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477B1 -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477B1
KR100554477B1 KR1020020076798A KR20020076798A KR100554477B1 KR 100554477 B1 KR100554477 B1 KR 100554477B1 KR 1020020076798 A KR1020020076798 A KR 1020020076798A KR 20020076798 A KR20020076798 A KR 20020076798A KR 100554477 B1 KR100554477 B1 KR 10055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l
ceramic
porous bod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755A (ko
Inventor
미즈노타카히로
이소무라마나부
타카하시토모노리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01D39/2006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1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sintered or bonded by inorgan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01D39/2017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01D39/202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sintered or bonded by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4/00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 C03C14/0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glass component, e.g. compositions containing 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dispersed in a glass matrix the non-glass component be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9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9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ters or diaphrag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여과 필터 등으로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유리를 결합재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Li2O, Na2O, K2O, 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적어도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이 5∼20 mol%,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총량으로서 3 mol% 이상, 잔부가 SiO2와 불가피 불순물인 유리를 결합재로 하여,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다공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 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 방법 {CERAMIC POROUS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USABLE AS BINDER THEREFOR}
본 발명은 액체나 가스 등의 유체를 여과하는 필터 등에 사용되는 세라믹 다공체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필터는 물리적 강도, 내구성, 내식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컨대 물의 처리나 배기 가스의 처리 또는 의약·식품 분야 등의 광범한 분야에서 액체나 가스 중의 현탁 물질, 세균, 분진 등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세라믹 필터의 기재, 여과막, 또는 여과막을 성막하기 위한 중간막으로서 사용되는 세라믹 다공체는 세라믹 입자를 직접 소결하거나, 소결 조제를 첨가하여 세라믹 입자를 소결하거나, 골재가 되는 세라믹 입자를 유리질의 결합재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다공체의 결합재에 바람직한 유리 프릿(glass frit)의 예로는, 붕규산염과 알칼리 플럭스 및 희토류 산화물과의 복합 혼합물인 지르코니아를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고 평성 제6-67460호 공보 참조).
그런데, 세라믹 다공체를 예컨대 정수 처리용 여과 필터에 사용하는 경우,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약품 세정할 필요가 있다. 세정은 알카리성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으로 유기분을 제거하고, 산성 구연산 용액으로 무기분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이 세정에 있어서, 세라믹 다공체는 산과 알칼리에 교대로 노출되고, 이 때문에 세라믹 다공체의 결합재에는 산과 알칼리 양쪽에 대한 내식성을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고 평성 제6-674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유리 프릿은 B2O3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알카리성이 부족하다. 또한, 이 유리 프릿을 함유하므로, 일반적으로 붕규산 유리는 산과 알칼리의 적어도 한쪽에 약하기 때문에, 종래의 유리 프릿을 결합재로서 사용한 세라믹 다공체에는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여과 필터로서 장기간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여과 필터 등으로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내산성 및 내알카리성이 우수한 유리를 결합재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Li2O, Na2O, K2O, 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적어도 Li2O, Na2O 및 K2O 중 어느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이 5∼20 mol%,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총량으로서 3 mol% 이상, 잔부가 SiO2와 불가피 불순물인 유리를 결합재로 하고,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을 10∼20 mol% 함유하는 유리 프릿에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금속 산화물을 5∼20 mol% 함유하는 유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를 결합재로 하고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다공질 중간막을 형성하고, 그 중간막의 표면에 여과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층 구조의 세라믹 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의 표면에 실리카 졸을 함유하는 중간막용 슬러리로 중간막을 성막하고, 그 중간막의 표면에 여과막용 슬러리로 여과막을 성막한 후 건조시켜 얻은 적층체를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라믹 다공체에 있어서,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는 결합재가 되는 유리는 Li2O, Na2O, K2O, 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적어도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을 5∼20 mol%, 바람직하게는 5∼14 mol% 포함한다.
이들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계가 20 mol%를 넘으면 내식성이 불충분해지고, 5 mol%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SiO2 함유량이 너무 많아지며, 그 결과 내알칼리성이 부족해진다. 또, 상기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계가 10 mol% 미만인 경우에는, 용융 온도가 1600℃ 정도인 로(爐)를 이용하는 통상의 유리 제조 방법으로는 유리화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계가 10 mol% 이상인 유리 프릿에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10 mol% 미만인 유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다공체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 산화물 중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은 필수 성분이지만, 추가로 MgO, CaO, SrO, BaO라는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산용액 중에서의 유리 성분의 용출이 억제된다. 특히 MgO와 CaO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에 포함되는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함유량이 최대인 것이 최소인 것의 2배 미만(몰비)의 함유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들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동일한 몰이면, 혼합 알칼리 효과에 의해 산용액 중에서의 유리 성분의 용출이 억제되어 내식성이 향상된다.
또한, 결합재가 되는 유리는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총량으로 3 mol% 이상 함유한다. 이들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유리의 골격이 강화되고, 알칼리 용액 중에서의 유리 성분의 용출이 억제되어 내식성이 향상된다. 또, 통상적으로는 이들의 함유량이 6 mol% 미만인 경우에 충분한 내식성을 얻기 어렵지만, 후술하는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소결하는 유리 제조 방법에 의해 전술한 금속 산화물의 최종적인 함유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킨 경우에는,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총량으로 3 mol% 이상 함유하고 있으면 필요한 내식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도 유리화하지 않고서 결정상이 석출되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상한은 12 mol%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의 잔부는 SiO2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내알카리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B2O3는, 불가피 불순물로서 미량(1 mol% 미만) 함유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유리 프릿이나 붕규산 유리를 결합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알카리성이 대폭 향상된다.
본 발명의 세라믹 다공체의 골재가 되는 세라믹 입자의 종류나 입경은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정수 처리용 여과 필터의 중간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입경 3 ㎛ 정도의 알루미나 입자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다공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산성 및 내알카리성을 향상시킨 유리를 결합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여과 필터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다공체를 세라믹 필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기재, 여과막, 여과막을 성막 하기 위한 중간막 중 어느 것으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세라믹 다공체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유리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특히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적은 유리를 얻는 데에 적절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 제조 방법은 적어도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을 10∼20 mol% 함유하는 유리 프릿에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금속 산화물을 5∼20 mol% 함유하는 유리를 얻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합계 10 mol% 미만인 경우에는 유리화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기 때문에, 용융 온도가 1600℃ 정도인 로를 이용하는 통상의 유리 제조 방법으로는 그와 같은 조성의 유리를 얻기 힘들다. 따라서, 본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유리 제조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금속 산화물 함유량이 10∼20 mol%인 유리 프릿을 얻은 후, 이것에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상대적인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원래의 유리 프릿에 비하여 감소하도록 하였다. 이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종래보다도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적고, 그 만큼만 SiO2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내식성이 더욱 높은 유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내식성이 높은 유리를 결합재로 하고,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다공체는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우수한 내산성 및 내알카리성을 발휘하므로, 여과 필터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카 졸을 혼합함으로써 금속 산화물 함유량을 감소시켜 내식성을 높인 유리를 결합재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를 필터의 중간막으로서 사용한 복층 구조의 필터 제조 방법의 일례를 든다. 본 제조 방법은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다공질 중간막을 형성하고, 그 중간막 표면에 여과막을 추가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기재의 표면에 실리카 졸을 함유하는 중간막용 슬러리로 중간막을 성막하고, 그 중간막의 표면에 여과막용 슬러리로 여과막을 성막한 후 건조시켜 얻은 적층체를 소성한다.
본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중간막용 슬러리는 세라믹 입자(골재 입자), 유리 프릿, 물이라는 통상의 성분에 추가하여 실리카 졸을 혼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리카 졸을 첨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골재 입자를 결합하는 유리의 상대적인 금속 산화물 함유량을 감소시켜, 내식성이 보다 높은 결합재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리카 졸을 함유하는 중간막용 슬러리를 사용하여 기재 표면에 성막하고 건조(예컨대, 80℃에서 12시간 정도)시키면, 실리카 졸의 건조 겔화로 인하여, 건조된 막이 내수성을 발휘하므로 물에 적셔도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이 막을 중간막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소성하지 않고 표면에 여과막을 성막할 수 있어 소성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중간막을 소성한 후에 표면에 여과막을 성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소성 전의 기재에 실리카 졸을 혼합해 두면, 건조시킴으로써 소성되지 않은 채로 기재 상에 중간막이나 여과막을 성막할 수도 있다.
중간막용 슬러리에 혼합하는 실리카 졸은 막 내에 잔존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입자 직경이 50∼100 ㎚인 큰 졸일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후에 더욱 내수성을 발휘할 것을 기대한다면, 강한 결합력을 갖는 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입경이 큰 졸과 강한 결합력을 갖는 졸의 양자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한번 소성한 막에 대해서도, 실리카 졸을 전체에 침지하여 재차 소성함으로써 결합재의 실리카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 세라믹 다공체를 정수용 여과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다공체인 막의 단부를 유리 등으로 밀봉할 필요가 있지만, 그 단부 시일 부근에서 필터 세정용 약액이 체류하기 쉽고, 통상의 막부보다 높은 내식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성막하고 건조시킨 후에, 또는 성막하고 소성한 후에 단부만 실리카 졸을 함침하여 소성함으로써, 단부의 결합재 유리의 실리카 농도를 높이는 방법도 가능하다. 단, 상기 예와 같이 뒤에서 실리카 졸을 침지하는 경우에는, 그 실리카 전부가 결합재의 유리에 취입되지 않아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에 기재한 각 산화물의 원료를, 각각 표 1에 기재한 비율로 배합하여 1600℃에서 용융하고 분쇄하여 평균 입경 1 ㎛의 프릿을 얻었다. 골재가 되는 평균 입경 3 ㎛의 알루미나 입자와, 얻어진 프릿을 100:14 (중량비)로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분산제나 여과 저항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단,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는, 상기 슬러리 중에 추가로 실리카 졸(평균 입경 10 ㎚)을 혼합하였으며, 표 중의 조성은 최종적인 결합재로서의 유리 조성을 나타낸다[이 부분의 유리 조성은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구비한 전자선 분광(EDS) 등으로 정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막 표면의 EDS 스펙트럼으로부터, 골재인 알루미나 입자에서 유래한 Al 피크를 제외하고 나머지 Si, Zr, Na, K, Mg, Ca의 스펙트럼을 정량 분석함으로써 유리 조성을 얻었다(Li는 EDS로는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Li, Na, K의 준비량과, Na와 K의 EDS 정량치의 관계로부터 추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6에서는 프릿을 이용하지 않고, 알루미나 입자와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세라믹막(세라믹 다공체의 막)을 성막하기 위한 기재로서, 수은 압입법으로 측정한 평균 세공 직경이 10 ㎛, 외부 직경 30 ㎜, 두께 3 ㎜인 알루미나 평판을 준비하고, 상기 슬러리를 이용하여 그 알루미나 평판 상에 여과 성막법에 의해 성막하였다. 막 두께는 150 ㎛가 되도록 여과 성막 시간을 조정하였다. 성막 후, 대기 처리용 전기로에서 온도 승강 속도를 100℃/시간으로 하여 950℃에서 1시간 열처리하고, 얻어진 세라믹막을 내식 시험하였다.
내식 시험은 약액으로서 구연산 2% 수용액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유효 염소 5000 ppm 수용액을 이용하여, 수온 30℃로 조정한 각각의 약액에 세라믹막을 6시간씩 교대로 반복하여 침지하고, 20회 반복한 후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행하였다.
비커스 경도의 측정 조건은 부하 가중을 100gf, 부하 시간을 10초로 하여, 1 회의 측정에 대해 10점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이용하였다. 또, 세라믹막의 초기 경도는 어느 프릿을 이용한 것이나 경도 100으로 변하지 않았다. 시험 결과는 이하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비교 예1 비교 예2 비교 예3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실시 예5 실시 예6 비교 예4 비교 예5 실시 예7 실시 예8 비교 예6
SiO2 59% 72% 74% 77% 77% 76% 78% 78% 76% 71% 83% 86% 11% 100%
Al2O3 0% 6% 0% 0% 0% 0% 0% 0% 0% 0% 0% 0% 0% 0%
TiO2 5% 0% 0% 0% 0% 0% 0% 5% 0% 0% 0% 0% 0% 0%
ZrO2 4% 0% 5% 8% 8% 10% 10% 5% 10% 8% 8% 5% 3.5% 0%
Li2O 0% 0% 5% 2% 4% 2% 4% 4% 4% 7% 3% 2% 1.5% 0%
Na2O 14% 4% 15% 8% 4% 7% 4% 4% 4% 7% 3% 2% 1.5% 0%
K2O 2% 0% 1% 2% 4% 2% 4% 4% 4% 7% 3% 2% 1.5% 0%
MgO 0% 0% 0% 0% 0% 0% 0% 0% 1% 0% 0% 0.5% 0.5% 0%
CaO 0% 0% 0% 0% 0% 0% 0% 0% 1% 0% 0% 0.5% 0.5% 0%
B2O3 16% 18% 0% 0% 0% 0% 0% 0% 0% 0% 0% 0% 0% 0%
경도 <10 <10 10 40 50 50 60 60 70 20% - 70 50 10
판정 X X X O O X X X
(표중의 수량%는 모두 산화물로서의 몰백분율임)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비교로부터, 결합재에 B2O3를 함유시키면 내식성이 현저히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실시예 7 및 실시예 8로부터, Li2O, Na2O, K2O, MgO, CaO라는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합계 10 mol% 이상인 경우에는, ZrO2가 5 mol% 정도라면 내식성이 불충분하지만, 전술한 바와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합계 10 mol% 미만이라면, ZrO2가 3∼5 mol%라도 충분한 내식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의 비교로부터, ZrO2를 9 mol% 이상으로 하면 내식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비교 및 실시예 3과 실시예 4의 비교로부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동일한 몰로 하면 내식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비교로부터, ZrO2 대신 TiO2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와 실시예 6의 비교로부터, MgO나 CaO를 첨가하면 내식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과 실시예 6의 비교로부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동일한 몰로 하고, 또한 MgO나 CaO를 첨가하면 내식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합계가 20 mol%를 넘는 비교예 4는 내식성이 불충분하고,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합계가 10 mol%에 달하지 않는 비교예 5는 유리화되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합계가 10∼20 mol% 함유될 필요가 있다. 단, 실시예 7이나 실시예 8로부터, 유리 플릿에 실리카 졸을 혼합하는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합계가 10 mol% 이하라도 Li2O, Na2O, K2O, MgO, CaO라는 금속 산화물의 합계가 5 mol% 정도라면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5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SiO2만이고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함유되지 않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현저히 뒤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다공체는 골재인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재로서 내식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유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여과 필터 등으로서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제조 방법은 상기 세라믹 다공체의 결합재가 되는 유리 제조 방법으로서 적절한 것이며, 특히 종래 기술보다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이 적고, 그 만큼만 SiO2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내식성이 더욱 높은 유리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필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중간막의 결합재인 유리의 내식성을 높일 수 있는 것 외에, 중간막을 성막하고 건조시킨 후, 이것을 소성하지 않고 그 표면에 여과막을 성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터 완성까지 필요한 소성 횟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Li2O, Na2O, K2O, 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적어도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이 5∼20 mol%,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총량으로서 3~12 mol%, 그리고 잔부가 SiO2와 불가피 불순물인 유리를 결합재로 하여,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에서, 함유량이 최대인 것이 최소인 것의 2배 미만(몰비)의 함유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 함유량의 몰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 MgO와 Ca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여과 필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6. Li2O, Na2O, K2O, 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적어도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이 5∼20 mol%,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총량으로서 3~12 mol%, 그리고 잔부가 SiO2와 불가피 불순물인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을 10∼20 mol% 함유하는 유리 프릿에 실리카 졸을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금속 산화물을 5∼20 mol% 함유하는 유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방법.
  7. 제6항에 기재한 유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를 결합재로 하고,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8. 다공질 기재의 표면에 다공질 중간막을 형성하고, 그 중간막의 표면에 여과막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층 구조의 세라믹 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층 구조의 세라믹 필터는 기재의 표면에 실리카 졸을 함유하는 중간막용 슬러리로 중간막을 성막하고, 그 중간막의 표면에 여과막용 슬러리로 여과막을 성막한 후 건조시켜 얻은 적층체를 소성하여 제조되며,
    상기 기재, 상기 중간막, 그리고 상기 여과막 중 하나 이상은,
    Li2O, Na2O, K2O, MgO, CaO, SrO 및 Ba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적어도 Li2O, Na2O 및 K2O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수 종의 금속 산화물이 5∼20 mol%, ZrO2와 TiO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총량으로서 3~12 mol%, 그리고 잔부가 SiO2와 불가피 불순물인 유리를 결합재로 하여, 세라믹 입자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다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에 실리카 졸을 함유하는 중간막용 슬러리로 중간막을 성막하고 건조시킨 후, 소성하지 않고 상기 중간막의 표면에 여과막용 슬러리로 여과막을 성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제조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산 및 알칼리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여과 필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다공체.
KR1020020076798A 2001-12-07 2002-12-05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KR100554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4767 2001-12-07
JP2001374767 2001-12-07
JP2002322030A JP4398142B2 (ja) 2001-12-07 2002-11-06 セラミック多孔体及びその結合材に使用するガラスの製造方法
JPJP-P-2002-00322030 2002-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55A KR20030047755A (ko) 2003-06-18
KR100554477B1 true KR100554477B1 (ko) 2006-03-03

Family

ID=2662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798A KR100554477B1 (ko) 2001-12-07 2002-12-05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53016B2 (ko)
EP (1) EP1318125B1 (ko)
JP (1) JP4398142B2 (ko)
KR (1) KR100554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99A (ko) * 2020-11-03 2022-05-10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605A (ja) * 2004-03-02 2005-09-15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多孔質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785407A4 (en) * 2004-07-13 2009-12-09 Ngk Insulators Lt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OROUS CERAMIC ARTICLE
JP4607634B2 (ja) * 2005-03-22 2011-01-05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フィルタ
KR100616677B1 (ko) * 2005-04-11 2006-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용 글라스 프릿트, 유전체 자기조성물, 적층세라믹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RU2380136C1 (ru) * 2006-03-31 2010-01-27 Порвэйр Плс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ий пенокерамический фильтр с низки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расширения для фильтрации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алюминия
WO2008131463A1 (en) * 2007-04-23 2008-10-30 Kim Truc Ceramic Scientific - Technologigal Service & Manufacturing Co., Ltd. Plate glass with embedded ceramic objects and process of making it
WO2013021922A1 (ja) * 2011-08-09 2013-02-1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セラミックス体、発光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発光装置
US9566562B1 (en) * 2012-08-21 2017-02-14 Superior Technical Ceramics Corporation High-temperature open-cell porous ceramic
JP2016052959A (ja) * 2014-09-02 2016-04-14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ガラス被覆アルミナ構造物、分離膜エレメント、およびガラス接合剤
JP6220099B2 (ja) * 2015-07-16 2017-10-25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セラミック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495A (en) * 1974-07-29 1976-11-23 Interpace Corporation Porous ceramic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5842142B2 (ja) 1979-01-08 1983-09-17 鳴海製陶株式会社 無機質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74407A (ja) 1987-04-30 1988-11-11 Kubota Ltd 分離膜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S6445785A (en) 1987-08-12 1989-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Thermal shock-resistant ceramic material
JPH085731B2 (ja) * 1987-10-22 1996-0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三次元網目構造体の製造方法
US4871495A (en) * 1987-12-02 1989-10-03 The Duriron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ceramic filter for filtering of particulates from diesel exhaust gases
JPH07110326B2 (ja) 1988-02-02 1995-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ろ▼過フィルター
US4983423A (en) 1988-05-24 1991-01-08 Ceramem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porous inorganic membrane on a porous support using a reactive inorganic binder
US5106502A (en) 1988-05-24 1992-04-21 Ceramem Corporation Porous inorganic membrane with reactive inorganic binder
US5039629A (en) * 1989-05-18 1991-08-13 Cor-Lin, Inc. Hybrid ceram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IT1255047B (it) * 1992-03-31 1995-10-17 Peter Thometzek Fritte ceramiche di brillantezza elevata
JPH06256069A (ja) 1993-02-26 1994-09-13 Kikusui Kagaku Kogyo Kk セラミック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11777B1 (ko) * 1994-08-13 1997-07-16 황병주 커피제조기
DE19502653A1 (de) * 1995-01-28 1996-08-01 Cerdec Ag Bleifreie Glas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US5817586A (en) * 1996-04-12 1998-10-06 Asahi Glass Company Ltd. Colored ceramic composition
US6341701B1 (en) 1996-12-27 2002-01-29 Ngk Insulators, Ltd. Ceramic porous membrane including ceramic of ceramic and ceramic sol particles, ceramic porous body including the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mbrane
JP3336347B2 (ja) * 1999-10-22 2002-10-21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調湿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22798C2 (de) * 2000-05-10 2003-07-03 Pfleiderer Ag Körniges, keramisches Material mit hoher Porositä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Materials
JP2003168548A (ja) * 2001-11-30 2003-06-1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調理器用トッププレート
JP3904919B2 (ja) * 2001-12-26 2007-04-11 京セラ株式会社 セラミック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セラミック基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99A (ko) * 2020-11-03 2022-05-10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KR102412944B1 (ko) * 2020-11-03 2022-06-27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8125B1 (en) 2013-02-20
US20030114293A1 (en) 2003-06-19
US7053016B2 (en) 2006-05-30
EP1318125A2 (en) 2003-06-11
JP2003238257A (ja) 2003-08-27
EP1318125A3 (en) 2003-10-01
KR20030047755A (ko) 2003-06-18
JP4398142B2 (ja)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6346B2 (ja) 封着用組成物
US6362119B1 (en) Barium borosilicate glass and glass ceramic composition
JP2723324B2 (ja) アルミナ焼結基板
JP3240271B2 (ja) セラミック基板
EP1074521B2 (en) Boron-free glass composition and filtration media
KR100554477B1 (ko)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US4268311A (en) High strength cordierite ceramic
JP5118345B2 (ja) セラミック多孔体の製造方法
EP1704909A2 (en) Ceramic filter
JP2004250276A (ja) 封着加工用無鉛低融点ガラス
US20130017387A1 (en) Chemically durable porous glass with enhanced alkaline resistance
JPH11310458A (ja) ガラスセラミック組成物、その焼成方法及びガラスセラミック複合体
JP2002220256A (ja) 無鉛ガラス、電子回路基板用組成物および電子回路基板
JP2002338295A (ja) 無アルカリガラス、電子回路基板用組成物および電子回路基板
JP3084992B2 (ja) セラミック基板
EP0404501B2 (en) Overglaze colors for po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674860B1 (ko) 저온 소결용 글라스 프릿트
JP4597552B2 (ja) 高洗浄性ガラス成形品
CN100372802C (zh) 高频热稳定的钛钡钕系陶瓷介质材料及多层片式陶瓷电容器
JP2002080240A (ja) 低誘電率無アルカリガラス
JPH0676228B2 (ja) 封着用ガラス組成物
Krajewski et al. Lead‐Ion Stability in Vitreous Systems
JPH0375242A (ja) ポーラスガラス用組成物
SU1724612A1 (ru) Стеклоприпой
JP2000185936A (ja) セメント製品用無鉛低融点ガラ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527

Effective date: 200601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5