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709B1 -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709B1
KR100568709B1 KR1020030092941A KR20030092941A KR100568709B1 KR 100568709 B1 KR100568709 B1 KR 100568709B1 KR 1020030092941 A KR1020030092941 A KR 1020030092941A KR 20030092941 A KR20030092941 A KR 20030092941A KR 100568709 B1 KR100568709 B1 KR 100568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ing
variable
cup
b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673A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7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의 크기에 따라 컵홀더를 가변시키도록 하여 컵을 흔들림 없이 보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는 원통관 형상이며 하부 가장자리에 연장편을 돌설하고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설치홈을 형성한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를 내포하며 내부에 안착되는 컵을 가압하기 위해 설치홈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가변핀을 설치하고 연장편에 의해 가이드 되며 회전되도록 외주연에 손잡이를 형성한 회전 케이스와, 상기 회전 케이스를 내포하며 베이스 케이스에 고정되어 손잡이를 수용하도록 상부를 개방한 손잡이홈을 형성한 고정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상부를 덮어 회전 케이스 및 고정 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와, 베이스 케이스와 고정 케이스 및 커버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회전 케이스의 가변핀을 일방향으로 탄동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컵홀더, 가변

Description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cup holder acceptable of various cu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간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케이스 14: 설치홈
20: 회전 케이스 22: 가변핀
30: 고정 케이스 40: 커버
50: 체결부재 60: 탄동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크기에 따라 컵홀더를 가변시키도록 하여 컵을 흔들림 없이 보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음료수 및 컵을 임시 보관하기 위해 컵홀더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컵홀더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전방측 또는 콘솔박스(console box) 상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식과,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삽입식은 사용할 경우에 바깥쪽으로 당겨 꺼낸 후에 컵 등을 꽂아서 사용하고, 상기 고정식은 항상 외측으로 돌출 되어 있기 때문에 컵 등을 바로 꽂아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컵홀더는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컵을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컵홀더의 회전 케이스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며 컵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가변핀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컵홀더의 직경을 가변시켜 다양한 크기의 컵을 고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케이스와 회전 케이스 및 고정 케이스를 구비하고, 회전 케이스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며 가변핀을 컵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는 하부가 밀폐된 원통관 형상이며 하부 가장자리에 연장편(12)을 돌설하고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설치홈(14)을 형성한 베이스 케이스(10)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10)를 내포하며 내부에 안착되는 컵을 가압하기 위해 설치홈(14)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가변핀(22)을 설치하고 연장편(12)에 의해 가이드 되며 회전되도록 외주연에 손잡이(24)를 형성한 회전 케이스(20)와, 상기 회전 케이스(20)를 내포하며 베이스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손잡이(24)를 수용하도록 상부를 개방한 손잡이홈(32)을 형성한 고정 케이스(30)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10)의 상부를 덮어 회전 케이스(20) 및 고정 케이스(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40)와, 베이스 케이스(10)와 고정 케이스(30) 및 커버(4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50)와, 회전 케이스(20)의 가변핀(22)을 일방향으로 탄동되게 하여 선택적으로 컵을 가압하는 탄동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케이스(10)는 컵을 안착할 수 있도록 하부가 밀폐된 원통관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연장편(1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12)은 가장자리가 상향 돌출된 'ㄴ'자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10)의 주면에는 다수 개의 설치홈(14)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 케이스(20)의 가변핀(22)을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14)의 동일한 가장자리에는 각각 단속편(16)을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가변핀(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단속편(16)은 대략 4반원 형상으로, 설치홈(14)의 일가장자리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편(12)의 바닥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8)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8)는, 후술할, 회전 케이스(20)의 테두리를 수용하여 회전시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 케이스(20)는 베이스 케이스(10)를 내포하며, 베이스 케이스(10)의 연장편(12)에 접하는 원통관 형상이다.
상기 회전 케이스(20)의 하부 테두리는 연장편(12)의 가이드돌기(18)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케이스(20)의 내측면에는 가변핀(22)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핀(22)은 베이스 케이스(10)의 설치홈(14)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핀(22)은 대략 단속편(16)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속편(16)과 설치홈(14)의 타가장자리 사이로 출입되며 컵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속편(16)의 내측면과 가변핀(22)의 외측면이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케이스(2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24)가 고정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 케이스(30)는 회전 케이스(20)를 내포하도록 원통관 형상이다.
상기 고정 케이스(30)에는 회전 케이스(20)의 손잡이(24)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손잡이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케이스(30)는, 후술할, 체결부재(50)에 의해 베이스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케이스(10)의 연장편(12)은 베이스 케이스(10)와 회전 케이스(20) 및 고정 케이스(30)의 하단 테두리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10)와 회전 케이스(20) 및 고정 케이스(30)의 상단 테두리는 커버(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커버(40)는, 단면으로 봤을 때, 대략 'ㄷ'자 형상이고, 그 하면에 가이드돌기(18)가 마주하도록 한 쌍 돌설된다.
상기 커버(40)의 가이드돌기는 회전 케이스(20)의 상단 테두리를 삽입하여 회전 케이스(20)의 회전시 가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0)는 베이스 케이스(10)와 고정 케이스(3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50)는 베이스 케이스(10)의 연장편(12) 상단부 내측면에 다수 개 돌설된 제 1고정돌기(52)와, 커버(4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 1고정돌기(52)를 삽입하기 위한 제 1고정공(53)과, 고정 케이스(30)의 하단부 외측면에 다수개 돌설된 제 2고정돌기(54)와, 베이스 케이스(10)의 연장편(12) 외측에 형성되어 제 2고정돌기(54)를 삽입하기 위한 제 2고정공(55)과, 커버(40)의 외측면에 다수개 돌설된 제 3고정돌기(56)와, 고정 케이스(3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제 3고정돌기(56)를 삽입하기 위한 제 3고정공(5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고정돌기(52)는 베이스 케이스(10)의 내측면에 다수개를 중심방향으로 돌설한다.
상기 제 1고정돌기(52)는 설치홈(14) 사이에 하나씩 돌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고정돌기(52)는 베이스 케이스(10)의 상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공(53)은 커버(4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40)의 제 1고정공(53)은 베이스 케이스(10)의 제 1고정돌기(52)를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커버(40)는 베이스 케이스(10), 회전 케이스(20), 고정 케이스(30) 및 제 1고정공(53)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돌기(54)는 고정 케이스(30)의 외측면 하단부에 다수개 돌설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공(55)은 베이스 케이스(10)의 연장편(12)에 형성된다.
상기 제 2고정공(55)은 고정 케이스(30)의 제 2고정돌기(54)를 삽입할 수 있도록 연장편(12)의 상향 연장된 부분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장편(12)은 고정 케이스(30)와 회전 케이스(20) 및 제 2고정돌기(5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3고정돌기(56)는 커버(53)의 외측면에 다수개 돌설된다.
또한, 상기 제 3고정공(57)은 고정 케이스(3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제 3고정돌기(56)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2,3고정돌기(52,54,56)가 각각에 대응되는 제 1,2,3고정공(53,55,57)에 삽입되면, 베이스 케이스(10)와 고정 케이스(30)는 상호 고정된다.
한편, 상기 탄동부재(60)는 가변핀(22)을 회전 케이스(20)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힌지핀(62)과, 상기 힌지핀(62)에 권회되어 일단을 가변핀(22)의 후측을 지지하고, 타단을 회전 케이스(20)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탄동스프링(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핀(62)은 고정 케이스(3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변핀(22)을 힌지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 케이스(20)의 내측면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힌지편(66)이 형성되고, 힌지편(66) 사이에 가변핀(22)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편(66)과 가변핀(22)에는 삽입공(68)이 연통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힌지편(66)과 가변핀(22)에는 힌지핀(62)이 삽입되어 가변핀(22)을 힌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힌지핀(62)의 외주연에는 탄동스프링(64)이 권회된다.
상기 탄동스프링(64)의 일단부는 가변핀(22)의 후면을 탄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동스프링(64)의 타단부는 회전 스프링의 내주면을 탄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가변핀(22)은 회전 케이스(20)의 중심방향으로 탄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핀(22)의 후면 가장자리는 개방되어 쉽게 탄동스프링(64)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케이스(10)와 회전 케이스(20) 및 고정 케이스(30)가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컵을 베이스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회전 케이스(20)의 손잡이(24)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케이스(20)의 가변핀(22)은 베이스 케이스(10)의 설치홈(14)에서 일부 인출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변핀(22)은 설치홈(14)의 단속편(16) 끝단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핀(22)과 회전 케이스(20)의 내측면의 각도는 작아지며 탄동스프링(64)이 압축된다.
이때, 상기 가변핀(22)은 탄동스프링(64)의 탄동력에 의해 원상회복 되려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상기 가변핀(22)의 변위량은 고정 케이스(30)의 손잡이홈(32)의 가로변의 길이와 동일하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베이스 케이스(10)에 컵을 삽입하고 손잡이(24)에 가한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회전 케이스(20)의 가변핀(22)은 탄송스프링의 원상회복 되려는 탄동력에 의해 베이스 케이스(10)의 단속편(16)의 내측면과 접하며 설치홈(14)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 케이스(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케이스(20)의 회전반경은 손잡이(24)의 구속범위인 고정 케이스(30)의 손잡이홈(32)의 범위 이내이다.
또한, 상기 가변핀(22)이 설치홈(14)의 내부로 삽입되며 베이스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된 컵의 외주연을 가압하기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에 의하면, 자동차의 컵홀더에 컵 등을 꽂았을 때에 흔들거림이 없도록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손잡이를 외력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컵홀더의 직경을 넓혀 쉽게 컵을 삽입하고, 외력 제거시 탄동스프링의 탄동력에 의해 컵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부가 밀폐된 원통관 형상이며, 하부 가장자리에 연장편을 돌설하고,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설치홈을 형성한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를 내포하며, 내부에 안착되는 컵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설치홈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가변핀을 설치하고, 상기 연장편에 의해 가이드 되며 회전되도록 외주연에 손잡이를 형성한 회전 케이스와;
    상기 회전 케이스를 내포하며, 상기 베이스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를 수용하도록 상부를 개방한 손잡이홈을 형성한 고정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상부를 덮어 상기 회전 케이스 및 고정 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 고정 케이스 및 커버의 접합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케이스와 커버, 상기 고정 케이스와 베이스 케이스 및 상기 커버와 고정 케이스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회전 케이스의 가변핀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컵을 가압하기 위한 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연장편과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케이스의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해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연장편 상단부 내측면에 다수 개 돌설된 제 1고정돌기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정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제 1고정공과;
    상기 고정 케이스의 하단부 외측면에 다수개 돌설된 제 2고정돌기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연장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정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제 2고정공과;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다수개 돌설된 제 3고정돌기와;
    상기 고정 케이스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3고정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제 3고정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동부재는 상기 가변핀을 상기 회전 케이스의 내측면에 힌지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권회되어 일단을 상기 가변핀의 후측을 지지하고, 타단을 상기 회전 케이스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가변핀을 탄동되도록 하는 탄동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KR1020030092941A 2003-12-18 2003-12-18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KR100568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941A KR100568709B1 (ko) 2003-12-18 2003-12-18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941A KR100568709B1 (ko) 2003-12-18 2003-12-18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673A KR20050061673A (ko) 2005-06-23
KR100568709B1 true KR100568709B1 (ko) 2006-04-07

Family

ID=3725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941A KR100568709B1 (ko) 2003-12-18 2003-12-18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800B1 (ko) * 2005-09-29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KR100668882B1 (ko) * 2005-09-30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
KR102186272B1 (ko) * 2019-02-21 2020-12-03 김한울 컵 홀더
KR102337385B1 (ko) * 2020-10-27 2021-12-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 홀더
CN112874406B (zh) * 2021-02-04 2022-05-31 王彦华 一种汽车用杯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673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3873054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KR0164673B1 (ko) 컵홀더장치
KR100568709B1 (ko)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US6712325B2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US7431369B2 (en) Vehicle glove box having a rotary-type partition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970005360Y1 (ko) 컵 홀더
KR10040589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2287029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2335393B1 (ko) 차량용 가변식 히든 컵홀더
KR200141417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H08238985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リッド構造
KR100333754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힌지
KR0121359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00289514A (ja) カップホルダー
JP3925577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0303452Y1 (ko) 콘텍트 렌즈의 보관이 가능한 차량용 안경 걸이대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KR0138737Y1 (ko) 자동차의 회전식 컵홀더장치
KR0116315Y1 (ko) 수직형 드링크용기 홀더
KR0140286Y1 (ko) 자동차의 동전꽂이 겸용 컵홀더
KR100756953B1 (ko)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KR0135275Y1 (ko)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