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846B1 -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846B1
KR100557846B1 KR1020030065749A KR20030065749A KR100557846B1 KR 100557846 B1 KR100557846 B1 KR 100557846B1 KR 1020030065749 A KR1020030065749 A KR 1020030065749A KR 20030065749 A KR20030065749 A KR 20030065749A KR 100557846 B1 KR100557846 B1 KR 10055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display unit
housings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360A (ko
Inventor
야지마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Abstract

이 휴대 단말은, 적어도 표시부(12)를 갖는 제 1 하우징(32)과, 적어도 조작부(44)를 갖는 제 2 하우징(34)을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며, 닫힌 상태에서, 표시부(12)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표시부(12)의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표시부(l2)의 표시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a 내지 도 2 d는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
도 3은 메일 열람에서의 동작 플로우차트,
도 4 a 내지 도 4 f는 메일 열람에서의 표시 화면의 천이도,
도 5는 어드레스 리스트의 열람에서의 동작 플로우차트,
도 6 a 내지 도 6 f는 어드레스 리스트의 열람에서의 표시 화면의 천이도,
도 7은 스케쥴의 열람에서의 동작 플로우차트,
도 8 a 내지 도 8 h는 스케쥴의 열람에서의 표시 화면의 천이도,
도 9는 메모 리스트의 열람에서의 동작 플로우차트,
도 10 a 내지 도 10 d는 메모 리스트의 열람에서의 표시 화면의 천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안테나 2:무선부
3:제어부 4:표시부
5:조작부 6:메모리부
7:개폐 검출부 8:스피커
9:마이크 10:카메라부
11:발광부 12:제 1 하우징
13:제 2 하우징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단말로서, 특히,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문자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 1, 제 2 하우징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전화 기능 외에 인터넷, 전자 메일, 동화상/정지 화상의 표시, 스케쥴 관리 등의 고기능 단말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들 고기능의 탑재에 따라, 휴대 단말의 표시부는 컬러화, 고해상도화하여, 대화면의 표시부가 마련되어 왔다.
대화면의 표시부를 구비하고, 또한 휴대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을 대표하는 휴대 전화기에서는, 표시부가 마련된 표시부 하우징과, 텐 키(ten key)나 기능 키(function key) 등 문자 입력 및 조작용의 키가 마련된 조작부 하우징을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접이 구조로 하는 것이 최근에는 주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형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2개의 하우징을 접은 상태(닫힌 상태)에서는, 표시부가 접혀진 2개의 하우징의 내측에 숨어버리고 말아, 그 때문에 전자 메일 등의 착신이 있을 때는, 2개의 하우징을 열고 표시부를 외부에 나타낼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접이형 휴대 전화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 제2002-158758호 공보에서는 회전 기구에 의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해, 표시부가 마련된 표시부 하우징과 문자 입력 및 조작용의 키가 마련된 조작부 하우징을 중첩시킨 상태(닫힌 상태)에서, 표시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 제2001-292213호 공보에서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개폐형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마찬가지로 2개의 하우징을 중첩시킨 상태(닫힌 상태)에서 표시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슬라이드 기구, 회전 기구, 접이 기구 등 휴대 단말의 구조에 관계없이, 표시부가 마련된 표시부 하우징과 문자 입력 및 조작용의 키가 마련된 조작부 하우징을 중첩시킨 상태를 「닫힌 상태」, 「닫힌 상태」로부터 조금이라도 열려진 상태 또는 완전히 양 하우징이 열려진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이하에서는 총칭한다.
그런데, 닫힌 상태에 표시부가 노출되는 휴대 단말은, 종래의 접이형 휴대 전화기에 비교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전자 메일의 열람이나 발착신 이력의 확인 등의 표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을 열린 상태로 하는 상황은 문자 입력 또는 열린 상태에 의한 전화 통화 동작을 하는 경우에 한정되어 버린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어드레스 리스트 입력이나 전자 메일 작성 등 문자 입력을 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을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하여 텐 키 등의 문자 입력 조작부를 노출하더라도, 열린 상태로 한 뒤(또는 전)에 계층화된 메뉴 항목을 조작하여 문자 입력 상태(신규 작성/편집)로 설정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는 열림 동작과 동시에 메뉴 설정 조작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에 필요한 열림 동작에 따라 입력 화면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모드 전환을 포함한다), 불필요한 조작을 생략함과 동시에, 사용에 양호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표시 중인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되, 상 기 검출 수단이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항목에 근거하는 화면을, 상기 항목에 대응한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더라도 좋으며, 또는 휴대 전화기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고,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열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양 하우징의 닫힘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변경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더라도 좋으며, 또는, 휴대 전화기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비입력 모드와 입력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출 수단이 양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비입력 모드를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시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출 수단이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이 표시되어 있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입력 화면으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이 표시되어 있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입력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의 화면에,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시키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서로 개폐 자유롭게 접속된 하우징을 갖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양 하우징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리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근거하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항목에 대응한 입력 화면으로 전환한다.
또한, 닫힌 상태로부터 상기 양 하우징을 여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이드 표시를 갖는 비입력 화면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6의 특징은, 서로 개폐 자유롭게 접속된 하우징을 갖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전자 메일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의 비입력 화면에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양 하우징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려지면,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하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에 근거하는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입력 화면으로 전환한다.
또한, 닫힌 상태로부터 상기 양 하우징을 여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이드 표시를 갖는 비 입력 화면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또한,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은, 휴대 단말이「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가 되는 상태 변화를 위한 동작을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하는 열림 동작은 예컨대「닫힌 상태」부터 조금이라도 하우징을 여는 동작에서도, 양 하우징을 완전히 열기까지의 동작 도중에서도, 양 하우징을 완전히 열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의 종료에서라도 좋다. 또한, 이들 동작의 검출에는 스위치 기구나 센서 등에 의해 하우징의 동작을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로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나 PDC(Personal Digital Cellular)방식이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방식 등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휴대 전화기 외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총칭되는 휴대 정보 단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PDA의 경우, 통신 수단을 내장하고 있는 것 외에, 외부로부터 통신 수단을 접속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예로서, 휴대 전화기의 일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소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를 나타내며, 도 2 a는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정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 b는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 c는 휴대 전화기의 열린 상태에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2 d는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에서의 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기는 힌지부(도시하지 않음)를 축으로 하여 표시부(4)를 구비한 제 1 하우징(12)과 텐 키나 키 보드 등 문자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5c)를 구비한 제 2 하우징(13)을 회동시키는 구조이다.
휴대 전화기는 안테나(1), 무선부(2), 제어부(3), 표시부(4), 조작부(5), 메모리부(6), 개폐 검출부(7), 스피커(8), 마이크(9), 카메라부(10), 발광부(11)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표시부(4)를 구비한 제 1 하우징(12)과, 텐 키나 키 보드 등 문자 입력을 행하는 조작 키(5c)를 구비한 제 2 하우징(13)의 2개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무선부(2)(수신 수단)는 안테나(1)를 통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데이터로 복조하여 제어부(3)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변조하여 안테나(1)를 거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3)(제어 수단)는 무선부(2)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신호 또는 조작부(5)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라서, 표시부(4)의 표시 내용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3)는 착신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표시부(4)에 발신자 표시를 한다. 또한 조작부(5)의 입력에 의해 메뉴 프로그램이나 각종 기능 프로그램 판독 지시 명령을 검출하면, 각 상황에 따른 표시를 한다. 또한, 제어부(3)는 열림 동작에 따라, 화면 전환하여, 모드 전환 등의 처리를 제어한다.
표시부(4)는 데이터나 메뉴 등을 표시하고,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다. 표시부(4)는 도 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도, 도 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도 휴대 전화기의 외부(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조작부(5)(선택 수단)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3 방향 레버 키(5a), 사이드 키(5b)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텐 키나 방향 키 등 문자 입력에 이용되는 조작 키(5c)가 포함된다. 또한, 조작키(5c)는 예시한 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키 보드 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제 2 하우징의 문자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는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조작키(5c)를 나타낸다. 또한, 조작부(5)는 표시부(4)에 표시하고 있는 항목을 선택·결정 조작한다.
메모리부(6)(기억 수단)는 ROM, RAM, EEPROM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예컨대 발착신 이력, 메일, 어드레스 리스트(전화 번호 리스트), 동화상/정지 화상, 스케 쥴 등의 각종 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말하는 항목(어드레스 리스트, 메일, 메모 리스트, 스케쥴 등의 각종 메뉴나 메뉴 내에서의 커서의 선택 상황)에 대응하는 입력 화면을 기억하고 있다. 예컨대, 어드레스 리스트의 등록 데이터의 메일 어드레스를 표시하고 있는 때에는「신규 메일 작성 화면」,메일의 수신 이력을 표시하고 있는 때는「회신 메일 작성 화면」, 스케쥴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 때는 「스케쥴 편집 화면」, 메모 리스트의 등록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 때는「메모 리스트 편집 화면」 등을 들 수 있다.
개폐 검출부(7)(검출 수단)는 휴대 전화기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 이며, 검출하면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또한, 개폐 검출부(7)는 닫힘 동작도 검출하며, 이 양 동작 검출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열린 상태」 「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된다. 또한, 검출하는 열림 동작은 예컨대「닫힌 상태」로부터 조금이라도 하우징을 여는 동작에서도, 양 하우징을 완전히 열기까지의 동작 도중에서도, 양 하우징을 완전히 연 것을 나타내는 동작의 종료에서라도 좋다. 닫힘 동작의 검출은 열림 동작의 검출과 같이, 예컨대「열린 상태」로부터 조금이라도 하우징을 닫는 동작에서도, 양 하우징을 완전히 닫기까지의 동작 도중에서도, 양 하우징을 완전히 닫은 것을 나타내는 동작의 종료에서라도 좋다. 또한, 이들 동작의 검출에는 스위치 기구나 센서 등에 의해 하우징의 동작을 검출한다.
스피커(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닫힌 상태로 사용하는 스피커(8a)와 열린 상태로 사용하는 스피커(8b)를 포함하고 있어 닫힌 상태에서도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마이크(9)는 통화시나 동화상 촬영시에 사용자나 주위의 음성(소리)을 취입한다.
카메라부(l0) 촬상 렌즈, 촬상 소자(CCD : Charge-Coupled Device), 촬상 회로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피사체를 촬상한다.
발광부(11)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플래쉬를 나타내며, 야간 또는 광량 부족의 장소에서 사진을 찍을 때에 인공적으로 순간적인 강한 빛을 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인, 열림 동작에 근거하여 표시부의 표시 화면이 열람 화면으로부터 문자 등을 입력하는 편집 화면으로 이행하는 동작예에 대하여 이하 플로우차트 및 화면 천이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메일 열람에서의 동작예를, 도 3의 동작 플로우차트와, 도 4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 천이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 착신을 기다리고 있을 때에(도 4 a), 메일의 수신을 제어부(3)가 검출하면, 제어부(3)는 수신 처리를 하여 표시부(4)에「신착 E 메일 1건」이라고 표시한다 (도 3 : S301, S302, 도 4 b). 이 표시에 의해 사용자가 수신 메일의 존재를 알아차리면, 사용자는, 3 방향 레버 키(5a) 등을 조작하여 수신 메일의 확인 동작을 한다. 제어부(3)는, 이 조작에 근거하여 수신 이력의 일람을 표시부(4)에 표시한다(도 3 : S303, S304,도 4 c). 수신 이력의 일람은, 도 4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짜, 송신자(From), 타이틀(Title) 등 간략적인 표시를 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열람 중인 수신 메일로부터 회신 메일을 작성할 때는, 회신하고 싶은 메일에 3 방향 레버 키(5a)를 조작하여 커서를 맞추고,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한다. 개폐 검출부(7)는 휴대 전화기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3)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는 개폐 검출부(7)의 신호를 검출하면, 표시부(4)의 표시를 수신 이력 일람 화면(열람 화면)으로부터 회신 메일 작성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닫힌 상태에서 커서가 선택되어 있던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용의 메일을 작성한다 (도 3 : S305∼S308, 도 4 d). 여기서「선택되어 있던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용의 메일을 작성한다」는, 예컨대, (i) 회신용 메일의 송신 목적지의 란(To : )에 송신 상대의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입력하거나, (ii) 「회신」의 의미를 포함한 「Re:」를 상대의 타이틀의 선두에 붙여 회신용 메일의 타이틀의 란(Title:)에 자동적으로 입력하거나, (ⅲ) 상대의 본문을 인용한다, 것 등을 나타낸다.
또한, 열람 화면은 상술한 수신 이력 표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전문을 표시하고 있는 화면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그 경우도 마찬가지로 열람 중인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용의 메일이 작성된다(도 3 : S307∼S311, 도 4 d, 도 4 e). 또한, 열람 화면으로부터 전환되는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은 도 4 f에 나타내는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의 항목 선택 화면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어드레스 리스트의 열람에서의 동작예를, 도 5의 동작 플로우챠트와, 도 6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천이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3 방향 레버 키(5a) 등을 조작하여 메뉴 항목으로부터 어드레스 리스트 기능을 선택·결정하고 또한 어드레스 리스트 기능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등록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데이터를 검색·결정한다. (도 5 : S501∼S505, 도 6 a∼도 6 c). 하나의 데이터가 결정되면 그 데이터의 상세가 표시(이름,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그룹 번호, 위치 정보 등)된다(도 5 : S506, 도 6 d).
다음에, 사용자가 상세 표시 중(열람 중)인 상대에 대하여 신규 메일을 작성할 때에는, 송신하고자 하는 메일 어드레스에 3 방향 레버 키(5a)를 조작하여 커서를 맞추고,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한다. 개폐 검지부(7)는 휴대 전화기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3)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는 개폐 검출부(7)의 신호를 검출하면, 표시부(4)의 표시를 어드레스 리스트 상세 표시 화면(열람 화면)으로부터 신규 메일 작성 화면으로 전환한다. 그 때, 닫힌 상태에서 커서가 선택되어 있던 메일 어드레스를 송신 목적지(To)의 란에 자동적으로 입력한다(도 5 : S507∼S510, 도 6 d, 도 6 e). 또한, 열람 화면은, 상세 표시 화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색 중인 화면(도 6 c)에서 커서가 선택되어 있을 때라도 상관없다. 단, 이러한 경우, 메일 어드레스를 복수 등록하고 있는 데이터라면, 그 중의 하나를 자동적으로 입력하거나,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거나, 또는 입력되지 않는 등의 제어 방법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열람 화면으로부터 전환되는 신규 메일 작성 화면은, 도 6 f에 나타내는 신규 메일 작성 화면의 항목 선택 화면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케쥴의 열람에서의 동작예를, 도 7의 동작 플로우차트와, 도 8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천이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3 방향 레버 키(5a) 등을 조작하여 메뉴 항목으로부터 스케쥴 기능을 선택·결정하고 카렌다(calendar)를 표시한다(도 7 : S70l∼S704, 도 8 a∼도 8 c). 다음에, 카렌다 표시 중에서 스케쥴을 입력하고 싶은 날짜에 커서를 맞추어 결정하면, 그 날짜에 이미 등록되어 있던 스케쥴의 일람이 표시되고, 또한 그 중의 하나를 선택·결정하면 상세(일시, 장소, 내용 등)가 표시된다(도 7 : S705∼S708, 도 8 c∼도 8 e).
다음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데이터의 내용의 편집을 할 때에는, 편집하고 싶은 항목에 3 방향 레버 키(5a)를 조작하여 커서를 맞추고,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한다. 개폐 검출부(7)는 휴대 전화기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3)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는 개폐 검출부(7)의 신호를 검출하면, 표시부(4)의 표시를 스케쥴 상세 표시 화면(열람 화면)으로부터 스케쥴 편집 화면(편집 화면)으로 전환한다(도 7 : S709∼S711, 도 8 e∼도 8 f). 또한, 열람 화면은 상세 표시 화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렌다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날짜에 커서가 선택되어 있을 때라도 상관없다(도 8 g). 단, 이러한 경우, 스케줄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편집 화면(도 8 e 또는 도 8 f)로 이행하고, 스케쥴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신규 스케쥴 작성 화면(도 8 h)의 항목 선택 화면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메모 리스트의 열람에서의 동작예를, 도 9의 동작 플로우차트와,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천이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3 방향 레버 키(5a) 등을 조작하여 메뉴 항목으로부터 메모 리스트 기능을 선택·결정하고 메모 리스트 일람을 표시한다(도 9 : S901∼S904, 도 10 a∼도 10 c). 다음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데이터의 내용을 편집하고 싶은 경우는, 일람 표시 중에서 편집하고 싶은 타이틀에 커서를 맞추고,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한다. 개폐 검출부(7)는 휴대 전화기가 열린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3)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는 개폐 검출부(7)의 신호를 검출하면, 표시부(4)의 표시를 메모 리스트 일람 표시 화면(열람 화면)으로부터 메모리 리스트 편집 화면(편집 화면)으로 전환한다(도 9 : S905∼S907, 도 10 c∼도 10 d). 또한, 등록되어 있던 메모 리스트의 일람이 표시되고, 또한 그 중의 하나를 선택·결정하면 내용이 표시되지만,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하면, 마찬가지로, 개폐 검출부(7)는, 휴대 전화기가 열린 것을 검출하고, 제어부(3)는, 표시부(4)의 표시를 메모 리스트 내용의 표시 화면(열람 화면)으로부터 메모 리스트 편집 화면(편집 화면)으로 전환한다(도 9 : S907∼S910).
또한, 「입력 화면」은, 「회신 메일 작성 화면」, 「신규 메일 작성 화면」,「신규 스케쥴 작성 화면」, 「편집 화면」, 「패스워드 입력 화면」(도시하지 않음) 등 입력 항목을 선택하고, 조작 키(5c)를 사용하여 문자·기호·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화면(도 4 f, 도 6 f, 도 8 h)을 나타내지만, 항목이 이미 선택되어 입력 위치를 커서로 표시하고 있는 상태의 화면(도 4 d, 도 6 e, 도 8 f, 도 10 d) 이더라도 좋다.
또한, 열림 동작에 의해 노출되는 조작부(조작 키(5c))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은, 조작 키(5c)의 조작 입력에 대하여 문자 등의 입력이나 커서의 이동을 할 수 있는 화면이다. 예컨대, 도 4 d, 도 6 e, 도 8 f, 도 10 d에 나타내는 화면이다.
또한, 「열람 모드」는 메뉴 항목, 일람 표시, 카렌다 표시, 상세 표시, 웹 표시 등 정보를 열람하는 모드를 나타내고, 특히 닫힌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 입력 모드」는 신규 작성, 회신 메일 작성, 편집 등의 문자·기호·숫자 등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모드를 나타내며, 특히 열린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일 실시예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입력에 필요한 열림 동작에 따라 입력 화면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모드 전환을 포함한다), 불필요한 조작을 생략함과 동시에, 사용에 양호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며,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중인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항목에 근거하는 화면을, 상기 항목에 대응한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인 휴대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휴대 전화기인 휴대 단말.
  5.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며,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또한, 열린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며, 상기 검출 수단이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인 휴대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휴대 전화기인 휴대 단말.
  8.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비입력 모드와 입력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비 입력 모드를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
  9. 휴대 단말로서,
    적어도 표시부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조작부를 갖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시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양 하우징은, 서로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양 하우징의 열림 동작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이 표시되어 있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이 표시되어 있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의 화면에,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시키는 휴대 단말.
  11. 서로 개폐 자유롭게 접속된 하우징을 갖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입력 화면 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양 하우징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리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근거한 비입력 화면을, 상기 항목에 대응한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닫힌 상태로부터 상기 양 하우징을 여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이드 표시를 갖는 비입력 화면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13. 서로 개폐 자유롭게 접속된 하우징을 갖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전자 메일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의 비입력 화면에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양 하우징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리면,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을 표시하는 비입력 화면을, 상기 수신한 전자 메일에 근거하여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입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닫힌 상태로부터 상기 양 하우징을 여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이드 표시를 갖는 비입력 화면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KR1020030065749A 2002-09-26 2003-09-23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KR100557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1913 2002-09-26
JP2002281913A JP4070192B2 (ja) 2002-09-26 2002-09-26 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60A KR20040027360A (ko) 2004-04-01
KR100557846B1 true KR100557846B1 (ko) 2006-03-10

Family

ID=3227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749A KR100557846B1 (ko) 2002-09-26 2003-09-23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3720B2 (ko)
JP (1) JP4070192B2 (ko)
KR (1) KR100557846B1 (ko)
CN (1) CN1005598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2030B2 (en) * 2003-12-23 2007-01-09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housing
US20050188406A1 (en) * 2004-02-23 2005-08-25 Gielow Christopher 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s and media cont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104611B1 (ko) * 2005-04-29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KR101351023B1 (ko) * 2007-03-08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08289081A (ja) * 2007-05-21 2008-11-27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
JP5099626B2 (ja) * 2007-07-27 2012-12-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11721B1 (ko) * 2007-08-07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JP5140364B2 (ja) * 2007-09-28 2013-02-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表示切替方法、表示切替プログラム
US8294680B2 (en) * 2009-03-27 2012-10-2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touch-based text entry
JP2011155529A (ja) * 2010-01-27 2011-08-11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0685B2 (ja) * 1994-04-18 1997-12-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携帯無線機
JP3222764B2 (ja) * 1996-05-17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6009336A (en)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S6094565A (en) * 1997-06-30 2000-07-25 Motorola, Inc.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1136095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3985422B2 (ja) 2000-04-10 2007-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型携帯電話
JP2001298513A (ja) 2000-04-12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448547B2 (ja) * 2000-05-12 2003-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152347A (ja) 2000-11-14 2002-05-24 Nec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2158758A (ja) 2000-11-20 2002-05-31 Nec Corp 開閉型携帯情報端末
JP2002261909A (ja) * 2001-02-28 2002-09-13 Sanyo Electric Co Ltd 電話機及び通知方法
US6907276B2 (en) * 2001-03-21 2005-06-14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display unit
JP2002320012A (ja) * 2001-04-20 2002-10-31 Nec Access Technic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機器
JP3561709B2 (ja) 2002-03-01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8003A (zh) 2004-05-19
CN100559815C (zh) 2009-11-11
US7483720B2 (en) 2009-01-27
US20040132512A1 (en) 2004-07-08
JP2004120436A (ja) 2004-04-15
KR20040027360A (ko) 2004-04-01
JP4070192B2 (ja)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9059B2 (en) Portable terminal unit
EP225956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8389B1 (ko) 통신단말장치 및 표시방법
EP1635550B1 (en) Display apparatus for multitasking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related method
US865954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or pictograms
EP1298890A2 (en) Foldabl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6980835B2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implified call initiation operation
US20050143137A1 (en) Terminal apparatus
KR20100030657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서의 표시 방법
KR100557846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표시부 입력 화면 표시 방법
JP3957693B2 (ja)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型携帯端末装置
JP5576163B2 (ja) 携帯端末装置
CN100505035C (zh) 通信终端装置及通信终端装置的字符显示方法
JP6060233B2 (ja) 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67420B2 (ja) 携帯端末
JP4328369B2 (ja) 携帯端末
JP2003333139A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4199730B2 (ja) 移動体通信機
JP2007306590A (ja) 携帯端末
JP2008211822A (ja)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2004112327A (ja) 携帯電話機
JP5828940B2 (ja) 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6183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history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communication history display program
JP2005210516A (ja) 携帯通信端末
JP2005115554A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