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186B1 - 음극선관용 퍼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퍼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8186B1 KR100558186B1 KR1020020078622A KR20020078622A KR100558186B1 KR 100558186 B1 KR100558186 B1 KR 100558186B1 KR 1020020078622 A KR1020020078622 A KR 1020020078622A KR 20020078622 A KR20020078622 A KR 20020078622A KR 100558186 B1 KR100558186 B1 KR 1005581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gonal
- funnel
- curved portion
- surface curved
- axis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 H01J2229/8606—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각추형상의 요크부의 대각부 내면에, 대각축(D)의 장축(L)측 및 단축(S)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이루어지는 대각 내면 만곡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축(L)측과 단축(S)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를, 반경이 다른 원호형상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예에 공통의 음극선관용 퍼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종래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종단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퍼넬의 보디부에 연이어서 형성되는 각추형상의 요크부의 개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음극선관은, 주된 구성요소로서, 대략 직사각형의 화상표시부를 갖는 패널과, 이 패널과 봉합되고 또한 내부에 전자빔을 통과하는 퍼넬을 구비한다. 상기 퍼넬은, 대략 직사각형의 대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대략 원형의 소개구부에, 내부에 전자총이 격납되는 원통형의 네크(neck)관을 연이어 설치하고, 대략 깔대기형상의 보디부의 소개구부측에, 편향 요크가 외주측에 장착되는 요크부를 연이어서 형성한 것이다.
이들을 구성요소로 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편향 요크가 큰 전력소비원으로 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음극선관의 전체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편향 요크의 소비절력을 유효하게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 편향 요크의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퍼넬의 네크관을 소경으로 하여,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요크부의 외경을 작게 하면 좋은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네크관 내의 전자총으로부터 조사된 전자빔은, 상기 요크부의 내벽면에 접근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네크관이나 요크부의 외경을 쓸데없이 작게 하면, 최대 편향각을 가지는 대각부(對角部)로 향하는 전자빔이 요크부의 내벽면에 충돌하는 사태를 초래하며,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요크부의 외면을, 네크관측으로부터 패널방향으로 향하여 원형으로부터 차차 대략 직사각형으로 변화하는 각추형상으로 하는 것이 실용화되기에 이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요크부의 외면을 각추형상으로 하면, 편향 요크의 장축방향 및 단축방향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장축방향 및 단축방향에 대응하는 편향 코일을 전자빔에 가까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전자빔을 효율 좋게 편향할 수 있게 되고, 편향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것과 관련하여, 요크부의 내경에 있어서의 대각부로 향하는 전자빔이 그 내벽면에 충돌하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 요크부의 내면에 관해서도, 상기 외면과 마찬가지로, 네크관측으로부터 패널방향으로 향하여 원형으로부터 차차 대략 직사각형으로 변화하는 각추형상으로 되는 것이 실용화되기에 이르르고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일본 특개평11-120940호나 일본 특개평11-176355호를 참조하면, 요크부의 내면이 각추형상으로 된 경우에는, 성형성이나 강도면 등을 감안하여, 그 대각부는 원호형상의 만곡부로 된다. 또한, 이 만곡부는, 대각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장축측과 단축측에서 대락 동일 곡률의 원호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요크부의 내면의 형상은, 전자빔의 이상적인 통과영역에 대략 대응하고 있는 것이 통례이다.
그런데, 요크부의 대각축은, 통상, 전자빔의 통과영역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현실의 전자빔의 통과영역에는, 편향 요크의 정밀도 등이 원인으로 되어서 변형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많으며, 요크부의 대각축은, 현실의 전자빔의 통과영역에 대해서 방향성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요크부의 대각부에 형성되어 있는 만곡부가 상기와 같이 대각축을 기준으로 하여 장축측과 단축측에서 대략 동일 곡률의 원호형상이면, 그 어느 한쪽측의 부분 만곡부에 최대 편향각을 가지는 전자빔이 충돌하게 된다. 또한, 이것이 원인으로 되어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라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부(6)의 대각부(7)와 관축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대각부(7)의 대각 내면 만곡부(8) 및 대각 외면 만곡부(9) 모두에 전체를 단일한 원호로 확장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퍼넬의 성형용 금형의 설계제작, 편향 요크의 설계제작, 그 외의 음극선관의 제조에 관한 각종 부품을 근본적으로 개선 및 변형할 필요가 생기고, 그 수고나 노고 또는 비용부담이 크게 된다.
또한, 이 이외에도, 요크부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얇게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 두께가 과도하게 얇게 되면, 성형상의 문제나 강도 상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이 박육화에는 한계가 있고, 유효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크부의 대각부에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인 개량을 가함으로써, 성형용 금형이나 편향 요크 등의 근본적인 개선 및 변형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자빔의 요크부에 대한 충돌을 적절하게 회피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한 음극선관용 퍼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직사각형의 대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대략 원형의 소개구부에 원통형의 네크관이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대개구부로부터 대략 깔대기형상의 보디부 및 이것에 이어지는 각추형상의 요크부를 경유하여 상기 소개구부에 이르는 음극선관용 퍼넬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의 대각부의 내면에, 대각축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 구분되는 장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와 단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대각 내면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어느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구성을 제공한다.
그래서, 「바깥쪽으로 돌출」은, 관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요크부를 구성하는 장변 및 단변의 각각의 내면의 대각축측으로의 가상연장선보다 바깥쪽(요크부의 외면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변 및 단변 각각의 내면이 원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원호의 가상연장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깥쪽으로 돌출」은,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면의 중앙부로부터 대각축에 이르는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가상기준곡선(종래의 곡선)에 대해서, 이 가상기준곡선의 도중에 그 가상기준곡선보다 곡률이 크게 변화함으로써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장축측 또는 단축측의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경우에는, 그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가 다른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요크부의 대각부 내면에 형성된 대각 내면 만곡부는, 대각축의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부분 내면 만곡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요크부의 대각축이 현실의 전자빔의 통과영역에 대해서 방향성의 어긋남을 생기고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최대 편향각을 가지는 전자빔이 상기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에 충돌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어도, 이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부분을 통행로로서 그 전자빔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빔이 요크부의 대각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에 충돌하는 사태가 회피되고, 양호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요크부의 대각부 내면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전체적으로 확장하는 일없이, 대각축과 만곡부의 교차위치를 전혀 변화시키지 않고, 그 일부만을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기 때문에, 퍼넬 성형용 금형이나 편향 요크 등의 설계제작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 되지 않고, 최소한의 변경을 행하는 것만으로 전자빔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변경에 필요한 수고나 노고 또는 비용부담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와 단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는, 반경이 다른 원호형상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경이 작은 원호형상부를 반경이 큰 원호형상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시켜도 좋고, 혹은 반경이 큰 원호형상부를 반경이 작은 원호형상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시켜도 좋다. 또한, 장축측의 원호형상부와 단축측의 원호형상부는, 대각축 상에서 연이어 접하고 있어도 좋고, 혹은 대각축 이외의 개소에서 연이어 접하여 있어서도 좋다. 또한, 장축측 및 단축측의 원호형상부는, 각각 하나의 원호형상부이어도 좋고, 혹은 각각 복수의 원호형상부를 연이어 접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원호형상부의 반경을 장축측과 단축측에서 다르게 하는 방법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어느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가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되기 때문에, 해당 만곡부의 설계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장축측의 원호형상부와 단축측의 원호형상부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연이은 접촉」은, 내접 혹은 대략 내접하는 것을 의미하고, 대략 내접하는 경우에는 각 원호에 의한 굴곡점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이하, 마찬가지임).
또한, 하나의 원호형상부의 중심점과, 이것에 연이어 접하는 다른 원호형상부의 중심점과, 이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점이, 일직선 또는 일직선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원호형상부와 다른 원호형상부의 반경이 상위한 경우에, 양 원호형상부 각각의 중심점과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점을 일직선 상에 배치시키면, 양 원호형상부는 서로 곡률이 다른 것이지만, 그 직선 상에 있어서는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단의 접선이 모두 그 직선과 직교하게 되기 때문에,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부는 굴곡하는 것없이, 매끄럽게 연속하게 된다. 따라서, 양 원호형상부 각각의 중심점과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점을, 일직선 상 또는 일직선의 근방에 배치시키면,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부가 적어도 과도하게 굴곡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이 연접부에 대한 성형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발명은, 요크부의 대각부의 내면에 관한 것이지만, 그 외면에 관해서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요크부의 대각부의 외면에 대각축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 구분되는 장축측의 부분 외면 만곡부와 단축측의 부분 외면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대각 외면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 외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바깥쪽으로 돌출」은, 관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요크부를 구성하는 장변 및 단변의 각각의 외면의 대각축측으로의 가상연장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변 및 단변 각각의 외면이 원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원호의 가상연장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바깥쪽으로 돌출」은,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어느 한쪽의 외면의 중앙부로부터 대각축에 이르는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가상기준곡선(종래의 곡선)에 대해서, 그 가상기준곡선의 도중에 그 가상기준곡선보다 곡률이 크게 변화함으로써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어느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요크부의 대각부 내면이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대각부 외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되므로, 대각부의 전체에 걸치는 두께부의 양이 충분한 것으로 되고, 따라서 부분적인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이 대각부의 전체적인 강성은 적정한 범위 내에 수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어느 한쪽만의 부분 내면 만곡부 및 부분 내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대각부에 대한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 돌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가 균일화되고, 부분적인 강도 저하가 생기지 않게 됨과 아울러, 양호한 성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이하, 단지 퍼넬이라 함)(1)은, 도면 밖의 음극선관용 퍼넬의 봉합에 제공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대개구부(2)를 가짐과 아울러, 대략 원형의 소개구부(3)에 대략 원통형의 네크부(4)가 봉합되어 있다. 또한, 대략 깔대기형상의 보디부(5)의 소개구부(3)측에는, 그 외주측에 편향 요크를 장착하기 위한 요크부(6)가 연이어 형성되고, 그 내부는 전자빔의 통과로로 되어 있다. 이 요크부(6)는, 네크관(4)측으로부터 보디부 (5)측으로 향하여 원형으로부터 차차 대략 직사각형으로 변화하는 각추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요크부(6)에 있어서의 보디부(5)측의 단부를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종단 배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부(6)의 대각부(7)의 내면에는, 대각 내면 만곡부(8)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대각 내면 만곡부(8)는, 대각축(D)을 기준으로 하여, 그 장축 (L)측 즉 단변(6a)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이하, 제1만곡부라함)(8a)와, 단축(S)측 즉 장변(6b)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이하, 제2만곡부라함)(8b)로 가상적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2만곡부(8b)는, 장변(6b)의 내면(6bb)의 대각축(D)측으로의 가상연장선(동도에 나타내는 파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1만곡부(8a)는, 단변(6a)의 내면(6aa)의 대각축(D)측으로의 가상연장선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변(6b)의 내면(6bb)을 그 곡률을 유지하면서 대각축(D)측으로 향하여 연장시킨 가상연장선 (6bx)을 기준으로 하여, 제2만곡부(8b)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가상연장선(6bx)에는, 종래의 대각 내면 만곡부를 구성하는 원호(Dx)가 내접하고 있고, 따라서 가상연장선(6bx)으로부터 원호(Dx)에 이르는 곡선은, 종래의 장변(6b)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장변(6b)의 내면(6bb)의 중앙부로부터 대각축(D)에 이르는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가상기준곡선(종래의 곡선)에 대해서, 제2만곡부(8b)는, 그 가상기준곡선의 도중에 그 가상기준곡선보다 곡률이 크게 변화함으로써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1만곡부(8a)에는, 단변 (6a)의 내면(6aa)을 그 곡률을 유지하면서 대각축(D)측으로 향하여 연장시킨 가상연장선(6ax)을 기준으로 하여, 바깥쪽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다. 즉, 제1만곡부(8a)는, 단변(6b)의 내면(6aa)의 중앙부로부터 대각축(D)에 이르는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가상기준곡선(종래의 곡선)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단변(6a) 및 장변(6b) 중 어느 내면(6aa,6bb)도 단일한 원호이고, 따라서 상기 가상연장선(6ax,6bx)은 모두 원호의 연장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요크부(6)의 내부 면적은, 제2만곡부(8b)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부분만큼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 경우,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만곡부(8a)는, 반경(R1)의 원호형상부임과 아울러, 제2만곡부(8b)는, R1보다 큰 반경(R2)의 원호형상부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양 원호형상 접점(J)과, 양 원호형상부의 각 중심점(Ο1,Ο2)이 대각축(D) 상에 배열되어 있는 관계상,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부는, 굴곡하는 일없이 매끄럽게 만곡한 상태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접점(J) 및 각 중심점(Ο1,Ο2)은, 대각축(D)을 기준으로 하여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대각축(D) 이외의 직선상 혹은 그 직선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을 대신하여 또는 이것과 함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6a)의 내면(6aa)에, 가상연장선(6ax)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제1만곡부(8a')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요크부(6)의 내부를 전자빔이 통과하지만, 최대 편향각을 가지는 전자빔은 대각부(7)의 근방을 통과한다. 이 경우, 요크부(6)의 대각축 (D)이 현실의 전자빔의 통과영역에 대해서 방향성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것 등이 원인으로 되어서, 최대 편향각을 가지는 전자빔이 제2만곡부(8b)에 충돌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어도, 이 제2만곡부(8b)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것때문에, 그 전자빔은 제2만곡부(8b)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부분을 통행로로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빔이 요크부(6)의 대각 내면 만곡부(8)에 충돌하는 상태가 회피되고, 양호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대각 내면 만곡부(8)와 대각축(D)의 교차위치를 종래와 변경하는 일없이 제2만곡부(8b)만을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것때문에, 예컨대, 상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각 내면 만곡부(8)를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체적으로 단일한 원호로 확장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퍼넬성형용 금형 등의 설계제작에 큰 변화가 생기지 않고, 최소한의 변경을 행하는 것만으로 전자빔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요크부(6)에 있어서의 대개구부(2)측의 단부를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종단 배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2실시예가 상기 제1실시예와 상위한 점은, 요크부(6)의 대각부(7) 내면에 형성되는 대각 내면 만곡부(8)뿐만 아니라, 대각부(7)의 외면에 형성되는 대각 외면 만곡부(9)에 관해서도, 대각축(D)의 장축(L)측의 부분 외면 만곡부(이하, 제3만곡부라함)(9a)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지 않고, 단축(S)측의 부분 외면 만곡부(이하, 제4만곡부라함)(9b)를, 장변(6b)의 외면(6bc)의 대각축(D)측으로의 가상연장선(6cx)보다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점이다. 이 가상연장선 (6cx)은, 장변(6b)의 외면(6bc)을 그 곡률을 유지하면서 대각축(D)측으로 향하여 연장시킨 곡선(이 실시예에서는 원호)이다.
또한, 제3만곡부(9a)를 구성하는 반경(R3)의 원호형상부와 제4만곡부(9b)를 구성하는 R3보다 큰 반경(R4)의 원호형상부의 연접점(K)과, 양 원호형상부의 각 중심(Ο3,Ο4)은, 대각축(D)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각부(7)의 내면측의 연접점(J) 및 각 중심점(Ο1,Ο2)과 외면측의 연접점(K) 및 각 중심점 (Ο3,Ο4)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연접점(J) 및 각 중심점(Ο1,Ο2)이 하나의 직선상 또는 그 근방에, 연접점(K) 및 각 중심점(Ο3,Ο4)이 다른 직선 상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4만곡부(9b)는, 동 도면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요크부(6)의 외주측에 편향 요크를 장착하였을 때에, 그 편향 요크의 내주면과 요크부(6)의 외주면 사이에 생성되는 간극을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편향 요크는 종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데다가,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4만곡부(9b)와 돌출되어 있지 않는 제3만곡부(9a)의 두께가 균일화되고, 부분적인 강도 저하가 생기지 않게 됨과 아울러, 양호한 성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각 내면 만곡부(8) 및 대각 외면 만곡부(9)를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체적으로 단일한 원호로 확장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퍼넬 성형용 금형이나 편향 요크 등의 설계제작에 큰 변화가 생기지 않고, 최소한의 변경을 행하는 것만으로 전자빔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을 대신하여, 제4만곡부(9b)에 관해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형상으로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하고, 제3만곡부(9a)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얻어지는 단변(6a)의 외면의 가상연장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상기 두께의 균일화가 약간 저해되는 것이지만, 대각부(7)의 전체적인 두께부의 양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대각부(7)의 전체적인 강성은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하면, 제3만곡부(9a) 및 제4만곡부(9b)의 쌍방을 바깥쪽으로 돌출시켜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요크부(6)에 있어서의 대개구부(2)측의 단부를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종단 배면도이다. 이 제3실시예는, 단변(6a) 및 장변(6b) 각각의 내면(6aa,6bb)의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요크부(6)의 대각부(7)에,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대각 내면 만곡부(8)의 구성을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요크부(6)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요크부(6)와 공통의 구성요건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요크부(6)에 있어서의 대개구부(2)측의 단부를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종단 배면도이다. 이 제4실시예는, 단변(6a) 및 장변(6b) 각각의 내면(6aa,6bb)의 중앙부가 안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요크부(6)의 대각부(7)에,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대각 내면 만곡부(8) 및 대각 외면 만곡부(9)의 구성을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요크부(6)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요크부(6)와 공통의 구성요건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상 제1~4실시예에서는, 대각 내면 만곡부(8) 및 대각 외면 만곡부 (9)의 양자 모두에, 반지름이 큰 원호형상부를 반경이 작은 원호형상부보다 외방으로 돌출시켰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반경이 작은 원호형상부를 반경이 큰 원호형상부보다 외방으로 돌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제1~4실시예에서 예시한 대각 내면 만곡부(8) 및 대각 외면 만곡부(9)의 구성은, 요크부(6)의 4코너에 존재하는 모든 대각부(7)에, 축심(관축)을 기준으로하여 대칭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혹은 비대칭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1개의 대각부만 또는 2개 또는 3개의 대각부에만 적용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용 퍼넬(사이즈 66㎝, 어스펙트비 16:9, 편향각 104°, 네크 외경 29.1mm)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퍼넬의 요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종단 배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변(6a) 및 단변(6b) 각각의 내면(6aa,6bb)의 중앙부가 안쪽에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요크부(6)에 있어서, 현실의 전자빔이 요크부(6)의 대각축(D)보다 장축 (L)측으로 어긋난 것에 기인하여, 요크부(6) 내벽에 전자빔이 충돌되고 있던 것을, 단변(6a)측에 제1만곡부(8a)를 형성함으로써 전자빔의 충돌을 없게 한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실선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크부(6)의 내면 및 외면의 윤곽형상을 표시하고, 파선은, 종래에 있어서의 내면의 윤곽형상을 표시하고 있다. 예컨대, 퍼넬(1)에 있어서의 대략 소개구부(3)의 위치로부터 보디부(5)를 향하여 60mm 이행한 위치의 관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종래의 내면 윤곽형상의 반경(파선으로 나타내는 원호의 반경)(r)은 13.3mm인 것에 대해서, 제2만곡부(8b)의 반경(R2)이 16.3mm이고, 제1만곡부(8a)의 반경(R1)이 9.8mm이다. 또한, 이 제1만곡부(8a)의 중심(Ο1) 및 제2만곡부(8b)의 중심(Ο2)은, 종래의 대각축(D)으로부터 장축(L)측으로 어긋난 대각축(D') 상에 배치되어 있는 관계상, 양 만곡부 (8a,8b)의 연접부는, 굴곡하는 것없이 매끄럽게 만곡한 상태로 연속되어 있다.
하기 표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퍼넬(1)에 있어서의 대략 소개구부(3)의 위치로부터 보디부(5)를 향하여 60mm이행한 위치의 관축과 직교하는 단면의 내면 윤곽형상에 관하여, 퍼넬(1)의 축심(관축)으로부터의 거리를, 종래의 윤곽형상(표 1에 Po로 나타낸다)과, 이 실시예의 윤곽형상(표 1에 Pp로 나타낸다)으로 나누어서 비교한 것이다. 또한, 하기 표 1에서는, 장축(L)으로부터 단축(S)까지 축심둘레로 10°마다(도중에 2°마다) 계산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단위 : mm)가 나타내져 있다.
상기 표 1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내면 윤곽형상은, 종래의 내면 윤곽형상과 비교하여, 대각축(D)의 장축(L)측에 있어서의 28°의 위치에서, 그 차가 최대치(1.0mm)로 되는 제1만곡부(8a)가 형성되는 한편, 대각축(D)의 단축(S)측에서는, 그 차가 거의 없는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한 것이 파악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퍼넬은 요크부의 대각부에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인 개량을 가함으로써, 성형용 금형이나 편향 요크 등의 근본적인 개선 및 변형이 불필요한데가, 전자빔의 요크부에 대한 충돌을 적절하게 회피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5)
- 직사각형의 대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원형의 소개구부에 원통형의 네크관이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대개구부로부터 깔대기형상의 보디부 및 이것에 이어지는 각추형상의 요크부를 경유하여 상기 소개구부에 이르는 음극선관용 퍼넬에 있어서,상기 요크부의 대각부의 내면에, 대각축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 구분되는 장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와 단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대각 내면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 내면 만곡부를, 장축측의 단변 및 단축측의 장변 중, 상기 부분 내면 만곡부가 위치하는 측의 변의 내면의 대각축으로의 가상연장선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퍼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와 단축측의 부분 내면 만곡부를, 반경이 다른 원호형상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퍼넬.
-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호형상부의 중심점과, 이것에 연이어 접하는 다른 원호형상부의 중심점과, 이 양 원호형상부의 연접점이, 일직선상 또는 일직선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퍼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의 대각부의 외면에, 대각축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 구분되는 장축측의 부분 외면 만곡부와 단축측의 부분 외면 만곡부로 이루어 지는 대각 외면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 외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퍼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측 및 단축측 중 어느 한쪽만의 부분 내면 만곡부 및 부분 외면 만곡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퍼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391659 | 2001-12-25 | ||
JPJP-P-2001-00391659 | 2001-12-25 | ||
JP2002325711A JP3591531B2 (ja) | 2001-12-25 | 2002-11-08 |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
JPJP-P-2002-00325711 | 2002-1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5111A KR20030055111A (ko) | 2003-07-02 |
KR100558186B1 true KR100558186B1 (ko) | 2006-03-10 |
Family
ID=2662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78622A KR100558186B1 (ko) | 2001-12-25 | 2002-12-11 | 음극선관용 퍼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727641B2 (ko) |
JP (1) | JP3591531B2 (ko) |
KR (1) | KR100558186B1 (ko) |
CN (1) | CN1275280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94883A1 (en) * | 2004-03-05 | 2005-09-08 |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 Cathode ray tube |
KR20060025790A (ko) * | 2004-09-17 | 2006-03-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음극선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73591A (ja) * | 1998-03-19 | 1999-10-08 | Toshiba Corp | 陰極線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15361B2 (ja) | 1996-05-28 | 2003-06-09 | 株式会社東芝 | 陰極線管 |
TW394967B (en) * | 1996-09-30 | 2000-06-21 | Toshiba Corp | Kinescope |
JPH1117355A (ja) | 1997-06-25 | 1999-01-22 | Kokuyo Co Ltd |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収納装置 |
JP3501205B2 (ja) | 1997-10-14 | 2004-03-02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
JP3501204B2 (ja) | 1997-10-14 | 2004-03-02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
US6552483B1 (en) * | 1999-05-10 | 2003-04-22 | Lg Electronics Inc. | Cathode-ray tube having improved yoke mounting part |
KR100612582B1 (ko) * | 1999-05-12 | 2006-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극선관 |
-
2002
- 2002-11-08 JP JP2002325711A patent/JP359153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11 KR KR1020020078622A patent/KR1005581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12-23 CN CNB021581568A patent/CN127528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4 US US10/328,837 patent/US67276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73591A (ja) * | 1998-03-19 | 1999-10-08 | Toshiba Corp | 陰極線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75280C (zh) | 2006-09-13 |
CN1447378A (zh) | 2003-10-08 |
KR20030055111A (ko) | 2003-07-02 |
US6727641B2 (en) | 2004-04-27 |
US20030132696A1 (en) | 2003-07-17 |
JP3591531B2 (ja) | 2004-11-24 |
JP2003257339A (ja) | 2003-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93542A (en) | Automobile mirror assembly | |
US4919294A (en) | Bottom structure of a thin-walled can | |
US7458625B2 (en) | Deck cross-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k cross-member | |
EP0934865A2 (en) | Structure of steering support beam for vehicle | |
EP3591324B1 (en) | Micro-channel heat exchanger | |
EP0736714A1 (en) | Flexible pipe | |
KR970077068A (ko) | 음극선관 | |
KR100558186B1 (ko) | 음극선관용 퍼넬 | |
US6666232B2 (en) | Thermoformed intake duct made of non-woven material with double bending | |
JP2024520255A (ja) | 接続ジョイントチューブ、及びそれを有する熱交換器 | |
CN111094886B (zh) | 用于热交换器的扁平管和热交换器 | |
KR20040017323A (ko) | 열 교환기 | |
JP5185175B2 (ja) | ダクト | |
JP5531816B2 (ja) | グロメット | |
JPH04155187A (ja) | 蓄熱装置 | |
CN114101409A (zh) | 矩形管的折弯方法 | |
US20210129200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ipe | |
KR20220130399A (ko) | 차량용 에어컨 배관 | |
JP5252628B2 (ja) | ダクト | |
KR101008430B1 (ko) | 가스켓이 결합되어진 덕트 | |
JP2002039208A (ja) | 自在継手用ブーツ | |
JPS58965Y2 (ja) | ロツドアンテナ | |
EP1043750A3 (en) | Color cathode ray tube | |
JPS6235195A (ja) | 金属製ダクト用コ−ナ−ユニツトおよびその接続方法 | |
JP2004221050A (ja) | 陰極線管用ガラスファンネ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