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44B1 -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44B1
KR102467244B1 KR1020220059279A KR20220059279A KR102467244B1 KR 102467244 B1 KR102467244 B1 KR 102467244B1 KR 1020220059279 A KR1020220059279 A KR 1020220059279A KR 20220059279 A KR20220059279 A KR 20220059279A KR 102467244 B1 KR102467244 B1 KR 10246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plate
leaf sp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to KR102022005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47C3/185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self-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 by weight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안착부에 제1,2판스프링으로 설치하여서 이 제1,2판스프링을 상기 시트의 하부면과 연결설치하여서, 시트의 상부면에 안착시 복수개의 제1,2판스프링의 완충작용으로 시트의 착석자에게 승강쿠션감을 안정적으로 주어 이 시트에 착석자가 안정적 착석하도록 하고, 장기간 승강완충작용으로 인한 기존의 스프링 피로도로 인해 발생된 불완전한 승강완충작용을 제1,2판스프링으로 극복하도록 한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측에 마련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시트(10)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2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30)를 구비한 회전의자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설치된 안착판(50)과, 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상부면에 고정되고 후방은 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후방면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내부공간부(31)를 구비한 제1판스프링(30a)과, 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상부면에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내부공간부(31)를 통과하여 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전방면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2판스프링(30b)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Swivel chair with leaf spring}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의자의 시트 상부면에 안착시, 판스프링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시트의 쿠션감을 높여 착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시트에 착석하도록 한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 가구를 말하며, 그 형태별로 살펴보면, 등받이 없는 회전의자, 소형 회전의자, 팔걸이 회전의자, 안락 회전의자, 긴 회전의자(sofa), 침대식 긴회전의자, 흔들 회전의자 등이 있다.
그리고, 등받이 없는 회전의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회전의자들의 기본구조는 앉을 수 있는 시트와 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한 다리부 및 사용자의 등을 떠받치는 등받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회전의자의 등받이는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요추 받침대 또는 목 받침대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에는 사용자의 앉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 유닛이 구비되고 회전의자의 이동을 편리하기 위해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면에 이동바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한체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시트와 다리부와, 등받이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회전의자는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춰서 다리부에 높낮이 조절 유닛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춰 다리부상에서 시트의 하부 높낮이를 조절할 뿐, 시트에 사용자가 착석시, 착석자의 몸무게 만큼 하부로 하강되었다 상승되는 안정적인 승강완충작용이 발생되지 않아서 시트상에 착석하는 착석자에게 불편함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고특허 제20-1995-0002782호(1995년 04월 15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안착부에 제1,2판스프링으로 설치하여서 이 제1,2판스프링을 상기 시트의 하부면과 연결설치하여서, 시트의 상부면에 안착시 복수개의 제1,2판스프링의 완충작용으로 시트의 착석자에게 승강쿠션감을 안정적으로 주어 이 시트에 착석자가 안정적 착석하도록 하고, 장기간 승강완충작용으로 인한 기존의 스프링 피로도로 인해 발생된 불완전한 승강완충작용을 제1,2판스프링으로 극복하도록 한 새로운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측에 마련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시트(10)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2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30)를 구비한 회전의자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설치된 안착판(50)과, 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상부면에 고정되고 후방은 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후방면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내부공간부(31)를 구비한 제1판스프링(30a)과, 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상부면에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내부공간부(31)를 통과하여 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전방면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2판스프링(30b)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에 복수개의 전방 제1,2지지대(a1,a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에 복수개의 후방 제1,2지지대(a3,a4)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판스프링(30a)은 상기 시트(10)의 하부 후방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 결합지지바(b)와, 상기 수평 결합지지바(b)의 양측에서 전방방향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는 상기 안착판(50)의 상기 전방 제1,2지지대(a1,a2)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결합지지바(b)의 양측과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의 전방에는 볼트(d)의 머리부(d1)가 삽입되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판스프링(30b)은 상기 시트(10) 하부 후방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와,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의 후방에서 하부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제1지지대(a3)에 상기 제1내향경사 결합바(c1)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후방 제2지지대(a4)에 상기 제2내향경사 결합바(c2)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의 후방과 상기 하향절곡경사지지바(c)의 후방에 볼트(d)의 머리부(d1)가 삽입되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안착부에 제1,2판스프링으로 설치하여서 이 제1,2판스프링을 상기 시트의 하부면과 연결설치하여서, 시트의 상부면에 안착시 복수개의 제1,2판스프링의 완충작용으로 시트의 착석자에게 승강쿠션감을 안정적으로 주어 이 시트에 착석자가 안정적 착석하도록 하고, 장기간 승강완충작용으로 인한 기존의 스프링 피로도로 인해 발생된 불완전한 승강완충작용을 제1,2판스프링으로 극복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판스프링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판스프링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판스프링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판스프링의 설치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공에 볼트와 오링이 설치된 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판스프링의 분리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판스프링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판스프링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판스프링의 설치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공에 볼트와 오링이 설치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는 시트(10)와, 지지부(20)와, 완충부재(30)와, 지지대(40)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0)는 도 6 ,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는 하부에 좌석부(10a)로 구성되고, 이 상기 좌석부(10a)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된 등받이부(10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하측에 마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20)의 하부에는 이동이 가능하게 이동바퀴(21)가 다수개로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중앙에는 지지대(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상기 완충부재(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시트(10)의 상기 좌석부(10a) 하부와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20)의 중앙상부면에 기립되어 설치된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과, 상기 좌석부(10a)의 하부면을 상기 완충부재(30)로 서로 연결하여 승강완충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설치된 안착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30)는 제1,2판스프링(30a,3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판스프링(30a)의 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판스프링(30a)의 전방은 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후방면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내부공간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판스프링(30b)의 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판스프링(30b)의 후방은 상기 내부공간부(31)를 통과하여 후방방향으로 하강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후방면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에 복수개의 전방 제1,2지지대(a1,a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전방 제1,2지지대(a1,a2)는 상기 제1판스프링(30a)의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에 복수개의 후방 제1,2지지대(a3,a4)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 제1지지대(a3)에 상기 제1내향경사 결합바(c1)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후방 제2지지대(a4)에 상기 제2내향경사 결합바(c2)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판스프링(30a)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판스프링(30a)은 상기 시트(10)의 하부 후방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 결합지지바(b)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 결합지지바(b)의 양측에서 전방방향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로 구성된다.
이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는 상기 안착판(50)의 상기 전방 제1,2지지대(a1,a2)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결합지지바(b)의 양측과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의 전방에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공(e)에 결합되는 볼트(d)는 몸체부(d2)와, 상기 몸체부(d2)의 상부에 머리부(d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d2)의 외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볼트공(e)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머리부(d1)의 외측둘레는 상기 안착홈(e1)의 내측둘레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d1)의 하부에 오링(f)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안착홈(e1)의 내측둘레에 상기 오링(f)으로 인해 상기 볼트(d)의 상기 머리부(d1)의 외측둘레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몸체부(d2)가 상기 볼트공(e)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서, 이로 인해 상기 안착홈(e1) 및 상기 볼트공(e)을 갖는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의 전방과 상기 안착홈(e1) 및 상기 볼트공(e)을 갖는 상기 수평결합지지바(b)의 양측이 유동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의 전방과 상기 수평결합지지바(b)의 양측의 승강완충작용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판스프링(30b)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판스프링(30b)은 상기 시트(10) 하부 전방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의 후방에서 하부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제1지지대(a3)에 상기 제1내향경사 결합바(c1)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후방 제2지지대(a4)에 상기 제2내향경사 결합바(c2)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의 후방과 상기 하향절곡경사지지바(c)의 후방에 볼트(d)의 머리부(d1)가 삽입되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공(e)에 결합되는 볼트(d)는 몸체부(d2)와, 상기 몸체부(d2)의 상부에 머리부(d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d2)의 외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볼트공(e)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머리부(d1)의 외측둘레는 상기 안착홈(e1)의 내측둘레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d1)의 하부에 오링(f)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안착홈(e1)의 내측둘레에 상기 오링(f)으로 인해 상기 볼트(d)의 상기 머리부(d1)의 외측둘레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몸체부(d2)가 상기 볼트공(e)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서,
이로 인해 상기 안착홈(e1) 및 상기 볼트공(e)을 갖는 상기 제1내향경사 지지바(c1)와, 상기 안착홈(e1) 및 상기 볼트공(e)을 갖는 상기 하향절곡경사지지바(c)가 서로 유동되지 않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e1) 및 상기 볼트공(e)을 갖는 상기 제2내향경사 지지바(c2)와, 상기 안착홈(e1) 및 상기 볼트공(e)을 갖는 상기 하향절곡경사지지바(c)가 서로 유동되지 않게 결합되어서, 상기 제1,2내향경사지지바(c1,c2)의 후방과 상기 하향절곡경사지지바(c)후방에서 승강완충작용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판스프링(30a)의 구성인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로 구성되고, 제2판스프링(30b)의 구성인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와, 상기 하향절곡 경사지지바(c)로 구성되어서, 이러한 상기 제1,2판스프링(30a,30b)으로 기존의 회전의자의 스프링완충부재인 코일스프링을 대체하여서,
장기간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코일스프링의 피로도로 인해 코일스프링의 팽창 및 압축작용이 떨어지는데, 이 코일스프링을 시트와 지지부의 사이에 장착하여 사용시 시트에 원하는 승강완충력을 얻지 못하는 것을, 본 발명의 제1,2판스프링(30a,30b)으로 완전하고 안정적인 승강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시트 20: 지지부
30: 완충부재 30a: 제1판스프링
30b: 제2판스프링 31: 내부공간부
40: 지지대 50: 안착판
a1: 전방 제1지지대
a2: 전방 제2지지대 a3: 후방 제1지지대
a4: 후방 제2지지대 b: 수평 결합지지바
b1: 제1상향 경사지지바 b2: 제2상향 경사지지바
c: 하향절곡 경사지지바 c1: 제1내향경사 결합바
c2: 제2내향경사 결합바 d: 볼트
d1: 볼트머리부 e: 볼트공
e1: 안착홈

Claims (6)

  1.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측에 마련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시트(10)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2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30)를 구비한 회전의자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부면에 설치된 안착판(50)과 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상부면에 고정되고 후방은 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후방면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내부공간부(31)를 구비한 제1판스프링(30a) 및 후방은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상부면에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내부공간부(31)를 통과하여 전방방향으로 상승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하부전방면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2판스프링(30b)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50)의 전방에 복수개의 전방 제1,2지지대(a1,a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판(50)의 후방에 복수개의 후방 제1,2지지대(a3,a4)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1판스프링(30a)은 상기 시트(10)의 하부 후방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 결합지지바(b)와, 상기 수평 결합지지바(b)의 양측에서 전방방향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는 상기 안착판(50)의 상기 전방 제1,2지지대(a1,a2)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결합지지바(b)의 양측과 상기 제1,2상향 경사지지바(b1,b2)의 전방에는 볼트(d)의 머리부(d1)가 삽입되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스프링(30b)은 상기 시트(10) 하부 후방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와,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의 후방에서 하부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제1지지대(a3)에 상기 제1내향경사 결합바(c1)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후방 제2지지대(a4)에 상기 제2내향경사 결합바(c2)의 상기 하향 절곡경사지지바(c)가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내향경사 결합바(c1.c2)의 후방에 볼트(d)의 머리부(d1)가 삽입되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절곡경사지지바(c)의 후방에 볼트(d)의 머리부(d1)가 삽입되는 안착홈(e1)을 갖는 볼트공(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6. 삭제
KR1020220059279A 2022-05-16 2022-05-16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KR10246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79A KR102467244B1 (ko) 2022-05-16 2022-05-16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79A KR102467244B1 (ko) 2022-05-16 2022-05-16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244B1 true KR102467244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79A KR102467244B1 (ko) 2022-05-16 2022-05-16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2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82U (ko) 1993-07-13 1995-02-16 강희주 의류보관용 캐비넷의 열쇠를 소지할 수 있는 목욕용 팔찌
KR101603925B1 (ko) * 2015-11-27 2016-03-17 부호체어원(주) 사용자 지향적 메쉬형 의자 좌판
CN212117626U (zh) * 2020-03-20 2020-12-11 浙江万昌家具股份有限公司 高强度的弹力休闲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82U (ko) 1993-07-13 1995-02-16 강희주 의류보관용 캐비넷의 열쇠를 소지할 수 있는 목욕용 팔찌
KR101603925B1 (ko) * 2015-11-27 2016-03-17 부호체어원(주) 사용자 지향적 메쉬형 의자 좌판
CN212117626U (zh) * 2020-03-20 2020-12-11 浙江万昌家具股份有限公司 高强度的弹力休闲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469B2 (en) Seat furniture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US7226127B1 (en) Ergonomic chair backrest
US4668015A (en) Chair without a back/a stool
US8459738B2 (en) Portable backrest for a person seated sideways on a sofa
ES2459723T3 (es) Disposición de asiento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US10172464B2 (en) Chair
US6942295B1 (en) Reclining chair system
CN206434082U (zh) 一种自适应靠背座椅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200110966A (ko)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KR102467244B1 (ko) 판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CN209463661U (zh) 一种可自然调整舒适度的座椅
KR102399313B1 (ko) 의자
CA2960301C (en) Chair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KR102506795B1 (ko) 에어스프링이 결합되는 승강관체와 지지대체의 외측둘레에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의자
CN211748243U (zh) 一种自适应调节的靠背
CN215874039U (zh) 一种座椅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CN210870573U (zh) 一种自动调节的靠背椅
CN219047908U (zh) 一种儿童座椅
US3411822A (en) Double spring mounted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