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642B1 -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642B1
KR100555642B1 KR1020030090507A KR20030090507A KR100555642B1 KR 100555642 B1 KR100555642 B1 KR 100555642B1 KR 1020030090507 A KR1020030090507 A KR 1020030090507A KR 20030090507 A KR20030090507 A KR 20030090507A KR 100555642 B1 KR100555642 B1 KR 10055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slitting
jig
margin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579A (ko
Inventor
윤계영
Original Assignee
(주)오토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토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03009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6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는, 전후 수평이동 가능한 베이스 패널(60)과, 상기 베이스 패널(60)에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팅 지그(62)와, 상기 슬리팅 지그(6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개의 커터날(74)을 구비한 슬리터 유닛(70)과, 상기 슬리팅 지그(62)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슬리팅 지그(62)에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플랫케이블(10)의 최외곽 와이어와 바깥쪽의 마진변화폭을 측정하는 마진센서(90)와, 상기 마진센서(9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슬리팅 지그(62)의 위치를 조정하는 콘트롤유닛과, 상기 마진센서(90)의 좌우 정렬상태를 정밀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 마이크로미터(92)와, 상기 마진센서(90)와 이송되는 플랫케이블(1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 마이크로미터(94)로 구성된 슬리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의하면 커터날의 정렬상태를 바로잡기 위한 정렬조정작업이 자동으로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되는 플랫케이블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고, 각 커터날간의 간격을 맞추는 작업 역시 블록게이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또한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플랫케이블 제조장치{flat cable manufacturing equipment}
도 1은 일반적인 플랫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팅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팅부에 적용되는 슬리터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슬리팅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의 슬리팅부에 적용되는 슬리터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랫케이블 101: 단자부
12: 커버필름 60: 베이스 패널
62: 슬리팅 지그 70: 슬리터 유닛
72: 케이스 74: 커터날
76: 블록 게이지 80: 스크류바
82: 기어드 모터 90: 마진센서
92: 수평조절 마이크로미터 94: 간격조절 마이크로미터
100: 콘트롤 패널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케이블을 세로로 절단하기 위해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구성되는 슬리팅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랫케이블은 각종 전자기기 내부에서 구성요소간 또는 외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평행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재 도체 와이어(12)와, 상기 도체 와이어(12)를 감싸는 커버필름(14)으로 이루어지며, 완제품의 경우에는 양 선단에 일정길이 만큼 커버필름이 제거된 이른바 단자부(10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플랫케이블(10)은 제품의 특성상 도체 와이어(12)와 커버필름(14)을 결합함과 동시에 단자부위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커버필름(14)을 펀칭하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데, 상기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랫케이블 제조장치는 그 기능상, 이송부와, 펀칭부, 성형부, 슬리팅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이송부는 와이어 랙(미도시)으로부터 다수개의 도체 와이어(12)를 인출이송하는 와이어 롤러(22)와, 상기 와이어 롤러(22)에 의해 이송되는 도체 와이어(12)들을 정열하는 피치가이드 롤러(23)와 도체 와이어(12)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롤러(24) 및, 상하 필름 랙(25)(25')에 권취되어 있는 커버필름(14)을 펀칭부로 이송하는 상하 필름롤러(26)(26') 및 이송되는 커버필름(14)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2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펀칭부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하 커버필름(14)을 펀칭하는 상하 펀처(32)(32')와, 상기 각 펀처(32)(32')를 연동시키는 동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성형부는 도체 와이어(12)와 상하 커버필름(14)을 서로 압착하는 성형로울러(33) 및 도체 와이어(12)의 단말 부위에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보강테이프를 장착하는 상하 실링지그(34)(3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슬리팅부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슬리터 하우징(4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리터 유닛(50)과, 상기 슬리터 유닛(5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하기 위한 상하 조절나사(42)와, 좌우로 조정하기 위한 좌우조절나사(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터 유닛(50)은 다수개의 커터날(51)과, 상기 커터날(51)이 부착된 다수개의 커터블럭(52)과, 상기 각 커터블럭(52)을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하 는 지지브라켓(5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53)은 커터블럭(5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각 커터블럭(52)은 양 지지브라켓(53)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54)에 의해 관통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커터블럭(52)에는 상기 가이드봉(54)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나사(55)가 관통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송되는 플랫케이블(10)이 상기 슬리터 유닛(50)에 장착된 커터날(51)에 의해 슬리팅됨으로써 다수개의 가닥으로 분리되는데, 이때 상하조절나사(42) 및 좌우조절나사(44)를 조절하여 슬리팅 부위를 정확히 설정하게 된다.
더불어, 슬리팅부위간의 간격은 커터블럭(52)을 가이드봉(54)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조정하게 된다.
즉, 슬리터 유닛(50)이 슬리터 하우징(4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봉(54)을 따라 커터블럭(52)을 평행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각 커터날 간의 간격을 조정하게 되며, 측정자(S) 등의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커터날(51) 간격 조정시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각 커터날(51) 간의 간격을 설정한 다음에는 고정나사(55)를 조작하여 커터블럭(52)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설정된 간격이 고정되도록 한 다음, 슬리터 유닛(50)을 슬리터 하우징(40)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플랫케이블 제조기에 의하면, 상기 이송부의 와이어 롤러 (22)및 피치 가이드 롤러(23)에 의해 정렬 이송되는 도체 와이어(12)가 성형부로 이송되고, 이송된 도체 와이어(12)는, 필름 랙(25)으로부터 필름롤러(26) 등에 의해 성형부로 이송된 상하 커버필름(14)과 접한 상태에서 성형 로울러(33)의 가열압착 작용에 의해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커버필름(14)은 성형부로 이송되기에 앞서 펀칭부에서 상하펀처에 의해 각각 타발됨으로써 제품의 노출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상하펀처(32)(32')는 동기장치에 의해 연동되기 때문에 상하 커버필름(12) 노출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하 실링지그(34)(34')에 의해 보강테이프가 도체 와이어(12)의 단자부위에 부착되며, 보강테이프 부착되어 완성된 제품은 슬리팅부를 거치면서 상기 슬리터 유닛(50)에 장착된 커터날(51)에 의해 슬리팅되어 다수개의 가닥으로 분리된다.
한편, 플랫케이블(10)은 여러개의 세밀한 도체 와이어(12) 가닥이 근접하여 배치된 구조이며, 이송되면서 연속적으로 슬리팅되기 때문에 제조장치내의 타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해 슬리터 유닛(50)이 움직여 커터날(51)의 정렬이 미세하게라도 흐트러지거나, 플랫케이블(10)의 이송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생산되는 제품의 폭이 일정치 않게 되거나, 심지어는 도체 와이어(12)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커터날(51)의 정렬상태를 바로잡기 위한 정렬조정작업이, 작업자가 상하 조절나사(42) 및 좌우 조절나사(44)를 조작하는 이른바 수작업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수작업 방식에 의해면 정 렬의 정밀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각 커터날(51)간의 간격을 맞추는 작업 역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각 커터날(51) 간의 간격을 측정자(S)와 대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밀도와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플랫케이블 제조과정에서 슬리팅 위치를 정밀하게 자동보정할 수 있는 슬리팅부가 구비된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는, 전후 수평이동 가능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팅 지그와, 상기 슬리팅 지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개의 커터날을 구비한 슬리터 유닛과, 상기 슬리팅 지그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슬리팅 지그에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플랫케이블의 최외곽 와이어와 바깥쪽의 마진변화폭을 측정하는 마진센서와, 상기 마진센서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슬리팅 지그의 위치를 조정하는 콘트롤유닛과, 상기 마진센서의 좌우 정렬상태를 정밀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 마이크로미터 와, 상기 마진센서와 이송되는 플랫케이블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 마이크로미터로 구성된 슬리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의 슬리팅부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후(도면상 X축방향) 수평이동 가능한 베이스 패널(60)과, 상기 베이스 패널(60)에 좌우(도면상 Y축 방향)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팅 지그(62)와, 상기 슬리팅 지그(6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개의 커터날(74)을 구비한 슬리터 유닛(70)과, 상기 슬리팅 지그(62)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이송되는 플랫케이블(10)의 최외곽 와이어와 바깥쪽의 마진변화폭을 측정하는 마진센서(90)와, 상기 마진센서(9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슬리팅 지그(62)의 위치를 조정하는 콘트롤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패널(60)은 한쌍의 지지프레임(61)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프레임(61)의 상면에 장착된 가이드레일(611)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지지프레임(61)에 부착된 조작핸들(613)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 가능토록 구성된다.
슬리팅 지그(62)는 상기 베이스 패널(6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가이드 레일(601)에 의해 가이드 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슬리터 유닛(70)은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측으로 장방형의 인입구가 형성된 케이스(72)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케이스(7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 수개의 커터날(74)과, 상기 인입구를 통해 케이스(72)에 인입되어 커터날(74)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다수개의 블록 게이지(7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72)는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기 슬리팅 지그(62)에 고정 분리되며, 케이스(72)에 장착되는 각 커터날(74) 사이에는 상기 블록게이지(76)가 개재됨으로써 커터날(74) 사이의 간격이 정밀하게 유지된다.
구동수단은 슬리팅 지그(62)의 하방에 부착된 스크류 브라켓과, 상기 스크류 브라켓과 스크류 연결되며 베이스 패널(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평 지지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80)의 회전을 위한 기어드모터(8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크류바(80)와 기어드모터(82)는 기어드모터(82)의 회전속도가 더욱 감속전달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감속보조기어(84)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마진센서(90)는 전후좌우 이동 가능한 이른바 사방이동 구조로 장착되는데, 사방이동 구조는 도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슬리팅 지그(62)의 상면에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고정된 파이프 형태의 고정브라켓(64)에 좌우이동블럭(65)이 이동가능하게 삽입장착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65)의 일측선단에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서브브라켓(66)이 고정되며, 상기 서브브라켓(66)에는 전후이동블럭(67)이 장착되고, 전후이동블럭(67)의 앞부분 선단에 마진센서(90)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블럭(65)에는 마진센서(90)의 좌우 정렬상태를 정밀하게 세팅하기 위한 수평조절 마이크로미터(92)가 연결되고, 전후 이동블럭(67)에는 마진센서(90)와 이송되는 플랫케이블(1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 마 이크로미터(94)가 장착된다.
상기 콘트롤 유닛은, 구동수단의 수동제어를 위한 콘트롤 패널(100)과, 마진센서(90)의 신호를 분석하여 구동수단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연산부로 이루어지는데, 콘트롤 패널(100)에는 구동수단의 수동/자동모드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스위치(101)와, 구동수단의 수동모드에서 기어드모터(82)를 정방향/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정역작동스위치(102)(103)와, 기어드모터(82)의 속도조절을 위한 속도조절 다이얼(104)이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슬리팅부의 조작 및 작동은 커터날장착단계와, 센서세팅단계, 슬리팅단계로 크게 나눌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터날 장착단계에서는 슬리터 유닛(70)의 케이스(72)에 슬리팅 대상인 플랫케이블의 슬리팅 부위 수만큼 커터날(74)을 장착하게 되며, 장착되는 각 커터날(74) 사이에는 특정규격의 블록 게이지(76)를 개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별도로 커터날(74)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작업이 필요치 않게 된다.
센서세팅단계에서는 우선, 플랫케이블(10)이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한 다음, 마진센서(90)를 전후이동블럭에 장착하게 되며, 간격조절 마이크로미터(94)를 통해 상기 전후이동블럭(67)을 미세하게 전후(X축 방향)로 움직여 슬리팅 대상인 플랫케이블(10)의 두께에 맞추어 플랫케이블(10)과 마진센서(90)가 센싱에 적합한 정도로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콘트롤 패널(100)을 통해 구동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슬리팅 지그(62)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플랫케이블(10)의 슬리팅 부위와 근접되게 맞추게 되는데, 이때에는 콘트롤 패널(100)에 구비된 모드전환스위치(101)를 조작하여 구동수단을 수동모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정방향 작동스위치(102) 및 역방향 작동스위치(103)를 번갈아 조작하여 기어드모터(82)를 정방향 내지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슬리팅 지그(62)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게 되며, 이 과정에서 속도조절 다이얼(104)을 통해 기어드모터(82)의 작동속도 또한 미리 세팅하게 된다.
이어서, 수평조절 마이크로미터(92)를 통해 미세하게 좌우이동블럭(65)을 움직임으로써 플랫케이블(10)의 최외곽 와이어 바깥쪽의 여유공간에 대해 정해진 치수만큼의 마진을 감지하는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마진센서(90)의 정렬이 완료된 후에 진행되는 슬리팅단계에서는 조작핸들(613)을 사용하여 베이스 패널(60)을 전방(X축 방향)으로 움직여 커터날(74)이 플랫케이블(10)에 닿게 한 다음, 플래케이블(10)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플랫케이블(10)을 슬리팅하게 된다.
삭제
상기 슬리팅단계에서는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커터날(74)이 좌우(Y축 방향)로 움직이거나 플랫케이블(10)의 이송방향이 틀어짐으로써, 슬리팅 라인이 정상궤도에서 어긋나게 될 경우, 플랫케이블(10) 최외곽 와이어 바깥쪽 마진 폭이 초기 세팅치와 달라지는 것을 마진센서(90)에서 감지하게 되고, 마진센서(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연산부에서는 구동수단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슬리터 유닛(70)을 미세하게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커터날(74)의 위치를 보정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터날(74)의 움직임으로 인한 슬리팅 라인 비틀림 및 플랫케이블(10)의 이송경로 이탈로 인한 슬리팅 라인의 비틀림 또한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커터날(51)과 커터블럭(52)이 조합되어 커터날(51) 간의 간격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의 슬리터 유닛(50)을 슬리팅 지그(62)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랫케이블 제조장치에 의하면 먼저, 커터날의 정렬상태를 바로잡기 위한 정렬조정작업이 자동으로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되는 플랫케이블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고, 각 커터날간의 간격을 맞추는 작업 역시 블록게이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또한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전후 수평이동 가능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팅 지그와,
    상기 슬리팅 지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개의 커터날을 구비한 슬리터 유닛과,
    상기 슬리팅 지그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슬리팅 지그에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되는 플랫케이블의 최외곽 와이어와 바깥쪽의 마진변화폭을 측정하는 마진센서와,
    상기 마진센서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슬리팅 지그의 위치를 조정하는 콘트롤유닛과,
    상기 마진센서의 좌우 정렬상태를 정밀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 마이크로미터와,
    상기 마진센서와 이송되는 플랫케이블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 마이크로미터
    로 구성된 슬리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 유닛은
    일측으로 장방형의 인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커터날과,
    상기 인입구를 통해 케이스에 인입되어 커터날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다수개의 블록 게이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슬리팅 지그에 하방에 부착된 스크류브라켓과,
    상기 스크류브라켓과 스크류 연결되며, 베이스 패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평 지지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을 위한 기어드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유닛은
    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구동수단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연산부와,
    구동수단의 수동/자동모드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스위치와, 구동수단의 수동모드에서 기어드모터를 정방향/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정역방향 작동스위치와, 기어드모터의 속도조절을 위한 속도조절 다이얼이 구비된 콘트롤 패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KR1020030090507A 2003-12-12 2003-12-12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KR10055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507A KR100555642B1 (ko) 2003-12-12 2003-12-12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507A KR100555642B1 (ko) 2003-12-12 2003-12-12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79A KR20050058579A (ko) 2005-06-17
KR100555642B1 true KR100555642B1 (ko) 2006-03-03

Family

ID=3725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507A KR100555642B1 (ko) 2003-12-12 2003-12-12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071B1 (ko) 2010-08-27 2012-04-19 주성철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35B1 (ko) * 2006-06-27 2008-07-24 주식회사 한국측기사 배관중심 측정용 타겟
KR100896419B1 (ko) * 2008-10-22 2009-05-12 김주문 단자압착기의 플랫 케이블 선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071B1 (ko) 2010-08-27 2012-04-19 주성철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79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18250B (zh) 一种母线铜排组件批量化折弯定型设备及折弯定型方法
RU23238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кабеля
US20140338514A1 (en) Portable foam panel cutting machine
KR100555642B1 (ko)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WO1998006516A1 (en) An automatic channel letter bending machine
CN109483633A (zh) 一种双工位导电胶条切条机
US3107564A (en) Tube cutting machine
JP2755532B2 (ja) 帯状線材の連続巻線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193001A (ja) スロット孔プレスユニット及びスロット孔加工装置
CN108772878B (zh) 一种圆刀模切机工位动力机构
KR100537985B1 (ko) 플랫케이블 제조용 커팅장치
KR100543679B1 (ko)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KR101228905B1 (ko) 케이블 자동성형장치
CN214353028U (zh) 一种家具板件切割机
KR100921318B1 (ko) 플랫케이블 슬리팅장치
CN208468508U (zh) 一种圆刀模切机工位动力机构
CN111747174A (zh) 一种口罩打片机
CN217072515U (zh) 一种可调节的电子器件膜粘胶裁切装置
CN221064249U (zh) 一种弹簧生产用钢丝切割装置
KR200359563Y1 (ko) 프리프레그 시트 절단기
CN219726523U (zh) 一种母线槽绝缘膜的裁切装置
CN217493095U (zh) 一种激光切管机
CN117275832B (zh) 一种柔性排线加工设备
US4771922A (en) Automatic jumper wire feeder
CN218192818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覆铜板连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