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463B1 - 폴리페놀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페놀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463B1
KR100560463B1 KR1020007003771A KR20007003771A KR100560463B1 KR 100560463 B1 KR100560463 B1 KR 100560463B1 KR 1020007003771 A KR1020007003771 A KR 1020007003771A KR 20007003771 A KR20007003771 A KR 20007003771A KR 100560463 B1 KR100560463 B1 KR 10056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henol
protected
substituted
mono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986A (ko
Inventor
레오 제이. 쥬니어. 로만직
알란 피. 코지코와스키
워너 투크만텔
마크 이. 립만
Original Assignee
마아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아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아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3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6Benzopyran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22,3-Dihydro derivatives, e.g. flava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5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 C07D311/6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5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 C07D311/6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6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3, e.g. anthocyanid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개의 모노머 유니트를 가지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상기 n은 2~18의 정수이다. 이 방법은 보호된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보호된 폴리페놀을 탄소 4 위치가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커플링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된 폴리페놀은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2~17의 모노머 유니트를 가지는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는 같거나 다른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페놀의 합성방법{SYNTHETIC METHODS FOR POLYPHENOLS}
본 발명은 합성 폴리페놀 모노머와 올리고머 및 이들의 유도체들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사용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놀은 다양한 식물들내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매우 다양한 그룹의 화합물들이며(Ferreira, D., Steynbery, J.P. Roux, D.G.와 Brandt, E.V., Tetrahedron, 48, (10), 1743-1803(1992)), 이들 중 몇가지는 먹이 연쇄(food chain)내로 들어간다. 많은 경우에, 이들은 인간의 식이에 있어서 중요한 부류의 화합물로서 나타난다. 어떤 폴리페놀들은 비영양소로서 여겨지지만, 이들의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로 인해 이들 화합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로서, 케르세틴(quercetin)(플라보노이드)은 동물실험 연구에서 항발암물질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Deschner, E.E., Ruperto, J., Wong, G와 Newmark, H.L., Carcinogenesis, 7, 1193~1196(1991) 및 Kato, R., Nakadate, T., Yamamoto, S.와 Sugimura, T., Carcinogenesis, 4, 1301~1305(1983)). (+)-카테킨 과 (-)-에피카테킨(플라반-3-올)은 백혈병 바이러스 역전사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Chu S.-C., Hsieh, Y.-S와 Lim, J,-Y., J. of Natural Products, 55, (2), 179~183(1992)). 또한 노보탄닌(올리고머 가수분해 가능한 탄닌)은 항종 양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Okuda, T., Yoshida, T.와 Hatano, T., 폴리페놀류의 분자구조 및 약제학적 활성-올리고머 가수분해 가능한 탄닌 및 기타 - 폴리페놀류 XⅥ차 국제회의에서 발표됨, 리스본, 포르투갈, 1992.7. 13~16일). 통계 보고서에 의하면 일본의 차 생산지역에서는 위암 사망률이 보다 낮음을 알려주고 있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는 쥐의 피부종양을 억제시키는, 녹차내에 존재하는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물질로 보고되었다(Okuda등, 상기 문헌과 동일). 엘라지(Ellagic) 산 또한 여러 동물 종양 모델에서 항발암성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Boukharta. M., Jalbert, G.와 Castonguay, A., 화학적 암 예방제로서의 엘라지탄닌과 엘라지 산 - 폴리페놀류 XⅥ차 국제회의에서 발표됨, 리스본, 포르투갈, 1992.7. 13~16일). 프로안토시아니딘 올리고머들의 항돌연변이 유발원으로서의 사용은 키코만(Kikkoman)사에 의해 개시되었다(일본특허 제 4-190774호). 식품에서 페놀성 화합물들의 사용 및 동물 실험모델의 종양 전개에서 이들의 조절은 미국화학학회 202차 국내회의에서 최근 소개되었다(식품내의 페놀성 화합물들과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 Ⅰ, 분석, 발견 및 화학, Ho, C.-T., Lee, C.Y.와 Huang, M.-T 편집자들, ACS 심포지움 시리즈 506, 미국화학학회, 워싱톤 D.C.(1992); 식품내 페놀성 화합물들과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 Ⅱ, 산화방지제 및 암의 예방, Huang, M.-T., Ho. C.-T.,와 Lee, C.Y. 편집자들, ACS 심포지움 시리즈 507, 미국화학학회, 워싱톤 D.C.(1992)).
프로시아니딘 폴리페놀, 특히 이들의 고급 올리고머들은 광범위한 종류의 생물학적 활성을 소유한 것으로 최근 알려졌다. 계류중인 U.S 특허출원 제 08/831,245호와 대응 국제출원 PCT/US97/05693호, 1997.4.2일 출원 및 제 08/709,406호, 1996.9.6일 출원, 제 08/631,661호와 대응 국제 특허출원 PCT/US96/04497호, 1996.4.2.일 출원후 현재 포기됨, 그리고, 미국특허 출원 제 08/317,226호, 1994. 10. 3.일 출원, 현재 미국특허 제 5,554,645호를 참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었으며, 이들 문헌은 추출물, 음식물, 약제 및 초콜릿(chocolate) 조성물들내에 존재하는 프로시아니딘 폴리페놀들에 의한 건강상의 다양한 장점들 및 이들 유익한 폴리페놀류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출원 제 08/948,226호, 1997.10.9자 출원에서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의 제조방법, 특히 프로시아니딘 폴리페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다.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비교평가를 위하여, 일정 범위의 프로시아니딘 올리고머를 회수하기 위한 분리, 선별, 정제 및 동정 방법들은 확립되어있다. 예로서, 항암활성은 데카머 프로시아니딘을 통한 펜타머 프로시아니딘에 의해 나타나지만, 테트라머 화합물을 통한 단량체에 의해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큰 규모의 약제학적 및 생체이용성 연구에 충분한 양의 펜타머를 얻기에 만족스럽지 못한, 시간이 걸리는 방법에 의해 순수한(>95%) 펜타머 몇 g이 얻어진다. 유사한 연구를 위하여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들 즉, 헥사머~도데카머들을 g량으로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이는 이들이 천연 생성물내 농도가 펜타머보다 훨씬 낮기 때문이다. 또한, 올리고머 크기가 증가되면 구조적 복합성은 더 증가된다. 올리고머를 포함한 모노머 유니트들의 키랄성(chirality)의 차이, 다 른 인터플라반(interflavan) 결합위치, 인터플라반 결합의 키랄성의 차이, 인터플라반 결합의 동적 회전 이성질화 및 친핵성 중심들에 위치하는 다중 결합부 위치 효율성과 같은 요인들은 연속적인 동정을 위한 기존의 분리 및 정제 방법에 문제점이 된다.
이같은 총괄적인 요인들은,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들의 구조 및 절대적 배열의 명백한 증거를 제시하고, 시험관내 및 생체내 평가를 위하여 구조적으로 명확한 올리고머들을 다량 제공하며, 그리고 이 물질들의 구조-활성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천연의 프로시아니딘의 신규한 구조적 유도체들을 제공하는 합성방법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다량의 어떤 원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할 수 있는 다방면의 합성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커플링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플라바노이드 유니트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a) 다음 구조식을 갖는 보호기로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보호하므로써 적어도 하나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고: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2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R1은 H, OH 또는 OR3;
R과 R3는 독립적으로 보호기들이며;
R2는 할로이다;
(b) 다음 구조식을 갖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관능화시키는 단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3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1은 H, OH 또는 OR3;
R4는 H 또는 R5;
R, R3과 R5는 독립적으로 보호기들이며;
R2는 할로이다;
(c) 폴리페놀 올리고머로서 보호된 폴리페놀 다이머를 만들기 위하여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보호된 폴리폴리페놀 모노머를 커플링하는 단계, 여기에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들은 같거나 또는 다르다; 그리고
(d) n개의 모노머 유니트를 갖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관능화와 커플링 단계를 임의로 반복하는 단계, 여기에서 n은 3~18의 정수이다. e + f가 최소 2인 경우, 할로기(들) R2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즉,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아이오도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신규한 유도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할로겐화는 다음 구조식을 갖는 할로겐화되고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공한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4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1은 H, OH 또는 OR3, R4는 H 또는 R5이며, R, R3와 R5는 독립적으로 보호기들이며, R2는 할로이고, 여기에서 e + f가 최소한 2이면, 할로 치환기는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이같은 할로겐화되고 관능화된 모노머는 이 모노머를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와 커플링시키므로써 할로겐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할로겐화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직접 할로겐화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유도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에스테르화 또는 글리코실화시키므로써 다른 신규한 유도체들을 제조할 수 있다. 유도체화된 올리고머들의 제조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시기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기 전이나 또는 후에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신규의 폴리페놀 모노머들, 신규의 폴리페놀 올리고머들 및 신규의 폴리페놀 모노머 유도체들과 올리고머 유도체들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인간의 유방암 세포주 MDA MB 231에 대하여 대조구(용매 부형제), 모노머(에피카테킨), 펜타머(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됨), ED (합성 에피카테킨 다이머(EC-(4β→8)-EC)) 및 EDDG(합성된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EC-3-0-갈로일-(4β→8)-EC-3-0-갈레이트))간의 여러 ㎍/㎖ 농도에서 투여량-반응관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b)는 인간의 유방암 세포주 MDA MB 435에 대하여 대조구(용매 부형제), 모노머(에피카테킨), 펜타머(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됨), ED(합성 에피카테킨 다이머(EC-(4β→8)-EC)) 및 EDDG(합성된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EC-3-0-갈로일-(4β→8)-EC-3-0-갈레이트))간의 여러 ㎍/㎖ 농도에서 투여량-반응관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c)는 인간의 유방암 세포주 MDA 231에 대하여 대조구(용매 부형제), 모노머(에피카테킨), EGCG(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시그마사 제품), ED(합성된 에피카테킨 다이머(EC-(4β→8)-EC)), EDDG(합성된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 (EC-3-0-갈로일-(4β→8)-EC-3-0-갈레이트)), ECDD(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의 반복합성 (EC-3-0-갈로일-(4β→8)-EC-3-0-갈레이트)) 및 ECTT(합성된 에피카테킨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EC-3-0-갈로일-(4β→8)]2-EC-3-0-갈레이트)간의 여러 ㎍/㎖ 농도에서 투여량-반응관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면 1(d)는 인간의 유방암 세포주 MCF-7에 대하여 대조구(용매 부형제), 모노머(에피카테킨), EGCG(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시그마사 제품), ED(합성된 에피카테킨 다이머(EC-(4β→8)-EC)), EDDG(합성된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 (EC-3-0-갈로일-(4β→8)-EC-3-0-갈레이트)), ECDD(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의 반복합성 (EC-3-0-갈로일-(4β→8)-EC-3-0-갈레이트)) 및 ECTT(합성된 에피카테킨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EC-3-0-갈로일-(4β→8)]2-EC-3-0-갈레이트)간의 여러 ㎍/㎖ 농도에서 투여량-반응관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들과 이들 유도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동일한 용도를 가지며, 1997.4.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 08/831,245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 정제 및 투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예로서 항종양제, 산화방지제, DNA 위상 이성질화효소Ⅱ 억제제, 시클로-산소화 효소 및/또는 리폭시화 효소 조절제(modulator), 일산화 질소 합성효소 조절제의 질소 산화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균제, 세포자멸사(apoptosis) 조절제, 혈소판 응집 조절제, 글루코오즈 조절제 및 산화 DNA 손상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폴리페놀 모노머는 다음 플라바노이드를 기본 구조로한 폴리히드록시-치환된 화합물을 의미하며: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5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이며;
R1은 H 또는 OH이다.
폴리페놀 모노머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치환기들, 또는 히드록시 치환기들의 유도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페놀 올리고머라는 용어는 같거나 다른 플라바노이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일련의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는 올리고머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커플링 또는 결합된 폴리페놀 모노머들이다. 폴리페놀(들)이라는 용어는 프로안토시아니딘과 이들의 유도체들을 포함하며, 특히 코코아 열매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것들과 같은 프로시아니딘과 이들의 유도체 및 구조적으로 유사한 합성물질들 또한 포함한다.
대표적인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6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7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 및 이들의 유도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의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의 합성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8
또는
Figure 112000006886529-pct00009
여기에서,
x는 0~16의 정수;
a는 1~15의 정수;
b는 1~15의 정수;
a + b의 합은 2~17의 정수;
c는 독립적으로 1~3의 정수;
d는 독립적으로 1~4의 정수;
e는 독립적으로 0~2의 정수;
f는 독립적으로 0~2의 정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 성분이며, 또는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메틸렌,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 메틸렌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C3~C 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수소, 히드록시, -0-글리코시드, -0-치환된 글리코시드, -0C(0)-아릴, -OC(O)-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또는 -0C(0)-치환된 스티릴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0)-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또는 -C(O)-치환된 스티릴에 의해 치환되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릴, 아미노,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과 C3~C8 시클로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R2는 할로이며, 여기에서 만일 e + f가 최소한 2이면, 상기 할로 치환기는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제 1의 폴리페놀 모노머를 C-4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에 충분한 조건에 적용시키는 단계와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같거나 다른 17개까지의 모노머 유니트를 가지는 올리고머와 C-4 관능화된 모노머를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들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과 이들의 유도체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올리고머 화합물들은 n개의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n은 2∼18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2∼5, 또는 4∼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은 3~1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n은 5∼12이며, 4→6 및 4→8의 연결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상기 구조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에서 x는 0∼16이고, 더 높을 수도 있다. x가 0일 때, 올리고머는 "다이머"; x가 1일 때, 올리고머는 "트라이머"; x가 2일 때, 올리고머는 "테트라머"; x가 3이면, 올리고머는 "펜타머"이고; x가 16일 때 올리고머를 "옥타데카머"라 하는 것과 같이, 이와같은 명명방식으로 x 16까지, 16 및 그 이상을 포함하는 올리고머에 대해 명명할 수 있다.
선형 및 분지형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보호, 관능화, 커플링 및 탈보호 반응을 포함하는 순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각 반응순서에서,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어떤 폴리페놀 모노머를 같거나 다른 폴리페놀 모노머들의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된 올리고머들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올리고머들은 다이머, 트라이머 또는 보다 고급의 올리머를 추가의 모노머와 커플링시키는 커플링 단계를 반복하므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의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적어도 제 1과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합한 페놀 보호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여기에서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들은 같거나 다른 플라바노이드 화합물일 수 있으며;
(b)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제 1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관능화시키는 단계;
(c)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관능화된 폴리페놀을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커플링시키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올리고머는 보호된 폴리페놀 다이머이다.
이같이 제조된 폴리페놀 다이머는 제 1과 제 2의 모노머 유니트로서 커플링된 제 1과 제 2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만들기 위해 관능화 단계 및 커플링 단계를 반복실시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올리고머들은 n개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n은 3~18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5∼12의 정수이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에 의해 계속될 수 있다:
(a) 제 3의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제 3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관능화시키는 단계;
(b) 보호된 폴리페놀 트라이머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관능화된 제 3의 폴리페놀 모노머를 보호된 폴리페놀 다이머와 커플링시키는 단계;
(c) n개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관능화 단계 및 커플링 단계를 임의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여기에서 n은 4∼18의 정수이다. 제 1, 제 2, 제 3의 폴리페놀 모노머들은 같거나 또는 다른 플라바노이드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적합한 보호기들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들의 라세미화 또는 변질 없이 폴리페놀 모노머들 및 올리고머들로부터 도입 및 제거될 수 있으며, 관능화 및 커플링 반응들에 사용되는 조건에 안정한 보호기들을 포함한다. 히드록실기들의 보호 및 탈보호 방법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유기합성에서의 보호기들" T.W. Greene, John Wiley & Sons에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페놀 모노머들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들을 보호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보호기들은 벤질, C1~C4 알킬, 치환된 벤질, 알킬 실릴, 아릴 실릴 또는 C1~C6 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릴실릴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보호기 또는 치환된 아릴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과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페놀 모노머가 인접한 두개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호기들은 메틸렌,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디페닐메틸렌 보호기의 치환된 페닐기들 각각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아릴이라는 용어는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또는 치환된 나프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나프틸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기는 비보호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또는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유도체화 하여 유도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적합한 페놀 보호기를 사용하여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 여기에서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들은 같거나 또는 다른 플라바노이드 화합물일 수 있으며;
(b) 4-위치가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화제를 사용하여 제 1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산화적으로 관능화시키고;
(c)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촉매를 사용하여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커플링하는 단계;
(d)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임의적으로 탈보호화시키는 단계.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에서의 산화적 관능화로 다음 구조식을 갖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조한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0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1는 H, OH 또는 OR3;
R4는 H 또는 R5;
R, R3와 R5는 독립적으로 보호기이며;
R2는 할로이다.
e 또는 f가 1 또는 2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할로 치환기들의 도입 전에 상기 모노머의 관능화가 선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중요한 변형은 올리고머-생성 커플링 반응에 사용되는 산화적으로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생성이다. 이 모노머의 고순도가 양호한 순도를 지닌 올리고머 생성물을 얻는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리하게는, 저급 알킬 알코올들 대신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한 4-알콕시 폴리페놀 모노머의 생성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쉽게 정제될 수 있는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사용은 산화되지 않은 페놀 및 부산물들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할 수 없거나, 분리가 어려운 4-알콕시 폴리페놀 모노머들을 제공하고, 올리고머-생성 커플링 반응에서 만족스럽게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생성하는데 유용한 실질적으로 순수한 4(2-히드록시에틸)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제공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퀴논-타입 산화제는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다른 중요한 변형은 산화적으로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로의 커플링이다. 커플링 반응은 양자성 산(protic acid) 촉매 또는 루이스산 촉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염산(HCl)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양자성 산이다. 염산의 특히 유리한 형태는 디옥산 중의 무수용액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리한 예시적인 루이스산 촉매는 티타늄 테트라할라이드(예,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알루미늄 트리할라이드(예, 알루미늄 트리클로라이드), 보론 트리할라이드(예,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 트리알킬 또는 트리아릴 실릴 화합물들(예, 트리메틸 실릴 트리플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리한 예시적인 산화제들은 퀴논 타입의 산화제들 및 금속 아세테이트 산화제(예, 레드(lead) 테트라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제 1과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벤질 에테르 보호기를 사용하여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여기에서 제 1과 제 2의 페놀성 모노머들은 같거나 다른 플라바노이드 화합물들일 수 있으며;
(b) 다음 구조식을 갖는 4-알콕시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디올 존재하에서 퀴논 산화제를 사용하여 제 1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산화적으로 관능화하는 단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1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은 보호기이며;
R1는 H 또는 OH이다;
(c)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자성 산 촉매 또는 루이스산 촉매를 사용하여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커플링하는 단계;
(d)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탈보호시키는 단계.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 1과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벤질 에테르 보호기를 사용하여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b) 다음 구조식을 갖는 4-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의 존재하에서,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을 사용하여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산화적으로 관능화하는 단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2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R1은 H 또는 OH이고;
Bz는 벤질 성분을 나타낸다;
(c)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제 1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제 2의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커플링하는 단계;
(d)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탈보호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은 신규의 유도체화된 올리고머들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며, 여기에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적어도 하나의 보호되지 않은 히드록실기는 각각 에스테르 또는 글리코실 에테르 유도체를 생성하기 위하여 에스테르화 또는 글리코실화 기술을 사용하여 유도체화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되고 에스테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에스테르화를 포함하는 유도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는 보호되고, 또한 본 발명은 에스테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생성하기 위하여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에스테르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로, 보호되고 에스테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보호기들은 에스테르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올리고머의 글리코실 에테르 유도체를 생성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글리코실화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는 글리코실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도록 보호되며, 또한 본 발명은 글리코실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위하여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글리코실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로, 보호된 글리코실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보호기들은 글리코실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글리코실 에테르류의 에스테르 유도체들은 글리코실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를 에스테르화 시키므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페놀 올리고머 에스테르 유도체들은 반응성 히드록실 성분을 갖는 올리고머를 활성화된 산으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활성화된 산은 히드록실 성분과의 반응에 대해 활성화된 카르복실 성분을 갖는 유기산이다. 활성화된 산은 산 클로라이드, 산 무수물, 혼합 산 무수물 등과 같은 분리될 수 있는 화합물이거나, 또는 산을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DCC), 카보닐 디-이미다졸 등으로 처리하므로써 원 위치에서(in situ) 제조될 수 있다.
폴리페놀 올리고머 글리코시드들은 Toshima, K.,; Tatsuta, K. Chem. Rev., 93, 1503~1531(1993), Igarashi, K, Adv. Carbobydr. Chem. Biochem., 34, 243(1997) 및 D. Kahne 등, J. Am. Chem. Soc., 11, 6881(1989)에 설명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모노머 글루코시드를 만들기 위하여 Funayama 등에 의해 설명된 절차에 따라서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EC.2.4.1.19, CGTase)를 사용하여 모노머 처리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M. Funayama, H. Arakawa, R. Yamamoto, T. Nishino, T. Shin과 S. Murao, Biosci. Biotech. Biochem., 58, (5), 817~821(1994)).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모노머 유니트 2~18개를 포함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에스테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기 위하여 에스테르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올리고머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유니트상의 3-히드록실기는 에스테르로 전환되고, 여기에서 에스테르 성분은 -OC(O)아릴, -OC(0)-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OC(0)-치환된 스티릴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성분, -(0)-치환된 아릴과 -C(0)-치환된 스티릴은 카페익(caffeic)산, 신나믹(cinnamic)산, 쿠마릭(coumaric)산, 페루릭(ferulic)산, 갈릭산, 히드록시벤조익산 및 시나픽(sinapic)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으 로부터 유도된다.
부가적으로, 2∼18개의 모노머 유니트를 포함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글리코실화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글리코실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올리고머의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유니트상의 3-히드록실기는 글리코실에테르로 전환되고, 여기에서 글리코실 성분은 -0-글리코시드 또는 -0-치환된 글리코시드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0)아릴, -C(0)-치환된 아릴, -C(0)-스티릴, 또는 -C(0)-치환된 스티릴로 치환된다;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리코시드 성분은 글루코오즈, 갈락토오즈, 자일로오즈, 람노오즈 및 아라비노오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들,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들 및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의 할로겐화 방법을 제공한다.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는 다음 구조식을 가지며: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3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R과 R3은 독립적으로 보호기이며;
R1는 H, OH 또는 OR3이고;
R2는 할로이다;
모노머의 할로겐화가 일어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할로겐화제로 폴리페놀 모노머를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e와 f는 0이다. 할로기는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아이오도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일 수 있다. 이들 중 브로모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할로겐화제들은 N-브로모숙신이미드, 아세틸하이포플루오라이트, 세슘 플루오르옥시설페이트, 트리플루오로메틸 하이포플루오라이트, N-플루오로피리디늄 염들, 1-클로로메틸-4-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탄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설퍼릴클로라이드/디페닐설파이드(루이스산 존재하에서), 소듐, 칼슘 또는 tert-부틸 하이포클로라이트, 트리메틸(페닐)암모늄 테트라클로로아이오데이트(Ⅲ), 테트라에틸암모늄 트리클로라이드, 아이오다인/퍼아이오다인 산, 아이오다인/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아이오다인/구리(Ⅱ)아세테이트, 아이오다인/실버 설페이트, 벤질트리메틸암모늄 디클로로아이오데이트(Ⅰ)등을 포함한다. 카테킨류의 다른 브롬화제들은 Ballenegger 등, (Zyma SA) 유럽특허 제 0096 00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또다른 본 발명의 구체예는, 할로겐화되고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로 다음의 구조식을 가지며: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4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1는 H, OH 또는 R3;
R4는 H 또는 R5;
R, R3와 R5는 독립적으로 보호기이며;
R2는 할로이다;
모노머의 할로겐화가 일어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할로겐화제로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e와 f는 0이다. e + f가 최소 2일 때, R2의 할로기(들)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아이오도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할로겐 치환기들을 폴리페놀 모노머내에 도입시킬 수 있다. 예로서, 폴리페놀 모노머는 할로겐화 치환기를 도입시키기위하여 첫번째 할로겐화 반응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R2)e에서 e는 1이고 R2는 브로모이다. 그 후 이같이 할로겐화된 모노머는 다른 할로겐 치환기를 도입시키기위하여 두번째 할로겐화 반응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R2)e에서 e는 2이고, R2는 브로모와 플루오로이다. 유사하게, 할로겐화 반응은 (R2)f에서 다른 할로겐 치환기들을 도입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알콕시-히드록실기들의 하나 또는 두개 모두 할로겐화 반응전에 보호기, R3, R5들로써 보호될 수 있으며, 다음 구조식을 갖는 모노머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5
예시적인 알코올-히드록실 보호기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보호기들(R)이며, 이들은 페놀성 히드록실 성분들을 보호하는데 유용하다. 알코올-히드록실 성분들(R3 또는 R5)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호기는 페놀성 히드록실 성분들(R)을 보호하는데 사용된 보호기와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 모노머의 3-위치에 있는 알코올-히드록실 성분은 알킬-실릴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 디메틸실릴 보호기를 사용하여 보호될 수 있다. 임의로, 알코올-히드록실 보호기(들)은 할로겐화 반응후에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로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에 커플링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히드록실 보호기는 보호기의 제거가 할로겐 치환기의 제거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예로서, 벤질 보호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벤질화-브롬화된 모노머의 가수소분해반응(hydrogenolysis)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모두를 탈-벤질화 및 탈-브롬화 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보호기(들)과 할로겐 치환기(들)은 보호, 할로겐화, 커플링 및 탈보호 단계 동안에 유리하게 제거되거나 유지될 수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것이라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할로겐화 반응 동안 사용되는 할로겐화제 양을 제한하므로써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할로겐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들을 선택적으로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할로겐화제 약 1당량을 사용하므로써 모노-할로겐화된 모노머들을 생성할 수 있는 반면 할로겐화제를 3당량 사용하므로써 트리-브로모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들과 트리-브로모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들을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 반응의 위치화학(regiochemistry)은 출발 폴리페놀 모노머의 치환패턴, 특히 출발 플라바노이드 화합물의 히드록실 치환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예로서,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들),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모노-브롬화는 이들 플라바노이드의 8-브로모 유도체들을 제공한다. 보호된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디-브롬화는 6,8-디 브로모 생성물들을 제조한다. 보호된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트리-브롬화는 6,8,6'-트리브로모 생성물들을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여기에서 설명된 어떠한 폴리페놀 모노머들 또는 올리고머들 또는 이들 모두는 임의로 할로겐화되어 신규의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또는 올리고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모노, 디- 또는 트리-할로겐화된,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는 신규의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개시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와 커플링될 수 있다. 할로겐화된,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할로겐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할로겐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와 커플링하므로써 다른 신규의 할로겐화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제조한다. 할로겐화되고 관능화된 모노머를 8-할로겐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와 커플링하므로써 (4α→6) 또는 (4β→6) 커플링되거나 또는 분지된 올리고머들이 만들어진다. 이같이 분지된 화합물들의 생성은 할로겐화되고 보호된 모노머 또는 할로겐화되고 보호된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실기상의 보호기들이 입체장애로 인해 반응을 저해하지 않을 때에만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벤질과 같이 입체적으로 큰 보호기들이 할로겐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상에 존재시에는, 커플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들의 커플링은 분지된 화합물을 제공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제조된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화합물들은 브롬화된 폴리페놀 화합물들이다. 선택적으로,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선택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직접적인 할로겐화에 의해서도 또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다음 구조식을 갖는 유도체화되거나 또는 비유도체화된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들이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6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이고;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7
여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y는 2~6의 정수;
그리고, 위의 각 구조식에서 R은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C1~C 6 알킬 및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 또는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메틸렌,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 8 시클로알킬,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수소, 히드록시, -O-글리코시드, -O-치환된 글리코시드, -OC(O)-아릴, -OC(O)-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OC(O)-치환된 스티릴이고;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O)-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C(O)-치환된 스티릴에 의해 치환되고;
R2는 할로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폴리페놀 모노머들을 커플링시키므로써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는 보호되며,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만들기 위하여, 제 1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b) 블록킹된 폴리페놀을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폴리페놀의 6- 또는 8-위치를 치환하는 단계, 여기에서 폴리페놀은 보호된 모노머 또는 보호된 올리고머이며;
(c)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블록킹된 폴리페놀로서 상기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커플링시키는 단계;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가 블록킹된 폴리페놀의 6-위치에 커플링되도록, 블록킹된 폴리페놀의 8-위치가 치환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들은 정제될 수 있으며, 예로서, 화합물들이나 이들의 조합물들은 실질적으로 순수할 수 있으며; 예로서, 겉보기에 균질하도록 정제될 수 있다. 순도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화합물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들의 분리 및 정제를 예시하는 수많은 예들이 있으며, 예시된 방법들에 의하여 당업자들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얻을 수 있거나 또는 겉보기에 균일하도록 이들을 정제할 수 있다(예. HPLC에 의한 순도측정: 단일 크로마토그래피 피크의 관찰). 여기에서 정의된 실질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적어도 약 40% 순도이며, 예로서, 적어도 약 50% 순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 순도, 예로서, 적어도 약 70% 순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80% 순도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 순도이며, 90% 이상, 예로서 90~95% 순도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또는 더 순수하여 95% 이상, 예로서 95~98% 순수하다.
또한, 올리고머들의 입체이성질체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올리고머의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상에 있는 치환기들의 입체화학은 이들의 상대적인 입체화학 용어 즉, "알파/베타" 또는 "시스/트랜스" 또는 절대적 입체화학 용어 "R/S"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알파"(α)는 치환기가 플라반 링의 면 아래에 배향된 것을 의미하는 반면, "베타"(β)는 치환기가 링의 면 위에 배향된 것을 의미한다. 용어 "시스"는 두개 치환기들이 링의 같은 방향측에 배향되는 것을 의미하며, 반면에 "트랜스"는 두개의 치환기들이 링의 반대측 상에 배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R과 S는 입체중심에 대하여 치환기들의 배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입체중심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있는 원자들의 원자번호에 따라 기들(groups)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을 기초로 한다. 예로서, 플라바노이드 화합물 (+)-카테킨은 (2R, 트랜스)-2-(3',4'-디히드록시페닐)-3,4-디하이드로-2H-1-벤조-피란-3,5,7-트리올 또는 (2R, 3S)-플라반-3,3',4',5,7-펜타놀로 정의될 수 있다. 인터플라반(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 결합은 상대적 용어 α/β 또는 시스/트랜스로써 종종 특징화되며; 인터플라반 결합의 상대적인 입체화학을 명시하기 위하여 α/β가 여기에서 사용된다.
선형 및 분지형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어떤 폴리페놀 모노머는 같거나 또는 다른 플라바노이드 구조들을 갖는 모노머 유니트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올리고머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올리고머들을 포함한 모노머 유니트들 간의 가능한 연결은 상단(T), 중간(M), 접합부(J) 및 하단(B) 연결로써 구별된다.
선형 펜타머와 분지형 펜타머의 대표적인 예들을 아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8
모노머 유니트의 4 위치와 인접한 모노머 유니트의 6과 8 위치 사이에는 다 수의 입체화학적 연결 또는 결합 배향이 존재한다; 모노머 유니트들 사이의 입체화학적 연결들은 여기서는 선형 올리고머들에 대하여 (4α→6)이나 (4β→6) 또는 (4α→8)이나 (4β→8)을 나타낸다. 탄소위치 4에 대한 인터플라반 결합에서의 입체화학적 차이 외에도, 탄소위치 2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질 수 있으며, 탄소위치 3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질 수 있다(예, (-)-에피카테킨 또는 (+)-카테킨). 분지된 또는 연합된 모노머 유니트에 대한 연결에 있어서, 입체화학적 연결들은 (6→4α) 또는 (6→4β) 또는 (8→4α) 또는 (8→4β)이다. 하나의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예. C 또는 EC)가 다른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예. EC 또는 C)에 연결될때, 연결들은 바람직하게는 (4α→6) 또는 (4α→8)이다. 또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의 위치이성질체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당업자는 올리고머 내의 수많은 결합의 회전은 입체적 장애, 특히, 올리고머가 벤질기 같은 것으로 치환된 경우에 입체 장해로 인하여 제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모든 가능한 위치 이성질체들과 입체 이성질체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의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위치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19
여기에서,
x는 0~16의 정수;
c는 독립적으로 1~3의 정수;
d는 독립적으로 1~4의 정수;
R은 독립적으로 C1~C4의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및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이거나 또는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1~C6 시클로알킬,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O-글리코시드, -O-치환된 글리코시드, -OC(O)-아릴, -OC(O)-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OC(O)-치환된 스티릴이며; 여기에서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O)-아릴, 치환된 -C(O)-아릴, -C(O)-스티릴, 치환된 -C(O)-스티릴에 의해 치환되고;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폴리페놀 모노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는 보호되며, 이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선택된 입체화학을 갖는 제 1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b) 선택된 위치화학을 갖는 다이머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선택된 입체화학을 갖는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와 커플링시키는 단계;
(c) 상기 다이머를 정제하는 단계;
(d) x가 1이면, 선택된 입체화학을 갖는 제 3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e) 선택된 위치화학을 갖는 트라이머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다이머를 선택된 입체화학을 갖는 상기 관능화된 제 3의 폴리페놀 모노머와 커플링하는 단계;
(f) 상기 트라이머를 정제하는 단계;
(g) x가 1보다 크면, 상기 언급된 단계들에 의하여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상기 트라이머와 연속적인 고급의 올리고머들에 연속적으로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다음 구조식을 가진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0
여기에서 탄소위치 2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며;
탄소위치 3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고;
탄소위치 4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며;
여기에서:
c는 독립적으로 1~3의 정수;
d는 독립적으로 1~4의 정수;
x는 0~16이고;
R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및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 또는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고,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히드록시, -O-글리코시드, -O-치환된 글리코시드, -OC(O)-아릴, -OC(O)-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또는 -OC(O)-치환된 스티릴이고; 여기에서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O)-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또는 -C(O)-치환된 스티릴에 의해 치환되고;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1
여기에서 m은 1~3의 정수;
n은 1~4의 정수;
R은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및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 또는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고,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 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H 또는 OH이고;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2
여기에서,
m은 1~3의 정수;
n은 1~4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은 독립적으로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및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이거나,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H 또는 OH이고;
보호된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단계;
(b)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탈보호시키는 단계.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프로시아니딘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만들기 위하여 보호기로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b)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3
여기에서
y는 2~6의 정수;
R은 보호기;
R1은 수소이고;
(c)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과 커플링시키는 단계.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n개의 모노머 유니트를 포함하는 프로시아니딘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n은 2~18의 정수이고, 이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만들기 위하여,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하는 단계;
(b)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4
여기에서
y는 2~6의 정수;
R은 보호기;
R1은 수소이고;
(c)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과 커플링시키는 단계, 여기에서 n은 2;
(d)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여기에서 n은 2;
(e) n이 3인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n이 2인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과 커플링시키는 단계;
(f)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여기에서 n은 3;
(g) n이 4~18인,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만들기 위하여, n이 3 또는 그 이상인,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과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임의로 반복하는 단계;
(h) n이 4~18인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유리하게는,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는 벤질 에테르 보호기로써 보호되며, y는 2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을 가진 프로시아니딘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5
여기에서, 탄소위치 2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며;
탄소위치 3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갖고;
탄소위치 4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 화학을 가지며;
m은 0~16;
R은 수소;
R1은 수소이며;
이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벤질화된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갖는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6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7
상기 구조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8
Figure 112000006886529-pct00029
상기 구조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여기에서 y는 2~6의 정수;
(b)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벤질화된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탈보호하는 단계.
또한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을 갖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0
여기에서, 탄소위치 2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며;
탄소위치 3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고;
탄소위치 4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갖는다;
m은 1~16;
R은 수소;
R1은 수소이며;
이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1
여기에서 탄소위치 2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며;
탄소위치 3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고;
탄소위치 4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을 가지며;
p는 0~15;
R은 독립적으로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및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이거나 또는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R1은 수소, 글리코시드, 치환된 글리코시드, -C(O)-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C(O)-치환된 스티릴이며; 여기에서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O)-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C(O)-치환된 스티릴에 의해 치환되며; 여기에서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 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을 아래 구조식의 화합물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2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3
여기에서, m= p + 1이다.
플라바노이드 화합물들, (+)-카테킨과 (-)-에피카테킨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의 유형들을 예시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된다. 인접한 폴리페놀 모노머 유니트들, (+)-카테킨과 (-)-에피카테킨은 각각 약자로 C와 EC로 나타내며, 이들 사이의 연결은 위치 4에서 위치 6까지 또는 위치 4에서 위치 8까지이며; 모노머의 4 위치와 인접 모노머 유니트들의 6과 8위치 사이의 연결은 여기에서 (4→6) 또는 (4→8)로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화합물들의 예는 다이머, EC-(4β→8)-EC와 EC-(4β→6)-EC, 여기에서 EC-(4β→8)-EC가 바람직하며; 트라이머 [EC-(4β→8)]2-EC, [EC-(4β→8)]2-C와 [EC-(4β→6)]2-EC, 여기에서 [EC-(4β→8)]2-EC가 바람직하고; 테트라머 [EC-(4β→8)]3-EC, [EC-(4β→8)]3-C와 [EC-(4β→8)]2-EC(4β→6)-C, 여기에서 [EC-(4β→8)]3-EC가 바람직하며; 펜타머 [EC-(4β→8)]4-EC, [EC-(4β→8)]3-EC-(4β→6)-EC, [EC-(4β→8)]3-EC-(4β→8)-C와 [EC-(4β→8)]3-EC-(4β→6)-C, 여기에서 [EC-(4β→8)]4-EC가 바람직하다.
분지된 트라이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4
가 있으며;
분지된 테트라머의 예로는,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5
;와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6
;를 포함하며
분지된 펜타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7
이 있다;
부가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들은 또한 헥사머~도데카머를 포함하며, 이들의 예를 아래에 열거하였다:
헥사머, 여기에서 하나의 모노머(C 또는 EC)는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5-EC, [EC-(4β→8)]4-EC-(4β→6)-EC, [EC-(4β→8)]4-EC(4β→8)-C 및 [EC-(4β→8)]4-EC-(4β→6)-C; 이들 중 [EC-(4β→8)]5-EC 가 바람직하며; 분지된 헥사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8
이 있다;
헵타머, 여기에서 2개의 모노머 유니트(C 및/또는 EC)의 어떤 가능한 조합은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6-EC, [EC-(4β→8)]5-EC-(4β→6)-EC, [EC-(4β→8)]5-EC(4β→8)-C 및 [EC-(4β→8)]5-EC-(4β→6)-C;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헵타머는 [EC-(4β→8)]6-EC이며; 분지된 헵타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39
이 있다;
옥타머, 여기에서 3개의 모노머 유니트(C 및/또는 EC)의 어떤 가능한 조합은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7-EC, [EC-(4β→8)]6-EC-(4β→6)-EC, [EC-(4β→8)]6-EC(4β→8)-C 및 [EC-(4β→8)]6-EC-(4β→6)-C;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옥타머는 [EC-(4β→8)]7-EC이며; 분지된 옥타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0
이 있다;
노나머, 여기에서 4개의 모노머 유니트(C 및/또는 EC)의 어떤 가능한 조합은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8-EC, [EC-(4β→8)]7-EC-(4β→6)-EC, [EC-(4β→8)]7-EC(4β→8)-C 및 [EC-(4β→8)]7-EC-(4β→6)-C;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노나머는 [EC-(4β→8)]8-EC이며; 분지된 노나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1
이 있다;
데카머, 여기에서 5개의 모노머 유니트의 어떤 가능한 조합(C 및/또는 EC)은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들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9-EC, [EC-(4β→8)]8-EC-(4β→6)-EC, [EC-(4β→8)]8-EC(4β→8)-C, 및 [EC-(4β→8)]8- EC-(4β→6)-C;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데카머는 [EC-(4β→8)]9-EC; 분지된 데카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2
이 있다;
운데카머에서는 6개 모노머 유니트(C 및/또는 EC)의 어떤 가능한 조합이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들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10-EC, [EC-(4β→8)]9-EC-(4β→6)-EC, [EC-(4β→8)]9-EC-(4β→8)-C, 및 [EC-(4β→8)]9-EC-(4β→6)-C;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운데카머는 [EC-(4β→8)]10-EC; 분지된 운데카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3
이 있다;
도데카머에서는 7개 모노머 유니트(C 및/또는 EC)의 어떤 가능한 조합이 상기 열거한 펜타머 화합물들에 연결되며, 예로서 [EC-(4β→8)]11-EC, [EC-(4β→8)]10-EC-(4β→6)-EC, [EC-(4β→8)]10-EC-(4β→8)-C, 및 [EC-(4β→8)]10 -EC-(4β→6)-C;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도데카머는 [EC-(4β→8)]11-EC; 분지된 도데카머의 예로,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4
이 있다;
상기 언급된 리스트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종류의 화합물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화합물들의 완전한 리스트로서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x=2~16을 가지는 올리고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된 반응순서를 과다한 실험을 하지 않고도 최종단계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합반응을 위한 출발물질로서 다이머 및/또는 트라이머를 사용하므로써 x=2~16인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들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유도된 생성물들은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결합반응에 대한 출발물질로서 연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과다한 실험을 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시약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개시된 본 발명 및 당 기술분야의 지식, 예로서 모노머 및 폴리머성 화합물의 세심한 역합성 분석에 기초하여 과도한 실험없이도 추가적인 합성경로들을 구체화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로서, 유기금속 중간체를 거친 폴리페놀 모노머들의 커플링이 K.Weinges 등, Chem. Ber. 103, 2344~2349 (1970)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선형 및 분지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은 L.Y. Foo와 R.W. Hemingway, J. Chem. Soc., Chem. Commun., 85~86(1984); J.J. Botha 등, J. Chem. Soc., Perkin I, 1235~1245(1981); J.J. Botha 등; J. Chem. Soc. Perkin I, 527~533(1982), 및 H. Kolodziej, Phytochemistry 25, 1209~1215(1986)에 설명된 조건을 사용하여 직접 산 촉매화된 모노머 폴리페놀 유니트들의 커플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구조식 An을 가진 폴리머 화합물의 바람직한 위치 또는 입체이성질체와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염,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산화 생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A는 다음 구조식의 모노머이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5
여기에서 n은 3~18의 정수이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 A와 추가로 복수의 모노머 유니트가 존재한다;
R은 3-(α)-OH, 3-(β)-OH, 3-(α)-O-당(sugar) 또는 3-(β)-O-당;
4 위치와 6 또는 8 위치사이에서 인접 모노머들의 결합이 일어나며;
4 위치내의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성질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에 대해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의 결합은 4 위치에서 일어나고 임의적으로 Y=Z=수소라는 전제하에서, X, Y 및 Z는 모노머 유니트 A, 수소, 당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당은 임의적으로 페놀성 성분으로 치환되며;
상기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제 1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b) 다이머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와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다이머를 정제하는 단계;
(d) 제 3의 폴리페놀 모노머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e) 트라이머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관능화된 제 3의 폴리페놀 모노머를 상기 다이머와 반응시키는 단계;
(f) 상기 트라이머를 정제하는 단계;
(g) 상기 언급한 단계들에 의해 계속적으로 상기 트라이머에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 및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들을 연속하여 첨가하는 단계; 및
(h) 유도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해 보호되거나 또는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임의적으로 유도체화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n은 5이며, 당은 글루코오즈, 갈락토오즈, 자일로오즈, 람노오즈 및 아라비노오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페놀성 기는 카페익산, 신나믹산, 쿠마릭산, 페루릭산, 갈릭산, 히드록시벤조익산 및 시나픽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구조식 An을 가진 폴리머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염,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산화 생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여기에서 A는 다음 구조식의 모노머이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6
여기에서,
n은 3~18의 정수이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 A와 추가로 복수의 모노머 유니트가 존재한다;
R은 3-(α)-OH, 3-(β)-OH, 3-(α)-O-당(sugar) 또는 3-(β)-O-당;
4 위치와 6 또는 8 위치 사이에서 인접 모노머들의 결합이 일어나며;
4 위치내의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성질을 가지며;
X, Y 및 Z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에 대해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의 결합은 4 위치에서 일어나고 임의적으로 Y=Z=수소라는 전제하에서 모노머 유니트 A, 수소, 당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당은 임의적으로 페놀성 작용기로 치환되며;
상기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기로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b)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이들의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c)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결합시키는 단계;
(d)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들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e) 유도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유도체를 임의적으로 유도체화하는 단계.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구조식 An을 가지는 폴리머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염,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산화 생성물에 대한 것으로, 여기에서 A는 다음 구조식의 모노머이다: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7
여기에서,
n은 3~18의 정수이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 A와 추가로 복수의 모노머 유니트가 존재한다;
R은 3-(α)-OH, 3-(β)-OH, 3-(α)-O-당 또는 3-(β)-O-당;
4 위치와 6 또는 8 위치 사이에서 인접 모노머들의 결합이 일어나며;
4 위치내의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성질을 가지며;
X, Y 및 Z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에 대해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의 결합은 4 위치에서 일어나고 임의적으로 Y=Z=수소라는 전제하에서 모노머 유니트 A, 수소, 당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당은 임의적으로 페놀성 작용기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n은 5이며, 상기 당은 글루코오즈, 갈락토오즈, 자일로오즈, 람노오즈 및 아라비노오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페놀성 작용기는 카페익산, 신나믹산, 쿠마릭산, 페루릭산, 갈릭산, 히드록시벤조익산 및 시나픽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실질적으로는 순수한 것이며, 겉보기에 균질하도록 정제된 것이 바람직하다.
페놀성 히드록실기들 중 하나 이상이 벤질화된 화합물의 유도체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인접한 모노머들은 (4→6) 또는 (4→8)에 의해 4 위치에서 결합이 가능하며; X와 Y가 인접한 모노머들이고 Z는 H 또는 당인 경우와 X와 Z가 인접한 모노머이고 Y는 H 또는 당인 경우, 그리고 두개의 말단 모노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인접한 모노머의 결합은 4 위치에서 일어나고 임의적으로 Y=Z=수소라는 조건하에서, X, Y 및 Z 각각은 H, 당 또는 인접한 모노머이다.
하나 이상의 모노머 유니트들은 말단 모노머 유니트의 3 위치를 포함하며, 갈레이트 또는 β-D-글루코오즈를 가지고 유도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들은 단일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다른 폴리페놀 모노머들의 반복된 모노머 유니트들을 포함한 선형 또는 분지된 올리고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대상 화합물의 페놀 특성으로 인해, 폴리페놀 올리고머들을 제조하는 추가적 합성방법에 따라 유기합성 화학분야에서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표준 반응들과 더불어, 당업자는 페놀성 커플링, 선택적 보호/탈보호, 유기금속 첨가 및 예로서 수렴성, 선형 또는 생체측정성(biomimetic) 접근에서 광화학적 반응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점에서, 다음을 참고문헌으로 하였다: W.Carruthers, Some Modern Methods of Organic Synthesis, 3r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및 J.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3rd Ed., John Wiley & Sons, 1985, van Rensburg 등, J. Chem. Soc. Chem. Commun. 24: 2705~2706(1996.12.21), Ballenegger 등, (Zyma SA) 유럽특허 0096 007 B1, 이들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동위원소 표지, 예로서 듀테리움 및 트리튬을 폴리페놀 올리고머 내로 포함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폴리페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D2O 및 CD3CN내에 용해될 수 있으며, H-D 교환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약간 가열될 수 있다(이 반응은 트리튬을 분자내로 포함시키기 위하여 T2O 와 CH3CN을 사용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듀테리움 또는 트리튬은 M.C. Pierre 등, Tetrahedron Letters 38, (32), 5639~5642(1997) 또는 E. Keihlmann 등, Can. J. Chem. 26, 2431~2439(1988)의 방법을 사용하여 포함될 수 있다. 폴리페놀 올리고머내로 듀테리움 또는 트리튬 원자를 포함시키는 것은 섭취후 폴리페놀 화합물의 물질대사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들과 이들의 유도체들은 용도가 동일하며, 제조, 정제되어 1997.4.2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831,245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8
항암제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 는 치료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Figure 112000006886529-pct00049
항암제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8과 10에서는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와 트리머 트리스갈레이트의 제조방법을 각각 설명하고 있다. 몇몇 인간 유방암 세포주들에 대한 시험관내 평가인 실시예 25에서 이들은 펜타머와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전에는 불활성으로 알았던 프로시아니딘 다이머들과 트라이머의 갈레이션이 실질적으로 이들 올리고머들의 항종양성 활성을 증가시켜주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다. 따라서, 올리고머들의 갈레이션은 1997.4.2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831,245호에서 개시된 용도에 매우 유용한 화합물들을 생성한다. 또한, 다음 표에서 1997.4.2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831,245호에서 개시된 용도에 유용한 갈레이트된 올리고머들의 예를 열거하였다.
표: 갈레이트된 프로시아니딘 올리고머들
EC-3-O-갈로일-(4β→8)-EC-3-O-갈레이트
C-3-O-갈로일-(4α→8)-EC-3-O-갈레이트
C-3-O-갈로일-(4α→8)-C
EC-(4β→8)-EC-3-O-갈레이트
C-(4α→8)-EC-3-O-갈레이트
EC-3-O-갈로일-(4β→8)-C
EC-(4β→8)-EC-3-O-β-D-글루코오즈-4,6-비스갈레이트
[EC-3-O-갈로일-(4β→8)]2-EC-3-O-갈레이트
[EC-3-O-갈로일-(4β→8)]3-EC-3-O-갈레이트
[EC-(4β→8)]4-EC-3-O-갈레이트
[EC-(4β→8)]5-EC-3-O-갈레이트
[EC-(4β→8)]6-EC-3-O-갈레이트
[EC-(4β→8)]7-EC-3-O-갈레이트
[EC-(4β→8)]8-EC-3-O-갈레이트
[EC-(4β→8)]9-EC-3-O-갈레이트
[EC-(4β→8)]10-EC-3-O-갈레이트
[EC-(4β→8)]11-EC-3-O-갈레이트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들을 예시하기위한 의도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되기 위해서, 광범위한 식들 및 화합물들을 이론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들을 다룬 이들 실시예들에 많은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예증하기 위하여 (+)-카테킨과 (-)-에피카테킨을 예시적인 폴리페놀 모노머로서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피카테킨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보호된 에피카테킨은 보호된 (+)-카테킨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실시예 3).
실시예 1
(2R, 3S, 트랜스)-5,7,3',4'-테트라-O-벤질카테킨의 제조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720㎖)에 용해시킨 (+)-카테킨(65.8g, 226.7 m㏖, 무수화물) 용액을 상온에서 80분동안에 걸쳐 60% 오일과 DMF(180㎖)중의 수산화나트륨(39g, 975m㏖, 4.3당량)의 교반된 현탁액에 적가하였다(S. Miura, 등, Radioisotopes, 32, 225~230(1983)). 50분동안 교반한 후, 상기 용액이 담긴 플라스크를 -10℃의 NaCl/얼음조에 넣었다. 벤질 브로마이드(121㎖, 1.02㏖, 4.5당량)를 80분 내에 적가하고, 이 갈색의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덥혔다. 결과의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사탕같은 형태의 결과의 고체물을 가열, 교반하며 200㎖의 클로로포름(CHCl3)과 100㎖의 물의 두 부분을 포함한 용매내에 용해시켰다. 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CHCl3(20㎖)로 추출하고, 혼합 유기상은 물(100㎖)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켰다. 진공상태에서 증발 후 건조시킨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42×10㎝; 에틸아세테이트/클로로포름/헥산 1:12:7)로써 정제하여 85g의 조생성물을 얻었으며, 이를 트리클로로에틸렌(1.3L)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35.1g(24%)의 회백색 분말을 얻었다. 1H NMR(CDCl3) δ7.47~7.25(m, 20 H), 7.03(s, 1 H), 6.95(s, 2 H), 6.27, 6.21(ABq, 2 H, J=2 ㎐), 5.18(s, 2 H), 5.17(좁은 ABq, 2 H), 5.03(s, 2 H), 4.99(s, 2 H), 4.63(d, 1 H, J=8.5 ㎐), 4.00(m, 1 H), 3.11, 2.65(ABq, 2 H, J=16.5 ㎐, 두 부분의 d는 각각 J=5.5 및 9 ㎐), 1.59(d, 1 H, J=3.5 ㎐); IR(필름) 3440(br), 1618, 1593, 1513, 1499, 1144, 1116, 733, 696 ㎝-1; MS m/z 650(M+, 0.5%), 319, 181, 91.
선택적으로, 테트라-O-벤질 (+)-카테킨은 DMF내의 포타슘 카보네이트와 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H. Kawamoto 등, Mokazai Gakkaishi, 37, (5) 488~493 (1991)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M.C. Pierre 등, Tetrahedron Letters, 38, (32) 5639~5642(1997)에 의해 2-와 3-위치 모두에서 카테킨의 부분적인 라세미화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2R)-5,7,3',4' 테트라키스(벤질옥시)플라반-3-온의 제조
금방 제조된 데스-마틴 페리오디난(periodinane)(39.0g, 92m㏖, D.B. Dess와 J.C. Martin의 방법에 의해 제조됨, J. Am. Chem. Soc. 113, 7277~7278 (1991) 및 R.E. Ireland와 L. Liu, J. Org. Chem. 58, 2899(1993))을 상온에서 실시예 1에 따른 메틸렌 클로라이드(420㎖)내의 테트라-O-벤질카테킨(54.4g, 83.8m㏖)의 교반된 용액에 한번에 첨가하였다. 약 30㎖의 물로 포화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1.5시간 내에 상기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여 탁한 호박색의 용액을 제조하였다(S.D. Meyer와 S.L. Schreiber, J. Org. Chem., 59, 7549~7552(1994)). 20분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소듐 카보네이트의 포화 용액(NaHCO3, 500㎖)과 10%의 Na2S2O3ㆍ5H2O(200㎖) 수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50㎖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은 실리카 겔을 통과하여 여과시켰다(24×9㎝; 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 9:1). 용리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 건조시켜 50.1g(92%)의 케톤을 얻었 으며, 이를 클로로포름/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정제하였다: 녹는점 144~144.5℃; [α]D + 38.5。, [α]546 + 48.7。(클로로포름, c 20.8 g/L); 1H NMR(CDCl 3) δ7.45~7.26(m, 20 H), 6.96(s, 1 H), 6.88, 6.86(ABq, 2 H, J=8 ㎐, J=1.5 ㎐인 B 부분 d), 6.35(좁은 ABq, 2 H), 5.24(s, 1 H), 5.14(s, 2 H), 5.10(좁은 ABq, 2 H), 5.02(s, 2 H), 5.01(s, 2 H), 3.61, 3.45(ABq, 2 H, J=21.5 ㎐).
실시예 3
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의 제조
이하 THF로 명명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내의 리튬 트리-세크-부틸보로하이드라이드 1M 용액(워싱턴주, 밀워키 소재의 Aldrich Chemical Co, Inc.에 의해 판매되는 L-Selectride
Figure 112000006886529-pct00050
, 100㎖)을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100㎖의 무수 THF내의 0℃의 리튬 브로마이드, LiBr(34.9g, 402m㏖)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결과의 혼합물을 아세톤/CO2조를 이용하여 -78℃로 냉각시키고, 실시예 2에 따른 400㎖ 무수 THF내에 의 플라바논(50.1g, 77.2m㏖)을 5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78℃에서 135분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2.5M의 수상 소듐 하이드록사이드(NaOH) 360㎖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상온의 수조에 넣고 35% 수상 H2O2(90㎖)와 에탄올(270㎖)의 혼합물을 1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하룻밤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클로로포름(700㎖)을 첨가하여 결정화된 생성물을 용해시키고, 상을 분리하여 수상은 CHCl3(50㎖)로 추출하고 혼합 유기상은 MgSO4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56.6g의 조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물질을 600㎖의 에틸 아세테이트(EtOAc)와 에탄올(EtOH)의 끓는 혼합물(2:3)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결정화시킨 후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생성물을 흡입여과하여 분리하고 2×50㎖의 찬(-20℃) EtOAc/EtOH(1:3)로 세척한 후, 먼저 상온에서, 그 후 8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35.4g(70%)의 밝은 황색의 고체를 얻었다. 증발시킨 상기 모액(mother liquor)을 실리카 겔 SiO2, (14×6.5㎝, CHCl3, 그 후 CHCl3/EtOAc 12:1)로 여과시키고, 용리액을 40㎖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60㎖ 에탄올로 희석하여 황색빛의 고체로서 O-벤질에피카테킨 5.5g(11%)을 추가로 얻었다: 녹는점 129.5~130℃(EtOAc/EtOH로부터); [α]D -27.7。, [α]546 -33.4。(EtOAc, c 21.6 g/L); 1H NMR(CDCl3) δ7.48~7.25(m, 20 H), 7.14(s, 1 H), 7.00, 6.97(ABq, 2 H, J=8.5 ㎐, A/d J=1.5 ㎐), 6.27(s, 2 H), 5.19(s, 2 H), 5.18(s, 2 H), 5.02(s, 2 H), 5.01(s, 2H), 4.91(s, 1 H), 4.21(br s, 1 H), 3.00, 2.92(ABq, 2 H, J=17.5 ㎐, 두 부분의 d 각각 J=1.5 및 4 ㎐), 1.66(d, I H, J=5.5 ㎐); C43H38O 6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79.36; H, 5.89. 실험치: C, 79.12: H, 5.99.
실시예 4
(2R,3S,4S)-5,7,3',4'-테트라-O-벤질-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의 제조
에틸렌 글리콜(6.4㎖, 115m㏖, 5.8당량)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실시예 3에 따른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130㎖내의 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12.75g, 19.6m㏖) 용액에 첨가하고,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 8.9g, 39.2m㏖, 2.0당량)을 강하게 교반하며 한번에 첨가하였다(J.A. Steenkamp, 등, Tetrahedron Letters, 26, (25) 3045~3048(1985)). 약 2시간 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4.8g, 39.2m㏖)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진녹색의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추가로 5분간 교반한 후, 실리카 겔 100g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11×6.5㎝)의 맨 위에 넣고 EtOAc/헥산(1:1)으로 용리시켰으며, 상기 용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결과의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39×10㎝, EtOAc/헥산(1:2), 그 후 EtOAc/헥산(2:3))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재정제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발포체(foam) 또는 고체로서 벤질-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을 얻었으며, 이를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 시켜 7.3g(52%)을 얻었다: 녹는점 120~121℃; 1H NMR(CDCl3) δ7.48~7.26(m, 20 H), 7.14(d, J=1.5 ㎐), 7.02, 6.97(ABq, 2 H, J=8 ㎐, A/d J=1.5 ㎐), 6.29, 6.26(ABq, 2 H, J=2 ㎐), 5.19(s, 2 H), 5.17(s, 2 H), 5.10(s, 1 H), 5.08, 5.02(ABq, 2 H, 일부는 밝혀지지 않음), 5.00(s, 2 H), 4.59(d, 1 H, J=2.5 ㎐), 3.95(br, 1 H), 3.82~3.74(m, 1 H), 3.72~3.57(m, 3H), 2.17(br, 1 H), 1.64(d, 1 H, J=5.5 ㎐); IR(필름) 3450(br), 1616, 1592, 1512, 1152, 1114, 735, 697 ㎝-1. C45H42O8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76.04; H, 5.96. 실험결과: C, 76.57; H, 6.02.
실시예 5
O-벤질에피카테킨(4β→8) 올리고머의 제조
실시예 4(3.28g, 4.6m㏖)에 따른 벤질-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의 냉각(0℃), 교반된 용액과 실시예 3에 따른 무수 THF(40㎖)와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50㎖)내의 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12.0g, 18.4m㏖)을 적가하고, 10분 후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메틸렌 클로라이드내의 1M TiCl4 4.6㎖)를 적가하였다(H. Kawamoto 등, Mokazai Gakkaishi, 37,(5) 448~493(1991)). 결과의 호박색 용액을 얼음조에서 5분간 교반한 후 상온에서 90분간 교반하였다. 포화된 수성 NaHCO3 30㎖와 물 100㎖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결과의 pH: 8). 이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2×20㎖)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들을 50㎖의 물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이 결과 분홍색 고체가 생성되었으며, 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에 녹이고 상온에 방치하였다. 상기 고체를 여과하여 3×15㎖의 CH2Cl2/헥산(1:1)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6.1g의 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6.1g을 얻었다. 증발시킨 모액으로부터,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45×5.2㎝)로써 올리고머들을 분리해내었다. CH2Cl2/헥산/EtOAc(13:13:1)로 용리시켜 추가의 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4.9g과 조생의 O-벤질다이머 2.17g을 회수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헥산/EtOAc(10:10:1)을 사용하 여 다이머의 용리를 완료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헥산/EtOAc(8:8:1~6:6:1)을 사용하여 조생의 O-벤질 트라이머(trimer) 0.98g과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들 0.59g이 용리되었다. 용리액으로써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이소옥탄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의 분취용 HPLC로써 상기 다이머와 트라이머를 더 정제하였다. UV 검출기로 265㎚ 또는 280㎚에서 피크(peak)를 검출하였다. 트라이머: MS(MALDI-TOF, DHBA 매트릭스) m/z(M + H+) 1949.4; C129H110O18에 대한 계산치: 1947.8; (M + Na+) 1971.2; C129H110O18Na에 대한 계산치: 1969.8; (M + K+) 1988.3; C129H110O18K에 대한 계산치: 1985.7.
실시예 6
에피카테킨 다이머의 제조
실시예 5에 따른 0.5㎖의 에틸 아세테이트 내에 있는 O-벤질-다이머(22.3㎎, 17.2μ㏖)의 용액에 메탄올 2㎖와 10% Pd/C 7.2㎎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bar의 H2하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면(cotton)으로 걸렀다. 거르고 남은 잔여물을 메탄올로 세척하고 혼합 여과액은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의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벤질화된 물질이 존재함을 알아내었다. 촉매량을 17.5㎎으로 증가시키고 시간을 3.7시간으로 늘려, 상기 방법과 같이 되풀이하였다. 조생의 폴리페놀 다이머(9.6㎎)를 분취용 HPLC(C18 역상컬럼 물/메탄올(85:15)에 0.5%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265㎚에서 검출)로 정제시켜 무정형 필름으로서 4.5㎎의(45%)의 폴리페놀 다이 머를 얻었다. 1H NMR (300 ㎒, 아세톤-d6/D2O 3:1 (v/v), TMS) δ7.19(br, 1 H), 7.01(중복 s + br, 2 H), 6.86~6.65(m, 4 H), 6.03(br, 3 H), 5.10(br, 1 H), 5.00(br, 1 H), 4.69(br, 1 H), 3.97(s, 1 H), 2.92, 2.76(br ABq, 2 H, J=17 ㎐); MS (MALDI-TOF, DHBA 매트릭스) m/z (M + K+) 616.8; C30H26O12K에 대한 계산치 617.1; (M + Na+) 600.8; C30H26O12Na에 대한 계산치: 601.1.
실시예 7
O-벤질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의 제조
트리-O-벤질 갈린산(38㎎, 87μ㏖, 5당량)의 용액에, 메틸렌클로라이드(0.6㎖)내의 DMF(1㎕)와 옥살릴 클로라이드(15㎕, 172μ㏖, 10당량)를 첨가하였다. 결과의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약 1시간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트리-O-벤질 갈로일 클로라이드를 제조하였다. 무수 피리딘(0.5㎖)내에 존재하는 실시예 5에 따른 트리-O-벤질 다이머(22.5㎎, 17.3μ㏖)의 용액을 상온에서 상기 조생의 갈로일 클로라이드에 첨가하고, 결과의 혼합물을 44.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20㎕의 물을 첨가한 후, 2.5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하고, 5%의 HCl 10㎖를 첨가하였다. 결과의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3×5㎖)로 추출하고, 합해진 유기상은 Mg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키고, EtOAc/CHCl3(1:19)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하여 여과시키므로써 정제하였다. 용리액을 농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무색의 필름으로서 36.0㎎(97%)의 O-벤질 다이머 비스갈레이트를 얻었다: [α]D -53.3。, [α]546 -65.6。(CH2Cl2, c 15.7 g/l); IR(필름) 1720, 1591, 1498, 1428, 1196, 1112, 736, 696 ㎝-1; MS(MALDI-TOF, DHBA 매트릭스) m/z (M + K+) 2181.8; C142H 118O20K에 대한 계산치 2181.8; (M + Na+) 2165.9; C142H118O20Na에 대한 계산치: 2165.8
실시예 8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의 제조
THF 4㎖에 있는 실시예 7에 따른 O-벤질 다이머 비스갈레이트(33.8㎎, 15.8μ㏖)의 용액에, 메탄올 4㎖, 물 0.2㎖ 그리고 20% Pd(OH)2/C 42㎎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bar의 H2하에서 75분간 교반하여 면으로 여과하였다. 여과 잔류물은 2.2㎖의 메탄올/H2O(10:1)로 세척하고 혼합 여과액은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14.2㎎의 황색빛의 무정형 조생성물을 제조하였다. 7.2㎎을 분취하여 분취용 HPLC(실리카 겔,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280㎚에서 검출)로써 정제하여 소량의 에탄올과 아세트산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었던 탁한 분홍색 유리질의 폴리페놀 다이머 비스갈레이트 5.0㎎(71%)을 얻었다: 1H NMR (아세톤-d6/D2O 3:1 v/v, TMS, 대부분의 시그널은 넓었음) δ7.08(s, 2 H, 샤프(sharp)), 7.1~6.7(m, 7 H), 6.66(d, 1 H, 샤프, J=8 ㎐), 6.17(s, 1 H), 5.94(s, 2 H), 5.70(s, 1 H), 5.49(s, 1 H), 5.44(s, 1 H), 4.9(매우 넓음, 1 H), 4.80(s, 1 H), 3.08, 2.88(ABq, 2 H, J=17 ㎐, A/d, J=4 ㎐); MS (MALDI-TOF, DHBA 매트릭스) m/z (M + Na+) 904.9; C44H34O 20Na에 대한 계산치 905.2.
실시예 9
O-벤질에피카테킨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의 제조방법
실시예 7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5에 따른 O-벤질 트라이머로부터, HPLC(조건: 실리카 겔,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280㎚)로 정제 후 78%의 수율로 O-벤질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를 얻었다; 1H NMR: 매우 복잡함; IR(필름) 3031, 1719, 1594, 1498, 1428, 1116, 735, 696 ㎝-1.
실시예 10
에피카테킨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의 제조방법
실시예 8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9에 따른 O-벤질 트라이머 트리스 갈레이트로부터, HPLC(C18 역상으로 A내 15~25%의 B 구배, 여기서 A는 물내의 0.5부피%의 아세트산(AcOH)이며, B는 에탄올 내의 0.5부피% AcOH; 280㎚)로 정제 후, 60%의 수율로 폴리페놀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를 얻었다; 1H NMR(300㎒, D2O/아세톤-d6 1:3(v/v) δ7.10(s, 2 H), 7.1~6.88(m, 7 H), 6.82~6.70(m, 3 H), 6.68~6.60.
실시예 11
8-브로모-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의 제조
방법 A: 무수 CH2Cl2 4㎖내의 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116㎎(178μ㏖)의 용액에 얼음으로 냉각하고 교반시키면서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32㎎를 첨가하였다. 0℃에서 100분동안 교반을 계속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은 CHCl3/EtOAc(25: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15×1.8㎝)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CHCl3/에탄올로부터 결정화시켜 무색의 면솜같은 고체 110㎎(85%)을 얻었다. 녹는점 137.5℃; [α]D -50.4。, [α]546 -60.7。(c 17.3 g/l, EtOAc); 1H NMR(300㎒, CDCl3, TMS) δ7.5~7.25(m, 20 H), 7.23(d, 1 H, J=1.5 ㎐), 7.03, 6.98(ABq, 2 H, J=8.5 ㎐, A/d J=1 ㎐), 6.25(s, 1 H), 5.22(s, 2 H), 5.19(s, 2H), 5.11(s, 2 H), 5.02, 4.96(ABq, 2H, J=9 ㎐), 4.98(s, 1 H), 4.27(br s, 1 H), 3.04, 2.90(ABq, 2 H, J=17.5 ㎐, 두 부분의 d 각각 J= 1.5 및 4 ㎐), 1.58(d, 1 H, J=4,5 ㎐); 13C NMR(75 ㎒, CDCl3) δ156.86, 154.79, 151.65, 149.09, 148.73, 137.31, 137.15, 136.77, 136.72, 130.82, 128.67, 128.65, 128.58, 128.56, 128.09, 127.98, 127.87, 127.50, 127.31, 127.25, 127.13, 118.91, 115.17, 113.07, 102.85, 93.07, 78.62, 71.35, 71.20, 70.31, 65.92, 28.00; IR(광유 현탁액) 3571, 1606, 1581, 1518, 1184, 1129, 771, 732, 694㎝-1; MS m/z 399/397(1/1%), 332(1%0), 181(8%), 91(100%), C43H37O6Br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70.78; H 5.11, 시험치: C 70.47; H 5.10.
방법 B: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CH2Cl2 5㎖내의 5,7,3',4'-테트라-8-브로모카테킨 563㎎(771μ㏖)에 데스-마틴 페리오디난 425㎎(1.00m㏖)을 상온에서 단번에 첨가하였다. 물로 포화된 CH2Cl2를 40분 내에 적가하여 약간 탁하게 만들었다. 추가의 20분 후, 포화된 NaHCO3 용액과 Na2S2O 3ㆍ5H2O의 10%의 수용액을 각각 20㎖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상은 3×15㎖의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은 농축시키고 잔여물은 실리카 겔을(20×2.5㎝, 에테르/헥산 1:1) 통하여 여과시켰다. 상기 용리액은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무색의 발포체로서 케톤 522㎎(93%)를 얻었다: 1H NMR (CDCl3 δ7.47~7.25(m, 20 H), 7.04(d, 1 H, J=1 ㎐), 6.85, 6.81(ABq, 2 H, J=8.5 ㎐, B/d J=8.5 ㎐), 3.52, 3.48(ABq, 2H, J=21.5 ㎐); 13C NMR(CDCl3 δ203.99, 155.55, 155.40, 150.68, 148.98, 137.06, 136.90, 136.28, 136.04, 128.64, 128.62, 128.46, 128.41, 128.22, 128.05, 127.78, 127.76, 127.35, 127.17, 127.13, 127.08, 126.99, 118.86, 114.59, 112.43, 103.54, 93.96, 93.87, 82.91, 71.25, 71.04, 70.98, 70.38, 33.30; IR(필름) 1734, 1605, 1513, 1099, 737, 696 ㎝-1.
상기 8.2㎖의 무수 THF내의 조생의 케톤 598㎎(822μ㏖)에 리튬 트리-세크- 부틸보로하이드라이드(L-Selectride
Figure 112000006886529-pct00051
)의 1M 용액 1.23㎖를 10분 내에 적가하였다. -78℃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 후,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TLC"(SiO2, EtOAc/헥산 1:3)으로써 상기 반응 혼합물에서 출발물질은 여전히 감지되었으며, 다른 환원제 1.23㎖를 첨가하였다. 추가의 4시간동안 온도가 점차적으로 -4℃까지 오르게 하는 동안 교반을 계속 하였다. 지속적으로 냉각시키면서 수성 NaOH(2.5M, 6㎖)와 35% 수성 H2O2 4㎖를 첨가하였다; 이 결과 발생된 열은 반응조의 온도를 +12℃까지 상승시켰다. 수조에서 교반을 하룻밤동안 계속하고, 상기 혼합물을 일부 증발시키고 에테르 20㎖와 EtOAc 10㎖를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EtOAc 50㎖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을 증류시키고, 잔여물은 EtOAc/헥산 1:3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23×2.5㎝)에서 정제하여 밝은 황색 발포체로서 327㎎(55%)의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O-메틸에피카테킨 테트라머의 제조
O-메틸에피카테킨 트라이머(실시예 1에서 보호된 모노머인 테트라-O-메틸카테킨을 제조하기 위해 아세톤 내의 메틸 아이오다이드 또는 디메틸 설페이트와 포타슘 카보네이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 따라 제조함)를 실시예 11의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말단 에피카테킨 잔기의 8위치를 브롬화시켰다. 반응 브로모 유도체를 실시예 5에 따른 5,7,3',4'-테트라-O-메틸-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과 반응시켜 보다 고급의 올리고머와 주로 에피카테킨 잔기의 하단 및 중앙부의 6-위치에 부착된 4번째의 에피카테킨 잔기를 갖는 테트라머의 혼합물을 생산하였다. 바람직한 중간산물
Figure 112000006886529-pct00052
은 실시예 11에서와 같이 분취용 HPLC로써 분리시켰다. 정제된 중간산물을 이의 THF 용액으로 저온에서, 바람직하게는 -78℃에서 과량의 알킬리튬, 바람직하게는 n- 또는 tert-부틸리튬과 함께 처리하고, 결과의 산화리튬화(lithiated)된 보호되고 분지된 테트라머의 용액 또는 현탁액에 물 또는 알콜과 같은 약한 양자성 산을 첨가하여 양성자 첨가반응(protonation)을 일으키므로써 탈브롬화시켰다.
실시예 13
O-벤질에피카테킨 테트라머 테트라갈레이트의 제조
실시예 7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12에 따른 O-벤질에피카테킨 테트라머로부터 O-벤질에피카테킨 테트라머 테트라갈레이트를 얻었다.
실시예 14
에피카테킨 테트라머 테트라갈레이트의 제조
실시예 8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에 따른 O-벤질에피카테킨 테트라머로부터 에피카테킨 테트라머 테트라갈레이트를 얻었다.
실시예 15
3,5,7,3',4-펜타-O-벤질-8-브로모에피카테킨
소듐 하이드라이드 53㎎(1.3m㏖) (광유내의 60% 현탁액)에, 무수 DMF 2㎖내 의 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에피카테킨 738㎎(1.01m㏖)을 N2하, 0℃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깨끗한 벤질 브로마이드 0.18㎖(1.5m㏖)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145분간 교반하고 상온에서 5.5시간 교반한 후, 물 0.1㎖를 첨가하였다. SiO2상에서 EtOAc/헥산 1:4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상온 후 80℃)시켜 황색의 유리질로서 생성물 650㎎(78%)를 얻었다: [α]D -52.6。, [α]546 -63.4。(EtOAc, c 17.9 g/l); 1H NMR(CDCl3) δ7.50~7.14(m, 23 H), 6.99(m, 2 H), 6.94, 6.91(ABq, 2 H, J=8.5 ㎐, A/d J=1.5 ㎐), 6.23(s, 1 H), 5.19(s, 2 H), 5.11(s, 5 H), 4.97(S, 2 H), 4.38, 4.30(ABq, 2 H, J=12.5 ㎐), 3.97(좁은 m, 1 H), 2.95, 2.80(ABq, 2 H, J=17 ㎐, 두 부분의 d 각각 J= 3.5 및 4.5 ㎐); 13C NMR(CDCl3) δ156.44, 154.62, 151.94, 148.65, 137.92, 137.41, 137.26, 136.75, 136.71, 131.68, 128.56, 128.53, 128.38, 128.12, 128.00, 127.85, 127.70, 127.62, 127.43, 127.33, 127.25, 127.19, 127.02, 119.15, 114.74, 113.29, 103.40, 93.11, 92.76, 78.06, 72.13, 71.32, 71.26, 71.21, 70.83, 70.22, 24.73; IR(필름) 1605, 1580, 1513, 1454, 1346, 1265, 1125, 1095, 735, 697; IR (필름) 1605, 1580, 1513, 1454, 1346, 1265, 1125, 1095, 735, 697 ㎝-1; C50H43O6Br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73.26; H 5.29, 시험치: C 72.81; H 5.12.
실시예 16
5,7,3'4-테트라-O-벤질-6,8-디브로모에피카테킨
무수 CH2Cl2 10㎖내의 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334㎎(914μ㏖)의 용액에, 재결정화된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192㎎(1.08m㏖)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5분간 교반하고, 상온에서 17시간 교반하였다. 물 5㎖내에 Na2S2O3ㆍ5H2O 200㎎이 포함된 용액을 첨가하였다. 잠깐동안 교반시킨 후에, 상이 분리되면, 수상은 5㎖의 CH2Cl2로 추출하고, 혼합 유기상은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미량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EtOAc/CHCl3/헥산 1:12:7을 사용하고, 그 후 3:12:7을 사용한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30×2.6㎝)를 수행한 후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무색의 발포체 형태로서 디브로마이드 362㎎(87%)를 얻었다: [α]546 -58.2。(EtOAc, c 13.5 g/l); 1H NMR(CDCl3) δ7.64(d, 2 H, J=7 ㎐), 7.52~7.26(m, 18 H), 7.17(s, 1 H), 7.03, 6.97(s, 2 H), 5.20(s, 2 H), 5.17(s, 2 H), 5.03(s, 2 H), 5.01, 4.97(ABq, 2 H, J=11 ㎐), 4.99(s, 1 h), 4.19(좁은 m, 1 H), 3.04, 2.87(ABq, J=17.5 ㎐, 두 부분의 d 각각 J=1.5 및 3.5 ㎐), 1.55(d, 1 H, J=3.5 ㎐); 13C NMR(CDCl3) δ154.43, 152.57, 151.09, 149.03, 148.82, 137.10, 136.94, 136.50, 136.37, 130.13, 128.52, 128.50, 128.48, 128.47, 128.43, 128.35, 128.32, 128.16, 127.82, 127.81, 127.36, 127.20, 118.81, 115.06, 112.91, 112.30, 105.23, 103.25, 78.80, 74.61, 74.55, 71.24, 71.14, 65.33, 28.75; IR(필름) 1734, 1606, 1513, 1369, 1266, 1184, 1113, 1083, 735, 697 ㎝-1; C43H36O6Br 2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63.88; H 4.49, 시험치: C 64.17; H 4.45.
실시예 17
5,7,3'4-테트라-O-벤질-6,8,6'-디브로모에피카테킨
무수 CH2Cl2 26㎖내에 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1.72g(2.65m㏖)이 포함된 용액에, 재결정화된 N-브로모숙신이미드 1.89g(10.6m㏖)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상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물 25㎖내에 Na2S2O3ㆍ5H2O 3g이 포함된 용액을 첨가하였다. 식염수 30㎖, 물 230㎖, CH2Cl2 130㎖를 첨가한 후에야 부분적인 상분리가 일어났다. 잔여 에멀젼은 따로 두고, 수상을 CH2Cl2 100㎖로 추출한 후, 이 유기상과 물 200㎖를 상기 에멀젼과 함께 분리 깔대기에 넣고 흔들어 섞었다. 상분리가 또다시 불완전하여, 남은 에멀젼을 CH2Cl2 100㎖로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혼합 유기상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EtOAc/CHCl3/헥산 1:12:7을 사용하고, 그 후 1:15:4를 사용한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17×4.5㎝)를 수행한 후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밝은 황갈색의 고체로서 트리브로마이드 2.01g(85%)를 얻었다. CHCl3/EtOH로부터 결정화시켜 분석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녹는점 154~156℃; [α]D -112。, [α]546 -135。(EtOAc, c 9.7 g/l); 1H NMR(CDCl3) δ7.66(d, 2 H, 6.5 ㎐), 7.52(d, 2 H, J=6.5 ㎐), 7.48~7.26(m, 17 H), 7.14(s, 1 H), 5.28(s, 1 H), 5.23(s, 2 H), 5.17(s, 2 H), 5.06(s, 2 H), 5.02(s, 2 H), 4.44(좁은 m, 1 H), 3.10, 2.95(ABq, J=17 ㎐, A부분 넓음, B 부분의 d J=4 ㎐), 1.35(d, 1 H, J=4 ㎐); 13C NMR(CDCl3) δ154.54, 152.53, 151.09, 149.15, 148.32, 136.49, 136.44, 136.40, 136.31, 128.72, 128.54, 128.52, 128.48, 128.42, 128.36, 128.33, 128.16, 128.02, 127.89, 127.41, 127.27, 118.84, 114.58, 112.30, 111.42, 105.38, 103.14, 78.61, 74.62, 74.58, 71.46, 70.96, 62.66, 28.99; IR(필름) 1499, 1385, 1367, 1266, 1182, 1109, 1083, 734, 695 ㎝-1; C43H35O6Br3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58.20; H 3.98, 시험치: C 58.52; H 3.80.
실시예 18
(2R, 3S, 4S)-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
방법 A: CH2Cl2 4㎖내에 (2R, 3S, 4S)-5,7,3',4'-테트라-O-벤질-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 202㎎(284 μ㏖)이 포함된 용액에, 재결정화된 N-브로모숙신이미드 51㎎(286 μ㏖)을 -78℃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냉각조에서 해동시키면서 교반하여 65분후에는 0℃가 되었다. 물 1㎖내의 Na2S2O3ㆍ5H 2O 50 ㎎ 용액을 첨가하고, 냉각조를 제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CH2Cl2 5㎖로 추출하였다. 상기 혼합 유기상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EtOAc/헥산 1:1(주 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33×1.6㎝)를 통해 정제하였다. 출발물질과 동등한 농도의 두 성분들을 포함한 혼합 분획물들이 용리되었으며, 원하는 산물을 대부분 포함한 분획물들을 취하였다. 이들 분획물들을 분취용 HPLC(Whatman Partisil 10,500×9.4㎜, EtOAc/헥산 1:1, 5㎖/분, 280㎚에서 검출)에 의해 더 정제하였다. tR이 14.4분인 주요 피크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1H NMR(CDCl3) δ7.49~7.25(m, 20 H), 7.23(d, 1 H, J=1 ㎐), 7.05, 6.98(ABq, 2 H, J=8 ㎐, A부분의 d J=1.5 ㎐), 6.28(s, 1 H), 5.23(s, 3 H), 5.19(s, 2 H), 5.12(s, 2 H), 5.05, 4.99(ABq, 2 H, J=11.5 ㎐), 4.63(d, 1 H, J=3 ㎐), 4.03(br, 1 H), 3.83~3.76(m, 1 H), 3.74~3.56(m, 3 H), 2.11(br, 1 H), 1.57(br, 1 H); 13C NMR(CDCl3) δ158.30, 156.61, 152.17, 149.09, 148.73, 137.18, 137.07, 136.39, 136.02, 130.04, 128.68, 128.61, 128.49, 128.46, 128.33, 127.98, 127.79, 127.60, 127.45, 127.23, 126.93, 118.95, 115.16, 113.24, 103.36, 92.78, 72.05, 71.30, 71.21, 71.09, 70.83, 70.70, 70.23, 67.90, 61.89; IR(필름) 3380(br), 1603, 1577, 1514, 1187, 1130, 1111, 733, 696 ㎝-1.
방법 B: 실시예 19의 무수 THF 0.4㎖내에 녹아있는 비스(TBDMS) 에테르 44.1 ㎎(43.3μ㏖)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용액(THF내 1M) 0.19㎖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막힌 플라스크내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 후 증발시키고 잔여물을 EtOAc/CHCl3/헥산 1:12:7(이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후 1:19:0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15×1.8㎝)를 통해 정제하였다. 진공하에서 용리액을 증발, 건조시켜 무색의 필름으로서 32.7㎎(96%)의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9
(2R,3S,4S)-5,7,3',4'-테트라-O-벤질-3-O-(tert-부틸디메틸실릴)-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에피카테킨
무수 DMF 5㎖내의 (2R,3S,4S)-5,7,3',4'-테트라-O-벤질-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 2.18g(3.07m㏖)과 이미다졸 0.63g(9.2m㏖) 용액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1.30g(8.6m㏖, 2.8당량)을 상온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입구를 막은 플라스크내에서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한 후 EtOAc/헥산 1:6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33×3.7㎝)을 통해 직접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무색의 유리질로서 2.63g(91%)의 생성물을 얻었다: [α]D +3.9。, [α]546 +4.7。(EtOAc, c 9.0 g/l); 1H NMR(CDCl3) δ7.51~7.28(m, 20 H), 7.12(d, 1 H, J=1 ㎐), 6.98, 6.93(ABq, 2 H, J=8 ㎐, A부분 d J=1 ㎐), 6.24, 6.22(ABq, 2 H, J= 2㎐), 5.19, 5.14(ABq, 2 H, 부분적으로 밝혀지지 않음), 5.17(s, 2 H), 5.09~4.96(2 중복 ABq, 4 H), 4.50(d, 1 H, J=3 ㎐), 3.89(br d, 1 H, J=2.5 ㎐), 3.69(m, 4 H), 0.88(s, 9 H), 0.67(s, 9 H), 0.04(s, 3 H), 0.03(s, 3 H), - 0.21(s, 3 H), -0.48(s, 3 H); 13C NMR(CDCl3) δ160.12, 159.39, 156.63, 148.88, 148.30, 137.37, 137.02, 136.83, 132.65, 128.53, 128.49, 128.42, 128.38, 127.94, 127.82, 127.75, 127.67, 127.62, 127.51, 127.33, 127.26, 120.14, 115.28, 114.29, 102.23, 94.28, 93.17, 75.22, 71.5, 71.40, 70.63, 70.32, 70.11, 69.98, 69.61, 62.71, 25.95, 25.59, 18.38, 17.90, -5.10, -5.18, -5.25, -5.40; IR(필름) 2952, 2928, 2855, 1616, 1593, 1257, 1153, 1136, 1108, 835, 777, 735, 696 ㎝-1; C57H70O8Si2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72.88; H 7.51, 시험치: C 73.35; H 7.04.
실시예 20
(2R,3S,4S)-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3-O-(tert-부틸디메틸실릴)-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에피카테킨
CH2Cl2 35㎖내의 (2R,3S,4S)-5,7,3',4'-테트라-O-벤질-3-O-(tert-부틸디메틸실릴)-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에피카테킨 2.61g(2.78m㏖)의 용액에, 재결정화된 N-브로모숙신이미드 500㎎(2.81m㏖)을 -78℃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해동 냉각조내에서 교반하여 6시간 후 +20℃가 되었다. 물 10㎖내에 Na2S2O3ㆍ5H2O 0.5g이 포함된 용액을 첨가하고, 냉각조를 제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CH2Cl2 5㎖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을 농축하고, EtOAc/헥산 1:4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해 여 과시켰다.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무색의 유리질로서 2.72g(96%)의 생성물을 얻었다: [α]D -25.8。, [α]546 -31.6。(EtOAc, c 20.2 g/l); 1H NMR(CDCl 3) δ7.51~7.25(m, 20 H), 7.22(s, 1 H), 6.98, 6.94(ABq, 2 H, J=8 ㎐, A부분 br), 6.22(s, 1 H), 5.30(s, 1 H), 5.19(s, 2 H), 5.17(s, 2 H), 5.11(s, 2 H), 5.06, 4.98(ABq, 2 H, J=12 ㎐), 4.54(d, 1 H, J=3 ㎐), 3.94(br d, 1 H, J=2.5 ㎐), 3.73~3.60(m, 4 H), 0.88(s, 9 H), 0.60(s, 9 H), 0.04(s, 3 H), 0.03(s, 3 H), -0.24(s, 3 H), -0.56(s, 3 H); 13C NMR(CDCl3) δ158.04, 156.11, 152.88, 148.92, 148.05, 137.42, 137.31, 136.62, 136.59, 132.24, 128.59, 128.52, 128.41, 128.37, 128.01, 127.85, 127.69, 127.63, 127.45, 127.31, 127.19, 126.99, 119.46, 115.41, 113.76, 103.75, 92.61, 91.79, 75.78, 71.60, 71.05, 71.03, 70.61, 70.47, 70.14, 69.30, 62.65, 25.94, 25.47, 18.39, 17.90, -5.10, -5.19, -5.50; IR(필름) 2952, 2928, 285, 1605, 1578, 1257, 1186, 1135, 1114, 835, 777, 735, 696 ㎝-1; C57H69O8BrSi2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67.24; H 6.83, 시험치: C 67.35; H 6.57.
실시예 21
(2R,3S,4S)-5,7,3',4'-테트라-O-벤질-6,8,6'-트리브로모-3-O-(tert-부틸디메틸실릴)-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에피카테킨
CH2Cl2 1.2㎖내의 (2R,3S,4S)-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3-O-(tert- 부틸디메틸실릴)-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에피카테킨 96.0㎎(94.3μ㏖)의 용액에, 재결정화된 N-브로모숙신이미드 65㎎(365μ㏖, 3.87당량)을 상온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0.5시간동안 놓아둔 후 물 5㎖내에 Na2S2O3ㆍ5H2O 0.5g이 포함된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CH2Cl2 2×5㎖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을 농축하고, EtOAc/헥산 1:12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34×1.1㎝)을 통해 여과시켰다.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무색의 유리질로서 90.3㎎(81%)의 생성물을 얻었다: [α]546 -74.1。(EtOAc, c 9.0 g/l); 1H NMR(CDCl3) δ7.64(d, 2 H, J=7 ㎐), 7.60(d, 2 H, J=7 ㎐), 7.49~7.28(m, 17 H), 7.13(s, 1 H), 5.62(s, 1 H), 5.24, 4.97(ABq, 2 H, J=11 ㎐), 5.16(s, 4 H), 5.09(s, 2 H), 4.53, 4.43(ABq, 2 H, J=2.5 ㎐, B 부분 br), 3.09~3.81(m, 1 H)), 3.80~3.71(m, 3 H), 0.84(s, 9 H), 0.65(s, 9 H), -0.02(s, 3 H), -0.16(s, 3 H), -0.57(s, 3 H) (TMS와 가장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는 하나의 Si-CH3); 13C NMR(CDCl3) δ156.15, 154.11, 153.92, 148.72, 148.65, 136.90, 136.69, 136.58, 136.38, 129.61, 128.52, 128.50, 128.45, 128.43, 128.32, 128.16, 127.94, 127.91, 127.64, 127.44, 127.33, 119.23, 115.83, 113.33, 110.94, 104.76, 103.01, 75.85, 75.64, 74.56, 71.75, 71.50, 70.89, 70.79, 64.27, 62.55, 25.97, 25.58, 18.44, 17.73, -5.24, -5.30, -5.80; IR(필름) 2927, 2856, 1499, 1360, 1259, 1106, 836 ㎝-1.
실시예 22
(2R,3S,4S)-5,7,3',4'-테트라-O-벤질-6,8,6'-트리브로모-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
무수 THF 0.4㎖내의 비스(TBDMS) 에테르 73.4㎎(62.4μ㏖)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오라이드 용액(THF내 1M) 0.25㎖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입구를 막은 플라스크내에서 2.5시간동안 교반하고, 증발시킨 후 잔여물을 EtOAc/헥산 1:2(이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후 1: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15×1㎝)를 통해 정제하였다. 증발시킨 용리액을 분취용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SiO2, 200×200×2㎜, EtOAc/헥산 1:1)에 의해 더 정제시켜 무색의 필름으로서 44.8㎎(76%)의 생성물을 얻었다:[α]D -81.6。, [α]546 -98.3。(EtOAc, c 10.0 g/l); 1H NMR(CDCl3) δ7.65(d, 2 H, J=6.5 ㎐), 7.54(d, 2 H, J=6.5 ㎐), 7.48~7.24(m, 17 H), 7.13(s, 1 H), 5.57(s, 1 H), 5.24, 5.08(ABq, 2 H, J=11 ㎐), 5.22, 5.18(ABq, 2 H, J=11.5 ㎐), 5.13(s, 2 H), 5.06(s, 2 H), 4.45(d, 1 H, J= ㎐), 4.25(br, 1 H), 3.84~3.76(m, 1 H), 3.72~3.58(m, 3 H), 2.11(br, 1 H), 1.48(br, 1 H); 13C NMR(CDCl3) δ156.24, 154.70, 151.52, 149.24, 148.39, 136.50, 136.38, 136.18, 128.60, 128.58, 128.52, 128.51, 128.49, 128.44, 128.09, 128.06, 128.03, 127.94, 127.46, 127.27, 118.92, 115.03, 112.99, 111.33, 105.40, 103.41, 76.04, 75.08, 74.66, 71.50, 71.08, 71.03, 70.96, 64.12, 61.95; IR(필름) 3500(br), 1580, 1500, 1365, 1262, 1193, 1121, 1097, 736, 696 ㎝-1.
실시예 23
[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3-O-(tert-부틸디메틸실릴)에피카테킨]-(4,8)-(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무수 THF 0.85㎖과 무수 CH2Cl2 1.1㎖내에 (2R, 3S, 4S)-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3-O-(tert-부틸디메틸실릴)-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에피카테킨 97.3㎎(95.6μ㏖)과 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311㎎(478μ㏖, 5당량)을 포함한 용액에, CH2Cl2내의 TiCl4 1M 용액 0.10㎖(0.10m㏖)을 0℃에서 수분을 배제시키며,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140분 후에, 포화된 수성 NaHCO3 5㎖와 CH2Cl2 10㎖를 첨가하고 상을 분리하여 수상을 CH2Cl2 2×10㎖로 추출하였다. 혼합 유기상은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 후, 잔여물을 EtOAc/톨루엔 1:19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시켰다. 진공하에서 증발, 건조시켜 발포체형의 생성물 239㎎을 얻었으며, 이의 성분들은 분취용 HPLC(Whatman Partisil 10, 500×9.4㎜, EtOAc/톨루엔 1:24, 5㎖/분, 290㎚에서 검출)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었다. 이 혼합물 234㎎으로부터 tR 10.3분에서 원하는 생성물 34.8㎎을 얻었다. 추가의 분취용 HPLC에 의해 남은 미량 불순물들을 제거하여 유리질로서 상기 제목 의 화합물 30.3㎎(21%)을 얻었다: [α]D +16.2。 [α]546 +19.4。(EtOAc, c 12.3 g/l); 1H NMR(CDCl3)(두 회전체들(rotamer)) δ7.5~6.7(m), 6.26(s), 6.22(s), 6.14(s), 6.09(s), 5.99(s), 5.52(s), 5.44(s), 5.20~4.71(m), 4.56, 4.37(ABq, J=12.5 ㎐), 4.12(br), 3.90(br s), 3.74(br), 3.03, 2.95(ABq, 작은 회전체, J=17 ㎐, 두 부분의 d 각각 J=2.5와 3.5 ㎐), 2.92. 2.81(ABq, 큰 회전체, J=18 ㎐, B부분 d J=4.5 ㎐), 1.35(s), 0.54(s), 0.50(s), -0.31(s), -0.54(s); IR(필름) 2927, 1603, 1512, 1267, 1111, 734, 696 ㎝-1; MS(ES) m/z 1512.8, 1511.9, 1510.8, 1509.8, 1508.8(M + NH4 +; 13C12C91H91 81BrNO12Si/12C92H91 81BrNO12Si/ 13C12C91H91 79BrNO12Si /12C92H91 79BrNO12Si의 계산치: 1511.5/1510.5/1509.5/1508.5).
실시예 24
(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에피카테킨)-(4,8)-(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방법 A: 무수 THF 0.85㎖와 무수 CH2Cl2 1.1㎖내에 (2R, 3S, 4S)-5,7,3',4'-테트라-O-벤질-8-브로모-4-(2-히드록시에톡시)에피카테킨 78.6㎎(99.5μ㏖)과 5,7,3',4'-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 324㎎(498μ㏖, 5당량)이 포함된 용액에, CH2Cl2내의 TiCl4 1M 용액 0.10㎖(0.10m㏖)을 0℃에서 수분은 배제시키며, 교반하였 다. 상온에서 3.5시간 후에, 포화된 NaHCO3 수용액 3㎖와 CH2Cl2 10㎖를 첨가하고 상을 분리하여 유기상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EtOAc/CHCl3/헥산 1:12:7(대부분 반응하지 않은 테트라-O-벤질에피카테킨을 제거하기 위해)과 1:19:0을 연속적으로 흘려주어 SiO2를 통해 여과시켰다. 증발된 조생성물로부터 분취용 HPLC(Whatman Partisil 10, 500×9.4㎜, EtOAc/헥산 1:4, 5㎖/분, 280㎚에서 검출, tR은 27.5분)를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분리시켜 유리질로서 36.3㎎(26%)을 얻었다.
방법 B: 무수 CH2Cl2 0.9㎖내에 O-벤질화 에피카테킨 4,8-다이머 60.4㎎(46.5μ㏖)이 포함된 용액에, 재결정화된 N-브로모숙신이미드 8.3㎎(47μ㏖)을 -78℃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1.5시간동안 0℃로 해동되도록 두었으며, 그 후 0℃에서 4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의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SiO2, EtOAc/톨루엔 1:9)에서 출발물질(Rf 0.49)이 생성물(Rf 0.43) 옆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동일한 이동성을 지닌 어떤 물질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상기 혼합물을 -40℃로 재냉각하고 NBS 2.2㎎(12μ㏖)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0분 내에 0℃로 녹인 후에, 실시한 이 혼합물의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물 2㎖내에 Na2S2O3ㆍ5H2O 0.1g이 포함된 용액과 함께 상온에서 단시간 교반하므로써 반응은 종결되었다. 상을 분리하고 수상은 CH2Cl2 5㎖로 추 출하였다. 증발, EtOAc/CH2Cl2/헥산 1:6:3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에서 여과, 다시 증발시켜 조생의 혼합물 65㎎을 얻었으며, 이를 분취용 TLC(SiO2, 200×200×2㎜, EtOAc/톨루엔 1:15, 2회 전개)에 의해 분리시키고, 분취용 HPLC(Whatman Partisil 10, 500×9.4㎚, EtOAc/헥산 1:4, 5㎖/분, 280㎚에서 검출)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였다. 이로써 얻은 주요 생성물은 상기에서 얻은 것과 NMR결과가 동일하였다: [α]D, [α]546 +0.6。(EtOAc, c 8.4 g/l); 1H NMR(CDCl3)(두 회전체들) δ7.5~6.8(m), 6.78(d, J=8 ㎐), 6.74(d, J=1 ㎐), 6.34(s), 6.27(dd, J=1, 8 ㎐), 6.19(s), 6.16(s), 6.02(s), 5.56(s), 5.36(s), 5.2~4.95(m), 4.9~4.7(m), 4.60, 4.36(ABq, J=12 ㎐), 4.33(br), 4.11(br), 3.99(s), 3.80(br), 3.08~2.80(2 ABq, 3.04에서 작은 회전체 A 부분, J=17.5 ㎐, B부분은 구분할 수 없었음; 2.96, 2.85에서 큰 회전체, J=18 ㎐, B부분 d J=4.5 ㎐), 1.66(d, J=5 ㎐), 1.58(d, J=5 ㎐), 1.40(d, J=3.5 ㎐), 1.28(부분적으로 용매로부터의 불순물과 중복됨); IR(필름) 1604, 1512, 1266, 1117, 735, 696 ㎝-1; MS(ES) m/z 1398.6, 1397.6, 1396.6, 1395.6, 1394.6(M + NH4 +; 13C12C85H77 81BrNO12Si/12C86H77 81BrNO12/ 13C12C85H77 79BrNO12/ 12C86H77 79BrNO12: 1397.5/1396.5/1395.5/1394.5).
실시예 25
세포독소적 활성
상기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약자로 ECDG)와 에피카테킨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약자로 ECTG)의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활성에 대한 검색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a)~(d)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모든 인간의 종양 세포주들은 미국 세포표본 보관소로부터 얻었다. 항생물질이 없는 10% 태반 소 혈청을 포함한 IMEM내에서 세포들을 단층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들을 37℃의 5% CO2 분위기하에서 촉촉하게 유지시켰다.
트립신을 주입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고 100㎖당 1,000~2,000개의 세포농도로 조절하였다. 세포들을 96개 웰(well)의 마이크로타이터(microtiter) 플레이트에 도말하여(1,000~2,000개 세포/웰) 세포를 증식시켰다. 웰당 100㎕ 세포를 첨가한 후에, 24시간동안 세포들이 부착되게 하였다. 24시간이 되었을 때, 투여량에 따른 반응 결과를 얻기 위해 여러 폴리페놀 유도체들을 다른 농도로 첨가하였다. 폴리페놀들을 2배의 농도로 배지에 용해시키고 각 용액 100㎕를 3개를 한벌로한 웰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날, 플레이트를 50㎕의 크리스탈 바이올렛(2.5g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125㎖의 메탄올, 375㎖의 물에 녹였다)으로 15분간 염색시켰다. 염색약을 제거하고 과량의 염색약을 제거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를 조심스럽게 찬 물에 담갔다. 세척을 2회 이상 반복하고, 플레이트를 건조시켰다. 남은 염색약은 0.1M의 소듐 시트레이트/50% 에탄올 100㎕를 각 웰에 첨가하므로써 용해되었다. 용해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판독기상에서 540㎚에서 세포들의 수를 정량하였다(표준 필터는 410㎚).
4일이 되었을때 암 세포주의 성장을 대조구의 성장 백분율에 따라 도시화하여 막대 그래프로써 도 1(a)~(d)에 나타내었다. 오차막대는 세개의 반복된 측정치의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이 데이타는 모노머(에피카테킨)과 합성 에피카테킨 다이머가 조사된 유방암 세포주들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합성 에피카테킨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와 합성 에피카테킨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는 특히 투여량이 높은 경우, 펜타머(pentamer) 및/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동등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다이머 비스갈레이트와 트라이머 트리스갈레이트가 유도되지 않은 다이머와 트라이머에 비교시, 보다 높은 항종양성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놀라운 발견이다. 이들 결과는 이전에는 불활성으로 알았던 코코아 프로시아니딘 올리고머들의 갈레이션(gallation)이 실질적으로 이 화합물의 항종양성 활성을 증가시켜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이머의 갈레이션은 1997년 4월 2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831,2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용도로 사용시 유리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Claims (43)

  1.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각 유니트가 커플링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가지는 모노머 유니트들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a)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제 1과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기를 사용하여 제 1과 제 2의 폴리페놀 모노머에 있는 각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보호하는 단계:
    Figure 712005503560712-pct00070
    상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R1는 H, OH 또는 OR3;
    R 및 R3은 독립적으로 보호기들이며;
    R2는 할로이다;
    (b) 다음 식을 가지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디올 존재하에서 퀴논-타입 산화제 또는 금속 아세테이트 산화제를 사용하여 제 1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산화시켜 관능화하는 단계:
    Figure 712005503560712-pct00071
    상기에서,
    c는 1~3의 정수;
    d는 1~4의 정수;
    e는 0~2의 정수;
    f는 0~2의 정수;
    y는 2~6의 정수;
    R1은 H, OH 또는 OR3;
    R4는 H 또는 R5;
    R, R3 및 R5는 독립적으로 보호기들이며;
    R2는 할로이다; 그리고
    (c) 폴리페놀 올리고머로서 보호된 폴리페놀 다이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양자성 산 촉매 또는 루이스산 촉매의 존재하에,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를 상기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와 커플링시키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 하나 이상에서 하나 이상의 R2가 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에서의 하나 이상의 R2가 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OR3이거나 R4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내의 R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R3은 알킬 실릴 보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는 브로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는 브롬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브롬화되고 보호된 카테킨인 것을 특징으로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카테킨은 8-브로모에피카테킨 또는 8-브로모카테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카테킨은 6,8,6'-트리브로모-에피카테킨 또는 6,8,6'-트리브로모-카테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화되고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에서의 하나 이상의 R2가 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3~18개의 모노머 유니트를 가지는 할로겐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관능화 및 커플링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는 브로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화되고 관능화된 폴리페놀 모노머는 브롬화되고 관능화된 에피카테킨 또는 브롬화되고 관능화된 카테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카테킨은 8-브로모에피카테킨 또는 8-브로모카테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카테킨은 6,8,6'-트리브로모-에피카테킨 또는 6,8,6'-트리브로모-카테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n은 5~12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할로겐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는 디올 존재하에서 퀴논 산화제를 사용하여 보호된 폴리페놀 모노머의 4-위치를 산화적으로 관능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은 에틸렌 글리콜이고, y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R은 독립적으로 C1~C4의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C1~C6의 알킬 또는 페닐, 치환된 페닐, 나프틸 또는 치환된 나프탈인 아릴 치환기를 포함한 실릴기, 및 c 또는 d가 2 이고 인접한 경우, 메틸렌,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이며, 상기 치환된 벤질,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나프틸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상기와 같이 한정된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들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벤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3. 제 1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모노머 유니트의 3-위치에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에스테르화시키므로써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4. 제 1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글리코실화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모노머 유니트의 3-위치에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글리코실화시키므로써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글리코실화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노머 유니트의 3-위치는 -OC(O)아릴, -OC(O)-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및 -OC(O)-치환된 스티릴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도체 기로 전환되며; 여기서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노머 유니트의 3-위치는 카페익산, 신나믹산, 쿠마릭(coumaric)산, 페루릭(ferulic)산, 갈릭산, 히드록시벤조익산 및 시나픽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으로부터 유도된 유도체 기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노머 유니트의 3-위치는 -O-글리코시드 또는 -O-치환된 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기로 전환되며, 여기에서,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O)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또는 -C(O)-치환된 스티릴로 치환되며; 여기서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시드는 글루코오즈, 갈락토오즈, 자일로오즈, 람노오즈 및 아라비노오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29. 제 1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갖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Figure 712005503560712-pct00072
    상기에서:
    x는 0~16의 정수;
    c는 독립적으로 1~3의 정수;
    d는 독립적으로 1~4의 정수;
    e는 독립적으로 0~2의 정수;
    f는 독립적으로 0~2의 정수;
    R은 수소, C1~C4 알킬, 벤질, 치환된 벤질, C1~C6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실릴기, 및 c 또는 d가 2이고 인접한 경우 메틸렌, 디페닐메틸렌 또는 치환된 디페닐메틸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기이며, 여기에서 상기 치환된 벤질 또는 각 치환된 페닐은 할로, 니트로, 시아노, 페닐, 나프틸, 치환된 페닐 및 치환된 나프틸로부터 선택되는 아릴,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포함하며;
    R1은 수소, O-글리코시드, -O-치환된 글리코시드, -OC(O)아릴, -OC(O)-치환된 아릴, -OC(O)-스티릴 및 -OC(O)-치환된 스티릴; 여기에서 치환된 글리코시드는 -C(O)아릴, -C(O)-치환된 아릴, -C(O)-스티릴, -C(O)-치환된 스티릴에 의해 치환되며; 여기에서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상기 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스티릴은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티올, 메틸렌디옥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킬, C1~C6 할로알콕시, C3~C8 시클로알킬, 및 C3~C8 시클로알콕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들을 포함하며;
    R2는 할로이다.
  30. 삭제
  31. 삭제
  3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페놀 올리고머가 다음 식의 모노머인 A를 가지는 구조식 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염, 및 이들의 갈레이트 및 β-D-글루코오즈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712005503560712-pct00073
    상기에서 n은 3~18의 정수이며, 따라서 하나 이상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 A와 추가로 복수의 모노머 유니트가 존재하고;
    R은 3-(α)-OH, 3-(β)-OH, 3-(α)-O-당(sugar) 또는 3-(β)-O-당;
    4 위치와 6 또는 8 위치사이에서 인접 모노머들의 결합이 일어나며;
    4 위치내의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에 대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입체화학성질을 가지며;
    X, Y 및 Z는 하나 이상의 말단 모노머 유니트와 같이, 추가적인 모노머 유니트의 결합은 4 위치에서 일어나고 임의적으로 Y=Z=수소라는 조건하에서, 모노머 유니트 A, 수소 및 당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당은 임의적으로 페놀기로 치환되며;
    상기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기로 (+)-카테킨 또는 (-)-에피카테킨의 각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보호하는 단계;
    (b)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이들의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4 위치를 관능화하는 단계;
    (c) 보호된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된 (+)-카테킨 또는 보호된 (-)-에피카테킨을 관능화되고 보호된 (+)-카테킨 또는 관능화되고 보호된 (-)-에피카테킨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d)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페놀성 히드록실기들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33. 제 32항에 있어서, n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글루코오즈, 갈락토오즈, 자일로오즈, 람노오즈 및 아라비노오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기는 카페익산, 신나믹산, 쿠마릭산, 페루릭산, 갈릭산, 히드록시벤조익산 및 시나픽산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제1항에 있어서, n은 3~18의 정수인 n개의 모노머 유니트를 갖는 폴리페놀 올리고머를 만들기 위하여 관능화 및 커플링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43. 제32항에 있어서,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KR1020007003771A 1997-10-09 1998-10-09 폴리페놀의 합성방법 KR10056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48,226 US6207842B1 (en) 1997-10-09 1997-10-09 Process for preparing procyanidin(4-6 or 4-8) oligomers and their derivatives
US08/948,226 1997-10-09
US8/948,226 1997-10-09
PCT/US1998/021392 WO1999019319A1 (en) 1997-10-09 1998-10-09 Synthetic methods for polyphen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986A KR20010030986A (ko) 2001-04-16
KR100560463B1 true KR100560463B1 (ko) 2006-03-13

Family

ID=2548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771A KR100560463B1 (ko) 1997-10-09 1998-10-09 폴리페놀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6) US6207842B1 (ko)
EP (1) EP1027345B1 (ko)
JP (1) JP2001519426A (ko)
KR (1) KR100560463B1 (ko)
CN (2) CN101066962A (ko)
AT (1) ATE232857T1 (ko)
AU (1) AU760031B2 (ko)
CA (1) CA2306851A1 (ko)
DE (1) DE69811526T2 (ko)
DK (1) DK1027345T3 (ko)
ES (1) ES2189260T3 (ko)
IL (1) IL135344A (ko)
WO (1) WO1999019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7998A1 (en) * 1997-05-16 2003-01-23 Snow Alan D. Proanthocyanidins for the treatment of amyloid and alpha-synuclein diseases
US6207842B1 (en) 1997-10-09 2001-03-27 Mars Incorporated Process for preparing procyanidin(4-6 or 4-8) oligomers and their derivatives
US7015338B1 (en) * 1999-04-15 2006-03-21 Mars Incorporated Synthetic methods for preparing procyanidin oligomers
US6562864B1 (en) * 1999-09-02 2003-05-13 Drake Larson Catechin multimers as therapeutic drug delivery agents
US6476241B1 (en) * 2000-09-05 2002-11-05 Mars Incorporated Synthesis of 4α-arylepicatechins
US20070208087A1 (en) 2001-11-02 2007-09-06 Sanders Virginia J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KR100418390B1 (ko) * 2000-12-11 2004-02-11 김도훈 녹차로부터 추출된 항암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류 화합물
US7297800B2 (en) * 2001-12-27 2007-11-20 Ajinomoto Co., Inc. Process of producing glutamate derivatives
US7514107B2 (en) 2002-03-21 2009-04-07 Mars, Incorporated Treatment of diseases involving defective gap junctional communication
US7595074B2 (en) * 2002-04-05 2009-09-29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Polymeric antioxidants
WO2003087260A1 (en) * 2002-04-05 2003-10-2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Polymeric antioxidants
US7067679B2 (en) * 2002-10-02 2006-06-27 Mars, Inc. Synthesis of dimeric, trimeric, tetrameric pentameric, and higher oligomeric epicatechin-derived procyanidins having 4,8-interflavan linkages and their use to inhibit cancer cell growth through cell cycle arrest
EP1572673B1 (en) * 2002-12-17 2006-11-22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ntioxidant from natural source
JP5004265B2 (ja) 2003-05-26 2012-08-22 株式会社アミノアップ化学 含硫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オリゴ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A2541548A1 (en) * 2003-10-10 2005-04-21 Mars, Incorporated Treatment of diseases involving erbb2 kinase overexpression
EP1846460A2 (en) * 2004-01-21 2007-10-2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Post-coupling synthetic approach for polymeric antioxidants
CA2559272C (en) 2004-03-12 2015-12-01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Novel peanut skin extract as a vaccine adjuvant
AU2005254080A1 (en) * 2004-06-14 2005-12-29 Mars, Incorpo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dimer digallates
CA2574588A1 (en) * 2004-07-23 2006-02-09 Polnox Corporation Anti-oxidant macromonomers and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589855A1 (en) * 2004-12-03 2006-06-08 Polnox Corporatio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polyalkylphenol antioxidants
US7902317B2 (en) 2004-12-03 2011-03-08 Polnox Corporation Synthesis of aniline and phenol-based antioxidant macromonomers and corresponding polymers
US20060128930A1 (en) * 2004-12-03 2006-06-15 Ashish Dhawan Synthesis of sterically hindered phenol based macromolecular antioxidants
WO2006060803A2 (en) * 2004-12-03 2006-06-08 Polnox Corporation One pot process for making polymeric antioxidants
WO2006091705A2 (en) 2005-02-22 2006-08-31 Polnox Corporation Nitrogen and hindered phenol containing dual functiona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synthesis , performances and applications
WO2006104957A2 (en) 2005-03-25 2006-10-05 Polnox Corporation Alkylated and polymeric macromolecular antioxid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6116532A2 (en) * 2005-04-28 2006-11-0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Synthesis of oligo/poly(catechins) and methods of use
US20060293259A1 (en) * 2005-06-28 2006-12-28 Mars, Incorpo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derivatized flavanols
US20070004796A1 (en) * 2005-06-29 2007-01-04 Romanczyk Leo Jr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protected-(+)-catechin and (-)-epicatechin monomers, for coupling the protected monomers with an activated, protected epicatechin monomer, and for the preparation of epicatechin-(4B,8)-epicatechin or -catechin dimers and their digallates
RU2435578C2 (ru) 2005-06-29 2011-12-10 Марс, Инкорпорейтед Возбуждение вазодилатации периферических кровеносных сосудов
US20100048920A1 (en) * 2005-06-29 2010-02-25 Mars, Incorporated Preparation of (+)-Catechin, (-)-Epicatechin, (-)-Catechin, and (+)-Epicatechin and Their 5,7,3',4'-Tetra-O-Benzyl Analogues
WO2007003068A1 (fr) * 2005-06-30 2007-01-11 Hangzhou Lixin Biotechnology Co. Ltd. Additif pour nourriture,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celui-ci et application de celui-ci
US7678363B2 (en) 2005-08-26 2010-03-16 Braincells Inc Methods of treating psychiatric conditions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muscarinic agents in combination with SSRIs
EP2258359A3 (en) 2005-08-26 2011-04-06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uscarinic receptor modulation with sabcomelin
EP1940389A2 (en) 2005-10-21 2008-07-09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de inhibition
US20070106059A1 (en) * 2005-10-27 2007-05-10 Cholli Ashok 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and polymeric macromolecular antioxidants
WO2007050985A2 (en) 2005-10-27 2007-05-03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antioxidants based on stξrically hindered phenolic phosphites
US20070149660A1 (en) 2005-10-27 2007-06-28 Vijayendra Kumar Stabil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20070112017A1 (en) 2005-10-31 2007-05-17 Braincells, Inc. Gaba receptor mediated modulation of neurogenesis
WO2007053642A1 (en) * 2005-11-01 2007-05-10 Mars, Incorporated Flavanols and b-type procyanidins and cox-2 expression
WO2007064843A1 (en) 2005-12-02 2007-06-07 Polnox Corporation Lubricant oil compositions
WO2007076006A2 (en) 2005-12-23 2007-07-05 Mars, Incorporated Skin protection and improvement
WO2007084648A2 (en) * 2006-01-20 2007-07-26 Mars, Incorporated Mixed 4→6 procyanidin dimers and their use
US20100216734A1 (en) 2006-03-08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MX2008014320A (es) 2006-05-09 2009-03-25 Braincells Inc Neurogenesis mediada por el receptor de 5-hidroxitriptamina.
EP2021000A2 (en) 2006-05-09 2009-02-11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odulating angiotensin
CA2659099A1 (en) 2006-06-15 2007-12-21 Mars, Incorporated Use of cocoa flavanols and procyanidins to improve executive cognitive and cerebral blood flow
WO2008005358A2 (en) 2006-07-06 2008-01-10 Polnox Corporation Nove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comprising differing antioxidant moieties: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657915A1 (en) * 2006-07-21 2008-01-24 Mars, Incorporated Improvement of arginase levels/activity
EP2068872A1 (en) * 2006-09-08 2009-06-17 Braincells, Inc. Combinations containing a 4-acylaminopyridine derivative
US20100184806A1 (en) 2006-09-19 2010-07-22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par agents
US7767853B2 (en) 2006-10-20 2010-08-03 Polnox Corporation Antioxid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160149B2 (ja) * 2007-06-22 2013-03-13 明治薬品株式会社 柿ポリフェノールオリゴマー
JP5295744B2 (ja) * 2008-12-11 2013-09-18 三井農林株式会社 テアシネンシンの製造方法
US20100216805A1 (en) 2009-02-25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ing d-cycloserine combinations
WO2011013735A1 (ja) * 2009-07-31 2011-02-03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新規フラバノン誘導体
US8932468B2 (en) * 2010-01-12 2015-01-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paration of enzymatically synthesized polyepicatechin vi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20120238638A1 (en) * 2011-03-18 2012-09-20 Jorma Antero Virtanen Biological biocide additives for polymers
WO2014054174A1 (ja) * 2012-10-05 2014-04-10 フジッコ株式会社 低重合度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低重合度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
US9522131B2 (en) 2013-01-11 2016-12-2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Tannin-containing gastrointestina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5077635A2 (en) 2013-11-22 2015-05-28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antioxidants based on dual type moiety per molecule: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8160879A2 (en) 2017-03-01 2018-09-07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corrosion (mcin) inhibitors: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8047271B (zh) * 2017-12-06 2020-05-26 石家庄学院 一种槲皮素二聚体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503800B (zh) * 2018-10-30 2021-07-09 合肥科天水性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水性聚氨酯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844C (de) 1886-09-23 1887-06-22 Black John Melton Neuerung an der Controlb}chse f}r Conducteure.
DE1493976C3 (de) 1964-01-18 1973-09-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Substituierte Flavandenvat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255336A (en) * 1977-11-25 1981-03-10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substituted derivatives of (+)-cyanidan-3-01
JPS58154571A (ja) * 1982-03-08 1983-09-14 Nippon Shinyaku Co Ltd 新規タンニン
GB2122608B (en) 1982-06-01 1985-10-02 Zyma Sa (+)-cyanidan-3-ol derivatives
JPS61205272A (ja) 1985-03-08 1986-09-11 Tsumura Juntendo Inc 新規なタンニン
US4698360B1 (en) * 1985-04-09 1997-11-04 D Investigations Pharmacologiq Plant extract with a proanthocyanidins content as therapeutic agent having radical scavenger effect and use thereof
JPS631936A (ja) * 1986-06-23 1988-01-06 Asahi Optical Co Ltd 光電変換回路
JPH0231074B2 (ja) 1986-08-26 1990-07-11 Nippon Shinyaku Co Ltd Shintannin
JPS63214183A (ja) * 1987-03-03 1988-09-06 Mitsui Norin Kk アンジオテンシン1変換酵素阻害剤
CA2057023A1 (fr) * 1989-05-12 1990-11-13 Leon Cariel Composition a base de proanthocyanidols, leur application pharmacologique
US5358713A (en) * 1990-02-23 1994-10-25 Mitsui Norin Co., Ltd. Method of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infection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2668373B1 (fr) 1990-10-26 1994-04-08 Intertechnique Equipement respiratoire de protection d'equipage d'aeronef.
JP2857646B2 (ja) 1990-11-26 1999-02-17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抗変異原性剤
GB9209734D0 (en) * 1992-05-06 1992-06-17 Philips Electronics Uk Ltd An image sensor
JP3139134B2 (ja) * 1992-06-03 2001-02-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821347B2 (ja) * 1993-10-12 1998-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流制御型発光素子アレイ
JPH07236029A (ja) * 1993-12-29 1995-09-05 Xerox Corp コンパクト・ドキュメント・イメージャ
US5554645A (en) * 1994-10-03 1996-09-10 Mars, Incorporated Antineoplastic cocoa extrac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5627364A (en) * 1994-10-11 1997-05-06 Tdk Corporation Linear array image sensor with thin-film light emission element light source
US5625210A (en) * 1995-04-13 1997-04-29 Eastman Kodak Company Active pixel sensor integrated with a pinned photodiode
JP3436629B2 (ja) * 1996-01-08 2003-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および撮像のための装置
FI102345B1 (fi) * 1996-02-20 1998-11-13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päätelaitteen nopeuden määrittämiseksi ja vastaanotin
AU5711696A (en) * 1996-04-02 1997-10-22 Mars, Incorporated Cocoa extract compoun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0506901A (ja) * 1996-04-02 2000-06-06 マ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カカオ抽出化合物及び同一物を製造及び使用するための方法
US6188380B1 (en) * 1997-02-03 2001-02-13 Nanao Corporation Photodetector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luminance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JP3641342B2 (ja) * 1997-03-07 2005-04-20 Tdk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装置
JP3887826B2 (ja) * 1997-03-12 2007-0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5912363A (en) 1997-08-29 1999-06-15 Interhealth Nutraceuticals Method for extrac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plant material
JP4013293B2 (ja) * 1997-09-01 2007-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兼用型イメージセンサ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WO1999012541A1 (en) * 1997-09-09 1999-03-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Plant proanthocyanidin extract effective at inhibiting adherence of bacteria with p-type fimbriae to surfaces
US6207842B1 (en) 1997-10-09 2001-03-27 Mars Incorporated Process for preparing procyanidin(4-6 or 4-8) oligomers and their derivatives
US6476864B1 (en) * 1998-05-11 2002-11-05 Agilent Technologies, Inc. Pixel sensor column amplifier architecture
JP4164910B2 (ja) * 1998-09-21 2008-10-15 ソニー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6156912A (en) 1999-04-09 2000-12-05 Mars, Incorporated 88, 66, and 68 catechin and epicatechin dim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7015338B1 (en) 1999-04-15 2006-03-21 Mars Incorporated Synthetic methods for preparing procyanidin oligomers
US6480305B1 (en) * 1999-05-25 2002-11-12 Hewlett-Packard Company Imaging device
JP2001075524A (ja) * 1999-09-03 2001-03-23 Rohm Co Ltd 表示装置
US6747638B2 (en) * 2000-01-31 2004-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dhesion type area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adhesion type area sensor
US6476241B1 (en) 2000-09-05 2002-11-05 Mars Incorporated Synthesis of 4α-arylepicatechins
US7067679B2 (en) 2002-10-02 2006-06-27 Mars, Inc. Synthesis of dimeric, trimeric, tetrameric pentameric, and higher oligomeric epicatechin-derived procyanidins having 4,8-interflavan linkages and their use to inhibit cancer cell growth through cell cycle ar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35941A1 (en) 2004-11-25
KR20010030986A (ko) 2001-04-16
US7268240B2 (en) 2007-09-11
EP1027345A1 (en) 2000-08-16
JP2001519426A (ja) 2001-10-23
AU1076699A (en) 1999-05-03
CN100341867C (zh) 2007-10-10
ATE232857T1 (de) 2003-03-15
US20040236123A1 (en) 2004-11-25
EP1027345B1 (en) 2003-02-19
CN1302295A (zh) 2001-07-04
US6528664B2 (en) 2003-03-04
US20030176620A1 (en) 2003-09-18
IL135344A0 (en) 2001-05-20
US6849746B2 (en) 2005-02-01
US6207842B1 (en) 2001-03-27
US20020128493A1 (en) 2002-09-12
CA2306851A1 (en) 1999-04-22
CN101066962A (zh) 2007-11-07
WO1999019319A1 (en) 1999-04-22
ES2189260T3 (es) 2003-07-01
AU760031B2 (en) 2003-05-08
DK1027345T3 (da) 2003-06-10
US6420572B1 (en) 2002-07-16
DE69811526T2 (de) 2003-11-06
DE69811526D1 (en) 2003-03-27
IL135344A (en) 200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63B1 (ko) 폴리페놀의 합성방법
EP1169304B1 (en) 8-8, 6-6 and 6-8 catechin and epicatechin dim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RU228194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интетических процианидиновых олигомеров
DE60316447T2 (de) Flavonoidverbindungen als therapeutische antioxidationsmittel
HSU et al.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XXXII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cyanidins in Dioscorea cirrhosa LOUR.
EP1317437B1 (en) Synthesis of 4-alpha-arylepicatechins
AU2001283472A1 (en) Synthesis of 4alpha-arylepicatechins
MXPA00003249A (es) Metodos sinteticos para polifen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