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71B1 -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071B1
KR101137071B1 KR1020100083575A KR20100083575A KR101137071B1 KR 101137071 B1 KR101137071 B1 KR 101137071B1 KR 1020100083575 A KR1020100083575 A KR 1020100083575A KR 20100083575 A KR20100083575 A KR 20100083575A KR 101137071 B1 KR101137071 B1 KR 10113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ting
flat cable
flexible flat
sensor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철
김훈석
Original Assignee
주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철 filed Critical 주성철
Priority to KR102010008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부착된 보강테이프에 의한 슬리팅 오차 발생을 슬리팅부에서 자동으로 보정해주어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불량률을 줄이는 것과 함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슬리팅 오차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상에 부착된 보강 테이프의 부착에 따라 발생하는 슬리팅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정확한 슬리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슬리팅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팅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보강테이프의 유무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입력되는 슬리팅부 입력패널과, 상기 슬리팅부 입력패널서의 입력된 신호에 의해 보강테이프의 유무에 따라 발생되는 슬리팅 오차를 보정하도록 펄스신호로 환산하는 PLC(Programmable Logical Controller)와, 상기 PLC 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각도로 환산하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브와, 상기 스테핑 모터 드리이브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스크류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슬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DEVICE FOR MANUFACTURING FLEXIBLE FALT CABLE CONTROLLING SLITTING ERROR AUTOMATICALLY AND SLITTING ERROR CONTROLLING METHOD OF SAIDD}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 슬리팅시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부착된 보강테이프에 의한 슬리팅 오차 발생을 자동으로 보정해주어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불량률을 줄이는 것과 함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슬리팅 보정부가 구비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제조장치는 두 장의 히트 실링 필름과, 상기 히트 실링필름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평판 와이어(선도체)를 열접착 또는 열융착시킴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컴퓨터 혹은 그 주변장치나 디지털기기 간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체(110)와 선도체(110) 사이의 간격인 피치(pitch)(p)가 존재하고, 이 피치(p)의 중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리팅(Slitting) 하여 원하는 제품이 만들어진다.
참고로, 도 2c 에서의 부호 M 은 양끝 선도체(110)의 중앙에서 케이블의 끝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마진을 나타내고, 부호 S 는 첫번째 선도체(110) 중앙에서 마지막 선도체(110) 중앙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스팬(SPAN)을 나타내며, 부호 L 은 케이블의 폭을 나타낸다.
상기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는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선도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랙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랙에서 이송되는 와이어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는 필름을 공급하는 한 쌍의 필름 랙이 구비되고, 권취된 상기 와이어를 필름 사이에 삽입하여 열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우 양측의 필름 랙(20)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2)은 내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필름 캡스터 롤러와 필름 텐션 조절용 가이드 롤러를 경유하여 펀칭부(30)로 이동한다. 상기 펀칭부(30)는 케이블(5)의 단말 가공을 위하여 케이블(5)의 단말 사양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필름(2)을 펀칭하여 창내기 작업을 하며, 타이밍 벨트(40a) 또는 서보모터에 단속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필름(2)과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창내기 작업을 한다.
상기 펀칭부(30)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펀칭된 필름(2)은 서포터(50)로 이송되고, 상기 서포터(50)에서는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랫 케이블의 단말부위(커넥터 삽입부위)에 덧씌워지는 보강테이프를 필름(2)의 펀치창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열 접착하며, 펀치창에 보강테이프가 열접착된 필름은 냉각판에 의해 냉각된 후 성형 롤러장치(70)로 인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 랙(10)의 보빈(11)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3)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성형롤러장치(70)로 인도된다.
상기 와이어(3)는 성형롤러장치(70)로 이송되어서 열융착되고, 냉각롤러에 의해 냉각된 후 텐션 조절롤러를 경유하여 슬리팅 장치(80)로 이송되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케이블은 가이드 롤러와 케이블 캡스터 롤러를 경유하여 케이블 와인더(90)에 권취된다.
상기한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는 특정한 형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경우에 있어서는 불량률이 매우 높게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테이프(130a,130b)가 상부와 하부를 번갈아 가면서 부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을 슬리팅하는 과정에서 도체부(110)에서의 슬리팅 두께와 도체부(110)상에 보강테이프(130a,130b)가 부착된 부위에서의 슬리팅 두께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두께 변화로 인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을 슬리팅하는 과정에서 슬리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에 따른 불량률이 높을 뿐 아니라, 생산속도도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부착되는 보강테이프의 유무를 인식하여 보강테이프의 부착 유무에 따른 슬리팅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줌으로써 슬리팅 오차 발생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슬리팅 오차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상에 부착된 보강 테이프의 부착에 따라 발생하는 슬리팅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정확한 슬리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슬리팅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팅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보강테이프의 유무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입력되는 슬리팅부 입력패널과, 상기 슬리팅부 입력패널서의 입력된 신호에 의해 보강테이프의 유무에 따라 발생되는 슬리팅 오차를 보정하도록 펄스신호로 환산하는 PLC(Programmable Logical Controller)와, 상기 PLC 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각도로 환산하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브와, 상기 스테핑 모터 드리이브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스크류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슬리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내측으로 슬리팅 예정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통과하며, 센서의 상하측 중 일측에서 빛을 투과시키고 투과된 빛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반대편인 센서의 타측에서 수렴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슬리팅부 입력패널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보강테이프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상에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부착되거나 상측 또는 하측의 어느 일측에서만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PLC 는 보강테이프의 존재 유무 상황중 어느 일측의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내어 슬리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속도는 1.5~2.0mm/sec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 방법은, 슬리팅부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상에 부착된 보강테이프를 감지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슬리팅부의 입력패널에 입력하는 단계와(단계 S1),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PLC 로 전달되는 단계와(단계 S2), 상기 PLC에서 발생된 신호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로 전달되어지는 단계(단계 S3)와, 상기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PLC에서 받은 신호를 각도로 환산하여 스테핑 모터 측으로 전환시켜 주는 단계와(단계 S4), 상기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로부터 받은 신호값에 의해 스테핑 모터가 구동하여 스테핑 모터에 연결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와(단계 S5), 상기 스크류의 자체 회전운동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슬리터가 이동하는 단계와(단계 S6), 슬리팅이 완료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슬리팅 오차를 검사하여 정해진 규격치 내부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단계 S7), 검사에 의해 측정된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가 규격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센서에서 최초 측정된 값을 보정하여 수정된 측정치를 슬리팅부 입력패널에 입력하는 단계와(단계 S8), 검사공정으로 측정된 슬리팅 오차가 규격치 내에 속할 경우 슬리팅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단계 S9) 를 포함한다.
상기 PLC는 하드웨어와 제어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에서 인식된 값을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동작을 제어해준다.
상기 PLC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입력되어진 특정 신호만큼만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된 보강테이프의 유무를 사전에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슬리팅 공정 진행시 보강테이프의 부착 유무에 따른 슬리팅 두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슬리팅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줌으로써 플랫 케이블 제조에 따른 불량 발생률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슬리팅 작업속도를 빠르게 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보강 테이프가 부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상기 도 2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c는 상기 도 2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의 작업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의 작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작업 계통도에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슬리팅 공정이 이루어지기 전 단계까지 진행되는 공정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절연필름(120a,120b)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절연필름(120a,120b)의 사이로 삽입되는 편각선 형태의 선도체(110)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절연필름(120a,120b)과 선도체(110)를 상호 접합하는 라미네이팅부(310)가 위치하고, 상기 라미네이팅부(310)를 통과하여 나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냉각시키는 냉각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330)를 지나 이송되는 플랫 케이블의 이송속도를 측정하는 이송속도 측정부(350)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속도 측정부(350)를 통과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인장력 조절부(370)가 구비되며, 상기 인장력 조절부(370)를 통과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을 일정 폭으로 슬리팅하는 슬리팅부(390)가 또한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부(390)의 전반부까지의 공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슬리팅부(39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리팅 하고자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도 2a 와 도 2b 에 도시된 플랫 케이블(100)의 경우에서처럼 보강테이프(130a,130b)가 플랫 케이블의 선도체(110)의 상부와 저부에 교호적으로 부착된 경우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슬리팅시 슬리팅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슬리팅부(390)에서는 보강테이프(130a,130b)의 부착에 따라 슬리팅시 발생되는 슬리팅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해 줌으로써 보다 정확한 슬리팅이 수행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의 작업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리팅부(390)에서는 센서(391)를 슬리팅부(390)의 내측 전방위치에 장착시켜 보강테이프(130a,130b)의 부착 유무를 인식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플랫 케이블(100)의 슬리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칼날(393a)이 장착된 슬리터(393)의 위치를 이동시켜 슬리팅 오차가 보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서(391)는 빛을 투과시킴에 의해 보강테이프(130a,130b)의 유무를 인식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센서(391)의 내측으로 슬리팅 예정으로 슬리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이 통과하고, 센서(391)의 상하측 중 일측에서 빛을 투과시키고 투과된 빛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반대편에 위치한 센서(391)의 타측에서 수렴하는 구조이다.
한편, 카메라(399)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슬리팅 후 슬리팅 상태를 촬영하여 슬리팅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슬리팅 후의 검사단계에서 작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슬리팅 오차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슬리팅부에서의 슬리팅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슬리팅부(390)의 내부에 장착된 센서(391)를 통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상에 보강테이프(도 2b의 130a,130b)가 부착되어 있는 지의 유무를 감지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슬리팅부(390)의 입력패널(392)에 입력한다.(단계 S1)
이때, 상기 슬리팅부 입력패널(392)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어, 터치에 의해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입력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센서(391)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슬리팅부의 입력패널(392)에 입력되면 측정 데이터는 다시 PLC(Programmable Logical Conetroller)(논리 제어기)(394)로 전달된다(단계 S2).
상기 PLC(394)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적인 제어기로서, 하드웨어와 제어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이 PLC(394)는 상기 센서(391)에서 인식된 값을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동작을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PLC(394)는 센서(391)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입력되어진 특정 신호만큼만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이는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특정 마진오차를 줄이거나 잘못된 슬리터의 위치를 바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PLC(394)에서 발생된 신호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398)로 전달되어지며(단계 S3), 이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398)는 PLC(394)에서 받은 신호를 각도로 환산하여 스테핑 모터(398a) 측으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4)
스테핑 모터(398a)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398)로부터 받은 신호값에 의해 구동하게 되며, 스테핑 모터(398a)에 연결된 스크류(395)를 회전시키게 된다.(단계 S5)
스크류(395)는 상기 스테핑 모터(398a)와 연결되어 환산된 각도에 따라 스크류(395) 자체의 회전운동을 플랫 케이블 슬리터(393)의 좌우 움직임으로 전환하게 한다.(단계 S6)
즉, 스테핑 모터(398)에는 스크류(395)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자르는 칼날(393a)이 장착된 기구인 슬리터(393)가 연결되어 있어 스테핑 모터(398)의 동작에 의해 슬리터(393)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이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위치를 조절해 줄 수 있다.
다음, 최종 슬리팅이 완료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슬리팅 오차를 검사하여 정해진 규격치 내부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S7)
검사에 의해 측정된 슬리팅 오차가 규격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센서(391)에서 최초 측정된 값을 보정하여 수정된 측정치를 슬리팅부 입력패널(392)에 입력되도록 한다.(단계 S8).
상기 검사공정으로 측정된 슬리팅 오차가 규격치 내에서 들어올 경우엔 슬리팅 작업을 완료한다.(단계 S9)
상기 검사공정은 슬리팅 과정에서 오차 보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으로, 슬리팅 오차의 범위가 규격치를 초과할 경우 센서(391)에 의해 측정된 값을 보정한 데이터를 재차 슬리팅부 입력패널(392)에 입력하여 앞서 설명한 슬리팅 오차 보정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검사공정에서 생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품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조정된 플랫 케이블 슬리터의 위치를 그대로 적용하여 플랫 케이블 제품을 양산한다.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을 통해 얻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슬리팅 오차의 평균은 0.04mm 이며, 이는 규격 한계치인 0.05mm 보다 작은 수치로서 양호한 품질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통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생산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플랫 케이블 제품의 스팬 오차는 더욱 커져 불량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슬리팅부 내측에 센서를 장착함으로 인해 생산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즉, 센서를 통해 보강테이프의 부착 유무를 사전에 파악하여 보강테이프의 부착에 따른 플랫 케이블에서의 두께 변화를 슬리팅 과정에서 플랫 케이블 슬리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조정해줌으로써 슬리팅 오차를 보정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리팅 공정에서의 생산속도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경우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 또는 저부 어느 일측에 보강테이프가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경우에도 이를 센서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케이블의 슬리팅 과정에서 슬리터의 위치이동으로 반영하여 줌으로써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10 : 도체
120 : 절연필름 130a,140b : 보강 테이프
310 : 라미네이팅부 330 : 냉각부
350 : 속도 측정부 370 : 인장력 조정부
390 : 슬리팅부 391 : 센서
392 : 슬리팅부 입력패널 393 : 슬리터
394 : PLC((Programmable Logical Conetroller)
395 : 스크류 398 : 스테핑 모터 드라이브
399 : 카메라

Claims (9)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상에 부착된 보강 테이프의 부착에 따라 발생하는 슬리팅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정확한 슬리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슬리팅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팅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보강테이프의 유무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입력되는 슬리팅부 입력패널과,
    상기 슬리팅부 입력패널서의 입력된 신호에 의해 보강테이프의 유무에 따라 발생되는 슬리팅 오차를 보정하도록 펄스신호로 환산하는 PLC(Programmable Logical Controller)와,
    상기 PLC 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각도로 환산하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브와,
    상기 스테핑 모터 드리이브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스크류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슬리터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내측으로 슬리팅 예정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통과하며, 센서의 상,하측 중 일측에서 빛을 투과시키고 투과된 빛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반대편인 센서의 타측에서 수렴하는 구조로 형성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부 입력패널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테이프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상에 상하 방향으로 교호하게 부착되거나 상측 또는 하측의 어느 일측에서만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형태를 이루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LC 는 보강테이프의 부착 유무 상황중 어느 일측의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내어 슬리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부에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속도는 1.5~2.0mm/sec 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7. 상기 청구항 1 내지 6중 임의의 어느 한항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 방법으로서,
    슬리팅부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상에 부착된 보강테이프를 감지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슬리팅부의 입력패널에 입력하는 단계와(단계 S1),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PLC 로 전달되는 단계와(단계 S2),
    상기 PLC에서 발생된 신호는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로 전달되어지는 단계(단계 S3)와,
    상기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PLC에서 받은 신호를 각도로 환산하여 스테핑 모터 측으로 전환시켜 주는 단계와(단계 S4),
    상기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로부터 받은 신호값에 의해 스테핑 모터가 구동하여 스테핑 모터에 연결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와(단계 S5),
    상기 스크류의 자체 회전운동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슬리터가 이동하는 단계와(단계 S6),
    슬리팅이 완료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품의 슬리팅 오차를 검사하여 정해진 규격치 내부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단계 S7),
    검사에 의해 측정된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가 규격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센서에서 최초 측정된 값을 보정하여 수정된 측정치를 슬리팅부 입력패널에 입력하는 단계와(단계 S8),
    검사공정으로 측정된 슬리팅 오차가 규격치 내에 속할 경우 슬리팅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단계 S9),
    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자동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PLC는 하드웨어와 제어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에서 인식된 값을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동작을 제어해주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자동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PLC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입력되어진 특정 신호만큼만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자동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KR1020100083575A 2010-08-27 2010-08-27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KR10113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75A KR101137071B1 (ko) 2010-08-27 2010-08-27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75A KR101137071B1 (ko) 2010-08-27 2010-08-27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071B1 true KR101137071B1 (ko) 2012-04-19

Family

ID=4614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575A KR101137071B1 (ko) 2010-08-27 2010-08-27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8869A (zh) * 2014-01-03 2014-04-02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由plc 控制的绞合台装置
KR102281216B1 (ko) * 2020-10-30 2021-07-23 (주)위즈테크놀로지 더미 케이블 자동 융착장치 및 융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33B1 (ko) 2004-07-06 2005-03-14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전동 슬리팅 장치
KR100555642B1 (ko) 2003-12-12 2006-03-03 (주)오토테크코리아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642B1 (ko) 2003-12-12 2006-03-03 (주)오토테크코리아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KR100473633B1 (ko) 2004-07-06 2005-03-14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전동 슬리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8869A (zh) * 2014-01-03 2014-04-02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由plc 控制的绞合台装置
KR102281216B1 (ko) * 2020-10-30 2021-07-23 (주)위즈테크놀로지 더미 케이블 자동 융착장치 및 융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293B2 (en) Corrugated tube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ut corrugated tube
US20180016047A1 (en) Bag making and packaging machine
US20130025243A1 (en) Method for cutting packages
KR101137071B1 (ko) 자동 슬리팅 보정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슬리팅 오차 보정방법
KR101232650B1 (ko) 필름 연속타발장치
WO2021062936A1 (zh) 一种极耳成型及分切设备
CN103376079A (zh) 一种万能在线检测玻璃尺寸的装置
KR100473633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전동 슬리팅 장치
CN111532856B (zh) 制片装置及方法
CN219506375U (zh) 一种制袋横封检测设备
JP2014218065A (ja) 一定長さにカットされた部材の巻付体への巻付方法及び巻付体への部材の巻付装置
CN217172720U (zh) 一种分切机放卷装置
CN216100915U (zh) 一种可自动纠偏校位的铝塑板复合机
EP2990168A1 (en) Excess piece protrusion amount measurement method and excess piece protrusion amount measurement device
JP5211135B2 (ja) 巻回装置
KR101165765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불량 검사 및 표시 장치
JP2009291922A (ja) 往復移動装置の位置ずれ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ッター装置
JP4555726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
JP2013103344A (ja) 製袋断裁打ち抜き装置
CN111153268A (zh) 入料系统及入料系统的控制方法
JP2009166350A (ja) 製袋機および製袋機のシールユニットの位置調整方法
KR20120109702A (ko) 필름 연속타발장치를 이용한 필름 제조방법
JP2013086264A (ja) アンダートレッド貼付装置
JP6931413B1 (ja) 切込線形成装置及び切込線形成方法
JP2011189607A (ja) パンチ穴位置ずれ検知装置及び製袋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