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580B1 -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80B1
KR100567580B1 KR1019990038119A KR19990038119A KR100567580B1 KR 100567580 B1 KR100567580 B1 KR 100567580B1 KR 1019990038119 A KR1019990038119 A KR 1019990038119A KR 19990038119 A KR19990038119 A KR 19990038119A KR 100567580 B1 KR100567580 B1 KR 10056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inding
rewinding
signal
film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693A (ko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5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03B17/305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for roll 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18Moving film strip by means which act on the film between the ends thereof
    • G03B1/20Ac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56Threading; Loop forming
    • G03B1/58Threading; Loop forming automat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4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film
    • H04N5/84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film the film moving intermittent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필름 감기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필름 느슨함을 필름 장착 초기에 제거하기 위하여, 필름이 장착되면 제어 수단이 필름 이송 수단을 구동시켜 제1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자동 로딩 동작을 수행한다. 자동 로딩 동작이 완료되면 필름 이송 수단을 구동시켜 제2 설정수만큼의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한 다음, 다시 제2 설정수보다 1 프레임 많은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한다. 필름 되감 동작이 완료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다시 필름 이송 수단을 구동시켜 1 프레임의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필름 장착 초기에 필름 감기 및 필름 되감기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필름 느슨함을 제거함에 따라, 필름이 모두 촬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름 되감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정확한 필름의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필름이송, 카메라, 필름감기, 필름되감기

Description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film advancing device and method for cameras}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카메라의 필름 이송에 따른 필름 느슨함을 제거하기 위한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따라 피사체의 촬영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카메라에서는 피사체 촬영에 따라 필름의 감기 동작과 되감기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필름실에 필름을 장착한 후 카메라 백커버를 닫으면, 약 3∼4프레임의 필름이 자동으로 감겨 필름 스풀실에 장전된다. 그런 다음, 피사체의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면, 노광된 필름의 프레임이 자동으로 스풀실에 감기고 필름 카 운팅 값이 "1"씩 증가하여 사용자가 촬영된 필름 매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필름 감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전된 필름이 모두 감겨져서 필름 끝단이 감지되면, 필름 되감기 동작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외에도 자동 카메라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필름의 되감기 동작을 강제로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카메라에 형성된 필름 강제 되감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자동으로 필름의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필름의 감기 및 되감기가 이루어질 때, 필름이 감기게 되는 스풀실 측은 필름 가이드 스프링 등에 의해 필름이 단단하게 감겨 있지만 필름실에 내장되어 있는 필름은 카트리지(cartridge) 안에서 풀려 있게 된다. 또한 저온에서의 배터리 성능 저하 및 기어군의 저온 수축에 의한 부하 등에 따라 필름 이송 속도가 현저히 떨어져서 필름 느슨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이 필름 마지막 프레임까지 모두 촬영된 경우에 자동으로 필름 되감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필름의 모든 프레임이 스풀실에 감겨 있는 상태이므로, 구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바로 필름의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져 필름이 이송된다. 그러나, 촬영 도중 강제 되감기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필름실에 장착된 필름이 카트리지 안에서 풀려져 있으므로, 촬영된 필름의 되감기 동작이 시작되기도 전에 필름 되감기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원하는 필름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번의 되감기 동작을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중이나 촬영이 완료된 경우에도 필름 감기 및 필름 되감기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는 필름 장착 초기에 필름 자동 로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를 수행하였다가 설정수보다 1많은 수만큼 필름 되감기를 수행하고, 다음에 1 프레임 필름 감기를 수행하여 필름 느슨함을 제거한다.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는, 필름 장착을 감지하는 필름 장착 감지 수단; 필름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이송 감지 수단; 상기 필름 장착 감지 수단에 의하여 필름 장착이 감지되면, 제1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로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필름 이송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필름 감기된 필름수 및 필름 되감기된 필름수를 측정하는 수단, 상기 로딩 동작 완료후 제2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필름 감기 동작 후 제2 설정수보다 1많은 수만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필름 되감기 동작 후 1 프레임 필름 감기를 수행하기 위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수 단;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방법은, 필름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필름이 장착되면 제1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딩 동작 완료후 제2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름 감기 동작 후 제2 설정수보다 1 많은 수만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름 되감기 동작 후 1 프레임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방법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는, 카메라의 필름실에 필름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필름 장착 감지부(10)와, 필름 이송에 따라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퍼포레이션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의 출력단에 필름 이송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0)가 연결되어 있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0) 의 출력단에 필름 이송을 수행하는 필름 이송부(40)와, 필름 매수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50) 및 본원 발명에 따른 필름 이송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설정값들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인 EEPROM(electric erasible ROM)(60)이 연결되어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름 장착 감지부(10)는 카메라의 백카버를 닫는 경우에 작동되는 백카버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빛의 수광 여부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수광부로 구성된 포토 센서로 이루어지고, 발광부로부터의 빛이 필름에 형성된 퍼포레이션(perforation)을 통과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수광부의 수광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펄스 형태의 필름 이송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필름 장착 감지부(10),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으며, 또한 EEPROM(6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필름 이송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를 필름 이송부(40)로 출력하며, 또한 필름 감기 동작 또는 필름 되감기 동작에 따른 필름 매수를 정보 표시부(50)가 표시하도록 한다.
필름 이송부(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필름 이송 모터(M)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필름 감기 또는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부(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evice)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카메라의 백카버를 열고 새 필름을 장착한 다음 백카버를 닫으면, 필름 장착 감지부(10)가 필름 장착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30)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필름 장착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루틴에 따라 필름 이송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자동으로 필름을 3∼4 프레임 감기하는 자동 로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한다(S110). 필름 이송부(40)는 필름 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이송 모터(M)를 정회전시켜 필름실에 장착된 필름의 3∼4 프레임을 이송시키며, 필름이 이송됨에 따라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변화된다. 즉,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퍼포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조사되는 경우에는 빛이 퍼포레이션을 통과함에 따라 수광부로 빛이 입사되지 않으며, 빛이 퍼포레이션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조사되는 경우에는 빛이 필름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퍼포레이션이 감지되는 경우 즉, 빛이 수광되지 않은 경우에는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가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퍼포레이션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즉, 빛이 수광되는 경우에는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가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로부터 8개의 하이 레 벨 신호가 출력되면 1 프레임 이송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며, 이러한 퍼포레이션 감지 동작에 따라 3 프레임 이송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3 프레임이 이송되어 자동 로딩이 완료되면(S120)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필름 카운터를 1로 세팅하고 이것을 정보 표시부(50) 상에 표시한 다음(S130), 종래의 필름 느슨함을 필름 장착 초기에 제거하기 위하여 다시 필름 이송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필름 이송부(40)로 필름 이송 신호를 출력하여 필름 이송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하며,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에 의하여 필름 1 프레임이 이송되었음이 감지되면 필름 카운터를 +1 증가시킨다(S140∼S150).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EEPROM(60)으로 데이터 판독 신호를 출력하여 필름의 느슨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정된 설정수를 읽어 들인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EEPROM(60)으로부터 읽어 들인 설정수와 필름 카 운터값을 비교하여, 현재의 필름 카운터값이 설정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시 필름 이송 동작을 수행하여 1 프레임을 이송시킨다(S160).
그러나, 현재의 필름 카운터값이 설정수 이상인 경우에는 이송 종료 신호를 필름 이송부(40)로 출력하여 필름 감기 동작을 정지시킨 다음, 느슨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한다.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이송부(40)는 필름 이송 모터(M)를 역회전시켜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한다(S170).
필름 퍼포레이션 감지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필름 1 프레임 되감 동작이 완료되었음이 감지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필름 카운터를 1씩 감소시킨 다음(S180), 감소된 필름 카운터값을 "0"과 비교한다.
감소된 필름 카운터값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고, 감소된 필름 카운터값이 0보다 작은 경우에는 필름 되감기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자동 로딩후 필름 느슨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15 프레임의 필름 감기를 수행한 경우에는 16 프레임의 필름 되감기가 수행된다(S190∼S200).
이와 같이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한 다음,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필름 카운터값을 1로 세팅하여 정보 표시부(50) 상에 표시한 다음 다시 필름 이송부(40)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여 1 프레임의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한다(S210).
따라서, 자동 로딩 후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 동작이 이루어졌다가 설정수보다 1 프레임 정도 많은 필름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진 다음 다시 1 프레임의 필름 감기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 로딩 후의 필름 프레임이 촬영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서 필름의 느슨함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필름이 장착되는 초기에 필름 감기 및 필름 되감기 동작의 실행에 따라 필름의 느슨함이 제거됨에 따라, 필름이 모두 촬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름 되감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정확한 필름의 되감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Claims (4)

  1. 필름 장착을 감지하는 필름 장착 감지 수단;
    필름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이송 감지부와;
    상기 필름 장착 감지 수단에 의하여 필름 장착이 감지되면, 제1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로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필름 이송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필름 감기된 필름수 및 필름 되감기된 필름수를 측정하는 수단, 상기 로딩 동작 완료후 제2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필름 감기 동작 후 제2 설정수보다 1많은 수만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름 되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상기 필름 되감기 동작 후 1 프레임 필름 감기를 수행하기 위한 필름 감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필름 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필름 되감기 신호에 따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필름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감기 또는 되감기되는 필름의 매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3. 필름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필름이 장착되면 제1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딩 동작 완료후 제2 설정수만큼 필름 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름 감기 동작 후 제2 설정수보다 1 많은 수만큼 필름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필름 되감기 동작 후 1 프레임 필름 감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필름 이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감기 또는 되감기되는 필름의 매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필름 이송 방법.
KR1019990038119A 1999-09-08 1999-09-08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119A KR100567580B1 (ko) 1999-09-08 1999-09-08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119A KR100567580B1 (ko) 1999-09-08 1999-09-08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693A KR20010026693A (ko) 2001-04-06
KR100567580B1 true KR100567580B1 (ko) 2006-04-05

Family

ID=1961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119A KR100567580B1 (ko) 1999-09-08 1999-09-08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816A (ja) * 1982-02-22 1983-08-29 Ricoh Co Ltd 電動巻上巻戻カメラ
JPS60115917A (ja) * 1983-11-29 1985-06-22 Asahi Optical Co Ltd フイルム自動巻戻し装置
JPH0256530A (ja) * 1988-08-22 1990-02-26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巻戻しカメラ
JPH09105988A (ja) * 1995-10-09 1997-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給送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816A (ja) * 1982-02-22 1983-08-29 Ricoh Co Ltd 電動巻上巻戻カメラ
JPS60115917A (ja) * 1983-11-29 1985-06-22 Asahi Optical Co Ltd フイルム自動巻戻し装置
JPH0256530A (ja) * 1988-08-22 1990-02-26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巻戻しカメラ
JPH09105988A (ja) * 1995-10-09 1997-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給送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693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4161A (en) Camera with magnetic recording device
KR100567580B1 (ko) 카메라의 필름 이송 장치 및 그 방법
KR0153283B1 (ko) 필름 누광 방지를 위한 필름 자동 감기/되감기 장치 및 그 방법
US6233405B1 (en) Camera and film cartridge display setting apparatus
KR100310437B1 (ko) 카메라의필름되감기제어장치및그방법
JP2810555B2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送り装置
US5835803A (en) Camera
KR0178460B1 (ko) 필름카트리지에 적용되는 장치
US5950027A (en) Camera loadable with a film provided with a magnetic recording area
JPH09138450A (ja) カメラのフィルム巻き戻し装置
JP3143981B2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送り装置
JPH0980498A (ja)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装置
JP2950686B2 (ja) カメラ
JP2791612B2 (ja) カメラ及びカートリッジ指標設定装置
US6295417B1 (en) Camera capable of using film having magnetic recording part
JP2997271B2 (ja) フィルムの給送異常検出装置
JPH0511326A (ja) カメラ
JP2005189312A (ja) パーフォレーション検出装置
JP2000250110A (ja) フィルム給送制御装置及びフィルム給送制御装置を備えた機器
JPH04118639A (ja)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装置
JPH0627518A (ja)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制御装置
JP2002099036A (ja) カメラ
JP2001296588A (ja) カメラ
JPH11316400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09325394A (ja) カメラのローディングエラー自動復帰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