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354B1 - 유기물 정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정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354B1
KR100556354B1 KR1020020059519A KR20020059519A KR100556354B1 KR 100556354 B1 KR100556354 B1 KR 100556354B1 KR 1020020059519 A KR1020020059519 A KR 1020020059519A KR 20020059519 A KR20020059519 A KR 20020059519A KR 100556354 B1 KR100556354 B1 KR 10055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stationary phase
soxhlet
organic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364A (ko
Inventor
이경훈
서정대
오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354B1/ko
Priority to US10/671,549 priority patent/US6964730B2/en
Priority to EP03021931A priority patent/EP1402932B1/en
Priority to JP2003340212A priority patent/JP2004122126A/ja
Priority to CNB031648185A priority patent/CN1286567C/zh
Publication of KR2004002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41Use of fluids
    • B01D1/0052Use of a liquid transfer medium or intermediate fluid, e.g. bain-mar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01D5/0063Reflux cond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G01N2001/4033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sample concentrated on a cold spot, e.g. condensation or disti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3/00Distillation: processes, separatory
    • Y10S203/02Laboratory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도가 떨어지는 고체유기물 정제에 적합한 유기물 정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형 콘덴서, 속슬렛관, 그리고 플라스크로 구성되어 유기물을 정제하는 속슬렛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슬렛관 하단에 혼합물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정지상을 구성하는데 있다.
정제 장치, 속슬렛법, 액체크로마토 그래피법

Description

유기물 정제 장치{refining method for organic ma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사형 콘덴서 20 : 속슬렛
30 : 셀룰로오스 팀블 40 : 모세관
50 : 정지상 60 : 솜
70 : 바다 모래 80 : 유기용매
90 : 플라스크 100 : 교반자석 또는 끓임쪽
110 : 히터
본 발명은 유기물 정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해도가 떨어지는 고체를 정제하는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된 고체 유기물질의 정제에 있어서 기존에는 재결정 방법, 크로마토그래피법, 승화법 등을 사용하여 왔다.
상기 재결정 방법은 고체를 용매에 가열하여 녹여서 과포화 상태를 만든 후 냉각시키면 순수한 물질들이 결정으로 떨어지게 되며 불순물은 용매에 남아있게 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법은 불순한 물질이 포함된 용질을 극성이 높은 정지상을 지나게 함으로 혼합물의 극성차에 의해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때 물질이 흘러나오도록 하는 것을 이동상이라고 하는데 보통 정지상은 실리카겔, 알루미나 등을 사용하며 이동상으로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Hans J, Wagner 등이 고안한 승화법이 있다(Journal of Materials Science 17(1982)2781~2791).
상기 승화법은 혼합물의 다른 물질간에 극성이 유사하여 크로마토그래피법이나, 재결정으로 분리가 어렵지만 녹는점의 차이가 크게 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즉, 혼합물을 열원에 올려놓고 녹는점 근처까지 온도를 올리며 질소를 넣어 준다. 이때 질소가 이동상이 된다.
그리고 질소에 의해 운반되는 혼합물 가스가 포집되도록 이동하는 경로에 온도 계층(grade)을 두면 각 물질들은 적당한 온도 구간에서 맺히게 되며, 이를 구간별로 회수하여 물질을 분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기물질 정제방법은 정제하는 물질에 따라서 높은 온도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유기물질의 증착시에도 정제 때와 동일하게 많은 시간 및 높은 온도가 필요하며, 고온에 의한 유기물질 정제는 유기물질의 분해를 초래시키기도 한다.
또한, 승화법으로 정제를 할 때, 거의 유사한 온도에서 함께 날아가는 물질 이 있을 경우는 분리가 불가능하며 이 때는 재결정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법을 다시 이용하여 유사온도에서 날아가는 불순물을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상기 유기 EL에 사용되는 물질은 혼합물의 용해도가 매우 떨어지므로 새로운 방법의 정제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용해도가 떨어지는 고체유기물 정제에 적합한 유기물 정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의 특징은 정제하고자 하는 고체형 유기물을 담고 있는 셀룰로오스 팀블과, 용매를 담고 있는 플라스크에 열을 가해 담겨있는 용매를 증류시키는 히터와, 상기 증류되는 용매를 냉각수를 통해 액화시키고 하단에 위치하는 셀룰로오스 팀블 안으로 주입하여 고체형 유기물을 용해시키는 반사형 콘덴서와, 상기 셀룰로오스 팀블 안으로 주입되는 용매를 이동상으로 혼합물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정지상과, 상기 정지상을 통해 분리된 액체가 관 내부에 일정 높이까지 차게 되면 표면 장력의 차에 의해서 모세관을 통해 일시에 빠져나가는 속슬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정지상은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리트(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중 어느 하나이며, 상하부에 바다 모래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의 다른 특징은 반사형 콘덴서, 속슬렛관, 그리고 플라스크로 구성되어 유기물을 정제하는 속슬렛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슬렛관 하단에 혼합물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정지상을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정제하고자 하는 고체형 유기물을 담고 있는 셀룰로오스 팀블(30)과, 유기용매(80)를 담고 있는 플라스크(90)와, 상기 플라스크(90)에 열을 가해 담겨있는 유기용매(80)를 증류시키는 히터(110)와, 상기 증류되는 유기용매(80)를 냉각수를 통해 액화시키고 하단에 위치하는 셀룰로오스 팀블(30) 안으로 주입하여 고체형 유기물을 용해시키는 반사형 콘덴서(10)와, 상기 셀룰로로우스 팀블(30) 안으로 주입되는 유기용매(80)를 이동상으로 하단에 위치한 극성이 높은 물질로 지나가게 함으로서 혼합물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정지상(50)과, 상기 정지상(50)을 통해 분리된 액체가 관 내부에 일정 높이까지 차게 되면 표면 장력의 차에 의해서 모세관(40)을 통해 일시에 빠져나가는 속슬렛(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세관(40)을 통해 빠져나오는 이동상인 유기용매(80)는 액체의 끓는점 이상으로 유지되는 플라스크(90)에 다시 모이게 되며, 이때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정지상을 통과하여 분리된 유기물도 플라스크에 모이게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지상(50)은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리트(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등의 상하부에 바다 모래(7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세관(40)의 입구는 솜에 의해 막혀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되는 유기물은 구조식 1과 같이 잘 용해되지 않는 물질로서, 반응에 함유된 금속 산화물을 불순물로 함유하고 있다. 특히, 이 물질은 재결정으로도 제거가 불가능하며 승화법을 이용해도 불순물이 계속 따라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유기물을 도 1과 같이 속슬렛(soxhlet)(20)을 장착하고 모세관(40)에 실리카겔이 따라나가지 않도록 솜(60)을 이용하여 막아준다.
이 위에 얇게 바다 모래(sea sand)(70)를 깔아 주고 그 위에 극성이 높은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50)를 3cm되도록 채운다. 그리고 둥근 바닥모양의 플라스크(90)에 유기용매(80)인 메틸렌 염화물(methylene chloride)을 채우고 속슬렛(20)과 패킹(packing) 한다.
셀룰로오스 팀블(cellulose thimble)(30)에 다음 구조식 1의 물질을 1g 넣은 후 속슬렛(20) 안에 넣는다.
[구조식 1]
Figure 112002032198829-pat00001
그리고 상기 속슬렛(20) 위에 반사형 콘덴서(condenser)(10)를 달고 1l 플라스크(90)에 유기용매(80) 700ml를 넣은 후 하부에 위치하는 유기용매(80)가 들어있는 플라스크(90)에 히터(110)를 통해 100℃로 가열한다.
그러면 상기 플라스크(90) 내에 있는 유기 용매(80)가 증류되어 반사형 콘덴서(10)에 맺히게 되고, 이는 속슬렛(20) 내부의 셀룰로오스 팀블(30)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팀블(30) 안에 있는 고체형 유기물이 용해된다.
이때, 상기 반사형 콘덴서(10)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증류되는 유기용매(80)를 액화시킨다.
이어 상기 셀룰로오스 팀블(30) 내에 유기용매(80)와 용해된 유기물이 일정 높이까지 채워지면 상기 유기용매(80)가 이동상으로 하단에 있는 바다모래(70)와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리트(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등으로 구성된 정지상(50)을 통과하여 모세관(40)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정제된 유기물도 함께 빠져나가며, 정제되지 않은 불순물인 금속 산화물은 상기 바다모래(70)와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리트(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등으로 구성된 정지상(5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40)의 입구에 솜을 위치시켜 상기 정제된 유기물과 유기용매(80)가 빠져나가는 입구를 막음으로서,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리트(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등이 모세관(40)을 통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40)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온 유기용매(80) 및 정제된 유기물(100)은 하단에 위치하는 유기용매(80)가 담겨져 있는 플라스크(90)로 들어가게 된다.
이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약 12시간 후 플라스크(90) 안에는 정제된 깨끗한 유기물가 떠다니고, 또한 실리카겔 윗면은 금속 산화물인 불순물이 검게 잡혀있게 된다.
그러면 플라스크(90)에 있는 유기용매(80)를 필터하여 정제된 유기물(100)을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 정제된 유기물을 승화법으로 정제할 경우 매우 순수한 물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정제된 물질과 그렇지 않은 물질을 이용하여 소자를 만들었을 경우, 확연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구조식 1의 NPD를 이용한 소자의 구조인 ITO(1200Å) CuPc(250Å) NPD(350Å) Alq3(300Å) LiF(5Å) Al(1000Å)의 소자구조를 가질 때, 구조식 1 물질의 정제 방법에 따른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면, 표 1과 같이 속슬렛(soxhlet)(20)을 이용 하여 정제된 물질과 그렇지 않은 물질간의 휘도와 색좌표(C.I.E)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속슬렛(soxhlet)(20)을 이용한 물질정제는 유기 EL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므로 물질 정제에 있어 속슬렛(20)을 이용한 물질 정제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전류(mA) 전압(V) 휘도(
Figure 112002032198829-pat00002
)
C.I.E(x,y)
정제 안된 물질 1 12.0 66.0 (0.214,0.300)
정제된 물질 1 9.3 114.5 (0.187,0.228)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속슬렛(soxhlet)법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소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용해도가 떨어지는 고체를 연속적으로 녹여 정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정제 장치는 기존 속슬렛법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의 문제점인 용해도가 떨어지는 유기물의 정제를 손쉽게 정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 EL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정제하고자 하는 고체형 유기물을 담고 있는 셀룰로오스 팀블과
    용매를 담고 있는 플라스크에 열을 가해 담겨있는 용매를 증류시키는 히터와,
    상기 증류되는 용매를 냉각수를 통해 액화시키고 하단에 위치하는 셀룰로오스 팀블 안으로 주입하여 고체형 유기물을 용해시키는 반사형 콘덴서와,
    상기 셀룰로로우스 팀블 안으로 주입되는 용매를 이동상으로 혼합물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정지상과,
    상기 정지상을 통해 분리된 액체가 관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차면, 표면 장력의 차에 의해서 상기 액체가 찬 높이보다는 낮고 상기 정지상이 위치하는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된 모세관을 통해, 일시에 빠져나가는 속슬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은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리트(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솜으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은 실리카겔, 알루미나, celite, 그리고 활성화된 카본 중 어느 하나와, 상하부에 바다 모래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 장치.
  6. 삭제
KR1020020059519A 2002-09-30 2002-09-30 유기물 정제 장치 KR10055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519A KR100556354B1 (ko) 2002-09-30 2002-09-30 유기물 정제 장치
US10/671,549 US6964730B2 (en) 2002-09-30 2003-09-29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03021931A EP1402932B1 (en) 2002-09-30 2003-09-29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3340212A JP2004122126A (ja) 2002-09-30 2003-09-30 精製装置及びその精製方法
CNB031648185A CN1286567C (zh) 2002-09-30 2003-09-30 纯化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519A KR100556354B1 (ko) 2002-09-30 2002-09-30 유기물 정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364A KR20040028364A (ko) 2004-04-03
KR100556354B1 true KR100556354B1 (ko) 2006-03-03

Family

ID=3197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519A KR100556354B1 (ko) 2002-09-30 2002-09-30 유기물 정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4730B2 (ko)
EP (1) EP1402932B1 (ko)
JP (1) JP2004122126A (ko)
KR (1) KR100556354B1 (ko)
CN (1) CN128656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2729A (ja) *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外傷検出システム及びタイヤ外傷検出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354B1 (ko) * 2002-09-30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물 정제 장치
US20080011598A1 (en) * 2006-07-13 2008-01-17 Chun Jung Chen Freshwater Recycling System
KR100870902B1 (ko) * 2007-07-27 2008-11-2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금속황화물 분말의 제조방법
ITTV20120086A1 (it) * 2012-05-16 2013-11-17 Stefano Ruffini Estrattore
WO2015147487A1 (ko) * 2014-03-28 2015-10-01 주식회사 디엠에스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및 장치
CN105315117A (zh) * 2014-07-15 2016-02-10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有机固体材料新型纯化方法
CN105935603B (zh) * 2016-06-28 2018-05-11 海门市苍云机械有限公司 一种多级分馏烧瓶
CN106621419A (zh) * 2016-12-08 2017-05-10 南京华基塔业有限公司 一种适合于复杂混合物料分离的蒸发塔
CN108379870A (zh) * 2018-01-29 2018-08-10 同济大学 一种混合物的高效过滤装置及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135A (en) * 1956-01-31 huckabay
JPS614556A (ja) * 1984-06-15 1986-01-10 Trinity Ind Corp 静電塗油装置
JPS61127631A (ja) * 1984-11-28 1986-06-14 Canon Inc 多孔性ガラスに付着した水分の除去方法
US4861561A (en) * 1985-11-27 1989-08-29 Burlington Industries, Inc. High speed extraction and treatment apparatus
US4920792A (en) * 1988-03-04 1990-05-01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fluid in a core
KR20000015867A (ko) * 1996-05-20 2000-03-15 뽀샤 제이아르 유기 화합물 추출장치 및 속슬레형 유기 화합물 추출설비
EP1402932A1 (en) * 2002-09-30 2004-03-31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386A (en) * 1978-11-30 1981-03-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t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Method and apparatus for destroying organic matter to facilitate trace inorganic element analysis
US4265860A (en) * 1980-03-27 1981-05-05 J & W Scientific, Incorporated High pressure Soxhlet extractor
DE3614556A1 (de) * 1986-04-29 1987-11-05 Miethke Herbert Destillationskuehler fuer labor und technikum zum kondensieren gefaehrliche schadstoffe enthaltender fluessigkeiten und verwendung des destillationskuehlers bei der abdestillation von loesungsmitteln radioaktiver substanzen
US5147538A (en) * 1990-04-19 1992-09-15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Field-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tical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sorbent materials
EP0747103B1 (de) * 1995-06-08 1998-08-19 Büchi Labortechnik AG Extraktor für die Fest-Flüssig-Extraktion nach Soxhlet
US6790318B2 (en) * 2002-09-27 2004-09-14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purification of polymeric medical device materials using continuous soxhlet extra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135A (en) * 1956-01-31 huckabay
JPS614556A (ja) * 1984-06-15 1986-01-10 Trinity Ind Corp 静電塗油装置
JPS61127631A (ja) * 1984-11-28 1986-06-14 Canon Inc 多孔性ガラスに付着した水分の除去方法
US4861561A (en) * 1985-11-27 1989-08-29 Burlington Industries, Inc. High speed extraction and treatment apparatus
US4920792A (en) * 1988-03-04 1990-05-01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fluid in a core
KR20000015867A (ko) * 1996-05-20 2000-03-15 뽀샤 제이아르 유기 화합물 추출장치 및 속슬레형 유기 화합물 추출설비
EP1402932A1 (en) * 2002-09-30 2004-03-31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Org Chem 1992; 57:3254-3256 *
J. Org. Chem. 1992, 57, 3254-3256 *
Journal of the Chinese Institute of engineers, 22(4), 401-408,199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2729A (ja) *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外傷検出システム及びタイヤ外傷検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69609A1 (en) 2004-04-15
US6964730B2 (en) 2005-11-15
JP2004122126A (ja) 2004-04-22
CN1286567C (zh) 2006-11-29
CN1496760A (zh) 2004-05-19
EP1402932B1 (en) 2012-04-11
KR20040028364A (ko) 2004-04-03
EP1402932A1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354B1 (ko) 유기물 정제 장치
RU224320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нтрацена и карбазола путем кристаллизации расплава
US504937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elemental sulfur carried in an aqueous cake
US3997562A (en) Macrocyclic polyether/nitrile complexes
KR100437762B1 (ko) 유기물질의 정제장치
CN112174769A (zh) 一种含有反式碳碳双键的有机物分子的分离富集方法
KR0129753B1 (ko) 2-(4-이소부틸페닐)프로피온산의 정제방법
KR102387827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의 분리 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리 정제 시스템
JP3828820B2 (ja) フラーレン類の製造方法
JP4768145B2 (ja) 光学活性2−フェノキシプロピオン酸の光学精製方法
KR100717386B1 (ko) 나프탈렌의 분리·회수방법
JP2004075557A (ja) アダマンタノンの精製方法
CN110698486A (zh) 一种六氮杂苯并菲三蒽醌衍生物及其合成方法
WO2015147487A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0434273B1 (ko) 유기물질의 정제방법
WO2015160169A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2305504B1 (ko) 유기발광소재(oled) 정제용 이온성액체의 재사용을 위한 정제방법
JP4514017B2 (ja) 塩酸エピナスチンの製造方法
Ogawa et al. Practical resolution of racemic trans-2-benzylaminocyclohexanol with di-p-toluoyl-L-tartaric acid via diastereomeric salt formation based on the Pope and Peachey method
Shiraiwa et al. Racemic structures and optical resolution by preferential crystallization of organic ammonium salts of (.+-.)-mandelic acid.
JP4694018B2 (ja) メバロラクトンメタクリル酸エステルの精製方法
JPH1077265A (ja) インドールの精製方法
JPS6323860A (ja) インド−ルの製造方法
KR100609948B1 (ko) 고순도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JP3722425B2 (ja) フラーレン類の混合物からフラーレン60又は70を高純度で分離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