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876A -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876A
KR20010006876A KR1020000015559A KR20000015559A KR20010006876A KR 20010006876 A KR20010006876 A KR 20010006876A KR 1020000015559 A KR1020000015559 A KR 1020000015559A KR 20000015559 A KR20000015559 A KR 20000015559A KR 20010006876 A KR20010006876 A KR 20010006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cam
spindle
height adjustment
slee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송
Original Assignee
이세용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주식회사 삼홍사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102000001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6876A/ko
Priority to US09/592,552 priority patent/US6315262B1/en
Priority to JP2000313927A priority patent/JP4007759B2/ja
Publication of KR2001000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8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47C3/185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self-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사용자가 회전의자를 회전시키더라도 자동으로 원위치로 회전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외통(50)내에 삽입되고, 축방향의 일측이 피스톤 로드(24)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의 한 단부에 고정되고, 축방향의 타측이 슬리브부재(20)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스핀들(10)과, 상기 외통과 상기 슬리브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핀들이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핀들을 원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캠부재(30)와 제2캠부재(40)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부재(20)는 외주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홈(22)이 축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캠부재(30)는 상기 홈이 형성된 슬리브부재가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고착되고, 상기 제2캠부재(40)는 내주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슬리브부재의 홈에 끼워져 상기 제2캠부재가 상기 슬리브부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만 승하강 구동하도록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캠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캠부재와 제2캠부재의 접촉면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이루되, 상기 제2캠부재의 하면에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상기 제2캠부재(40)를 상기 제1캠부재(30)쪽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Auto-returning Height-control Assembly for a Chair}
본 발명은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의자를 자동으로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는 원통형의 외통(600), 외통(600)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핀들 가이드(500), 그리고 스핀들 가이드(50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스핀들(150)을 구비한다.
상기 스핀들(150)은 상기 피스톤 로드(110)와 연결되어 상기 외통의 외부로 연장되고 피스톤 로드의 축을 따라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축을 따라 스핀들이 상하 운동하도록 온/오프하는 푸시버튼(133)으로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110)의 일단은 원통형의 외통(600)에 고정 클립(235)으로 고정된다. 피스톤 로드(110)의 하단부에는 스핀들(160)이 피스톤 로드 축을 따라 상하 운동할 때 스핀들(160)의 하단부가 외통(60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탄성부재(620)가 삽입된다.
충격흡수쿠션부재(620)의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42)이 끼워진다. 피스톤 로드(110)의 하단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42)이 상부쪽으로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이동 방지턱(1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쿠션부재(620)와 스러스트 베어링(142)이 피스톤 로드(110)에 끼워지므로써, 스핀들(16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스핀들(160)의 회전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는 상기 스핀들(150)의 외측 단부에 푸시버튼(133)이 형성되고, 그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스핀들이 스핀들 가이드(50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는 높이 조절을 할 때 이용되는 푸시버튼(133)이 스핀들(150)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회전의자의 하단부에 작동 레버(188)를 이용하여 푸시버튼(133)을 푸시할 수 있도록 장치된다.
상기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는 스핀들(150)이 스핀들 가이드(500) 내에서 회전 자재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용자가 회전의자를 이용한 후 회전의자에서 일어났을 때 회전의자의 좌판(121)이 원위치에서 벗어나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 있더라도 회전의자의 좌판이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는다.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은 회전의자의 좌판을 원위치로 맞추기 위해서는 강제적으로 회전의자의 좌판을 회전시켜 주어야 한다.
따라서, 공공장소 등에 종래의 회전의자를 다수 배치하면 회전의자의 좌대의 위치가 제 각각이어서 산만하게 느껴질 뿐만아니라, 좌대의 위치를 원위치로 정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의자의 개수에 따라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빈번하게 이용되는 종래 회전의자일 경우에는 원위치로의 정리정돈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회전의자를 이용한 후 회전의자의 좌대에서 일어섰을 때 어떤 경우에서도 회전의자의 좌대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회전의자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핀들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스핀들이 회전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스프링가이드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스프링가이드부를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의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핀들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스핀들이 회전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10 : 스핀들 20, 520 : 슬리브부재
30, 530 : 상부 캠 40, 540 : 하부 캠
50, 550 : 외통 60, 560 : 스프링
70, 570 : 스러스트 베어링 572 : 링
579 : 스패이셔 90, 590 : 충격흡수쿠션부재
92, 592 : 스러스트 베어링 94, 594 : 고정 클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통과, 스핀들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외통 내에서 외부로 돌출하되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을 감싸 고착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리브부재와,
상기 홈이 형성된 슬리브부재가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 단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체결되는 제1캠부재와,
내주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슬리브부재의 홈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승하강 구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제1캠부재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2캠부재와,
상기 외통 내에서 상기 제2캠부재를 밀어 상기 제1캠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제2캠부재의 경사면이 당접하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캠부재는 내부의 지름이 서로 다른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캠부재가 상기 제2원통부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2캠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통에 의하여 길이 방향의 이동이 제한 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회전력이 제거되면 복귀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되면서 상기 제2캠부재를 밀어올려 상기 제1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의 경사면이 당접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위치로 회전시킨다.
또, 상기 외통의 소정의 위치에는 내주면상에 원주방향으로 턱이 형성되고, 상기 턱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탄성부재의 이동방향이 제한 되도록 한다.
또,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 사이에는 1개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을 설치하고, 탄성부재의 하단부는 외통과 고착되는 테이퍼 형상의 스패이셔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패이셔와 슬리브부재와 링과 와셔는 알루미늄합금, 금속, 비금속,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핀들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스핀들이 회전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스프링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스프링가이드부를 적용한 다른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2실시예의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스핀들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스핀들이 회전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 따른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는 도 3내지 도 9와 같이 스핀들(10), 스핀들(10)의 몸통부를 둘러싸 고착되는 슬리브부재(20), 슬리브부재(20)가 삽입되며 하부에는 캠의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캠(30:제1캠부재), 슬리브부재(20)와 결합되며 상부에는 상부 캠(30)의 캠 형상에 대응하는 캠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하부 캠(40:제2캠부재), 일측이 상부 캠과 고착되는 외통(50), 그리고 스프링(60)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상부 캠(30)은 도 4, 도 8 및 도 9의 구조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내부의 지름이 서로 다른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캠(40)이 상기 상부 캠의 제2원통부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 스핀들(10)과 결합된 슬리브부재(2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캠(30)에는 슬리브부재(20)가 삽입되며, 상부 캠(30)의 하부에는 내주면에 돌기(42)가 형성된 하부 캠(40)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부재(20)의 재질은 알류미늄 또는 알류미늄 합금, 금속 또는 비금속 또는 수지로 되어 있다.
상부 캠(30)은 원통의 형상으로 외통(50)에 엠보싱 또는 리벳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되어진다. 상부캠의 상부 부분은 일정한 두께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부 부분은 얇은 두께의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지며,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은 일체로 되어 있다. 상부 캠(30)은 하부 캠(40)과, 스러스트 베어링(70), 그리고 스프링(6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캠(4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20)의 홈(20)에 대응하는 돌기(42)가 형성되어 슬리브부재(20)의 홈(22)에 결합된다.
스프링(60)의 일측은 하부 캠(40)에 결합되며 타측은 외통(50)에 의하여 길이방향의 이동이 제한 된다. 하부 캠(40)과 스프링(6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70)이 개재된다. 스러스트 베어링(70)의 재질은 금속 또는 수지로 되어 있다.
외통(50)의 소정의 위치에는 내주면상에 원주방향으로 턱(52)이 형성되고, 상기 턱(52)과 상기 스프링(60) 사이에는 와셔(80)가 개재되어 스프링(60)의 길이방향의 이동이 제한 된다.
상기 와셔(80) 위에는 도 6 및 도 7의 구조와 같이 스프링의 받침 가이드부(81)가 형성된 별도의 스프링가이드부(82)를 설치하여 스프링(60)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4)의 한쪽 끝단은 원통형의 외통(50)에 고정클립(94)로 고정된다. 피스톤 로드(24)의 하단부는 스핀들(10)이 상하 운동할 때 스핀들(10)의 하단부가 외통(5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쿠션부재(90)가 끼워진다. 또한, 스핀들의 회전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충격흡수쿠션부재(90)의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92)이 끼워진다.
스핀들(1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슬리브부재(20)가 회전하고, 슬리브부재(20)의 홈(22)에 결합된 하부 캠(40)의 돌기(42)에 의하여 하부 캠(40)이 상부 캠(30)의 제2원통부 내에서 회전한다. 이때 하부 캠(40)은 상기 캠 형상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아래로 이동하며 이 이동에 의하여 스프링(60)이 압압된다.
또한, 스프링(60)에 가해진 회전력이 제거되면 압압되었던 스프링(60)은 복귀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하면서 하부 캠(40)을 밀어올려 상부캠(30)과 캠 형상의 경사면이 서로 당접되도록 원 위치 시킨다. 이때 하부 캠(40)은 돌기에 의하여 결합된 슬리브부재(20)와 스핀들(10)을 원위치로 회전시킨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 따른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는 도 10내지 도 14와 같이 스핀들(510), 스핀들(510)의 몸통부를 둘러싸 고착되는 슬리브부재(520), 슬리브부재(520)가 삽입되며 하부에는 캠의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캠(530:제1캠부재), 슬리브부재(520)와 결합되며 상부에는 상부 캠(530)의 캠 형상에 대응하는 캠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하부 캠(540:제2캠부재), 일측이 상부 캠과 고착되는 외통(550), 그리고 스프링(560)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캠(530)과 하부 캠(540)은 서로 분리되어 외통(550)과 당접하되, 상부 캠(530)은 외통(55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 캠(540)은 외통(550)의 내주면을 따라 축방향과 회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스핀들(510)과 결합된 슬리브부재(52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52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캠(530)에는 슬리브부재(520)가 삽입되며, 상부 캠(530)의 하부에는 내주면에 돌기(542)가 형성된 하부 캠(540)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부재(520)의 재질은 알류미늄 또는 알류미늄 합금, 금속 또는 비금속 또는 수지로 되어 있다.
상기 홈이 형성된 슬리브부재(520)가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외통(550)의 상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되어진다.
상부 캠(530)과 슬리브부재(520) 및 스핀들(510)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 11의 C-C'를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도 13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외통(550)의 내주면에 상부 캠(530)의 외주면이 움직이지 않도록 끼워져 체결되고, 상부 캠(530)의 원통형 내주면에 스핀들(510)을 감쌈과 아울러 홈(522)이 형성되는 슬리브부재(520)가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삽통된다.
하부 캠(54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부재(520)의 홈(22)에 대응하는 돌기(542)가 형성되어 슬리브부재(520)의 홈(522)에 결합된다.
하부 캠(540)과 슬리브부재(520) 및 스핀들(510)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 11의 D-D'를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도 14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외통(550)의 내주면을 따라 하부 캠(540)의 외주면이 습동자재하도록 삽통되고, 하부 캠(540)의 원통형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542)가 슬리브부재(520)의 홈(522)에 끼워져 슬리브부재(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하부 캠(540)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슬리브부재(520)는 하부 캠(540)에 대하여 승하강구동이 가능하다.
즉, 하부 캠(540)의 돌기(542)에 의하여 상기 하부 캠(540)이 상기 슬리브부재(520) 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만 승하강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부재(5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 캠(540)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외통(550) 내에 설치된다.
한편, 스프링(560)의 일측은 하부 캠(540)에 접촉되며, 타측은 외통(550)의 내주면에 고착되는 스패이셔(579)와 접촉된다. 상기 스패이셔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 또는 비금속의 수지재질로 구성된다.
하부 캠(540)과 스프링(56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570)과 복수의 관통홀(571)이 형성된 링(572)가 개재된다. 스러스트 베어링(570) 및 링(572)의 재질은 금속 또는 수지로 되어 있고, 하부 캠(540)이 슬리브부재(520)와 함께 회전할 때 하부 캠(540)과 스프링(560)과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링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스프링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는 보조역할과 함께 스핀들이 상하로 습동할 때 가이드 역할을 겸한다.
외통(550)의 단부와 스핀들(510)의 피스톤 로드(524)가 고정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524)의 단부에는 원통형의 외통(550)에 고정클립(594)으로 고정된다. 피스톤 로드(524)의 하단부에는 스핀들(510)이 상하운동할 때 스핀들(510)의 하단부가 외통(55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쿠션부재(590)가 끼워진다. 또한, 스핀들(510)의 회전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충격흡수쿠션부재(590)의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592)이 끼워진다.
스핀들(51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슬리브부재(520)가 회전하고, 슬리브부재(520)의 홈(522)에 결합된 하부 캠(540)의 돌기(542)에 의하여 하부 캠(540)이 회전한다.
이때, 하부 캠(540)은 상기 캠 형상 즉, 도 12와 같이 상부 캠의 경사면을 따라 비틀림이 일어나고, 그 경사면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상부 캠(530)과 하부 캠(540)이 대응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하부 캠(540)이 아래로 이동하여 스프링(560)을 압압한다.
상기 슬리브부재(520)에 가해진 회전력이 제거되면 압압되었던 스프링(560)은 복귀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하면서 하부 캠을 밀어 상부 캠과 하부 캠의 경사면이 다시 밀착 접촉되도록 작용하므로 슬리브부재(520)와 스핀들(510)은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의자를 이용한 후 좌대를 강제로 원위치 시키지 않더라도 의자의 좌대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실시예1 및 실시예2 외에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또한, 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에 있어서, 높이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 후 회전의자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회전의자가 회전되더라도 높이 조절 조립체의 스핀들에 가해진 회전력이 제거되면 압압되었던 스프링의 복귀 탄성력과 상부 캠 및 하부 캠의 캠 작용에 의하여 회전의자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외통과, 스핀들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외통 내에서 외부로 돌출하되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을 감싸 고착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홈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리브부재와,
    상기 홈이 형성된 슬리브부재가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 단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체결되는 제1캠부재와,
    내주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슬리브부재의 홈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승하강 구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제1캠부재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2캠부재와,
    상기 외통 내에서 상기 제2캠부재를 밀어 상기 제1캠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제2캠부재의 경사면이 당접하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는 내부의 지름이 서로 다른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캠부재가 상기 제2원통부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2캠부재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외통에 의하여 길이 방향의 이동이 제한 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회전력이 제거되면 복귀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되면서 상기 제2캠부재를 밀어올려 상기 제1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의 경사면이 당접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소정의 위치에는 내주면상에 원주방향으로 턱이 형성되고, 상기 턱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탄성부재의 이동방향이 제한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알루미늄합금, 금속, 비금속, 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그 외주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가이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제와 제2캠부재는 상기 대향하는 경사면을 경계로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제2캠부재는 그 외주면이 상기 외통과 당접하여 회전방향과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9. 제8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 사이에는 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는 외통과 고착되는 스패이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외주 영역에는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과 상기 제2캠부재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기 제2캠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탄성부재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패이셔는 원통형의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패이셔는 알루미늄합금, 금속, 비금속, 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15.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KR1020000015559A 1999-06-30 2000-03-27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KR20010006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59A KR20010006876A (ko) 1999-06-30 2000-03-27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US09/592,552 US6315262B1 (en) 1999-06-30 2000-06-12 Auto-returning height-control assembly for a chair
JP2000313927A JP4007759B2 (ja) 2000-03-27 2000-10-13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434 1999-06-30
KR19990012434 1999-06-30
KR1020000015559A KR20010006876A (ko) 1999-06-30 2000-03-27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876A true KR20010006876A (ko) 2001-01-26

Family

ID=3745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559A KR20010006876A (ko) 1999-06-30 2000-03-27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15262B1 (ko)
KR (1) KR2001000687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908A (ko) * 2001-01-09 2002-07-16 한동준 높이와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생산라인용 회전의자
KR100372314B1 (ko) * 2001-02-15 2003-02-15 주식회사 삼홍사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100786818B1 (ko) * 2007-06-08 2007-12-18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회전 제어 클러치를 갖는 가스실린더
KR100902182B1 (ko) * 2006-06-07 2009-06-10 주식회사 삼홍사 가스 실린더
KR101035015B1 (ko) * 2010-10-06 2011-05-17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볼을 이용한 회전 및 비회전 기능을 갖는 가스 실린더
KR101054848B1 (ko) * 2011-03-02 2011-08-11 김윤혁 회전의자의 회전 방지 장치
KR20200011062A (ko) * 2018-07-23 2020-02-03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가스 실린더의 캔 구조물
KR102506795B1 (ko) * 2022-05-16 2023-03-07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WO2023058825A1 (ko) * 2021-10-06 2023-04-13 주식회사 삼홍사 회전 실린더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2433A1 (de) * 2002-03-06 2003-09-10 Schäfer, Klaus Hyrauliches-Verstellelement
TW575517B (en) * 2003-04-11 2004-02-11 Benq Corp Paper poking apparatus and paper feeding method used in paper feeding mechanism
DE102004023335A1 (de) * 2004-01-24 2005-08-11 Suspa Holding Gmbh Höhenverstellbare Stuhl-Säule
EP1838181B8 (en) * 2004-11-24 2009-06-03 Humanscale Corporation Delayed gas spring chair
TW200626820A (en) * 2005-01-26 2006-08-01 Nano Prec Corp Stepless height adjusting apparatus
US20060289704A1 (en) * 2005-06-28 2006-12-2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djustable support mechanism for a flat-panel display
US7530639B2 (en) 2006-01-06 2009-05-12 Herman Miller, Inc. Chair with adjustable foot support
ES2288139B1 (es) * 2007-03-22 2008-09-16 Figueras International Seating S.A. Pie de anclaje fijo para butacas frente a mesas.
TWM329695U (en) * 2007-09-29 2008-04-01 Tay Huah Furniture Corp Adjustable telescopic device
US20100180969A1 (en) * 2009-01-20 2010-07-22 Jong-Jyr Kau Elevational adjustment device
US20100237205A1 (en) * 2009-03-20 2010-09-23 Steve Hirsh Stabilizing foot
US20120001051A1 (en) * 2010-07-01 2012-01-05 Williams Mark N Rebounding post mounting system
JP5771481B2 (ja) * 2011-08-31 2015-09-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スプリング装置
CN103783859A (zh) * 2012-10-29 2014-05-14 沈雅梅 座椅旋转定位结构
DE102014204401B4 (de) * 2014-03-11 2016-02-11 Kintec-Solution Gmbh Drehbares Sitzmöbelstück
CN104290875B (zh) * 2014-10-09 2017-10-03 江阴市滨江舰船设备有限公司 船用旋转餐椅
CN105249706A (zh) * 2015-10-26 2016-01-20 青岛三弘精密器械有限公司 高压气筒
US10045627B2 (en) 2016-01-25 2018-08-14 Steelcase Inc. Worksurface assembly, body support member having a worksurface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DE102016124160B4 (de) * 2016-12-13 2019-08-29 Stabilus Gmbh Stuhlsäulenanordnung
TWI669086B (zh) * 2017-05-26 2019-08-21 倪培堯 可復位氣壓棒模組
DE102018118282B4 (de) * 2018-07-27 2021-06-17 Stabilus Gmbh Ausrichtvorrichtung, Trägervorrichtung, Sitzmö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usricht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205A (en) * 1918-10-21 1920-06-03 Lucius Clarence Tool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airs.
US1895226A (en) * 1931-05-11 1933-01-24 Chicago Hardware Foundry Compa Stool seat positioning means
US2351194A (en) * 1941-06-02 1944-06-13 Flossie P Shadden Swivel mechanism for seats
US3385550A (en) * 1966-09-28 1968-05-28 Doerner Products Co Ltd Memory swivel for swivel chair
US3837611A (en) * 1973-10-01 1974-09-24 Keystone Consolidated Ind Inc Swivel construction for a chair
DE9013467U1 (ko) * 1990-09-25 1990-11-22 Suspa Compart Ag, 8503 Altdorf, D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908A (ko) * 2001-01-09 2002-07-16 한동준 높이와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생산라인용 회전의자
KR100372314B1 (ko) * 2001-02-15 2003-02-15 주식회사 삼홍사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100902182B1 (ko) * 2006-06-07 2009-06-10 주식회사 삼홍사 가스 실린더
KR100786818B1 (ko) * 2007-06-08 2007-12-18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회전 제어 클러치를 갖는 가스실린더
KR101035015B1 (ko) * 2010-10-06 2011-05-17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볼을 이용한 회전 및 비회전 기능을 갖는 가스 실린더
KR101054848B1 (ko) * 2011-03-02 2011-08-11 김윤혁 회전의자의 회전 방지 장치
KR20200011062A (ko) * 2018-07-23 2020-02-03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가스 실린더의 캔 구조물
WO2023058825A1 (ko) * 2021-10-06 2023-04-13 주식회사 삼홍사 회전 실린더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6795B1 (ko) * 2022-05-16 2023-03-07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15262B1 (en) 200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6876A (ko)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US6176548B1 (en) Tilt mechanism for chair having adjustable spring characteristics
US6299113B1 (en) Telescopic member, cylindrical body and molded body
US3870271A (en) Fully enclosed, adjustable, support column for a pivotal chair
US20040206879A1 (en) Multi-legged equipment support for cameras, spotting telescopes and the like and jam-plate lock for same
US20040079858A1 (en) Support device for liquid crystal flat screen
KR101944281B1 (ko) 스툴 장착형 테이블
US20070158993A1 (en) Chair with adjustable foot support
TW202007309A (zh) 可調整高度的桌腳
US20210219729A1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an office chair
US20020190561A1 (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djustable chair armrest
KR20050004373A (ko) 캐스터
US5265838A (en) Hub construction for rotatable chair
US3386697A (en) Rotatable chair height-adjustment mechanism
JP4007759B2 (ja)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186389B1 (ko) 의자 공회전 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JP3391285B2 (ja) テーブルの昇降装置
KR200194041Y1 (ko)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지지체
KR102366938B1 (ko) 공회전결합체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212307181U (zh) 一种翻转茶几
US2523513A (en) Fastening means for telescoping tubular members
CN208951560U (zh) 用于摄像器材的快速锁紧装置和摄像器材组件
CN210630914U (zh) 一种扶手前后滑动机构
JP7335120B2 (ja) キャスタおよびキャスタ付き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