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385B1 - 차량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385B1
KR102337385B1 KR1020200140010A KR20200140010A KR102337385B1 KR 102337385 B1 KR102337385 B1 KR 102337385B1 KR 1020200140010 A KR1020200140010 A KR 1020200140010A KR 20200140010 A KR20200140010 A KR 20200140010A KR 102337385 B1 KR102337385 B1 KR 10233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cup holder
rotating sleeve
base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4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구현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음료 컵의 크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복수의 회전슬리브; 상기 복수의 회전슬리브가 이루는 원통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슬리브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주 부위에 패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패드홈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슬리브 중 어느 하나의 회전슬리브와 함께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하 위치가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컵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료 컵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차실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차실 내부에는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부가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차실 내부에는 사용자가 음료 컵 등을 적절히 거치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마련된다. 컵 홀더는 도어 이너 패널 등 차실 내부의 다양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 콘솔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컵 홀더는 센터 콘솔 등에 소정의 홈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고정된 크기나 깊이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음료 컵은 그 종류나 크기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고정된 크기의 컵 홀더로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 컵을 적절히 거치시키기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공개특허 제2002-0026712호(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장치)에서는 컵 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컵 홀더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다만 본 선행문헌의 컵 홀더 장치는 지나치게 복잡한 구조로 실 구현이 어렵고, 현실적으로는 제조단가 상승 등으로 인해 적용이 제한되는 측면이 있다.
공개특허 제2002-0026712호(2002.04.12.)
본 발명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구현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음료 컵의 크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복수의 회전슬리브; 상기 복수의 회전슬리브가 이루는 원통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슬리브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주 부위에 패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패드홈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슬리브 중 어느 하나의 회전슬리브와 함께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하 위치가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컵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는 사용자가 음료 컵을 통해 하부플레이트를 누르고 적당히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컵 홀더의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부플레이트, 복수의 회전슬리브 등 주요 구성들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 및 형태를 가져, 제작이나 적용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컵 홀더(이하, "컵 홀더(10)"로 지칭함)는 소정의 설치면(S)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치면(S)은 대체로 센터 콘솔의 외면으로 의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컵 홀더(10)는 센터 콘솔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컵 홀더(10)의 설치 위치는, 센터 콘솔과 유사한 구조나 형태를 가지고, 후술할 본 실시예의 주요 기능들이 적절히 구현될 수 있는 곳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센터 콘솔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컵 홀더(10)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소정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베이스(100)는 대체로 컵 홀더(10)의 하단 부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회전슬리브(200) 등을 위한 장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컵 홀더(10)는 복수의 회전슬리브(2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슬리브(200)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슬리브(2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회전슬리브(200)는 상하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상하로 인접한 각 회전슬리브(200) 간은 후술할 결합홈(210) 및 결합돌기(22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하 적층된 복수의 회전슬리브(200)는 대체로 원통형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100) 위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6개의 회전슬리브(200)를 예시하고 있으나, 회전슬리브(2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 변동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전슬리브(200)는 상면에 결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0)은 회전슬리브(200)의 상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홈(210)은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거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결합돌기(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전슬리브(200)는 저면에 결합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0)는 회전슬리브(200)의 저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220)는 결합홈(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거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홈(210)과 결합돌기(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슬리브(200)의 상하 방향 이탈이 적절히 제한될 수 있다.
하나의 회전슬리브(200)에는 상기와 같은 결합홈(210) 및 결합돌기(220)가 상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슬리브(200)의 상면에는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회전슬리브(200)의 저면에는 결합돌기(220)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슬리브(200)의 상면에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회전슬리브(200)의 저면에 결합돌기(220)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나, 결합홈(210) 및 결합돌기(220)의 상하 배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회전슬리브(200) 상면의 결합홈(210)은 상측에 인접한 다른 회전슬리브(200)의 결합돌기(22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슬리브(200) 저면의 결합돌기(220)는 하측에 인접한 또 다른 회전슬리브(200)의 결합홈(210)과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최상단에 배치된 회전슬리브(200a)의 경우 다른 회전슬리브(200)와 체결되지 않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결합홈(210)이 적절히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최하단에 배치된 회전슬리브(200b)의 경우 결합돌기(220)가 다른 회전슬리브(200)가 아닌 베이스(100)에 체결되거나, 또는, 결합돌기(220)가 생략되고 다른 소정의 고정수단 등을 통해 베이스(100)에 체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최상단의 회전슬리브(200a)에는 스토퍼(2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230)는 후술할 하부플레이트(300)의 상측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하측의 회전슬리브(200)가 이루는 내경(D1) 대비 소정 정도 작은 내경(D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스토퍼(230)는 최상단의 회전슬리브(200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 회전슬리브(200)에는 패드홈(240)이 구비될 수 있다. 패드홈(240)은 회전슬리브(200)의 내주면 일측이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드홈(240)은 하나의 회전슬리브(200)에 대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패드홈(240)은 회전슬리브(200)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90도 간격으로 총 4개의 패드홈(240)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도 3 참조). 이는 사용자가 후술할 하부플레이트(300)의 배치를 쉽게 인식하는데도 유용하다.
초기 상태에서, 각 회전슬리브(200)에 구비된 패드홈(240)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상하로 인접한 복수의 패드홈(240)은 하나의 상하 방향 라인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하부플레이트(300)는 상하로 정렬된 복수의 패드홈(240)을 따라 상하 이동(위치 조절)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각 회전슬리브(200)에는 탄성편(2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편(250)은 회전슬리브(200)로부터 대략 접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링 형상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편(250)은 회전슬리브(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각 회전슬리브(200)에 구비된 복수의 탄성편(250)은 초기 상태에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복수의 탄성편(250)과 전술한 복수의 패드홈(2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복수의 탄성편(250)은 지지로드(251)에 의해 지지되거나, 초기 위치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로드(251)는 대체로 상하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면(S)이나 설치면(S) 내부의 소정의 지지 구조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로드(251)는 복수의 탄성편(250)에 접촉되어, 각 탄성편(250)의 탄성 변형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탄성편(250)은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상태로 적절히 복귀될 수 있다.
한편, 각 회전슬리브(200)는 고정된 베이스(100)에 대해 상하 축을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회전슬리브(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전슬리브(2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슬리브(200)만이 외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고, 나머지 회전슬리브(200)는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머지 회전슬리브(200)의 위치 유지는 전술한 탄성편(25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컵 홀더(10)는 하부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300)는 복수의 회전슬리브(200)가 이루는 원통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대체로 회전슬리브(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300)는 음료 컵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300)의 세부 구성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컵 홀더(10)는 탄성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400)는 복수의 회전슬리브(200)가 이루는 원통형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부플레이트(300)의 저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지지부(400)는 하부플레이트(300)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지지부(400)는 베이스(100)에 안착 설치되어, 베이스(100)와 하부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지지부(400)는 하부플레이트(300)의 상하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히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하부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플레이트(300)는 복수의 이탈방지편(3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편(310)은 하부플레이트(300)의 외주 부위가 소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사각 블록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이탈방지편(310)은 전술한 회전슬리브(200)의 패드홈(240)에 대응되고, 하부플레이트(300)의 배치 상태(높이)에 따라 대응되는 패드홈(240)에 체결될 수 있다.
이탈방지편(31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탈방지편(310)은 복수의 패드홈(240)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탈방지편(310)은 대략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부플레이트(300)는 상면에 마찰패드(32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패드(320)는 고무 등 마찰력이 비교적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형상을 가지고 하부플레이트(300)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마찰패드(320)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이탈방지편(310) 사이에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시된 바에 따르면, 마찰패드(320)는 대략 90도의 중심각을 가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음료 컵 등으로 하부플레이트(300)를 소정 정도 가압한 상태로 하부플레이트(30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각적으로 하부플레이트(300)의 회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하부플레이트(300)의 저면에는 안착홈(330)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330)은 반원형 또는 부분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부플레이트(300) 저면에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300)의 저면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330)의 단면 형상이나, 안착홈(330)이 이루는 원형 궤적은 전술한 탄성지지부(400)의 형상이나 궤적(반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플레이트(300)는 안착홈(330)이 탄성지지부(400) 상단 부위에 안착 지지될 형태로 탄성지지부(4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의 안착홈(330)은 하부플레이트(300)의 회전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탄성지지부(400) 상단에서 안착홈(330)을 따라 하부플레이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된 탄성지지부(400)에 대해 하부플레이트(30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의 작동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컵 홀더(10)는 음료 컵 등의 크기에 따라 컵 홀더(10)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데 특징을 둔다. 즉, 사용자는 음표 컵에 따라 하부플레이트(300)는 적절히 상하 이동 및 고정시켜, 컵 홀더(10)의 깊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료 컵을 하부플레이트(300)에 임시 거치하고, 음료 컵의 바닥면을 통해 하부플레이트(300)를 가압하여, 하부플레이트(300)는 하방으로 소정 정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초기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탄성지지부(40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300)가 회전슬리브(200) 최상단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가정한다.
하부플레이트(3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적절히 컵 홀더(10)의 깊이가 조절되면, 사용자는 그 상태에서 음료 컵을 소정 정도 옆으로 회전시킨다. 즉, 음료 컵이 하부플레이트(3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5의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음료 컵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음료 컵은 탄성지지부(400)의 탄성력 및 마찰패드(32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300)에 밀착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음료 컵의 회전에 따라 하부플레이트(3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00)가 회전되면, 대응되는 위치(높이)의 회전슬리브(200)가 소정 각도 회전된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슬리브(200)가 회전되면, 이탈방지편(310)이 해당 회전슬리브(200)의 상, 하에 배치된 다른 회전슬리브(200)에 걸려, 하부플레이트(300)의 상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탄성편(250)이 구비된 경우, 해당 회전슬리브(200)는 탄성편(250)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소정의 복원력을 받게 되나, 이는 음료 컵의 무게에 의해 적절히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10)는 사용자가 음료 컵을 통해 하부플레이트(300)를 누르고 적당히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컵 홀더(10)의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부플레이트(300), 복수의 회전슬리브(200) 등 주요 구성들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 및 형태를 가져, 제작이나 적용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차량용 컵 홀더 100: 베이스
200: 회전슬리브 300: 하부플레이트
400: 탄성지지부

Claims (5)

  1.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체결되는 복수의 회전슬리브(200);
    상기 복수의 회전슬리브(200)가 이루는 원통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300); 및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300) 사이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30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슬리브(20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해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주 부위에 패드홈(24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300)는,
    상기 패드홈(240)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편(310)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슬리브(2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슬리브(200)와 함께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탄성지지부(400)에 대해 상하 위치가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리브(200)는,
    상기 회전슬리브(200)의 상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된 결합홈(210); 및
    상기 결합홈(210)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슬리브(200)의 저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된 결합돌기(220);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리브(200)는,
    상기 회전슬리브(200)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지지로드(251)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회전슬리브(2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편(250)을 구비하는, 차량용 컵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홈(240)은,
    상기 회전슬리브(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편(310)은,
    상기 패드홈(240)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3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탈방지편(310)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마찰패드(320)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소정 반경을 가진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300)는,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300)의 저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400) 상단에 안착 체결되는 안착홈(330)을 구비하는, 차량용 컵 홀더.
KR1020200140010A 2020-10-27 2020-10-27 차량용 컵 홀더 KR10233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010A KR102337385B1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010A KR102337385B1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385B1 true KR102337385B1 (ko) 2021-12-09

Family

ID=7886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010A KR102337385B1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6U (ko) * 1998-09-23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20026712A (ko) 2000-10-02 2002-04-12 이계안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장치
KR20050061673A (ko) * 2003-12-18 2005-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6U (ko) * 1998-09-23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20026712A (ko) 2000-10-02 2002-04-12 이계안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장치
KR20050061673A (ko) * 2003-12-18 2005-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가변형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110B1 (en) Cup-holder with adjustable depth
JP6571838B2 (ja) 容器を保持する器具
US20180259062A1 (en) Auto return to park rotary shifter
US20060043249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JP6160583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2294972B (zh) 用于车辆的杯子保持设备
GB2365097A (en) Autotensioner, having a damping member
KR20010006876A (ko)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US7950637B2 (en)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JP4596564B2 (ja) カップホルダ
KR102337385B1 (ko) 차량용 컵 홀더
US20110259906A1 (en) Cup holder
JP2010215073A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1725720B1 (ko) 컵 홀더
CN101267136A (zh) 轴承组件和使用该轴承组件的电机
JP2003182441A (ja) 中空容器、特に飲料用容器のための保持具
CN112829657B (zh) 杯托总成
KR20050096522A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2116511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カップホルダー
US9718389B2 (en) Container holder
KR20170100504A (ko) 면진 지지 장치
KR100828396B1 (ko) 하이트 어드저스터
GB2502381A (en) Pepper mill and adjustment mechanism
CN110730724A (zh) 脚轮回转限制结构
JP7287654B2 (ja) 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