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62B1 - 정제용 커터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용 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62B1
KR100563762B1 KR1020040024992A KR20040024992A KR100563762B1 KR 100563762 B1 KR100563762 B1 KR 100563762B1 KR 1020040024992 A KR1020040024992 A KR 1020040024992A KR 20040024992 A KR20040024992 A KR 20040024992A KR 100563762 B1 KR100563762 B1 KR 10056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cutter
tablets
spl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950A (ko
Inventor
유야마히로유키
하마다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4002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7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30Halving devices, e.g. for halving b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자동적으로 정제를 정확히 2분할 해서 반 정제로 만들 수 있는 정제용 커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 장치는 정제에 절개선을 새겨넣는 커터(22)와 커터(22)에 의하여 새겨넣은 절개선으로 정제를 2분할 하는 분할 로울러(23)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따라, 정제는 커터(22)에 의해 절개선이 새겨지면서 분할 로울러(23)에 의하여 분할된다.

Description

정제용 커터 장치{CUTTER APPARATUS FOR TABLET}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포장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정제 공급부의 한 예를 도시한 부분 파단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제 공급기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정제 절단부 및 정제 저장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제 절단부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분할 로울러의 정면도.
도 10은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도 10으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도 11의 절단·수집처리를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도 11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도 11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도 11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6은 도 11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7은 도 12의 절단처리를 도시한 순서도.
도 18은 도 17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19는 도 17로부터 이어지는 포장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20은 정제 공급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정제 저장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2는 정제 절단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제 공급부 2 : 정제 절단부
3 : 정제 저장부 4 : 정제 포장부
본 발명은, 정제용 커터 장치 특히, 어린이용 등을 위하여 정제를 반으로 절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정제용 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가 어린이 등일 경우, 1회의 복용량을 1정으로 하였다면 양이 많기때문에, 그 정제를 반으로 절단하여 처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정제를 손으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정제 분할기에 의하여 분할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공평 6-771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손으로 절단한다는 것은 작업성이 대단히 좋지않고, 정확하게 반 정 제(1/2정)로 한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정제 분할기를 사용하였다 하여도, 표면에 분할선을 형성하지 않은 정제일 경우에는 정확하게 정제를 반으로 나누는 것은 곤란하였다. 더욱이, 정제의 분할과 그 후의 포장등을 따로따로 실시하지 않으면 않되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번거러워서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정제를 정확히 2분할 하여 반 정제로 할 수 있는 정제용 커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제용 커터 장치는, 정제에 절개선을 새겨넣는 커터와, 상기 커터에 의하여 새겨진 절개선으로 2분할하는 분할 로울러를 구비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 장치에서는 정제가 커터에 의하여 절개선이 새겨져서 분할이 용이한 상태로 된 후, 분할 로울러에 의하여 분할되기 때문에, 정확히 반으로 정제를 2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 장치는 상기 정제의 하방측을 지지하는 분할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각 분할 받침대와 로울러의 사이에 정제를 끼워서 지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장치는 정제를 커터와 분할 로울러의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정제를 커터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정제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정제 절단부에 공급된 정제는 반송부에 의하여 반 송됨과 동시에 위치 결정부에 의하여 소망의 절단위치로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정제 위치 결정부는 정제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에서 정제에 맞닿아 하방으로 압압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경사면이 정제에 대하여 양측에서 균등하게 접근하게되고 따라서, 정제가 중앙에서 어긋나게 공급되어도 어느 한쪽의 경사면에 맞닿아 확실하게 소망의 절단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정제는 경사면에 의하여 하방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절단시에도 절단위치에서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는 경사면으로부터 플런져를 돌출시킴으로써, 반송되어 온 정제를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분할 로울러는 커터에 의하여 정제에 형성된 절개선에 대응하는 외주면 중앙부에 안전홈이 형성되고, 분할 받침대는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의 원통면으로 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장치는 상기 커터 및 분할 로울러를 상부에서부터 덮는 후드를 구비하고, 각 후드를 거쳐서 정제로부터 발생하는 분체를 흡인하는 클리너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장치는 상기 분할 로울러에 의하여 분할된 반 정제를 각각 상이한 장소로 안내하는 분리 안내판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용 커터 장치는 각 정제의 종류에 따른 노치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공급되는 정제의 종류에 따라 기억수단에 기억된 노치 조건을 호출하여, 각 노치 조건에 따라서 커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어수단은 공급되는 정제의 종류를 읽어들이면, 기억수단에서 해당하는 노치조건을 호출하고 커터를 구동 제어한다. 이에 따라, 커터는 적절한 회전 정밀도, 이동 속도, 이동량 등으로 구동되어 정제에는 분할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선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정제 포장장치는, 대략, 정제 공급부(1), 정제 절단부(2), 정제 저장부(3), 정제 포장부(4) 및 제어부(5)로 구성되어 있다.
정제 공급부(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케이스 형상의 공급부 본체(6)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여러개의 서랍(7)을 병렬 설치한 것이다.
각 서랍(7)은, 양측에 2열로 여러개의 정제 공급기(8)를 병렬 설치하고, 양자의 사이에 정제 배출로(도해없음)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각 정제 공급기(8)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우터 베이스(9)에 착탈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식 용기(10)를 장착한 구성이다.
모우터 베이스(9)에는, 도면에 없는 모우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구동력이 상면에 노출하는 기어(9a)에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또, 기어(9a)의 근방에는 정제배출용의 배출통로(11)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통과하는 정제를 검출하기 위한 정제 검출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모우터 베이스(9)에는 카트리지식 용기(10)를 안내하는 레일의 측면에, 그 모우터 베이스(9)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식 용기(10)내의 정제의 종별을 인식하기 위한 정제 인식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식 용기(10)의 저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10a, 11a)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10a)는 상기 모우터 베이스(9a)와 맞물려서, 기어(11a)는 카트리지식 용기(10)의 안바닥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제 정렬판(14)에 굳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우터 베이스(9)의 모우터가 구동하면, 상기 기어(9a, 10a, 11a)를 개재하여 정제 정렬판(14)이 회전하고, 카트리지식 용기(10)내에 수용된 정제가 1정씩 모우터 베이스(9)의 정제 배출로(11)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식 용기(10)에는 모우터 베이스(9)에 장착하였을 경우, 상기 정제인식 센서(13)에 의하여 검출되는 표식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식부(15)는 정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 마아크와 스페이스에 의하여 2진화(binary-coded)되어 있다.
상기 서랍(7)의 하방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정제 공급기(8)의 정제 배출로(9)를 개재하여 낙하하는 정제를 받아넣기 위한 호퍼(hopper)(16)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16)는 중앙구멍(16a)으로 향하여 서서히 하방으로 경사진 대략 각뿔 형상이다. 중앙구멍(16a)의 하방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셔터(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셔터(17)의 회동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각 정제 배출로(9)를 개재하여 낙하한 정제가 정제통로(18a, 18b)를 개재하여 정제 절단부(2) 또는 정제 포장부(4)의 어느 한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제 절단부(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통로(18a) 및 안내호퍼(19)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정제를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호퍼(19)의 하단 개구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9a)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19a)는 안내호퍼를 개재하여 벨트 컨베이어(20)상에 공급된 정제(1정)를 일단 정지시킨다.
또,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의 반송경로에는, 정제 가압장치(21), 밀링커터(22), 분할 로울러(23), 클리너 장치(24) 및 정제 유지호퍼(25)가 각기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정제 가압장치(2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가압부(26)와 커터 받침대(2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제 가압부(26)는, 선단에 각각 경사면(28a)을 구비한 한쌍의 가압부품(28)으로 되어 있고, 각 가압부품(28)은, 측면에 랙기어(rack gear)(29a)가 형성된 구동부품(29)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품(29)은 평면으로 보아서 대략 L자형 단면으로는 대략 コ자형으로 각 가압부품(28)의 후단으로부터 뻗어있다. 상기 가압부품(28)의 경사면(28a)은 선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동부품(29)의 랙기어(29a)에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설한 기어(30)가 맞물리고, 그 반대측 측면에는 안내베어링(31)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맞닿고있다. 또, 한편의 가압부품(28)에는 모우터(32)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하는 캠(33)이 맞닿고있다. 그리고, 한편의 가압부품(28)의 후단과, 다른편의 가압부품(28)의 구동부품(29)의 선단과는 스프링(3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가압부품(28)에는 솔레노이드(28b)가 내장되있고, 그 플런저(28c)가 경사면(28a)으로부터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플런저(28c)는 벨트 컨베이어(20) 위로 반송되는 정제를 반송방향의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시킨다.
한편, 상기 커터 받침대(27)는 벨트 컨베이어(20)의 상방측의 벨트의 하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커터받침대(27)는 도면에 없는 정제 절단부 본체로부터 연장 된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 벨트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정제가 커터 받침대(27)의 상방까지 반송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정제 반송위치 검출센서(27a)(도 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밀링커터(22)는 벨트 컨베이어(20)의 옆편에 세워설치된 지지판(35)(도 1)으로부터 뻗은 대략 L자형 아암(36)의 선단에서 모우터(37)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35)은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아암(36)은 상기 지지판(35)에 형성한 직사각형 구멍(35a)내를 벨트 컨베이어(20)의 반송방향으로 잇따라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할 로울러(2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 중앙부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안전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할 로울러(23)는 대략 L자형의 선회아암(38)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 로울러(23)는 상기 밀링커터(22)와 함께 벨트 컨베이어(20)의 반송방향에 잇따라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단, 분할 로울러(23)는 밀링커터(22)와는 별개로 독립하여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분할 로울러(23)는 선회아암(38)이 선회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분할 로울러(23)가 하방위치로 이동한 경우, 정제를 끼워둘 수 있도록 벨트 컨베이어(20)의 상방측의 벨트의 하면에 분할 받침대(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할 받침대(39)의 상면은, 상방으로 부풀어나온 곡률의 원통면으로 되어 있고, 벨트 를 개재하여 정제를 분할 로울러(23)와의 사이에 끼워 두었을 경우, 분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분할 로울러(23)의 하류측에는 분할된 정제를 정제 유지호퍼(25)에 안내하기 위한 분리 안내판(4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클리너 장치(2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링커터(22) 및 분할 로울러(23)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후드(hood)(41)를 구비하고 있다. 밀링커터(22) 측에는 고전압 이온 발생장치(42)가 설치되어 있고, 밀링커터(22)에 부착한 분말체를 부상하게 하여 흡인이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분할 로울러(23)측에는 브러시(43)가 설치되고, 분할 로울러(23)의 표면에 부착한 분말체를 긁어 떨어뜨려서 흡인이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벨트 컨베이어(20)의 하방에도 하방측의 벨트하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후드(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드(44)내에는 브러시(45)가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20)에 부착한 분말체를 긁어 떨어뜨려서 흡인이 용이하게 하고 있다. 단, 상기 클리너 장치(24)로는 이와 같은 구조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종래 주지의 어느 구조라도 채용할 수 있다(예컨대, 밀링커터를 고주파 진동시키는 것 등).
상기 정제 보유호퍼(25)는 상기 분할 로울러(23)에 의하여 분할된 정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 컨베이어(20)의 양측에 배설되어 있다. 이 정제 유지호퍼(25)의 하단 개구부에는 반 정제 유지 검출센서(25a)와 개폐할 수 있는 셔터(4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제 저장부(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정제 수집장치(47)와 반 정제 보관장치(4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 정제 수집장치(47)는 원반형이며, 내 외주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분할함에 따라 여러개의 정제 수집실(49)을 형성한 구조이다. 각 정제 수집실(49)의 하단 개구부에는, 반 정제 수집 검출센서(49a)와 개폐 가능한 셔터(49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 정제 수집장치(47)는, 회전축 (47a)을 중심으로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반 정제 보관장치(48)도, 상기 반 정제 수집장치(47)와 같은 구성이며, 하단 개구부에 보관 반 정제 검출센서(50a)와 개폐할 수 있는 셔터(50b)등을 구비한 여러개의 정제 보관실(50)을 갖고있어, 회전축(48a)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정제 포장부(4)는 상기 정제 공급부(1) 또는 정제 저장부(3)에서 공급되는 정제 또는 반 정제를 1포씩 포장하는 것이다.
제어부(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정제 유지 검출센서(25a), 반 정제 수집 검출센서(49a), 반 정제 보관 검출센서(50a) 등의 각종 센서 및 호스트 컴퓨터(51)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각 셔터(17, 19a, 46, 49b, 50b), 정제 공급부(1), 정제 절단부(2), 정제 저장부(3), 및 정제 포장부(4) 등을 구동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정제 포장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도 19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 컴퓨터(51)로부터 처방전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스텝 1), 그 데이터 중에 반 정제 지시데이터(정제를 절단하여 반 정제로 포장하는 취지의 데이 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반 정제 지시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중간셔터(17)를 정제통로(18b) 측으로 전환하여, 정제 공급기(8)로부터의 정제를 그대로 정제 포장부(4)에 공급하여 통상의 포장처리를 한다(스텝 S3).
한편, 반 정제 지시데이터가 있으면, 중간셔터(17)를 정제통로(18a)측으로 전환하여 정제 공급부(1)의 정제 배출로(9)를 정제 절단부(2)의 안내호퍼(19)에 연통되게 한다(스텝 S4). 그리고, 처방하는 반 정제의 수량(n)을 계산한다(스텝 S5). 또, 이 계산결과에 따라서 반 정제의 나머지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6), 나머지가 있음의 플래그(flag)(F1=1) 또는 없음의 플래그(F1=0)를 나타낸다(스텝 S7, S8). 예컨대, 처방전 데이터에, 1회에 반 정제, 1일 3회 7일간 복용한다고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면, 필요한 반 정제의 수량은 21개의 홀수로 되어 나머지 있음의 플래그를 나타내게 된다.
계속,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해당하는 반 정제가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9), 보관되어 있음의 플래그(F2=1) 또는 없음의 플래그(F2=0)를 나타낸다(스텝 S10, S11).
그리고, 어느 플래그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2, S13, S14). 나머지있음, 보관있음의 플래그를 나타내고 있을 경우, 정제 공급부(1)에서 공급하는 정제수를 (n-1)/2개로 설정한다(스텝 S15). 나머지 있음의 플래그를 나타내고 , 보관되어 있음의 플래그는 나타내고 있지 않을 경우, (n+1)/2개로 설정한다(스텝 S16). 나머지 있음의 플래그가 나타나 있지 않고, 보관되어 있음의 플래그는 나타나있을 경우, n/2개로 설정한다(스텝 S17). 어느 플래그도 나타나 있지 않을 경우, n/2개로 설정한다(스텝 S18). 그리고, 설정된 정제수에 따라서 절단·수집처리를 각기 실시한다(스텝 S19∼S22).
절단·수집처리에서는, 설정된 각 정제수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해당하는 정제가 수용된 정제 공급기(8)의 정제 정렬판(14)을 회전시켜, 정제 공급부(1)에서 정제 절단부(2)로 1정씩 정제를 공급하고(스텝 S23), 나중에 설명하는 절단처리를 한다(스텝 S24). 이러한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한 정제수의 모두가 절단되어서 수집될때까지 실시한다(스텝 S25)
이와같이 하여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절단된 모든 반 정제가 수집되면, 다음의 처리를 한다.
즉, 두 플래그가 나타나 있을 경우(F1=1, F2=1), 즉, 반 정제가 남아있고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반 정제가 보관되어 있을 경우, 반 정제 수집장치(47)에는 반 정제가 부족하게 수집되어 있다. 그래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정제 수집장치(47)로부터 순차로 반 정제를 공급하여 포장하고(스텝 S26), 모두 포장이 끝난시점에서(스텝 S27), 반 정제 보관장치(48)로부터 해당하는 반 정제를 정제 포장부(4)로 공급하여 포장한다(스텝 S28).
나머지 있음의 플래그만이 나타나 있을 경우(F1=1, F2=0), 즉, 반 정제가 남아 있고,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해당하는 반 정제가 보관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반 정제 수집장치(47)에는 반 정제가 여분으로 수집되어 있다. 그래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정제 수집장치(47)로부터 순차로 반 정제를 공급하여 포장하고(스텝 S26), 최후의 반 정제가 남은 시점에서(스텝 S30), 반 정제 보관장 치(48)에 보관장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31), 있을경우 이 반 정제를 반 정제 보관장치(48)의 정제 보관실(50)에 보관하고(스텝 S32), 없을경우에는 파기한다(스텝 S33).
보관되어 있음의 플래그만이 나타나 있을 경우(F1=0, F2=1), 즉,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수집된 반 정제의 수량이 포장수와 일치하고,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반 정제가 보관되어 있을 경우,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수용된 반 정제만으로 포장할 수 있으나, 그래서는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보관된 오래된 반 정제는 남은채로 있게된다. 그래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정제 수집장치(47)로부터 순차로 반 정제를 공급하여 포장하고(스텝 S34), 최후의 반 정제가 남은 시점에서(스텝 S35),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보관한 반 정제를 포장하고(스텝 S36),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남은 최후의 반 정제를 반 정제 보관장치(48)의 정제 보관실(50)에 수용하여 보관한다(스텝 S37).
어느 플래그도 나타나 있지 않을 경우(F1=0, F2=0), 즉,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수집된 반 정제의 수량이 포장수와 일치하고, 반 정제 보관장치(48)에 해당하는 반 정제가 보관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수용된 반 정제만으로 포장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정제 수집장치(47)에 수집된 반 정제를 모두 포장한다(스텝 S38, S39).
또한, 상기 포장처리에서는 1포에 대하여 반 정제만을 포장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1.5정 또는 그밖의 종류의 정제와 조합하여 포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제 공급부(1)로부터 공급하는 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중간셔터(17)를 전환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상기 절단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절단처리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절단처리 데이터를 판독 입력한다(스텝 S41). 절단처리 데이터에는 정제 공급부(1)에서 공급되는 정제의 종류나 수, 정제명칭 나아가서는 절단 조건이 포함된다. 절단조건은, 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음 표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약제의 종류 형상 치수 경도 노치깊이 이송속도 이송거리 회전속도
t D1 D2
A정제 A 2.7 7.2 2 1.2 2 8.7 12000
B정제 B 4.8 8.4 5 1.8 5 9.9 10000
C정제 C 4.1 9.3 1 2.0 1 10.8 15000
D정제 B 4.2 9.6 3 2.1 3 11.1 12000
E정제 B 3.6 8.2 2 1.8 2 9.7 12000
F정제 D 4.5 8.6 5.3 3 2.2 3 10.1 12000
· · · · · · · · · ·
· · · · · · · · · ·
예컨대 정제의 두께가 클 경우, 이후 파쇄함이 없이 분할할 수 있도록 노치깊이를 크게하고, 정제의 경도가 높을 경우, 이송속도를 크게 하였다. 단, 상기 절단조건은 이후의 분할 로울러(23)로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으며, 가 장 빠르게 노치작업을 종료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20)의 구동을 개시한다(스텝 S42). 정제가 정제 가압부(26)의 플런저(28c)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어, 정제위치 검출세서(27a)에 의하여 검출되면(스텝 S43), 벨트 컨베이어(20)를 정지한다(스텝 S44). 그래서, 모우터(32)의 구동에 따라 캠(33)을 회동시켜, 정제 가압부(26)의 가압부품(28)을 대향방향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45). 각 정제 가압부(26)의 구동부품(29)의 랙기어(29a)는 동시에 기어(30)에 맞물리고, 더욱이 정제 가압부(26) 끼리는 스프링(3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압부품(28)의 경사면(28a)을 항상 중앙의 소정위치로 이동되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를 확실하게 중앙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상태에서는, 경사면(28a)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20) 즉 커터받침대(27)로 압압 되므로, 위치의 어긋남은 없다.
다음에, 상기 정제의 종류에 대응한 절단조건에 따라서 일정한 노치깊이를 얻을 수 있도록 밀링커터(22)를 승강한다(스텝 S46). 그리고, 모우터(37)를 구동해서 밀링커터(22)를 회전시켜(스텝 S47), 일정한 이송속도로 이동시킨다(스텝 S48). 이때, 상기 정제 가압부(26)의 플런저(28c)를 경사면(28a)으로부터 후퇴시켜둔다. 그후, 밀링커터(22)가 일정한 이송거리 만큼 이동하면(스텝 S49), 그 회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스텝 S50), 상기 정제 가압부(26)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한다(스텝 S51).
이와같이 하여, 정제에 절개선을 새겨넣으면, 반 정제 유지 검출센서(25a)로 정제 유지호퍼(25)내에 이미 절단된 정제(반 정제)가 대기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2). 대기하고 있지 않으면, 분할 로울러(23)를 정제의 두께에 대응한 일정위치에 이동시켜(스텝 S53), 재차 벨트 컨베이어(20)를 구동하여(스텝 S54), 이 정제를 더욱 하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반송되는 정제는 순차 적으로 분할 로울러(23)와 (벨트 컨베이어(20)를 개재하여) 분할받침대(39)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분할된다. 그리고, 분리 안내판(40)에 의하여 정제 유지호퍼(25)에 도입된다. 여기서, 일단 벨트 컨베이어(20)를 정지하여(스텝 S55), 반 정제 유지 검출센서(25a)에 의하여 정제 유지호퍼(25)내에 반 정제(1개)가 공급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56). 공급되어 있다면 다음의 스텝으로 이행하고, 공급되어 있지 않으면, 예컨대, 부저(buzzer)나 램프 등으로 이상상태라는 뜻을 통보한다(스텝 S57).
그후, 상기 정제 유지호퍼(25)내의 반 정제를 정제 수집장치(47)에 수집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8). 정제 유지호퍼(25)의 하방에 위치하는 정제 수집실(49)내에 이미 반 정제가 수용되어 있다면, 정제 수집장치(47)를 구동하여(스텝 S59), 투입할 수 있는 정제 수집실(49)을 위치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투입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면, 두 정제 유지호퍼(25)의 셔터(46)를 개방하여, 그속에 수용한 반 정제를 반 정제 수집장치(47)의 정제 수집실(49)로 낙하시킨다(스텝 S60).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공급부(1)에 인출 형식을 사용하였으나 드럼식 등의 다른 형식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중요한 것은 정제를 종류별로 수용할 수 있고, 소요수량씩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좋다.
예컨대, 도 20는 상기 정제 공급부(1)에 드럼 형식의 것을 적용하였을 경우 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형식의 정제 공급부(1)는 정제 공급기(8)가 도우넛 형상으로 배설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내주측의 정제 공급기(8)와, 외주측의 정제 공급기(8)와의 사이에는 정제 배출로(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럼 형식의 것에서는, 1정 그대로 정제 포장부(4)에 공급하는 경우, 하방에 배설된 호퍼(16)에서 회수하는 한편, 반 정제로 절단하는 경우, 전술한 호퍼(16)의 상방에 이 호퍼(16)와는 별도로 설치된 안내호퍼(19)에서 회수하여, 정제 절단부(2)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1정 그대로의 경우와, 반 정제로 절단하는 경우에, 정제 공급기(8)로부터 별도(동시)로 정제의 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머지 반 정제를 반 정제 보관장치(48)로 보관하도록 하였으나,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하지 않고 파기상자(52)에 파기하도록하면, 반 정제 보관장치(48)는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수용부(1)에서 정제 절단부(2)로 1정씩 정제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아트 피이더(parts feeder)(53)를 설치하도록 하면, 최초에 일정수의 정제를 정제 수용부(1)에서 파아트 피이더(53)로 공급하고, 그후, 1정씩 정제 절단부(2)로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2에서는 밀링커터(22) 및 분할 로울러(23)에 의하여 절단된 반 정제는 회수상자(54)를 사용하여 1개소에서 회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를 1포씩 봉지에 포장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바이알(vial)에 수용(포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정제 저장부(3)의 반 정제 수집장치(47) 및 반 정제 보관장치(48)를 원반형상으로 하였으나, 예컨대, 정제를 수용하는 요(凹)부를 직선상에 병렬 설치한 구성등, 다른형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 정제 수집장치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이 장치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 경우, 정제 절단부(2)에서 절단된 반 정제를 정제 유지호퍼(25)에서 직접 정제 포장부(4)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반 정제의 포장수에 상관없이, 반드시 반 정제를 반 정제 보관장치 (48)에 보관하도록 처리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제용 커터 장치에 의하면, 정제에 절개선을 새겨넣는 커터와, 커터에 의하여 새겨진 절개선으로 정제를 2분할 하는 분할 로울러를 구비하므로, 정제를 무리없이 정확히 2 분할하여 반 정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송수단과 정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므로, 소망의 위치에서 절단할 수 있고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정제 위치 결정부에 정제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에서 정제에 맞닿아 하방으로 압압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정제를 확실히 절단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정확히 2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정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노치 조건으로 정제 절단부를 구동제어하도록 하기 때문에 정제를 무리없이 확실히 2분할 할 수 있다.

Claims (9)

  1. 정제에 절개선을 새겨넣는 커터와,
    상기 커터에 의하여 새겨진 절개선으로 정제를 2분할하는 분할 로울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의 하방 측을 지지하는 분할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할 받침대와 상기 분할 로울러의 사이에 정제를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정제를 상기 커터와 분할 로울러의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정제를 상기 커터의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정제 위치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위치 결정부는 정제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으로부터 정제에 맞닿아서 하방으로 압압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위치 결정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플런저를 돌출시킴으로써, 반송되어 온 정제를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해주는 솔레노이드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로울러는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정제에 형성된 절개선에 대응하는 외주면 중앙부에 안전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받침대는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의 원통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및 분할 로우러를 상방에서부터 덮는 후드, 및 각 후드를 거쳐서 정제로부터 발생한 분체를 흡인하는 클리너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로울러에 의하여 분할된 반 정제를 각각 다른 장소로 안내하는 분리 안내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각 정제의 종류에 따른 노치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공급되는 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기억수단에 기억된 노치조건을 호출하고, 각 노치 조건에 따라서 상기 커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커터 장치.
KR1020040024992A 2004-04-12 2004-04-12 정제용 커터 장치 KR10056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992A KR100563762B1 (ko) 2004-04-12 2004-04-12 정제용 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992A KR100563762B1 (ko) 2004-04-12 2004-04-12 정제용 커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573A Division KR100563763B1 (ko) 1999-04-23 1999-04-23 정제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950A KR20040038950A (ko) 2004-05-08
KR100563762B1 true KR100563762B1 (ko) 2006-03-24

Family

ID=3733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992A KR100563762B1 (ko) 2004-04-12 2004-04-12 정제용 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8788B1 (en) 2021-12-17 2022-10-25 JackLe LLC Handheld compound tester to process a tablet and a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8873B (zh) * 2021-12-20 2024-05-03 南京鑫优伟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儿科用药片精准分割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8788B1 (en) 2021-12-17 2022-10-25 JackLe LLC Handheld compound tester to process a tablet and a method thereof
US11577239B1 (en) 2021-12-17 2023-02-14 JackLe LLC Handheld compound tester to process a tablet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950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3061B2 (ja) 錠剤包装装置
US6488192B1 (en) Tablet cutting apparatus
KR101213339B1 (ko) 정제 충전 장치
JP4580296B2 (ja) 薬品取出装置
US7861491B2 (en) Medicine dispensing/packaging apparatus
EP2082718B1 (en) Tablet distribution apparatus for auxiliary tray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04068B1 (ko) 약제 불출 장치
EP3199140B1 (en)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packaging medicine
KR200214791Y1 (ko) 정제자동분포기의정제낙하장치
JP6213642B2 (ja) 錠剤取り出し装置、錠剤取り出し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92477B2 (en) Medicine feeding device
CN1724310A (zh) 药品供给装置
KR101443888B1 (ko) 정제 자동 디스펜싱 장치
KR20010050821A (ko) 정제 공급기
KR100563762B1 (ko) 정제용 커터 장치
KR100563763B1 (ko) 정제 포장장치
JPH0623018A (ja) 回転錠剤機から排出される錠剤を取り出し搬送する装置
EP0900734B1 (en) Deblistering machine
AU2015347385B2 (en) A pharmaceutical deblister apparatus
KR101942864B1 (ko) 테이블 게임의 카드 폐기 장치
JP3590775B2 (ja) 錠剤切断装置
KR20130089203A (ko)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JP4278259B2 (ja) 薬剤分割包装装置
KR820001176B1 (ko) 일회용 주사침기에 주사침을 삽입시키는 장치
CN113306804B (zh) 一种小包通道烟盒补包装置及具有该装置的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