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911B1 -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911B1
KR100559911B1 KR1020040064790A KR20040064790A KR100559911B1 KR 100559911 B1 KR100559911 B1 KR 100559911B1 KR 1020040064790 A KR1020040064790 A KR 1020040064790A KR 20040064790 A KR20040064790 A KR 20040064790A KR 100559911 B1 KR100559911 B1 KR 10055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rking
button
pole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376A (ko
Inventor
최재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911B1/ko
Priority to JP2005231397A priority patent/JP2006056505A/ja
Priority to US11/204,677 priority patent/US7748290B2/en
Priority to DE102005038684A priority patent/DE102005038684A1/de
Priority to CNA2005100905758A priority patent/CN1736779A/zh
Publication of KR2006001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B60T7/105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the lock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push butt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72Lever engaging rack
    • Y10T74/20696Finger lever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파킹레버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2중의 의도를 갖지 않으면, 파킹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순하고 우발적으로 버튼이 눌려짐에 의해 뜻하지 않게 주차를 위한 제동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parking lever system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파킹해제상태에서의 버튼 작동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과 비교한 버튼 작동후의 도면,
도 3은 파킹상태에서의 버튼 작동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과 비교한 버튼 작동후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베이스플레이트 3; 파킹케이블
5; 파킹레버 7; 래치부
9; 래치플레이트 11; 폴레버
13; 버튼 15; 버튼측부
17; 폴레버측부 19; 굴곡로드
21; 스토퍼 23; 리턴스프링
25; 연결부
본 발명은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킹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버튼의 눌림에 의해 파킹레버가 뜻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파킹레버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파킹레버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파킹 상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차량의 주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킹레버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록킹되어있어야 한다.
파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파킹레버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서 파킹레버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파킹레버에 구비된 버튼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눌려질 수 있고, 이 경우 파킹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뜻하지 않게 주차 제동력이 상실되어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우발적으로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파킹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운전자가 주차상태를 해제하려는 의지를 가진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만 파킹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차량 주차 상태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은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파킹케이블이 연결된 파킹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원호형 래치부를 구비한 래치플레이트와;
상기 파킹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회동됨에 의해 상기 래치플레이트에 걸린 상태가 전환되는 폴레버와;
상기 파킹레버에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되어 구비된 버튼과;
상기 버튼과 폴레버를 연결하며, 상기 버튼의 직선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한 버튼측부와, 상기 버튼의 직선슬라이딩방향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폴레버쪽으로 연장되는 폴레버측부를 포함하는 굴곡로드와;
상기 굴곡로드의 폴레버측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파킹레버에 고정되어, 상기 폴레버가 상기 래치플레이트에 걸린 상태에서는 폴레버의 회동이 억제되도록 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파킹케이블(3)이 연결된 파킹레버(5)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고정되고 원호형 래치부(7)를 구비한 래치플레이트(9)와; 상기 파킹레버(5)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회동됨에 의해 상기 래치플레이트(9)에 걸린 상태가 전환되는 폴레버(11)와; 상기 파킹레버(5)에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되어 구비된 버튼(13)과;
상기 버튼(13)과 폴레버(11)를 연결하며, 상기 버튼(13)의 직선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한 버튼측부(15)와, 상기 버튼(13)의 직선슬라이딩방향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폴레버(11)쪽으로 연장되는 폴레버측부(17)를 포함하는 굴곡로드(19)와; 상기 굴곡로드(19)의 폴레버측부(17)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파킹레버(5)에 고정되어, 상기 폴레버(11)가 상기 래치플레이트(9)에 걸린 상태에서는 폴레버(11)의 회동이 억제되도록 하는 스토퍼(21)를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폴레버(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해제상태에서는 상기 래치플레이트(9)의 래치부(7)에 걸리지 않은 상태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굴곡로드(19)와 폴레버(11)의 연결은 힌지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굴곡로드(19)의 직선운동이 상기 폴레버(11)의 회동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버튼(13)과 굴곡로드(19)의 연결부위에는 리턴스프링(23)이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13)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버튼(13)과 굴곡로드(19)가 리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굴곡로드(19)의 버튼측부(15)와 폴레버측부(17) 사이는 버튼측부(15) 및 폴레버측부(17)와 각각 경사각을 이루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25)가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1)는 상기 굴곡로드(19)의 폴레버측부(17)에 수직하는 원주형으로 형성하였는데, 이 스토퍼(21)는 상기 굴곡로드(19)의 운동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든 상관 없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파킹해제상태에서 버튼(13)이 작동되기 전후의 상태를 비교하고 있는바, 버튼(13)이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굴곡로드(19)의 폴레버측부(17)는 상기 스토퍼(21)와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폴레버(11)가 상기 래치부(7)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다.
버튼(13)을 누르면, 상기 굴곡로드(19)가 이동하여 상기 폴레버측부(17)는 상기 스토퍼(21)에 닿게 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와 같은 굴곡로드(19)의 이동은 상기 폴레버(11)를 회동시켜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버튼(13)을 더욱 누르게 되면, 상기 폴레버측부(17)는 이동이 제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1)와 폴레버측부(17)가 접촉한 부위로부터 상기 버튼(13)의 직선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수선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서, 상기 굴곡로드(19)의 변형은 상대적으로 작고, 버튼(13)은 더 이상 잘 눌리지 않으므로, 작동 강성감이 좋게 된다.
한편, 파킹레버(5)가 상측으로 회동된 파킹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폴레버(11)는 래치플레이트(9)의 래치부(7)와 걸림상태를 형성하여, 파킹레버(5)의 록킹상태를 확보한다.
상기 폴레버(11)와 래치부(7)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첫째, 상기 리턴스프링(23)으로부터의 힘이 상기 굴곡로드(19)를 통해 상기 폴레버(11)에 전달되어 상기 폴레버(11)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힘과,
둘째, 상기 파킹케이블(3)이 상기 파킹레버(5)를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파 킹레버(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고 있어서, 이 회전력이 상기 폴레버(11)의 회동축을 통해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폴레버(11)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모멘트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레버(5)를 상측으로 당기는 조작 없이 단순히 버튼(13)만 누른 경우에는, 상기 굴곡로드(19)가 상기 버튼(13)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스토퍼(21)에 의해 멈춰지는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폴레버(11)가 상기 래치플레이트(9)의 래치부(7)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비록 상기 버튼(13)이 눌려지고 굴곡로드(19)가 약간 이동하여서, 상기 폴레버(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힘이 발생하지만, 이 힘만으로는 상기 파킹케이블(3)이 파킹레버(5)를 당기는 힘으로부터 비롯한 모멘트를 극복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폴레버(1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고 래치부(7)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버튼(13)의 눌림량이 더욱 커지고, 그에 따라서 만약에 상기 굴곡로드(19)의 이동량이 점차 증가한다면, 결국은 상기 폴레버(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겠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로드(19)의 이동량을 상기 스토퍼(21)에 의해 적절히 제한 함으로써, 버튼(13)은 아무리 눌러도 상기 폴레버(11)의 걸림상태는 해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13)의 눌림량과, 상기 굴곡로드(19)의 이동량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로드(19)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 된다.
상기 폴레버(11)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4의 상태와 같이 버튼(13)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파킹레버(5)를 상측으로 약간 들면 된다. 즉, 운전자가 파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버튼(13)을 누름과 동시에 파킹레버(5)를 상측으로 약간 들어올려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버튼(13)을 누른 상태에서 파킹레버(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파킹케이블(3)로부터 비롯된 상기 폴레버(11)의 모멘트가 제거되고, 상기 굴곡로드(19)에 축적되었던 탄성에너지가 상기 폴레버(1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폴레버(11)와 래치부(7) 사이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파킹레버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2중의 의도를 갖지 않으면, 파킹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순하고 우발적으로 버튼이 눌려짐에 의해 뜻하지 않게 주차를 위한 제동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파킹케이블이 연결된 파킹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원호형 래치부를 구비한 래치플레이트와;
    상기 파킹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회동됨에 의해 상기 래치플레이트에 걸린 상태가 전환되는 폴레버와;
    상기 파킹레버에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되어 구비된 버튼과;
    상기 버튼과 폴레버를 연결하며, 상기 버튼의 직선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한 버튼측부와, 상기 버튼의 직선슬라이딩방향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폴레버쪽으로 연장되는 폴레버측부를 포함하는 굴곡로드와;
    상기 굴곡로드의 폴레버측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파킹레버에 고정되어, 상기 폴레버가 상기 래치플레이트에 걸린 상태에서는 폴레버의 회동이 억제되도록 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로드의 버튼측부와 폴레버측부 사이는 버튼측부 및 폴레버측부와 각각 경사각을 이루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굴곡로드의 폴레버측부에 수직하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버튼과 굴곡로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폴레버를 회동시키는 힘이, 상기 파킹케이블이 파킹레버를 당기는 힘에 의해 폴레버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극복할 수 없도록 굴곡로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KR1020040064790A 2004-08-17 2004-08-17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KR10055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90A KR100559911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JP2005231397A JP2006056505A (ja) 2004-08-17 2005-08-09 車両のパーキングレバーシステム
US11/204,677 US7748290B2 (en) 2004-08-17 2005-08-16 Parking lever system for vehicle
DE102005038684A DE102005038684A1 (de) 2004-08-17 2005-08-16 Feststellhebelsystem für ein Fahrzeug
CNA2005100905758A CN1736779A (zh) 2004-08-17 2005-08-17 机动车的驻车操纵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90A KR100559911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76A KR20060016376A (ko) 2006-02-22
KR100559911B1 true KR100559911B1 (ko) 2006-03-15

Family

ID=3607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790A KR100559911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48290B2 (ko)
JP (1) JP2006056505A (ko)
KR (1) KR100559911B1 (ko)
CN (1) CN1736779A (ko)
DE (1) DE102005038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39B1 (ko) * 2004-12-09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레버
WO2010090155A1 (ja) * 2009-02-06 2010-08-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ES1070757Y (es) * 2009-07-30 2010-01-20 Edscha Espana S A Varilla de accionamiento para freno de mano de un vehiculo automovil
CN101695921B (zh) * 2009-10-23 2011-05-04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轿车制动杆
US9108726B2 (en) 2010-10-18 2015-08-18 Honda Patents & Technologies North America, Llc Aircraft brake system
JP5455980B2 (ja) * 2011-06-10 2014-03-26 豊田鉄工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US9815671B2 (en) * 2012-01-10 2017-11-14 Barry Niel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lever
ITUB20152073A1 (it) * 2015-07-10 2017-01-10 La Marzocco Srl Macchina del tipo a pistone per erogare caffè o altre bevande per infusione
ITUB20152061A1 (it) * 2015-07-10 2017-01-10 La Marzocco Srl Macchina del tipo a pistone per erogare caffè o altre bevande per infusione
US10035687B2 (en) 2015-08-19 2018-07-31 Barry J. Nield Braking system for a draw works used for drilling operations
CN106671957A (zh) * 2016-08-31 2017-05-17 江西江铃集团轻型汽车有限公司 驻车制动操纵机构
CN107963149A (zh) * 2017-11-21 2018-04-27 贵州航天特种车有限责任公司 一种牵引转运小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769A (ko) * 2002-11-08 2004-05-13 경창산업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레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6562A (en) * 1981-05-12 1982-11-17 Isuzu Motors Ltd Parking brake lever
US4515036A (en) * 1983-04-25 1985-05-07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parking brake self-adjusting control mechanism
ES2024642B3 (es) 1988-05-31 1992-03-01 Metallifacture Ltd Ensamblado de freno de mano
DE3942334A1 (de) * 1989-12-21 1991-06-27 Basf Ag Verfahren zur aufarbeitung von salzsaeure, schwefelsaeure und deren hydroxylammonium- und ammoniumsalze enthaltenden waessrigen mutterlaugen
US5303609A (en) * 1991-06-25 1994-04-1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Toggle type parking brake lever apparatus
DE10026006A1 (de) 2000-05-25 2001-12-06 Dietz Metall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US7021174B2 (en) * 2001-05-25 2006-04-04 Ventra Group Inc. Parking brake actuator with anti-release feature
DE102005013475B4 (de) * 2005-03-23 2010-01-07 Dietz-Automotiv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769A (ko) * 2002-11-08 2004-05-13 경창산업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레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076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3953A1 (en) 2006-03-16
DE102005038684A1 (de) 2006-03-02
US7748290B2 (en) 2010-07-06
CN1736779A (zh) 2006-02-22
KR20060016376A (ko) 2006-02-22
JP2006056505A (ja)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911B1 (ko) 차량의 파킹레버 시스템
EP1886868B1 (en) Locking mechanism for a rotation seat
KR101560586B1 (ko) 잠금 장치 및 차량 시트
HU182752B (en) Cable-protecting switch
JP2005036608A (ja)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US4311060A (en) Parking brake operating device
JP2006137409A (ja) 車両用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4950905B2 (ja) ドアーロック機構
US7353730B2 (en) Foot depressing parking brake apparatus
GB2470993A (en) A latch device in a vehicle
US20070175291A1 (en) Anti-loosening device for parking brake
JPS5826858Y2 (ja) 自動車用駐車ブレ−キ制御装置
KR100298006B1 (ko) 자동차용주차브레이크
KR10039167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GB2612935A (en) Brake mechanism and stroller therewith
JP4395487B2 (ja) 可倒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0460710B1 (ko)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JP2008279927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ATE216020T1 (de) Türfeststeller
JP5050072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439802Y2 (ko)
JPH0722113U (ja) ソレノイド取付構造
JP3746190B2 (ja) 操作パネルの着脱機構
JPH027736Y2 (ko)
KR20060064916A (ko)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