손잡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상기 손잡이와의 사이에 탄성접촉하여 배치되는 스프링편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편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의 일부에 계합ㆍ해제되는 돌출부를 갖는 스프링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일단측에 개구창부를 가지며, 타단의 선단에 상기 돌출부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편은 개구창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빼내는 동시에 굴곡가공하여 소정높이로 기립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체는 먼저, 상기 판재에 대한 스프링편의 선단면에 인접하는 부위를 타발하여 개구창부가 되는 타발구멍을 형성하고, 이어서 스프링편의 좌우 양측 단연을 타발펀치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타발가공을 실행하므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타발가공후에, 굴곡가공을 실시하여 하방에 1이상 굴곡시켜, 소정높이로 기립시킨 후, 스프링체 전체가 횡C형의 형태로 마무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체는 예를 들어 구리합금이나 스텐레스강 등의 한장의 판재를 사용하여 가공대상으로 하는 스프링편의 상기 타발가공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스프링편의 선단면에 인접하는 부위 및 상기 스프링편의 기단측의 돌출부의 형성부의 일부를 각각 미리 타발하여 필요한 형상의 타발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창부가 되는 상기 타발구멍을 거 쳐 상기 스프링편을 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타발구멍의 존재에 의해, 상기 판재에 대해 스프링편의 타발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프링편의 성형성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강한 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판재를 최소한의 필요 칫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크기의 스프링편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판재의 손실을 감소시켜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제품의 수율 향상이 실현된다. 또한, 별도의 각종 부대시설 및 주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기존의 가공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처리비용도 저렴하고, 생산성의 향상이 실현될 수 있어, 제조비 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체는 스프링편의 폭방향 양측단면이 선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가공후에 스프링편의 선단부의 주변 가장자리와 스프링편을 외측으로 빼내어 형성된 절발구멍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편이 탄성변형시에 절발구멍내에 삽입되어도, 스프링편과 절발구멍이 걸리지 않고, 상기 스프링편을 본래의 상태로 원활하고 확실하게 탄성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의 자동정지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체는 스프링편을 외측으로 빼내어 형성된 절발구멍의 스프링편의 직립측 능선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면취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취부는 스프링편의 타발가공을 실행하기 전에, 스프링편의 선단면에 인접하는 타발구멍의 본체측 단부로부터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스프링편의 외곽 형태를 따르는 좌우 양측 단연을 펀치가공하여 2줄기의 홈을 형성하므로써 면취된다. 상기 스프링편이 절발구멍에 삽입되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을 위험성이 없어지고, 또는 상기 절발구멍의 스프링편의 직립측 능선부에 면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프링편의 작동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스프링편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발하기 전에 상기 스프링편의 외곽 형태를 따라 좌우 양측 단연을 펀치가공하고, 타발시에 상기 스프링편의 좌우 양측 단연을 절단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스프링편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서 절손되거나, 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스프링편의 성형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스프링편의 선단 형상이 안정화되어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칫수로 수려하게 마무리되고, 고정밀도의 안정된 양호한 생산성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개구창부를 갖는 전체가 횡C형으로 구성된 스프링체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판재의 절발구멍의 상기 스프링편의 직립측 능선부에 형성된 면취부, 상기 스프링편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의 전체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스프링체의 길이나 폭, 스프링편의 형태 및 크기 등에 의해, 상기 면취부 또는 테이퍼면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되며, 슬라이더의 안정된 양호한 자동정지기능을 확보하면서 소형화 및 축소화가 달성될 수 있으며, 양호한 외관 의장성을 갖는 스프링체가 얻어진다.
상술의 스프링체를 각종 슬라이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구조는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ㆍ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와,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손잡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체의 스프링편이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손잡이 사이에 탄성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체의 돌출부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한 스프링편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슬라이더 동체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의 일부에 치합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서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 동체, 손잡이, 손잡이 지지체, 스프링체의 4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스프링체의 스프링편은 상기 개구창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외측으로 빼내어 소정의 높이로 기립한 형태로 되어 있지만, 종래의 슬라이더와는 매우 상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나 슬라이더 동체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범용성이 풍부한 스프링체를 얻을 수 있으며, 슬라이더 동체의 외형 형상에 어울리는 양호한 외관 의장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품가치를 충분히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 상면의 전후에 제1 및 제2기둥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가 편평한 상벽부의 전후에 소망의 곡률로 매끄럽게 만곡되어 형성된 전후방 벽부를 갖는 거의 횡C형 커버체로 이루어지고, 각 벽부의 선단부 내면에는 상기 기둥부에 형성된 피계지부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계합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슬라이더 동체의 상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손잡이 지지체의 계합편과 기둥부의 피계지부가 계합상태로 있을 때, 손잡이의 추축 및 스프링체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로 된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최소한의 필요한 두께로 형성하므로써, 슬라이더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지체는 상벽부의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1기둥부와 제2기둥부 사이의 공간부를 덮어 차폐하는 좌우 날개편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좌우 날개편이 제1 및 제2기둥부 사이에 돌출되는 동시에, 두 기둥 사이의 공간부의 일부를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손잡이의 추축이 좌우 날개편과 당접하여 손잡이의 추축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이 제한된다. 따라서, 스프링편의 과잉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스프링편과 절발구멍이 걸리지 않으며, 스프링편을 본래의 상태로 원활하고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편이 탄성변형되는 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날개편의 기단부에 결락부를 가지며, 상기 결락부에 상기 기둥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삽입계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계합편이 슬라이더 동체의 피계지부에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동시에, 손잡이 지지체의 결락부가 슬라이더 동체의 돌기부에 삽입되어 계착된다. 따라서, 손잡이 지지체를 슬라이더 동체의 상부에 장착함에 있어서, 전후 및 폭방향의 모든 힘에 대해 흔들림이 없고, 강고하고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의 추축 및 스프링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슬라이더 의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기둥부의 좌우 단연에 직립설치되어 적어도 손잡이 지지체의 전후단부가 감착지지되는 지지벽을 갖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체의 돌출부측 단부와 반대측 단부가 상기 좌우의 지지벽 사이에 감착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스프링체의 돌출부는 제2기둥부의 좌우 지지벽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와 반대측은 손잡이의 추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기둥부의 좌우 지지벽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는 스프링편의 탄력에 대항하여 스프링체의 상방으로부터 제1 및 제2기둥부의 좌우 지지벽 사이에 감착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기둥부의 좌우 지지벽의 대향면 사이에 스프링체 전체가 지지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전후단부가 감착지지되기 때문에,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제1 및 제2기둥부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서 상기 스프링편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탄성변형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스프링편의 파손, 불량변형, 고장이 방지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벽이 손잡이 지지체의 전후단부를 감착고정하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감착고정시에는 스프링체가 이탈불가능하게 일체화되고, 조립성이나 신뢰성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취급성도 용이하다. 이에 의해 자동조립기에 의한 조립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자 손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확실하게 조립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기둥부의 좌우 지지벽의 대향면 사이에 적어도 손잡이 지지체의 전후단부가 감착지지되고, 상기 손잡이 지지체를 제1 및 제2기둥부 의 상면과 동일면에 배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슬라이더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외관 의장성이 우수해지고, 상품가치가 높은 슬라이더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체는 일단에 굴곡되는 봉지부를 가지며, 상기 봉지부가 제1 및 제2기둥부의 좌우 지지벽 사이에 형성된 돌편부에 봉지되고, 상기 스프링체의 돌출부측의 단부가 봉지부측 보다 낮게 전체가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스프링체의 봉지부를 확실하게 위치결정하고,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작용하는 봉지부를 기점으로 한 스프링체의 요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슬라이더 동체의 제1 및 제2기둥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의 추축 및 스프링체를 조작하기에 충분한 조작공간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동체 상면의 전후단부에 제1 및 제2기둥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는 천정벽부, 전후 측벽부 및 중앙부에 절결이 형성된 좌우의 측벽부를 갖는 사각형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의 제1 및 제2기둥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더 동체의 상부를 차폐하여 상기 상부에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슬라이더 동체의 제1 및 제2기둥부 사이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상기 손잡이의 추축 및 스프링체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창부의 본체측 단부로부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빼내므로써 1이상으로 굴곡하여 소정높이로 기립한 스프링편을 갖는 범용성이 풍부한 스프링체를 슬라이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의 상부에 돌편부를 가지며, 상기 돌편부를 스프링체의 개구창부에 유동삽입하여 봉지하는 동시에, 스프링체의 돌출부측의 타단부가 개구창부측 보다 낮게 전체가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프링체 전체가 개구창부로부터 돌출부측의 타단부를 향하여 하방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상에 지지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손잡이 지지체의 이면과 슬라이더 동체의 제1 및 제2기둥부 사이는 상기 손잡이의 추축 및 스프링체를 조작하기에 충분한 조작공간부를 얻을 수 있다.
이제 손잡이를 조작하면, 손잡이의 조작에 따른 스프링체의 스프링편이 스프링체의 돌출부가 치합 엘레멘트에 계합 또는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기둥부의 상부에 돌출설치된 돌편부에 유동삽입하여 봉지된 스프링체의 봉지부분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스프링체가 이동 한계위치까지 요동하면, 상기 돌출부가 치합 엘레멘트와 계합되거나 해제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편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탄성변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프링편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1실시예인 자동정지장치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부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슬라이더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프링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스프링체의 평면도이고, 도4는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하는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5는 슬라이더의 조립후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6은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며, 도7은 슬라이더의 스프링체의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의 견구측을 전방부로 하고, 슬라이더의 후구측을 후방부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자동정지장치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0)는 슬라이더 동체(20), 손잡이(30), 손잡이 지지체(40), 스프링체(50)의 4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30)는 알루미늄 합금, 아연 합금 등의 금속재료가 사용되며, 다이캐스팅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와 스프링체(50)는 스텐레스강 등의 장척의 미소한 탄성 금속판재가 사용되어, 프레스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슬라이더 동체(20), 손잡이(30), 손잡이 지지체(30)의 3부재는 각각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프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내마모성 강화재를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재료 등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20)는 상부 날개편(21)과, 하부 날개편(22)과, 상기 상하부 날개편(21, 22)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안내기둥(2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하부 날개편(21, 22)은 그 후단으로부터 거의 중앙위치에 걸쳐, 각각 좌우의 상하 플랜지(21a, 22a)를 가지며, 상기 상하부 날개편(21, 22) 사이에는 Y형 치합 엘 레멘트 안내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의 전후에는 길고 가느다란 커버체로서 손잡이 지지체(40)를 부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기둥부인 전후의 부착기둥(24, 25)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직립하고 있다. 이러한 전방 부착기둥(24)과 후방 부착기둥(25) 사이에는 필요로 하는 간격을 두고 손잡이(30)의 일부 및 스프링체(50)를 수용하는 동시에, 손잡이 지지체(4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후구측(도4의 좌측)의 후방 부착기둥(25)은 손잡이 지지체(40)의 외형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좌우 한쌍의 후방 지지벽(25a)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후방 지지벽(25a)의 대향면에는 전단 모서리부에 돌기부(25b)를 남기고 상부 단연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내려온 단차를 갖는 단차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부(25c)의 단차면은 손잡이 지지체(40)가 후방 지지벽(25a) 사이에 삽입될 때, 더 이상의 삽입을 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40)의 당접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25b)의 정점면은 손잡이 지지체 삽입시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후방 지지벽(25a)의 후방 근처 대향면에는 좌우 양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의 피계지부(25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계지부(25d)는 좌우의 단차부(25c)의 단차면을 따라 매끄럽게 하방경사진 안내경사면과,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와 계탈하는 가장자리부 계합면을 갖는 계단부 형상으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후방 지지벽(25a)의 전방부 대향면에는 그 좌우 양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 의 손잡이 안내부(25e)가 피계지부(25d) 보다 낮은 부위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 안내부(25e)의 전단면에는 상기 후방 지지벽(25a)의 전단면을 따라 점차 하방경사지는 테이퍼면에 의해 손잡이(30)의 추축(32)을 안내하기 위한 손잡이 안내면(25e-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안내면(25e-1)은 손잡이(30)의 작동시에 손잡이 안내부(25e)의 전방부 기단으로부터 스프링체(50)의 이동 한계위치를 향해 손잡이(30)를 유도안내한다. 상기 피계지부(25d)의 전방부 기단과 손잡이 안내부(25e)의 후방부 기단과의 사이에는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가 삽입착탈되는 사각형 돌출부 엘레멘트 안내통로에 연통하도록 상부 날개편(21)의 상하로 관통하여 천공되어 있다.
슬라이더 견구측(도4의 우측)의 전방 부착기둥(24)은 후방 부착기둥(25)과 동일한 폭칫수로 설정된 좌우 한쌍의 전방 지지벽(24a)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방 지지벽(24a)의 대향면에는 후방 부착기둥(25)과 마찬가지로 후단 모서리부에 돌기부(24b)를 남기고 상부 단연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내려온 단차를 갖는 단차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24c)의 단차면은 손잡이 지지체(40)의 당접면으로 형성되고, 전방 지지벽(24a)의 전방부 대향면에는 좌우 양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의 피계지부(24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계지부(24d)는 좌우의 상기 단차부(24c)의 단차면을 따라 매끄럽게 하방경사진 안내경사면과,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와 계탈하는 가장자리부 계합면을 포함하는 계단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지지벽(245a)의 대향면의 중앙에서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는 상방을 향해 완만한 원호형으로 만곡된 단면을 갖는 좌우 한쌍의 판형 돌편부(24e)가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돌편부(24e)의 상면이 스프링체(50)의 장착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지지벽(24a)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부 날개편(21)의 상면 폭방향의 중앙에는 상기 돌편부(24e)의 피계지부(25d)와의 사이에 오목홈부(24f)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책형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0)는 일단측에 환형 파지부(31)를 갖는 동시에, 타단측에 후방 부착기둥(25)이 설치되는 사각형 구멍부(33a)를 갖는 환형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환형 지지부(33)의 선단부는 원형 단면을 갖는 추축(32)으로서 브릿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축(32)의 길이는 후방 부착기둥(25)의 폭칫수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손잡이 장착시에 후방 부착기둥(25)을 거쳐 손잡이 안내부(25e)에 안내되어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장척 판재로 구성되고, 편평한 상벽부의 전후에 동일 곡률로 매끄럽게 만곡형성된 전후 벽부(41, 42)를 갖는 거의 횡C형의 커버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벽부(41, 42)의 선단부 내면에는 각각 부착기둥(24, 25)의 피계지부(24d, 25d)의 가장자리부 계합면과 탄성적으로 계탈하는 계합편(41a, 42a)이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벽부의 좌우에는 전방 부착기둥(24)과 후방 부착기둥(25)과의 사이의 공간부의 일부를 덮어 차폐하는 광폭의 좌우 날개편(43)이 돌출되고, 그 상면이 동일 곡률의 볼록면으로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 날개편(43)과 상벽부와의 능선부(모서리부)에는 전방 부착기둥(24) 및 후방 부착기둥(25)의 한쌍의 돌기부(24b, 25b)에 삽 입되어 계착되는 결락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락부(44)는 좌우 날개편(43)의 직선형 양측 단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한 함몰형 단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 날개편(43)은 상기 전방 부착기둥(24)과 후방 부착기둥(25) 사이의 칫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벽부(41, 42)의 상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계합상태일 때 좌우 날개편(43)의 하단면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되고, 상기 손잡이(30)의 추축(32)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이면과 상부 날개판(21)의 상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계합상태로 있을 때, 손잡이(30)의 추축(32) 및 스프링체(50)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지지벽(24a, 25a)의 대향면 사이에 손잡이 지지체(40)가 감착지지되고, 그 손잡이 지지체(40)를 지지벽(24a, 25a)의 상면과 동일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지지체(40)를 최소한의 필요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더(10)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달성될 수 있으며, 외관 의장성이 우수하게 되고, 상품가치가 높은 슬라이더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지지체(40)의 계합편(41a, 42a)이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피계지부(24d, 25d)에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동시에, 손잡이 지지체(40)의 결락부(44)가 전방 부착기둥(24)과 후방 부착기둥(25)의 한쌍의 돌기부(24b, 25b)에 삽입하여 계착되기 때문에, 전후 및 폭방향의 모든 힘에 대해 흔들림이 없어지 고, 강고하고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지지하여 슬라이더(10)의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상기 스프링체(50)의 구조에 있다. 본 발명의 가장 전형적인 구조예인 스프링체(50)는 구리합금이나 스텐레스강 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사각형의 개구창부(51)를 갖는 동시에, 본체의 길이방향 타단부의 선단에 돌출부(55)를 갖는 전체가 거의 횡C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체(50)에는 상기 개구창부(51)의 본체측 단부로부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빼내는 동시에, 굴곡가공을 실시하여 소정높이로 기립시킨 평탄한 스프링편(5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편(52)을 외측으로 빼내기 때문에 판재를 최소한의 필요 칫수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판재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종류의 부대설비 및 주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기존 가공장치로 생산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으며, 처리비용도 저렴하고, 제작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편(52)의 양측단부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견구방향의 선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면(52a)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체(50)에는 스프링편(52)을 외측으로 빼내어 형성된 외곽 형태에 대응하는 절발구멍(53)이 상기 개구창부(51)의 본체측 단부에 본체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는 단차로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걸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체(50)의 전후 단부에는 각각 스프링편(52)과 반대측의 하방으로 굴곡되어 단척 판부재와 장척 판부재가 거의 평행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척 판부재는 상기 전방 부착기둥(24)의 좌우 한쌍의 돌편부(24e)에 장착되는 봉지부(54)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부(54)는 개구창부(51)의 일부를 포함하며, 봉지부(54)가 상기 한쌍의 돌편부(24e) 사이에 장착가능한 필요한 칫수,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 한쪽의 장척 판부재의 선단은 도시않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치합 엘레멘트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의 이동을 정지하기 위한 돌출부(55)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55)의 선단 일측부는 스프링체(50)의 전방부 기단에 인접하여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구멍부(25f)를 통해 상기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내에 삽탈가능한 필요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편(52)의 기단부는 절발구멍(53) 보다 소정높이로 상기 돌출부(55)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く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편(52)의 전체가 전방을 향해 거의 く형태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프링편(52)에 굴곡가공을 실시하여 하방으로 1이상 굴곡시키므로써 소정높이로 기립해도 무방하다.
상기 스프링편(52)의 선단은 손잡이 지지체(40)의 이면에 탄성접촉가능하게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편(52)의 선단부와 절발구멍(53)의 스프링편(52)이 직립측 능선부와의 사이에 평면방향의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 스 프링편(52)이 탄성변형시 절발구멍(53)내에 삽입되어도, 절발구멍(53)과 스프링편(52)이 걸리지 않고, 스프링편(52)을 본래의 상태로 원활하고 확실하게 탄성복귀시킬 수 있게 되어, 슬라이더(10)의 자동정지기능이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체(50)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가공대상인 스프링편(52)의 외측 빼냄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판재에 대한 스프링편(52)의 전단면에 인접하는 부위를 미리 타발하여 상기 개구창부(51)가 되는 타발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판재의 돌출부(55)의 형성부의 일부를 미리 타발하여 절단해 놓는다. 이어서, 스프링편(52)의 전단면에 인접하는 타발구멍의 본체측 단부로부터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스프링편(52)의 선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외곽 형태를 따르는 좌우 양측 단연을 타발펀치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창부(51)를 거쳐 타발가공을 실시한다. 이러한 타발가공후에 절곡가공을 실시하므로써, 소정높이로 く형으로 기립시킨 개구창부(51)를 갖는 스프링체 전체를 거의 횡C형의 형태로 마무리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개구창부(51)의 존재에 의해, 개구창부(51)를 거쳐 스프링편(52)을 기립시킬 있으며, 상기 판재에 대한 스프링편(52)이 필요로 하는 타발높이를 얻을 수 있으며, 가공중에 스프링편(52)의 선단부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절손 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소망의 탄성으로 스프링체(50)가 용이하게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더(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손잡이(30)의 환형 지지부(33)를 슬라이더 동체(20)의 후방 부착기둥(25)을 거쳐 삽입하고, 손잡이(30)의 추축(32)을 후방 지지벽(25a)의 손잡이 안내부(25e)의 손잡이 안내면에 당접시킨 상태로 손잡이(30) 전체를 거의 수평자세로 장착한다. 이어서 손잡이 지지체(40)의 추축(32)의 상방으로부터 스프링체(50)를 배치한다. 이때,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는 후방 부착기둥(25)의 돌출구멍부(25f)에 삽입되고, 돌출부(55)와 반대측의 봉지부(54)는 손잡이(30)의 추축(321)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구멍부(25f)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전방 부착기둥(24)의 돌편부(24e)에 걸린다. 스프링체(50)는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에 돌출구멍부(25f)로부터 돌편부(24e)측을 향해 더욱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스프링편(52)의 선단부는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지지벽(24a, 25a)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편(52)의 탄력에 저항하여 손잡이 지지체(40)를 스프링체(50)의 상방으로부터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내부에 밀어넣는다.
이제, 손잡이 지지체(40)를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내부에 밀어넣으면, 손잡이 지지체(40)의 삽입에 따라 스프링편(52)의 탄력에 저항하여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피계지부(24d, 25d)의 안내경사면에 손잡이 지지체(40)의 계합편(41a, 42a)이 확대개방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습동하고, 그 계합편(41a, 42a)이 안내 경사면의 선단 경사면을 통과한다. 이와 동시에, 계합편(41a, 42a)을 축소방향으로 탄성복귀시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계지부(24d, 25d)의 가장자리부 계합면에 계합편(41a, 42a)이 계합된다.
그리고, 손잡이 지지체(40)의 삽입 한계위치에서,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각각의 돌기부(24b, 25b)에 손잡이 지지체(40)의 결락부(44)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하여 계착되는 동시에, 손잡이 지지체(40)의 상면부가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피복되고, 손잡이 지지체(40)의 좌우 날개편(43)의 하단면이 상부 날개편(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0)의 일부 및 스프링체(50)를 조작하는 조작공간부의 일부를 차폐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계합편(41a, 42a)과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피계지부(24d, 25d)가 감착고정되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와 손잡이 지지체(40)가 계합상태로 있을 때, 상기 스프링체(50)가 이탈불가능하게 일체화되고, 이들 조립을 작업자 손이나 자동기에 의해 용이하고 안정하게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지체(40)의 이면과 전후방 부착기둥(24, 25)의 대향면 사이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스프링편(52)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편(52)의 파손이나 불량변형, 고장 등이 방지되며, 장기간에 걸쳐 스프링체(5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7은 도5의 상태로부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의 계지를 해제하는 조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와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의 계합을 해제함에 있어서는 우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동체(20)에 평행하게 조립되는 손잡이(30)를 손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손잡이(30)의 추축(32)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이 스프링체(50)의 돌 출부(55)를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손잡이(30)의 추축(3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한다. 상기 손잡이(30)의 추축(32)이 스프링체(50)의 이동 한계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돌출부(55)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편(21)의 돌출구멍부(25f)를 거쳐 치합 엘레멘트로부터 이탈되어 계합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해제시에, 슬라이더(10)는 슬라이더 견구측(도7의 우측) 또는 후구측(도7의 좌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므로써 도시않은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시키거나 좌우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망의 조작후에, 손잡이(30)를 놓으면,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의 탄력에 저항한 변형이 손잡이(30)의 추축(32)이 상기 손잡이 안내부(25e)의 손잡이 안내면(25e-1)을 따라 하강하므로써 본래의 상태로 탄성복귀되고,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가 상부 날개편(21)의 돌출구멍부(25f)를 거쳐 파스너체인의 기어열 사이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와 치합 엘레멘트와는 계합되고, 이러한 계합상태에서 더 이상의 슬라이더(10)의 이동이 저지되어, 슬라이더(10)를 정지상태로 유지한다.
도8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체(5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스프링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9는 스프링체의 평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크게 다른 점은 스프링체(50)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창부(51)가 슬라이더 후구측으로부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걸쳐 길게 설정되어 있고, 편평한 형상의 스프링편(52)을 필요한 길이로 く형태로 기립시키고 있는 점과, 스프링편(52)의 직립측 능선부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하방경사진 면취부(53a)를 갖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면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도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체(50)의 개구창부(51)는 그 스프링편(52)의 외곽 형태에 대응하는 절발구멍(53)의 선단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단차로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발구멍(53)의 스프링편(52)의 직립측 능선부에는 내측으로 하방경사진 면취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면취부(53a)의 존재에 의해, 상기 스프링편(52)이 탄성변형시 절발구멍(53)에 삽입되어 본래의 상태로 탄성복귀하지 않거나 상기 절발구멍(53)의 스프링편(52)의 직립측 능선부에 면접촉하지 않아, 스프링편(52)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체(50)의 선단부에는 그 스프링편(52)과 반대측의 하방으로 매끄럽게 굴곡되어 형성된 단척 판부재가, 전방 부착기둥(24)의 돌편부(24e)에 봉지되는 봉지부(54)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체(50)의 후단부에는 상기 단척 판부재 보다 예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장착 판부재가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에 대해 슬라이더 동체(20)의 이동을 정지하기 위한 돌출부(55)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5)의 선단 양측부는 스프링체(50)의 본체의 폭 보다 점차 폭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스프링체(50)에서도 가공대상인 스프링편(52)의 외측 빼냄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판재에 대한 스프링편(52)의 전단 면에 인접하는 부위를 미리 타발하여 상기 개구창부(51)가 되는 타발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판재의 돌출부(55)의 형성부의 일부를 미리 타발하여 절단해 놓는 점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스프링체(50)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예에 따른 스프링체(50)의 제조방법은 상기 판재에 대해 스프링편(52)의 선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외곽 형태를 따라 좌우 양측 단연을 펀치가공하므로써 2줄기의 홈을 형성할 때에 면취가 실행되고, 절발구멍(53)의 면취부(53a)를 형성하는 점이 매우 상이하다.
상기 스프링편(52)의 좌우 양측 단연에 면취가 실행된 후, 도2 및 도3에 도시된 스프링체(50)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스프링편(52)의 좌우 양측 단연을 타발펀치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타발가공을 실시한다. 이러한 타발 가공에 굴곡가공을 실시하므로써, 소정높이로 く형으로 기립시킨 개구창부(51)를 갖는 스프링체 전체를 거의 횡C형으로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편(52)의 타발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스프링편(52)의 좌우 양측 단연을 펀치가공하므로써 2줄기의 홈을 형성할 때 면취가 실행된 후, 타발시에 스프링편(52)의 좌우 양측 단연을 절단하기 때문에, 타발펀치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행되고, 스프링편(52)의 성형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스프링편(52)의 선단 형상이 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체(50)를 소정 칫수로 수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도8 및 도9에 도시된 스프링체(50)의 변형예에서도 도2 및 도3에 도시된 스프링체(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작용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2 및 도3에 도시된 스프링체(50) 보다 긴 개구창부(51)의 존재에 의해, 스프링편(52)의 기립 높이를 더욱 높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소망의 강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편(52)의 성형성을 훨씬 고정밀도로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10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도8 및 도9에 도시된 스프링체(50)가 장착된 슬라이더 동체(20)의 내부 구조예를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은 도8의 슬라이더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11은 슬라이더의 조립후 내부구조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12는 슬라이더의 스프링체의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크게 상이한 점은 전단 지지벽(124)의 정점면에 돌출된 돌편부(124e)에 스프링체(50)의 개구창부(51)가 삽입하여 지지되고 있다는 점과, 정점면이 평탄형으로 형성된 블록체로 구성된 전후방 부착기둥(124, 125)을 손잡이 지지체(14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은폐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편평형의 손잡이 지지체 대신에, 손잡이 지지체가 사각형 상자체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견구측(도10의 우측)의 중실 전방 부착기둥(124)의 정점면 중앙에는 후방 부착기둥(125) 보다 상하로 높게 설정된 돌편부(124e)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전방 부착기둥(124)의 후벽면에는 돌편부(124e)의 근원(根元)으로부터 슬라이더(10)의 후구측을 향해 점차 하방경사지는 스프링 장착용 테이퍼면(126)이 형성되 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체(50)의 삽입자세를 안정되고 강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방 부착기둥(124)의 전방 벽면 하부에는 손잡이 지지체(140)의 전판부 내면과 전방 부착기둥(124) 사이에 공극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 날개판(121)의 상면 전단연에 형성된 단차부(127)의 단차면이 손잡이 지지체(140)의 장착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극부는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지지체(140)의 전판부 내면과 전방 부착기둥(12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체(50)의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쪽의 슬라이더 후구측(도10의 좌측)의 중실 후방 부착기둥(125)의 후방 벽면 하부에는 상부 날개판(121)의 상면 후단연에 형성된 단차부(128)의 단차면이 손잡이 지지체(140)의 장착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방 부착기둥(124)의 후방 벽면 하부에는 손잡이 안내부(125e)가 후방 부착기둥(125)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안내부(125e)의 전단면에는 점진적으로 하방경사지는 테이퍼면에 의해 손잡이(30)의 추축(32)을 유도안내하기 위한 손잡이 안내면(125e-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안내부(125)의 후방부 기단과 후방 부착기둥(125)의 전방부 기단과의 사이에는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가 치합 엘레멘트 안내통로에 삽입착탈되는 사각형 돌출구멍부(125f)가 상부 날개판(121)의 상하로 관통하여 천공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체(140)는 거의 평탄형으로 형성된 천정벽부(140a)와, 상기 천정벽부(140a)의 전후에 외측면이 동일한 곡률로 내측을 향해 원호형으로 만곡된 전후의 측벽부(140b)와, 천정벽부(140) 및 전후 측벽부(140b)를 연결하는 양측 좌 우 한쌍의 측벽부(140c)를 포함하고 있다. 손잡이 지지체(140)의 내부로 둘러싸인 공간부는 손잡이(30)의 일부 및 스프링체(50)를 조작하기에 충분한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좌우 측벽부(140c)의 하단연의 손잡이(30)의 추축(3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형 절결부(140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120)와 손잡이 지지체(140)가 계합상태로 있을 때, 오목형 절결부(140d)가 상부 날개편(1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어, 손잡이(30)의 추축(32)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천정벽부(140a)의 이면의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의 대응위치에는 오목형의 홈부(140e)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정벽부(140a)는 전후 측벽부(140b)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을 탄성변화시킬 때 악화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고, 횡방향으로 어긋남이 없으며, 도시않은 파스너체인의 치합 엘레멘트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계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더(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와, 스프링체(50)와, 손잡이 지지체(140)의 삽입에 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지만, 스프링체(50)의 봉지부(54)의 개구창부(51)가 전방 부착기둥(124)의 돌편부(124e)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점과, 스프링편(52)의 탄력에 저항하여 손잡이 지지체(140)를 스프링체(50)의 상방으로부터 전후방 부착기둥(124, 125)을 포함하도록 완전히 밀착고정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러한 손잡이 지지체(140)는 종래 주지의 적절한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된다. 이 러한 고착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특허공개 평10-127313호에 개시된 기술과 마찬가지로, 손잡이 지지체(140)의 후방 측연부(140b)의 하단면에 돌출되는 도시않은 소형 돌기를 상기 슬라이더 동체(120)의 도시않은 오목홈내에 삽입하고, 손잡이 지지체(140)의 좌우 측벽부(140c)를 전후방 부착기둥(124, 125)에 대해 코오킹고정한다.
도12는 도11의 상태로부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의 계지를 해제하는 조작을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와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의 계합을 해제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120)에 평행하게 장착된 손잡이(30)를 손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손잡이(30)의 추축(32)이 손잡이 안내부(125e)의 손잡이 안내면(125e-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이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를 치합 엘레멘트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전방 부착기둥의 돌편부(124e)에 삽입지지된 스프링체(50)의 봉지부(54)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습동한다.
상기 손잡이(30)의 추축(32)이 스프링체(50)의 이동 한계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편(121)의 돌출구멍부(125f)를 거쳐 도시않은 치합 엘레멘트로부터 이격되어 계합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해제시에 상기 치합 엘레멘트에 대해 슬라이더(10)를 자유롭게 습동시키므로써 도시않은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시키거나 좌우로 이탈시킬 수 있다. 손잡이(30)를 놓으면,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의 탄성에 저항한 변형이 탄성복귀되고, 돌출부(55)가 상부 날개편(121)의 돌출구멍부(125f)를 거쳐 상기 파스너체 인의 치합 엘레멘트 사이에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10)를 정지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창부(51)의 본체측 단부로부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빼내므로써 1이상으로 굴곡시켜 소정높이로 기립시킨 스프링편(52)을 갖는 범용성이 풍부한 스프링체(50)를, 각종 슬라이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전체 스프링체(50)가 개구창부(51)로부터 돌출부(55)측을 향하여 하방경사진 상태로 슬라이더 동체(20, 120)상에 지지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손잡이 지지체(40, 140)의 이면과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기둥부(24, 25, 124, 125)의 사이에서 상기 손잡이(30)의 추축(32) 및 스프링체(50)를 조작하기에 충분한 조작공간부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손잡이 지지체(40, 140) 또는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외형 형상에 바람직한 양호한 외관 의장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품가치가 충분히 높아진다.
이상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판재의 일단부에 사각형의 개구창부(51)를 갖는 전체가 거의 횡C형으로 구성된 스프링체(50)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판재의 절발구멍(53)의 스프링편(52)의 직립측 능선부에 형성된 면취부(53a), 스프링편(52)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면(52a)의 전체를 구비한 필요가 없고, 스프링체(50)의 재질이나 길이 또는 폭, 스프링편(52)의 형태 및 크기 등의 요인과의 관계에서, 상기 면취부(53a) 또는 테이퍼면(52a)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 및 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손잡이(3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40, 140)의 이면과 손잡이(30) 사이에 탄접하여 배치되는 스프링편(52)을 가지며, 스프링체(50)는 일단측에 개구창부(51)를 가지며, 타단의 선단에 돌출부(55)를 갖는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프링편(52)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의 일부에 계합 및 해제되는 돌출부(55)를 갖는 스프링체(50)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52)은 개구창부(51)의 단부로부터 판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빼내는 동시에 굴곡가공하여 소정높이로 기립시킨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52)의 폭방향 양측단면은 선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면(52a)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52)을 외측으로 빼내어 형성된 절발구멍의 스프링편(52)의 직립측 능선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면취부(53a)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4.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을 치합 및 이탈시키는 슬라이더 동체(20, 120)와, 상기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손잡이(3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체(40, 140)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청구범위 제1항의 스프링체(50)의 스프링편(52)이 손잡이 지지체(40, 140)의 이면과 상기 손잡이(30) 사이에 탄성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가 손잡이(30)의 조작에 의한 스프링편(52)의 탄성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더 동체(20, 120)의 내부를 통해 파스너체인의 기어열의 일부에 계합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 상면의 전후에 제1 및 제2기둥부(24, 25)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40)는 편평한 상벽부의 전후에 형성된 전후 벽부(41, 42)의 선단부 내면에는 상기 기둥부(24, 25)에 형성된 피계지부(24d, 25d)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계합편(41a, 4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지지체(40)는 상벽부의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1기둥부(24)와 제2기둥부(25) 사이의 공간부를 덮어 차폐하는 좌우 날개편(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날개편(43)의 기단부에 결락부(44)를 포함하고, 상기 결락부(44)에 기둥부(24, 25)에 형성된 돌기부(24b, 25b)가 삽입계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8.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기둥부(24, 25)의 좌우 단연에 직립설치되고, 적어도 손잡이 지지체(40)의 전후단부가 감착지지되는 지지벽(24a, 25a)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측의 단부와, 그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좌우 지지벽(24a, 25a)에 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50)는 일단에 굴곡되는 봉지부(54)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부(54)가 제1기둥부(24)의 좌우 지지벽(24a, 25a) 사이에 형성된 돌편부(24e)에 봉지되고,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측의 단부가 봉지부(54)측 보다 낮게 전체가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동체 상면의 전후에 제1 및 제2기둥부(124, 125)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지지체(140)는 천정벽부(140a), 전후 측벽부(140b) 및 중앙부에 절결(140d)이 형성된 좌우의 측벽부(140c)를 구비한 사각형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동체(120)의 제1 및 제2기둥부(124, 125)에 삽입되고 슬라이더 동체(20)의 상부를 차폐하여 상기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부(124)의 상부에 돌편부(124e)를 포함하고, 상기 돌편부(124e)를 스프링체(50)의 개구창부(51)에 유동삽입하여 봉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체(50)의 돌출부(55)측의 타단부가 개구창부(51)측 보다 낮게 전체가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20040036035A 2003-05-21 2004-05-2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KR100563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3551A JP3927922B2 (ja) 2003-05-21 2003-05-21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プリング体及び同スプリング体が装着されたスライダー
JPJP-P-2003-00143551 2003-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028A KR20040101028A (ko) 2004-12-02
KR100563200B1 true KR100563200B1 (ko) 2006-03-22

Family

ID=3309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035A KR100563200B1 (ko) 2003-05-21 2004-05-2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356887B2 (ko)
EP (1) EP1479307B1 (ko)
JP (1) JP3927922B2 (ko)
KR (1) KR100563200B1 (ko)
CN (1) CN1259871C (ko)
ES (1) ES2444509T3 (ko)
HK (1) HK1069510A1 (ko)
TW (1) TWI2572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617A1 (ja) * 2008-05-01 2009-11-05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TWI393983B (zh) * 2008-11-11 2013-04-21 Altek Corp 焦距調整機構及具該焦距調整機構之照相裝置
HK1133363A2 (en) * 2009-01-23 2010-03-19 Hung Hing Entpr Ltd A zipper slider for easy mounting zipper pull
EP2554073B1 (en) * 2010-04-02 2015-12-23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8959728B2 (en) 2010-09-22 2015-02-24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8567019B2 (en) * 2011-04-18 2013-10-29 Ykk Corporation Of America Semi-automatic slider
JP5647730B2 (ja) * 2011-04-27 2015-01-0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9271548B2 (en) 2011-06-17 2016-03-01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r fasteners
WO2013098961A1 (ja) * 2011-12-27 2013-07-04 Ykk株式会社 停止機構付きスライダー
US10194719B2 (en) * 2012-08-04 2019-02-05 Kee (Guangdong) Garment Accessories Limited Enhanced slider
CN106332544B (zh) * 2014-08-08 2019-09-10 Ykk株式会社 滑动件用弹簧的装入方法与装入装置
USD780625S1 (en) * 2016-02-04 2017-03-07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Fastener tape
CN109788826B (zh) * 2016-09-26 2021-07-20 Ykk株式会社 拉头及拉链
CN207561458U (zh) * 2017-06-16 2018-07-03 Ykk株式会社 拉链用拉头
CN107853821B (zh) * 2017-11-20 2021-01-22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
CN109832726A (zh) * 2019-04-08 2019-06-04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及其防止掉漆的拉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727B1 (ko) 1996-10-31 2000-03-02 요시다 다다히로 오토록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4485A (en) * 1950-01-19 1953-04-14 Scovill Manufacturing Co Automatic lock slider
JPS4635376Y1 (ko) 1966-10-11 1971-12-06
JPS5182136A (ko) * 1975-01-15 1976-07-19 Yoshida Kogyo Kk
JPS5717766Y2 (ko) * 1976-10-26 1982-04-14
JPS583527Y2 (ja) * 1978-03-30 1983-01-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ダ−
JPS6127449A (ja) 1984-07-18 1986-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金属燃焼装置
DE3522405A1 (de) 1985-06-22 1987-01-02 Bayer Ag 1,8-verbrueckte 4-chinolon-3-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GB2178105B (en) 1985-07-20 1989-01-18 Rhondda Pressing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liders for zip fasteners
JPH0721123Y2 (ja) * 1988-10-22 1995-05-1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5980954A (en) * 1992-02-07 1999-11-09 Vasogen Ireland Limited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DE20100197U1 (de) * 2001-01-05 2001-05-31 Lin Yu Pau Schieberstruktur eines Reißverschlusses
US6647599B2 (en) * 2002-04-02 2003-11-18 Yu-Pau Lin Positioning mechanism of a zipper slide
JP4152254B2 (ja) * 2003-05-21 2008-09-1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149369B2 (ja) * 2003-12-10 2008-09-10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727B1 (ko) 1996-10-31 2000-03-02 요시다 다다히로 오토록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44313A (ja) 2004-12-09
EP1479307B1 (en) 2013-11-27
HK1069510A1 (en) 2005-05-27
TW200505374A (en) 2005-02-16
TWI257293B (en) 2006-07-01
JP3927922B2 (ja) 2007-06-13
EP1479307A1 (en) 2004-11-24
KR20040101028A (ko) 2004-12-02
US7356887B2 (en) 2008-04-15
US7624481B2 (en) 2009-12-01
ES2444509T3 (es) 2014-02-25
CN1259871C (zh) 2006-06-21
CN1572170A (zh) 2005-02-02
US20080148534A1 (en) 2008-06-26
US20040231114A1 (en)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20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프링체 및 이를 장착한 슬라이더
KR101245498B1 (ko) 자동 정지 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571969B1 (ko)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1479306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JP4726765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下止
JP5274662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749183B1 (en) Fastener element
JPWO2015033475A1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S58116946A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務歯成形装置
US20230210227A1 (en) Slider
EP0537576A1 (en) A slider for a slide faste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3035169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2737817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JP5496301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WO2013099017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2793634B1 (en) Fastener element for a slide fastener,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WO2016147262A1 (ja) スライダ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22118404A1 (ja) スライダー
US20140331460A1 (en) Slider Fitted with Stopp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