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679B1 -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679B1
KR100543679B1 KR1020050022591A KR20050022591A KR100543679B1 KR 100543679 B1 KR100543679 B1 KR 100543679B1 KR 1020050022591 A KR1020050022591 A KR 1020050022591A KR 20050022591 A KR20050022591 A KR 20050022591A KR 100543679 B1 KR100543679 B1 KR 10054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ed
film
rol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587A (ko
Inventor
주성철
Original Assignee
주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철 filed Critical 주성철
Priority to KR102005002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6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슬리팅장치는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서 스텝모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좌우이동지지부;와 상기 좌우이동지지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고정된 제1수직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지지부에서 회동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안착되며 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1스페이스;와 상기 좌우이동지지부 상부에서 전후이동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전후이동지지부;와 상기 전후이동지지부에서 상부로 고정된 제2수직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지지부에서 회동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에 안착되는 복수의 원형커터; 및 상기 원형커터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스페이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해 가위와 같은 방식으로 케이블이 절단됨에 따라 절단되는 면이 양호하고, 필름에 부착되는 보강재에 의하여 상기 원형커팅이 진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롤은 원형커터와 측면에서 접촉하게 되므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 슬리팅, 원형커터

Description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Slitting apparatus for flexible flat cable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구성도.
도 2는 슬리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슬리팅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4a 내지 4c는 슬리팅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6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슬리팅장치, 710: 지지부,
715: 좌우이동지지부, 725: 제1회동축,
730: 지지롤, 733: 단부,
735: 제1스페이스, 740: 미세조정손잡이,
750: 전후이동지지부, 775: 제2회동축,
780: 원형커터, 790: 전후이동손잡이,
800: 스텝모터
본 발명은 2개의 필름 사이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평판 와이어가 집합되어 있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평판 사이에 다수의 와이어(선도체)가 접합된 케이블을 절단하는 슬리팅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 제작기는 두 장의 히트 실링 필름(이하, 필름이라 한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평판 와이어(선도체)를 열접착 또는 열융착시킨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을 제작하는 장치이며, 상기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은 컴퓨터 혹은 그 주변 장치나 디지털 기기 간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평형 다심 케이블로서 평편 케이블 또는 카드 케이블이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는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평판의 와이어(선도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랙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랙에서 이송되는 선도체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는 필름을 공급하는 한 쌍의 필름랙이 구비되고, 권취된 상기 선도체를 필름 사이에 열접착 또는 열융착시켜서 케이블을 제작하게 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우 양측의 필름 랙(20)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2)은 내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필름 캐스터 롤러(21)와 필름 텐션 조절용 가이드 롤러를 경유하여 펀처부(30)로 이송된다.
상기 펀치부(30)는 상기 케이블(5)의 단말 가공을 위하여 케이블(5)의 단말 사양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필름(2)을 펀칭하여 창내기 작업을 하며, 타이밍 벨트((400)에 단속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필름(2)과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창내기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펀치부(30)는 상기 필름(2)과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었다가 에어실린더(40)에 의하여 원위치하게 되는 공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부(30)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펀칭된 필름(2)은 계속하여 서포터부(50)로 이송되고 상기 서포터부(50)에서는 커넥터에 케이블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단말 부위(커넥터 삽입부위)에 덧씌어지는 보강 테이프를 필름의 펀치창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열접착하며, 상기와 같이 펀칭창에 보강 테이프가 열접착된 필름은 냉각판(60)에 의해 냉각된 후 히터롤러장치(70)로 인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 랙(10)의 보빈(11)에 권취되어 있는 선도체도 도체 분리 롤러와 내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선도체 캡스턴 롤러(21)와 피치 롤러(100)를 경유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히터롤러장치(70)로 인도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 크기의 펀치창이 형성되고 펀치창에 보강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는 필름과, 상기 필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선도체는 상기 히터롤러장치(70)로 이송되어서 열융착되고, 냉각로울러(110)에 의해 냉각된 후 텐션 조절 롤러를 경유하여 슬리팅장치(130)로 이송되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케이블은 가이드 로울러와 내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케이블 캡스터 로울러를 경유하여 케이블 와인더(170)에 권취된다.
이상과 같은 플렛 케이블 제작기에 있어서, 특히 슬리팅장치의 구조를 상술 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슬리터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커팅날이 슬리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슬리터 하우징은 상하조정부(255)에 의해서 상하 이동가능하며, 좌우조정부(257)에 의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케이블이 통과하면, 케이블은 커팅날(265)을 지나치면서 자동적으로 케이블이 절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리터는 케이블이 허공에 뜬 상태에서(즉 케이블 하부에 지지 수단이 없음) 커팅날에 의하여 절단되므로 케이블과 커팅날이 다소 유동될 수 있어 정밀한 커팅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커팅날이 날편으로 이루어져서 강도가 약하고 커팅 작업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265719)에는 슬리팅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슬리칭 장치(등록번호 20-265719)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수평 지지부(412)상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지지부(414)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지지부(414)상에는 수직지지부(408)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지지부(408)의 일면을 타고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블럭(41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블럭(410)에는 내면이 나선으로 형성된 나선홈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홈내에는 상하이동손잡이(402)에 연결된 나선부가 체결된다. 따라서 나선부는 회전에 의해 이동블럭(410)이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블럭(410)의 정면에는 연장블럭(450)이 부착되며, 상기 연장블럭 (450)에는 원형커터(455)가 구비된 회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5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457)의 하부에는 이동지지부(414)상에 고정된 지지부(43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롤(43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롤(430)의 외면은 우레탄으로 코팅처리된다. 상기 이동지지부(414)의 일측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홈내에는 좌우이동손잡이게 의결된 나선부가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리칭 장치(등록번호 20-265719)는 가이드 롤의 외면은 원형커터가 직접접촉되는 구성으로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상기 원형커터에 의하여 코팅된 우레탄이 마모되게 된다. 따라서 절단되는 케이블의 절삭면이 불균일하게되며 또한 슬리팅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테이프가 추가로 부착된 케이블을 절단할 때에는 전체의 절단면적이 동일하지 못하고 보강테이프에 의하여 추가된 부위와 다른 부위는 절삭면적이 차이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차이에 의하여 원형커터에 미세한 흔들림을 발생하므로 절단면에 흠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커터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롤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보강재의 부착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원형커터에 직접적으로 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케이 블 면이 균일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팅 장치에서의 가이더롤은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 또는 이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지지롤과 접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토록 하여 접합필름의 좌우 유동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각 보빈에 권취된 선도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랙;과 권취된 필름을 공급하며, 좌우에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필름랙;과 상기 필름랙에서 공급되는 필름에 일정크기로 펀칭하여 창내기 작업을 하는 펀치부;와 상기 펀치부에 의하여 펀칭된 부위에 보강제를 접착하는 서포터부;와 상기 펀치부와 상기 서포터부를 상기 필름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였다가 후진하여 원위치 되는 활주부재;와 상기 와이어 랙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선도체의 좌우측면에 상기 필름랙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부착하는 히터롤러장치; 및 상기 히터롤러장치에서 공급되는 플렉시블 플래트 케이블 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슬리팅장치;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팅장치는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서 스텝모터 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좌우이동지지부;와 상기 좌우이동지지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고정된 제1수직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지지부에서 회동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안착되면 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1스페이스;와 상기 좌우이동지지부 상부에서 전후이동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전후이동지지부;와 상기 전후이동지지부에서 상부로 고정된 제2수직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지지부에서 회동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에 안착되는 복수의 원형커터;와 상기 원형커터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스페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팅 장치에서의 가이더롤은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 또는 이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지지롤과 접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토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은 일정 두께로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주면에 일정크기의 단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원형커터가 상기 단부의 측면과 서로 접촉되며, 상기 지지롤에 형성되는 단부는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팅장치의 상기 제2회동축을 나사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미세조정손잡이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지지롤의 하부에는 가이드롤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슬리팅 장치에서의 가이더롤은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 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 또는 이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지지롤과 접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토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가이더롤은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와 이후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접합필름이 지지롤과 접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토록 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장치는 플렛 케이블 제작기에 고정되는 지지부(7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710)의 상부에는 케이블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원형커터(780)와 지지롤(73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원형커터(780)와 지지롤(730)을 각각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부(770)와 제1수직지지부(720)가 또한 구비된다.
또한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730)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 또는 이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 롤이 형성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지지롤과 접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토록 한다. 이러한 가이더롤은 접합필름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접합필름이 상기의 지지롤의 면에 많이 접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물론 가이더롤은 지지롤(730)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와 이후 위치에 공통적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이더롤이 없다면 접합필름은 통상적으로 지지롤에 선접촉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접합필름이 지지롤 상에서 좌우방향의 유동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진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가이더롤을 구성시켜서 접합필름을 지지롤에 대하여 넓은 면적에 걸친 면접촉을 유도함으로서 접합필름의 좌우 유동을 억제할 수가 있는 특징을 본 발명은 제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형커터(780)는 원판 형상이고 외주면에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송되는 케이블(5)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게 되며, 중심에는 제2회동축(775)이 안착되는 축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커터(780)와 원형커터(780)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야 하므로 원통형상의 제2스페이스(785)가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커터(780)가 안착되는 상기 제2회동축(775)의 일단에는 미세조정손잡이(740)가 나사산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미세조정손잡이(7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회동축(780)에 안착되는 전체의 원형커터를 좌측 혹은 우측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회동축(780)은 한 쌍의 제2수직지지부(77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수직지지부(770)는 전후이동지지부(75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전후이동지지부(750)는 상기 지지부(710)의 상부에 안착되어서 전후이동손잡이(790)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된다.
상기 지지롤(7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로 형성된 원판의 외주면에 일정크기의 단부(733)가 형성되는 형상이다. 상기 지지롤(730)은 상기 원형 커터(780)의 측면과 접촉되어서 케이블을 절단하게 된다. 즉 상기 원형커터(780)와 상기 지지롤(730)의 단부(733)는 가위(scissors)의 상부날과 하부받침대의 역할을 하게 되어서 절단면이 균일하게 되고, 또한 칼날이 직접 접촉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730)과 지지롤(730) 사이에는 제1스페이스(735)가 안착되어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롤(730)은 제1회동축(725)에 안착되어서 회동하게되고 상기 제1회동축(725)은 평판형상의 제1수직지지부(720)에 의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지지부(720)는 좌우이동지지부(715)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지지부(715)는 상기 제작기와 고정되는 지지부(710)에 안착되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부(710)에 안착되는 상기 좌우이동지지부(715)는 스텝모터(800)에 의하여 이동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730)을 감싸면서 통과하는 케이블의 위치와 텐션을 가하기 위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은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으로 자르고자 하는 케이블을 거치시킨 후에 스텝모터(800)에 의하여 상기 좌우이동지지부(715)를 이동시키면 상기 지지롤(730)과 상기 원형커터(780)가 전체적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또한 자르고자 하는 케의블의 폭에 따라서 상기 제1스페이스(735)와 제2스페이스(785)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서 상기 지지롤(730)과 상기 원형커터(780)의 폭이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손잡이(790)를 회전시켜서 상기 원형커터(780)를 전진시킨 후에 상기 미세조정손잡이(740)를 회전하면 상기 원형커터(780)가 상기 지지롤(730)의 단부(733)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커터(780)는 상기 지지롤(730)과 측면에서 접촉하게 되므로 장시간 작동을 하여도 상기 지지롤(730)에 흠집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작동에 따라, 가위와 같은 방식으로 케이블이 절단됨에 따라 절단되는 면이 양호하고, 필름에 부착되는 보강제에 의하여 상기 원형커터이 진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롤은 원형커터와 측면에서 접촉하게 되므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각 보빈에 권취된 선도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랙과, 권취된 필름을 공급는 좌우에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필름랙과, 상기 필름랙에서 공급되는 필름에 일정크기로 펀칭하여 창내기 작업을 하는 펀치부와, 상기 펀치부에 의하여 펀칭된 부위에 보강제를 접착하는 서포터부와, 상기 펀치부와 상기 서포터부를 상기 필름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였다가 후진하여 원위치되는 활주부재와, 상기 와이어 랙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선도체의 좌우측면에 상기 필름랙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부착하는 히터롤러장치로 구성이 되어지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에 있어서,
    슬리팅 장치는 제 1 회동축에 안착되며 복수의 제 1 스페이스가 형성되어진 지지롤과, 제 2 회동축에 안착되며 복수의 제 2 스페이스가 형성되며 복수의 원형칼날부가 형성되어진 원형커터와, 가이더롤을 포함하여 구성이 되어지며, 상기 가이더롤은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 또는 이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지지롤과 접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롤은 복수의 선도체가 좌우 양측면에 히팅에 의하여 필름이 부착되어진 접합필름이 지지롤을 통과하기 이전 위치 및 이후 위치 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장치는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서 스텝모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좌우이동지지부;와 상기 좌우이동지지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고정된 제1수직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지지부에서 회동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안착되면 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1스페이스;과 상기 좌우이동지지부 상부에서 전후이동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전후이동지지부;와 상기 전후이동지지부에서 상부로 고정된 제2수직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지지부에서 회동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에 안착되는 복수의 원형커터; 및 상기 원형커터 사이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스페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은 일정 두께로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주면에 일정크기의 단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원형커터가 상기 단부의 측면과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축을 나사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미 세조정손잡이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KR1020050022591A 2005-03-18 2005-03-18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KR10054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591A KR100543679B1 (ko) 2005-03-18 2005-03-18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591A KR100543679B1 (ko) 2005-03-18 2005-03-18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87A KR20050033587A (ko) 2005-04-12
KR100543679B1 true KR100543679B1 (ko) 2006-01-20

Family

ID=3723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591A KR100543679B1 (ko) 2005-03-18 2005-03-18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00B1 (ko) * 2006-08-31 2007-09-17 인기텍 주식회사 전선 휨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896419B1 (ko) * 2008-10-22 2009-05-12 김주문 단자압착기의 플랫 케이블 선 분리장치
CN112700927B (zh) * 2020-12-17 2021-08-17 深圳市成天泰电缆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力线缆生产用直径拉伸调整装置
CN112747801B (zh) * 2020-12-22 2023-11-03 宁夏隆基宁光仪表股份有限公司 一种水表加工用内腔斜孔打孔防破裂的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87A (ko) 200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679B1 (ko)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장치
EP0845213A3 (en) Apparatus for forming sheets of material having a uniform thickness and cutting individual portions therefrom
JPH08257990A (ja) 裁断耳自動処理装置
JP4554227B2 (ja) 連続シートの切断方法
CN111230941A (zh) 一种自动裁纸插纸机
US20070017622A1 (en) Apparatus for making cloth articles of manufacturing and the like
JP6080677B2 (ja) カッティング装置及びカッティング方法
CN107159970B (zh) 切削机构及切削系统
CN215549155U (zh) 一种铜箔分切机成品边部吸铜粉装置
JP2002172586A (ja) 刻み海苔用切断装置
CN108437347B (zh) 刀头注塑成型用的刀片供应系统
CN211761881U (zh) 一种纸膜复合品裁切设备
JP4699680B2 (ja) ゴムシート加工装置
KR100501676B1 (ko)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히트롤러 사이의 소형롤러장치
CN111747174A (zh) 一种口罩打片机
CN113968505A (zh) 一种cpp薄膜收卷的切边装置
CN212581116U (zh) 一种口罩打片机
JP4653377B2 (ja) ストリップ片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ストリップ片接合体の製造装置
KR200265719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 장치
CN210528027U (zh) 一种登机牌生产用三刀具排切装置
KR200483945Y1 (ko)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CN220165420U (zh) 一种可调节刀距的胶带分切机
CN216940904U (zh) 裁切机构及膜料涂布设备
JPH0719738Y2 (ja) テープカッター
KR100555642B1 (ko) 플랫케이블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