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795B1 -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 Google Patents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795B1
KR102506795B1 KR1020220059278A KR20220059278A KR102506795B1 KR 102506795 B1 KR102506795 B1 KR 102506795B1 KR 1020220059278 A KR1020220059278 A KR 1020220059278A KR 20220059278 A KR20220059278 A KR 20220059278A KR 102506795 B1 KR102506795 B1 KR 102506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outer circumference
spring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to KR102022005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하부에 연결된 에어스프링과,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체와, 에어스프링의 하부는 지지대체의 상부외측둘레에 설치된 승강관체를 통과하여 지지대체의 내부하부로 연결설치되어 지지대체내에서 승강되고, 지지대체의 상,하부외측둘레에 승강관체와 고정관체가 구비되며, 승강관체와 고정관체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서, 시트에 착석자가 착석하게 되면 착석자의 몸무게에 의해 시트는 에어스프링 및 코일스프링과 함께 지지대체에서 안정적으로 하강작용되어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가 시트착석에 대한 안정감을 느끼게하고, 착석자가 시트에서 일어나면 시트가 안정적으로 상승작용하여 시트가 원높이로 복원되도록 승강완충작용을 하도록한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2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기립설치된 지지대체(30)와, 하부가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내부에서 외부로 입출되고 상부는 상기 시트(10)의 하부와 연결된 에어스프링(40)을 구비한 회전의자(100)에 있어서,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승강공(b)을 내부에 갖는 승강관체(50)와, 상기 에어스프링(40)의 하부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에 형성된 입출공(b1)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공(b)의 내부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결합공(b2)을 내부에 갖는 고정관체(60)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단턱(a)과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70)과,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서 상기 고정관체(60)의 내측둘레가 승강작용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압축력조절부(80)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지지대체(30) 및 상기 승강관체(50)를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하거나 기울기를 고정하는 기울기조절부(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A rotating chair having a spr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tube body to which the air spring is coupled and the support body}
본 발명은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하부를 에어스프링과 코일스프링으로 지지부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승강작용을 하도록 한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 가구를 말하며, 그 형태별로 살펴보면, 등받이 없는 의자, 소형 의자, 팔걸이 의자, 안락 의자, 긴 의자(sofa), 침대식 긴의자, 흔들 의자 등이 있다.
그리고, 등받이 없는 의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의자들의 기본구조는 앉을 수 있는 시트와 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한 다리부 및 사용자의 등을 떠받치는 등받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의자의 등받이는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요추 받침대 또는 목 받침대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에는 사용자의 앉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낮이 조절 유닛이 구비되고 의자의 이동을 편리하기 위해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면에 이동바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한체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시트와 다리부와, 등받이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춰서 다리부에 높낮이 조절 유닛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춰 다리부상에서 시트의 하부 높낮이를 조절할 뿐, 시트에 사용자가 착석시, 착석자의 몸무게 만큼 하부로 하강되었다 상승되는 안정적인 승강완충작용이 발생되지 않아서 시트상에 착석하는 착석자에게 불편함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고특허 제20-1995-0002782호(1995년 04월 15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트의 하부에 연결된 에어스프링과,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체와, 에어스프링의 하부는 지지대체의 상부외측둘레에 설치된 승강관체를 통과하여 지지대체의 내부하부로 연결설치되어 지지대체내에서 승강되고, 지지대체의 상,하부외측둘레에 승강관체와 고정관체가 구비되며, 승강관체와 고정관체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서, 시트에 착석자가 착석하게 되면 착석자의 몸무게에 의해 시트는 에어스프링 및 코일스프링과 함께 지지대체에서 안정적으로 하강작용되어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가 시트착석에 대한 안정감을 느끼게하고, 착석자가 시트에서 일어나면 시트가 안정적으로 상승작용하여 시트가 원높이로 복원되도록 승강완충작용을 하도록한 새로운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2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기립설치된 지지대체(30)와, 하부가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내부에서 외부로 입출되고 상부는 상기 시트(10)의 하부와 연결된 에어스프링(40)을 구비한 회전의자(100)에 있어서,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승강공(b)을 내부에 갖는 승강관체(50)와, 상기 에어스프링(40)의 하부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에 형성된 입출공(b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와 연계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결합공(b2)을 내부에 갖는 고정관체(60)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단턱(a)과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70)과,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서 상기 고정관체(60)의 내측둘레가 승강작용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의 하부 압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압축력조절부(80)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를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체(30)가 상기 지지부(20)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를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서 고정해제하여 상기 지지대체(30)가 상기 지지부(20)의 외측둘레에서 기울어지게 구성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와 연계설치된 지지대체 기울기조절부(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관체(50)에 형성된 상기 승강공(b)의 내측둘레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형성된 승강안내돌기(c1)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안내돌기(c1)가 결합되어 승강되도록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승강안내홈(c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의 하부내측둘레에 하부걸림단턱(d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걸림단턱(d1)과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의 외측둘레에 상부걸림단턱(d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와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가 맞닿아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단턱(a)과,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협중광하협으로 형성된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71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의 하부에 연결된 에어스프링과,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체와, 에어스프링의 하부는 지지대체의 상부외측둘레에 설치된 승강관체를 통과하여 지지대체의 내부하부로 연결설치되어 지지대체내에서 승강되고, 지지대체의 상,하부외측둘레에 승강관체와 고정관체가 구비되며, 승강관체와 고정관체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서, 시트에 착석자가 착석하게 되면 착석자의 몸무게에 의해 시트는 에어스프링 및 코일스프링과 함께 지지대체에서 안정적으로 하강작용되어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가 시트착석에 대한 안정감을 느끼게하고, 착석자가 시트에서 일어나면 시트가 안정적으로 상승작용하여 시트가 원높이로 복원되도록 승강완충작용을 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와, 고정관체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체와, 승강관체의 제1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체와, 승강관체의 제2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1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2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3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4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와, 고정관체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체와, 승강관체의 제1실시예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체와, 승강관체의 제2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1실시예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2실시예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3실시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제4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는 시트(10)와, 지지부(20)와, 지지대체(30)와, 에어스프링(40)과, 승강관체(50)와, 고정관체(60)와, 코일스프링(70)과, 스프링 압축력 조절부(80)와, 지지대체 기울기 조절부(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0)는 도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는 좌석부(10a)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좌석부(10a)의 일면에 수직으로 연결된 등받이(1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의 중앙에 조립통공(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조립통공(e)에는 지지대체(30)의 하부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는 통공(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통공(f)의 내부에는 에어스프링(40)이 승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스프링(40)은 상기 통공(f)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외측둘레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수평지지대(21a)가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이 상기 수평지지대(21a)의 하부에 이동바퀴(2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체(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체(30)는 상기 지지부(20)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조립통공(e)의 내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부로 기립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는 통공(f)이 형성되어서, 이 상기 통공(f)의 내부에 상기 시트(10)의 상기 좌석부(10b) 하부중앙에서 하부로 설치된 상기 에어스프링(40)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에서 승강되게 승강관체(50)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관체(6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관체(50)의 하부와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에 코일스프링(7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에어스프링(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스프링(40)은 그 하부가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대체(30) 및 상기 승강관체(50)의 내부에서 외부로 입출되고 상기 에어스프링(40)의 상부는 상기 시트(10)의 상기 좌석부(10a) 하부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스프링(40)의 하부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에 형성된 입출공(b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와 연계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스프링(40)은 상기 시트(10)에 구비된 상기 좌석부(10a)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체(30)의 사이에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관체(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관체(50)에 형성된 상기 승강공(b)의 내측둘레는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내측둘레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관체(50)는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내부에는 승강공(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면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된 부위에 입출공(b1)이 형성되고, 이 상기 입출공(b1)은 상기 승강공(b)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입출공(b1)에 상기 에어스프링(30)의 상부가 입출되고 상기 에어스프링(30)의 하부는 상기 지지대체(30)의 통공(f)의 내부에서 승강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스프링(40)의 하부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에 형성된 입출공(b1)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공(b)의 내부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f)의 내부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시트(10)에 구비된 상기 좌석부(10a)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된 상기 에어스프링(40)과 상기 좌석부(10b)의 하부면이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면에 맞닿았을시, 상기 좌석부(10a)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좌석부(10a)의 하부와 상기 에어스프링(40)은 상기 승강관체(50)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서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의 내측둘레는 하강 및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상부단턱(a)과,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 설치된 고정관체(60)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상부단턱(a)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70)으로 승강완충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관체(6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체(60)는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결합공(b2)을 내부에 갖는 고정관체(6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공(b2)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나사산(n)들이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관체(60)의 상기 상부단턱(a)과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상부단턱(a)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코일스프링(7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7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단턱(a)과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관체(60)의 상기 상부단턱(a)과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상부단턱(a)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코일스프링(70)은 하중이 가해지는 상기 좌석부(10a)의 하부와 상기 에어스프링(40)이 상기 승강관체(6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하강되는 하강 강하력을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압축력으로 상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압축되었다 팽창되는 팽창력으로 상기 승강관체(60)와 함께 상기 좌석부(10a) 및 상기 에어스프링(40)을 상부원위치로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압축력조절부(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서 상기 고정관체(60)의 내측둘레가 승강작용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의 하부 압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 압축력조절부(80)는 상기 고정관체(60)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b)의 내측둘레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고정관체(60)의 상기 결합공(b)의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서 회전되어 상부로 나사결합되어 이동되어지면,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단턱(a)의 상부면은 상기 코일스프링(70)의 하부를 상부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상부면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상기 상부단턱(a)의 하부면으로 압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압축 및 팽창력을 작게 하거나;
상기 고정관체(60)의 상기 결합공(b)의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서 회전되어 상부로 나사결합되어 이동되어진 것을 다시, 상기 고정관체(60)의 상기 결합공(b)의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서 회전되어 하부로 나사결합되어 이동시켜주면,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단턱(a)의 상부면은 상기 코일스프링(70)의 하부의 가압력을 해제하고, 이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상부면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상기 상부단턱(a)의 하부면에서 압착이 해제되어 원래의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장력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체 기울기조절부(9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체 기울기 조절부(90)는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를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체(30)가 상기 지지부(20)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체 기울기 조절부(90)는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를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서 고정해제하여 상기 지지대체(30)가 상기 지지부(20)의 외측둘레에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체 기울기 조절부(90)는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와 연계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관체(50)에 형성된 상기 승강공(b)의 내측둘레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형성된 승강안내돌기(c1)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안내돌기(c1)가 결합되어 승강되도록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승강안내홈(c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시트(10)의 상기 좌석부(10a)의 상부면에 하중이 가해질시, 상기 좌석부(10a)로 인해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내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승강안내돌기(c1)들이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승강안내홈(c2)들내에서 안정적으로 상,하로 승강되어서, 상기 좌석부(10a)와 상기 승강관체(50)와 함께 상기 지지대체(30)에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의 하부내측둘레에 하부걸림단턱(d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걸림단턱(d1)과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의 외측둘레에 상부걸림단턱(d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의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서 하강 되었다가 상기 코일스프링(70)의 팽창력으로 인해 상기 승강관체(50)의 하부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내측둘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는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상부단턱(a)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하부는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상부에 더설치된 지지부싱(g)의 상부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와 또 다른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가 맞닿아 설치되고, 이 복수개의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중 뒤집어져 상부에 위치한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는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단턱(a)의 하부둘레에 설치된 지지부싱(g)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복수개의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중 뒤집어져 하부에 위치한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하부는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상부에 더설치된 지지부싱(g)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협중광하협으로 형성된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71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70)을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과, 복수개의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면을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71b)으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상부단턱(a)의 하부에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상부사이에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과, 복수개의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면을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71b)을 설치하여서, 상기 승강관체(50)와 함께 상기 시트(10)의 좌석부(10a)가 상기 지지대체(30)에서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하는 승강작용을 구현하여서, 이 좌석부(10a)에 착석하는 착석자가 상기 좌석부(10a)와 함께 하강시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하강감을 들게 하여 착석자가 상기 좌석부(10a)에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착석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착석자가 상기 좌석부(10a)에서 일어날시, 상기 승강관체(50)와 함께 상기 시트(10)의 좌석부(10a)가 상기 지지대체(30)에서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과, 복수개의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의 상부면을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71b)의 팽창력으로 상승하는데, 상기와 같은 코일스프링들의 안정적인 팽착력으로 인해 상기 좌석부(10a)가 하강되었다가 안정적으로 제위치로 상승 복원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시트 20: 지지부
30: 지지대체 40: 에어스프링
50: 승강관체 60: 고정관체
70: 코일스프링 71a: 상협하광 코일스프링
71b: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 80: 스프링 압축력 조절부
90: 지지대체 기울기 조절부 a: 상부단턱
b: 승강공 c1: 승강안내돌기
c2: 승강안내홈 d1: 하부걸림단턱
d2: 상부걸림단턱

Claims (6)

  1.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2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기립설치된 지지대체(30)와, 하부가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내부에서 외부로 입출되고 상부는 상기 시트(10)의 하부와 연결된 에어스프링(40)을 구비한 회전의자(100)에 있어서,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승강공(b)을 내부에 갖는 승강관체(50)와, 상기 에어스프링(40)의 하부가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에 형성된 입출공(b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체(30)의 내부와 연계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 내측둘레가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 설치되며 상부 외측둘레에 상부단턱(a)이 형성되며 결합공(b2)을 내부에 갖는 고정관체(60)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부단턱(a)과 상기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70)과, 지지대체(30)의 하부외측둘레에서 상기 고정관체(60)의 내측둘레가 승강작용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의 하부 압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압축력조절부(80)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를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체(30)가 상기 지지부(20)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를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서 고정해제하여 상기 지지대체(30)가 상기 지지부(20)의 외측둘레에서 기울어지게 구성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와 상기 지지대체(30)의 하부와 연계설치된 지지대체 기울기조절부(90)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관체(50)에 형성된 상기 승강공(b)의 내측둘레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형성된 승강안내돌기(c1)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안내돌기(c1)가 결합되어 승강되도록 상기 지지대체(30)의 외측둘레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승강안내홈(c2)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체(50)의 상기 승강공(b)의 하부내측둘레에 하부걸림단턱(d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걸림단턱(d1)과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체(30)의 상부의 외측둘레에 상부걸림단턱(d2)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으로 구성된 것과,
    상기 상협하광 코일스프링(71a)을 고정관체(60)의 상부단턱(a) 사이에서 협소한 부분이 상호 맞닿도록 복수개가 구비된 것과,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상협중광하협으로 형성된 상협중광하협 코일스프링(71b)으로 구성된 것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59278A 2022-05-16 2022-05-16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KR102506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78A KR102506795B1 (ko) 2022-05-16 2022-05-16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78A KR102506795B1 (ko) 2022-05-16 2022-05-16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795B1 true KR102506795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78A KR102506795B1 (ko) 2022-05-16 2022-05-16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7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82U (ko) 1993-07-13 1995-02-16 강희주 의류보관용 캐비넷의 열쇠를 소지할 수 있는 목욕용 팔찌
KR20010006876A (ko) * 1999-06-30 2001-01-26 이세용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KR200312551Y1 (ko) * 2003-01-08 2003-05-13 대 연 원 옷걸이용 포스트
US20150250317A1 (en) * 2012-10-19 2015-09-10 Aeris Gmbh Seating having an anti-rotation system
EP3574805A1 (de) * 2017-06-02 2019-12-04 Inventor Group GmbH Sitzvorrichtung mit einer federvorricht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82U (ko) 1993-07-13 1995-02-16 강희주 의류보관용 캐비넷의 열쇠를 소지할 수 있는 목욕용 팔찌
KR20010006876A (ko) * 1999-06-30 2001-01-26 이세용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
KR200312551Y1 (ko) * 2003-01-08 2003-05-13 대 연 원 옷걸이용 포스트
US20150250317A1 (en) * 2012-10-19 2015-09-10 Aeris Gmbh Seating having an anti-rotation system
EP3574805A1 (de) * 2017-06-02 2019-12-04 Inventor Group GmbH Sitzvorrichtung mit einer feder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772B2 (en) Adjustable seating and furniture
RU2437605C2 (ru) Кресло с качающейся спинкой
US5312157A (en) Lift seat
EP0971613B1 (en) Arrangement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US9717340B2 (en) Adjustable seating and furniture
JPH0523079Y2 (ko)
CA2302063C (en) Ergonomic chair
US20110062759A1 (en) Seat Mechanism for an Item of Seating Furniture, in Particular Office Swivel Chair
GB2526802A (en) Seat recline mechanism, adjustable seating assembly, and method
KR102506795B1 (ko)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CN206434082U (zh) 一种自适应靠背座椅
US6942295B1 (en) Reclining chair system
KR20200110966A (ko)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WO2020233417A1 (zh) 座椅装置及其星形底座
JP5531175B2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CA2004002C (en) Chairs
KR102399313B1 (ko) 의자
CN212878495U (zh) 一种用于椅具的背座联动装置
KR102193566B1 (ko) 경동 의자
KR102467244B1 (ko)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US20220378208A1 (en) Tilt chair
CN219556749U (zh) 一种脚支撑可调式会议室座椅
EP4215085A1 (en) Seat frame
KR2023011290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