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503B1 - 커터 장착 프린터 - Google Patents

커터 장착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503B1
KR100554503B1 KR1020030062670A KR20030062670A KR100554503B1 KR 100554503 B1 KR100554503 B1 KR 100554503B1 KR 1020030062670 A KR1020030062670 A KR 1020030062670A KR 20030062670 A KR20030062670 A KR 20030062670A KR 100554503 B1 KR100554503 B1 KR 100554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inter
recording paper
loading
load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323A (ko
Inventor
이토스에오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절단 부스러기에 의해 동작에 지장을 주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급지 매거진(20)을 취출할 때 개방되는 장전 덮개(13)를 설치한다. 장전 덮개(13) 근처에 절단 부스러기를 수납하는 용기(14)의 손잡이(15)를 노정(露呈)한다. 용기(14)는 손잡이(15)를 쥐고 인출(引出)함으로써 프린터(10)의 외부로 꺼내어진다. 장전 덮개(13)와 손잡이(15)에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판과 피결합판이 설치되어 있다. 기록지 교환 시기에 장전 덮개(13)를 개방하면 이것에 연동해 용기(14)가 취출 방향으로 인출되어 절단 부스러기를 수납한 수납부(19)의 일부가 외부로 노정한다.
피결합판, 연동 레버, 록 고정부, 스토퍼판, 피결합부

Description

커터 장착 프린터{PRINTER WITH CUTTER}
도 1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프린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급지 매거진과 용기를 취출한 상태의 프린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서로 연계 관계가 되어 있는 장전 덮개와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의 (a) 내지 (c)는 장전 덮개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 용기가 밀어 내어지는 동작을 설명한 설명도.
도 6은 장전 덮개 및 용기와는 다른 부재인 연동 레버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장전 덮개를 폐쇄 위치로 또 용기를 수납 위치로 한 상태를 프린터의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상태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
도 8은 도 6에서 설명한 장전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프린터의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상태를 일부 파단하여 측면에서 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린터
13 장전 덮개
14 용기(容器)
14a 오목부
15 손잡이
19 수납부
25 결합판(結合板)
26 피결합판
30 연동 레버
31 록(lock) 고정부
32 스토퍼판
37 피결합부
본 발명은 기록지의 일부를 절단하는 커터 장착 프린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절단된 절단 부스러기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서멀 헤드(thermal head)에 의해 컬러 감열 기록지를 가열해 3색 면순차(面順次)로 풀 컬러 화상을 기록하는 컬러 감열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컬러 감열 프린터에서는, 반송 롤러(roller)에 물린(nip) 상태로 컬러 감열 기록지의 왕복 운동이 행하여진다. 서멀 헤드는 반송 롤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반송 롤러와 서멀 헤드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화상을 기록할 수 없다. 또 서멀 헤드는 플래튼(platen) 롤러 사이로 컬러 감열 기록지를 물고 있지만, 컬러 감열 기록지로부터 돌출해 나오는 서멀 헤드의 부분에서 플래튼 롤러를 가열하면, 플래튼 롤러가 열변형되거나 수명이 열화한다. 그래서 컬러 감열 기록지의 단부에 여백을 남기고, 그 내측에 화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프린트를 끝낸 컬러 감열 기록지에는 반송 방향을 따른 화상 기록 에리어(area)의 전후단 및 양측단에는 여백이 형성된다.
최근은 여백이 없는 프린트를 바라는 유저(user)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단 여백 커터와 양측단 여백 커터를 구비해 화상 기록 에리어의 주위 전체의 여백을 절단하는 커터 장착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 2001-63166호 공보). 이 커터 장착 프린터에는 커터의 하방 위치에, 절단된 절단 부스러기를 수납하는 용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 내에 절단 부스러기가 흩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용기는 프린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절단 부스러기가 모였을 때에는 용기를 프린터 본체로부터 취출하여 절단 부스러기를 폐기한다.
또한 롤(roll) 기록지를 이용하고, 띠 형상으로 인출(引出)한 기록지에 화상을 기록하는 프린터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 2000-335029호). 이 특허 문헌에 기재한 프린터에도, 화상 기록 후에 시트(sheet) 형상으로 떼어 내기 위한 커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터는 시트 형상으로 떼어 내는 절단에 더하여, 앞서 시트 형상으로 떼어 내는 절단을 행한 기록지 선단과 이번에 기록한 화상 기록 에리어의 선단 사이의 전단(前端) 여백을 절단한다. 이 때문에 용기가 필요해진다.
그런데 전술한 커터 장착 프린터에서는 하나 하나 용기를 취출해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귀찮다. 또 그 작업을 게을리하면 용기가 절단 부스러기로 가득 차게 되고, 가득 차게 되면 절단 부스러기가 흘러 넘쳐 프린터 내로 흩어지고, 이에 의해 커터의 절단 동작이나 프린터의 기록지 반송 동작 등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용기나 프린터의 내부에 가득 찬 것을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면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기가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고안한 커터 장착 프린터를 염가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터 장착 프린터에서는, 용기를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기록지 또는 기록지를 수납하는 매거진을 장전할 때에 개방되는 장전 덮개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 상기 용기를 수납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정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용기를 꺼내는(취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용기를 그대로 꺼내는 타입과 프린터 외부에 설치한 취출 덮개를 개방하여 용기를 꺼내는 타입이 있다. 전자의 타입의 경우에는 용기 외면의 일부가 상기 프린터의 바깥 커버(cover)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용기에 설치된 피(被)결합부와, 장전 덮개에 설치되어 장전 덮개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 피결합부에 결합해 용기를 이동시키는 결합부로 연동 수단을 구성한다. 취출 덮개를 설치한 타입에서는 피결합부를 취출 덮개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취출 덮개의 개방 동작과 연동해 용기가 취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 두면 편리하다.
커터 장착 프린터(1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슬롯(11), 조작부(12) 및 장전 덮개(13) 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 장전 덮개(13) 근처에는 용기(14)에 설치한 손잡이(15)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15)는 취출할 때에 손으로 잡는 곳이 된다. 슬롯(1l)에는 자기 기록 매체가 세트(set)된다. 조작부(12)는 프린트 버튼이나 여백 유무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10)는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기록 수단으로 기록지에 기록하고, 화상 기록을 끝낸 기록지를 시트 형태로 측면에 설치한 배출구(16)로부터 배출한다.
프린터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전실(17), 프린트부(18) 및 수납부(19)가 배치되어 있다. 장전실(17)에는 급지 매거진(20)이 장전된다. 급지 매거진(20)에는 기록지를 롤 형상으로 감은 롤 기록지가 수납되어 있고, 또 송출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송출 기구는 프린터(10)의 내부에서 전달되는 구동을 이용해 롤 기록지를 회전해 기록지 선단을 프린트부(18)의 반송 방향을 따라 송출한다.
프린트부(18)에는 반송 수단, 서멀 헤드, 커터 등이 내장되어 있다. 반송 수단은 급지 매거진(20)으로부터 송출한 기록지를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한다. 서멀 헤드는 기록지의 화상 기록 에리어에 화상을 기록한다. 커터는 화상 기록 후의 기록지의 전후단 여백을 절단한다. 절단한 기록지는 다시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향해 반송되어 반송 배출구(16)로부터 배출한다. 수납부(19)는 커터 밑에 배치되고, 낙하하는 절단 부스러기나 여백 부스러기 등을 수납한다. 이 수납부(19)의 전면에 손잡이(15)가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15)의 전면은 프린터(10)의 바깥 커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전 덮개(13)는 힌지(22)에 의해 프린터(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힌지(22)는 프린트부(18)의 반송 방향과 평행인 축을 중심으로 장전 덮개(13)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한다. 장전 덮개(13)가 개방 위치가 되면 프린터(10) 내부의 장전실(17)이 노정되고, 여기에서 급지 매거진(20)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향해 꺼낼 수 있다. 또 용기(14)에는 프린터(10)의 내부에 설치한 레일(23)에 결합하는 레일 접수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23)은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수납부(19)를 프린터(10)의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 위치에서 수납부(19)의 일부를 외부로 노정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용기(14)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용기(14)는 상기 급지 매거진(20)과 동일한 취출 방향으로 향해 꺼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전 덮개(13)에는 용기(14)로 향해 돌출한 결합판(25)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용기(14)에는 장전 덮개(13)로 향해 돌출한 피결합판(2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피결합판(26)의 후면은 용기(14)가 수납 위치일 때에 결합판(25)의 전면에 접촉한다. 결합판(25)은 장전 덮개(13)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향해 개방할 때에 피결합부(26)를 눌러 용기(14)를 취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프린터(10)를, 예를 들면 컬러 감열 기록지를 이용하는 컬러 감열 프린터로서 설명한다. 컬러 감열 기록지는 투명 혹은 백색의 지지체 상에 시안(cyan) 감열 발색층, 마젠타(magenta) 감열 발색층, 옐로우(yellow) 감열 발색층, 투명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하고 있다. 컬러 감열 프린터(10)는 프린트 조작이 행하여지면 프린터의 내부에 설치한 급지(feed) 모터에 의해 급지 매거진(20) 내부에 설치한 급지 롤러를 회전시켜 롤 기록지를 회전시키고, 그 선단을 급지 매거진(20)에 설치한 송출구를 통해서 프린트부(18)로 보낸다.
프린트부(18)로 송출된 기록지는 반송 수단에 의해 서멀 헤드로 보내진다. 그 후 반송 수단에 의해 컬러 감열 기록지를 반송 방향과 그 역방향으로 왕복 반송하고, 그 중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 중에 서멀 헤드로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의 화상을 면순차로 형성한다. 또 옐로우 화상과 마젠타 화상이 각각 프린트된 후에는 광정착기에 의해 광정착 처리가 행하여지고, 미(未)발색 성분을 분해한다. 또한 기록지의 왕복 반송의 사이는 급지 매거진(20)에 설치한 급지 롤러도 정역회전된다.
기록 종료 후에는 기록지를 커터로 향해 반송한다. 반송 수단은 화상 기록 에리어의 선단이 커터의 절단 위치에 닿았을 때에 반송을 정지한다. 그리고 반송 정지 후에 커터를 동작하여 선단 여백을 잘라 떨어뜨린다. 그 후 반송 수단에 의해 화상 기록 에리어의 후단이 커터의 절단 위치에 닿을 때까지 기록지를 반송하고, 그 후에 커터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띠 형상 기록지로부터 화상 기록을 끝낸 기록지가 1 장의 시트 형상으로 떼어 내어진다. 떼어 내어진 시트는 반송 수단에 의해 배출구(16)로부터 프린터(10) 외부로 배출된다. 커터에 의해서 잘려서 떨어진 절단 부스러기나 전단 여백 부스러기는 수납부(19)로 낙하한다.
연속하여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선단(先端)을 서멀 헤드까지 복귀한 후에 전술(前述)한 것과 동일하도록 하여 다음의 화상이 기록지에 기록된다. 또 프린트 작업을 종료하면, 반송 수단에 의해 띠 형상 기록지의 선단을 급지 매거진(20)의 내부로 끌고 돌아와, 급지 매거진(20)의 송출구를 차폐한다. 이에 따라 컬러 감열 기록지의 방습(防濕)이 가능하다.
롤 기록지의 잔량이 적게 되면, 그 지름을 검지하는 센서에 의해 프린터(10)의 외부에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가 점등된다. 그 표시를 눈으로 확인해서 롤 기록지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롤 기록지의 교환은 장전 덮개(13)를 연다. 이에 의해 장전 덮개(1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22)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 중에 결합판(25)의 전면 상단이 피결합판(26)의 후면을 눌러 용기(14)를 취출 방향으로 길이(L1)만큼 인출하여,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전 덮개(13)의 개방 위치(P1)에 도달하기 전에 결합판(25)의 전면 상단이 피결합판(26)의 후면에서 이탈해 그 후 개방 위치(P1)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용기(14)는 수납 위치(P2)로부터 길이(L2)만큼 취출 방향으로 향해 이동하고, 수납부(19)의 일부가 외부로 노정된다. 이에 따라 수납부(19)에 모인 절단 부스러기의 용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19)에 아직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용기(14)를 다시 수납 위치(P2)까지 눌러 넣어 세트한다. 용량이 가득 찬 경우에는 용기(14)를 완전하게 꺼내 절단 부스러기를 버리고 다시 세트하면 좋다.
롤 기록지의 교환은 급지 매거진(20)을 꺼내고, 급지 매거진의 덮개를 개방하여 행한다. 교환 시기의 급지 매거진(20)을 다시 꺼내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눌러 넣어 세트한다.
세트 후 용기(14)가 세트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서 장전 덮개(13)를 폐쇄한다. 또한 기록지 교환 시기에 용기(14)를 꺼내 수납부(19)에 모인 절단 부스러기를 반드시 버리는 취지의 문장이나 그림 문자를 라벨에 기재해 프린터(10)의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기록지 교환 사이클만큼 모이는 용량으로 수납부(19)의 크기를 형성해 두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합판(25)을 피결합판(26)에 결합하여 장전 덮개(1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 용기(14)를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용기(14)를 스프링에 의해서 취출 방향으로 향해 가압하고, 그 가압에 저항해 장전 덮개(13)의 일부에서 용기(14)를 수납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장전 덮개(13)를 폐쇄 위치에 록(lock)하는 록 기구를 설치한다. 이에 의하면 록 기구의 록을 해제하여 장전 덮개(13)를 개방하면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용기(14)가 취출 방향으로 향해 밀려 나와, 수납부(19)의 일부가 외부로 노정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전 덮개와 용기 사이에 별도 부재의 연동 레버를 설치하고, 장전 덮개의 개방 조작에 연동 레버를 연동해 수납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정하는 노정 위치에 용기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연동 레버(30)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4)의 취출 방향으로 평행인 축(30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연동 레버(30)에는 축(30a)을 사이에 둔 일단(一端)에는 장전 덮개(13)에 결합하는 결합부(31)가, 또 타단(他端)에는 용기(14)를 수납 위치에 유지하는 스토퍼판(3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동 레버(30)는 스토퍼판(32)이 용기(14)에 결합하여 용기(14)를 수납 위치에 록하는 록(lock) 위치와 그 록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가압 수단(33)에 의해 록 위치로 향해 가압되어 있다. 연동 레버(30)의 록 위치는 일부(34)가 스토퍼 부재(35)에 맞닿고, 가압 수단(33)의 가압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부호 36은 용기(14)를 꺼내는 방향(노정 위치)으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부호 37은 장전 덮개(13)에 설치한 피결합부이며, 장전 덮개(13)를 개방하는 도중에서 결합부(31)에 결합해 연동 레버(30)를 가압 수단(33)의 가압에 저항해 해제 위치로 향해 회전시킨다.
장전 덮개(1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피결합부(37)와 결합부(31)의 결합이 해제되고, 연동 레버(30)가 가압 수단(33)에 의해 록 위치로 향해 회전 가압되어 있고, 그 회전 가압에 저항해 스토퍼 부재(35)가 일부(34)에 맞닿아 연동 레버(30)를 록 위치에 멈추고 있다. 연동 레버(30)가 록 위치일 때에는 스토퍼판(32)이 용기(14)의 이동 궤적 상에 들어와 오목부(14a)에 결합함으로써 가압 수단(36)의 가압에 저항해 용기(14)를 수납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장전 덮개(13)를 개방 위치로 향해 개방하면, 그 개방 동작 도중에서 피결합부(37)가 결합부(31)에 맞닿고, 그 후 개방 동작에 의해 피결합부(37)가 결합부(31)를 추종해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 레버(30)가 가압 수단(33)의 가압에 저항해 해제 위치로 향해 회전한다. 연동 레버(30)가 해제 위치로 향해 회전하면, 그 회전 도중에서 스토퍼판(32)이 용기(14)의 이동 궤적 상에서 퇴피해 스토퍼판(32)과 용기(14)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용기(14)는 가압 수단(36)의 가압에 의해 프린터(10)의 개구(1Oa)로부터 노정 위치로 향해 밀어 내진다. 이에 따라 용지 교환마다 절단 부스러기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용기(14)가 프린터(10)로부터 완전하게 떼어져 있지 않은 경우, 스토퍼판(32)의 이동 궤적 상에 용기(14)의 저면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14)를 노정 위치에 남긴 대로 장전 덮개(13)를 폐쇄하면 스토퍼판(32)이 용기(14)의 저면에 맞닿아 연동 레버(30)가 록 위치까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후에 용기(14)를 수납 위치로 눌러 넣음으로써 스토퍼판(32)이 오목부(14a)로 들어와 연동 레버(30)가 록 위치로 회전해 용기(14)를 록한다.
용기(14)가 프린터(10)의 개구(10a)로부터 꺼내지고 있을 때에 장전 덮개(13)를 폐쇄하면, 스토퍼판(32)의 이동 궤적 상에 아무 것도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동 레버(30)가 록 위치로 회전한다. 그 후 용기(14)를 개구(10a)에 삽입하면, 용기(14)의 이동 궤적 상에 스토퍼판(32)이 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14)를 눌러 넣을 수 없다. 그러나 용기(14) 후단(14b)이 눌려 넣어지는 스토퍼판(32)의 전면에 경사면(32a)을 설치함으로써, 용기(14) 후단(14b)의 맞닿음을 이용해 연동 레버(30)를 해제 위치로 향해 자동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장전 덮개(13)를 닫은 후에 용기(14)를 개구(10a)에 삽입해도, 그대로 수납 위치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컬러 감열 프린터로 했지만, 이와 달리 은염식 사진 프린터나 그것에 이용하는 인화지의 급지 매거진에 본 발명을 실시해도 좋다. 또 차광이나 방습을 필요로 하지 않는 통상의 보통 종이용 프린터에 본 발명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의 프린터에는 시트지를 이용해, 예를 들면 전체 주위 여백을 컷(cut)할 때에 발생하는 절단 부스러기를 머물게 하는 용기를 갖고 있고, 급지 카세트를 꺼낼 때에 연동해 그 용기를 외부로 향해 밀어 내는 연동 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터 장착 프린터에서는 기록지 또는 기록지를 수납하는 매거진을 장전할 때에 연동 수단이 장전 덮개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 용기가 수납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정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기록지의 교환 시기에 반드시 수납부에 모인 절단 부스러기의 용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린터의 동작에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기록지의 일부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로 절단할 때에 발생하는 절단 부스러기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설치한 용기(容器)를 구비한 커터 장착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정(露呈)하는 노정 위치와 상기 수납부를 상기 프린터의 본체 내에 수납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용기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기록지 또는 기록지를 수납하는 매거진을 장전할 때의 장전 덮개의 개방 조작에 연동해 상기 용기를 노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장착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을, 상기 용기를 노정 위치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장전 덮개가 폐쇄 위치일 때에 상기 용기를 수납 위치에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장전 덮개가 개방 위치로 향해 이동하는 도중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 후에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유지 해제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장착 프린터.
KR1020030062670A 2002-09-27 2003-09-08 커터 장착 프린터 KR100554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2176 2002-09-27
JPJP-P-2002-00282176 2002-09-27
JP2003292764A JP2004136650A (ja) 2002-09-27 2003-08-13 カッタ付きプリンタ
JPJP-P-2003-00292764 2003-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23A KR20040027323A (ko) 2004-04-01
KR100554503B1 true KR100554503B1 (ko) 2006-03-03

Family

ID=3247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670A KR100554503B1 (ko) 2002-09-27 2003-09-08 커터 장착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36650A (ko)
KR (1) KR100554503B1 (ko)
CN (1) CN1251881C (ko)
TW (1) TWI220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9512A (zh) * 2011-06-16 2011-11-30 苏州万图明电子软件有限公司 带收纳装置的打印机
JP6079216B2 (ja) * 2012-12-25 2017-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849999B2 (ja) * 2013-06-28 2016-02-03 株式会社寺岡精工 印刷装置
JP6366324B2 (ja) * 2014-03-28 2018-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
JP6611629B2 (ja) * 2016-02-19 2019-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
CN106001434B (zh) * 2016-07-19 2018-07-24 宁夏共享模具有限公司 一种3d打印设备打印测试纸更换装置
US11794483B2 (en) 2019-08-30 2023-10-24 Primera Technology, Inc. Delivery tray mounting system for food product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1881C (zh) 2006-04-19
CN1496850A (zh) 2004-05-19
TWI220884B (en) 2004-09-11
KR20040027323A (ko) 2004-04-01
JP2004136650A (ja) 2004-05-13
TW200410830A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1536C (en) Tape supply system for a thermal printing device or the like
CN107825864B (zh) 带盒
KR100554503B1 (ko) 커터 장착 프린터
EP1403084B1 (en) Printer with cartridge, and printer
US7284725B2 (en) Recording paper storage device
CN109094212B (zh) 带打印装置
US7891894B2 (en) Printer
JP3787407B2 (ja) 給紙カートリッジ
JP4033073B2 (ja) テープ印字装置
US6764237B2 (en) Printer with cutter device
JP3705002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5014242A (ja) プリンタ
JPH09277678A (ja) 電子機器
EP1041024B1 (en) Tape printing apparatus, tape cartridge and tape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tape cartridge, and tape cutting device
JP3903838B2 (ja) 携帯用小型プリンタ装置
JP675486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856111B2 (ja) プリンタ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クリーニングシート
JP4172891B2 (ja) 給紙カセット
JP2004338141A (ja) カッタ付きプリンタ
JP3356015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3575322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2005028621A (ja) プリンタ装置
JP357532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切断装置
JPH1149412A (ja) テープ送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6192654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